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676A -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676A
KR20120101676A KR1020127014491A KR20127014491A KR20120101676A KR 20120101676 A KR20120101676 A KR 20120101676A KR 1020127014491 A KR1020127014491 A KR 1020127014491A KR 20127014491 A KR20127014491 A KR 20127014491A KR 20120101676 A KR20120101676 A KR 2012010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endoscope
adapter
distal e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엘. 마크
브라이언 시. 도허티
차드 라마르
Original Assignee
니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니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0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8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원은 내시경 내에 배치되는 의료기구의 일부분을 관심부위에 적당히 위치시키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본원은 2010년 11월 6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258,922호를 우선권으로 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고로 본원에 기재하였다.
본원은 수술장치를 환자의 몸 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수술용 어댑터(surgical adapter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시경을 통해 수술장치를 전달(deliver)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수술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수술은 개방식 수술작업(open surgical procedures)과 비교할 때 주변 조직(tissue)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키면서 수술을 수행하게 한다.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1개의 작업채널(working channel)을 포함하여 수술 부위(surgical site)로 각종 의료장치가 삽입 및 전개(deploy)되게 한다. 내시경은 또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수술 부위의 시각화도 제공한다.
일단 원하는 수술 부위의 위치에 도달했으면, 수술 기구가 작업채널을 통해 삽입되며 시각화된 수술 부위에서 작업채널의 말단부로부터 내밀어 진다. 예를 들어, 1예의 장치에서는 수술 컷팅(cutting)장치가 도입되어 수술 부위로부터 조직 샘플을 절제(excise)한다. 그런 수술 컷팅기구는 일반적으로 기구의 컷팅부분에 회전 또는 왕복(또는 회전왕복) 동작을 제공하는 핸드피스(handpiece)로의 연결을 필요로 한다. 잘라내는 작업이 수행되면, 조직은 일반적으로 컷팅기구의 마우스(mouth)를 통해 인출되고, 잘라내어져, 수술 부위로부터 제거된다.
안타깝게도, 수술작업 동안, 핸드피스는 외과의사에 의해 끊임없이 제어되어 내시경의 작업채널을 지나는 기구의 신장이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술 컷팅장치의 말단부가 내시경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실상, 수술 컷팅장치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외과의사는 계속적으로 내시경 및 수술 컷팅장치를 모두 조작해야 하며, 외과의사의 손과 눈을 함께 사용하는 능력에 의존하여, 수술 컷팅기구의 적절한 위치를 확보하고, 부주의로 인해 관심구역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구역 안으로 너무 깊숙하게 이동시키는 선택을 방지함으로써, 주변 조직이나 구조에 잘못된 손상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기구의 이런 계속적인 제어는 외과의사의 피로의 원인이 되어, 수술작업 동안 정확하게 수술 컷팅기구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내시경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한, 내시경 검사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선택적으로 제거할 손상부분(lesion)을 타겟으로 정하도록 수술 부위 내에서 의료장치의 깊이를 정확히 조정할 필요가 때때로 있다. 이런 필요에 따른 목적으로 컷팅요소는 정확히 손상부분에 인접하여 위치시켜야 한다. 종래의 내시경이 작업채널을 통한 수술 컷팅장치의 삽입을 허용하는 것이지만, 그들은 내시경과 수술 컷팅장치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유지하는 일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손과 눈을 함께 사용하는 양호한 능력에 끊임없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는 수술 컷팅장치가 내시경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수술용 어댑터를 필요로 한다. 또한, 환자의 몸 안에 본원의 장치를 위치설정하고, 작업채널로부터 장치를 제거하고, 원하는 위치로 작업채널을 통해 장치를 재삽입하는 조정 및 고정을 편리하게 하는 수술용 어댑터가 필요하다.
도1은 1예의 내시경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A는 도1의 내시경과 함께 사용하는 투관침(trocar)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B는 도2A의 투관침의 말단 팁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1예의 수술 컷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내시경, 투관침, 수술 컷팅장치를 포함하는 수술 시스템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5는 수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1예의 수술용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수술용 어댑터의 분해도이다.
도7은 수술 컷팅장치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서, 도5의 수술용 어댑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8은 수술 서브-조립체를 형성하게 연결되어 작동하는 수술 컷팅장치를 가진 도5의 수술용 어댑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9는 서브-조립체가 제1형식의 내시경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서, 도8의 수술 서브-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내시경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도8의 연결된 수술 서브-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원형 부분(11)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수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수술용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수술용 어댑터의 분해도이다.
도14는 수술 컷팅장치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었을 때 도12의 수술용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15는 수술 서브-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수술 컷팅장치를 가진 도12의 수술용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 및 도2의 내시경과 투관침이 함께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도15의 수술 서브-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17은 도1 및 도2의 내시경과 투관침이 함께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도15의 연결된 수술용 서브-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18은 도17의 원형 부분(18)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도5의 수술용 어댑터와 함께 사용하는 커넥터 어댑터와, 내시경과, 수술 컷팅장치를 포함하는 수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0은 도19의 원형 부분(20)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21은 도19에 도시된 수술 시스템에 나타낸 커넥터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22는 도19에 도시된 내시경에 커넥터 어댑터가 고정된 경우의 상부 평면 사시도이다.
도23은 내시경에 사용하는 퍼널 부착구(funnel attachment)의 사시도이다.
