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27B1 -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27B1
KR102513227B1 KR1020210006556A KR20210006556A KR102513227B1 KR 102513227 B1 KR102513227 B1 KR 102513227B1 KR 1020210006556 A KR1020210006556 A KR 1020210006556A KR 20210006556 A KR20210006556 A KR 20210006556A KR 102513227 B1 KR102513227 B1 KR 10251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ignal conductor
cable
signa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375A (ko
Inventor
김병남
강경일
임종협
최재건
이동욱
전진국
박성규
함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뷰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뷰,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to KR102021000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27B1/ko
Priority to US18/261,790 priority patent/US20240204466A1/en
Priority to EP22739762.7A priority patent/EP4280394A1/en
Priority to JP2023542648A priority patent/JP2024503846A/ja
Priority to PCT/KR2022/000724 priority patent/WO2022154570A1/ko
Priority to CN202280009305.1A priority patent/CN116746005A/zh
Publication of KR2022010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예컨대, 유무선 통신기기 등)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장치 또는 다른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사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과 결합되며,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체결되어 케이블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 간의 전기적, 물리적 결합은 클램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클램핑 결합은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요인이 될뿐더러, 전기적,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고주파 신호의 경우 클램핑 부분에서 차폐(shield) 성능 및 임피던스 매칭이 불안정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 간의 전기적, 물리적 결합이 클램핑을 사용하지 않고 솔더링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차폐(shield) 성능 및 임피던스 매칭을 개선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마주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과 솔더링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의 단부는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의 내경은 상기 케이블의 외부도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 부분과 상기 케이블의 외부도체 사이에 솔더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바디의 중공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하부 가이드홈, 제2 하부 가이드홈, 제3 하부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하부 가이드홈, 상기 제2 하부 가이드홈, 상기 제3 하부 가이드홈과 각각 마주하는 제1 상부 가이드홈, 제2 상부 가이드홈, 제3 상부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가이드홈과 상기 제1 상부 가이드홈에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유전체가 안착되고, 상기 제2 하부 가이드홈과 상기 제2 상부 가이드홈에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가 안착되고, 상기 제3 하부 가이드홈과 상기 제3 상부 가이드홈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상기 케이블의 외부도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하부 목부 및 상부 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목부 및 상부 목부의 입구 부분과 상기 외부도체 사이에 솔더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 또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안의 상기 외부도체와 그 주변에 솔더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의 하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에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 간의 전기적, 물리적 결합이 클램핑을 사용하지 않고 솔더링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차폐(shield) 성능 및 임피던스 매칭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상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e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1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상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고,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며,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별개의 부품이 아니라 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기둥형의 신호용 도체(210)와, 신호용 도체(210)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220)와, 신호용 도체(210)와 접지용 도체(220)와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신호용 도체(110), 접지용 도체(120), 절연체(130), 하부 바디(140), 상부 바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용 도체(1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신호용 도체(110)는 하부 부분(111), 중간 부분(112), 상부 부분(113)을 포함한다.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가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절개홈(111a)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접지용 도체(12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용 도체(120)는 신호용 도체(110)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접지용 도체(120)는 하부 부분(121)과 상부 부분(12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가 하부 부분(121)에 삽입되어 하부 부분(121)의 내주면과 접지용 도체(220)의 외주면이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은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절개홈(121a)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오목부(220a)가 형성되고 하부 부분(121)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볼록부(121b)가 형성되어, 오목부(220a)에 볼록부(121b)가 계합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절연체(130)는, 신호용 도체(110)를 둘러싸면서 접지용 도체(120)에 둘러싸여 신호용 도체(110)와 접지용 도체(120) 사이를 절연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절연체(130)는, 상부의 제1 부분(131)과 하부의 제2 부분(132)을 포함한다.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은 제1 부분(131)의 아래로 돌출되고, 신호용 도체(110)의 중간 부분(112)은 제1 부분(131)의 중공(130a)에 삽입되며,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은 제1 부분(131)의 위로 돌출된다.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은 제1 부분(131)의 아래로 돌출되고, 접지용 도체(120)의 상부 부분(122)은 제1 부분(131)를 둘러싼다. 접지용 도체(120)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제1 부분(131)의 하부 가장자리가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 절연체(130)의 제2 부분(132)은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을 둘러싸면서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부분(132)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지용 도체(220)에 삽입되도록 그 외경이 접지용 도체(2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부분(132)은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을 보호함과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100)의 신호용 도체(110) 및 접지용 도체(12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신호용 도체(210) 및 접지용 도체(22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바디(140)는 하부 하우징(141)과 하부 가이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41)에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141a)이 형성되어, 중공(141a)에 접지용 도체(120)의 상부 부분(122)이 수용된다. 접지용 도체(120)의 하부 부분(121) 및 신호용 도체(110)의 하부 부분(111)은 하부 하우징(141) 아래로 노출된다. 하부 바디(140)의 중공(141a)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접지용 도체(120)의 상부 부분(122)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바디(150)는 하부 바디(140) 위에 결합되며, 상부 하우징(151)과 상부 가이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51)은, 하부 하우징(141)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151a)이 형성되어, 중공(151a)이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가이드부(142)는 하부 하우징(141)의 일측에서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한다. 상부 가이드부(152)는, 하부 가이드부(142)와 마주하여, 하부 가이드부(142)와 함께 상부 하우징(151)의 일측에서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한다. 하부 가이드부(142)와 상부 가이드부(152)는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60)을 형성한다.
