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580A -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580A
KR20220133580A KR1020210038871A KR20210038871A KR20220133580A KR 20220133580 A KR20220133580 A KR 20220133580A KR 1020210038871 A KR1020210038871 A KR 1020210038871A KR 20210038871 A KR20210038871 A KR 20210038871A KR 20220133580 A KR20220133580 A KR 2022013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signal conductor
plug connector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846B1 (ko
Inventor
김병남
강경일
박정민
조성철
전진국
박성규
장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뷰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뷰,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to KR102021003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846B1/ko
Priority to EP22775933.9A priority patent/EP4300719A1/en
Priority to JP2023558544A priority patent/JP2024511127A/ja
Priority to US18/552,037 priority patent/US20240170864A1/en
Priority to CN202280024484.6A priority patent/CN117063353A/zh
Priority to PCT/KR2022/002974 priority patent/WO2022203231A1/ko
Publication of KR2022013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5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예컨대, 유무선 통신기기 등)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장치 또는 다른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사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과 결합되며,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체결되어 케이블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에는 케이블의 신호선을 둘러싸는 유전체의 외주에 구비된 접지용 도체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접지되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솔더링에 의해 케이블의 접지용 도체와 하우징을 연결할 경우 솔더링된 부분에서 열로 인한 케이블의 손상 및 기능저하와 케이블의 접지용 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문제가 될 수 있었으며, 케이블의 유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솔더링된 부분이 손상되거나 케이블의 접지용 도체와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의 접지용 도체와 플러그 커넥터의 도전성 하우징 간의 전기적, 물리적 결합이 솔더링에 의하지 않고 클램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차폐(shield)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 및 일부가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하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일부가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상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클램핑부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클램핑부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가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하부 클램핑부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를 압박하는 클램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클램핑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마주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과 솔더링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의 단부는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링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성되고,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링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1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의 하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에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크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내주면 중 일부는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된 상부 가이드부의 내부면 중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하부로 연장된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부가 상기 상부 가이드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부의 단부가 서로를 향해 굽혀져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조임으로써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양측 하부에는 굽혀진 상기 스커트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클램핑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케이블의 접지용 도체와 플러그 커넥터의 도전성 하우징 간의 전기적, 물리적 결합이 솔더링에 의하지 않고 하부 및 상부 바디의 클램핑을 통한 단순한 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전기적,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차폐(shiel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상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e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a와 13b는 도 11의 플러그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상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고,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며,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별개의 부품이 아니라 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기둥형의 신호용 도체(210)와, 신호용 도체(210)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220)와, 신호용 도체(210)와 접지용 도체(220)와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신호용 도체(110), 접지용 도체(120), 절연체(130), 하부 바디(140), 상부 바디(150), 클램프링(18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용 도체(1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신호용 도체(110)는 하부 부분(111), 중간 부분(112), 상부 부분(113)을 포함한다.