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746A -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746A
KR20220124746A KR1020227026905A KR20227026905A KR20220124746A KR 20220124746 A KR20220124746 A KR 20220124746A KR 1020227026905 A KR1020227026905 A KR 1020227026905A KR 20227026905 A KR20227026905 A KR 20227026905A KR 20220124746 A KR20220124746 A KR 20220124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substituent
preferable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오노
히로타카 사토우
도시히로 이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01L31/03521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the quantum structure being quantum d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radiation-sensitiv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30/00
    • H10K39/30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10K39/32Organic image sen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germanium, tin or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germanium, tin or lead
    • C09K11/661Chalcog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75Infrared CCD or CID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01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H01L51/0059
    • H01L51/006
    • H01L51/0094
    • H01L51/44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10K30/353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comprising blocking layers, e.g. exciton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1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heterojunctions between organic semiconductors and inorganic semiconductors
    • H10K30/15Sensitised wide-bandgap semiconductor devices, e.g. dye-sensitised TiO2
    • H10K30/151Sensitised wide-bandgap semiconductor devices, e.g. dye-sensitised TiO2 the wide bandgap semiconductor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과,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광전 변환층과, 제1 전극층과 광전 변환층의 사이에 마련된 전자 수송층과, 광전 변환층과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정공 수송층을 갖고, 광전 변환층은,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하며, 정공 수송층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고, 제2 전극층은, Au, Pt, Ir, Pd, Cu, Pb, Sn, Zn, Ti, W, Mo, Ta, Ge, Ni, Cr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광검출 소자. 광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Description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양자 도트를 포함하는 광전 변환층을 갖는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감시 카메라, 차재(車載) 카메라 등의 영역에 있어서, 적외 영역의 광을 검출 가능한 광검출 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종래부터, 이미지 센서 등에 이용되는 광검출 소자에는, 광전 변환층의 소재로서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한 실리콘 포토 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포토 다이오드에서는, 파장 900nm 이상의 적외 영역에서는 감도가 낮다.
또, 근적외광의 수광 소자로서 알려진 InGaAs계의 반도체 재료는, 높은 양자 효율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에피택셜 성장이 필요한 등, 매우 고비용인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 과제이며, 보급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또, 최근에는, 반도체 양자 도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캐소드 전극으로서 산화 인듐 주석, 전자 수송층으로서 ZnO, 광전 변환층으로서 PbS 양자 도트, 정공 수송층으로서 1,1-비스[(다이-4-톨릴아미노)페닐]사이클로헥세인, 정공 주입층으로서 MoO3, 애노드 전극으로서 Ag를 이용한 포토 다이오드가 기재되어 있다.
Jae Woong Lee, Do Young Kim and Franky So, "Unraveling the Gain Mechanism in High Performance Solution-Processed PbS Infrared PIN Photodiod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5, 1233-1238(2015)
최근, 이미지 센서 등의 성능 향상의 요구에 따라, 이들에 사용되는 광검출 소자에 요구되는 모든 특성에 관해서도 가일층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광검출 소자의 암전류를 보다 한층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광검출 소자의 암전류를 저감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는, 보다 높은 신호 노이즈비(SN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반도체 양자 도트를 이용하여 형성한 광전 변환층을 갖는 광검출 소자에 대해서는, 암전류가 비교적 높은 경향이 있어, 암전류 저감의 여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자가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토 다이오드에 대하여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암전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암전류란 광 비조사 시에 흐르는 전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암전류가 저감된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가 반도체 양자 도트를 포함하는 광전 변환층을 갖는 광검출 소자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광전 변환층으로서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함과 함께, 광전 변환층 상에 유기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을 적층하고, 정공 수송층 측의 전극으로서, Au, Pt, Ir, Pd, Cu, Pb, Sn, Zn, Ti, W, Mo, Ta, Ge, Ni, Cr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암전류가 저감된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과,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광전 변환층과,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광전 변환층의 사이에 마련된 전자 수송층과,
상기 광전 변환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정공 수송층을 갖고,
상기 광전 변환층은,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상기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정공 수송층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Au, Pt, Ir, Pd, Cu, Pb, Sn, Zn, Ti, W, Mo, Ta, Ge, Ni, Cr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광검출 소자.
<2> 상기 제2 전극층에 있어서, Ag 원자의 함유량이 98질량% 이하인, <1>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3> 상기 제2 전극층은, Au, Pd, Ir 및 P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4> 상기 제2 전극층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4.6eV 이상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5> 상기 정공 수송층이 포함하는 유기 반도체는, 하기 식 1-1~식 1-6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1 중, Ar1~A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2 중, A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r5~A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3 중, Ar9~A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4 중, Ar16~A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n1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1-5 중, Ar25~A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6 중, Ar34~A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6> 상기 식 1-1의 Ar1~Ar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상기 식 1-2의 Ar4~Ar8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가지며,
상기 식 1-3의 Ar9~Ar15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상기 식 1-4의 Ar16~Ar2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가지며,
상기 식 1-5의 Ar25~Ar3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상기 식 1-6의 Ar34~Ar4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5>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7> 상기 전자 공여성기가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실릴기인, <6>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8> 상기 정공 수송층이 포함하는 유기 반도체는, 하기 식 3-1 또는 식 3-2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3-1 중, Ar43~A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 식 3-a로 나타나는 기 또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내며,
L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식 3-2 중, Ar47~A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 식 3-a로 나타나는 기 또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Rf~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m6~m8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3-a 중, Ri~Ro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l3은 0 또는 1을 나타내며, *는 연결손을 나타낸다;
식 3-b 중, Rp~Rv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l4는 0 또는 1을 나타내며, *는 연결손을 나타낸다.
<9> 식 3-1의 Ar43~Ar46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식 3-2의 Ar47~Ar5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8>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0> 상기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 원자를 포함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1> 상기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S를 포함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2> 상기 배위자는,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 및 배위부를 2 이상 포함하는 다좌(多座) 배위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3> 상기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가 무기 할로젠화물인, <12>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4> 상기 무기 할로젠화물은 Zn 원자를 포함하는, <13>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5> 포토 다이오드형의 광검출 소자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7> 적외선 이미지 센서인, <16>에 기재된 이미지 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암전류가 저감된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광검출 소자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기(원자단)의 표기에 있어서, 치환 및 무치환을 기재하고 있지 않은 표기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 기(원자단)와 함께 치환기를 갖는 기(원자단)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알킬기"란, 치환기를 갖지 않는 알킬기(무치환 알킬기)뿐만 아니라,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치환 알킬기)도 포함한다.
