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483A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483A
KR20220134483A KR1020220037393A KR20220037393A KR20220134483A KR 20220134483 A KR20220134483 A KR 20220134483A KR 1020220037393 A KR1020220037393 A KR 1020220037393A KR 20220037393 A KR20220037393 A KR 20220037393A KR 20220134483 A KR20220134483 A KR 2022013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reactor
ethylene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섭
박희광
채성민
예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8/267,92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52074A1/en
Priority to PCT/KR2022/004251 priority patent/WO2022203463A1/ko
Publication of KR2022013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6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supported on a carrier, e.g. silica, MgCl2, polym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좁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 에틸렌 함량, 용융지수, 결정화 온도,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을 최적화함으로써,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PREPARED USING THE SAME}
본 발명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부직포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는 방직, 제직이나 편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계조작이나 열접착 등 기계, 화학처리로 섬유 집합체를 접착하거나 엉키게하여 만든 직물. 펠트, 수지접착시킨 부직포, 니들 펀치, 스펀 본드, 스펀 레이스, 엠보스 필름, 습식 부직포 등이 이에 속한다. 협의로는 랜덤(random)에 겹친 웹(web)과 섬유의 접점을 수지로 접착하여 심지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포라고도 하며 본드 패브릭(bonded fabric)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니들펀칭법, 케미칼본딩법, 서멀본딩법, 멜트블로운법, 스펀레이스법, 스테치본드법, 스펀본드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원료로 한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는 촉감, 유연성, 통기성, 단열성 등이 우수하여 필터, 포장재, 침구, 의류, 의료용품, 위생용품, 자동차 내장재, 건축 자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특유의 낮은 융점, 및 우수한 내화학성으로 인해 캘린더 본딩공법 또는 에어스루 본딩공법을 통해 서멀본드 부직포로 가공되며, 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용품 표면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지글러-나타 촉매로 제조되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달리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좁기 때문에 굵기가 가늘면서 균일한 섬유가 제조 가능하고, 이에 따라 강도가 우수한 저평량의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메탈로센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낮은 자일렌 용해도(xylene solubles)나 좁은 분자량 분포에 따른 저분자량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부직포 제조시 표면적으로 거친 촉감(feel)을 주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범용 지글러 나타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기반으로 유연한(soft) 느낌을 가미하기 위해,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이중 성분(Bi-Component) 가공 기술, 예컨대,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 포함 폴리올레핀(C3-POE)를 이용한 혼합 기술,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낮은 모듈러스를 갖는 폴리프로필렌(Low modulus polypropylene; LPP)를 이용한 혼합 기술,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terpolymer polypropylene; tPP)를 이용한 혼합 기술의 4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모두 폴리프로필렌에 추가적으로 이종의 수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 대비 유연한 느낌(또는 유연성)이 개선은 되나, 소프트니스 특성을 개선하는 정도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의 강도 저하 및 가공시 단사 발생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또한, 이러한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한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 제조시 우수한 강도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나, 유연성 개선 정도가 충분하지 않으며 기존의 지글러 나타계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이종 성분 가공 기술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 함유 폴리올레핀(C3-POE)을 이용한 혼합 기술로 제조한 제품 대비 소프트니스(Softness) 특성이 상대적으로 열세하여 거친 촉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에 메탈로센계 촉매를 이용하여,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부직포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특정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 반응기를 이용하여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부직포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분자량 분포(Mw/Mn)가 2.6 내지 3.2이고,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이 4.5 중량% 내지 8.0 중량%이고, 에틸렌의 함량이 1.0 중량% 내지 5.0 중량%이고, ASTM D 638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275 kg/cm2 내지 285 kg/cm2이고,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이 11500 kg/cm2 내지 12500 kg/cm2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이 11500 kg/cm2 내지 12500 kg/cm2 이고, 용융지수(MI2.16, ASTM D 1238, 230 ℃,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0 g/10min 내지 100 g/10min이고, 결정화 온도(Tc)는 95 ℃ 내지 115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반응기에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탄소,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이고,
M은 4족 전이금속이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이고,
R1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20 알킬로 치환된 C6-20 아릴이고,
R2 내지 R4 및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20 알킬, C2-20 알케닐, C1-20 알킬실릴, C1-20 실릴알킬, C1-20 알콕시실릴, C1-20 에테르, C1-20 실릴에테르, C1-20 알콕시,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C1-20 알킬이다.
이 때,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실리콘일 수 있고, R1, 및 R5는 각각 C3-6 분지쇄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일 수 있다. 또한, R9, 및 R10은 각각 C2-4 직쇄상 알킬일 수 있으며, 이 중에서 R9, 및 R10은 서로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2
.
상기 화학식 1-1의 구조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상기 제1 반응기는 루프 반응기이고, 상기 제2 반응기는 기체상 반응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반응기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은 7:3 내지 6:4의 중량비로 투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로 이루어진,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부직포의 평량이 72 g/m2 내지 76 g/m2인 조건 하에서, NWSP 090.3.R0 기준에 따른 핸들-오-미터(Handle-O-meter) 측정값이 24 g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이들의 조합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층 또는 요소가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 또는 요소가 직접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 또는 요소가 각 층 사이, 대상체, 기재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Mw/Mn)가 2.6 내지 3.2이고,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이 4.5 중량% 내지 8.0 중량%이고, 에틸렌의 함량이 1.0 중량% 내지 5.0 중량%이고, ASTM D 638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275 kg/cm2 내지 285 kg/cm2이고,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이 11500 kg/cm2 내지 12500 kg/cm2인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이 11500 kg/cm2 내지 12500 kg/cm2 이고, 용융지수(MI2.16, ASTM D 1238, 230 ℃,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0 g/10min 내지 100 g/10min이고, 결정화 온도(Tc)는 95 ℃ 내지 115 ℃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글러-나타 촉매로 제조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활성점이 여러 개 혼재하는 다 활성점 촉매(multi-site catalyst)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넓고 자일렌 가용분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공단량체의 조성 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원하는 물성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경우, 낮은 융점(Tm)과 좁은 분자량 분포로 부직포 제조시 연신 안정성 및 강도가 우수한 반면에 소프트니스(Softness)가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에틸렌이나 1-부텐 등과 함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부직포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나, 유연성 개선 정도가 충분하지 않다. 