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281A - 동축적 플러그 연결 - Google Patents

동축적 플러그 연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281A
KR20050074281A KR1020047019493A KR20047019493A KR20050074281A KR 20050074281 A KR20050074281 A KR 20050074281A KR 1020047019493 A KR1020047019493 A KR 1020047019493A KR 20047019493 A KR20047019493 A KR 20047019493A KR 20050074281 A KR20050074281 A KR 20050074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socket
tongu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265B1 (ko
Inventor
볼프강 베 퇴르너
프리츠-제이. 라이흐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베 퇴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베 퇴르너 filed Critical 볼프강 베 퇴르너
Publication of KR2005007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소켓 및 연관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켓(1)은 그에 적당한 내부 접점 소자(3)을 가진 내부 접점 개구(2)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접점 개구(2)는 외부 접점 소자를 구비한 원통형으로 구성된 외부 플러그(4)에 의해 둘러싸인다. 엔터테인먼트 전자 장치 간의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전송시 이런 유형의 소켓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물질으로 만들어진 외부 플러그(4)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접점 소자는 그 접점 영역에서 접점 스트립(6)의 형태로 제공되며, 외부 플러그(4)의 외면 위에서의 외부 접접 소자의 경로는 원통형 나사선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동축적 플러그 연결{COAXIAL PLUG-AND-SOCKET CONNECTION}
본 발명은, 내부 접점 개구, 그 안에 배치된 내부 접점 소자 및 내부 접점 개구를 둘러싸고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접점 소자를 갖고 있는 외부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는,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그 위에 본 발명은, 내부 접점 핀을 위한 전기 절연 지지 소자가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 본체 및 내부 접점 핀으로부터 플러그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외부 접점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에도 관한 것이다.
그러한 동축적 플러그 연결기는 "신치(Cinch) 플러그" 또는 "RCA 플러그"란이름으로 알려져 있고,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비대칭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가정용 전자 기구들 사이에 분리형 케이블 연결을 이루는데 사용된다. 통상적 RCA 플러그는 보통,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접점 핀에 동축적으로 배치된 외부 접점을 갖고 있다. 이 외부 접점은 보통 축 방향으로 뻗는 슬릿들을 갖고 있는 링 형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릿이 형성된 이 금속 스트립에 의해 플러그는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소속(짝을 이루는) 신치- 또는 RCA-소켓의 외부 플러그에 맞물린다. 플러그를 소켓과 마찰 결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그런 RCA-플러그 연결법에서는 외부 접점의 슬릿 형성 금속 스트립의 스프링 탄성이 이용된다.
EP 1 049 206 A2로부터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용 소켓이 알려져 있는데, 이 소켓은 원통형 외부 접점 소자를 갖고 있다. 외부 접점 소자의 내측에는 탄성 접점 와이어가 부착되어 있고, 그 와이어의 외부 접점 소자의 내측에서의 경로는 나선형일 수 있다. 접점 와이어에 의해 공지의 소켓이 대응하는 플러그와 연결될 때의 삽입- 및 인출력이 결정된다.
또한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 용 내장 소켓이 JP 08-306443A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소켓의 경우에서도 역시 외부 접점 소자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접점 소자의 외측 위에는 융기부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융기부는 외부 접점 소자의 외면 위에 원형으로 또는 중단된 나사선 식으로 뻗는다. 이들 융기부에 의해 소켓의 외부 접점 소자가 짝을 이루는 플러그의 대응 외부 접점 소자와의 접촉성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동축 플러그를 수용할 추가 소켓이 DE 199 08 469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공지의 소켓 내에 삽입될 플러그는 원주 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는 소켓 내에 맞물려 저지된다.