도24는 내시경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도23의 퍼널 부착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25는 수술 컷팅장치의 작업채널이 그 안에 삽입된 상태로서, 내시경에 부착된 도23의 퍼널 부착구의 측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원의 시스템과 방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몇몇 가능한 해결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의 척도는 필수적이지 않은 것이고, 어떤 특징부는 본원의 설명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확대, 제거, 또는 부분적 구분이 된 것이다. 또한, 다음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구성과 그에 따른 설명인 것이며, 그 기술 내용만으로 본원의 청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척추와 뇌 조직을 포함하는 신경외과 용도에 적합할 수 있는 외과 장치에 사용하는 수술용 어댑터를 포함하는 수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수술 시스템은 외과의사가 수술 부위 내에서의 수술장치의 위치를 제어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조직을 잘라내는 작업을 하는 동안 주변 조직에 충격과 더불어 조직을 잘라내는 범위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내시경은 환자의 몸 안에서 관심있는 여러 구역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된다. 도1은 제1예의 내시경(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내시경(300)은 하우징(301), 아이-피스(eye-piece)(302), 광섬유 광케이블 커넥터(304), 및 샤프트(306)를 포함한다. 샤프트(306)는 하우징(301)과 말단부(310)에 배치되어 연결된 기저근접(proximal) 단부(308)에 의해 한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310)는 기저근접 단부(308)로부터 떨어져 있다. 내시경(300)은 말단부(310)가 수술 부위에 삽입되었을 때 사용자가 아이-피스(302)를 통해 관심 기저근접 말단부(310)의 수술구역을 볼 수 있게 형성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샤프트(306)는 수술구역에 광섬유 커넥터(304)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전송하기 위한 도관(분리하여 도시되지 않음)도 포함한다. 샤프트(306)는 수술구역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는 렌즈(분리하여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피스(302)는 하우징(301)에 연결된다. 아이-피스(302)도 카메라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카메라에 연결되어 내시경(300)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를 화면 모니터에서 원격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도2A 및 도2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수술 작업에서 내시경(300)의 사용이 편리하게 투관침(307)도 제공된다. 투관침(307)은 폐쇄식 수술작업(closed surgical procedures)에서 특히 유용하다. 투관침(307)은 투관침 몸체(314)와 투관침 샤프트(312)로 구성된다. 투관침(307)은 투관침 몸체(314)에 형성된 기부근접 개구를 가진 기부근접 단부(316)와, 샤프트(312)의 말단부(318)에 의해 한정된다. 샤프트(312)는 그 내부에 1개 이상의 채널을 한정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2)는 팁 말단부 면(322)에서 끝나는 다수개의 채널(324, 326, 328, 330)을 가질 수 있다. 1실시예에서, 작업채널(324)은 수술 컷팅장치(440)의 외부 캐뉼러(444)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추가로 상세히 후술함). 채널(326)은 내시경 샤프트(306)를 수용하는 크기이다. 채널(328)은 세척유체(irrigation fluid)가 세척 도관(320)으로부터 수술 부위로 바로 향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세척채널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채널(330)은 수술 부위의 유체 압력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는 릴리프(relief) 채널로서 형성될 수 있다. 폐쇄식 수술작업 동안에 세척유체가 수술 부위로 흘러들어가 수술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도3은 1예의 수술 컷팅장치(440)를 나타내며, 그 전체 기술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본원의 출원인이 공동 출원한 미국 특허출원번호 12/389,447호에 게시된 것이다. 수술 컷팅장치(440)는 핸드피스(442) 및, 외부 캐뉼러(444)와 내부 캐뉼러(도시되지 않음)를 가진 컷팅요소를 포함한다. 컷팅요소의 말단부(447)는 환자의 몸 안으로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1예의 구조에서, 핸드피스(442)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드피스(442)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핸드피스(442)는 또한 기부근접 섹션(446)과 말단부 섹션(448)으로 구성된 하부 하우징(450)도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 섹션(455)은 말단부 섹션(448)에 배치된 캠 하우징에 연결된다. 상부 하우징(452)도 제공된다. 컷팅요소는 상부 하우징(452)에 장착되며, 조직 컬렉터(collector)(458)로 유체가 흐르게 연결된다. 1예의 배치에서, 조직 컬렉터(458)는 상부 하우징(452)에 직접적인 작동을 할 수 있게 연결된다. 택일적으로, 조직 컬렉터(458)는 원격으로 적절한 튜빙에 의해 컷팅요소에 연결된다. 진공 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조직 컬렉터(458)의 기부근접 단부에 연결되어 조직이 컷팅요소로 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잘라낸 조직을 조직 컬렉터(458)로 전달하기도 한다. 핸드피스(442)에 대해 외부 캐뉼러(444)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다이얼(460)도 상부 하우징(452)에 장착된다.
특정 예에서, 조직 컷팅장치(440)에 이미징 장치가 조합되어, 예를 들어 환자의 신경 시스템과 관련된 조직과 같은 타겟 조직을 동시적으로 영상작업 및 컷팅작업을 할 수 있는 수술 시스템(303)을 형성한다. 조립체(303)가 효과적으로 단일 통합장치(integral device)에 영상 및 컷팅 작업을 하는 기구를 모두 조합시킨 것이기 때문에, 수술 접근로(surgical access path)는 피부를 관통하는 폐쇄식 수술작업을 수행하는데 특히 이점이 있다.