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가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절개홈(111a)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접지용 도체(12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용 도체(120)는 신호용 도체(110)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접지용 도체(120)는 하부 부분(121)과 상부 부분(12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가 하부 부분(121)에 삽입되어 하부 부분(121)의 내주면과 접지용 도체(220)의 외주면이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절개홈(121a)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오목부(220a)가 형성되고 하부 부분(121)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볼록부(121b)가 형성되어, 오목부(220a)에 볼록부(121b)가 계합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절연체(130)는, 신호용 도체(110)를 둘러싸면서 접지용 도체(120)에 둘러싸여 신호용 도체(110)와 접지용 도체(120) 사이를 절연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절연체(130)는, 상부의 제1 부분(131)과 하부의 제2 부분(132)을 포함한다.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은 제1 부분(131)의 아래로 돌출되고, 신호용 도체(110)의 중간 부분(112)은 제1 부분(131)의 중공(130a)에 삽입되며,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은 제1 부분(131)의 위로 돌출된다.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은 제1 부분(131)의 아래로 돌출되고, 접지용 도체(120)의 상부 부분(122)은 제1 부분(131)를 둘러싼다. 접지용 도체(120)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제1 부분(131)의 하부 가장자리가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 절연체(130)의 제2 부분(132)은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을 둘러싸면서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부분(132)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에 삽입되도록 그 외경이 접지용 도체(2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부분(132)은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을 보호함과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100)의 신호용 도체(110) 및 접지용 도체(12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 및 접지용 도체(22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바디(140)는 하부 하우징(141), 하부 가이드부(142) 및 하부 클램핑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디(150)는 하부 바디(140) 위에 결합되며, 상부 하우징(151), 상부 가이드부(152) 및 상부 클램핑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바디(140)와 상부 바디(15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바디(140)와 상부 바디(150)는 우수한 차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신호선(내부도체)(310), 신호선(310)의 전자기파를 차폐(shield)하며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만들어지는 외부도체(330), 신호선(310)과 외부도체(330) 사이를 절연시키고 분리하는 유전체(320), 외부도체(330)를 보호하는 외피(자켓)(3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신호용 도체(110) 쪽의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신호선(310)이 노출되는 부분, 유전체(320)가 노출되는 부분, 외부도체(330)가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300)은 하부 클램핑부(143)와 상부 클램핑부(153), 하부 가이드부(142)와 상부 가이드부(152)를 통해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되어, 케이블(300)의 신호선(310)의 단부가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은 케이블(300)의 신호선(310)과 솔더링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41)에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141a)이 형성되어, 중공(141a)에 접지용 도체(120)의 상부 부분(122)이 수용된다.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 및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은 하부 하우징(141) 아래로 노출된다. 하부 바디(140)의 중공(141a)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접지용 도체(120)의 상부 부분(122)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51)은, 하부 하우징(141)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151a)이 형성되어, 중공(151a)이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가이드부(142)는 하부 하우징(141)의 일측에서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한다. 상부 가이드부(152)는, 하부 가이드부(142)와 마주하여, 하부 가이드부(142)와 함께 상부 하우징(151)의 일측에서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한다.
하부 클램핑부(143)는 하부 가이드부(14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하부 클램핑부(143)의 일부(하부 가이드부(142)에 가까운 부분)는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감싸고, 하부 클램핑부(143)의 다른 일부(하부 가이드부(142)로부터 먼 부분)는 케이블(300)의 외피(340)를 감싼다.
상부 클램핑부(153)는 하부 클램핑부(143)와 마주하도록 상부 가이드부(15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부 클램핑부(153)의 일부(상부 가이드부(152)에 가까운 부분)는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감싸고, 상부 클램핑부(153)의 다른 일부(상부 가이드부(152)로부터 먼 부분)는 케이블(300)의 외피(340)를 감싼다.
하부 바디(140)의 중공(141a)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하부 가이드면(191a)이 하부 가이드부(142)에 형성되고, 제2 하부 가이드면(191b)이 하부 가이드부(142)와 하부 클램핑부(143)에 걸쳐 형성되고, 제3 하부 가이드면(191c)이 하부 클램핑부(143)에 형성된다.
상부 바디(150)의 중공(151a)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상부 가이드면(192a)이 상부 가이드부(152)에 형성되고, 제2 상부 가이드면(192b)이 상부 가이드부(152)와 상부 클램핑부(153)에 걸쳐 형성되고, 제3 상부 가이드면(192c)이 상부 클램핑부(153)에 형성된다.
제1 하부 가이드면(191a), 제2 하부 가이드면(191b), 제3 하부 가이드면(191c)은 각각 제1 상부 가이드면(192a), 제2 상부 가이드면(192b), 제3 상부 가이드면(192c)과 마주한다.
하부 바디(140)와 상부 바디(150)가 결합되면, 제1 내지 제3 하부 가이드면(191a, 191b, 191c)과 제1 내지 제3 상부 가이드면(192a, 192b, 192c)은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형성한다.
제1 하부 가이드면(191a)과 제1 상부 가이드면(192a)에 케이블(300)의 노출된 유전체(320)가 안착된다. 제1 하부 가이드면(191a)과 제1 상부 가이드면(192a)이 형성하는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유전체(320)의 외경에 대응한다.
제2 하부 가이드면(191b)과 제2 상부 가이드면(192b)에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가 안착된다. 제2 하부 가이드면(191b)과 제2 상부 가이드면(192b)이 형성하는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의 외경에 대응한다.
제3 하부 가이드면(191c)과 제3 상부 가이드면(192c)에 케이블(300)의 외피(340)가 안착된다. 제3 하부 가이드면(191c)과 제3 상부 가이드면(192c)이 형성하는 내경은 케이블(300)의 외피(340)의 외경에 대응한다.
클램프링(180)은 하부 클램핑부(143)와 상부 클램핑부(153)가 케이블(300)을 노출된 외부도체(330)와 외피(340)에 걸쳐 클램핑하도록 하부 클램핑부(143)와 상부 클램핑부(153)를 압박한다. 클램프링(180)의 내경은 결합된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외경에 대응한다.
