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056A -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056A
KR20220129056A KR1020227028656A KR20227028656A KR20220129056A KR 20220129056 A KR20220129056 A KR 20220129056A KR 1020227028656 A KR1020227028656 A KR 1020227028656A KR 20227028656 A KR20227028656 A KR 20227028656A KR 20220129056 A KR20220129056 A KR 2022012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flux
wi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가와타
요시히코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2012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20% but less than 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33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33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4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07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08Titania or tita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1Alumina or alu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2Selection of compositions of flu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8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of core materials either alone or conjoint with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6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10% but less than 2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입향 자세에서의 용접 작업성, 내고온균열성이 우수하고, 슬래그의 소부 및 비드 표면의 피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얻는다.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Mn, Ni, Cr, Mo, W, 및 Fe를 각각 소정량으로 함유하고, 플럭스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TiO2: 5.40질량% 이상 10.00질량% 이하, 금속 Si 및 Si 산화물의 SiO2 환산치: 0.40질량% 이상 3.00질량% 이하, 금속 Zr 및 Zr 산화물의 ZrO2 환산치: 2.70질량% 이하, Al2O3: 0.05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MnO2: 0.80질량% 미만, Bi2O3: 0.01질량% 이하이며, ([TiO2]+[ZrO2])/([SiO2]+[Al2O3]): 25.00 이하이다.

Description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본 발명은,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은, 피복 아크 용접이나 TIG 용접과 비교하면 작업 효율이 좋아,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피복 아크 용접이나 TIG 용접으로부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의한 용접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인코넬(등록상표), 하스텔로이(등록상표)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Ni기 합금, 9% Ni 강 등의 저온용 강, 및 슈퍼 스테인리스강 등의 모재를 대상으로 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에 있어서도,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개발 및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접 대상물의 용접에 이용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요구하는 특성으로서는,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우수한 용접 작업성을 들 수 있다.
특히, Ni기 합금은 다른 합금계(연강계나 스테인리스계)와 비교하면, 응고점이 낮아, 입향 자세에서의 용접을 행할 때에 용융 풀이 처지기 쉬워진다는 특징이 있다. 마찬가지로, Ni기 합금의 특징으로서는, 고온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와이어의 플럭스 충전율, 슬래그 성분 및 금속 성분의 함유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용접 작업성이나 연성(延性), 인성, 내균열성 등의 용접 금속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대해서, 수평 필릿 용접 또는 횡향 용접 시에 있어서의 비드 표면의 피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 조성에 따라서는, 용접 시의 아크 안정성이 열화되거나, 내고온균열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 3에는, 플럭스 성분을 적절히 조정함과 함께, SiO2 함유량에 대한 TiO2 함유량과 ZrO2 함유량의 비를 규정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상기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Ar-20% CO2 가스를 실드 가스로 하고 입향 상진 용접한 경우에, 우수한 용접 작업성 및 용접 금속의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6-1984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4650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40064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100% CO2 분위기하에서 입향 상진 용접한 경우, 용접 비드가 처지기 쉬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실드 가스가 Ar-20% CO2로부터 100% CO2가 됨으로써, 용접 금속 중의 산소량에 변화가 생겨, 용융 풀의 응고점이나 점성 등이 변화하기 때문, 및 실드 가스의 변화에 의해 아크의 긴축 등이 생겨, 용융 풀에 부여되는 열량이나 플라즈마 기류의 유속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9% Ni 강 등이 사용되는 LNG 연료 탱크나, 슈퍼 스테인리스강 등이 사용되는 스크러버의 용접에서는, 실드 가스로 100% CO2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이 달라, 예를 들면, LNG 연료 탱크에 대해서는 극저온에서의 우수한 인성이 요구되고, 스크러버에 대해서는 우수한 내식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용접 재료로서는, 하스텔로이계의 합금 성분을 갖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00% CO2 실드 가스 분위기하여도, 입향 자세에서의 용접 작업성이 양호함과 함께, 슬래그의 소부(燒付) 및 비드 표면의 피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내고온균열성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련된 하기 [1]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Mn: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Ni: 4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Cr: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Mo: 1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W: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Fe: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상기 플럭스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TiO2: 5.40질량% 이상 10.00질량% 이하,
금속 Si 및 Si 산화물의 SiO2 환산치: 0.40질량% 이상 3.00질량% 이하,
금속 Zr 및 Zr 산화물의 ZrO2 환산치: 2.70질량% 이하,
Al2O3: 0.05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MnO2: 0.80질량% 미만,
Bi2O3: 0.01질량% 이하이며,
상기 TiO2의 함유량을 [TiO2], 상기 SiO2 환산치를 [SiO2], 상기 ZrO2 환산치를 [ZrO2], 상기 Al2O3의 함유량을 [Al2O3]으로 했을 때,
([TiO2]+[ZrO2])/([SiO2]+[Al2O3]): 25.00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또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2]∼[4]에 관한 것이다.