또, 기존의 지글러 나타계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이종 성분 가공 기술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 포함 폴리올레핀(C3-POE, 예컨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혼합 기술로 제조한 제품 대비 소프트니스(Softness) 특성이 상대적으로 열세하여 거친 촉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부직포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예의 연구하던 중, 지글러-나타 촉매 대신 이하 후술할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고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하는 제1 반응기와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이를 만족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며,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분자량 분포(Mw/Mn, MWD)가 약 2.6 내지 약 3.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가짐으로써 연신 안정성 및 강성이 증가되어 멀티 필라멘트용 또는 부직포용 섬유 제품 제조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Mw/Mn, MWD)가 약 2.6 내지 약 3.0, 약 2.6 내지 약 2.9, 또는 약 2.6 내지 약 2.8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을 각각 측정하고, 분자량 분포로서 수평균 분자량에 대한 중량평균 분자량의 비(Mw/Mn)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장치로는 Waters PL-GPC220 기기를 이용하고, Polymer Laboratories PLgel MIX-B 300mm 길이 칼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온도는 160 ℃이며, 1,2,4-트리클로로벤젠(1,2,4-Trichlorobenzene)을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고, 유속은 1 mL/min로 적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샘플은 각각 GPC 분석 기기 (PL-GP220)을 이용하여 BHT 0.0125% 포함된 트리클로로벤젠(1,2,4-Trichlorobenzene)에서 160 ℃, 10 시간 동안 녹여 전처리하고, 10 mg/10mL의 농도로 조제한 다음, 200 μL의 양으로 공급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 표준 시편을 이용하여 형성된 검정 곡선을 이용하여 Mw 및 Mn의 값을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폴리스티렌 표준 시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g/mol, 10000 g/mol, 30000 g/mol, 70000 g/mol, 200000 g/mol, 700000 g/mol, 2000000 g/mol, 4000000 g/mol, 10000000 g/mol의 9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이 4.5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 2.6 내지 약 3.2의 좁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약 4.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으로 최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자일렌 가용분은 전체 중합체 내 어택틱(atactic) 성분 및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한 조성의 제품의 경우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 즉, 전체 중합체 중 비결정성 중합체 함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러한 자일렌 가용분 함량을 최적화하여 적정 수준의 녹는 점과 기계적 물성의 발현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 함량을 최적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가공성 및 연신성이 개선되며 멀티 필라멘트용 또는 부직포 제품 제조시 우수한 웹 형성(web formation)이나 높은 강도 확보와 함께 우수한 소프트니스(softness)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 함량이 약 4.5 중량% 이상이며, 약 7.8 중량% 이하, 또는 약 7.5 중량% 이하, 또는 약 7.3 중량% 이하, 또는 약 7.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일렌 가용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자일렌 중에 용해시키고, 냉각 용액으로부터 불용성 부분을 결정화시켜 결정된 냉각 자일렌 중에 가용성인 중합체의 함량(중량%)으로, 자일렌 가용분은 낮은 입체 규칙성 즉, 비결정성 중합체 사슬을 함유한다. 이에 따라, 자일렌 가용분의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입체 규칙도 즉, 높은 결정성 중합체 ?t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이와 같이 낮은 결정성 중합체 함량을 가짐에 따라 부직포 제조시 우수한 부드러움(Softness)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자일렌 가용분 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분은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일렌 가용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샘플에 자일렌을 넣고, 130 ℃에서 1 시간 이상 가열하여 조성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20 ℃에서 1 시간 이상 냉각한 후 필터하여 고체상과 액체상을 분리한다. 이후 액체상을 130 ℃로 가열하여 자일렌 성분을 제거한 후 잔류하는 성분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8 중량%, 또는 약 1.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또는 약 1.8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1.9 중량% 내지 약 3.5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2 중량%, 또는 약 2.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2.2 중량% 내지 약 2.7 중량%의 함량으로 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후술되는 제1, 제2 반응기를 통과한 최종 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을 상술한 범위내로 형성시켜 포함함으로써, 이종의 공단량체가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주사슬 사이에 들어가며, 이렇게 얻어진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높은 분산성으로 상 분리가 크게 나타나지 않도록 포함되어, 최종 수지 조성물의 소프트니스 특성을 조절한다. 또한, 후술하는 특정 구조의 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높은 전환율로 중합에서도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며, 또 우수한 연신 안정성 (가공성) 및 소프트니스 특성과 함께 개선된 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서 에틸렌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로 포함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내 에틸렌 함량은,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5576에 따라 적외선흡수스펙트럼(FT-IR)을 사용하여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필름 혹은 필름 형태 시편을 FT-IR 장비의 마그네틱 홀더(magnetic holder)에 고정시킨 후, IR 흡수 스펙트럼에서 시편 두께를 반영하는 4800~3500 cm-1 피크의 높이와 에틸렌 성분이 나타나는 750~710 cm-1 피크의 면적을 각각 측정하여 계산한다. 즉,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557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을 표준 시편(Standard sample)의 각 피크 면적을 4800~3500 cm-1 피크 높이로 나눈 값을 플롯(Plot)하여 구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식에 대입하여 각각 에틸렌 함량을 각각 계산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내 에틸렌 함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할 시험예 1에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자량 분포 및 자일렌 가용분과 에틸렌 함량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인장강도와 굴곡탄성율을 최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STM D 638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Tensil Strength)가 275 kg/cm2 내지 285 kg/cm2이고,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이 11500 kg/cm2 내지 12500 kg/cm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STM D 638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276 kg/cm2 내지 284 kg/cm2, 또는 278 kg/cm2 내지 283 kg/cm2일 수 있으며,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이 11600 kg/cm2 내지 12400 kg/cm2, 또는 11800 kg/cm2 내지 12300 kg/cm2일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가 375 kg/cm2 내지 385 kg/cm2, 또는 376 kg/cm2 내지 384 kg/cm2, 또는 378 kg/cm2 내지 383 kg/cm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 에틸렌 함량, 및 인장강도와 굴곡탄성율을 동시에 최적화하여, 부직포 제조시 우수한 가공성 및 소프트니스 특성과 함께 높은 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1238에 따라 230 ℃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지수(MI2.16)가 약 10 g/10min 내지 약 100 g/10min이다. 이와 같이 용융 지수의 범위를 최적화함으로써 멀티 필라멘트용 또는 부직포용 섬유 제품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MI2.16)가 약 12 g/10min 이상, 또는 약 15 g/10min 이상, 또는 약 18 g/10min 이상, 또는 약 20 g/10min 이상, 또는 약 23 g/10min, 또는 약 25 g/10min 이상이면서, 약 85 g/10min 이하, 또는 약 60 g/10min 이하, 또는 약 45 g/10min 이하, 또는 약 40 g/10min 이하, 또는 약 35 g/10min 이하, 또는 약 30 g/10min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온도(Tc)가 95 ℃ 내지 11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 에틸렌 함량, 및 인장강도와 굴곡탄성율, 및 결정화 온도(Tc)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약 95 ℃ 내지 약 115 ℃로 최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자일렌 가용분은 전체 중합체 내 어택틱(atactic)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러한 자일렌 가용분 함량을 최적화하여 적정 수준의 녹는 점과 기계적 물성의 발현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온도(Tc)가 약 100 ℃ 내지 약 115 ℃, 또는 약 105 ℃ 내지 약 114 ℃, 또는 약 107 ℃ 내지 약 113 ℃, 또는 약 108 ℃ 내지 약 112 ℃일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융점(Tm)이 약 150 ℃ 내지 약 158 ℃, 또는 약 150 ℃ 내지 약 155 ℃, 또는 약 151 ℃ 내지 약 153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화 온도(Tc) 및 융점(Tm)은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장치명: DSC 2920, 제조사: TA instrument)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200 ℃까지 가열한 후 5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1st RUN 열이력 제거), 그 다음 -30 ℃까지 내리고, 다시 온도를 증가시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A사 제조) 곡선의 꼭대기에 해당하는 온도를 용융점(Tm)으로 하고, 다시 온도를 감소시키면서 나타나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A사 제조) 곡선의 꼭대기에 해당하는 온도를 결정화 온도(Tc)로 한다. 