KR20220136143A -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143A
KR20220136143A KR1020220035109A KR20220035109A KR20220136143A KR 20220136143 A KR20220136143 A KR 20220136143A KR 1020220035109 A KR1020220035109 A KR 1020220035109A KR 20220035109 A KR20220035109 A KR 20220035109A KR 20220136143 A KR20220136143 A KR 2022013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electric motor
case
axial directi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시노자키
마사야 아오키
에츠로 고모리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63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58841A/ja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16H57/0416Air cooling 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5Control of electric,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ventilators, electro-driven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6Electric machines and gearing, i.e. joint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감속기는, 전동 모터(2)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4)와, 전동 모터(2)의 모터 샤프트(20) 및 감속부(4)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전동 모터(2)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5)와, 케이스(5)에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축 방향 유로(63)와, 케이스(5)의 회전 축선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모터 플랜지(23), 제2 캐리어(46))와,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입력측 연결 유로(65) 및 출력측 연결 유로(64)를 구비한다. 입력측 연결 유로(65) 및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축 방향 유로(63)에 접속됨과 함께 냉각수가 흐른다.

Description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SPEED REDUCER, ACTUATOR AND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서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여 펌프를 통해 각 액추에이터를 유압으로 제어하고 있다. 근년에는, 엔진에 의한 구동원 대신에, 배터리를 구동원으로 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나아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 액추에이터를 배터리로부터 전기 구동하는 방식의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6-191450호 공보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동 모터가 유압 모터보다도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동 모터를 고속 회전으로 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전동 모터를 고속 회전시키는 경우, 특히 모터 샤프트에 직결되는 1단째의 감속부가 발열되기 쉽다. 그 때문에, 고열 부분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입력축측에 팬과 후드를 마련함으로써, 강제적으로 공랭하여 고열 부분을 냉각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팬에 의한 냉각 방식의 경우에는, 흡배기가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설 기계 등의 사용 환경 하에서는 토사 등이 혼입된다. 그 때문에, 팬에 의한 냉각 방식의 경우에는, 소형화된 전동 모터를 건설 기계 등에 탑재하는 것이 어렵고, 그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유체에 의해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함으로써, 고속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어, 건설 기계 등에 대한 탑재성이 우수한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감속기는,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상기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른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유로, 및 제2 유로에 의해, 케이스의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가 냉각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에 수용되는 감속부나 모터 샤프트도 냉각된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에 직결되는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속부를 전동 모터의 고속 회전에 대응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동 모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한 냉각 방식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팬에 의한 공랭 방식의 경우와 같이, 흡배기가 노출된 상태에서 토사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사 등이 혼입되기 쉬운 건설 기계 등에 대한, 감속기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플레이트가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방열 캐리어여도 된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방열 캐리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방열 캐리어에는, 상기 감속부에 마련되는 캐리어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플레이트가, 상기 전동 모터에 설치되는 모터 플랜지여도 된다. 상기 모터 플랜지에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축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단을 향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차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감속기는,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른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한쪽에 마련되며, 상기 감속부에 마련되는 캐리어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방열 캐리어와, 상기 케이스의 다른 쪽에 마련되며, 상기 전동 모터에 설치되는 모터 플랜지를 갖는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방열 캐리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터 플랜지에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축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단을 향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차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유로, 및 제2 유로에 의해, 케이스의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가 냉각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에 수용되는 감속부나 모터 샤프트도 냉각된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에 직결되는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속부를 전동 모터의 고속 회전에 대응하여 적용 가능하게 되어, 전동 모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한 냉각 방식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팬에 의한 공랭 방식의 경우와 같이, 흡배기가 노출된 상태에서 토사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사 등이 혼입되기 쉬운 건설 기계 등에 대한, 감속기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하는 방열 캐리어에 제2 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2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방열 캐리어가 냉각된다. 그 때문에, 냉각된 방열 캐리어에 지지되는 캐리어 기어를 포함하는 감속부를, 보다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된 유체가, 제1 유로를 일방향으로 유통하여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유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와 외부의 유체 공급부를 배관으로 접속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통형 케이스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의 내주 부분에, 제1 유로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의 상기 영역에 감속부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른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유로, 및 제2 유로에 의해, 케이스의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가 냉각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에 수용되는 감속부나 모터 샤프트 및 전동 모터도 냉각된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에 직결되는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차체와, 상기 차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감속기를 구비한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른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구동륜에 고정된다. 상기 전동 모터는, 회전 구동력이 상기 감속기를 통해 상기 구동륜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차체 및 상기 구동륜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유체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된 유체 공급부에 대하여,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접속한 상태에서 감속기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에 의하면, 감속부의 발열을 억제함으로써, 고속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소형화할 수 있어, 건설 기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탑재성이 얻어진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감속기를 구비한 셔블의 측면도.