도4는 1예의 수술 시스템(303)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술 시스템(303)은 수술 컷팅장치(440)와 같은 수술 컷팅장치와, 투관침(307), 및 내시경(300)과 같은 내시경을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300)은 내시경 채널(326)(도2B에 가장 잘 도시됨)을 통하는 투관침(307)을 통해 삽입되어, 내시경 말단부(310)가 투관침 샤프트 말단부 팁 면(322)에서 투관침(307)을 통해 나가거나, 동일한 면 높이이거나, 또는 투관침 샤프트 말단부 팁 면(322)에서 투관침(307)으로부터 돌출된다. 수술 컷팅장치(440)는 투관침(307)에 연결되어 컷팅요소의 외부 캐뉼러(444)가 투관침 몸체(314)를 통하고 투관침 샤프트(312)의 작업채널(324)을 통해 개방된 기저근접 단부(316)에 삽입된다. 수술 컷팅장치(440)의 컷팅요소의 말단부(447)는 투관침 샤프트 말단부 팁 면(322)에서 투관침(307)의 샤프트 말단부(318)를 통해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지만, 도4의 수술 시스템(303)에서는 조직 컷팅장치(440)가 내시경 하우징(301)에 인접한 외부 캐뉼러(444)의 기부근접 부분에 배치된다. 내시경 하우징(301)의 기저근접 단부(319)는 수술 컷팅장치 핸드피스(442)의 전방 하우징(455)의 말단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수술용 조립체(303)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접근로가 먼저 발생되며 및/또는 타겟 조직에 개방식 수술작업 또는 폐쇄식 수술작업을 사용하여 접근된다. 그러나, 수술용 조립체(303)는 특히 폐쇄식 수술작업에 적합한 것이다. 1예에서, 외과의사는 한쪽 눈을 아이-피스(302)에 대고 그리고 타겟 조직에 근접하여 말단부 투관침 팁(318)이 위치하게 투관침 샤프트(312)를 조작한다. 다른 1예에서는 카메라가 아이-피스(302)에 부착되며, 외과의사는 카메라에 연결된 모니터의 이미지를 본다. 이때, 장치(440)에 적용되는 진공 레벨은 부착된 수술 콘솔(console)에 패널 컨트롤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1방법에서는 장치(440)가 내시경(300), 투관침(307), 수술 컷팅장치(440)의 동시적인 조작을 할 수 있게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었다. 다양한 다른 파지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1예로, 수술 컷팅장치(440)는 한 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위치한 말단부 하우징 섹션(448)과 검지의 기초부와 엄지의 기초부 사이에 위치한 기부근접 하우징 섹션(446)으로 필기구처럼 유지된다. 다른 예에서는 엄지가 말단부 하우징 섹션(448)의 1측에 위치하고, 검지는 엄지와 검지의 기초부 사이에 기부근접 하우징 섹션(446)을 가진 상부 하우징(452)의 정상에 위치한다. 또 다른 예에서는 기부근접 하우징 섹션(446)이 기부근접-하우징 부분(442)에 인접하여 위치한 엄지로 파지된다.
선택된 손과 타겟 조직의 위치에 대한 외과의사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 캐뉼러(444)를 자기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타겟 조직에 바로 인접하여 외부 캐뉼러 개구(449)가 향하게 다이얼(46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수술 컷팅장치(440)는 외부 캐뉼러(444)가 회전하면 내부 캐뉼러도 외부 캐뉼러(444)와 내부 캐뉼러 사이의 고정된 각도방향을 유지하게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일단 외부 캐뉼러 개구(449)가 원하는 위치에 놓였으면, 수술 컷팅장치(440)의 모터를 작동시킨다. 1예로 외과의사는 아이-피스(302)를 통해 타겟을 보고 다양한 수준의 진공에 대한 조직의 반응(예, 견인)을 시각화하여 원하는 수준을 선택한다.
진공을 적용하여서, 투관침 말단부(318)에 최근접한 타겟 조직이 외부 캐뉼러 개구(449)안으로 흡입된다. 필요에 따라, 식염수와 같은 세척유체를 세척 도관(320)을 통해(도2B 참조) 타겟 조직의 구역에 공급할 수 있다.
내시경(300)은 외과의사가 아이-피스(302)를 통해 타겟 조직을 볼 수 있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도 내시경(300)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볼 수 있도록 아이-피스(302)에 부착된 카메라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킬 수 있다. 1예에 따라 외과의사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의 타겟 조직을 보고, 수술 시스템(303)을 조작하여 조직을 잘라낸다.
특정 예에서, 수술장치(440)는 그 외부 캐뉼러(444)가 공지된 산업 표준 크기의 투관침으로 작업채널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작업채널(324)은 8mm 미만, 양호하게는 6mm 미만, 더욱 양호하게는 4mm 미만, 가장 양호하게는 약 2mm 정도의 내경을 갖는다. 그러나, 그것은 2mm보다 많이 작은 내경을 가진 작업채널(324)을 포함하는 다른 기구일 수도 있다. 외부 캐뉼러(444)도 또한 외부 캐뉼러(444)가 작업채널(324)에 활주식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외경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외부 캐뉼러(444)는 적어도 알려진 작업채널의 길이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외부 캐뉼러(444)의 길이는 적어도 약 6인치이며, 양호하게는 적어도 약 8인치이며, 보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약 10인치이며, 더욱 양호하게는 적어도 약 12인치이다.
수술용 조립체(303)는 여러 수술작업에서 유용하지만, 특히 폐쇄식 수술작업에서 유익한 것이다. 1예의 방법에서, 수술용 조립체(303)는 두뇌의 3째 뇌실에 폐쇄식 피부관통 조직 컷팅 수술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작업은 3째 뇌실의 종양과 세포막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뇌척수는 3째 뇌실을 통해 척추 안으로 순환된다. 어떤 환자에게는 혈관 폐색(occlusions)이 3째 뇌실에 형성되어 유체의 순환을 막을 수 있다. 수술용 조립체(303)는 그런 폐색을 제거하여 혈액 순환을 회복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수술용 조립체가 특히 적합한 다른 폐쇄식 수술작업에는 시상하부(hypothalamus)의 종양 제거가 포함된다.