<광검출 소자>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과,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광전 변환층과,
제1 전극층과 광전 변환층의 사이에 마련된 전자 수송층과,
광전 변환층과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정공 수송층을 갖고,
광전 변환층은,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하며,
정공 수송층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고,
제2 전극층은, Au, Pt, Ir, Pd, Cu, Pb, Sn, Zn, Ti, W, Mo, Ta, Ge, Ni, Cr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암전류가 낮은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
광전 변환층에 있어서의 반도체 양자 도트로서 Pb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를 이용한 경우, 광전 변환층은, 2가의 Pb 원자의 개수에 대한 1가 이하의 Pb 원자의 개수의 비(1가 이하의 Pb 원자의 개수/2가의 Pb 원자의 개수)가 0.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보다 한층 암전류가 저감된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상세한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이하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2가의 Pb 원자로서는, 배위자와 결합(배위)하고 있는 Pb 원자, 칼코젠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Pb 원자, 할로젠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Pb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1가 이하의 Pb 원자로서는, 금속적인 Pb 원자, 댕글링 본드의 Pb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광전 변환층 중의 자유 전자량은, 암전류와 상관 관계에 있다고 생각되고, 자유 전자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암전류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추측된다. 광전 변환층 중에 있어서 1가 이하의 Pb 원자는, 전자의 도너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1가 이하의 Pb 원자의 비율을 저감시킴으로써, 광전 변환층 중의 자유 전자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추측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광검출 소자의 암전류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고 추측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전 변환층에 대한 2가의 Pb 원자의 개수에 대한 1가 이하의 Pb 원자의 개수의 비의 값은,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장치를 이용한 X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하여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광전 변환층의 Pb4f(7/2) 궤도의 XPS 스펙트럼에 대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하여 커브 피팅을 행하여, 강도 피크가 결합 에너지 137.8~138.2eV의 범위에 존재하는 파형 W1과, 강도 피크가 결합 에너지 136.5~137eV의 범위에 존재하는 파형 W2로 파형 분리를 행했다. 그리고, 파형 W1의 피크 면적 S1에 대한 파형 W2의 피크 면적 S2의 비를 산출하고, 이 값을 광전 변환층에 대한 2가의 Pb 원자의 개수에 대한 1가 이하의 Pb 원자의 개수의 비로 했다. 여기에서, X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샘플에 의하여 상기 강도 피크의 결합 에너지는 다소 상하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 원자와 쌍이 되는 음이온 원자 X와의 2가의 결합 Pb-X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Pb-X 혹은 Pb-X와 동일한 결합 에너지의 위치에 강도 피크를 갖는 결합으로부터의 기여를 합하여 상기의 피크 면적 S1로 한다. 그리고 그것보다 결합 에너지가 낮은 위치에 강도 피크를 갖는 결합으로부터의 기여를 상기의 피크 면적 S2로 한다. 예를 들면, 광전 변환층에 대한 2가의 Pb 원자의 개수에 대한 1가 이하의 Pb 원자의 개수의 비는, 파형 W1로서 강도 피크가 결합 에너지 138eV에 존재하는 파형을 이용하고, 파형 W2로서 강도 피크가 결합 에너지 136.8eV에 존재하는 파형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광전 변환층에 대한, 2가의 Pb 원자의 개수에 대한 1가 이하의 Pb 원자의 개수의 비를 0.20 이하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반도체막의 제조 시에 있어서, 비프로톤성 용제를 접촉시켜 린스를 행하거나, 산소 함유 가스의 분위기하에서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의 상세에 대하여, 도 1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포토 다이오드형의 광검출 소자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광검출 소자로의 입사광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광검출 소자(1)는, 제2 전극층(12)과, 제2 전극층(12)에 대향하는 제1 전극층(11)과, 제2 전극층(12) 및 제1 전극층(11)의 사이에 마련된 광전 변환층(13)과, 제1 전극층(11) 및 광전 변환층(13)의 사이에 마련된 전자 수송층(21)과, 제2 전극층(12) 및 광전 변환층(13)의 사이에 마련된 정공 수송층(22)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광검출 소자(1)는, 상부 전극(11)의 상방으로부터 광이 입사하도록 이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전극층(11)의 광입사 측의 표면에는 투명 기판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기판의 종류로서는, 유리 기판, 수지 기판, 세라믹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전극층)
제1 전극층(11)은, 광검출 소자로 검출하는 목적의 광의 파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한 도전 재료로 형성된 투명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투명하다"란, 광의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60% 이상이 바람직하며, 8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전극층(11)의 재료로서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인듐, 산화 인듐 텅스텐, 산화 인듐 아연(indium zinc oxide: IZO), 산화 인듐 주석(indium tin oxide: ITO), 불소를 도프한 산화 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FTO)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전극층(11)의 막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01~100μm가 바람직하며, 0.01~10μm가 더 바람직하고, 0.01~1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층의 막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등을 이용하여 광검출 소자(1)의 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수송층(21)은, 제1 전극층(11)과 광전 변환층(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전자 수송층(21)은, 광전 변환층(13)에서 발생한 전자를 전극층으로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전자 수송층은 정공 블록층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전자 수송층은, 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 수송 재료로 형성된다. 전자 수송 재료로서는, [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PC61BM) 등의 풀러렌 화합물, 페릴렌테트라카복시다이이미드 등의 페릴렌 화합물, 테트라사이아노퀴노다이메테인, 산화 타이타늄,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인듐, 산화 인듐 텅스텐, 산화 인듐 아연, 산화 인듐 주석, 불소를 도프한 산화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막이어도 된다.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10~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8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은, 2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n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광전 변환층(13)의 두께의 0.05~1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2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광전 변환층)
광전 변환층(13)은,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한다. 즉, 광전 변환층(13)은,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하는 반도체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란, 다수(예를 들면, 1μm2당 100개 이상)의 반도체 양자 도트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형태를 말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도체"란, 비저항값이 10-2Ωcm 이상 108Ωcm 이하인 물질을 의미한다.
