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080A -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080A
KR20090048080A KR1020070114287A KR20070114287A KR20090048080A KR 20090048080 A KR20090048080 A KR 20090048080A KR 1020070114287 A KR1020070114287 A KR 1020070114287A KR 20070114287 A KR20070114287 A KR 20070114287A KR 20090048080 A KR20090048080 A KR 2009004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terminal
waterproof connector
hous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훈
연복희
노용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080A/ko
Publication of KR2009004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케이블의 단말처리 부분과, 상기 케이블의 도체심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수밀되게 수용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처리 부분과 상기 접속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미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경을 갖는 케이블 도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홀딩하는 홀더를 구비한 리어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이 용이하고, 외력을 효과적으로 막아내어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높은 방수성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다.
커넥터, 방수, 하우징, 리어커버, 실링부재

Description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Housing assembly for 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고정하고 하우징의 후미 부분을 통해 침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커버(rear cover)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자동차용 케이블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이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케이블의 외부시스를 벗겨낸 다음 절연피복이 제거된 도체심선을 터미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한 후 하우징 내부에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렇게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된 터미널은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상대편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방수기능이 부여된 방수 커넥터는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뒤쪽으로부터 단자를 삽입하고, 상기 단자의 후단부에 압착한 전선을 하우징의 후단면으로부터 외부에 도출시키고 전선에 외감한 고무마개를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뒤쪽으 로부터의 침수를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의 후단면에 고무 마개가 노출되기 때문에 세차시 고압 세척수에 의해 마개가 변형되면서 커넥터 내부가 침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 외부에 도출된 전선이 외력에 의해 휨이 발생할 경우에도 고무마개가 변형되어 침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 하우징 후단부에 리어커버를 설치하여 하우징의 후단면에 고무마개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리어커버는 하우징 후방으로 케이블을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가 대형화되고, 외부로 도출된 전선이 외력을 받아 휨이 발생할 때 리어커버가 이를 지탱할 수가 없어 침수 및 단자 흔들림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을 하우징 외부로 분산시키는 구조를 통해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리어커버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면을 홀딩(holding)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케이블의 단말처리 부분과, 상기 케이블의 도체심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수밀되게 수용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처리 부분과 상기 접속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미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경을 갖는 케이블 도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홀딩하는 홀더를 구비한 리어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후미 부근의 외부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케이블 도입구를 제공하는 중공이 마련된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고정링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고,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홀딩하는 한 쌍의 홀더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진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홀더가 구비된 리어커버로 하우징의 후미를 체결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하우징 후단부에 도출된 전선으로 외부에 힘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내어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방수성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홀더편이 하우징의 외부면을 홀딩하도록 구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케이블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리어커버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켜 견고한 결합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 몸체를 제공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후미에 체결되는 리어커버(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실린더 형태의 절연체로서, 케이블(10)의 단말처리 부분(30)과 접속단자(20)를 수밀되게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단말처리 부분(30)은 케이블(10)의 외부시스(14)와 내부 절연피복 사이에 개재된 편조 차폐층을 외부시스(14) 바깥으로 노출시켜 하우징(100) 내부의 소정 접지편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구성을 갖는다.
접속단자(20)는 케이블 도체심선(12)에 클램핑(clamping)되는 접속부(22)와,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4)와, 접속부(22)의 앞단에 위치하여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나, 타 케이블의 도체심선 또는 이 도체심선에 연결된 접속단자(이하, '외부단자'라 함)와 접속되는 단자헤드(26)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자헤드(26)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외부단자에 삽입되거나, 외부단자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는 단자헤드(26)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우징(100) 내부에 있어서, 접속단자(20)의 고정부재(24)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고정부재(24)의 홈이 안착될 수 있는 탄성편(104)이 마련된다. 아울러, 하우 징(100)의 앞쪽 부분에는 상대편 커넥터의 하우징(미도시)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된 수용부(106)가 마련된다.
하우징(100)의 후미에는 리어커버(200)가 체결되어 케이블(10)을 도입, 고정 및 마감하고, 하우징(100) 내부에 대한 침수를 방지한다.
방수성능을 보다 높이기 위해 하우징(100) 내부에는 케이블(10)을 감싸면서 하우징(100)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300)가 설치된다. 실링부재(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지닌 고무링으로서, 케이블(10)의 외부시스(14)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하고, 외주에는 바람직하게 주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실링부재(3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리어커버(200)의 안쪽면과 밀착되는 동시에 그 외주 부분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어커버(200)는 케이블 도입구(212)를 제공하는 고정링(210)과, 고정링(210)의 바깥둘레를 둘러싸는 지지대(220)와, 지지대(220)로부터 연장된 리어홀더(230)를 구비한다.
고정링(210)에는 케이블(10)의 외부시스(14)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블 도입구(212)를 제공한다.
리어홀더(230)는 고정링(210)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지지대(2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하우징(100)의 외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면을 홀딩하는 한 쌍의 홀더편(230a,230b)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리어홀더(230)는 셋 이상의 홀더편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의 외부면을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 쌍의 홀더편(230a,230b)은 하우징(100)의 후미 부근 외부면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홀더편(230a,230b)에는 체결공(232)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외부면에는 체결공(232)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체결돌기(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홀더편(230a,230b)은 하우징(100)의 외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리어커버(200)의 케이블 도입구(212)를 관통하여 케이블(10)을 도입한 후 케이블(10)의 외부시스(14)를 감싸도록 실링부재(300)를 외감하고, 단말처리 부분(30)과 접속단자(20)를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한 후 리어커버(200)를 하우징(100)의 후미에 체결하는 작업에 의해 조립된다.
특히, 리어커버(200)에는 한 쌍의 홀더편(230a,230b)으로 이루어진 리어홀더(230)가 마련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면을 홀딩한다. 따라서, 케이블(10)에 가해지는 외력은 리어홀더(230)를 거쳐서 하우징(100)의 외부로 분산되고, 케이블(10)과 그에 외감된 실링부재(300)는 하우징(100)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방수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케이블 12 : 도체심선
14 : 외부시스 20 : 접속단자
22 : 접속부 24 : 고정부재
26 : 단자헤드 30 : 단말처리 부분
100 : 하우징 102 : 체결돌기
104 : 탄성편 106 : 수용부
200 : 리어커버 210 : 고정링
212 : 케이블 도입구 220 : 지지대
230 : 리어홀더 230a, 230b : 홀더편
232 : 체결공 300 : 실링부재