도 2는 실시 형태의 전동 모터를 구비한 감속기의 단면도.
도 3은 제2 캐리어, 제1 케이스, 및 모터 플랜지를 분할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A-A선 화살 표시도이며, 제1 케이스의 입력측 단부면을 본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B-B선 화살 표시도이며, 제2 캐리어의 입력측 단부면을 본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와 변형예에서는, 공통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일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구동부에 전동 모터(2)에 마련되는 감속기(1)를 채용한 셔블(10)(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셔블(10)은, 주행체(12)의 일 양태인 크롤러에 의해 주행하는 셔블이다. 셔블(10)은, 주행체(12)와, 주행체(1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체(11)는, 조작자가 탑승 가능한 운전석(13)과, 운전석(13)의 전방부에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붐(14)과, 붐(14)의 선단부에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암(15)과, 암(15)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16)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석(13), 붐(14), 암(15) 및 버킷(16)의 각 관절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각 관절의 구동 장치는, 운전석(13)에 있어서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
주행체(12)는, 크롤러 본체(121)(차체)와, 크롤러 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륜(122)을 갖고 있다. 주행체(12)에는, 구동륜(122)을 구동하는 감속기(1)를 구비한 전동 모터(2)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전동 모터(2)를 구비한 감속기(1)의 단면도(회전 축선 O를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감속기(1)의 형상, 치수는 일례이며, 실제의 치수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감속기(1)는, 정역 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2)에 연결된다. 전동 모터(2)의 회전 구동력은, 감속기(1)에서 감속되어 회전 운동으로서 출력되고, 구동륜(122)에 마련되는 차축에 전달된다.
감속기(1)는, 전동 모터(2)의 모터 샤프트(20)와 차축 사이에, 유성 기어 기구로 이루어지는 2단의 감속부(4)를 마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터 샤프트(20)의 중심축을 회전 축선 O라 한다. 또한, 회전 축선 O 방향을 따르는 모터 샤프트(20)측을 입력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출력측이라 한다. 또한, 감속기(1)를 회전 축선 O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회전 축선 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 하고, 회전 축선 O 주위로 주회하는 방향을 원주 방향 E라 한다.
전동 모터(2)는, 모터 샤프트(20)와, 모터 본체(21)와, 모터 본체(21)를 보유 지지하는 모터 케이스(22)와, 모터 케이스(22)의 일단에 고정된 모터 플랜지(23)(플레이트)를 갖고 있다.
모터 샤프트(20)는, 회전 축선 O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모터 샤프트(20)의 일단측(지면 좌측)에 위치하는 선단부(20a)는, 감속기(1)의 내부에 돌출되어 있다. 전동 모터(2)는, 모터 플랜지(23)를 통해 감속기(1)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 플랜지(23)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 플랜지(23)는, 모터 케이스(22)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 케이스(22)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전동 모터(2)로서는, 소위 브러시 구비 모터나 브러시리스 모터 등,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구동되는 다양한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감속기(1)는, 복수단의 감속부(4)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속기(1)는, 감속부(4)로서, 1단째의 제1 감속부(4A), 2단째의 제2 감속부(4B)를 갖고 있다. 모터 샤프트(20)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순서로, 제1 감속부(4A), 제2 감속부(4B)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감속부(4)의 배치로서는, 회전 축선 O 방향을 따라, 입력측으로부터 출력측을 향하여 제2 감속부(4B), 제1 감속부(4A)의 순으로 배치된다.