도4의 수술 시스템(303)은 수술장치와 작업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는 내시경(300)에 수술 컷팅장치(440)를 적절히 고정시키는 메커니즘이 없다. 그래서,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는 투관침(307)의 샤프트(312)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의사는 투관침(307)과 수술 컷팅장치(440)의 조작을 확실하게 하여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의 적당한 배치를 보장하여서, 말단부(447)가 관심구역으로부터 잘못하여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관심구역 안으로 지나치게 깊게 이동하여 주위 조직과 구조에 잘못된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특별히 도5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수술 컷팅장치(440)를 택일적인 내시경(350)의 형상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수술용 어댑터(50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수술용 어댑터(500)는 연결부분(502)과, 하우징 부분(504) 및 부착 메커니즘(506)을 포함한다. 1예의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504)은 스냅-피트(snap-fit) 장치와 같이 함께 끼워지는 제1부분(504a)과 제2부분(504b)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부분(504)은 전진(advancing) 메커니즘(508)과, 기어부재(509) 및 트러스트 와셔 또는 스프링부재(51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이얼부재(512)는 부분적으로 하우징 부분(504)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부재(514)는 부분적으로 하우징 부분(504)의 말단부(516)의 내부에 수용된다.
기어부재(509)는 하우징 부분(50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이얼부재(512)에 장착된 기어 치부(teeth)(520)와 맞물리는 기어 치부(518)를 포함한다. 채널(522)은 기어부재(509)를 통해 형성된다. 전진 메커니즘(508)의 기저근접 단부(524)는 채널(522)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전진 메커니즘(508)은 부가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그 외부면에 형성된 스레드(526)와 수용 채널(528)을 포함한다.
부착 메커니즘(506)의 기부근접 단부(530)는 샤프트부재(514)의 말단부(532)에 고정된다. 샤프트부재(514)는 적어도 1개의 슬롯부재(534)를 부가로 포함하며, 하우징 부분(504)에서 돌출된 탭부재(536)(예를 들어, 제1부분(504a)에 장착하여 나타냄)가 그 안으로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다른 예의 구성에서, 샤프트부재(514)는 다수개의 대응 탭부재(536)와 맞물리는 많은 슬롯부재(534)를 포함할 수 있다. 1예의 구조에서, 탭부재(536)는 하우징 부분(504)의 내부에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하우징 부분(504) 상의 탭부재(536)에 대해서는 여러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4)에 샤프트부재(514)를 키(key) 고정시키는 다른 형상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스레드(526)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기술구성으로서, 샤프트부재(514)의 내부면에 형성된 스레드와 작동가능하게 계합된다. 부착 메커니즘(506)은 추가로 샤프트부재(538)와 캡부재(540)를 포함한다. 샤프트부재(538)는 그것을 관통하는 통로(539)를 한정한다.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수술용 어댑터(5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도3에 가장 잘 도시됨)가 수술용 어댑터(50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가 연결부분(502)의 상부부분(542) 안으로 전진 메커니즘의 수용 채널(528) 내에 삽입되며, 부착 메커니즘(506)을 통해 전진한다. 상부부분(542)은 추가로 마찰 계합을 위해 상부 하우징(452)의 말단부(462)를 수용하는 장착 홈(groove)을 포함한다. 연결부분(502)의 저부부분(544)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 계합을 위해 하부 하우징(450)의 말단부(451)를 수용하는 장착 홈을 포함한다. 1예의 실시예에서, 수술용 어댑터(500)를 수술 컷팅장치(440)에 조립하는 일은 장치를 포장하여 배송하기에 앞서 공장에서 수행된다. 추가로, 수술 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되게 말단부(451)를 장착 홈에 고정되게 연결할 수 있다.
일단 고정되었으면, 수술 컷팅장치(440)의 컷팅요소의 말단부(447)가 내시경(300')의 기저근접 단부(446')에 수용된다. 1실시예에서, 부착 메커니즘(506)은 내시경(300')의 일부분(447)과 고정되게 계합하여, 조직 컷팅장치(440)를 내시경(30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착 메커니즘(506)은 기저근접 단부(446')의 주위에 배치되어 내시경 수용부분(540)의 내부에 기저근접 단부(446')를 수용한다. 장착 홈부재(538)는 내시경(300')의 부분(447) 내에 수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1면에 따라, 말단부(447)가 내시경(300')의 말단부로부터 외향하여 신장되는 범위는 외과의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이얼부재(512)를 제1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내시경(300')의 말단부에 대해 수술 컷팅장치(440)의 컷팅요소의 말단부(447)를 전진시킨다. 다이얼부재(512)는 제2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내시경(300')의 기저근접 단부(446')쪽으로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이얼부재(512)의 기어 치부(gear teeth)(520)가 기어부재(509)의 기어 치부(518)와 맞물려 있어서, 다이얼부재(512)가 회전하면 기어부재(509)도 회전한다. 전진 메커니즘(508)의 기저근접 단부(524)가 기어부재(509)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기어부재(509)가 회전하면, 전진 메커니즘(508)도 회전한다. 수용 채널(528)은 외부 캐뉼러(444)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전진 메커니즘(508)의 회전은 샤프트부재(514)가 탭부재(536)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 컷팅요소의 말단부(447)가 효과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술용 어댑터(500)가 수술 컷팅장치(440)를 내시경(300')에 고정하기 때문에, 외과의사는 외부 캐뉼러(444)의 말단부(447)의 신장범위를 양호하게 제어하여 안전하게, 더 고정적이고, 더 안정적이고, 더 정확한 배치의 컷팅 메커니즘이 되게 한다.
도12 내지 도18은 수술용 어댑터(6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술용 어댑터(600)는 연결부분(602)과, 하우징 부분(604) 및 부착 메커니즘(606)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수술용 어댑터(500)와 유사하다. 1예의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604)은 스냅-피트 장치와 같이 함께 끼워지는 제1부분(604a)과 제2부분(604b)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부분(604)은 전진 메커니즘(608)과, 기어부재(609) 및 웨이브(wave) 와셔 또는 스프링부재(61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이얼부재(612)는 부분적으로 하우징 부분(604)의 내부에 수용되며 그곳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수술용 어댑터(500)와 관련하여 상술된 기술내용과 유사하게, 샤프트부재(614)는 부분적으로 하우징 부분(604)의 말단부(616)의 내부에 수용된다.