Claims (4)

  1. 케이블의 단말처리 부분과, 상기 케이블의 도체심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수밀되게 수용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처리 부분과 상기 접속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미에 체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경을 갖는 케이블 도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홀딩하는 리어홀더를 구비한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미 부근의 외부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케이블 도입구를 제공하는 중공이 마련된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고정링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고,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 면을 홀딩하는 한 쌍의 홀더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진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KR1020070114287A 2007-11-09 2007-11-09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KR2009004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87A KR20090048080A (ko) 2007-11-09 2007-11-09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87A KR20090048080A (ko) 2007-11-09 2007-11-09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080A true KR20090048080A (ko) 2009-05-13

Family

ID=4085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287A KR20090048080A (ko) 2007-11-09 2007-11-09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008A (ko) * 2015-03-09 2016-09-21 (주)한기술이엔지 전기차단이 용이한 방수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008A (ko) * 2015-03-09 2016-09-21 (주)한기술이엔지 전기차단이 용이한 방수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6066B2 (en) Wire fixing member
US6583352B2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structure
US7494348B1 (e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143987A (en) Structure for waterproofing an end portion of a cable
US4674807A (en) Shielded connector
JP5062863B2 (ja) 小型丸形コネクタ組立体
CN109088223B (zh) 包含树脂的密封件和防水连接器
US7189117B2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it with a shielded cable
WO2007113307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US7347730B2 (en) Grommet
KR20080036800A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JP200802164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CN109273939A (zh) 连接器装置
JP2019003728A (ja)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100918135B1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KR20090048080A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CN107732563B (zh) 线缆连接器组件
JP2009043444A (ja) 防水コネクタ
JP2014225395A (ja) コネクタ
JP317423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編組接続構造
JP2002017019A (ja) ドレイン線を含む多芯線型シールドケーブル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