제1 감속부(4A) 및 제2 감속부(4B)는, 후술하는 제2 케이스(5B)를 공유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감속부(4A) 및 제2 감속부(4B)는, 제2 케이스(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감속기(1)는, 전동 모터(2)의 모터 샤프트(20) 및 감속부(4)를 수용하는 통형 케이스(5)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는, 입력측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5A)와, 제1 케이스(5A)보다도 출력측에 배치된 제2 케이스(5B)를 갖고 있다. 제2 케이스(5B)는, 제1 케이스(5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5A)가 크롤러 본체(121)에 접속되고, 제2 케이스(5B)가 주행체(12)의 구동륜(122)에 접속되어 있다.
단, 제1 케이스(5A) 및 제2 케이스(5B)와 셔블(10)의 접속 형태는,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스(5B)를 구동륜(122)에 접속하고, 제1 케이스(5A)를 크롤러 본체(121)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전동 모터(2)의 회전 구동력은, 감속기(1)를 통해 주행체(12)에 전달된다.
감속기(1)는, 모터 플랜지(23)의 출력측 단부면(23b)에 대하여 고정 볼트(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케이스(5A)의 입력측의 단부(입력측 단부면(5a))가, 출력측 단부면(23b)에 대하여 긴밀하게 접촉한 상태에서 모터 플랜지(23)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속기(1)의 내측의 제1 감속실(1A) 및 제2 감속실(1B)은, 외기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감속실(1A)의 실내, 및 제2 감속실(1B)의 실내에는, 윤활유가 충전되어 있다.
제1 케이스(5A)는,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5A)는, 회전 축선 O 방향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케이스(5A)는, 내부 통벽(51)과, 내부 통벽(51)의 출력측 단부에 배치되며, 모터 플랜지(2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저벽(52)을 갖고 있다. 제1 케이스(5A)의 입력측 단부면(5a)은, 모터 플랜지(23)에 대하여 고정 볼트(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케이스(5A)는, 전동 모터(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내부 통벽(51)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블(10)의 크롤러 본체(121)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저벽(52)에는, 모터 샤프트(20)의 선단부(20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어링(54)이 마련되어 있다. 저벽(52)의 출력측 단부면(52a)에는, 제2 캐리어(46)가 볼트(46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캐리어(46)는, 제2 감속부(4B)의 제2 기어(4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462)를 갖는다
제2 케이스(5B)는, 제1 케이스(5A)의 내부 통벽(51)의 외주면(51a)에 대하여, 제2 베어링(55)을 통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외부 통벽(56)을 갖고 있다. 외부 통벽(56)의 출력측(지면 좌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에는, 덮개체(5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윤활유가 충전되는 제2 감속실(1B)을 밀폐 상태로 하고 있다.
외부 통벽(56)의 내주면에는, 링 기어(57)가 마련되어 있다. 링 기어(57)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42) 및 제2 기어(45)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42) 및 제2 기어(45)의 양쪽은, 링 기어(57)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케이스(5B)는, 제1 유성 기어(42)와 제2 기어(45)를 공유하고 있다.
외부 통벽(56)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블(10)의 구동륜(122)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58)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감속실(1B)의 실내에는, 감속 입력축(3)이 삽입되어 있다. 감속 입력축(3)은, 축 부재로 형성되며, 제1 케이스(5A)의 저벽(52)을 삽입 관통하는 모터 샤프트(20)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1)의 내측은, 제1 케이스(5A)의 내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감속실(1A)과, 제2 케이스(5B)의 내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감속실(1B)을 갖고 있다.