기어부재(609)는 하우징 부분(60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이얼부재(612)에 장착된 기어 치부(620)와 맞물리는 기어 치부(618)를 포함한다. 채널(622)은 기어부재(609)를 관통해 형성된다. 전진 메커니즘(608)의 기저근접 단부(624)는 채널(622)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전진 메커니즘(608)은 부가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외부 면에 형성된 스레드(626)와 수용채널(628)을 포함한다.
부착 메커니즘(606)은 샤프트부재(614)의 말단부(532)에 고정된다. 샤프트부재(614)는 적어도 1개의 슬롯부재(634)를 부가로 포함하며, 하우징 부분(604)에서 돌출된 탭부재(636)가 그 안으로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스레드(526)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기술구성으로서, 샤프트부재(614)의 내부 면에 형성된 스레드와 작동가능하게 계합된다. 부착 메커니즘(606)은 캐뉼러 수용부분(639)과 내시경 수용부분(640)을 가진 장착 홈부재(638)를 포함한다. 유지부재(retaining member)(641)는 이하에서 상세히 추가 설명되는 부착 메커니즘(606)과 선택적으로 계합할 수 있다. 잠금 와셔(643)도 포함할 수 있다.
도14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수술용 어댑터(6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도3에 가장 잘 도시됨)가 수술용 어댑터(60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술 컷팅장치(440)의 말단부(447)가 연결부분(602)의 상부부분(642) 안으로 수용채널(628) 내에 삽입되며, 부착 메커니즘(606)의 캐뉼러 수용부분(639)을 통해 전진한다. 상부부분(642)은 마찰 계합을 위해 상부 하우징(452)의 말단부(462)를 수용하는 장착 홈을 포함한다. 연결부분(602)의 저부부분(644)도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 계합을 위해 하부 하우징(450)의 말단부(451)를 수용하는 장착 홈을 포함한다. 1예의 실시예에서, 수술용 어댑터(600)를 수술 컷팅장치(440)에 조립하는 일은 장치를 포장하여 배송하기에 앞서 공장에서 수행된다.
일단 고정되었으면, 외부 캐뉼러(44)(및 그곳에 배치된 내부 캐뉼러)의 말단부(447)가 내시경(307)의 기저근접 단부(316)에 수용된다. 1실시예에서, 부착 메커니즘(606)은 내시경(300)의 일부분과 고정되게 계합하여, 수술 컷팅장치(440)를 내시경(30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시경 수용부분(640)은 내시경(300)의 외부면과 계합되는 크기를 가지며, 캐뉼러 수용부분(639)을 개방 상태가 되게 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업채널(324)과는 정렬되어있다. 일단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었으면, 고정 메카니즘(641)이 작동하여 부착 메카니즘(606)을 내시경(300)에 마찰식으로 부착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300)에는 투관침(307)도 부착된다. 따라서, 조직 컷팅장치(40)도 투관침(307)에 대해 고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1면에 따라, 말단부(447)가 투관침(307)의 말단부 면(322)으로부터 외향하여 신장되는 범위는 외과의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이얼부재(612)를 제1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투관침(307)의 말단부 면(322)에 대해 수술 컷팅장치(440)의 외부 캐뉼러(444)의 말단부(447)를 전진시킨다. 다이얼부재(612)는 제2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투관침(307)의 외부 캐뉼러(444)의 말단부(447)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이얼부재(612)의 기어 치부(620)가 기어 치부(618)와 맞물려서, 다이얼부재(612)가 회전하면 기어부재(609)도 회전한다. 전진 메커니즘(608)의 기저근방 단부(624)가 기어 메카니즘(609)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기어 메카니즘(609)이 회전하면, 전진 메커니즘(608)도 회전한다. 수용채널(628)은 외부 캐뉼러(444)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전진 메커니즘(608)의 회전은 샤프트부재(614)가 탭부재(636)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 외부 캐뉼러(444)의 말단부(447)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킨다.
수술용 어댑터(600)가 수술 컷팅장치(440)를 내시경(300)에 고정하기 때문에, 외과의사는 외부 캐뉼러(444)의 말단부(447)의 신장범위를 양호하게 제어하여 안전하게, 더 고정적이고, 더 안정적이고, 더 정확한 배치의 컷팅 메커니즘이 되게 한다.
도19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수술 시스템(800)을 설명한다. 수술 시스템(800)은 내시경(300")과, 수술용 어댑터(500) 및 커넥터 어댑터(700)를 포함한다. 1예의 배치에서, 내시경(300")은 미국 캘리포니아 엘세군도에 소재한 더 칼 스톨즈 엔도스카피-아메리카 회사제인 LOTTA® 형식의 내시경이며, 추가로 기저근접 단부(446")를 포함한다.
커넥터 어댑터(700)는 샤프트부재(702)와, 기부근접 장착부재(704)와, 지지부재(706) 및 선택적 계합식 연결부재(708)를 포함한다. 밀봉부재(709)(도2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는 지지부재(706)에 고정된다. 각 연결부재(708)는 활성 힌지(living hinge)(710)에 의해 지지부재(706)에 작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커넥터 어댑터(700)는 현장의 사용자에 의하거나 내시경(300")의 제조자에 의한 내시경(300")에 대한 또는 장치 사용에 대한 어떤 영구적 개조의 필요가 없이, 내시경(300")의 다양한 장치 사용방법을 활용하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커넥터 어댑터(700)는 내시경(300")의 작업채널과 수술기구(예, 미국 인디애나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한 니코 회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NICO MYRIAD®)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부착가능한 밀봉 중간면(interface)을 제공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샤프트부재(702)는 지지부재(706)를 지지하게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작업채널(712)은 지지부재(706)와 샤프트부재(702)를 통해 신장된다. 장착부재(704)는 샤프트부재(702)의 기저근접 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1예의 구조에서, 장착부재(704)는 플랜지부재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장착부재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나사 계합을 포함하는 다른 장착요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어댑터(700)는 추가로 연결부재(708)를 포함한다. 1예의 배치에서, 연결부재(708)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1예의 배치에서, 커넥팅 어댑터(700)는 적어도 2개의 연결부재(708a, 708b)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708a)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밑으로 누를 수 있는 잠금 탭(714)이 형성된다. 제2연결부재(708b)에는 대응하는 갯수의 수용 홈(716)이 형성된다.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어댑터(700)가 수술 시스템에 장착되면, 잠금 탭(714)이 대응하는 수용 홈(716)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보유할 수 있게 형성된다.