또한 DE 199 27 713 C1로부터 고주파 공업에 사용하도록 의도된 동축적 차폐 소켓 용 다중 커플러가 알려져 있다. 공지의 커플러에서는 고정 장치(밀착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이 고정 장치는 플러그의 탄성 접점 소자와 접촉될 소켓의 대응 외부 접점 소자 사이에 접촉을 야기시키는 클램핑 력(결체력)을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종류의 플러그 연결기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전송의 품질의 견지에서 최적 미달의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내부 접점 핀과 외부 접점의 동축 배치가 실질적으로 통상적 플러그 연결의 경우의 임피던스를 결정한다. 그래서 특히 플러그의 임피던스가 결코 사용된 케이블의 파동 임피던스(특성 임피던스)에 적합화 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지점에서 전송된 신호가 반사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특히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플러그 연결부를 통해 높은 데이터 율로 전송될 때에 이것은 문제가 된다. 이 경우 비 선형 신호 왜곡으로 인해 비트 오차 및 상당한 데이터 손실이 생길 수 있고, 그리하여 플러그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의 재생의 품질이 심하게 저감된다. 그러나 불리한 것으로 밝혀진 것으로서 이미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전송시 선형 왜곡이 생기고 이 왜곡은 재생물의 품질에 현격하게 영향을 미친다. 그 위에, 내부 접점 핀을 통한 전류에 의해 외부 접점의 원통형 금속 스트립에 유도되는 와전류가 형성될 수 있고, 이 와전류는 심각하게 예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신호에 간섭하여 신호 전송을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WO 00/70717로부터 RCA-플러그가 알려져 있는데, 이 플러그는 통상적 RCA-소켓과의 플러그 연결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하여 앞에서 간단히 언급한 결점이 부분적으로는 방지된다.
공지의 RCA-플러그는 통상적인 슬릿 형성 금속 스트립 대신에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핀 모양으로 형성된 외부 접점 소자를 갖고 있고, 그 소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지지소자에 의해 전기 접점 형성에 필요한 작용 위치에서 내부 접점 핀에 대해 고정된다. 플러그를 짝을 이루는 소켓에 지지하기 위해 지지소자에는 역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칼라 섹션이 형성되어 있고, 그 칼라 섹션은 소켓의 원통형 외부 접점에 맞물려 있다. 핀 형 외부 접점은 칼라 섹션의 플라스틱 재료 내에 매립되어 있고, 그래서 접점 핀은 플러그가 소켓 내에 삽입될 때에 외측으로부터 소켓의 외부 접점 쪽으로 눌러진다. 핀 형 외부 접점은 공지의 RCA-플러그의 경우 그의 접촉 영역에서는 통형 또는 구형 또는 타원체 형으로 형성된다.
사실 상기 간행물로부터 알려진 RCA-플러그의 임피던스 거동은 상기한 통상적 RCA-플러그의 경우와는 분명히 다른데, 이것은 특히 여태까지 통상적인 내부 접점 핀에 동축 배치된 대지 접점(접지)으로서의 금속 스트립을 생략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 종류의 RCA-플러그와 전기적 플러그 연결을 형성할 때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의 측면(쪽)에는 여전히 상기한 부정적 성질이 주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소켓 내에 삽입된 플러그의 내부 접점 핀이 있는 내부 접점 개구는 통상적 RCA-소켓의 경우에는 외부 접점 소자를 형성하는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금속체에 의해 즉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외부 플러그의 원통형 금속 맨틀이 실질적으로 플러그 연결기의 상당한 용량을 결정한다. 그 위에 외부 플러그의 금속 맨틀 내에는 상기한 와전류가 유도되어 이것이 신호 전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투시도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소켓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대안적 실시예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도 5는 스탬핑 굴곡 부재로서 제조되어 있는 도 4에 표시된 소켓을 위한 외부 접점 소자를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연결 플러그의 투시도를 보여주고,
도 7은 도 4에 표시된 플러그의 두 번째 투시도를 보여주고,
도 8은 클램핑 케이싱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플러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은 상기 결점과 문제점이 가급적 철저히 제거될 수 있는 동축적 플러그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가정용 전자 기구들 사이 신호 전송에 관해 개선된 임피던스 거동을 갖고 특히 와전류가 외부 접점 소자에 나타나는 것이 방지되는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용 소켓이 제공된다.