케이블(300)은 하부 가이드부(142)와 상부 가이드부(152)를 통해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되어, 케이블(300)의 신호선(310)의 단부가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은 케이블(300)의 신호선(310)과 솔더링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신호선(내부도체)(310), 신호선(310)의 전자기파를 차폐(shield)하며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만들어지는 외부도체(330), 신호선(310)과 외부도체(330) 사이를 절연시키고 분리하는 유전체(320), 외부도체(330)를 보호하는 외피(자켓)(3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신호용 도체(110) 쪽의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신호선(310)이 노출되는 부분, 유전체(320)가 노출되는 부분, 외부도체(330)가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부(142)는, 하부 바디(140)의 중공(141a)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하부 가이드홈(142a), 제2 하부 가이드홈(142b), 제3 하부 가이드홈(14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152)는, 상부 바디(150)의 중공(151a)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상부 가이드홈(152a), 제2 상부 가이드홈(152b), 제3 상부 가이드홈(15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가이드홈(152a), 제2 상부 가이드홈(152b), 제3 상부 가이드홈(152c)은 각각 제1 하부 가이드홈(142a), 제2 하부 가이드홈(142b), 제3 하부 가이드홈(142c)과 마주한다.
하부 바디(140)와 상부 바디(150)가 결합되면, 제1 내지 제3 하부 가이드홈(142a, 142b, 142c)과 제1 내지 제3 상부 가이드홈(152a, 152b, 152c)은 케이블(300)을 신호용 도체(110) 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60)을 형성한다.
제1 하부 가이드홈(142a)과 제1 상부 가이드홈(152a)에 케이블(300)의 노출된 유전체(320)가 안착되고, 제2 하부 가이드홈(142b)과 제2 상부 가이드홈(152b)에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가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관(160)의 제1 하부 가이드홈(142a)과 제1 상부 가이드홈(152a) 부분의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유전체(32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관(160)의 제2 하부 가이드홈(142b)과 제2 상부 가이드홈(152b) 부분의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300)의 외부도체(330)가 노출되는 부분은 가이드관(160)의 바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관(160)의 제3 하부 가이드홈(142c)과 제3 상부 가이드홈(152c) 부분의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관(160)의 입구의 내경은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관(160)의 입구 부분(즉, 가이드관(160)의 제3 하부 가이드홈(142c)과 제3 상부 가이드홈(152c) 부분)과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 사이에 솔더링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와 하부 바디(140) 및 상부 바디(150)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바디(140)와 상부 바디(15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바디(140)와 상부 바디(150)는 우수한 차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e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부 바디(1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신호선(310), 유전체(320), 외부도체(330)가 노출된 케이블(300)을 하부 바디(140) 상에 정렬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케이블(300)을 제1 내지 제3 하부 가이드홈(142a, 142b, 142c)에 안착시켜 신호선(310)의 단부가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케이블(300)의 노출된 신호선(310)과 신호용 도체(110)의 상부 부분(113)을 솔더링하여 제1 솔더링부(170)를 형성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하부 바디(140) 위에 상부 바디(150)를 결합한다.
도 6e를 참조하면, 가이드관(160)의 입구 부분을 솔더링하여 제2 솔더링부(180)를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다.
하부 가이드부(142)와 상부 가이드부(143)의 일측에는 각각 케이블(300)의 노출된 외부도체(330)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하부 목부(143)와 상부 목부(15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하여, 하부 목부(143)와 상부 목부(153)의 입구 부분과 외부도체(330) 사이에 제2 솔더링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다.