제1 감속실(1A)과 제2 감속실(1B)은, 제1 케이스(5A)의 저벽(52)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제1 감속실(1A)에는, 모터 샤프트(20)의 선단부(20a)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 샤프트(20)의 선단부(20a)에는, 모터 샤프트(20)와 동축선 상에 감속 입력축(3)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터 샤프트(20)와 감속 입력축(3)의 연결부는, 제2 감속실(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감속부(4A)는, 제1 선 기어(41)와, 복수의 제1 유성 기어(42)와, 제1 캐리어(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선 기어(41)는, 감속 입력축(3)의 출력측(지면 좌측)에 위치하는 선단부(3a)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42)는, 제1 선 기어(41)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유성 기어(42)는, 제2 케이스(5B)의 링 기어(57)에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 유성 기어(42)는, 제1 캐리어(43)에 마련되는 도시하지 않은 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유성 기어(42)는, 제1 선 기어(41)와 제2 케이스(5B)의 양쪽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유성 기어(42)는, 예를 들어 축부를 압입함으로써, 제1 캐리어(43)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캐리어(43)는, 평판의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캐리어(43)는, 회전 축선 O 방향에서 제1 유성 기어(42)보다 입력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감속 입력축(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감속부(4A)에서 감속된 회전 구동력은, 감속 입력축(3), 제1 선 기어(41), 제1 유성 기어(42), 제1 캐리어(43)를 통해 감속되어, 제2 감속부(4B)의 제2 선 기어(44)에 전달된다.
제2 감속부(4B)는, 제2 선 기어(44)와, 복수의 제2 기어(45)(캐리어 기어)와, 제2 캐리어(46)(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선 기어(44)는, 감속 입력축(3)을 삽입 관통시키는 중공부(44a)를 갖고 있다. 감속 입력축(3)은, 제2 선 기어(44)를 관통한다. 그리고, 감속 입력축(3)은, 제2 선 기어(44)를 관통한 선단부(3a)에, 제1 선 기어(41)가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2 선 기어(44)는, 제2 선 기어(44)의 출력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1 캐리어(43)의 내주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선 기어(44)는, 제1 캐리어(43)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복수의 제2 기어(45)는, 제2 선 기어(44)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기어(45)는, 제2 케이스(5B)의 링 기어(57)에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2 기어(45)는, 제2 캐리어(46)로부터 출력측을 향하여 돌출된 축부(46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기어(45)는, 제2 선 기어(44)와 제2 케이스(5B)의 양쪽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캐리어(46)는, 방열 캐리어이다. 제2 캐리어(46)는, 원판형 캐리어 본체(460)와, 캐리어 본체(460)의 외주연을 따라서 마련된 히트 싱크(461)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감속부(4B)에서는, 제1 감속부(4A)에서 감속된 회전 구동력이, 제2 선 기어(44), 제2 기어(45)를 통해 감속되어, 제2 케이스(5B)에 전달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감속기(1)에서는, 전동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샤프트(20)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입력된다. 모터 샤프트(20)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모터 샤프트(20)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감속 입력축(3)에 전달된다. 감속 입력축(3)에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면, 제1 유성 기어(42)가 자전함과 함께, 회전 축선 O 둘레로 공전한다. 이때, 제1 유성 기어(42)는, 제1 감속부(4A)에 있어서의 제1 선 기어(41)와 제1 유성 기어(42)의 잇수차, 및 제1 유성 기어(42)와 제2 케이스(5B)의 링 기어(57)의 잇수차에 따라서, 자전 및 공전한다.
그리고, 제1 유성 기어(42)를 지지하는 제1 캐리어(43)를 통해, 감속 입력축(3)으로부터 입력된 회전 구동력이 감속되어 제2 감속부(4B)에 전달된다.