이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소켓을 토대로 하여, 외부 플러그는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되며, 외부 접점 소자는 그의 접점 영역에서 접점 스트립으로 형성되고 이 스트립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에서의 경로는 원통형 나사선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통상적 RCA-플러그에서 보통인 원통형 금속 맨틀이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 외부 플러그에 의해 대치된다. 플러그의 외부 접점 소자와의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나사선 모양의 접점 스트립이 사용되고, 이 스트립은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소켓의 내부 접점 개구에 동축적으로 배치된 외부 접점 소자의 면적이 최소화되고, 이것은 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게 된다. 외부 접점 소자가 나사선 모양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외부 플러그의 외주 위 전체의 접점화가 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소켓이 통상적 RCA-플러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그러나 외부 접점 소자의 본 발명적 구성은 여기에 와전류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이유는 외부 접점 소자는 - 통상적 RCA-소켓에서와는 달리 - 내부 접점 개구를 둘러싸는 연결된 평면적 금속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특별히 간단하고 비용 유리한 제조 방범은, 이 소켓이 외부 플러그와 일체로 구성된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 기본체를 갖고, 외부 접점 소자는 금속성 스탬핑 굴곡 부재로서 기본체 내로 매립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방법으로 소켓은 케이블 소켓으로서 또는 하우징 내부 설치용 소켓으로서 문제점 없이 제조될 수 있다.
합목적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서는 외부 접점 소자의 접점 스트립은 외부 플러그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 형성 홈 내에 삽입된다. 이 방법으로 플러그를 소켓 내에 끼울 때 축 방향으로 힘이 외부 접점 소자의 접점 스트립 위에 작용할 때에도 외부 접점 소자가 확실하게 외부 플러그에 고정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그 위에, 내부 접점 소자가 전기 절연 재료로 된 지지체 내에 매립되고 그 지지체는 기본체의 해당 구멍 내로 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그리하여 내부 접점 소자와 더불어 소켓의 내용물을 형성하는 지지체는, 소켓의 선단부에 배치된 외부 플러그를 분리해야 할 필요 없이 예컨대 후방으로부터 소켓의 기본체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서는 나서 선의 피치가 실질적으로 외부 플러그의 길이에 상당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기에 따라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에서 외부 접점 소자가 주위 방향으로 각 임의의 지점들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 접점 스트립의 전체 면적이 최소화 되게 함으로써, 소켓의 용량은 가능한 한 작아지고 그 외에도 소켓은 상거래로 획득될 수 있는 각 RCA-플러그에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서는 내부 접점 소자 및/또는 외부 접점 소자를 전도성이 양호한 전해질-동으로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럼으로써 특히 소음 없는 연결부가 얻어질 수 있고 신호 손실은 최소화 될 수 있다.
특히 외부 플러그의 전기 절연 재료를 염색하는 것이 적합한데, 그 이유는 가정용 전자 기기에서는 연결부들 할당에 특정한 색 코드가 일반적으로 인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컨대 스테레오 폰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는 우측 및 좌측 채널에 적색과 백색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황색은 비디오 연결부를 나타낸다.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서는 외부 플러그 및/또는 기본체가 PTFE-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플론"이라는 상표 하에 거래되는 이 재료는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여, 예컨대 외부 접점 소자에 납땜에 의해 전기 도선을 고정할 경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외부 접점 소자는 열이 발생하여 내열성이 낮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켓의 외부 플러그나 기본체가 손상될 수 있다. 예컨대 PEEK-재료와 같은 기타의 내열성 플라스틱도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유리한 추가 태양에 있어서는 접점 스트립은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에서 둘 또는 그의 나선 섹션으로 분할되고 그 섹션들은 접점 다리를 통해 땜납 플랩과 연결된다. 이 구성은, 외부 접점 소자를 금속 스탬핑 굴곡 부재로 제조할 때, 제조 기법적으로 특별히 유리하다. 