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01A - 조직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조직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01A
KR20220135001A KR1020210040430A KR20210040430A KR20220135001A KR 20220135001 A KR20220135001 A KR 20220135001A KR 1020210040430 A KR1020210040430 A KR 1020210040430A KR 20210040430 A KR20210040430 A KR 20210040430A KR 20220135001 A KR20220135001 A KR 2022013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aft
tissue removal
longitudinal dir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581B1 (ko
Inventor
김경학
이길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닥
Priority to KR102021004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5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3Sleeves, i.e. non-rotating parts surrounding the bit shaft, e.g. the sleeve forming a single unit with the bit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58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rotating cutting instrument, e.g. moto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32Details of the rotating or oscillating shaft, e.g. using a flexib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에 조직 제거부재가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보호관; 및 상기 보호관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직 제거장치로서, 상기 조직 제거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이 배치되는 결합공간;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벽부에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직 제거장치{TISSUE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조직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추간공이나 생식기관, 안구 등과 같이 신체 내의 협소 공간이나 관형 공간에 삽입되어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직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수술 과정 중에는 체내에 발생한 비정상 조직이나 뼈 등을 제거해야 하는 때가 많다. 가령, 추간공 협착증, 전립선 비대증, 자궁선근증 등과 같은 수술을 진행할 시에 신체내 연부조직 뿐만 아니라 경조직을 제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조직 제거장치는,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거부재가 선단에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보호하는 시스; 상기 시스 및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직 제거장치는,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샤프트가 회전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샤프트의 선단에 마련된 제거부재가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회전 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조직 제거장치는, 신체 내의 협소 공간에서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을 제거할 시에, 정상적인 신경이나 조직에 의도치 않게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샤프트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샤프트와 동력부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발생이 되는데, 이 연결 지점이 시술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인 관계로 인하여 의도치 않게 진동에 따른 흔들림으로 정상적인 신경이나 조직에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샤프트는, 관 형태를 가지는 시스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회전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샤프트의 선단부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조직 또는 뼈와 접촉되고, 시술자의 작동에 의해 신체 협소 공간에서 외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휘어져 시스의 내면과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내경이 큰 시스에 샤프트를 삽입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안은 오히려 직경이 커진 시스에 의하여 신체 내의 협소 공간에 조직 제거장치가 삽입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3501호의 '다이아몬드 드릴버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뼈조직 제거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 내에서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 또는 뼈를 긁어낼 시에, 샤프트가 안정적인 자세를 가진 채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조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신경이나 정상적인 조직 또는 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에 조직 제거부재가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직 제거장치로서, 상기 조직 제거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이 배치되는 결합공간;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과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를 수용한 채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2커넥터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 및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각각 형성된 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형성된 상기 핀홀은,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형성된 핀홀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핀이 상기 제2커넥터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샤프트에 각각 형성된 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또한, 상기 제2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부와도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2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직 제거부재의 일부 부위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과 상기 손잡이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보호관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조직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회전되는 샤프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시술자가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만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가이드부와 기밀부재가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샤프트가 보호관의 내부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결합부의 제2커넥터에 핸드피스 장비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부에 전달되는 가압력 또는 하중을 완충부재로 상쇄시키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샤프트와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외력으로부터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