[2] 상기 플럭스는, 추가로, Na, K 및 L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Na의 함유량, 상기 K의 함유량, 상기 Li의 함유량을, 각각 [Na], [K], [Li]로 했을 때,
[Na]+[K]+[Li]: 0.10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3] 상기 플럭스는, 추가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금속 불화물의 F 환산치: 0.05질량% 이상 0.5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금속 B 및 B 화합물의 B 환산치: 0.030질량%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4] 추가로, 와이어 전체 질량당,
Ti: 0.50질량%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본 발명에 의하면, 100% CO2 실드 가스 분위기하여도, 입향 자세에서의 용접 작업성이 양호함과 함께, 아크 안정성이 우수하며, 슬래그의 소부 및 비드 표면의 피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내고온균열성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입향 용접 작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내고온균열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접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슬래그 소부를 평가하기 위한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중의 플럭스 성분의 조성을 특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입향 상진 용접에 있어서 용융 풀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용접 작업성이 양호함과 함께, 아크 안정성이 우수하며, 슬래그의 소부 및 비드 표면의 피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내고온균열성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피 내에 플럭스가 충전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통 형상의 Ni기 합금 외피와, 그 외피의 내부(내측)에 충전되는 플럭스로 이루어진다. 한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외피에 이음매가 없는 심리스 타입, 및 C 단면, 겹침 단면 등과 같이 관 형상으로 성형되고, 외피에 이음매가 있는 심 타입 중 어느 형태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특히, 용접 금속의 조성이 하스텔로이계가 되도록 설계된 와이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플럭스 및 외피에 함유되는 성분에 대하여, 그 첨가 이유 및 수치 한정 이유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중의 각 성분량은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피 중 및 플럭스 중에 함유되는 성분의 합계량을, 와이어 전체 질량(외피와 외피 내의 플럭스의 합계량)당의 함유량으로 한 값으로 규정된다.
<플럭스 충전율: 2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플럭스에는, 금속이나 합금 외에, 산화물이나 불화물 등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 함유량, 즉, 플럭스 충전율이 20질량% 미만이면, 와이어 강제(鋼製) 외피의 육후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용접 중에 와이어 선단에 형성되는 용적이 비대화되어, 용융지로의 용적 이행이 열화된다. 그 결과, 입향·횡향·상향 자세의 용접에 있어서, 용접 금속과 슬래그의 처짐이 발생하여, 용접 작업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플럭스 충전율은,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럭스 충전율이 30질량%를 초과하면, 와이어 흡습 특성이 열화되어, 내기공결함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플럭스 충전율은,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플럭스 중에 포함되는 성분의 함유 이유 및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TiO2: 5.40질량% 이상 10.00질량% 이하>
TiO2는, 균일하고 피포성이 좋은 슬래그를 형성하고, 아크 안정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기 때문에, 슬래그 형성제의 주성분으로서 첨가한다. 또한, TiO2는, 융점이 높은 산화물로, 플럭스 중에 함유되는 것에 의해, 입향 자세에 있어서의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iO2 함유량이 5.40질량% 미만이면, 슬래그 형성제로서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입향 상진 용접에 있어서 비드가 처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TiO2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5.40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5.50질량% 이상이다.
한편, TiO2 함유량이 10.00질량%를 초과하면, 와이어 중의 슬래그 성분이 과다해지고, 용접 시의 슬래그 생성량이 과잉이 되어, 슬래그가 용접부로부터 처져 아래로 떨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슬래그 권입이 발생하기 쉬워져, 내피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TiO2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10.0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9.80질량% 이하이다.