다음에, 제1 감속부(4A)의 제1 캐리어(43)로부터, 제2 감속부(4B)의 제2 선 기어(44)에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면, 제2 기어(45)가 자전한다. 이때, 제2 기어(45)는, 제2 감속부(4B)에 있어서의 제2 선 기어(44)와 제2 기어(45)의 잇수차, 및 제2 기어(45)와 제2 케이스(5B)의 링 기어(57)의 잇수차에 따라서 자전한다. 그리고, 제2 기어(45)가 자전함으로써, 제2 기어(45)에 맞물리는 제2 케이스(5B)가 회전 축선 O 둘레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기어(45)를 통해 제2 감속부(4B)로부터 감속된 회전 구동력을, 제2 케이스(5B)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5B)의 제2 고정부(58)에 고정되는 셔블(10)의 구동륜(122)으로부터, 감속된 회전 구동력을 출력으로서 취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5A) 및 제2 캐리어(46)에는, 감속부(4)를 냉각하기 위한, 수랭식의 수랭 유로(6)(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모터 플랜지(23)에는,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는, 수랭 유로(6)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랭 유로(6)는, 제1 케이스(5A)에 회전 축선 O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수랭 유로(6)는, 냉각수 W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축 방향 유로(63)(제1 유로)와, 출력측 연결 유로(64)(제2 유로), 입력측 연결 유로(65)(제2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축 방향 유로(63)는, 제1 케이스(5A)의 원주 방향 E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제2 캐리어(46)의 입력측 단부면(46a)에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연결 유로(65)는, 제1 케이스(5A)의 입력측 단부면(5a)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는, 각각 모터 플랜지(23)의 외주면(23a)으로부터, L형으로 굴곡한 후, 출력측 단부면(23b)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61)는, 외부로부터 냉각수 W를 수랭 유로(6)에 흡입한다. 토출 포트(62)는, 수랭 유로(6)를 유통한 냉각수 W를 외부에 토출한다.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는, 도시하지 않은 물 공급부(유체 공급부)에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물 공급부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셔블(10)의 일부에 장비되어 있다.
원주 방향 E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축 방향 유로(63)는, 흡입 포트(61)측이 상류측으로 되고, 또한 토출 포트(62)측이 하류측으로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 유로(63)는, 제1 케이스(5A)의 내부 통벽(51)에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 유로(63)는, 내부 통벽(51)에 있어서, 회전 축선 O 주위로 주회하는 원주 방향 E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축 방향 유로(63)의 입력측 단부(63a)는, 제1 케이스(5A)의 입력측 단부면(5a)에 위치하고 있다. 축 방향 유로(63)의 출력측 단부(63b)는, 제1 케이스(5A)의 출력측 단부면(5b)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축 방향 유로(63) 중, 1개의 입력측 단부(63a)는, 흡입 포트(61)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축 방향 유로(63) 중, 흡입 포트(61)가 접속된 입력측 단부(63a)와는 다른 입력측 단부(63a)는, 토출 포트(62)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흡입 포트(61)가 접속된 입력측 단부(63a)와, 토출 포트(62)에 접속된 입력측 단부(63a)는, 둘레 방향 E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축 방향 유로(63)는, 출력측으로부터 입력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회전 축선 O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도 2 참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제2 캐리어(46)의 입력측 단부면(46a)에 있어서, 원주 방향 E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원주 방향 E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원주 방향 E로 인접하는 축 방향 유로(63)의 출력측 단부(63b)끼리를 접속하도록, 원주 방향 E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연결 유로(64)에 접속되는 축 방향 유로(63) 중, 냉각수 W가 유통되는 상류측(흡입 포트(61)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의 출력측 단부(63b)는, 출력측 연결 유로(64)의 상류 측단부(64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측 연결 유로(64)에 접속되는 축 방향 유로(63) 중, 하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의 출력측 단부(63b)는, 출력측 연결 유로(64)의 하류측 단부(64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에서는, 입력측으로부터 출력측을 향하여 냉각수 W가 흐른다. 또한, 그 냉각수 W는, 출력측 연결 유로(64)에서 되꺾여, 하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를 통해 출력측으로부터 입력측을 향하여 유통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5A)의 입력측 단부면(5a)에 마련되는 입력측 연결 유로(65)는, 원주 방향 E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연결 유로(65)는, 원주 방향 E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입력측 연결 유로(65)는, 원주 방향 E로 인접하는 축 방향 유로(63)의 입력측 단부(63a)끼리를 접속하도록, 원주 방향 E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연결 유로(65)에 접속되는 축 방향 유로(63) 중, 상류측(흡입 포트(61)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는, 출력측 연결 유로(64)의 하류측 단부(64b)에 접속된다. 또한 입력측 연결 유로(65)에 접속되는 축 방향 유로(63) 중, 하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는, 출력측 연결 유로(64)의 상류 측단부(64a)에 접속된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의 입력측 단부(63a)는, 입력측 연결 유로(65)의 상류 측단부(65a)에 접속되어 있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의 입력측 단부(63a)는, 입력측 연결 유로(65)의 하류측 단부(65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에서는, 출력측으로부터 입력측을 향하여 냉각수 W가 흐른다. 그리고, 그 냉각수 W는, 입력측 연결 유로(65)에서 되꺾여, 하류측에 위치하는 축 방향 유로(63)를 통해 입력측으로부터 출력측을 향하여 유통된다.