반도체 양자 도트는, 금속 원자를 갖는 반도체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원자에는, Si 원자로 대표되는 반금속 원자도 포함된다. 반도체 양자 도트를 구성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반도체 결정〔a) IV족 반도체, b) IV-IV족, III-V족, 또는 II-VI족의 화합물 반도체, c) II족, III족, IV족, V족, 및, VI족 원소 중 3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반도체〕의 나노 입자(0.5nm 이상 100nm 미만의 크기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 원자, In 원자, Ge 원자, Si 원자, Cd 원자, Zn 원자, Hg 원자, Al 원자, Sn 원자 및 Ga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Pb 원자, In 원자, Ge 원자 및 Si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지기 쉽다는 이유에서 Pb 원자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를 구성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PbS, PbSe, PbTe, InN, InAs, Ge, InAs, InGaAs, CuInS, CuInSe, CuInGaSe, InSb, HgTe, HgCdTe, Ag2S, Ag2Se, Ag2Te, SnS, SnSe, SnTe, Si, InP 등의 비교적 밴드 갭이 좁은 반도체 재료를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적외역의 광(바람직하게는 파장 700~2500nm의 광)을 효율적으로 전자로 변환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S 또는 PbSe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PbS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는, 반도체 양자 도트 재료를 핵(코어)으로 하여, 반도체 양자 도트 재료를 피복 화합물로 덮은 코어 셸 구조의 소재여도 된다. 피복 화합물로서는, ZnS, ZnSe, ZnTe, ZnCdS, CdS, GaP 등을 들 수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밴드 갭 Eg1은, 0.5~2.0eV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밴드 갭 Eg1이 상기 범위이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역의 광을 검출 가능한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밴드 갭 Eg1의 상한은 1.9e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eV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eV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밴드 갭 Eg1의 하한은 0.6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eV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평균 입경은, 2nm~1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도체 양자 도트의 평균 입경은, 임의로 선택된 반도체 양자 도트 10개의 입경의 평균값이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입경의 측정에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양자 도트는, 수nm~수십nm까지의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포함한다. 반도체 양자 도트에 내재하는 전자의 보어 반경 이하의 크기까지 반도체 양자 도트의 평균 입경을 작게 하면, 양자 사이즈 효과에 의하여 반도체 양자 도트의 밴드 갭이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평균 입경이, 15nm 이하이면, 양자 사이즈 효과에 의한 밴드 갭의 제어를 행하기 쉽다.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의 광전 변환층(13)은,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한다. 배위자로서는,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 및, 배위부를 2 이상 포함하는 다좌 배위자를 들 수 있다. 광전 변환층(13)은, 배위자를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중에서도, 광전 변환층(13)은,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와 다좌 배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암전류가 낮으며, 또한, 전기 전도도, 광전륫값, 외부 양자 효율, 외부 양자 효율의 면내 균일성 등의 성능이 우수한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다음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다좌 배위자는 반도체 양자 도트에 대하여 킬레이트 배위한다고 추측되고, 반도체 양자 도트로부터의 배위자의 박리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또, 킬레이트 배위함으로써 반도체 양자 도트끼리의 입체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이 때문에, 반도체 양자 도트 간의 입체 장해가 작아지고, 반도체 양자 도트가 치밀하게 나열되어 반도체 양자 도트간의 파동 함수의 겹침을 강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로서,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좌 배위자가 배위하고 있지 않은 간극에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가 배위한다고 추측되며,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 결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추측된다. 이 때문에, 암전류가 낮으며, 또한, 전기 전도도, 광전륫값, 외부 양자 효율, 외부 양자 효율의 면내 균일성 등의 성능이 우수한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먼저,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위자에 포함되는 할로젠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및 아이오딘 원자를 들 수 있고, 배위력의 관점에서 아이오딘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는, 유기 할로젠화물이어도 되고, 무기 할로젠화물이어도 된다. 그중에서도, 반도체 양자 도트의 양이온 사이트 및 음이온 사이트의 양방에 배위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무기 할로젠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 할로젠화물은, Zn 원자, In 원자 및 Cd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Zn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할로젠화물은, 이온화하여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금속 원자와 할로젠 원자의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의 구체예로서는, 아이오딘화 아연, 브로민화 아연, 염화 아연, 아이오딘화 인듐, 브로민화 인듐, 염화 인듐, 아이오딘화 카드뮴, 브로민화 카드뮴, 염화 카드뮴, 아이오딘화 갈륨, 브로민화 갈륨, 염화 갈륨, 테트라뷰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아이오딘화 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에서는, 할로젠을 포함하는 배위자로부터 할로젠 이온이 해리되어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 할로젠 이온이 배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 할로젠을 포함하는 배위자의 할로젠 이외의 부위에 대해서도,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 배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이오딘화 아연의 경우는, 아이오딘화 아연이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 배위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아이오딘 이온이나 아연 이온이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 배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음으로, 다좌 배위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좌 배위자에 포함되는 배위부로서는, 싸이올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시기, 설포기, 포스포기, 포스폰산기를 들 수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 강고하게 배위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다좌 배위자는 싸이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좌 배위자로서는, 식 (D)~(F)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배위자를 들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D) 중, XD1 및 XD2는 각각 독립적으로, 싸이올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시기, 설포기, 포스포기 또는 포스폰산기를 나타내고,
LD1은 탄화 수소기를 나타낸다.
식 (E) 중, XE1 및 XE2는 각각 독립적으로, 싸이올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시기, 설포기, 포스포기 또는 포스폰산기를 나타내고,
XE3은, S, O 또는 NH를 나타내며,
LE1 및 LE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 수소기를 나타낸다.
식 (F) 중, XF1~XF3은 각각 독립적으로, 싸이올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시기, 설포기, 포스포기 또는 포스폰산기를 나타내고,
XF4는, N을 나타내며,
LF1~LF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 수소기를 나타낸다.
XD1, XD2, XE1, XE2, XF1, XF2 및 XF3이 나타내는 아미노기에는, -NH2에 한정되지 않고, 치환 아미노기 및 환상 아미노기도 포함된다. 치환 아미노기로서는, 모노알킬아미노기, 다이알킬아미노기, 모노아릴아미노기, 다이아릴아미노기, 알킬아릴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가 나타내는 아미노기로서는, -NH2, 모노알킬아미노기, 다이알킬아미노기가 바람직하고, -NH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D1, LE1, LE2, LF1, LF2 및 LF3이 나타내는 탄화 수소기로서는,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 수소기는, 포화 지방족 탄화 수소기여도 되고, 불포화 지방족 탄화 수소기여도 된다.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다. 탄소수의 상한은,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탄화 수소기의 구체예로서는,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카인일렌기를 들 수 있다.