하부 가이드부(142')와 상부 가이드부(152')는 케이블(300)의 외부도체(3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외피(자켓)(340) 부분까지 덮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부(152')의 외부도체(330)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홀(154)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가이드부(142')의 외부도체(330)가 위치하는 부분에도 상하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관통홀(154) 안의 외부도체(330)와 그 주변에 제2 솔더링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플러그 커넥터
200 : 리셉터클 커넥터
300 : 케이블
110 : 신호용 도체
120 : 접지용 도체
130 : 절연체
140 : 하부 바디
150 : 상부 바디
141 : 하부 하우징
151 : 상부 하우징
142 : 하부 가이드부
152 : 상부 가이드부

Claims (11)

  1.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마주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의 내경은 상기 케이블의 외부도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 부분과 상기 케이블의 외부도체 사이에 솔더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과 솔더링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의 단부는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바디의 중공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 하부 가이드홈, 제2 하부 가이드홈, 제3 하부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하부 가이드홈, 상기 제2 하부 가이드홈, 상기 제3 하부 가이드홈과 각각 마주하는 제1 상부 가이드홈, 제2 상부 가이드홈, 제3 상부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가이드홈과 상기 제1 상부 가이드홈에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유전체가 안착되고, 상기 제2 하부 가이드홈과 상기 제2 상부 가이드홈에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가 안착되고, 상기 제3 하부 가이드홈과 상기 제3 상부 가이드홈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상기 케이블의 외부도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마주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하부 목부 및 상부 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목부 및 상부 목부의 입구 부분과 상기 외부도체 사이에 솔더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신호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는 환형의 접지용 도체;
    상기 신호용 도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둘러싸여 상기 신호용 도체와 상기 접지용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환형의 절연체;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위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용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상부의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위로 돌출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용 도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아래로 돌출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를 둘러싸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 및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아래로 노출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하고, 하부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상부 부분의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와 마주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신호용 도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 또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안의 상기 외부도체와 그 주변에 솔더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하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신호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을 둘러싸면서 상기 접지용 도체의 상기 하부 부분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10006556A 2021-01-18 2021-01-18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51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56A KR102513227B1 (ko) 2021-01-18 2021-01-18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US18/261,790 US20240204466A1 (en) 2021-01-18 2022-01-14 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EP22739762.7A EP4280394A1 (en) 2021-01-18 2022-01-14 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JP2023542648A JP2024503846A (ja) 2021-01-18 2022-01-14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に結合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PCT/KR2022/000724 WO2022154570A1 (ko) 2021-01-18 2022-01-14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CN202280009305.1A CN116746005A (zh) 2021-01-18 2022-01-14 连接至插座连接器的插头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56A KR102513227B1 (ko) 2021-01-18 2021-01-18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75A KR20220104375A (ko) 2022-07-26
KR102513227B1 true KR102513227B1 (ko) 2023-03-23

Family

ID=8244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56A KR102513227B1 (ko) 2021-01-18 2021-01-18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204466A1 (ko)
EP (1) EP4280394A1 (ko)
JP (1) JP2024503846A (ko)
KR (1) KR102513227B1 (ko)
CN (1) CN116746005A (ko)
WO (1) WO20221545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4588A (ja) * 2016-03-23 2017-09-28 Smk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CN109244713A (zh) * 2018-09-29 2019-01-18 深圳市品川能源电气有限公司 一种简化结构连接器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082B2 (ja) * 1996-06-03 2001-02-1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ー
KR200308178Y1 (ko) * 2002-12-27 2003-03-19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JP5355781B2 (ja) * 2010-03-30 2013-11-27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JP6915392B2 (ja) * 2017-06-13 2021-08-04 I−Pex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4588A (ja) * 2016-03-23 2017-09-28 Smk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CN109244713A (zh) * 2018-09-29 2019-01-18 深圳市品川能源电气有限公司 一种简化结构连接器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3846A (ja) 2024-01-29
EP4280394A1 (en) 2023-11-22
US20240204466A1 (en) 2024-06-20
CN116746005A (zh) 2023-09-12
KR20220104375A (ko) 2022-07-26
WO2022154570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395B2 (en) Coaxial cable termination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6739793B2 (ja) 同軸コネクタ
JP6994081B2 (ja) 超高周波信号伝送用小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1043941A (ja) 基板に設置可能な同軸コネクタ
JP2019185858A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829127B (zh) 同轴连接器
CN113725642B (zh) 包括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件
KR102513227B1 (ko)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CN110504597A (zh) 屏蔽连接器
US20220393409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569846B1 (ko)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JP7103545B1 (ja) 電気コネクタ
KR102311610B1 (ko) 초고주파 신호 전송용 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TWI802517B (zh) 電纜連接器及其金屬殼體
EP4391237A1 (en) Cable connector
JP2024068587A (ja) コネクタ、ケーブル付き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20240063361A (ko) 동축 커넥터
JP2024068586A (ja) コネクタ装置
US9071012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CA2409887A1 (en) Electrical pin contact
WO2014182758A1 (en) Phono connector
JP2004253178A (ja) 高整合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