즉, 수랭 유로(6)는, 축 방향 유로(63), 출력측 연결 유로(64), 및 입력측 연결 유로(65)에 의해 회전 축선 O 방향으로 사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에서는, 전동 모터(2)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4)와, 전동 모터(2)의 모터 샤프트(20) 및 감속부(4)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전동 모터(2)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5)와, 케이스(5)에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냉각수 W를 흐르게 하는 축 방향 유로(63)와, 케이스(5)의 회전 축선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모터 플랜지(23), 제2 캐리어(46))와,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출력측 연결 유로(64) 및 입력측 연결 유로(65)를 구비한다. 출력측 연결 유로(64) 및 입력측 연결 유로(65)는, 축 방향 유로(63)에 접속됨과 함께, 냉각수 W가 흐른다.
이 때문에, 축 방향 유로(63), 출력측 연결 유로(64) 및 입력측 연결 유로(65)에 의해, 케이스(5)의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이 냉각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5)에 수용되는 감속부(4)나 모터 샤프트(20)도 냉각된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20)에 직결되는 감속부(4)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속부(4)를 전동 모터(2)의 고속 회전에 대응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동 모터(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 유로(63), 출력측 연결 유로(64) 및 입력측 연결 유로(65)를 마련하는 것에 의한 냉각 방식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팬에 의한 공랭 방식의 경우와 같이, 흡배기가 노출된 상태에서 토사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사 등이 혼입되기 쉬운 건설 기계 등에 대한, 감속기(1)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에서는, 제2 캐리어(46)가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방열 캐리어이다.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제2 캐리어(46)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속부(4)의 발열을 억제하는 방열 캐리어인 제2 캐리어(46)에, 출력측 연결 유로(64)가 마련된다. 그 때문에, 출력측 연결 유로(64)를 통과하는 냉각수 W에 의해, 제2 캐리어(46)를 냉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냉각된 제2 캐리어(46)에 지지되는 캐리어 기어(제2 기어(45))를 포함하는 감속부(4)를, 보다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부(4)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에서는, 제2 캐리어(46)에는, 감속부(4)에 마련되는 제2 기어(4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각된 제2 캐리어(4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기어(45)를 포함하는 감속부(4)를, 보다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부(4)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에서는, 2개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플레이트가 전동 모터(2)에 설치되는 모터 플랜지(23)이다. 모터 플랜지(23)에는, 축 방향 유로(63)에 접속되는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입 포트(61)로부터 흡입된 냉각수 W가 축 방향 유로(63)를 일방향으로 유통하여 토출 포트(62)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축 방향 유로(63), 출력측 연결 유로(64) 및 입력측 연결 유로(65)를 유통하는 냉각수 W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와, 외부의 물 공급부(도시 생략)를 배관으로 접속할 수 있는, 효율적으로 냉각수 W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에서는, 축 방향 유로(63)는, 회전 축선 O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전동 모터(2)의 회전 축선 O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차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통형 케이스(5)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의 내주 부분에, 축 방향 유로(63)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도 2에 도시한 부호 51A)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5A)의 영역(51A)에 캐리어 기어가 맞물리는 링 기어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제1 케이스(5)의 영역(51A)에 감속부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1)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본체(121)(차체)와, 크롤러 본체(121)를 주행시키는 구동륜(122)과, 구동륜(122)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2) 및 감속기(1)를 구비하고 있다.