수술 시, 수술용 어댑터(500)는 도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술 컷팅 기구에 부착된다. 다음, 커넥터 어댑터(700)의 장착부재(704)가 작업채널(712) 내에 샤프트부재(538)(도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가 수용되게 수술용 어댑터(500)의 캡부재(540)에 연결된다. 장착부재(704)는 캡부재(540)에 형성된 대응하는 장착 기능부와 계합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캡부재(540)의 내부 면에는 그 안에 장착부분(704)을 고정하는 마찰부재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캡부재(540)와 장착부분(704)에는 나사식 부착을 할 수 있는 대응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장착부분(704)이 수술용 어댑터(500)에 고정되면, 커넥터 어댑터(700)가 내시경(300")의 기저근접 단부(446")와 계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709)는 기저근접 단부(446")와 계합한다. 밀봉부재(709)에도 샤프트부재(702)의 작업채널(71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관통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유체-기밀한(fluid-tight) 밀봉을 이루기에 적당한 밀봉재료로 구성된 밀봉부재(709)도, 내시경(300")의 기저근접 단부(446")에 대한 유입구 부분의 원주부와 적어도 같은 크기의 원주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봉부재(709)가 내시경(300")의 기부근접 단부(446")와 계합하는 쪽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연결부재(708a, 708b)는 지지부재(706)를 향하게 되어 연결부재(708a, 708b)가 도21 및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다. 즉, 제1 및 제2연결부재(708a, 708b)는 활성 힌지(710)에 대한 선회운동을 한다.
1예의 구성에서, 제1 및 제2연결부재(708a, 708b)가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도19 및 도20에 도시된 상태), 제1 및 제2연결부재(708a, 708b)에는 밀봉부재(709)와 짝을 이루는 장착면(718)이 각각에 형성된다. 연결부재(708a, 708b) 각각에는 또한 활성 힌지(710)로부터 각 연결부재(708a, 708b)의 외부면(722)까지 신징되는 경사진 접촉면(720)이 제공될 수도 있다. 경사진 접촉면(720)은 지지부재(706)의 어느 1측에 배치된 대응하는 경사진 접촉면(724)과 함께 작동하게 형성된다.
일단 밀봉부재(709)가 내시경(300")의 기저근접 단부(446")와 계합하면, 연결부재(708a, 708b)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운동하여 내시경(300")의 기저근접 단부(446")를 둘러싸고 짝을 이루게 된다. 다음, 잠금 탭(714)이 수용 홈(716)과 계합하여 연결부재(708a, 708b)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함께 결합되어, 내시경(300")에 커넥터 어댑터(700)를 고정한다. 의료작업이 완료되었으면, 선택적으로 잠금 탭(714)을 보유 홈(716)으로부터 구속을 해제하게 커넥터 어댑터(700)의 외부면(726)으로부터 외향하여 배치된 잠금 탭(714) 부분(도20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을 간단히 눌러서 커넥터 어댑터(700)를 내시경(300")으로부터 탈착시킨다.
도23 및 도24는 컷팅기구(440)와 같은 수술 컷팅기구로부터 투관침(307)의 작업채널(328) 안으로 컷팅요소의 말단부(447)가 지향(directing)하게 설계된 퍼널 부착구(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술작업 동안, 투관침(307)의 말단부가 환자의 몸 안에 위치했을 때, 외과의사는 아이-피스(302)를 통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통해 수술 부위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외과의사가 수술구역을 보면서, 외과의사는 또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blindly) 작업채널(328) 안으로 말단부(447)를 삽입시키는 일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방식은 흔히 외부 캐뉼러 또는 다른 수술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작업채널(328)의 개구를 배치하는 일에 많은 실망스런 결과를 초래하고, 효율 및 가치적인 면에서 수술 시간의 손해가 일어나게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퍼널 부착구(900)가 제공되었다. 퍼널 부착구(900)는 지향부분(902)과 레그(leg)부재(904)를 포함한다. 레그부재(904)는 내시경(300)의 하우징(301) 위에 끼워져 투관침(307)의 기저근접 단부에 대항하여 접하게 형성된다. 레그부재(904)로부터 신장되는 피트(feet)부재(906)는 하우징(301)의 저부면과 계합하여 그곳에 퍼널 부착구(900)를 고정시킨다.
퍼널 부착구(900)는 추가로 기부근접 측(908)과 말단부(910)에 의해 한정된다. 지향부분(902)은 지향 홈(914) 쪽으로 경사지는 깔때기 모양의 면(912)에 의해 한정된다. 퍼널 부착구(900)가 내시경(300)에 고정되면, 지향부분(902)이 투관침(307)의 작업채널(328)과 지향 홈(914)이 정렬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외과의사가 수술 구역을 볼 때, 깔때기 모양의 면(912)은 수술 컷팅기구(440)의 외부 캐뉼러(444)의 말단부(447)가 지향 홈(914) 안으로 향하게 작용하여, 외부 캐뉼러(444)가 작업채널(328) 내에 올바르게 배치되게 한다.