그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트립의 나서 선 형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나선 섹션들의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기술적 이점은 접점 스트립의 연속 나사선 형태의 경우에도 역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 즉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동축 플러그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소켓 뿐만 아니라 거기에 적합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를 준비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신호 전송과 관련된 연결기의 성질은 플러그와 소켓으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서두에 기재한 종류의 전기적 연결 플러그를 토대로, 본 발명은 다시 상기 목적을, 플러그의 외부 접점 소자는 그의 접촉 영역에서는 전기적 절연 접점 텅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를 소켓에 지지시키기 위해 내부 접점 핀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격리되어 있는 전기 절연 클램핑 텅이 배치되어 있고, 그 절연 클램핑 텅은 접점 텅과 함께 플러그 본체에서 축 방향으로 가동 안내되는 클램핑 케이싱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로 안쪽으로 눌러지게 함으로써 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실로, 통상적 RCA-소켓과 동축적으로 플러그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개선된 플러그 연결은 플러그가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함께 동축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형성할 때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서는 외부 접점 소자로서는 전기 전도성 접점 텅이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 접점 소자는 - 통상적 RCA-플러그의 경우와는 달리 - 내부 접점 핀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는다. 그리하여 다시 플러그 연결기의 용량은 감소되고 동시에 와전류의 발생도 방지된다. 플러그가 소켓에 확실하게 지지고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클램핑 케이싱에 의해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로 눌러지는 전기 절연 클램핑 텅이 배치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의 소켓과의 특히 강고한 마찰 결합적 연결이 보장된다. 상기한 WO 00/70717로부터 알려진 플러그에서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경우에는 외부 접점 소자는 클램핑 케이싱에 의해 확실히 적극적으로 소켓의 외부 소켓의 외면 위로 눌러진다. 공지 플러그의 경우에는 전기 접점 형성에 필요한 가압력이 전적으로 플러그의 핀 형 외부 점점이 매립되어 있는 스프링 탄성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초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소켓에 기계적으로 지지할 경우에는, 클램핑 케이싱에 의해 소켓의 외부 플러그 위로 눌러지는 접점 텅과 클램핑 텅이 공동으로 협력한다. 공지의 플러그의 경우에는 플러그의 소켓에의 기계적 지지가 단지 플라스틱 재료의 탄력에 의지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해 전기적 관점에서도 기계적 관점에서도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동축적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특별한 이점은, 플러그 연결부의 임피던스가 사용된 케이블의 파동 임피던스에 적합하도록 접점 텅의 면적이 선정될 수 있다는데 있다. 접점 텅의 면적은 말하자면 결정적으로 플러그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가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함께 동축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형성할 때에는, 이미 플러그의 제조시에 접점 텅의 면적을 적당히 예정함에 의해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기의 임피던스 거동이 최적화 되도록 돌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의 의미 있는 추가 양태에 있어서는 접점 텅은 그의 내측에 직선형 융기부를 갖는다. 그래서 선형 융기부를 통해 정확히 정해진 지점에서 소켓의 외부 접점 소자와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특히 플러그가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함께 사용될 때에 유리하다. 이 경우 접점 텅의 선형 융기부와 소켓의 나서 선형 접점 스트립은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중첩된다. 중첩 영역에 의해 플러그 연결기의 접촉 면적은 정밀하고 재현성 가능하게 결정되고, 특히 플러그 연결부의 임피던스는 플러그가 얼마나 깊이 소켓 내에 삽입되는가에 좌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나사선형 접점 스트립의 확실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의 측면 위에서 접점 텅의 종축 및/또는 선형 융기부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의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되게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경우 플러그의 선형 융기부와 소켓의 접점 스트립은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 하에 중첩되는 것이 유리하다.
합목적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의 경우에는 접점 텅 및/또는 클램핑 텅은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원통형 모양에 적합하는 곡률을 갖는다. 그리하여 한편으로는 클램핑 텅이 소켓의 외부 플러그에 평면상으로 접촉하는 것이 보장되는데, 이것은 소켓과 플러그 사이 연결의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유리하다. 그 위에 접점 텅과 클램핑 텅이 그 외측에 원추형 모양의 말단 섹션을 가자면, 그것은 접점 텅과 클램핑 텅이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로 눌러지게 하는 데에 유리하다. 즉 이를 위해 클램핑 케이싱이 그의 내면으로 원추형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접점 텅과 클램핑 텅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어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플러그 본체에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접점 텅과 클램핑 텅에서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클램핑 케이싱을 기본 소자 및 기본 소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 소자로 구성하고 링 소자를 그의 내측면으로 접점 텅과 클램핑 텅의 원추형 단부 섹션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용 유리하고 간단한 전기적 연결 플러그의 제조 가능성은 클램핑 텅이 플러그 본체에 형성되게 하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본체와 클램핑 텅은 예컨대 양극 산화된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기 절연성이고 특별히 딱딱한 표면을 갖고 있고, 이것은 클램핑 텅에 발생하는 마모의 점에 있어 유리하다. 