이 때, 온도의 상승과 내림의 속도는 10 ℃/min이고, 융점(Tm) 및 결정화 온도(Tc)은 두 번째 온도가 상승, 내림하는 구간(2nd RUN)에서 측정한 결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기존 지글러-나타 촉매 적용 폴리프로필렌 또는 종래 메탈로센 촉매 적용 폴리프로필렌과 달리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 에틸렌 함량, 용융지수, 결정화 온도,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을 모두 최적화함으로써, 공중합 공정에서 우수한 공정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굵기가 가늘면서도 균일한 섬유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 기존 제품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높은 강도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우수한 강인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강성과 함께 우수한 소프트니스가 요구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제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분산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제1 반응기의 중합 공정과 제2 반응기의 공중합 공정을 수행하여, 이렇게 얻어진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높은 분산성으로 상 분리가 크게 나타나지 않도록 포함되어 최종 수지 조성물에서 우수한 연신 안정성 (가공성) 및 소프트니스 특성과 함께 개선된 강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제, 중화제, 분산제, 내후제, UV 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록킹제,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500 ppm 내지 3,000 ppm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첨가제는 후술한 바와 같은 제1, 제2 반응기의 공정을 모두 마치고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추가하는 것으로, 제조 공정 중 촉매 활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중합 공정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디벤질이덴 솔비톨(Dibezylidene Sorbitol), 디(p-메틸벤질이덴)솔비톨, 디메틸 벤질이덴 솔비톨, 알킬벤조산 알루미늄 염, 및 유기 인 금속염 등의 핵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핵제를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추가할 경우에는, 결정성이 너무 커지면서 섬유 방사성이 저하되어 연신 안정성 및 소프트니스 개선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상기와 같은 물성적 특징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반응기에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탄소,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이고,
M은 4족 전이금속이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이고,
R1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20 알킬로 치환된 C6-20 아릴이고,
R2 내지 R4 및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20 알킬, C2-20 알케닐, C1-20 알킬실릴, C1-20 실릴알킬, C1-20 알콕시실릴, C1-20 에테르, C1-20 실릴에테르, C1-20 알콕시, C6-20 아릴, C7-20 알킬아릴, 또는 C7-20 아릴알킬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C1-20 알킬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다음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할로겐(halogen)은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 즉, C1-20의 알킬은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알킬;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 알킬;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알킬; 탄소수 3 내지 20의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 탄소수 3 내지 15의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20(C1-20)의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2 내지 20, 즉, C2-20의 알케닐로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알릴, 알릴, 에테닐,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1 내지 20, 즉, C1-20의 알콕시로는 메톡시기,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페닐옥시,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2 내지 20, 즉, C2-20의 알콕시알킬기는 상술한 알킬의 1개 이상의 수소가 알콕시로 치환된 작용기이며, 구체적으로 메톡시메틸, 메톡시에틸, 에톡시메틸, iso-프로폭시메틸, iso-프로폭시에틸, iso-프로폭시프로필, iso-프로폭시헥실, tert-부톡시메틸, tert-부톡시에틸, tert-부톡시프로필, tert-부톡시헥실 등의 알콕시알킬; 또는 페녹시헥실 등의 아릴옥시알킬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1 내지 20, 즉, C1-20의 알킬실릴 또는 탄소수 1 내지 20(C1-20)의 알콕시실릴기는 -SiH3의 1 내지 3개의 수소가 1 내지 3개의 상술한 바와 같은 알킬 또는 알콕시로 치환된 작용기이며, 구체적으로 메틸실릴, 디메틸실릴, 트라이메틸실릴, 디메틸에틸실릴, 디에틸메틸실릴기 또는 디메틸프로필실릴 등의 알킬실릴; 메톡시실릴, 디메톡시실릴, 트라이메톡시실릴 또는 디메톡시에톡시실릴 등의 알콕시실릴; 메톡시디메틸실릴, 디에톡시메틸실릴 또는 디메톡시프로필실릴 등의 알콕시알킬실릴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1 내지 20, 즉, C1-20의 실릴알킬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알킬의 1 이상의 수소가 실릴로 치환된 작용기이며, 구체적으로 -CH2-SiH3, 메틸실릴메틸 또는 디메틸에톡시실릴프로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소수 1 내지 20, 즉, C1-20의 알킬렌으로는 2가 치환기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알킬과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헵틸렌, 옥틸렌, 시클로프로필렌, 시클로부틸렌, 시클로펜틸렌, 시클로헥실렌, 시클로헵틸렌, 시클로옥틸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6 내지 20, 즉, C6-20의 아릴은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라이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아릴은 페닐, 비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페난트레닐, 플루오레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수 7 내지 20, 즉, C7-20의 알킬아릴은 방향족 고리의 수소 중 하나 이상의 수소가 상술한 알킬에 의하여 치환된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알킬아릴은 메틸페닐, 에틸페닐, 메틸비페닐, 메틸나프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소수 7 내지 20, 즉, C7-20의 아릴알킬은 상술한 알킬의 1 이상의 수소가 상술한 아릴에 의하여 치환된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아릴알킬은 페닐메틸, 페닐에틸, 비페닐메틸, 나프틸메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소수 6 내지 20, 즉, C6-20의 아릴옥시로는 페녹시, 비페녹시, 나프톡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소수 6 내지 20, 즉, C6-20의 아릴렌은 2가 치환기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아릴과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페닐렌, 비페닐렌, 나프틸렌, 안트라세닐렌, 페난트레닐렌, 플루오레닐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4족 전이 금속은, 티타늄(Ti), 지르코늄(Zr), 하프늄(Hf), 또는 러더포듐(Rf)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하프늄(Hf)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지르코늄(Zr), 또는 하프늄(Hf)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3족 원소는, 붕소(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또는 탈륨(Tl)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붕소(B), 또는 알루미늄(Al)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치환기들은 목적하는 효과와 동일 내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적으로 하이드록시기; 할로겐; 알킬 또는 알케닐, 아릴, 알콕시; 14족 내지 16족의 헤테로 원자들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아릴, 알콕시; 실릴; 알킬실릴 또는 알콕시실릴; 포스파인기; 포스파이드기; 술포네이트기; 및 술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촉매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인데닐기 포함 두 개의 리간드를 연결하는 브릿지 그룹에 특정 치환기를 갖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목적하는 물성에 맞도록 융점 및 분자량 분포가 함께 최적화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인데닐기 포함 두 개의 리간드를 연결하는 브릿지 그룹으로서, 탄소수 2 이상의 동일한 알킬기로 2 치환된 2가의 작용기 A를 포함함으로써, 원자 사이즈가 증가하고, 가용 각도가 늘어남에 따라 프로필렌이나 에틸렌 모노머의 접근이 용이하여 보다 우수한 촉매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리간드인 두 개의 인데닐기 모두 2번 위치가 메틸기로 치환되고, 4번 위치(즉, R1 및 R)는 각각 알킬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함으로써, 충분한 전자를 공급할 수 있는 유도 효과(Inductive effect)에 의해 보다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0 알킬로 치환된 C6-12 아릴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tert-부틸 페닐과 같은 C3-6 분지쇄 알킬로 치환된 페닐일 수 있다. 또, 상기 페닐에 대한 알킬의 치환 위치는 인데닐에 결합한 R1 및 R5는 위치와 para 위치에 해당하는 4번 위치일 수 있다.