도 4는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보호관의 선단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보호관의 선단부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보호관의 선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보호관의 선단부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길이방향 일측에 조직 제거부재(111)가 마련된 샤프트(110); 상기 샤프트(1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보호관(120); 및 상기 보호관(120)과 연결되는 손잡이부(130);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10)는, 동력원(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보호관(12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샤프트(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W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케이블(WC)은,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식된 바와 같이, 보호관(120)의 선단부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케이블(WC)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조직 제거부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직 제거부재(111)는, 절삭용 다이아몬드 분말이 분포되어 있는 절삭용 팁이라 할 수 있으며,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 또는 뼈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제거부재(111)는, 보호관(12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은 후술할 손잡이부(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호관(120)은, 샤프트(110)와 와이어 케이블(WC)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보호관(120)은, 샤프트(110) 또는 와이어 케이블(WC)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다. 또한, 보호관(1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조직 제거부재(1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후술할 손잡이부(130)의 길이방향 일단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120)의 선단부에는 상기 조직 제거부재(111)가 회전될 시에, 상기 조직 제거부재(111)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고 더불어 외부 이물질이 보호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 형태의 지지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2)는, 조직 제거부재(111)와 와이어 케이블(WC) 및 샤프트(110)가 동심축을 가진 채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보호관(12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와이어 케이블(WC) 또는 샤프트(110)가 보호관(120)의 내면과 마찰될 경우에는 금속 마모 가루가 발생되는데, 이 금속 가루가 보호관(120)의 선단으로 빠져가나 신체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위와 같은 지지부재(112)는, 후술할, 가이드부(300) 및 오링(400)과 협력하여 샤프트(110)가 고속으로 회전될 시에 발생되는 떨림, 진동, 소음, 열발생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시술자가 파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동력원의 핸드피스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의 내측에는, 상기 동력원의 핸드피스와 결합되기 위하여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결합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S)은, 원통의 형태를 가진 채로 손잡이부(13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상기 결합공간(S)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결합부(200) 및 상기 결합공간(S)을 구획하는 상기 손잡이부(130)의 결합공간(S)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결합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과 연결되는 제1커넥터(210); 및 상기 제1커넥터(210)와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를 수용한 채 상기 제1커넥터(210) 및 상기 샤프트(110)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2커넥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210)는,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결합공간(S)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제1커넥터(210)는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210)는 결합공간(S)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채 상기 결합공간(S)으로 노출된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2커넥터(2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220)는, 마찬가지로,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결합공간(S)에 배치되며, 동력원의 핸드피스 장비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라 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그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모두 개방된 중공의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커넥터(2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연결된 제1커넥터(2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합부(200)는 결합핀(230)에 의해 서로 핀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핀(230)은 제2커넥터(220)에 형성된 장공(221)과 상기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 및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각각 형성된 핀홀(211, 11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110)와 상기 제1커넥터(210) 및 상기 제2커넥터(220)를 서로 연결 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형성된 상기 핀홀(211)은,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가 상기 제1커넥터(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형성된 핀홀(112)과 대응된다.
한편, 제2커넥터(220)에 형성된 장공(221)은, 제2커넥터(220)가 상기 결합공간(S)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커넥터(220)는 동력원의 핸드피스 장비와 결합되기 위하여,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결합공간(S)에서 그 길이방향 타단부가 노출되게끔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결합핀(230)은 장공(221)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된다.
반대로, 제2커넥터(220)가 핸드피스 장비와 결합된 후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의 결합공간(S)으로 그 길이방향 전체 부위가 수용될 수 있게끔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결합핀(230)은 장공(221)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된다.
위와 같이, 제2커넥터(220)는 결합공간(S)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핀(230)이 삽입되는 구멍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태의 장공(221)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에는 상기 제2커넥터(2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부재(212)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212)는, 제2커넥터(2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부와 상기 제1커넥터(210) 및 상기 제2커넥터(230)가 서로 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부(300)와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고, 아울러,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212)는, 상기 결합핀(230)이 상기 제2커넥터(220)에 형성된 장공(221)과 상기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 및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각각 형성된 핀홀(211, 11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부(30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도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12)와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240)는, 