알킬렌기는, 직쇄 알킬렌기, 분기 알킬렌기 및 환상 알킬렌기를 들 수 있고, 직쇄 알킬렌기 또는 분기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쇄 알킬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켄일렌기는, 직쇄 알켄일렌기, 분기 알켄일렌기 및 환상 알켄일렌기를 들 수 있고, 직쇄 알켄일렌기 또는 분기 알켄일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쇄 알켄일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카인일렌기는, 직쇄 알카인일렌기 및 분기 알카인일렌기를 들 수 있고, 직쇄 알카인일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및 알카인일렌기는 치환기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는,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아이소프로필기〕, 탄소수 2~3의 알켄일기〔에텐일기 및 프로펜일기〕, 탄소수 2~4의 알카인일기〔에타인일기, 프로파인일기 등〕, 사이클로프로필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메톡시기 및 에톡시기〕, 탄소수 2~3의 아실기〔아세틸기, 및 프로피온일기〕, 탄소수 2~3의 알콕시카보닐기〔메톡시카보닐기 및 에톡시카보닐기〕, 탄소수 2의 아실옥시기〔아세틸옥시기〕, 탄소수 2의 아실아미노기〔아세틸아미노기〕, 탄소수 1~3의 하이드록시알킬기〔하이드록시메틸기, 하이드록시에틸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알데하이드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시기, 설포기, 포스포기, 카바모일기, 사이아노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싸이올기, 나이트로기, 나이트록시기,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기, 사이아네이트기, 싸이오사이아네이트기, 아세톡시기, 아세트아마이드기, 폼일기, 폼일옥시기, 폼아마이드기, 설파미노기, 설피노기, 설파모일기, 포스포노기, 아세틸기, 할로젠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식 (D)에 있어서, XD1과 XD2는 LD1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 또는 2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E)에 있어서, XE1과 XE3은 LE1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 또는 2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XE2와 XE3은 LE2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 또는 2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F)에 있어서, XF1과 XF4는 LF1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 또는 2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XF2와 XF4는 LF2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 또는 2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XF3과 XF4는 LF3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3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며, 1 또는 2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XD1과 XD2는 LD1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다는 것은, XD1과 XD2를 연결하는 최단 거리의 분자쇄를 구성하는 원자의 수가 1~10개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하기 식 (D1)의 경우는, XD1과 XD2가 2원자 이격되어 있고, 하기 식 (D2) 및 식 (D3)의 경우는, XD1과 XD2가 3원자 이격되어 있다. 이하의 구조식에 부기한 숫자는, XD1과 XD2를 연결하는 최단 거리의 분자쇄를 구성하는 원자의 배열의 순번을 나타내고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구체적 화합물을 들어 설명하면, 3-머캅토프로피온산은, XD1에 상당하는 부위가 카복시기이고, XD2에 상당하는 부위가 싸이올기이며, LD1에 상당하는 부위가 에틸렌기인 구조의 화합물이다(하기 구조의 화합물). 3-머캅토프로피온산에 있어서는, XD1(카복시기)과 XD2(싸이올기)가 LD1(에틸렌기)에 의하여 2원자 이격되어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XE1과 XE3은 LE1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 XE2와 XE3은 LE2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 XF1과 XF4는 LF1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 XF2와 XF4는 LF2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 XF3과 XF4는 LF3에 의하여, 1~10원자 이격되어 있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다좌 배위자의 구체예로서는, 에테인다이싸이올, 3-머캅토프로피온산, 싸이오글라이콜산, 2-아미노에탄올, 2-아미노에테인싸이올, 2-머캅토에탄올, 글라이콜산,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4-머캅토뷰탄산, 3-아미노프로판올, 3-머캅토프로판올, N-(3-아미노프로필)-1,3-프로페인다이아민, 3-(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프로페인-1-올, 1-싸이오글리세롤, 다이머카프롤, 1-머캅토-2-뷰탄올, 1-머캅토-2-펜탄올, 3-머캅토-1-프로판올, 2,3-다이머캅토-1-프로판올, 다이에탄올아민,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 다이메틸렌트라이아민, 1,1-옥시비스메틸아민, 1,1-싸이오비스메틸아민,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테인싸이올, 비스(2-머캅토에틸)아민, 2-아미노에테인-1-싸이올, 1-아미노-2-뷰탄올, 1-아미노-2-펜탄올, L-시스테인, D-시스테인, 3-아미노-1-프로판올, L-호모세린, D-호모세린, 아미노하이드록시아세트산, L-락트산, D-락트산, L-말산, D-말산, 글리세린산, 2-하이드록시뷰티르산, L-타타르산, D-타타르산, 타트론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고, 암전류가 낮으며, 외부 양자 효율이 높은 반도체막이 얻어지기 쉽다는 이유에서, 싸이오글라이콜산, 2-아미노에탄올, 2-아미노에테인싸이올, 2-머캅토에탄올, 글라이콜산,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1-싸이오글리세롤, 다이머카프롤, 에틸렌다이아민, 에틸렌글라이콜, 아미노설폰산, 글라이신, (아미노메틸)포스폰산, 구아니딘, 다이에탄올아민,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 호모세린, 시스테인, 싸이오말산, 말산 및 타타르산이 바람직하고, 싸이오글라이콜산, 2-아미노에탄올, 2-머캅토에탄올 및 2-아미노에테인싸이올이 보다 바람직하며, 싸이오글라이콜산이 더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에 포함되는 금속 원자에 대한 다좌 배위자의 착(錯)안정 상수 K1은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착안정 상수 K1이 6 이상이면, 반도체 양자 도트와 다좌 배위자의 결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양자 도트로부터의 다좌 배위자의 박리 등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구동 내구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착안정 상수 K1이란, 배위자와 배위 결합의 대상이 되는 금속 원자의 관계로 정해지는 상수이며, 하기 식 (b)에 의하여 나타난다.
착안정 상수 K1=[ML]/([M]·[L])…(b)
식 (b)에 있어서, [ML]은, 금속 원자와 배위자가 결합한 착체의 몰 농도를 나타내고, [M]은 배위 결합에 기여하는 금속 원자의 몰 농도를 나타내며, [L]은 배위자의 몰 농도를 나타낸다.
실제로는 하나의 금속 원자에 복수의 배위자가 배위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금속 원자에 하나의 배위자 분자가 배위하는 경우의 식 (b)로 나타나는 착안정 상수 K1을, 배위 결합의 강도의 지표로서 규정한다.
배위자와 금속 원자의 사이의 착안정 상수 K1의 산출 방법으로서는, 분광법, 자기 공명 분광법, 포텐셔메트리, 용해도 측정, 크로마토그래피, 칼로리메트리, 응고점 측정, 증기압 측정, 완화 측정, 점도 측정, 표면 장력 측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수법이나 연구 기관으로부터의 결과가 정리된, Sc-Database ver. 5.85(Academic Software)(2010)를 사용함으로써, 착안정 상수 K1을 정했다. 착안정 상수 K1이 Sc-Database ver. 5.85에 없는 경우에는, A. E. Martell과 R. M. Smith 저, Critical Stability Constants에 기재된 값을 이용한다. Critical Stability Constants에도 착안정 상수 K1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앞서 설명한 측정 방법을 이용하거나, 착안정 상수 K1을 계산하는 프로그램 PKAS법(A. E. Martell 등 저, The Determination and Use of Stability Constants, VCH(1988))을 이용하여, 착안정 상수 K1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도체 양자 도트로서 Pb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고(보다 바람직하게는 PbS를 이용하고), Pb 원자에 대한 다좌 배위자의 착안정 상수 K1은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Pb 원자에 대한 착안정 상수 K1이 6 이상인 화합물로서는, 싸이오글라이콜산(Pb에 대한 착안정 상수 K1=8.5), 2-머캅토에탄올(Pb에 대한 착안정 상수 K1=6.7) 등을 들 수 있다.
광전 변환층의 두께는 10~6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60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600nm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0~600nm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두께의 상한은, 55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50n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광검출 소자로 검출하는 목적의 파장의 광에 대한 광전 변환층의 굴절률은 2.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2.1~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2~2.7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광검출 소자를 포토 다이오드의 구성으로 했을 때에 있어서, 높은 광흡수율, 즉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광전 변환층은, 반도체 양자 도트와,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와, 용제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 분산액을 기판 상에 부여하여,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반도체 양자 도트 집합체 형성 공정)을 거쳐 형성할 수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 분산액을 기판 상에 부여하는 수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다. 스핀 코트법, 딥법, 잉크젯법, 디스펜서법, 스크린 인쇄법, 볼록판 인쇄법, 오목판 인쇄법, 스프레이 코트법 등의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의 막을 형성한 후, 추가로 배위자 교환 공정을 행하여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고 있는 배위자를 다른 배위자로 교환해도 된다. 배위자 교환 공정에서는, 반도체 양자 도트 집합체 형성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의 막에 대하여, 배위자 A 및 용제를 포함하는 배위자 용액을 부여하여,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고 있는 배위자를 배위자 A로 교환한다. 배위자 A는 2종 이상의 배위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배위자 용액은 2종 병용해도 된다.
한편,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 미리 원하는 배위자를 부여시켜 두고, 그 후, 반도체 양자 도트 분산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여 광전 변환층을 형성해도 된다.