감속기(1)는, 전동 모터(2)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4)와, 전동 모터(2)의 모터 샤프트(20) 및 감속부(4)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전동 모터(2)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제1 케이스(5A)와, 제1 케이스(5A)에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냉각수 W를 흐르게 하는 축 방향 유로(63)와, 제1 케이스(5A)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모터 플랜지(23), 제2 캐리어(46))와,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입력측 연결 유로(65) 및 출력측 연결 유로(64)를 구비한다. 입력측 연결 유로(65) 및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축 방향 유로(63)에 접속됨과 함께 냉각수 W가 흐른다. 제1 케이스(5A)가 크롤러 본체(121) 또는 구동륜(122)에 고정된다. 전동 모터(2)는, 회전 구동력이 감속기(1)를 통해 구동륜(122)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측 연결 유로(65) 및 출력측 연결 유로(64)는, 크롤러 본체(121) 및 구동륜(122)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물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셔블(10)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된 물 공급부에 대하여, 축 방향 유로(63), 입력측 연결 유로(65) 및 출력측 연결 유로(64)를 접속한 상태에서 감속기(1)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감속부(4A, 4B)를 구비한 감속기(1)를 채용하고 있지만, 2개의 감속부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개, 혹은 1개의 감속부를 구비한 감속기에 대하여 제1 유로나 제2 유로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체의 일례로서 냉각수 W를 채용하고 있지만, 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오일이나 그 밖의 냉매 등의 유체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축선 O 방향에서 제1 케이스(5A)의 출력측에 제2 케이스(5B)가 마련되고, 제2 케이스(5B)가 제1 케이스(5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단,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2 케이스(5B)를 마련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5A)의 양단을 폐색하는 제2 캐리어(46) 및 모터 플랜지(23)를 마련하였다. 또한, 제2 캐리어(46)에 제2 유로인 출력측 연결 유로(64)를 마련하였다. 또한 입력측의 제2 유로인 입력측 연결 유로(65)가 제1 케이스(5A)의 입력측 단부면(5a)에 마련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유로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측의 제2 유로(입력측 연결 유로(65))가 모터 플랜지(23)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출력측 연결 유로(64)가 제2 캐리어(46)에 마련되지 않고, 제1 케이스(5A)의 출력측 단부면(5b)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5A)에 설치되는 모터 플랜지(23)에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입 포트(61) 및 토출 포트(62)가, 모터 플랜지(23)가 아니라, 예를 들어 제1 케이스(5A)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감속기(1)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성 기어 기구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유성 기어 기구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성 기어 기구에 포함되는 편심 요동형 감속기, 센터 크랭크 기구의 감속기에 상술한 냉각용 유로를 적용할 수 있다.