또, 상기 화학식 1에서, R2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일 수 있으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염소(Cl)일 수 있다.
또,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실리콘(Si)일 수 있다. 또, 상기 A의 각 치환기인 R9 및 R10 용해도를 증대시켜 담지 효율성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서로 동일하며, C2-10 알킬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C2-4 직쇄상 알킬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에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릿지 그룹의 A에 대한 치환기로서 서로 동일한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종래 브릿지 그룹의 원소에 대한 치환기가 탄소수 1의 메틸기인 경우 담지 촉매 조제시 용해도가 좋지 않아 담지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상기 화학식 1에서, M는 지르코늄(Zr) 또는 하프늄(Hf)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Zr)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중심 금속으로서 지르코늄(Zr)을 포함하는 경우에, 하프늄(Hf) 등과 같은 다른 14족 원소를 포함할 때와 비교하여 전자를 수용할 수 있는 오비탈을 더 많이 가지고 있어 보다 높은 친화력으로 모노머와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보다 우수한 촉매 활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은 알려진 유기 화합물의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 보다 구체화하여 기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메탈로센 화합물이나 촉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당량(eq)은 몰 당량(eq/mol)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촉매 조성물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은 담체에 담지된 담지 촉매의 상태로 사용되거나, 비담지된 촉매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촉매 조성물을 사용한 중합 공정의 안정성 및 물성 조절의 균일성 확보 측면에서 담지 촉매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로는 표면에 반응성이 큰 하이드록시기 또는 실록산기를 갖는 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되어 표면에 수분이 제거된, 반응성이 큰 하이드록시기와 실록산기를 가지고 있는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고온에서 건조된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및 실리카-마그네시아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통상적으로 Na2O, K2CO3, BaSO4, 및 Mg(NO3)2 등의 산화물, 탄산염, 황산염, 및 질산염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건조 온도는 약 200 ℃ 내지 약 800 ℃가 바람직하고, 약 300 ℃ 내지 약 600 ℃가 더욱 바람직하며, 약 300 ℃ 내지 약 400 ℃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의 건조 온도가 약 200 ℃ 미만인 경우 수분이 너무 많아서 표면의 수분과 조촉매 등이 반응하게 되고, 약 8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담체 표면의 기공들이 합쳐지면서 표면적이 줄어들며, 또한 표면에 하이드록시기가 많이 없어지고 실록산기만 남게 되어 조촉매 등과의 반응 자리가 감소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일예로, 상기 담체 표면의 하이드록시기 양은 약 0.1 mmol/g 내지 약 10 mmol/g이 바람직하며, 약 0.5 mmol/g 내지 약 5 mmol/g일 때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 표면에 있는 하이드록시기의 양은 담체의 제조방법 및 조건 또는 건조 조건, 예컨대 온도, 시간, 진공 또는 스프레이 건조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의 양이 약 0.1 mmol/g 미만이면 조촉매 등과의 반응자리가 적고, 약 10 mmol/g을 초과하면 담체 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기 이외에 수분에서 기인한 것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이 담체에 담지될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에 포함되는 전체 전이금속 대 담체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1:1000 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담체 및 메탈로센 화합물을 포함할 때, 적절한 담지 촉매 활성을 나타내어 촉매의 활성 유지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대 담체의 중량비는 1:10 내지 1:30,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15 내지 1: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과 담체 이외에, 높은 활성과 공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조촉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촉매로는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Al(R21)-O]m-
상기 화학식 2에서,
R21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1-20 알킬 또는 C1-20 할로알킬이고;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메틸알루미녹산, 에틸알루미녹산, 이소부틸알루미녹산, 또는 부틸알루미녹산 등의 알루미녹산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촉매로는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J(R31)3
상기 화학식 3에서,
R3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1-20 알킬 또는 C1-20 할로알킬이고;
J는 알루미늄 또는 보론이다.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디메틸클로로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s-부틸알루미늄, 트리사이클로펜틸알루미늄, 트리펜틸알루미늄, 트리이소펜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에틸디메틸알루미늄, 메틸디에틸알루미늄, 트리페닐알루미늄, 트리-p-톨릴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메톡시드, 디메틸알루미늄에톡시드, 트리메틸보론, 트리에틸보론, 트리이소부틸보론, 트리프로필보론, 트리부틸보론 등이 포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촉매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E-H]+[ZQ4]-
상기 화학식 4에서,
E는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염기이고;
H는 수소 원자이며;
Z는 13족 원소이고;
Q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6-20 아릴 또는 C1-20 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C6-20 아릴 또는 C1-20 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C1-20 알킬, C1-20 알콕시 및 C6-20 아릴옥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에서 [E-H]+는 브론스테드 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에서, E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아민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민은 C6-20 아릴 또는 C1-20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일예로, E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아민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민기는 두 개 이상의 C6-20 아릴 또는 C1-20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민은 두 개 또는 세 개의 C6-18 아릴이나 C6-12 아릴, 또는 C1-12 알킬이나 C1-6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에서, Z는 알루미늄 또는 보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에서, Q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18 아릴 또는 C6-12 아릴이거나, C1-12 알킬 또는 C1-6 알킬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톨릴)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o,p-디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페닐보론,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디에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톨릴)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p-톨릴)알루미늄,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o,p-디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알루미늄,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알루미늄, 디에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p-톨릴)보론,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o,p-디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페닐카보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또는 트리페닐카보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조촉매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 대 조촉매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조촉매와 메탈로센 화합물을 포함할 때, 적절한 담지 촉매 활성을 나타내어 촉매의 활성 유지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대 조촉매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1:20, 또는 약 1:5 내지 약 1:15일 수 있다.