클램프링(18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1)가 형성되고, 돌출부(181)의 양측에 각각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82, 18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클램핑부(143)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클램프링(180)의 돌출부(181)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431)가 형성되고, 상부 클램핑부(153)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클램프링(180)의 돌출부(181)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531)가 형성된다.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케이블(300)의 결합 시 압박 지그(미도시)가 클램프링(180)(특히 돌출부(181))을 압박하면, 돌출부(181)가 양측 및 내측으로 밀려나 양측의 오목부(182, 183)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오목부(1431, 1531)를 채우게 되어,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하부 클램핑부(143)의 내주면 중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감싸는 부분(즉, 하부 클램핑부(143)의 제2 하부 가이드면(191b))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32)가 형성되고, 상부 클램핑부(153)의 내주면 중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감싸는 부분(즉, 상부 클램핑부(153)의 제2 상부 가이드면(192b))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32)가 형성된다.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케이블(300)의 결합 시 압박 지그가 클램프링(180)을 압박하면,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돌출부(1432, 1532)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파고들어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 간의 물리적, 전기적 결합이 견고해진다.
하부 클램핑부(143)의 내주면 중 케이블(300)의 외피(340)를 감싸는 부분(즉, 제3 하부 가이드면(191c))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33)가 형성되고, 상부 클램핑부(153)의 내주면 중 케이블(300)의 외피(340)를 감싸는 부분(즉, 제3 상부 가이드면(192c))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33)가 형성된다.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케이블(300)의 결합 시 압박 지그가 클램프링(180)을 압박하면,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돌출부(1433, 1533)가 케이블(300)의 외피(340)를 파고들어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와 케이블(300)의 외피(340) 간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도 6a 내지 6e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부 바디(1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신호선(310), 유전체(320), 외부도체(330)가 노출된 케이블(300)을 하부 바디(140) 상에 정렬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케이블(300)을 제1 내지 제3 하부 가이드면(191a, 192b, 192c)에 안착시켜 신호선(310)의 단부가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케이블(300)의 노출된 신호선(310)과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을 솔더링하여 솔더링부(170)를 형성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하부 바디(140) 위에 상부 바디(150)를 결합한다.
도 6e를 참조하면, 클램프링(180)으로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를 감싸고, 압박 지그(미도시)로 클램프링(180)을 압박하여,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가 결합됨과 동시에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가 케이블(300)과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위와 같이 매우 단순한 작업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링(180)의 돌출부(181) 및 오목부(182, 183)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오목부(1431, 1531)는 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링(180)의 돌출부(181′) 및 오목부(182′, 183′)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오목부(1431′, 1531′)는 단면이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링(180)의 돌출부(181″) 및 오목부(182″, 183″)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오목부(1431″, 1531″)는 단면이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클램프링(180)과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링(18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185, 186)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돌출부(185, 186) 사이에 오목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클램핑부(143)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제1 및 제2 돌출부(185, 186)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434)가 형성되고, 상부 클램핑부(153)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제1 및 제2 돌출부(185, 186)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5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돌출부들(1432, 1433, 1532, 1533)은 단면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의 돌출부들(1432′, 1433′, 1532′, 1533′)은 단면이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클램프링(180)을 사용하여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를 압박함으로써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에 의해 케이블(300)이 클램핑되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디(140) 위에 상부 바디(150)를 결합할 때 클램프링(180)을 사용하지 않고, 하부 클램핑부(143)과 상부 클램핑부(153)가 억지 끼워맞춤 등의 방식으로 서로 끼워지거나 체결되어서 케이블(300)을 클램핑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디(140) 위에 상부 바디(150)를 결합할 때 하부 클램핑부(143)과 상부 클램핑부(153)가 접착제 등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접착됨으로써 케이블(300)을 클램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부 및 상부 클램핑부(143, 153)에 의해 케이블(300)이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방식이나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플러그 커넥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3a와 13b는 플러그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신호용 도체(110), 접지용 도체(120), 절연체(130), 하부 바디(140), 및 상부 바디(150)를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대부분의 구성이 도 1 내지 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와 달리 별도의 상부 클램핑부와 하부 클램핑부가 없고 대신에 상부 하우징(151)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가이드부(152')와 하부 하우징(141)으로부터 연장된 하부 가이드부(142')가 실질적으로 상부 및 하부 클램핑부가 된다.