반도체 양자 도트 분산액 중의 반도체 양자 도트의 함유량은, 1~500mg/mL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mg/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100mg/mL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반도체 양자 도트 분산액이나 배위자 용액에 포함되는 용제로서는, 에스터계 용제, 케톤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아마이드계 용제, 에터계 용제, 탄화 수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상세에 대해서는, 국제 공개공보 제2015/166779호의 단락 번호 0223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 환상 알킬기가 치환된 에스터계 용제, 환상 알킬기가 치환된 케톤계 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용제의 금속 불순물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고, 금속 함유량은, 예를 들면, 10질량ppb(parts per billion) 이하이다. 필요에 따라 질량ppt(parts per trillion) 레벨의 용제를 이용해도 되고, 그와 같은 용제는, 예를 들면, 도요 고세이사가 제공하고 있다(가가쿠 고교 닛포, 2015년 11월 13일). 용제로부터 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증류(분자 증류나 박막 증류 등)나 필터를 이용한 여과를 들 수 있다. 여과에 이용하는 필터의 필터 구멍 직경으로서는, 1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5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μ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필터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이 바람직하다. 용제에는, 이성체(원자수가 동일하지만 구조가 상이한 화합물)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성체는, 1종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종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정공 수송층)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공 수송층(22)은, 제2 전극층(12)과 광전 변환층(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정공 수송층이란, 광전 변환층에서 발생한 정공을 전극층으로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정공 수송층은 전자 블록층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에 있어서는, 광전 변환층(13)의 표면에 정공 수송층(2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22)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고 있다. 정공 수송층(22)은, 유기 반도체로 구성된 반도체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22)을 구성하는 유기 반도체로서는, 하기 식 1-1~식 1-6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1-1 중, Ar1~A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2 중, A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r5~A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3 중, Ar9~A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4 중, Ar16~A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n1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1-5 중, Ar25~A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6 중, Ar34~A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1의 Ar1~Ar3, 식 1-2의 Ar5~Ar8, 식 1-3의 Ar9~Ar15, 식 1-4의 Ar16~Ar24, 식 1-5의 Ar25~Ar33, 식 1-6의 Ar34~Ar42가 나타내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단환이다. 방향족 탄화 수소기의 구체예로서는, 벤젠환기, 바이페닐환기, 트라이페닐환기, 트라이페닐렌환기, 나프탈렌환기, 안트라센환기, 페날렌환기, 페난트렌환기, 플루오렌환기, 피렌환기, 크리센환기, 페릴렌환기, 아줄렌환기 등을 들 수 있고, 벤젠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1의 Ar1~Ar3, 식 1-2의 Ar5~Ar8, 식 1-3의 Ar9~Ar15, 식 1-4의 Ar16~Ar24, 식 1-5의 Ar25~Ar33, 식 1-6의 Ar34~Ar42가 나타내는 방향족 복소환기의 환을 구성하는 헤테로 원자의 수는 1~3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복소환기의 환을 구성하는 헤테로 원자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복소환기의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2가 더 바람직하다. 방향족 복소환기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방향족 복소환기의 구체예로서는, 다이벤조싸이오펜환기, 다이벤조퓨란환기, 다이벤조셀레노펜환기, 퓨란환기, 싸이오펜환기, 벤조퓨란환기, 벤조싸이오펜환기, 벤조셀레노펜환기, 카바졸환기, 인돌로카바졸환기, 피리딜인돌환기, 피롤로다이피리딘환기, 피라졸환기, 이미다졸환기, 트라이아졸환기, 옥사졸환기, 싸이아졸환기, 옥사다이아졸환기, 옥사트라이아졸환기, 다이옥사졸환기, 싸이아다이아졸환기, 피리딘환기, 피리다진환기, 피리미딘환기, 피라진환기, 트라이아진환기, 옥사진환기, 옥사싸이아진환기, 옥사다이아진환기, 인돌환기, 벤즈이미다졸환기, 인다졸환기, 인독사진환기, 벤조옥사졸환기, 벤즈아이소옥사졸환기, 벤조싸이아졸환기, 퀴놀린환기, 아이소퀴놀린환기, 신놀린환기, 퀴나졸린환기, 퀴녹살린환기, 나프티리딘환기, 프탈라진환기, 프테리딘환기, 잔텐환기, 아크리딘환기, 페나진환기, 페노싸이아진환기, 페녹사진환기, 벤조퓨로피리딘환기, 퓨로다이피리딘환기, 벤조싸이에노피리딘환기, 싸이에노다이피리딘환기, 벤조셀레노페노피리딘환기 및 셀레노페노다이피리딘환기를 들 수 있다.
식 1-2의 A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Ar4가 나타내는 2가의 연결기로서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및, 하기 식 X-1로 나타나는 기를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 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상술한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X-1 중, ArX1 및 Ar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LX1은, 단결합, 탄화 수소기, 또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인 원자 및 붕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자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며, X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LX1은, 단결합 또는 탄화 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화 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LX1은, -CRx1CRX2-로 나타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x1 및 R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를 나타내고, Rx1과 RX2는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Rx1과 RX2는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되는 환은, 5원환 또는 6원환의 지방족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LX1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RX3은 치환기를 나타내고, X1는 0~4의 정수를 나타내고, *는 결합손이다. RX3이 나타내는 치환기로서는 후술하는 Ar1~Ar42가 나타내는 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1-4의 n1은 0~10의 정수를 나타내고, 0~5가 바람직하며, 0~3이 보다 바람직하고, 0 또는 1이 더 바람직하다.
Ar1~Ar42가 나타내는 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로서는, 중수소,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아실기, 알콕시카보닐기, 아릴옥시카보닐기, 아실아미노기, 설폰아마이드기, 카바모일기, 설파모일기, 할로젠 원자, 나이트릴기, 아이소나이트릴기, 하이드록시기, 알킬설핀일기, 아릴설핀일기, 알킬설폰일기, 아릴설폰일기, 포스피노기, 실릴기 및 카복시기를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이 더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쇄, 분기 및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알켄일기의 탄소수는, 2~20이 바람직하고, 2~15가 보다 바람직하며, 2~10이 더 바람직하다. 알켄일기는, 직쇄, 분기 및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알카인일기의 탄소수는, 2~20이 바람직하고, 2~15가 보다 바람직하며, 2~10이 더 바람직하다. 알카인일기는, 직쇄 및 분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릴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아릴기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복소환기의 환을 구성하는 헤테로 원자의 수는 1~3이 바람직하다. 복소환기의 환을 구성하는 헤테로 원자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가 바람직하다. 복소환기의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2가 보다 바람직하다. 복소환기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복소환기는 비방향족의 복소환이어도 되고, 방향족 복소환이어도 된다.