상기 조촉매는 담체 중량당, 예컨대, 실리카 1 g을 기준으로 약 3 mmol 이상 또는 약 5 mmol 이상의 함량으로 담지될 수 있으며, 또한 약 20 mmol 이하, 또는 약 15 mmol 이하의 함량으로 담지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시 조촉매 사용에 따른 촉매 활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촉매 조성물이 상기한 담체 및 조촉매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촉매 조성물은 담체에 조촉매 화합물을 담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담체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조촉매와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담지하는 순서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때, 상기 촉매 조성물의 제조시에 반응 용매로서 펜탄, 헥산, 헵탄 등과 같은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벤젠, 톨루엔 등과 같은 방향족계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반응기에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반응기에서 상기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분산되는 에틸렌을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렇게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분산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제1 반응기의 중합 공정과 제2 반응기의 공중합 공정을 최적화하여, 이렇게 얻어진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높은 분산성으로 상 분리가 크게 나타나지 않도록 포함되어 최종 수지 조성물에서 우수한 연신 안정성 (가공성) 및 소프트니스 특성과 함께 개선된 강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벌크 슬러리 공정(bulk-slurry process)과 기상 공정(Gas Phase process)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반응기는 루프 반응기(roof reactor)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의 루프 반응기 포함하는 스페리폴(spheripol) 공정 반응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응기는 기체상 반응기(gas phase reactor)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벌크 슬러리 공정(Bulk-slurry Process)의 연속반응기 즉, 기상 공정(Gas phase process)에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에 에틸렌 함량이 높은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액 중합(solution process)을 적용하여야 하였으며, 즉 에틸렌 등의 코모노머(comonomer) 함량이 높음에 따라 낮은 용융점(Tm)으로 반응기 내 용액(solvent) 존재 하에서 중합을 수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전체 공정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 1종 이상을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연속 반응기로 벌크 슬러리 공정(bulk-slurry process)에 이어 기상 공정(Gas Phase process)을 수행함으로써, 제1 반응기로 얻어진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와 제2 반응기로 얻어진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상의 분리를 최소화하여, 최종 생성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높은 강성과 연신성을 동시에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응기는 복수의 루프 반응기를 포함하는 반응 시스템으로 이뤄진 것이며, 복수의 루프 반응기를 포함하는 반응 시스템 내에서 촉매 및 수소 기체의 존재 하에, 액상의 프로필렌 모노머를 연속 중합 반응시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생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복수의 루프 반응기에 대해 각각 수소 기체의 함량은 반응기 조건 1 기압 하에서 0.07 L 내지 4 L 범위이거나, 또는 1 bar 내지 40 bar의 압력으로 공급되거나 프로필렌 모노머 대비 수소 몰 함량 범위로 150 ppm 내지 8,000 ppm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소 기체의 투입량은 프로필렌 투입량을 기준으로 한 몰 함량 값(ppm)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생성시키는 상기 제1 반응기의 반응시스템은 제1-1 및 제1-2 루프 반응기를 포함하고, 제1-1 루프 반응기에는 수소 기체가 150 내지 8,000 ppm의 농도로 공급되고, 제1-2 루프 반응기에는 제1-1 루프 반응기에 대한 공급 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에서, 8,000 ppm 이하의 농도로 수소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반응기에서 수소 투입량은 각각 160 ppm 이상, 또는 170 ppm 이상, 또는 180 ppm 이상, 또는 190 ppm 이상, 또는 200 ppm 이상, 또는 250 ppm 이상, 또는 300 ppm 이상, 또는 350 ppm 이상, 또는 380 ppm 이상, 또는 400 ppm 이상, 또는 430 ppm 이상이면서, 6000 ppm 이하, 또는 4000 ppm 이하, 또는 2000 ppm 이하, 또는 1800 ppm 이하, 또는 1500 ppm 이하, 또는 1200 ppm 이하, 또는 1000 ppm 이하, 또는 800 ppm 이하, 또는 650 pp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응기의 중합 반응은, 25 ℃ 내지 500 ℃의 온도 및 1 kgf/㎠ 내지 100 kgf/㎠의 압력 하에서 1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반응기의 중합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25 ℃ 내지 250 ℃, 또는 30 ℃ 내지 200 ℃, 또는 35 ℃ 내지 180 ℃, 또는 40 ℃ 내지 150 ℃, 또는 45 ℃ 내지 120 ℃, 또는 50 ℃ 내지 100 ℃, 또는 60 ℃ 내지 8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응기의 중합 반응 압력은 바람직하게 1 kgf/㎠ 내지 80 kgf/㎠, 또는 1 kgf/㎠ 내지 70 kgf/㎠, 또는 1 kgf/㎠ 내지 60 kgf/㎠, 또는 2 kgf/㎠ 내지 55 kgf/㎠, 또는 3 kgf/㎠ 내지 50 kgf/㎠, 또는 4 kgf/㎠ 내지 45 kgf/㎠, 또는 5 kgf/㎠ 내지 40 kgf/㎠ 일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 시간은 1 내지 5시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반응기를 사용하여, 예컨대, 제1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제조하고, 제2 반응기에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소프트니스 및 연신성,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응기에서 얻어진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분산되는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 반응기의 공중합 공정은 가스상 반응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제2 반응기의 공중합 공정은, 앞서 제1 반응기에서 생성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이송하여 투입한 후, 추가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투입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제1 반응기로부터 생성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제2 반응기 (Gas Phase Reactor)로 이송시에는, 제1 반응기에서 1차 회수 공정을 거친 후 남아 있는 잔류 프로필렌 모노머와 수소 기체를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와 함께 이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응기로부터 생성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제2 반응기 (Gas Phase Reactor)로 이송시에 기존의 지글러-나타 촉매 적용시 사용하던 대전방지제 처리는 생략하고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응기의 공중합 반응은, 28 ℃ 내지 500 ℃의 온도 및 1 kgf/㎠ 내지 80 kgf/㎠의 압력 하에서 1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반응기의 공중합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30 ℃ 내지 250 ℃, 또는 35 ℃ 내지 200 ℃, 또는 40 ℃ 내지 180 ℃, 또는 45 ℃ 내지 150 ℃, 또는 50 ℃ 내지 120 ℃, 또는 55 ℃ 내지 100 ℃, 또는 65 ℃ 내지 8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응기의 공중합 반응 압력은 바람직하게 1 kgf/㎠ 내지 65 kgf/㎠, 또는 1 kgf/㎠ 내지 55 kgf/㎠, 또는 1 kgf/㎠ 내지 50 kgf/㎠, 또는 2 kgf/㎠ 내지 40 kgf/㎠, 또는 3 kgf/㎠ 내지 35 kgf/㎠, 또는 4 kgf/㎠ 내지 30 kgf/㎠, 또는 5 kgf/㎠ 내지 25 kgf/㎠ 일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 시간은 1 내지 5 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반응기의 공중합 공정은 수소 첨가 또는 미첨가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제1 반응기의 중합 공정에서 얻어진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와 함께 1차 회수 공정을 거친후 미반응 프로필렌 및 수소 기체를 포함하여 제2 반응기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제2 반응기에서는 추가로 수소 기체를 투입하지 않거나 미량의 수소를 투입하여 프로필렌과 에틸렌만을 추가로 투입하는 기상 반응의 공중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량의 수소를 투입한다고 하면, 제1 반응기에 사용한 수소 함량 대비 약 0.01 배 이하, 또는 약 0.005 배 이하, 또는 약 0.001 배 이하로 투입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필렌 모노머 대비 수소 몰 함량 범위로 약 80 ppm 이하, 또는 약 50 ppm 이하, 또는 약 30 ppm 이하, 또는 약 15 ppm 이하, 또는 약 10 ppm 이하, 또는 약 5 ppm 이하로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중합 반응으로 제조한 후에, 상기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분산되는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추가 가스 반응 공정으로 제조함으로써, 좁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 에틸렌 함량,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 용융지수, 및 결정화 온도(Tc)를 동시에 최적화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할 경우에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우수한 소프트니스(softness)를 부여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응기로부터 얻어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1238에 따라 230 ℃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지수(MI2.16)가 약 10 g/10min 내지 약 100 g/10min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5 g/10min 내지 약 35 g/10min 또는 약 25.2 g/10min 내지 약 25.6 g/10min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반응기로부터 얻어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MI2.16)는, 최종 생성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MI2.16)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범위로 얻어진다. 