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331A -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 Google Patents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331A
KR20180060331A KR1020160159710A KR20160159710A KR20180060331A KR 20180060331 A KR20180060331 A KR 20180060331A KR 1020160159710 A KR1020160159710 A KR 1020160159710A KR 20160159710 A KR20160159710 A KR 20160159710A KR 20180060331 A KR20180060331 A KR 2018006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able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순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331A/ko
Publication of KR2018006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서 상기 외주면의 일측 말단으로 외경이 축소되고 케이블의 차폐부에 접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접속재 바디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부를 감싸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을 수용하고,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의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재는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링 사이에 위치하여 접속링이 차폐부를 감싸고 클램프부를 통해 접속링을 압착함으로써 케이블 차폐부의 손상이 없는 우수한 압착력을 유지하고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GLAND TYPE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링 사이에 위치하여 접속링이 차폐부를 감싸고 클램프부를 통해 접속링을 압착함으로써 우수한 압착력과 접촉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선박에는 각종 전자기기나 통신기기 등의 다양한 기기들이 설치되며, 이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통신을 위하여 다양한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때, 케이블의 말단 측과 연결된 전원 및 신호 처리부의 함체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해 케이블 접속재가 사용된다. 케이블은 함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경유하여 인출되는데, 케이블 접속재는 함체의 관통구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 관통구와 케이블 사이에 방수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코어, 전류가 코어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체, 순환 전류에 의한 과열방지와 전자기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층, 절연체 및 차폐층을 보호하기 위한 외피층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종래의 케이블 접속재는 함체의 관통구에 설치된 바디(body)와,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호캡(boot) 및 바디와 보호캡 사이에 개재되는 압착링(crimp ring)을 포함하며, 바디와 압착링 및 보호캡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구에 연속적으로 내장 설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케이블 접속재의 구조인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 접속은 케이블의 코어(11)와 절연층(12)을 바디(23)의 관통로에 삽입하고, 케이블의 차폐층(13)이 바디의 일측을 감싸도록 한다. 압착링(22)을 케이블의 외피층(14)과 차폐층을 포함하도록 체결하고 압착링을 압착하면 케이블이 바디에 고정되고, 보호캡(21)을 바디에 결합하면 케이블은 케이블 접속재에 의해 결합됨과 동시에 보호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압착링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차폐층의 재료에 따라 차폐층의 손상을 야기하게 되어 차폐층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와 차폐층 손상을 방지하고자 압착링 압착시 압력을 줄이게 되면 압착력이 유지가 되지 않아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링 사이에 위치하여 접속링이 차폐부를 감싸고 클램프부를 통해 접속링을 압착함으로써 케이블 차폐부의 손상이 없는 우수한 압착력을 유지하고 접촉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는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서 상기 외주면의 일측 말단으로 외경이 축소되고 케이블의 차폐부에 접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접속재 바디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부를 감싸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을 수용하고,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의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재 바디부는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함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재 바디부의 외주면 타측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링은 상기 접속링의 중앙에서 상기 접속링의 일측 말단으로 내경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는 너트부에서 상기 클램프부의 일측 말단까지 외주면이 평활면으로 형성된 제 1 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는 제 1 클램프 및 상기 제 1 클램프와 결합하는 제 2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클램프는 상기 제 2 클램프와 결합을 위하여 일측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에서 제 1 클램프의 타측 말단까지 외주면이 평활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클램프는 상기 접속링을 수용하고,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결합을 위하여 일측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램프와 결합을 위하여 너트부에서 제 2 클램프의 타측 말단까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에 의하면,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링 사이에 위치하여 접속링이 차폐부를 감싸고 클램프부를 통해 접속링을 압착함으로써 케이블 차폐부의 손상이 없이 우수한 압착력을 유지하고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는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서 상기 외주면의 일측 말단으로 외경이 축소되고 케이블의 차폐부에 접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접속재 바디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부를 감싸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을 수용하고,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의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100)는 클램프부, 접속링(120) 및 접속재 바디부(130)를 포함하며, 접속함(300)과의 겹합을 위한 접속재 너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랩프부, 접속링, 접속재 바디부 및 접속재 너트는 예시적으로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접속재 바디부(130)는 케이블의 코어(210)와 절연부(2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로와 접속함(300) 등과의 결합 고정에 사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너트부에서 접속재 바디부의 외주면의 일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서 일측 말단으로 외경이 축소되고 케이블의 차폐부(230)에 접하는 경사부(131)를 포함한다.
또한, 접속재 바디부(130)는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함(3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너트부에서 접속재 바디부의 외주면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은 접속재 너트(140)를 통해 접속함(30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속링(120)은 케이블의 코어(210)와 절연부(2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131)에 접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부(230)를 감싸게 되며, 접속링의 중앙에서 일측 말단으로 내경이 증가할 수 있다. 접속링의 중앙에서 일측 말단으로 내경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경사부(131)에 접속하는 차폐부(230)를 감싸는 면적이 넓어져 차폐부(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부는 케이블의 코어(210), 절연부(220), 차폐부(230) 및 외피부(24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로와 케이블 바디부(130) 등과의 결합 고정에 사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링(120)을 수용하고, 상기 경사부(131)가 형성된 측의 상기 접속재 바디부(130)와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부는 너트부에서 클램프부의 일측 말단까지 외주면이 평활면으로 형성된 제 1 클램프(110)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예시를 설명한다.
먼저 접속재 바디부(130)와 접속함(300)을 결합하며, 이때 접속재 너트(140)를 사용하여 더 견고하게 겹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미도시되어 있으나, 제 1 클램프(110)와 접속링(120)이 체결된 케이블을 접속한다. 케이블의 코어(210)와 절연부(220)가 접속재 바디부(130)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케이블의 차폐부(230)를 접속재 바디부의 경사부(131)에 접속한 후 접속링(120)이 케이블의 차폐부(230)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제 1 클램프(110)를 접속재 바디부(130)에 결합함으로써 케이블 접속을 완료한다.
제 1 클램프(110)가 케이블의 차폐부(230)를 감싸도록 위치한 접속링(120)을 수용하면서 접속재 바디부(13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링(120), 케이블의 차폐부(230) 및 접속재 바디부의 경사부(131)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케이블 차폐부(230)의 손상이 없이 우수한 압착력을 유지하고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부는 제 1 클램프(110) 및 상기 제 1 클램프와 결합하는 제 2 클램프(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클램프의 구조는 전술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클램프(150)는 상기 접속링(120)을 수용하고, 상기 접속재 바디부(130)와 결합을 위하여 일측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램프(1100와 결합을 위하여 너트부에서 제 2 클램프의 타측 말단까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한다.
제 1 클램프(110)와 접속재 바디부(130) 사이에 제 2 클램프(150)를 더 구비함으로써 접속함(300)에 결합된 케이블이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이탈되거나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접속재 110 : 제 1 클램프
120 : 접속링 130 : 접속재 바디부
131 : 경사부 140 : 접속재 너트
150 : 제 2 클램프 210 : 코어
220 : 절연부 230 : 차폐부
240 : 외피부 300 : 접속함