제1커넥터(210)의 외면에 마련되는바, 그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212)와 접촉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40)는, 제2커넥터(220)가 핸드피스 장비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220)로 전달되는 가압력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탄성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완충부재(24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결합공간(S)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완충부재(240)는,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커넥터(220)가 손잡이부(130)의 결합공간(S)으로 이동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제2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가압을 받아 압축된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부재(240)에 의하여 제2커넥터(220)가 핸드피스 장비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이나 충격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부, 제1커넥터(210) 및 후술할 가이드부(300)가 외력으로부터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간(S)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샤프트(110)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며, 폴리머 소재의 베어링 또는 금속재의 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300)는 테프론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강도, 경도, 내열성이 우수한 울템(ULTEM, Poly Ether lmid)과 같은 열가소성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참고로, 가이드부(300)가 금속재의 베어링으로 구현되었을 경우에는,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고속회전에 적합한 내구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실제 수술시에는 25000~30000rpm의 회전속도를 유지한 채 5~10분 정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직 제거장치(100)는 위생적 측면에서 한 번 사용후에 버리는 것을 권하고 있으나, 소독을 해서 재사용을 하는 경우에는 3~6회 정도만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였을 때, 가이드부(300)는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고가의 금속재 베어링으로 구현되는 것보다 플라스틱재의 베어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부(300)는 테프론이나 울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21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비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즉, 가이드부(300)와 고정부재(212)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만약, 가이드부(300)와 고정부재(212)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이루면, 샤프트(110)의 회전과 연동되어 제1커넥터(210)도 회전되기 때문에, 가이드부(300)가 고정부재(212)의 회전에 간섭되어 샤프트(110)의 회전력(110)을 떨어뜨린다. 또한, 가이드부(300)가 고정부재(212)의 회전력에 의해 쉽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이드부(300)와 제1커넥터(210)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에 형성된 고정부재(212)는 소정 간격 이격된 채 결합공간(S)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30)에는, 상기 결합공간(S)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관통구멍(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131)은, 결합공간(S)에 배치된 상기 제1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제1커넥터(210) 및 제2커넥터(220)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핀(230)의 삽입 위치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술자는 관통구멍(131)을 통하여 결합핀(230)의 삽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제2커넥터(220)의 장공(221)과 제1커넥터(210)의 핀홀(211) 및 샤프트(1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된 핀홀(112)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결합핀(230)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샤프트(110)가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결합핀(230)이 핀홀(211, 112) 및 장공(221)상에서 유동되어 서서히 이탈되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관통구멍(131)을 통하여 결합공간(S)의 내부에 배치된 결합핀(23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관(120)과 상기 손잡이부(130)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는 기밀부재(4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부재(400)는, 조직 제거장치(100)와 함께 신체의 내부로 투입되는 생리 식염수나 약물, 또는, 체액이 역류하여 손잡이부(130)의 결합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기밀부재(400)는 샤프트(110)가 통과될 수 구멍을 형성한 채 보호관(120)의 길이방향 타단과 손잡이부(13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착될 수 있다. 즉, 기밀부재(400)는, 환형의 형태를 가진 채로 손잡이부(130)의 단턱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기밀부재(400)는 샤프트(11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단턱부에 안착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식으로는, 샤프트(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채 단턱부에 안착될 수도 있다.
기밀부재(400)가 샤프트(110)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샤프트(110)와 비접촉된 상태로 마련되면, 샤프트(110)와 기밀부재(4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생리 식염수나 약물 또는 체액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밀부재(400)와 샤프트(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채 손잡이부(13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밀부재(400)는 실리콘재 오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기밀부재(400)는, 샤프트(110)가 고속으로 회전될 시에, 샤프트(110)의 회전으로 인한 손잡이부(130)의 떨림, 진동을 억제하고, 더불어, 손잡이부(130)에서 발생되는 소음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지지부재(112)와 가이드부(300) 및 기밀부재(400)가 서로 협력하여 샤프트(110)와 조직 제거부재(111) 및 와이어 케이블(WC)이 동식축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므로, 핸드피스 장비에서 제공되는 모터의 회전력으로부터 손잡이부(130)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시술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상기 보호관(12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마련되어 조직 제거부재(111)의 일부 부위를 덮는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00)는, 보호관(120)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500)는, 보호관(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공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직 제거부재(111)의 일부 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반원의 단면을 가지는 지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부(500)는, 수술시 절삭되지 않아야 할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신경조직과 근접한 조직 또는 뼈를 제거해야 할 경우, 상기 신경조직을 커버하여 조직 제거부재(111)가 신경조직과 닿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척추뼈 사이의 공간에는 신경과 혈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므로, 커버부(500)가 없다면 수술 중에 신경손상을 유발하거나 혈관을 터뜨릴 수 있다.