대안적으로는 클램핑 텅은 내부 접점 핀을 위한 지지소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램핑 텅을 분리 가능한 맞물림(인게이지)- 또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 지지소자에 고정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지지소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부주의하게 취급할 경우에는 지지소자에 형성된 클램핑 텅이 절단될 가능성도 배제될 수 없다. 따라서 분리 가능한 맞물림- 또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 클램핑 텅을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플러그의 외부 접점 소자도 분리 가능한 맞물림- 또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 지지소자에 고정할 수 있으면 유리하다. 이 방법으로 외부 접점 소자가 교체될 수 있는데, 이것은 예컨대 상이한 크기의 접점 텅들을 가진 외부 접점 소자들을 사용하는 데에, 플러그 연결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데에, 그래서 사용된 케이블의 파동 임피던스에 최적하게 적합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그 위에 예컨대 외부 접점 소자를 케이블과 납땜 해 붙이기 위해 외부 점점 소자가 지지소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면 유리하다. 그럼으로써 경우에 따라 저융점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지지소자가 납땜 때에 외부 접점 소자를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러그와 소켓 사이 연결부의 높은 기계적 안정성의 견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라그에서는 클램핑 텅과 접점 텅이 지지소자의 외주에서 주위 방향으로 서로 균일하게 격리되어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연결 플러그가 두 개의 클램핑 텅을 가지면, 접점 텅과 더불어 세 점을 통해 플러그가 소켓에 접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 삼점 지지에 의해 두 클램핑 텅 뿐 아니라 접점 텅도 클램핑 케이싱에 의해 소켓의 외부 플러그에 균일하게 눌러지는 것이 확실해진다. 그리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 관점 하에서 확실한 연결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중요한 추가 태양에 따라 연결 플러그는 맞물림 연결부를 갖고, 그 연결부에 의해 전기 절연 지지소자는 플러그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의해 연결 플러그의 장착 시 및 케이블을 외부 접점 소자와 내부 접점 소자에 납땜할 때에 이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2 및 3은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된, 하우징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소켓을 보여준다. 소켓(1)은 선단에 내부 접점 개구(2)를 갖고 있고, 그 개구 내로는 소켓(1)에 적합하는 플러그의 내부 접점 핀이 삽입된다. 내부 접점 개구(2)의 내부에는 내부 접점 소자(3)가 플러그의 내부 접점 핀과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접점 개구(2)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외부 플러그(4)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그 외부 플러그는 전기 절연 재료, 예컨대 PTFE-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플러그(4)는 소켓(1)의 기본체(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켓(1)은 외부 접점 소자로서 접점 스트립(6)을 갖고 있는데, 이 스트립의 외부 플러그(4)의 외면 위에서의 경로는 원통형 나사선을 형성한다. 외부 접점 소자는 금속 스탬핑 굴곡부재(7)로서 소켓(1)의 기본체(5) 내에 매립되어 있다. 소켓(1)의 후측에서는 스탬핑 굴곡 부재(7)가 접점 플랩(8)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플랩에는 케이블이 납땜될 수 있다. 접점 스트립(6)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외부 플러그(4)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형성 홈 내에 삽입되어 있다. 내부 접점 소자(3)는 전기 절연 재료로 된 지지체(9) 내에 매립되어 있고, 그 지지체는 소켓(1)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본체(5)의 대응 구멍 내로 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소켓(1)의 후측에서는 내부 접점 소자(3)는 다시 케이블에 납땜되기 위한 플랩(10)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1)은 외측에 나삿니 섹션(11)을 갖고 있다. 나삿니 위에는 해당하는 너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그 너트는 소켓(1)의 기본체(5)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12)와 협동하여 소켓(1)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벽에 소켓(1)을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대안적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선 형태가, 접점 스트립이 외부 플러그(4)의 외면 위에서 두 나선 섹션(6'및 6'')으로 분할되어 있음으로써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구리로 된 스탬핑 굴곡 부재(7)로서 제조된, 도 4에 표시된 소켓의 외부 점점 소자의 형상을 보여준다. 나선 섹션들(6'및 6'' 접점 다리(6''')를 통해 케이블을 소켓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 플랩(8)에 연결되어 있다.