예컨대,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MI2.16)와 최종 생성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MI2.16)는 서로 약 5 g/10min 이내 차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용융지수(MI2.16)는 약 0 내지 약 5 g/10min 이내 차이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약 3 g/10min 이내, 혹은 약 2 g/10min 이내, 혹은 약 1.5 g/10min 이내의 차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싱기 제1 반응기로부터 얻어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제2 반응기로부터 얻어진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역시도,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범위의 용융지수(MI2.16), 점도,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반응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지글러나타 촉매 등을 적용한 경우와 달리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반응기를 사용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물성 차이를 최적화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에 분산되는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상 분리를 최소화한 형태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상 분리에 따라 강도 저하 및 연신성,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반응기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은 7:3 내지 6:4의 중량비로 투입하거나, 또는 프로필렌은 에틸렌 투입량의 중량 기준으로 1.4배 내지 2.6배의 중량비로 투입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프로필렌과 에틸렌은 7:3, 또는 6.5:4, 또는 6:4의 중량비로 투입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예로, 상기 프로필렌은 에틸렌 투입량의 중량 기준으로 1.45배 이상, 또는 1.5배 이상, 또는1.52배 이상, 또는 1.55배 이상, 또는 1.58배 이상, 또는 1.6배 이상, 또는 1.62배 이상이면서, 2.5배 이하, 또는 2.48배 이하, 또는 2.45배 이하, 또는 2.4배 이하, 또는 2.38배 이하, 또는 2.35배 이하, 또는 2.34배 이하의 중량비로 투입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3 중량% 내지 9 중량%, 또는 3.2 중량% 내지 8.8 중량%, 또는 3.3 중량% 내지 8.6 중량%, 또는 3.5 중량% 내지 8.4 중량%, 또는 4 중량%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과,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은, 통상적인 장치 및 접촉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좁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 에틸렌 함량,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을 최적화함으로써, 굵기가 가늘면서도 균일한 섬유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 기존 제품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높은 강도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우수한 강인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강성과 함께 우수한 소프트니스가 요구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제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기존 지글러-나타 촉매 적용 폴리프로필렌 또는 종래의 메탈로센 촉매 적용 호모 폴리프로필렌이나 공중합체보다 우수한 공정 안정성 및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성을 유지하며 부직포 제조시 더욱 향상된 소프트니스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제공된다.
상기 부직포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는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하는 제1 반응기와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좁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 에틸렌 함량,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 용융지수, 및 결정화 온도를 모두 최적화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할 경우에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우수한 소프트니스(softness)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높은 강도와 함께 우수한 유연성 확보 측면에서, NWSP 090.3.R0 기준에 따른 핸들-오-미터(Handle-O-meter) 측정값이 24 g 이하 또는 약 1.0 g 내지 약 24 g일 수 있다. 이러한 핸들-오-미터(Handle-O-meter) 측정값은 상술한 범위로 유지될 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거친 특성을 줄이고 소프트(Soft)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우수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핸들-오-미터는 부직포의 평량이 72 g/m2 내지 76 g/m2인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핸들-오-미터 측정값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고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제품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특정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좁은 분자량 분포와 함께 자일렌 가용분, 에틸렌 함량, 인장강도와 굴곡탄성율, 용융지수, 및 결정화 온도를 동시에 최적화하여, 우수한 가공성 및 소프트니스 특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는 데 유리하다.
도 1은 실시예 1-1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단면을 관찰한 주사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1에 따라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주사 전자현미경 (SEM)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2에 따라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주사 전자현미경 (SEM)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2-4에 따라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주사 전자현미경 (SEM)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메탈로센 촉매의 제조>
제조예 1
Figure pat00005
단계 1)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실란의 제조
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덴(20.0 g)을 톨루엔과 테트라하이드라퓨란의 혼합 용매(톨루엔/THF 부피비 10/1, 220 mL)에 용해시킨 후, n-부틸리튬 용액(2.5 M, 헥산 용매, 22.2 g)을 0 ℃에서 천천히 적가한 다음, 상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78 ℃에서 상기 혼합 용액에 디에틸디클로로실란(6.2 g)을 천천히 적가하였고, 약 10분 동안 교반한 뒤 상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실란을 얻었다.
단계 2)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실란을 톨루엔/THF의 부피비 5/1 혼합 용매(120 mL)에 용해시킨 후, n-부틸리튬 용액(2.5 M, 헥산 용매, 22.2 g)을 -78 ℃에서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지르코늄 클로라이드(8.9 g)를 톨루엔(20 mL)에 희석시킨 후, -78 ℃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의 용매를 감압 제거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을 넣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톨루엔과 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을 하여 고순도의 rac-[(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10.1 g, 수율: 34%, rac:meso 몰비 20:1)를 얻었다.
단계 3) 담지된 촉매의 제조
3 L 반응기에 실리카 100 g과 10 wt%의 메틸알루미녹산(670 g)을 넣어 90 ℃에서 2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침전 후 상층부는 제거하고 톨루엔으로 2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안사-메탈로센 화합물 rac-[(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5.8 g)을 톨루엔에 희석시켜 반응기에 첨가한 후, 7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침전이 끝나면, 상층부 용액은 제거하고 남은 반응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세척한 후 헥산으로 다시 세척하고 진공 건조하여 고체 입자 형태의 실리카 담지 메탈로센 촉매 150 g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 및 1-2
상기 제조예 1의 실리카 담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으로, 제1 반응기(Bulk-slurry Process, Spheripol Process, 제1-1 및 제1-2의 2개의 루프 반응기 포함)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제조한 후에, 이렇게 제조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제2 반응기 (Gas Phase Reactor)로 이송하고 제2 반응기 (Gas Phase Reactor)에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응기로부터 생성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제2 반응기 (Gas Phase Reactor)로 이송시에는, 별도의 대전방지제를 처리하지 않고, 제1 반응기에서 1차 회수 공정을 거친 후 미반응 프로필렌 모노머 및 수소 기체와 함께 생성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제2 반응기로 이송하였다. 또한, 이렇게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와 함께 이송된 수소 기체의 존재 하에서 및 촉매 조성물 중 제조예 1의 실리카 담지 메탈로센 촉매 하에서, 수소 기체를 추가로 투입하지 않거나 미량의 수소를 투입하여(약 10 ppm 이하) 제2 반응기에서 가스 반응 공정을 통해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에 분산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생성시켰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외에 핵제 등의 첨가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의 함량이 4 중량% 내지 8 중량%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 4~8 : 1)이다.