알콕시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이 더 바람직하다. 알콕시기는, 직쇄 및 분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릴옥시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아릴옥시기의 아릴부위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알킬싸이오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이 더 바람직하다. 알킬싸이오기는, 직쇄 및 분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미노기로서는, -NH2, 모노 또는 다이알킬아미노기, 모노아릴아미노기, 또는, 알킬아릴아미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 또는 다이알킬아미노기, 알킬아릴아미노기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이 더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쇄, 분기 및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모노아릴아미노기, 및, 알킬아릴아미노기에 있어서의 아릴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아릴기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아실기의 탄소수는, 2~50이 바람직하고, 2~30이 보다 바람직하며, 2~12가 더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보닐기의 탄소수는, 2~20이 바람직하고, 2~15가 보다 바람직하며, 2~10이 더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보닐기는, 직쇄 및 분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릴옥시카보닐기의 탄소수는, 7~50이 바람직하고, 7~30이 보다 바람직하며, 7~12가 더 바람직하다. 아릴옥시카보닐기의 아릴부위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아실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50이 바람직하고, 2~30이 보다 바람직하며, 2~12가 더 바람직하다.
설폰아마이드기의 탄소수는, 1~50이 바람직하고, 1~30이 보다 바람직하며, 1~12가 더 바람직하다.
카바모일기의 탄소수는, 1~50이 바람직하고, 1~30이 보다 바람직하며, 1~12가 더 바람직하다.
설파모일기의 탄소수는, 1~50이 바람직하고, 1~30이 보다 바람직하며, 1~12가 더 바람직하다.
할로젠 원자로서는,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아이오딘 원자, 불소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설핀일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이 더 바람직하다.
아릴설핀일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알킬설폰일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이 더 바람직하다.
아릴설폰일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포스피노기의 탄소수는, 0~30이 바람직하다. 포스피노기의 구체예로서는, 다이메틸포스피노기, 다이페닐포스피노기, 메틸페녹시포스피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실릴기로서는, -SiRsi1Rsi2Rsi3으로 나타나는 기가 바람직하다. Rsi1~Rsi3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10이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3이 더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쇄, 분기 및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직쇄 또는 분기가 바람직하며, 직쇄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릴기의 탄소수는, 6~50이 바람직하고, 6~30이 보다 바람직하며, 6~12가 더 바람직하다. 아릴기는, 단환이어도 되고, 2환 이상이 축환된 기여도 된다. 실릴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메틸실릴기, t-뷰틸다이메틸실릴기, 페닐다이메틸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Ar1~Ar42가 나타내는 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는, 전자 공여성기인 것도 바람직하다. 즉, 식 1-1의 Ar1~Ar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식 1-2의 Ar4~Ar8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가지며, 식 1-3의 Ar9~Ar15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식 1-4의 Ar16~Ar2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가지며, 식 1-5의 Ar25~Ar3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식 1-6의 Ar34~Ar4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r1~Ar42가 나타내는 기가 치환기로서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경우에는 에너지 준위가 얕아짐으로써 블록 효과가 향상되고, 암전류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공여성기란, 유기 전자론에 있어서, 유기(誘起) 효과나 공명 효과에 의하여, 치환한 원자단에, 전자를 공여하는 원자단이다. 전자 공여성기로서는, 하메트칙의 치환기 상수(σp(파라))로서, 음의 값을 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하메트칙의 치환기 상수(σp(파라))는, 화학 편람 기초편 개정 5판(II-380페이지)으로부터 인용할 수 있다. 전자 공여성기의 구체예로서는,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및 실릴기를 들 수 있고,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지기 쉽다는 이유에서 3급 알킬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22)이 포함하는 유기 반도체는, 하기 식 3-1 또는 식 3-2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보다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보다 암전류가 저감된 광검출 소자를 얻을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3-1 중, Ar43~A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 식 3-a로 나타나는 기 또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내며,
L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식 3-2 중, Ar47~A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 식 3-a로 나타나는 기 또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Rf~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m6~m8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3-a 중, Ri~Ro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l3은 0 또는 1을 나타내며, *는 연결손을 나타낸다;
식 3-b 중, Rp~Rv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l4는 0 또는 1을 나타내며, *는 연결손을 나타낸다;
식 3-1의 Ar43~Ar46이 나타내는 방향족 복소환기, Ar47~Ar52가 나타내는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식 1-1의 Ar1~Ar3, 식 1-2의 Ar5~Ar8, 식 1-3의 Ar9~Ar15, 식 1-4의 Ar16~Ar24, 식 1-5의 Ar25~Ar33, 식 1-6의 Ar34~Ar42가 나타내는 방향족 복소환기와 동일한 의미이며, 바람직한 범위도 동일하다.
식 3-1의 Ar43~Ar46이 나타내는 방향족 복소환기가 갖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 Ar47~Ar52가 나타내는 방향족 복소환기가 갖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 식 3-1의 Rd 및 Re가 나타내는 치환기, 식 3-2의 Rf~Rh가 나타내는 치환기, 식 3-a의 Ri~Ro가 나타내는 치환기, 식 3-b의 Rp~Rv가 나타내는 치환기로서는, 상술한 Ar1~Ar42가 나타내는 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로서 설명한 치환기를 들 수 있고, 전자 공여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상술한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지기 쉽다는 이유에서 3급 알킬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3-1의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내며,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3-1의 L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2가의 연결기로서는, 탄화 수소기, 또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인 원자 및 붕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자를 포함하는 기를 들 수 있다.
L이 나타내는 2가의 연결기는 탄화 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CRx1CRX2-로 나타나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x1 및 R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를 나타내고, Rx1과 RX2는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Rx1과 RX2는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되는 환은, 5원환 또는 6원환의 지방족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L이 나타내는 2가의 연결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RX3은 치환기를 나타내고, X1는 0~4의 정수를 나타내고, *는 결합손이다. RX3이 나타내는 치환기로서는 상술한 Ar1~Ar42가 나타내는 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 3-1의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내고, 0~3이 바람직하며, 0~2가 보다 바람직하고, 0 또는 1이 더 바람직하며, 0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3-2의 m6~m8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내고, 0~3이 바람직하며, 0~2가 보다 바람직하고, 0 또는 1이 더 바람직하며, 0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3-a의 l3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3-b의 l4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3-1에 있어서, Ar43~Ar46은, 식 3-b로 나타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식 3-2에 있어서, Ar47~Ar52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3-b로 나타나는 기에 있어서, l4는 0이고, Rs는 전자 공여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급 알킬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식 3-b로 나타나는 기에 있어서, l4가 0이고, Rs, Ru 및 Rp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인 것도 바람직하고, Rs, Ru 및 Rp가 각각 독립적으로 전자 공여성기인 것도 바람직하며, Rs, Ru 및 Rp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실릴기인 것도 바람직하고,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또는 실릴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메틸기인 것도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22)에 이용되는 유기 반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의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63239호의 단락 번호 011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유기 반도체와는 상이한 정공 수송 재료로 구성된 다른 정공 수송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다른 정공 수송층을 구성하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PEDOT:PSS(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4-스타이렌설폰산)), MoO3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1534호의 단락 번호 0209~0212에 기재된 유기 정공 수송 재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정공 수송 재료에는 반도체 양자 도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를 구성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반도체 결정 〔a) IV족 반도체, b) IV-IV족, III-V족, 또는 II-VI족의 화합물 반도체, c) II족, III족, IV족, V족, 및, VI족 원소 중 3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반도체〕의 나노 입자(0.5nm 이상 100nm 미만의 입자)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bS, PbSe, PbSeS, InN, InAs, Ge, InAs, InGaAs, CuInS, CuInSe, CuInGaSe, InSb, HgTe, HgCdTe, Ag2S, Ag2Se, Ag2Te, SnS, SnSe, SnTe, Si, InP 등의 비교적 밴드 갭이 좁은 반도체 재료를 들 수 있다. 반도체 양자 도트의 표면에는 배위자가 배위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가 다른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경우는,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이 광전 변환층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5~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은 10nm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5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n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제2 전극층)
제2 전극층(12)은, Au, Pt, Ir, Pd, Cu, Pb, Sn, Zn, Ti, W, Mo, Ta, Ge, Ni, Cr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전극층(12)이 이와 같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암전류가 낮은 광검출 소자로 할 수 있다.