도 6, 7 및 8은 전체로서 부재 번호 13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연결 플러그를 보여준다. 플러그(13)는 플러그 본체(14)를 갖고 있고, 그 본체에는 내부 접점 핀(16)을 위한 전기적 절연 지지소자(15)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소자(15)에는 그 외에도 플러그(13)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격리된 외부 접점 소자(17)가 고정되어 있고, 그 외부 접점 소자는 그의 접촉 영역에서는 전기 전도 접점 텅(18)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13)를 해당 소켓에 지지하기 위해 내부 접점 핀(16)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격리된 두 개의 전기적 절연 클램핑 텅(19)이 제공되어 있고, 그 텅들은 지지소자(15)에 형성되어 그것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클램핑 텅들(19)이 적당한 분리형 맞물림- 또는 플러그-연결기에 의해 지지소자(15)에 고정될 수 있게 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도 6과 7을 따라, 접점 텅(18)과 클램핑 텅(19)이 해당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원통 형태에 적합하는 곡률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접점 텅(18)과 클램핑 텅(19)은 그 외측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말단 섹션을 갖고, 그 섹션에는 기초 소자(20)와 링 소자(21)로 구성된 클램핑 케이싱(22)이 맞문다. 플러그 본체(14)에서 축 방향으로 가동 안내되는 클램핑 케이싱(22)에 의해 전기적 절연 클램핑 텅(19)은 접점 텅(18)과 함께 플러그(13)를 한 소켓에 지지하기 위해 그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로 안쪽으로 눌러진다. 클램핑 켸이싱(22)의 링 소자(21)는 기초 소자(20)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어 있는데, 링 소자(21)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말단 섹션의 영역에서 그의 내측면으로 접점 텅(18)과 클램핑 텅(19)의 외측에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 본체(14)에 형성된 나삿니(23)가 클램핑 케이싱(22)을 플러그 본체(14)에 밀착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클램핑 케이싱(22)과 플러그 본체(14)에 형성된 테(24 및 25)가 클램핑 케이싱(22)을 플러그 본체(14)에 밀착 지지할 때 플러그(13)의 취급을 간단화 하는데에 사용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접점 텅(18)은 그 내측에 선형 융기부(26)를 갖고 있고, 그것을 통해 소켓의 외부 접점과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선형 융기부(26)는 연결 플러그(13)의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되어 있다. 도 7에 따라, 플러그(13)의 외부 접점 소자(17)는 분리 가능한 맞물림 연결부(27)에 의해 지지소자(15)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부 접점 소자(17)는 케이블과의 접촉 역할을 하는 접점 플랩(28)을 갖고 있다.

Claims (24)

  1. 내부 접점 개구(2), 그 안에 배치된 내부 접점 소자(3), 및 내부 점점 개구(2)를 둘러싸고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점점 소자를 갖고 있는 외부 플러그(4)를 구비하고 있는 동축적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소켓(1)에 있어서, 외부 플러그(4)는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점점 소자는 그의 접촉 영역에서 접점 스트립(6)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스트립의 외부 플러그(4)의 외면 위에서의 경로는 원통 나사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플러그(4)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기본체(5)가 배치되어 있고, 외부 접점 소자는 금속 스탬핑 굴곡 부재(7)로서 기본체(5)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외부 접점 소자의 접점 스트립(6)은 외부 플러그(4)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홈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 접점 소자(3)는 전기 절연 재료로 된 지지체(9) 내에 매립되어 있고, 그 지지체는 기본체(5)의 해당 구멍 내로 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5. 제 1 항 내지 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나사선의 피치는 실질적으로 외부 플러그(4)의 길이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6. 제 1 항 내지 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접점 소자(3) 및/또는 외부 접점 소자는 고 전도성 전해질-구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7. 제 1 항 내지 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플러그(4)의 전기 절연 재료가 염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8. 제 1 항 내지 7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플러그(4) 및/또는 기본체(5)는 PTFE-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9. 제 1 항 내지 8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접점 스트립(6)은 외부 플러그(4)의 외면 위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나선 섹션들(6', 6'')로 분할되어 있고, 그 섹션들은 접점 다리(6''')를 통해 납땜 플랩(8)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0. 내부 점점 핀(16)을 위한 전기 절연 지지소자(15)가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 본체(14), 및 내부 접점 핀(16)으로부터 플러그(13)의 종축에 관해 반경 방향으로 격리되어 있는 외부 점점 소자(17)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13)에 있어서, 외부 접점 소자(17)는 그의 접촉 영역에서는 전기적 절연 접점 텅(18)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13)를 소켓에 지지시키기 위해 내부 접점 핀(16)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격리되어 있는 전기 절연 클램핑 텅(19)이 배치되어 있고, 그 절연 클램핑 텅은 접점 텅(18)과 함께 플러그 본체(14)에서 축 방향으로 가동 안내되는 클램핑 케이싱(22)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외면 위로 안쪽으로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접점 텅(18)은 그의 내측에 선형 융기부(26)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2. 