상부 가이드부(152')는 케이블(300)의 일부를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부(152')의 길이는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전부 커버하고 케이블의 외피(34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152')의 양측에는 하부 가이드부(142')의 양측을 감싸도록 하부로 연장된 스커트부(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142')가 상기 상부 가이드부(15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142')는 케이블(300)의 일부를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 가이드부(142')의 길이도 상부 가이드부(152')와 마찬가지로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전부 커버하고 케이블의 외피(34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142')의 양측 하부에는 굽혀진 상기 스커트부(156)의 단부(156a)를 수용하기 위한 클램핑홈(14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 바디(140)의 중공(141a)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하부 가이드면(148a), 제2 하부 가이드면(148b), 및 제3 하부 가이드면(148c)이 하부 가이드부(142')에 형성된다.
상부 바디(150)의 중공(151a)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상부 가이드면(158a), 제2 상부 가이드면(158b), 제3 상부 가이드면(158c)이 상부 가이드부(152')에 형성된다.
제1 하부 가이드면(148a), 제2 하부 가이드면(148b), 제3 하부 가이드면(148c)은 각각 제1 상부 가이드면(158a), 제2 상부 가이드면(158b), 제3 상부 가이드면(158c)과 마주한다.
제1 하부 가이드면(148a)과 제1 상부 가이드면(158a)에 케이블(300)의 노출된 유전체(320)가 안착된다. 제1 하부 가이드면(148a)과 제1 상부 가이드면(158a)이 형성하는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유전체(320)의 외경에 대응한다.
제2 하부 가이드면(148b)과 제2 상부 가이드면(158b)에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 전체가 안착된다. 제2 하부 가이드면(148b)과 제2 상부 가이드면(158b)이 형성하는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의 외경에 대응한다. 제2 하부 가이드면(148b)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7b)와 제2 상부 가이드면(158b)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7b)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가이드부(152')와 하부 가이드부(142') 결합 시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파고 들어서 외부도체(330)를 클램핑한다. 이로 인해 하부 및 상부 가이드부(142', 152')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 간의 물리적, 전기적 결합이 견고해진다. 제2 하부 가이드면(148b)과 제2 상부 가이드면(158b)에는 복수개의 돌출부(147b, 157b)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하부 가이드면(148c)과 제3 상부 가이드면(158c)에 케이블(300)의 외피(340)의 일부분이 안착된다. 제3 하부 가이드면(148c)과 제3 상부 가이드면(158c)이 형성하는 내경은 케이블(300)의 외피(340)의 외경에 대응한다. 제3 하부 가이드면(148c)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7c)와 제3 상부 가이드면(158c)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7c)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가이드부(152')와 하부 가이드부(142') 결합 시 케이블(300)의 외피(340)를 파고 들어서 외피(340)를 클램핑한다. 제 3 하부 가이드면(148c)과 제 3 상부 가이드면(158c)에는 복수개의 돌출부(147c, 157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a는 상부 가이드부(152')의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부(156, 156)의 단부(156a, 156a)가 펴져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b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152')의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부(156, 156)의 단부(156a, 156a)가 서로를 향해 굽혀져서 하부 가이드부(142')를 조이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부(152')의 스커트부(156, 156)가 펴진 상태에서 하부 가이드부(142')가 상부 가이드부(152')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후 소정의 도구를 이용하여 스커트부의 단부(156a, 156a)를 서로를 향해 굽혀서 하부 가이드부(142')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클램핑홈(146, 146) 내부로 스커트부의 단부(156a, 156a)를 압입함으로써 하부 가이드부(142')를 상부 가이드부(152')에 견고하게 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152')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142')의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300)이 클램핑된다.