또한, 커버부(500)는, 시술자가 조직 제거부재(111)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시술자의 시야에 방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부(500)는 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조직 제거장치 110 : 샤프트
111 : 조직 제거부재 112 : 지지부재
120 : 보호관 130 : 손잡이부
131 : 관통구멍 200 : 결합부
210 : 제1커넥터 220 : 제2커넥터
230 : 결합핀 240 : 완충부재
300 : 가이드부 400 : 기밀부재
500 : 커버부

Claims (9)

  1. 길이방향 일측에 조직 제거부재가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직 제거장치로서,
    상기 조직 제거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이 배치되는 결합공간;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과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를 수용한 채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2커넥터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 및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각각 형성된 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형성된 상기 핀홀은,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형성된 핀홀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핀이 상기 제2커넥터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샤프트에 각각 형성된 핀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또한, 상기 제2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부와도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2커넥터의 길이방향 일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직 제거부재의 일부 부위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과 상기 손잡이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보호관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KR1020210040430A 2021-03-29 2021-03-29 조직 제거장치 KR10260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30A KR102607581B1 (ko) 2021-03-29 2021-03-29 조직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30A KR102607581B1 (ko) 2021-03-29 2021-03-29 조직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01A true KR20220135001A (ko) 2022-10-06
KR102607581B1 KR102607581B1 (ko) 2023-11-29

Family

ID=8359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30A KR102607581B1 (ko) 2021-03-29 2021-03-29 조직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5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218A (ja) * 1999-02-02 2003-08-05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クール 骨切片を採取する装置
KR20160000681A (ko) *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지스코프 의료용 스네어장치
JP2018510684A (ja) * 2015-03-04 2018-04-19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erit Medical Systems,Inc. 緩衝生検装置及びその使用法
KR200487712Y1 (ko) * 2018-06-19 2018-10-24 김주원 수술용 쉐이버
KR102123501B1 (ko) * 2017-11-14 2020-06-16 주식회사 엔도비전 다이아몬드 드릴버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뼈조직 제거장치
KR20200111087A (ko) * 2019-07-03 2020-09-28 맥스폴 주식회사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218A (ja) * 1999-02-02 2003-08-05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クール 骨切片を採取する装置
KR20160000681A (ko) *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지스코프 의료용 스네어장치
JP2018510684A (ja) * 2015-03-04 2018-04-19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erit Medical Systems,Inc. 緩衝生検装置及びその使用法
KR102123501B1 (ko) * 2017-11-14 2020-06-16 주식회사 엔도비전 다이아몬드 드릴버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뼈조직 제거장치
KR200487712Y1 (ko) * 2018-06-19 2018-10-24 김주원 수술용 쉐이버
KR20200111087A (ko) * 2019-07-03 2020-09-28 맥스폴 주식회사 플렉시블 조직박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581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0101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articulating region
JP7026645B2 (ja) 凝血塊の排出及び視覚化装置及び使用方法
JP4109662B2 (ja) 内視鏡
AU612956B2 (en) Atherectomy cutter with radially projecting blade
US6699180B2 (en) Endoscopic hood
JP4363719B2 (ja) 超音波ガイド下穿刺システム装置
US11419614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bended shaft
JP4936828B2 (ja) 穿刺アダプタ、及び、超音波プローブ
CA21603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scopic diagnostics and therapy
US20110098709A1 (en) Mechanical cavity-creation surgical device and methods and kits for using such devices
EP3400891B1 (en) Surgical system
EP3281613A2 (en) Small-gauge microsurgical instruments for use in ophthalmic or vitreoretinal surgery
JP2001104315A5 (ko)
KR20120101676A (ko)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JP4249064B2 (ja) 内視鏡
JP7186595B2 (ja) プローブアプリケータ
JP4468664B2 (ja) 穿刺針
KR20220135001A (ko) 조직 제거장치
US20180296242A1 (en) Surgery system and endoscope
WO2019225103A1 (ja) 挿入装置
JP3518905B2 (ja) 体腔内超音波プローブ
US8336150B2 (en) Treatment tool
JP2009268753A (ja) 内視鏡用処置具
EP1850768B1 (en) Curved trocar for thoracoscopy
CN111035431A (zh) 内窥镜系统、环锯组件和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