플럭스 중의 TiO2 함유량이 보다 바람직한 상기 범위 내이면, 입향 상진 용접 시에 보다 한층 용접 비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 Si 및 Si 산화물의 SiO2 환산치: 0.40질량% 이상 3.00질량% 이하>
금속 Si 및 Si 산화물은, TiO2와 마찬가지로, 슬래그의 점성을 높일 수 있는 성분으로, 양호한 비드 형상을 얻기 위해서 슬래그 형성제로서 첨가한다.
SiO2 환산치가 0.40질량% 미만이면, 슬래그 형성제로서의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입향 자세에 있어서의 용접 작업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SiO2 환산치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0.40질량%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9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질량% 이상이다.
한편, SiO2 환산치가 3.00질량%를 초과하면, 슬래그 소부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SiO2 환산치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3.0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90질량% 이하이다.
플럭스 중의 SiO2 환산치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범위 내이면, 입향 상진 용접 시에 보다 한층 용접 비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한층 양호한 슬래그 소부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금속 Si 및 Si 산화물의 SiO2 환산치란, 플럭스 중에 포함되는 단체(單體) Si, Si 합금 및 Si 산화물을 SiO2로 환산한 합계치이다.
<금속 Zr 및 Zr 산화물의 ZrO2 환산치: 2.70질량% 이하>
금속 Zr 및 Zr 산화물은, 아크의 분사성을 향상시키고, 저전류역에 있어서도 아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성분이다. 또한, 금속 Zr 및 Zr 산화물은, 슬래그의 응고를 빠르게 하여, 입향 상진 용접에 있어서,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갖는다.
그러나, ZrO2 환산치가 2.70질량%를 초과하면, 슬래그의 응고 온도가 높아지고, 슬래그가 빨리 응고하기 때문에, 응고 중의 용접 금속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응고 중의 슬래그를 통해 배출될 수 없어, 용접부에 피트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ZrO2 환산치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2.7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2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0질량% 이하이다.
플럭스 중의 ZrO2 환산치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범위 내이면, 입향 상진 용접 시에 보다 한층 용접 비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한층 양호한 내피트성 및 아크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금속 Zr 및 Zr 산화물의 ZrO2 환산치란, 플럭스 중에 포함되는 금속 Zr, Zr 합금 및 Zr 산화물을 ZrO2로 환산한 합계치이다.
<Al2O3: 0.05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
Al2O3은, TiO2 등과 마찬가지로 슬래그 형성제이며, 비드 형상을 정돈하고, 모재와의 친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그 점성을 조정하는 것에 유효한 성분으로, 입향 상진 용접 시에 비드 처짐을 막는 효과가 있다. 이들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Al2O3은 0.05질량%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0.06질량% 이상이다. 한편으로, Al2O3 환산치가 1.20질량%를 초과하면, 슬래그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슬래그 감김을 일으키기 쉬워지고, 또한 슬래그 박리성도 열화된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Al2O3 함유량은 1.2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하로 한다.
<([TiO2]+[ZrO2])/([SiO2]+[Al2O3]): 25.00 이하>
SiO2 및 Al2O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래그의 점성을 높여 비드 형상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성분이다.
단, 플럭스 중의 상기 TiO2의 함유량을 [TiO2], 플럭스 중의 상기 ZrO2 환산치를 [ZrO2], 플럭스 중의 상기 SiO2 환산치를 [SiO2], 플럭스 중의 상기 Al2O3의 함유량을 [Al2O3]으로 했을 때, SiO2 환산치 및 Al2O3 함유량의 총량에 대한 TiO2 함유량 및 ZrO2 환산치의 총량의 비([TiO2]+[ZrO2])/([SiO2]+[Al2O3])가 25.00을 초과하면, 슬래그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슬래그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슬래그 권입이 발생하기 쉬워지며, 비드의 친숙성도 저하된다. 또한, 슬래그의 응고 개시 온도가 높아져 슬래그의 응고가 느려지고, 응고 중의 용접 금속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응고 중의 슬래그를 통해 배출될 수 없어, 용접부에 발생하는 피트의 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TiO2]+[ZrO2])/([SiO2]+[Al2O3])}은 25.00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MnO2: 0.80질량% 미만(0질량%를 포함한다)>
MnO2는, 융점이 낮아, 플럭스 중에 첨가되는 것에 의해, 용융 슬래그의 응고 온도를 저하시키는 성분이다.