퍼널 부착구(900)가 수술용 어댑터(500, 600) 또는 커넥터 어댑터(700)에 사용한 것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퍼널 부착구(900)는 상기 모든 구성요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의 장치 및 방법은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원의 방법과 장치의 일부 실질적인 적용과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정하여 기술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기술은 당업자가 특별한 사용을 고려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상기 방법과 장치를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하게 개조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작동 원리와 방법은 특허법의 규정에 따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청구범위는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정신이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정하게 설명되고 나타낸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과 관련하여서가 아니고, 청구범위가 부여한 것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기술 및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정해져야 한다. 그리고, 추가 개량이 본원에 기술된 기술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시된 시스템과 방법은 그런 추가 개량의 예에 포함된다. 또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원에서 상반되게 특정하여 나타내지 않았으면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넓은 범위의 구조 및 통상적인 의미를 나타내게 사용된 것이다. 특별히, "1개", "상기" 등과 같이 단일 부분을 지칭하는 표현이 없으면 1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한다. 즉, 본원의 첨부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4)

  1. 내시경에 의료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수술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어댑터는:
    말단부 부착부분으로 형성된 하우징 부분과;
    상기 하우징 부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작동부재를 가진 전진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부 부착부분은 내시경의 기부근접 부분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술용 어댑터는 의료 기구의 일부분이 하우징 부분 내에 수용되어 전진 조립체와 작동가능하게 계합되어 전진 조립체가 내시경에 대해 의료기구의 말단부가 선택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말단부 부착부분은 기부근접 단부부재와 말단부 캡부재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말단부 캡부재는 내시경의 기부근접 단부와 선택적으로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부가로 그것을 관통해 신장하는 샤프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재는 의료장치의 일부분이 그것을 관통해 신장하는 통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 커넥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말단부 부착부분의 기저근접 단부부재는 일측 단부에서 샤프트 커넥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추가로 샤프트 커넥터의 몸체 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계합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계합 슬롯은 하우징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대응 탭부재를 수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진 조립체는 부가로 기어부재, 다이얼부재, 및 전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재는 제1방향으로 회전운동 하게 장착되고, 상기 다이얼부재는 기어부재와 계합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진 샤프트는 기어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조립체는 전진 조립체를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는 웨이브 스프링부재와 트러스트 와셔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전진 샤프트는 하우징 내에 고정 배치되는 샤프트 커넥터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8. 제1항 내지 재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단부 부착부분은 내시경의 기부근접 부분과 선택적으로 계합할 수 있는 장착 홈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장착 홈부재는 장치 수용부분과 내시경 수용부분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내시경 수용부분은 상기 장치 수용부분 밑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말단부 부착부분은 샤프트 커넥터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 커넥터는 부가로 샤프트 커넥터의 몸체 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계합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계합 슬롯은 하우징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대응 탭부재를 수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진 조립체는 부가로 기어부재와, 다이얼부재, 및 전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재는 제1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기 위해 장착되며, 상기 다이얼부재는 기어부재와 계합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진 샤프트는 기어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조립체는 부가로 전진 조립체를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는 웨이브 스프링부재와 트러스트 와셔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13. 의료장치를 내시경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커넥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댑터는:
    기부근접 단부와 말단부에 의해 한정되며 그것을 관통해 신장되는 통로를 가지며 의료장치의 일부분을 수용하게 형성된 샤프트부재와;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에 피벗작동 하게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샤프트부재의 말단부는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연결부재는 커넥터 어댑터를 내시경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내시경의 기부근접 부분을 수용하는 공동을 한정하게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댑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각각이, 지지부재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활성 힌지에 의해 지지부재에 선회운동 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댑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중 하나는 적어도 1개의 잠금 탭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는 대응 보유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탭은 내시경의 기부근접 단부의 일부분에 고정된 커넥터 어댑터에 대해 대응하는 수용 홈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댑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 연결부재는 부가로, 연결부재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운동 하였을 때, 지지부재의 말단부 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장착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댑터.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연결부재는 부가로, 활성 힌지에 인접하여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서 배치되는 접촉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댑터.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말단부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밀봉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댑터.
  19. 의료 기구의 일부분이 내시경 시스템으로 향하게 형성된 퍼널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퍼널 부착구는:
    지향부분과;
    1쌍의 레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향부분은 그곳에 형성된 지향 홈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원호 면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널 부착구.
  20. 제19항에 있어서, 레그부재에 고정된 피트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트부재는 내시경의 일부분에 레그부재를 마찰식으로 유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널 부착구.
  21.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향부분과, 1쌍의 레그부재를 가진 퍼널 부착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향부분은 그 곳에 형성된 지향 홈 쪽으로 경사진 원호 면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22.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향부분과, 1쌍의 레그부재를 가진 퍼널 부착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향부분은 그 곳에 형성된 지향 홈 쪽으로 경사진 원호 면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어댑터.