제2 전극층(12)은, Au, Cu, Mo, Ni, Pd, W, Ir, Pt 및 Ta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함수가 크며, 또한 마이그레이션을 억제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Au, Pd, Ir 및 P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전극층(12)에 있어서, Ag 원자의 함유량이 98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제2 전극층(12)은, Ag 원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2 전극층(12)은, Ag 원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란, 제2 전극층(12)에 있어서의 Ag 원자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Ag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전극층(12)의 일함수는, 정공 수송층에 의한 전자 블록성을 높이고, 또한 소자 중에서 발생한 정공을 모으기 쉽다는 이유에서 4.6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8~5.7eV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9~5.3eV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2 전극층(12)의 막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01~100μm가 바람직하며, 0.01~10μm가 더 바람직하고, 0.01~1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블로킹층)
도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제1 전극층(11)과 전자 수송층(21)의 사이에 블로킹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블로킹층은 역전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블로킹층은 단락 방지층이라고도 한다. 블로킹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산화 규소,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탄산 칼슘, 탄산 세슘,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유레테인, 산화 타이타늄,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나이오븀, 산화 텅스텐 등을 들 수 있다. 블로킹층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막이어도 된다.
(광검출 소자의 특성)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에 있어서, 광검출 소자로 검출하는 목적의 광의 파장 λ와, 제2 전극층(12)의 광전 변환층(13) 측의 표면부터, 광전 변환층(13)의 제1 전극층(11) 측의 표면까지의 상기 파장 λ의 광의 광로 길이 Lλ가 하기 식 (1-1)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고, 하기 식 (1-2)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장 λ와 광로 길이 Lλ가 이와 같은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광전 변환층(13)에 있어서, 제1 전극층(11) 측으로부터 입사된 광(반사광)과, 제2 전극층(12)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반사광)의 위상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광학 간섭 효과에 의하여 광이 보강되어, 보다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얻을 수 있다.
0.05+m/2≤Lλ/λ≤0.35+m/2 …(1-1)
0.10+m/2≤Lλ/λ≤0.30+m/2 …(1-2)
상기 식 중, λ는, 광검출 소자로 검출하는 목적의 광의 파장이며,
Lλ는, 제2 전극층(12)의 광전 변환층(13) 측의 표면부터, 광전 변환층(13)의 제1 전극층(11) 측의 표면까지의 파장 λ의 광의 광로 길이이고,
m은 0 이상의 정수이다.
m은 0~4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의 정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정공이나 전자 등의 전하의 수송 특성이 양호하여, 광검출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광로 길이란, 광이 투과하는 물질의 물리적인 두께와 굴절률을 곱한 것을 의미한다. 광전 변환층(13)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광전 변환층의 두께를 d1, 광전 변환층의 파장 λ1에 대한 굴절률을 N1로 했을 때, 광전 변환층(13)을 투과하는 파장 λ1의 광의 광로 길이는 N1×d1이다. 광전 변환층(13)이나 정공 수송층(22)이 2층 이상의 적층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나, 정공 수송층(22)과 제2 전극층(12)의 사이에 중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층(各層)의 광로 길이의 적산값이 상기 광로 길이 Lλ이다.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적외역의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적외광 검출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광검출 소자로 검출하는 목적의 광은, 적외역의 파장의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외역의 파장의 광은, 파장 700nm를 초과하는 파장의 광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800nm 이상의 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파장 900nm 이상의 광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적외역의 파장의 광은, 파장 2000nm 이하의 광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1800nm 이하의 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파장 1600nm 이하의 광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적외역의 파장의 광과, 가시역의 파장의 광(바람직하게는 파장 400~700nm의 범위의 광)을 동시에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미지 센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의 구성으로서는,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이미지 센서로서 기능하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적외선 투과 필터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적외선 투과 필터층으로서는, 가시역의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성이 낮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400~650nm의 범위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외선 투과 필터층으로서는, 색재를 포함하는 수지막으로 구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색재로서는, 적색 색재, 녹색 색재, 청색 색재, 황색 색재, 자색 색재, 오렌지색 색재 등의 유채색 색재, 흑색 색재를 들 수 있다. 적외선 투과 필터층에 포함되는 색재는, 2종 이상의 유채색 색재의 조합으로 흑색을 형성하고 있거나, 흑색 색재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유채색 색재의 조합으로 흑색을 형성하는 경우의, 유채색 색재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C1)~(C7)의 양태를 들 수 있다.
(C1) 적색 색재와 청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C2) 적색 색재와 청색 색재와 황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C3) 적색 색재와 청색 색재와 황색 색재와 자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C4) 적색 색재와 청색 색재와 황색 색재와 자색 색재와 녹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C5) 적색 색재와 청색 색재와 황색 색재와 녹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C6) 적색 색재와 청색 색재와 녹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C7) 황색 색재와 자색 색재를 함유하는 양태.
상기 유채색 색재는, 안료여도 되고, 염료여도 된다. 안료와 염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흑색 색재는, 유기 흑색 색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기 흑색 색재로서는, 비스벤조퓨란온 화합물, 아조메타인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적외선 투과 필터층은 적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적외선 투과 필터층에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투과시키는 광의 파장을 보다 장파장 측으로 시프트시킬 수 있다. 적외선 흡수제로서는, 피롤로피롤 화합물, 사이아닌 화합물, 스쿠아릴륨 화합물, 프탈로사이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사이아닌 화합물, 쿼터릴렌 화합물, 메로사이아닌 화합물, 크로코늄 화합물, 옥소놀 화합물, 이미늄 화합물, 다이싸이올 화합물, 트라이아릴메테인 화합물, 피로메텐 화합물, 아조메타인 화합물, 안트라퀴논 화합물, 다이벤조퓨란온 화합물, 다이싸이오렌 금속 착체, 금속 산화물, 금속 붕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적외선 투과 필터층의 분광 특성에 대해서는, 이미지 센서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1)~(5) 중 어느 하나의 분광 특성을 충족시키고 있는 필터층 등을 들 수 있다.
(1):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400~75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900~15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솟값이 70% 이상(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필터층.
(2):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400~83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1000~15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솟값이 70% 이상(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필터층.
(3):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400~95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1100~15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솟값이 70% 이상(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필터층.
(4):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400~11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파장 1400~15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솟값이 70% 이상(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필터.
(5): 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파장 400~13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파장 1600~20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최솟값이 70% 이상(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필터.