Claims (5)

  1.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서 상기 외주면의 일측 말단으로 외경이 축소되고 케이블의 차폐부에 접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접속재 바디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부를 감싸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을 수용하고,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의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 바디부는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접속함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재 바디부의 외주면 타측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더 구비한 것인 케이블 접속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링은 상기 접속링의 중앙에서 일측 말단으로 내경이 증가하는 것인 케이블 접속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너트부에서 클램프부의 일측 말단까지 외주면이 평활면으로 형성된 제 1 클램프인 것인 케이블 접속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제 1 클램프 및 상기 제 1 클램프와 결합하는 제 2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클램프는 상기 제 2 클램프와 결합을 위하여 일측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에서 제 1 클램프의 타측 말단까지 외주면이 평활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클램프는 상기 접속링을 수용하고, 상기 접속재 바디부와 결합을 위하여 일측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램프와 결합을 위하여 너트부에서 제 2 클램프의 타측 말단까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인 케이블 접속재.
KR1020160159710A 2016-11-28 2016-11-28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KR20180060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10A KR20180060331A (ko) 2016-11-28 2016-11-28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10A KR20180060331A (ko) 2016-11-28 2016-11-28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331A true KR20180060331A (ko) 2018-06-07

Family

ID=6262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10A KR20180060331A (ko) 2016-11-28 2016-11-28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3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700A (en) Interface cable connection
US4272148A (en) Shielded connector housing for use with a multiconductor shielded cable
US11670925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elded cable
US9123453B2 (en) Cable gland
US10128621B2 (en) Cable connector
US9039450B2 (en) Termination arrangement for a cable bundle
CN107994383B (zh) 连接器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CA2111997A1 (en) Earthed cable gland
US5536185A (en) Metallic connector housing
KR101975674B1 (ko)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US7044795B2 (en) Miniatur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20180060331A (ko) 글랜드형 케이블 접속재
US8366488B2 (en) Microphone connector
KR101731777B1 (ko) 방수성능이 향상된 커넥터
KR102083099B1 (ko) 전자파 차폐용 케이블 커넥터
CN215266709U (zh) 一种防护型的端子接头
KR200180521Y1 (ko) 오디오 연결 케이블
CN112152021A (zh) 电连接端子和电连接装置
JPH058563Y2 (ko)
KR960007969Y1 (ko) 전기단자부
JP2021087236A (ja) コネクタ
KR100947140B1 (ko) 방수형 차폐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KR20090048080A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