  23. 수술작업을 수행하게 형성된 시스템에서, 상기 시스템은 내시경과, 수술 컷팅장치, 및 수술 컷팅장치를 내시경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키게 형성된 청구항1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수술용 어댑터의 연결을 촉진하기 위하여 내시경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터 어댑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27014491A 2009-11-06 2010-11-08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KR20120101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92209P 2009-11-06 2009-11-06
US61/258,922 2009-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103A Division KR20150135533A (ko) 2009-11-06 2010-11-08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676A true KR20120101676A (ko) 2012-09-14

Family

ID=435300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103A KR20150135533A (ko) 2009-11-06 2010-11-08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KR1020127014491A KR20120101676A (ko) 2009-11-06 2010-11-08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103A KR20150135533A (ko) 2009-11-06 2010-11-08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144372B2 (ko)
EP (2) EP2498665B1 (ko)
JP (2) JP5771215B2 (ko)
KR (2) KR20150135533A (ko)
AU (1) AU2010314966B2 (ko)
BR (1) BR112012010372A2 (ko)
CA (1) CA2774469C (ko)
WO (1) WO2011057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0578B2 (en) * 2008-12-16 2018-09-25 Nico Corporation Tissue removal device with adjustable delivery sleeve for neurosurgical and spinal surgery applications
JP5771215B2 (ja) 2009-11-06 2015-08-26 ニコ・コーポレーション 内視鏡で使用するための外科手術アダプタ
DE102012008970B3 (de) * 2012-05-03 2013-06-27 Joimax Gmbh Chirurgische Werkzeugeinrichtung
WO2014126757A2 (en) * 2013-02-15 2014-08-21 Nico Corporation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US11547446B2 (en) 2014-01-13 2023-01-10 Trice Medical, Inc. Fully integrated, disposable tissue visualization device
WO2017161177A1 (en) 2016-03-17 2017-09-21 Trice Medical, Inc. Clot evacuation and visualiz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WO2019077609A1 (en) * 2017-10-19 2019-04-25 Evertsys Ltd. HOLLOW PROBE WITH SLEEVE
KR102196289B1 (ko) * 2019-02-01 2020-12-29 주식회사 케이메디시스 내시경 결합 장치
KR102212719B1 (ko) * 2019-06-04 2021-02-05 (주)비엠에이 내시경용 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1386B2 (ja) 1993-12-24 2004-10-2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穿刺針装置
DE59509138D1 (de) * 1994-07-11 2001-05-03 Storz Karl Gmbh & Co Kg Medizinisches instrument mit einem manipulator
JP3500228B2 (ja) * 1995-06-21 2004-02-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挿抜装置
US6679833B2 (en) * 1996-03-22 2004-01-20 Sdgi Holding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ercutaneous surgery
US6171234B1 (en) * 1998-09-25 2001-01-09 Scimed Life Systems, Inc. Imaging gore loading tool
US6213978B1 (en) * 1998-10-27 2001-04-10 Cherie A. Voyte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US8317689B1 (en) * 1999-09-13 2012-11-27 Visionscope Technologies Llc Miniature endoscope system
JP4578632B2 (ja) * 2000-07-05 2010-1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器具
US6981965B2 (en) * 2001-10-31 2006-01-03 Luther Research Partners Llc Universal passive protector for an IV catheter
JP4324758B2 (ja) * 2002-10-23 2009-09-02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の送液装置
US7637863B2 (en) * 2003-07-31 2009-12-29 Wilson-Cook Medical Inc. Wire guide holder
JP4472362B2 (ja) * 2004-01-16 2010-06-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20050272976A1 (en) * 2004-03-15 2005-12-08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insertion aiding device
EP1740257A1 (en) * 2004-04-09 2007-01-10 Cook Vascular Incorporated Modular hemostatic valve
US7828720B2 (en) * 2005-04-20 2010-11-09 Nico Corporation Surgical adapter
US7927271B2 (en) * 2006-05-17 2011-04-19 C.R. Bard, Inc. Endoscope tool coupling
WO2007138674A1 (ja) * 2006-05-30 2007-12-0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処置システム
DE202006012303U1 (de) * 2006-08-10 2006-10-12 Richard Wolf Gmbh Instrumentenführung
US20080064920A1 (en) * 2006-09-08 2008-03-13 Ethicon Endo-Surgery, Inc. Medical drive system for providing motion to at least a portion of a medical apparatus
US8758225B2 (en) 2007-07-26 2014-06-24 Biolitec Pharma Marketing Ltd Adapter for endoscopes and related method
EP2244625B1 (en) * 2008-02-05 2018-04-0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daptor for endoscopic orientation of an elongate medical device
JP5771215B2 (ja) 2009-11-06 2015-08-26 ニコ・コーポレーション 内視鏡で使用するための外科手術アダプタ
US9788707B2 (en) 2010-09-07 2017-10-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ultrasound fine needle aspiration device
US9295454B2 (en) * 2012-09-21 2016-03-29 Ko-Pen Wang Double lumen or double wire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histology needle (E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14966A1 (en) 2012-03-29
AU2010314966B2 (en) 2016-06-16
EP2498665A1 (en) 2012-09-19
CA2774469A1 (en) 2011-05-12
WO2011057193A1 (en) 2011-05-12
BR112012010372A2 (pt) 2017-08-08
EP3066975A1 (en) 2016-09-14
US20110112359A1 (en) 2011-05-12
EP2498665B1 (en) 2016-06-22
CA2774469C (en) 2019-03-05
JP2013509917A (ja) 2013-03-21
JP2015083163A (ja) 2015-04-30
US9144372B2 (en) 2015-09-29
JP5771215B2 (ja) 2015-08-26
JP5977810B2 (ja) 2016-08-24
US20150351615A1 (en) 2015-12-10
KR20150135533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676A (ko)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수술용 어댑터
JP7026645B2 (ja) 凝血塊の排出及び視覚化装置及び使用方法
ES2312920T3 (es) Dispositivo automatico de biopsia quirurgica que comprende aparato de control.
KR0151437B1 (ko) 척추 및 경막외 공간의 직접 가시화용 내시경
ES2232206T3 (es) Dispositivos para cirugia percutanea.
EP3391803B1 (en) Devices for reducing reflection-illuminated artifacts
JP5818438B2 (ja) 多数ポータルガイド
AU2016305010A1 (en) Fully integrated, disposable tissue visualization device
US20130237753A1 (en)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CN114712572A (zh) 一种神经外科用血肿抽吸设备
JP2022082516A (ja) 関節鏡医療器具及びアセンブリ
WO2014126757A2 (en)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AU2013206785B2 (en) 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CN111035431A (zh) 内窥镜系统、环锯组件和保护套
CN211834582U (zh) 内窥镜系统、环锯组件和保护套
JP3766508B2 (ja) 内視鏡装置
KR20220086331A (ko) 시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
JP2022082517A (ja) 関節鏡医療器具及び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