참고로,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담지 촉매의 종류와, 각 반응기의 중합 압력, 온도, 각 반응기에 공급된 수소 기체의 농도, 또는 조촉매(TEAL)의 농도, 에틸렌 기체 및 프로필렌 기체의 투입량은 하기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비교예 1-1
제조예 1에서 메탈로센 화합물인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대신에,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 rac-[(6-t-부톡시헥실메틸실란디일)-비스(2-메틸-4-(4-t-부틸페닐)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를 사용한 담지 촉매로 중합 공정을 수행한 것으로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1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pat00006
비교예 1-2
제조예 1에서 메탈로센 화합물인 [(디에틸실란-디일)-비스((2-메틸-4-터트-부틸-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대신에,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 rac-[(디메틸실란디일)-(2-메틸-4-페닐인데닐)(2-메틸-4-페닐-5-메톡시-6-t-부틸)]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를 사용한 담지 촉매로 중합 공정을 수행한 것으로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2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B]
Figure pat00007
참고로,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담지 촉매의 종류와, 각 반응기의 중합 압력, 온도, 각 반응기에 공급된 수소 기체의 농도, 또는 조촉매(TEAL)의 농도, 에틸렌 기체 및 프로필렌 기체의 투입량은 하기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촉매 촉매
투입량
(g/hr)
제1 반응기의 호모 중합 공정 제2 반응기의 공중합 공정
중합
압력
(kg/cm2)
중합
온도
(℃)
C3
투입량
(kg/hr)
TEAL
투입량
(ppm)
H2
투입량
(ppm)
중합
압력
(kg/cm2)
중합
온도
(℃)
C3
투입량
(kg/hr)
C2
투입량
(kg/hr)
실시예
1-1
제조예
1
1.3 35 67 80 50 430 18 72 7.0 3.0
실시예
1-2
제조예
1
1.3 35 67 80 50 430 18 72 6.5 4.0
비교예
1-1
화학식
A
1.8 35 70 80 50 350 18 72 6.5 4.0
비교예
1-2
화학식
B
2.4 35 70 80 50 430 18 72 6.5 4.0
상기 표 1에서, TEAL 및 H2의 투입량은 프로필렌 투입량을 기준으로 한 몰 함량 값(ppm)이다.
비교예 1-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omo PP, 엘지화학 제품 H7700, MI2.16 34 g/10min)와 에틸렌 프로필렌 엘라스토머(C3계 POE, Exxon Vistamaxx 6202, MI2.16 20 g/10min)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엘라스토머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비교예 1-3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Homo PP + C3계 POE(15%)]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omo PP, 엘지화학 제품 H7700, MI2.16 34 g/10min)와 에틸렌 프로필렌 엘라스토머(C3계 POE, Exxon Vistamaxx 6202, MI2.16 20 g/10min)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엘라스토머 함량이 2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비교예 1-4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Homo + C3계 POE(20%)]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앞서 비교예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추가로 인산 금속 염류계 핵제를 수지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 200 ppm으로 처방하여, 비교예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준비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용융지수(melt index, MI)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1238에 따라 230 ℃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하였으며, 10분 동안 용융되어 나온 중합체의 무게(g)로 나타내었다.
(2) 에틸렌 함량(C2, wt%)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5576 기준에 따른 적외선분광법으로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내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필름 혹은 필름 형태 시편을 FT-IR 장비의 Magnetic holder에 고정시킨 후 IR 흡수 스펙트럼에서 시편 두께를 반영하는 4800~3500 cm-1 피크의 높이와 에틸렌(C2) 성분이 나타나는 750~710 cm-1 피크의 면적을 측정하여 계산했다.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557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표준 시편(Standard sample)의 750~710 cm-1 피크 면적을 4800~3500 cm-1 피크 높이로 나눈 값을 플롯(Plot)하여 구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식에 대입하여 에틸렌 함량을 계산하였다.
(3) 자일렌 가용분(X.S: Xylene Soluble, wt%)
실시예 1-1 내지 1-4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g 샘플에 자일렌 200 mL를 넣고, 130 ℃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여 조성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20 ℃에서 1 시간 이상 냉각한 후 필터하여 고체상과 액체상을 분리하였다. 이후 액체상을 130 ℃로 가열하여 자일렌 성분을 제거한 후 잔류하는 성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4) 융점(Tm)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3418 기준에 따라,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장치명: DSC 2920, 제조사: TA instrument)를 이용하여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녹는점, 용융점(Tm)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200 ℃까지 가열한 후 5 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1st RUN 열이력 제거), 그 다음 -30 ℃까지 내리고, 다시 온도를 증가시켜 나타나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A사 제조) 곡선의 꼭대기에 해당하는 온도를 용융점(Tm)으로 측정하였다. 이 때, 온도의 상승과 내림의 속도는 10 ℃/min이고, 융점(Tm)은 두 번째 온도가 상승, 내림하는 구간(2nd RUN)에서 측정한 결과로 나타낸 것이다.
(5) 결정화 온도(Tc)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3418 기준에 따라, DSC를 이용하여 상기 용융점과 같은 조건에서 온도를 감소시키면서 나타나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A사 제조) 곡선의 꼭대기에 해당하는 온도를 결정화 온도(Tc)로 측정하였다.
(6) 분자량 분포(MWD, polydispersity index)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사 제조)를 이용하여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을 측정하고, 중량평균 분자량을 수평균 분자량으로 나누어 분자량 분포(MWD)를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장치로는 Waters PL-GPC220 기기를 이용하고, Polymer Laboratories PLgel MIX-B 300mm 길이 칼럼을 사용하였다. 이때 측정 온도는 160 ℃이며, 1,2,4-트리클로로벤젠(1,2,4-Trichlorobenzene)을 용매로서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1 mL/min로 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샘플은 각각 GPC 분석 기기 (PL-GP220)을 이용하여 BHT 0.0125% 포함된 트리클로로벤젠(1,2,4-Trichlorobenzene)에서 160 ℃, 10 시간 동안 녹여 전처리하고, 10 mg/10mL의 농도로 조제한 다음, 200 μL의 양으로 공급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 시편을 이용하여 형성된 검정 곡선을 이용하여 Mw 및 Mn의 값을 유도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 시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 g/mol, 10000 g/mol, 30000 g/mol, 70000 g/mol, 200000 g/mol, 700000 g/mol, 2000000 g/mol, 4000000 g/mol, 10000000 g/mol의 9종을 사용하였다.
(7) 인장강도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638에 의거하여, Instron사 UTM 장비(Univeral Testing Machine, 만능재료 시험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인장강도(kg/cm2)을 측정하였다.