편심 요동형 감속기는, 감속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크랭크축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또한 외치 기어의 요동 운동과 캐리어의 자전 취출 기구를 구비한 기구이다. 또한 센터 크랭크 기구의 감속기는, 감속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크랭크축이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축이 외치 기어의 요동 운동을 부가시켜, 외치 기어의 자전 운동을 캐리어의 핀으로부터 취출하도록 한 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속기로서는, 편심 요동형 감속기와 센터 크랭크 기구의 양쪽을 구비한 감속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달 기구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속 관계(감속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어 등속, 증속 관계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감속기(1)의 적용 대상으로서 셔블(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감속기를, 셔블 이외의 건설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 형태 중, 복수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당해 복수의 물체를 일체화해도 되고, 반대로 하나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복수의 물체로 나눌 수 있다. 일체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1: 감속기
2: 전동 모터
3: 감속 입력축
4: 감속부
4A: 제1 감속부
4B: 제2 감속부
5: 케이스
5A: 제1 케이스
5B: 제2 케이스
6: 수랭 유로(유로)
10: 셔블(건설 기계)
20: 모터 샤프트
23: 모터 플랜지(플레이트)
41: 제1 선 기어
42: 제1 유성 기어
43: 제1 캐리어
44: 제2 선 기어
45: 제2 기어
46: 제2 캐리어(플레이트)
51: 내부 통벽
53: 제1 고정부
57: 링 기어
58: 제2 고정부
61: 흡입 포트
62: 토출 포트
63: 축 방향 유로(제1 유로)
64: 출력측 연결 유로(제2 유로)
65: 입력측 연결 유로(제2 유로)
121: 크롤러 본체(차체)
122: 구동륜
O: 회전 축선

Claims (8)

  1.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르는,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플레이트가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방열 캐리어이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방열 캐리어에 마련되어 있는, 감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캐리어에는, 상기 감속부에 마련되는 캐리어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감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플레이트가, 상기 전동 모터에 설치되는 모터 플랜지이며,
    상기 모터 플랜지에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가 마련되어 있는, 감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축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단을 향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차 경사져 있는, 감속기.
  6.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한쪽에 마련되며, 상기 감속부에 마련되는 캐리어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방열 캐리어와,
    상기 케이스의 다른 쪽에 마련되며, 상기 전동 모터에 설치되는 모터 플랜지를 갖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방열 캐리어에 마련되고,
    상기 모터 플랜지에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축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단을 향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차 경사져 있는, 감속기.
  7.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르는, 액추에이터.
  8. 차체와,
    상기 차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감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감속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샤프트 및 상기 감속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의 축 방향으로 통축을 향한 상태에서 배치된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유체를 흐르게 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케이스의 축 방향 양단을 폐색하는 2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체가 흐르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구동륜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회전 구동력이 상기 감속기를 통해 상기 구동륜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차체 및 상기 구동륜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유체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는, 건설 기계.
KR1020220035109A 2021-03-31 2022-03-22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 KR20220136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0403 2021-03-31
JP2021060403 2021-03-31
JPJP-P-2021-163642 2021-10-04
JP2021163642A JP2022158841A (ja) 2021-03-31 2021-10-04 減速機、アクチュエータ、及び、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143A true KR20220136143A (ko) 2022-10-07

Family

ID=8359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09A KR20220136143A (ko) 2021-03-31 2022-03-22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36143A (ko)
CN (1) CN1152171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450A (ja) 2015-03-31 2016-11-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450A (ja) 2015-03-31 2016-11-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17178A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152B2 (ja) 車両用オイルポンプ
JP5139475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US10837544B2 (en) Axle assembly
JP5657772B1 (ja) ホイールローダ
WO2013136589A1 (ja) 電動機
US9745720B2 (en) Wheel loader
US20240102556A1 (en) Drive apparatus
JP2002243037A (ja) 動力ユニット
JP2014156711A (ja) ショベル
WO2014069308A1 (ja) ショベル
WO2020032026A1 (ja) モータユニット
US20220316178A1 (en) Speed reducer and construction machine
JP5976566B2 (ja) ショベル
KR20220136143A (ko) 감속기, 액추에이터 및 건설 기계
JP6458695B2 (ja) 電動機の冷却装置
JP6462801B2 (ja) ショベル
JP2022158841A (ja) 減速機、アクチュエータ、及び、建設機械
WO2014069536A1 (ja) ショベル
JP2022158858A (ja) 減速機、及び、建設機械
US20220128128A1 (en) Variable speed and reversible dual path fan drive system
US11560935B2 (en) Speed reducer and construction machine
JP2022158828A (ja) 減速機、及び、建設機械
WO2023139906A1 (ja) 電動シリンダ及び作業機械
JP2019119402A (ja) 潤滑装置
EP4361466A1 (en)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