MnO2 함유량이 0.80질량% 이상이면, 입향 용접 시에 비드가 처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MnO2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0.80질량% 미만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50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미만이다.
<Bi2O3: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Bi2O3은, 슬래그 소부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성분이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등에서는 플럭스 중에 Bi2O3이 미량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Bi는 내고온균열을 현저하게 열화시키는 성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럭스 중에 Bi2O3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플럭스 중의 Bi2O3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0.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 미만, 즉,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Na]+[K]+[Li]: 0.10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플럭스는, 추가로, Na, K 및 L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럭스 중의 Na, K 및 Li로 대표되는 염기성 화합물은, 아크 안정제로서 작용하여, 스패터의 발생을 억제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 성분이다.
여기에서,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Na의 함유량, 상기 K의 함유량, 상기 Li의 함유량을, 각각 [Na], [K], [Li]로 했을 때, {[Na]+[K]+[Li]}가 0.10질량% 이상이면, 아크 안정제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플럭스가, 추가로, Na, K 및 L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Na]+[K]+[Li]}는 0.1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20질량% 이상이다.
한편, 상기 {[Na]+[K]+[Li]}가 0.70질량% 이하이면, 아크 안정성이 향상되어, 스패터의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Na]+[K]+[Li]}는 0.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럭스 중의 금속 불화물: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F 환산치로 0.05질량% 이상 0.50질량% 이하>
금속 불화물은, 아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슬래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금속 불화물원으로서는, LiF, NaF, Na3AlF6, K2SiF6 등이 있다. 금속 불화물이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해서 F 환산치로 0.05질량% 이상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아크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에 있어서, 플럭스가 금속 불화물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F 환산치로 0.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 불화물이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해서 F 환산치로 0.50질량% 이하이면, 슬래그의 점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 입향 자세에 있어서 용융지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에 있어서, 금속 불화물의 함유량은, F 환산치로 0.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B 및 B 화합물의 B 환산치: 0.03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금속 B 및 B 화합물의 B 환산치를,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30질량% 이하로 하면, 고온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에 있어서, 금속 B 및 B 화합물의 B 환산치는, 0.03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 B 및 B 화합물은 플럭스에 첨가할 수 있고, B 환산치란, 플럭스 중에 포함되는 단체 B, B 합금 및 B 화합물을 B로 환산한 합계치이다. B 화합물로서는 B2O3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고, B 합금으로서는 Fe-B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Ti: 0.5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Ti는, 탈산 성분으로서 용융 금속 중의 용존 산소량을 저하시켜, 「C+O=CO(가스)」의 반응을 억제하여, 블로홀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갖지만, 과잉으로 첨가하면 내고온균열성을 열화시킨다. Ti 함유량이,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이면, 블로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내고온균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에 있어서, 플럭스 중의 Ti는 0.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Ti원으로서는, 금속 Ti, Ti 합금(Fe-Ti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함유량을 Ti로 환산한 값을 Ti 함유량으로서 규정한다. 단, 이 Ti 함유량은, 황산에 용해되는 금속 Ti 및 Ti 합금에서 유래하는 Ti의 함유량으로 하고, 황산에 용해되지 않는 TiO2 등의 산화물에서 유래하는 Ti는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금속 Ti 및 Ti 합금은 플럭스에 첨가할 수 있는 한편으로, 후프로부터 Ti를 첨가해도 된다.
다음으로,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외피 및 플럭스로부터 첨가되는 각 합금 성분의 첨가 이유 및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금속 성분은, 금속 단체 또는 합금으로서 와이어 중에 함유되어 있다.
<Mn: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Mn은, γ상 형성 원소이며, 매트릭스의 강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Mn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원하는 Mn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Mn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0.1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Mn 함유량이 5질량%를 초과하면, 슬래그 박리성의 저하의 원인이 됨과 함께, 원하는 Ni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Mn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5질량% 이하로 한다.