(8)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미국재료시험학회규격 ASTM D 790에 의거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 kg/cm2) 및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kg/cm2)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ASTM D 790 규격에 따른 시편을 서포트(support)에 올려 고정한 후에 로딩 노즈(Loading Nose)로 28 mm/min으로 하중을 가할 때 걸리는 강도(kg/㎠)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로딩 노즈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최대값인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와 굴곡력에 따른 초기 기울기 값으로 스티프니스(Stiffness, 강성)를 나타내는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MI (2.16kg, g/10min) 25.2 25.6 26.2 32.6 34/20 34/20 32.6
C2 함량 (wt%) 2.2 2.7 2.5 5.6 2.5 3.0 5.6
X.S (%) 4.5 7.0 7.0 12.2 미측정 미측정 12.2
Tm (oC) 152 152 149 153 159 159 154
Tc (oC) 111 110 105 108 109 109 121
Mw/Mn 2.8 2.8 3.4 3.0 3.0 3.0 3.0
인장강도(kg/cm2) 280 280 260 260 250 250 275
굴곡강도(kg/cm2) 380 380 350 350 350 340 370
굴곡탄성율(kg/cm2) 12,000 12,000 11,000 10,500 11,000 10,500 12,500
또한, 실시예 1-1 및 1-2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서, 호모 폴리프로필렌 메트릭스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간 분산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단면을 주사 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1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단면을 관찰한 주사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1로 나타내었다(배율 3000배). 여기서, 실시예 1-1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메트릭스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간 상 분리를 최소화하여 높은 분산성을 가지며, 우수한 연신성 및 가공성과 함께 소프트니스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 존재 하에 연속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실시예 1-1 및 1-2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1 내지 1-4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비해 높은 인장강도와 굴곡탄성율과 함께 좁은 분자량과 최적화된 자일렌 가용분(X.S)을 나타내며, 우수한 연신성 및 가공성과 함께 소프트니스를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직포 제조>
실시예 2-1
아래와 같은 방사 장비와 조건으로 실시예 1-1로부터 얻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방사 장비 및 조건>
- 방사장비: 제품명 Fiberio CycloneTM L-1000
- 방사 조건: Temp. 310 ℃ / Nozzle Size 600 μm / 13,000 RPM
실시예 2-2
실시예 1-2로부터 얻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내지 2-4
비교예 1-1 내지 1-5의 폴리프로필렌 C3-Elastomer 15% 및 20% Blend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내지 2-4
비교예 1-1 내지 1-4의 폴리프로필렌 C3-Elastomer 15% 및 20% Blend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5
비교예 1-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 공정을 수행하였으나, 단사 문제가 발생하여 방사가 불가하였다.
<시험예 2>
실시예 2-1 내지 2-2 및 비교예 2-1 내지 2-4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 평가를 수행하고, 그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부직포의 중량
제조한 부직포 중량을 측정하고, 단위 면적당 부직포 중량(g/m2)을 산측하였다.
(2) 부직포의 개별 섬유 평균 직경
부직포를 주사 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표본 400개를 측정함으로써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직경(Fiber Diameter, ㎛)을 구하였다.
(3) 부직포의 소프트니스
Thwing-Albert Instrument사의 핸들-오-미터(Handle-O-meter) 기기를 사용하여 부직포에 대한 유연성(Softness, HOM; Total Hand, g)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핸들-오-미터 값은, 제조사로부터 공지된 편차인 +25% 내지 -25%의 오차를 갖는다.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2-1
비교예
2-2
비교예
2-3
비교예
2-4
비교예
2-5
부직포 중량
(g/m2)
72 75 측정불가
(방사불량)
76 76 74 측정불가
(방사불량)
개별 Fiber 강도(g/d) 5.5 5.1 측정불가
(방사불량)
3.5 4.5 4 측정불가
(방사불량)
개별 Fiber 평균직경(㎛) 8.5 8.6 측정불가
(방사불량)
9.2 11.6 10.6 측정불가
(방사불량)
Handle-O-
Meter(g)
24 21 측정불가
(방사불량)
18 32 28 측정불가
(방사불량)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비교예들에 비해 세섬화(얇은 섬유)에 따라 낮은 핸들오미터로 소프트니스(Softness)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1, 2-2 및 비교예 2-4의 부직포에 대하여 측정한 주사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각각 도 2, 도 3, 및 도 4로 나타내었다. 도 2, 도 3와 도 4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2-1, 2-2의 부직포가 비교예 2-4의 부직포에 비해 섬유 직경이 현저히 가늘게 나타나며, 부직포의 소프트니스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예 2-1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가 증가하여 방사성이 좋지 않아, 부직포 물성 측정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2-2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분(X.S)이 증가하며, 부직포 섬유 평균 직경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섬유 강도가 크게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5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결정성이 증가하며 높은 결정화 온도(Tc)로 인해 급격한 고화로 인해 방사중 필라멘트(filament)에 높은 스트레스 발생으로 단사로 인해 방사가 불가하여 부직포 물성 측정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Claims (13)

  1. 분자량 분포(Mw/Mn)가 2.6 내지 3.2이고,
    자일렌 가용분(X.S.)이 4.5 중량% 내지 8.0 중량%이고,
    에틸렌의 함량이 1.0 중량% 내지 5.0 중량%이고,
    ASTM D 638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275 kg/cm2 내지 285 kg/cm2이고,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이 11500 kg/cm2 내지 12500 kg/cm2 인이고,
    용융지수(MI2.16, ASTM D 1238, 230 ℃,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0 g/10min 내지 100 g/10min이고,
    결정화 온도는 95 ℃ 내지 115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Mw/Mn)가 2.6 내지 2.8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자일렌 가용분(X.S.)이 4.5 중량% 내지 7.0 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의 함량이 2.0 중량% 내지 3.2 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ASTM D 638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278 kg/cm2 내지 283 kg/cm2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ASTM D 790 방법으로 측정한 굴곡 탄성율이 11800 kg/cm2 내지 12300 kg/cm2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용융지수(MI2.16, ASTM D 1238, 230 ℃,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0 g/10min 내지 45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결정화 온도는 108 ℃ 내지 112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융점이 150 ℃ 내지 158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분산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평균 직경이 5.7 내지 8.5 마이크로미터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13. 제11항에 있어서,
    부직포의 평량이 72 g/m2 내지 76 g/m2인 조건 하에서,
    NWSP 090.3.R0 기준에 따른 핸들-오-미터(Handle-O-meter) 측정값이 24 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KR1020220037393A 2021-03-26 2022-03-2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KR20220134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67,926 US20240052074A1 (en) 2021-03-26 2022-03-25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Prepared Using the Same
PCT/KR2022/004251 WO2022203463A1 (ko) 2021-03-26 2022-03-2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9665 2021-03-26
KR1020210039665 2021-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483A true KR20220134483A (ko) 2022-10-05

Family

ID=8359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93A KR20220134483A (ko) 2021-03-26 2022-03-2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53472A4 (ko)
KR (1) KR20220134483A (ko)
CN (1) CN116648535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142B1 (en) * 2000-02-08 2002-05-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impact co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48535A (zh) 2023-08-25
EP4253472A4 (en) 2024-06-26
EP4253472A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791B1 (ko) 폴리프로필렌 및 그 제조방법
EP3572441B1 (en) Homopolypropyle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530448B1 (ko) 전이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KR102317015B1 (ko) 부직포용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670205B (zh) 丙烯共聚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20831A (ko)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 방법
KR102238159B1 (ko)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9600A (ko) 전이 금속 화합물,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 방법
KR20170046461A (ko)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라멘트
KR20220134483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US20240052074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Prepared Using the Same
KR102378415B1 (ko) 이성분계 섬유용 수지 조성물
KR102353755B1 (ko)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KR20220009900A (ko) 전이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KR20220003927A (ko)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45767A (ko)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203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조 방법 및 부직포
KR20200145768A (ko) 폴리프로필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34482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64410B1 (ko) 필라멘트용 폴리프로필렌 및 그 제조방법
US20240101732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10004469A (ko)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KR20220048444A (ko) 폴리프로필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