이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가이드부(142', 152')의 제2 하부 및 상부 가이드면(148b, 158b)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147b, 157b)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파고들어서 외부도체(330)가 하부 및 상부 바디(140, 150)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함께, 제3 하부 및 상부 가이드면(148c, 158c)의 돌출부(147c, 157c)도 케이블(300)의 외피(340)을 파고들어서 케이블(300)을 하부 및 상부 바디(140, 150)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플러그 커넥터
200 : 리셉터클 커넥터
300 : 케이블
110 : 신호용 도체
120 : 접지용 도체
130 : 절연체
140 : 하부 바디
150 : 상부 바디
141 : 하부 하우징
151 : 상부 하우징
142 : 하부 가이드부
152 : 상부 가이드부
143 : 하부 클램핑부
153 : 상부 클램핑부
180 : 클램프링

Claims (15)

  1.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 및
    일부가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하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일부가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상부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클램핑부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핑부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가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하부 클램핑부와 상기 상부 클램핑부를 압박하는 클램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클램핑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마주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과 솔더링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의 단부는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와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부의 내주면 중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하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내주면 중 일부는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된 상부 가이드부의 내부면 중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감싸고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하부로 연장된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부가 상기 상부 가이드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부의 단부가 서로를 향해 굽혀져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조임으로써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양측 하부에는 굽혀진 상기 스커트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클램핑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10038871A 2021-03-25 2021-03-25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56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871A KR102569846B1 (ko) 2021-03-25 2021-03-25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EP22775933.9A EP4300719A1 (en) 2021-03-25 2022-03-03 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JP2023558544A JP2024511127A (ja) 2021-03-25 2022-03-03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に結合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US18/552,037 US20240170864A1 (en) 2021-03-25 2022-03-03 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CN202280024484.6A CN117063353A (zh) 2021-03-25 2022-03-03 连接至插座连接器的插头连接器
PCT/KR2022/002974 WO2022203231A1 (ko) 2021-03-25 2022-03-03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871A KR102569846B1 (ko) 2021-03-25 2021-03-25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580A true KR20220133580A (ko) 2022-10-05
KR102569846B1 KR102569846B1 (ko) 2023-08-23

Family

ID=8339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871A KR102569846B1 (ko) 2021-03-25 2021-03-25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70864A1 (ko)
EP (1) EP4300719A1 (ko)
JP (1) JP2024511127A (ko)
KR (1) KR102569846B1 (ko)
CN (1) CN117063353A (ko)
WO (1) WO2022203231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638A (en) * 1975-07-31 1977-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eat-processed power board
JP2007265908A (ja) * 2006-03-29 2007-10-11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10020948A (ja) * 2008-07-09 2010-01-28 tian-mei Chen 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JP2015035293A (ja) * 2013-08-08 2015-02-1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6025019A (ja) * 2014-07-23 2016-02-0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KR20160060184A (ko) * 2014-11-19 2016-05-30 (주)용진일렉콤 동축 케이블용 유닛
JP2017091970A (ja) * 2015-11-16 2017-05-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18060726A (ja) * 2016-10-06 2018-04-1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6476B2 (ja) * 1993-02-23 2002-12-16 松下電工株式会社 Tv同軸プラグ
JP3383635B2 (ja) * 2000-05-24 2003-03-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アングルプラグコネクタ
CN102725921B (zh) * 2010-03-30 2015-08-19 株式会社藤仓 同轴连接器
JP7057968B2 (ja) * 2018-03-30 2022-04-21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同軸プラグ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638A (en) * 1975-07-31 1977-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eat-processed power board
JP2007265908A (ja) * 2006-03-29 2007-10-11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10020948A (ja) * 2008-07-09 2010-01-28 tian-mei Chen 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JP2015035293A (ja) * 2013-08-08 2015-02-1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6025019A (ja) * 2014-07-23 2016-02-0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KR20160060184A (ko) * 2014-11-19 2016-05-30 (주)용진일렉콤 동축 케이블용 유닛
JP2017091970A (ja) * 2015-11-16 2017-05-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18060726A (ja) * 2016-10-06 2018-04-1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231A1 (ko) 2022-09-29
KR102569846B1 (ko) 2023-08-23
CN117063353A (zh) 2023-11-14
US20240170864A1 (en) 2024-05-23
JP2024511127A (ja) 2024-03-12
EP4300719A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2148A (en) Shielded connector housing for use with a multiconductor shielded cable
KR940003482B1 (ko) 무선주파잡음의 저감방법 및 장치
JP3848300B2 (ja) コネクタ
KR970068039A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CN109524848B (zh) 屏蔽连接器及其连接方法
JP2019185858A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36185A (en) Metallic connector housing
US2454838A (en) Plug assembly
JPWO2020153347A1 (ja) 信号ケーブル
JP708465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プラグコネクタと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US11469552B2 (en) Plug connector slidably inserted into receptacle connector
US4598969A (en) Termination means
US20220393409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50074281A (ko) 동축적 플러그 연결
KR102569846B1 (ko)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513227B1 (ko)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311609B1 (ko) 초고주파 신호 전송용 동축케이블 메일(male) 커넥터
JP7103545B1 (ja) 電気コネクタ
JP2022015924A (ja) 電気コネクタ
JPS5935974Y2 (ja) コネクタ
JP2006040905A (ja) コネクタ
KR20180060331A (ko)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