제 10 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접점 텅(18)의 종축 및/또는 선형 융기부(26)는 연결 플러그(13)의 종축에 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3. 제 10 항 내지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접촉 텅(18) 및/또는 클램핑 텅(19)은 소켓의 외부 플러그의 원통형 형태에 적합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4. 제 10 항 내지 13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접촉 텅(18) 및 클램핑 텅(19)은 그 외측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말단 섹션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5. 제 14 항에 있어서, 클램핑 케이싱(22)은 기본 소자(20)와 링 소자(21)로 구성되어 있고, 링 소자는 회전 가능하게 기본 소자(20)에 수장되어 있으며, 링 소자(21)는 그의 내측면에 의해 원추형으로 형성된 말단 섹션의 영역에서 접촉 텅(18)과 클램핑 텅(19)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6. 제 10 항 내지 1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텅(19)이 플러그 본체(1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7. 제 16 항에 있어서, 플러그 본체(14)와 클램핑 텅(19)은 양극 산화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8. 제 10 항 내지 1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텅(19)이 지지소자(15)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19. 제 10 항 내지 1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텅(19)이 분리 가능한 맞물림- 또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 지지소자(15)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20. 제 10 항 내지 19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13)의 외부 접점 소자(17)는 맞물림- 또는 플러그 연결(27)에 의해 지지소자(15)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21. 제 10 항 내지 20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텅(19)과 접점 텅(18)이 지지소자(15)의 외주에 주위방향으로 서로 균일하게 격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연결 플러그(13)가 두 개의 클램핑 텅(19)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23. 제 10 항 내지 2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전기적 절연 지지소자(15)는 맞물림 연결에 의해 플러그 본체(1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플러그.
  24. 청구항 1 내지 9 중의 한 항에 의한 소켓(1)과 청구항 10 내지 23 중의 한 항에 의한 연결 플러그(13)를 구비한 동축적 플러그 연결 시스템.
KR1020047019493A 2002-12-13 2003-12-12 동축적 플러그 연결 KR101008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8689.6 2002-12-13
DE10258689A DE10258689B3 (de) 2002-12-13 2002-12-13 Koaxiale Steck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281A true KR20050074281A (ko) 2005-07-18
KR101008265B1 KR101008265B1 (ko) 2011-01-13

Family

ID=3247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493A KR101008265B1 (ko) 2002-12-13 2003-12-12 동축적 플러그 연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001220B2 (ko)
EP (1) EP1570554B1 (ko)
JP (1) JP3984260B2 (ko)
KR (1) KR101008265B1 (ko)
CN (1) CN100367573C (ko)
AT (1) ATE341113T1 (ko)
AU (1) AU2003292237A1 (ko)
CA (1) CA2466414C (ko)
DE (2) DE10258689B3 (ko)
ES (1) ES2276122T3 (ko)
HK (1) HK1084779A1 (ko)
WO (1) WO2004055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6193B2 (en) 2004-09-10 2010-06-15 Wolfgang Edeler Audio and video plug and socket having integrated video contact
US7462068B2 (en) * 2007-04-03 2008-12-09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Sure-grip RCA-typ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DE102008007866A1 (de) * 2008-02-06 2009-08-13 THÖRNER, Wolfgang B. Bananenstecker
WO2010009610A1 (zh) * 2008-07-21 2010-01-28 Uen Weitang 扬声器连接座的固定件
US7833067B1 (en) * 2009-10-18 2010-11-16 Robert F Villa Audio-video signal plug
CN103427212B (zh) * 2012-05-22 2015-11-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US9231354B1 (en) * 2014-09-03 2016-01-05 Advanced Testing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ions for axial cables
KR101709293B1 (ko) * 2015-03-13 2017-03-09 주식회사 콘텍 동축 커넥터
US10608352B2 (en) 2017-12-21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7038006B2 (ja) * 2017-12-21 2022-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DE102019205050A1 (de) * 2019-04-09 2020-10-15 Audi Ag Buchsenvorrichtung zum berührsicheren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r korrespondierenden Steckervorrichtung, Steckervorrichtung und Batteriemodul für eine Hochvoltbatterie