<Ni: 4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Ni는,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용접 금속에 있어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또한, 용접 금속의 인성 및 연성을 확보함과 함께, 내식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 성분이기도 하다.
Ni 함유량이 4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원하는 Ni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Ni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4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Ni 함유량이 60질량%를 초과하면, 원하는 Ni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Ni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60질량% 이하로 한다.
<Cr: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Cr은, 산화성 산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성분이다.
Cr 함유량이 5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원하는 Cr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5질량% 이상으로 한다. Cr 함유량은, 8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Cr 함유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Cr 탄질화물이 석출되는 것에 의해, 용접 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염려가 생긴다. 또한, 원하는 Cr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20질량% 이하로 한다.
<Mo: 1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Mo는, Cr과 함께 와이어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산화성 산뿐만 아니라, 비산화성 산이나 염류에 대해서도 우수한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다.
Mo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원하는 Mo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Mo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1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Mo 함유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Ni와의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이 현저해져, 용접 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염려가 생긴다. 또한, 원하는 Mo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Mo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20질량% 이하로 한다.
<W: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W는, 와이어로부터 용접 금속에 첨가되는 것에 의해, 고용체 강화의 효과에 의해, γ상을 안정화시켜, 용접 금속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 함유량이 2.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원하는 W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W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2.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W 함유량이 4.0질량%를 초과하면, W의 편석이 생겨, 용접 금속의 인성이 저하될 염려가 생긴다. 또한, 원하는 W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W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4.0질량% 이하로 한다.
<Fe: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Fe는, Ni기 합금 중에 고용되는 것에 의해, 용접 금속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e 함유량이 3.0질량%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원하는 Fe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Fe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3.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Fe 함유량이 7.0질량%를 초과하면, 저융점의 라베스(Laves)상으로서 입계에 석출되고, 다층성(多層盛) 용접의 재열 시에 재용융되어, 입계의 재열 액화 균열의 원인이 될 염려가 생긴다. 또한, 원하는 Fe 함유량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외피 및 플럭스 중의 Fe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 7.0질량% 이하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전술한 함유량을 규정한 각 성분의 합계(상기한 [Na]+[K]+[Li]의 합계, F 환산치, B 환산치, 및 Ti를 제외한다)로, 와이어 전체 질량당 9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및 불가피적 불순물>
본 실시형태에 따른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상기 성분 외에, 기타 성분으로서, C, 외피에 포함되는 금속 Si 및 Cu 등이 포함된다. 이들 성분 중, C는 0.10질량% 이하, 외피에 포함되는 금속 Si는 1.0질량% 이하, Cu는 0.5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가피적 불순물로서, P, S 및 수분 등이 있다. 이들 불가피적 불순물 중, P는 0.010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S는 0.010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분은 0.010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의 두께, 와이어경, 실드 가스 조성>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외피의 두께나 와이어경(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WS 또는 JIS 등의 용접 재료 규격에 규정된 직경, 예를 들면, 0.8mm, 0.9mm, 1.0mm, 1.2mm, 1.4mm, 1.6mm 등의 와이어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실드 가스 조성으로서는, 100% CO2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Ar과 CO2의 혼합 가스를 사용해도,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강제 외피를 구성하는 강대(帶)를 준비하고, 이 강대를 긴 방향으로 보내면서 성형 롤에 의해 성형하여, U자 형상의 오픈 관으로 한다. 다음으로, 소정의 성분 조성이 되도록, 각종 원료를 배합한 플럭스를 강제 외피에 충전하고, 그 후,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가공한다. 그 후, 냉간 가공에 의해 신선하여, 예를 들면 1.2∼2.4mm의 와이어경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 한다.
한편, 냉간 가공 도중에 소둔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조의 과정에서 성형한 강제 외피의 이은 자리를 용접한 이음매가 없는 와이어와, 상기 이은 자리를 용접하지 않고 극간 그대로 남기는 와이어의 어느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발명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우선, 두께가 0.4mm이고 폭이 9.0mm인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대를 만곡시켜, 외피를 제작했다. 이 외피에 금속 원료와 슬래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플럭스를 내포시킨 후, 직경 1.2mm가 되도록 신선 가공하여,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조했다. 외피 및 플럭스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함유량을, 하기 표 1(발명예) 및 표 2(비교예)에 나타낸다.
한편,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함유량은, 와이어 전체 질량당의 함유량(질량%)이다. 또한, 잔부는 C, 금속 Si 및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또,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TiO2]+[ZrO2])/([SiO2]+[Al2O3])」은, SiO2 환산치 및 Al2O3 함유량의 총량에 대한 TiO2 함유량 및 ZrO2 환산치의 총량의 비를 나타낸다. 「[Na]+[K]+[Li]」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의 플럭스 중의 Na 함유량과 K 함유량과 Li 함유량의 총량을 나타낸다. 또한, 플럭스 중의 Ti란, Ti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금속 Ti 및 Ti 합금 유래의 Ti 함유량을 나타낸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각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라는 표기는, 0.005질량% 미만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평가]
다음으로, 제조한 상기 No. 1∼35의 각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입향 용접 작업성의 확인 시험, 내고온균열성의 평가 시험, 및 슬래그 소부, 용접 비드 표면의 피트 및 아크 안정성에 대한 평가 시험을 행했다. 각 시험에 있어서, 용접 모재로서는 SM490 강판을 사용했다. 사용한 SM490 강판(모재)의 성분 함유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입향 용접 작업성>
도 1은 입향 용접 작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80mm, 길이가 300mm, 두께가 12mm인 강판(1)을 세워 배치하고, 상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2)를 이용하여, 강판(1)의 긴 방향을 따라 표면을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상향)으로 가스 실드 아크 용접했다. 용접 조건을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한편, 입향 용접 작업성의 평가 기준으로서는, 문제없이 용접할 수 있었던 것을 ◎, 용접 가능하지만, 용융 풀이 처진 기미로 응고했던 것을 ○로 하고, 모두 합격으로 했다. 또한, 용융 풀의 일부가 처지는 경우가 있어, 용접이 곤란했던 것을 ×로 하고, 불합격으로 했다.
Figure pct00004
<내고온균열성>
도 2는 내고온균열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접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가 20mm, 길이가 300mm인 2매의 강판(21a, 21b)에 대해서, 긴 방향 단부를 기계 가공하는 것에 의해 개선을 제작하고, 루트 갭을 2mm로 하여 양자를 맞대고 배치하여, Y 개선을 형성했다. 개선 각도는 60°로 하고, 개선의 깊이는 10mm로 했다. 그 후, JIS Z3155 C형 지그 구속 맞대기 용접 균열 시험 방법(Method of FISCO test)에 준하여 주행 대차를 사용하여 개선 내를 용접했다. 용접 종료의 10분 후에 시험재를 지그로부터 취출하여, 침투 탐상 시험에 의해 용접 금속(24)의 균열을 관찰했다. 또한, 내부에 존재하는 균열을 확인하기 위해, 비드 표면을 2mm 단삭(段削) 후, 재차 침투 탐상 시험을 실시했다. 내고온균열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용접 조건을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한편, 내고온균열성의 평가 기준으로서는, 크레이터부를 제외한 정상부 전체 선에 있어서, 균열이 확인되지 않았던 것을 ○(합격)로 하고, 크레이터부를 제외한 정상부에서, 지시 모양(균열)이 일부라도 확인된 것을 ×(불합격)로 했다.
Figure pct00005
<슬래그 소부>
도 3a∼도 3c는 슬래그 소부의 평가를 하기 위한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80mm, 길이가 400mm, 두께가 12mm인 2매의 강판(31a 및 31b)을 준비하여, 수평으로 배치한 강판(31a) 위에 강판(31b)을 세워 배치하고, 상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32)를 이용하여, 강판(31a)과 강판(31b) 사이에 형성된 모퉁이부를 따라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스 실드 아크 용접했다. 한편,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강판(31a)과 와이어(32)의 각도(토치 각도)를 45°로 경사시킴과 함께, 전진각 및 후퇴각을 0°로 하여 와이어(32)를 유지하면서 필릿 용접을 실시했다. 상기 필릿 용접의 용접 조건을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한편, 슬래그 소부의 평가 기준으로서는, 치퍼로 4∼5회 두드리면 슬래그가 박리되는 것을 ○(합격)로 하고, 치퍼로 두드려도 슬래그가 제거되지 않거나, 또는 상당한 횟수를 두드리지 않으면 슬래그가 제거되지 않았던 것을 ×(불합격)로 했다.