US11394151B2 (en) 2020-10-01 2022-07-19 Aptiv Technologies Limited Primary locks with terminal serviceablity features for mixed connection coaxial cabl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7982A (en) * 1966-08-22 1969-04-08 Amp Inc Coaxial jack
CA1079504A (en) 1978-10-13 1980-06-17 Control Data Canada Method of producing coaxial cable
US5066248A (en) * 1991-02-19 1991-11-19 Lrc Electronics, Inc. Manually installable coaxial cable connector
US5376022A (en) 1993-12-06 1994-12-27 Safc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5649838A (en) * 1994-09-21 1997-07-22 Sung; Allen 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signal transmitting cable to a jack of audio or video equipment
US5564942A (en) * 1995-02-21 1996-10-15 Monster Cable International, Ltd. Connector for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ing cable
JPH08306443A (ja) * 1995-05-10 1996-11-22 Kitani Denki Kk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08469A1 (de) * 1999-02-26 2000-09-21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Buchsenstecker zur Aufnahme eines Koaxialsteckers mit umlaufender Nut
US6102746A (en) * 1999-04-30 2000-08-15 Hypertronics Corporati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resilient conductive wires
US6604962B1 (en) * 1999-05-18 2003-08-12 Keith Louis Eichmann Plug for connection to an RCA or phono type socket
DE19927713C1 (de) * 1999-06-17 2001-01-18 Kathrein Werke Kg Mehrfachkuppler für koaxiale (einpolige) oder mehraxiale (mehrpolige) geschirmte Buchsen
US6297741B1 (en) * 1999-07-09 2001-10-02 Vibro-Meter S.A. Mechanism for retaining a removable element in a mounting structure
US6705884B1 (en) * 1999-08-16 2004-03-16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533617B1 (en) * 2000-01-07 2003-03-18 J. D'addario & Company, Inc. Electrical plug connectors
US6796829B1 (en) * 2000-03-03 2004-09-28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692285B2 (en) * 2002-03-21 2004-02-17 Andrew Corporatio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05208D1 (de) 2006-11-09
EP1570554A1 (de) 2005-09-07
JP3984260B2 (ja) 2007-10-03
HK1084779A1 (en) 2006-08-04
JP2005520316A (ja) 2005-07-07
DE10258689B3 (de) 2004-07-08
CA2466414A1 (en) 2004-06-13
WO2004055948A1 (de) 2004-07-01
KR101008265B1 (ko) 2011-01-13
US20040253843A1 (en) 2004-12-16
CN100367573C (zh) 2008-02-06
AU2003292237A1 (en) 2004-07-09
ES2276122T3 (es) 2007-06-16
CA2466414C (en) 2011-09-13
US7001220B2 (en) 2006-02-21
CN1692532A (zh) 2005-11-02
ATE341113T1 (de) 2006-10-15
EP1570554B1 (de)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6511A (en) Multi-position coaxial cable connector
CN113451800B (zh) 具有补偿套的插接连接器装置
KR101008265B1 (ko) 동축적 플러그 연결
US7824230B1 (en) Audio plug
JP201922032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端子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WO2003103095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9768446B (zh) 电连接器
US5061207A (en) Connector for a shielded coaxial cable
JPH02216784A (ja) マイクロ波コネクタ
EP1191642B1 (en) Coaxial-like connector
JP2019012635A (ja) コネクタ
US20120028497A1 (en) Lower profile cable connector
US5672079A (en) Coaxial connector for manufacturing a coaxial high frequency cable
JP6946157B2 (ja) 同軸ケーブル用圧着端子
CA2199758C (en) Connector kit,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connector assembly
US9847613B2 (en) Connector and contact
CN210040691U (zh) 一种小型射频连接座
KR200258721Y1 (ko) 시일드 커넥터
EP4280394A1 (en) Plug connector coupled to receptacle connector
US20220285895A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inclined surface on tip end side of shell
US20160006144A1 (en) Phono connector
JP2003109712A (ja) 同軸コネクタ
TW523967B (en) Electrical connector friction regulation
JP2024511127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に結合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CN111740263A (zh) 同轴电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