Figure pct00006
<용접 비드 표면의 피트>
상기 슬래그 소부의 평가에 있어서의 용접 방법으로, 상기 표 6에 나타내는 용접 조건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평 필릿 용접을 실시하여, 정상부 300mm에 있어서의 용접 비드 표면의 피트를 관찰했다.
용접 비드 표면에 있어서의 피트의 평가 기준으로서는, 직경이 1.0mm 이상인 피트가 2개 이하였던 것을 ○(합격)로 하고, 직경이 1.0mm 이상인 피트가 3개 이상 확인되었던 것을 ×(불합격)로 했다.
<아크 안정성>
상기 슬래그 소부의 평가에 있어서의 용접 방법으로, 상기 표 6에 나타내는 용접 조건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평 필릿 용접을 실시하여, 아크 안정성을 평가했다.
아크 안정성의 평가 기준으로서는, 용접 중, 시종 아크가 안정되어 있었던 것을 ○(합격)로 하고, 실용상 문제없지만 약간 뒤떨어지는 것을 △(합격)로 했다.
상기에서 설명한 입향 용접 작업성, 내고온균열성, 슬래그 소부, 용접 비드 표면의 피트 및 아크 안정성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상기 표 7에 있어서, 와이어 No. 1∼19는 발명예이고, 와이어 No. 20∼35는 비교예이다. 상기 표 1∼2 및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명예인 와이어 No. 1∼19는 각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입향 용접 작업성, 내고온균열성, 슬래그 소부, 용접 비드 표면의 피트 및 아크 안정성에 대한 평가 결과가 모두 합격이 되었다. 특히, 와이어 No. 1∼16은, 금속 불화물의 함유량(F 환산치)의 값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내이기 때문에, 아크 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결과가 되었다.
한편, 비교예인 와이어 No. 23은, TiO2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기 때문에, 입향 용접 작업성이 열화되어 있었다.
또한, 와이어 No. 27 및 35는, SiO2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므로, 입향 용접 작업성이 열화되어 있었다.
또한, 와이어 No. 24, 25, 26, 27, 28, 31, 32, 33, 및 35는, Al2O3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므로, 입향 용접 작업성이 열화되어 있었다.
또한, 와이어 No. 29 및 30은, MnO2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 이상이기 때문에, 입향 용접 작업성이 열화되어 있었다.
와이어 No. 21 및 22는, Bi2O3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균열이 발생했다.
와이어 No. 20은, SiO2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슬래그 소부성이 열화되었다.
와이어 No. 34는, TiO2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입향 용접 작업성이 불량해지고, 또한, 비드 표면에 피트가 발생했다.
또한, 와이어 No. 35는, {([TiO2]+[ZrO2])/([SiO2]+[Al2O3])}의 값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비드 표면에 피트가 발생했다.
또한, 와이어 No. 31, 32 및 33은, ZrO2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비드 표면에 피트가 발생했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럭스 조성을 특정 범위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100% CO2 실드 가스 분위기하여도, 입향 자세에서의 용접 작업성이 양호함과 함께, 슬래그의 소부 및 비드 표면의 피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아크 안정성 및 내고온균열성을 갖는 용접 금속을 얻을 수 있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한편, 본 출원은, 2020년 2월 28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20-034276)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Claims (5)

  1.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Mn: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Ni: 4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Cr: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Mo: 1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W: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Fe: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상기 플럭스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TiO2: 5.40질량% 이상 10.00질량% 이하,
    금속 Si 및 Si 산화물의 SiO2 환산치: 0.40질량% 이상 3.00질량% 이하,
    금속 Zr 및 Zr 산화물의 ZrO2 환산치: 2.70질량% 이하,
    Al2O3: 0.05질량% 이상 1.2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MnO2: 0.80질량% 미만,
    Bi2O3: 0.01질량% 이하이며,
    상기 TiO2의 함유량을 [TiO2], 상기 SiO2 환산치를 [SiO2], 상기 ZrO2 환산치를 [ZrO2], 상기 Al2O3의 함유량을 [Al2O3]으로 했을 때,
    ([TiO2]+[ZrO2])/([SiO2]+[Al2O3]): 25.00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는, 추가로, Na, K 및 L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Na의 함유량, 상기 K의 함유량, 상기 Li의 함유량을, 각각 [Na], [K], [Li]로 했을 때,
    [Na]+[K]+[Li]: 0.10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는, 추가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금속 불화물의 F 환산치: 0.05질량% 이상 0.5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금속 B 및 B 화합물의 B 환산치: 0.030질량%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와이어 전체 질량당,
    Ti: 0.50질량%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와이어 전체 질량당,
    Ti: 0.50질량%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20227028656A 2020-02-28 2021-02-15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220129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4276 2020-02-28
JP2020034276A JP7401345B2 (ja) 2020-02-28 2020-02-28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PCT/JP2021/005574 WO2021172079A1 (ja) 2020-02-28 2021-02-15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056A true KR20220129056A (ko) 2022-09-22

Family

ID=7749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656A KR20220129056A (ko) 2020-02-28 2021-02-15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12760A4 (ko)
JP (1) JP7401345B2 (ko)
KR (1) KR20220129056A (ko)
CN (1) CN115151372A (ko)
WO (1) WO202117207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8488A (ja) 1993-01-08 1994-07-19 Nippon Steel Corp Ni基合金を外皮とする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08246507A (ja) 2007-03-29 2008-10-16 Kobe Steel Ltd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11140064A (ja) 2010-01-09 2011-07-21 Kobe Steel Ltd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7078B2 (ja) * 1998-08-10 2010-04-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970802B2 (ja) * 2006-02-02 2012-07-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US9962794B2 (en) * 2013-09-16 2018-05-08 Lincoln Global, Inc. Flux cored welding electrode for 5-9% nickel steel
JP5968855B2 (ja) * 2013-10-31 2016-08-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6250475B2 (ja) * 2014-05-14 2017-1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5763859B1 (ja) * 2014-11-07 2015-08-12 日本ウエルディング・ロッド株式会社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6441179B2 (ja) * 2015-07-31 2018-12-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CN105081620B (zh) * 2015-09-15 2017-06-20 北京工业大学 一种适用于全位置焊接的镍基625药芯焊丝
JP7010675B2 (ja) * 2017-11-24 2022-0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方法
JP7070243B2 (ja) 2018-08-27 2022-05-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到来方向推定装置
JP7244340B2 (ja) * 2019-04-22 2023-03-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8488A (ja) 1993-01-08 1994-07-19 Nippon Steel Corp Ni基合金を外皮とする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08246507A (ja) 2007-03-29 2008-10-16 Kobe Steel Ltd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11140064A (ja) 2010-01-09 2011-07-21 Kobe Steel Ltd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2760A1 (en) 2023-01-04
WO2021172079A1 (ja) 2021-09-02
EP4112760A4 (en) 2024-02-28
JP2021133422A (ja) 2021-09-13
CN115151372A (zh) 2022-10-04
JP7401345B2 (ja)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855B2 (ja)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5359561B2 (ja) 高張力鋼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1923806B1 (ko)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4566899B2 (ja) 高強度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1708997B1 (ko)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4970802B2 (ja)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EP3208030B1 (en) Flux-cored wire for arc welding of duplex stainless steel
WO2012073646A1 (ja) Ni基合金溶接金属、Ni基合金被覆アーク溶接棒
JP5242665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1568515B1 (ko) 내열강용 용접재료
JP2014113615A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WO2018087812A1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溶接継手の製造方法、及び溶接継手
CN106392369B (zh) Ni基合金药芯焊丝
JP2015217393A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19025524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6453178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6794295B2 (ja) 9%Ni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WO2020217963A1 (ja)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6599807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7160734B2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CN106794559B (zh) 气体保护电弧焊用药芯焊丝
JP2019025525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2005279768A (ja) 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と鋼構造物用溶接継手
KR20220129056A (ko)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2022061805A (ja) 溶接継手の製造方法及び開先充填用のフラックス入りカットワイ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