또, 적외선 투과 필터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770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01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0338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5/166779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6/178346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6/190162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8/0162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770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0332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6/027798호에 기재된 막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적외선 투과 필터는 2개 이상의 필터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고, 1개의 필터로 특정의 2개 이상의 파장 영역을 투과하는 듀얼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노이즈 저감 등의 각종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적외선 차폐 필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적외선 차폐 필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공보 제2016/186050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6/035695호, 일본 특허공보 제6248945호, 국제 공개공보 제2019/0217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067963호, 일본 특허공보 제6506529호에 기재된 필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유전체 다층막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전체 다층막으로서는, 고굴절률의 유전체 박막(고굴절률 재료층)과 저굴절률의 유전체 박막(저굴절률 재료층)을 번갈아 복수 층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유전체 다층막에 있어서의 유전체 박막의 적층수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2~100층이 바람직하고, 4~60층이 보다 바람직하며, 6~40층이 더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재료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굴절률이 1.7~2.5인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Sb2O3, Sb2S3, Bi2O3, CeO2, CeF3, HfO2, La2O3, Nd2O3, Pr6O11, Sc2O3, SiO, Ta2O5, TiO2, TlCl, Y2O3, ZnSe, ZnS, ZrO2 등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 재료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굴절률이 1.2~1.6인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Al2O3, BiF3, CaF2, LaF3, PbCl2, PbF2, LiF, MgF2, MgO, NdF3, SiO2, Si2O3, NaF, ThO2, ThF4, Na3AlF6 등을 들 수 있다. 유전체 다층막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이온플레이팅, 이온빔 등의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 등의 물리적 기상 성장법(PVD법), 화학적 기상 성장법(CVD법) 등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 재료층 및 저굴절률 재료층의 각층의 두께는, 차단하고자 하는 광의 파장이 λ(nm)일 때, 0.1λ~0.5λ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다층막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03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10296호에 기재된 유전체 다층막을 들 수 있다.
유전체 다층막은, 적외역(바람직하게는 파장 700nm를 초과하는 파장 영역,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800nm를 초과하는 파장 영역, 더 바람직하게는 파장 900nm를 초과하는 파장 영역)에 투과 파장 대역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최대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차광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최대 투과율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투과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투과 파장 대역의 파장 범위는, 최대 투과율을 나타내는 파장을 중심 파장 λt1로 한 경우, 중심 파장 λt1±1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심 파장 λt1±75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중심 파장 λt1±50n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전체 다층막은, 투과 파장 대역(바람직하게는, 최대 투과율이 90% 이상인 투과 파장 대역)을 하나만 갖고 있어도 되고,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색분리 필터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색분리 필터층으로서는 착색 화소를 포함하는 필터층을 들 수 있다. 착색 화소의 종류로서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황색 화소, 사이안색 화소 및 마젠타색 화소 등을 들 수 있다. 색분리 필터층은 2색 이상의 착색 화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1색만이어도 된다. 용도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색분리 필터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공보 제2019/039172호에 기재된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색분리층이 2색 이상의 착색 화소를 포함하는 경우, 각 색의 착색 화소끼리는 인접하고 있어도 되고, 각 착색 화소 간에 격벽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격벽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실록세인 수지, 불소 수지 등의 유기 재료나, 실리카 입자 등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또, 격벽은, 텅스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가 적외선 투과 필터층과 색분리층을 포함하는 경우는, 색분리층은 적외선 투과 필터층과는 다른 광로 상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외선 투과 필터층과 색분리층은 이차원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투과 필터층과 색분리층이 이차원 배치되어 있다란, 양자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평탄화층, 하지(下地)층, 밀착층 등의 중간층, 반사 방지막, 렌즈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반사 방지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공보 제2019/017280호에 기재된 조성물로 제작한 막을 이용할 수 있다. 렌즈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공보 제2018/092600호에 기재된 구조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검출 소자는, 적외역의 파장의 광에 대하여 우수한 감도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적외선 이미지 센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는, 파장 900~2000nm의 광을 센싱하는 것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파장 900~1600nm의 광을 센싱하는 것으로 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수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bS 양자 도트의 분산액의 조제>
(PbS 양자 도트의 분산액)
플라스크 내에 1.3ml의 올레산과, 2mmol의 산화 납과, 19mL의 옥타데센을 칭량하고, 진공하 110℃에서 90분 가열함으로써,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용액의 온도를 95℃로 조정하고, 이어서, 계(系)를 질소 플로 상태로 했다. 이어서, 1mmol의 헥사메틸다이실라싸이에인을 5mL의 옥타데센과 함께 주입했다. 주입 후 바로 플라스크를 자연 냉각하고, 30℃가 된 단계에서 헥세인 12mL를 더하여, 용액을 회수했다. 용액에 과잉량의 에탄올을 더하고, 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행하여, 침전물을 옥테인에 분산시켜, 40mg/mL의 PbS 양자 도트 분산액을 얻었다. PbS 양자 도트 분산액의 흡수 측정으로부터 추측한 밴드 갭은 대략 1.33eV였다.
(광검출 소자의 제작)
[실시예 1~4]
산화 인듐 주석막(제1 전극층) 부착 석영 유리 기판 상에 산화 타이타늄막을 20nm 스퍼터링으로 성막했다. 다음으로, 상기의 PbS 양자 도트의 분산액을 상기 기판에 성막한 산화 타이타늄층 상에 적하하고, 2500rpm으로 스핀 코트하여, PbS 양자 도트 집합체막을 형성했다(공정 1). 이어서, 이 PbS 양자 도트 집합체막 상에, 배위자 용액으로서, 아이오딘화 아연 25mmol/L의 메탄올 용액과, 싸이오글라이콜산 0.01체적%의 메탄올 용액을 적하한 후, 10초간 정치하고, 2500rpm으로 20초간 스핀 드라이를 행했다. 이어서, 아세토나이트릴을 PbS 양자 도트 집합체막 상에 적하하고, 2500rpm으로 20초간 스핀 드라이를 행하여, PbS 양자 도트에 배위하고 있는 배위자를, 올레산으로부터 싸이오글라이콜산 및 아이오딘화 아연으로 배위자 교환했다(공정 2). 공정 1과 공정 2를 1사이클로 하는 조작을 10사이클 반복한 후, 질소 분위기 중에서 10시간 건조하여, 배위자가 올레산으로부터 싸이오글라이콜산 및 아이오딘화 아연으로 배위자 교환된 PbS 양자 도트 집합체막인 광전 변환층을 220nm의 두께로 형성했다.
다음으로, 표 1에 기재된 유기 반도체를, 막두께가 80nm가 되도록 진공 증착을 행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정공 수송층 상에, MoO3을 막두께가 10nm가 되도록 진공 증착을 행했다. 이어서, MoO3막 상에, Au를 막두께가 100nm가 되도록 진공 증착을 행하여, 제2 전극층을 형성했다.
[비교예 1~3]
표 1에 기재된 유기 반도체를 이용하여, 막두께가 80nm가 되도록 진공 증착을 행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고, Ag를 막두께가 100nm가 되도록 진공 증착을 행하여, 제2 전극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광검출 소자를 제조했다.
[표 1]
Figure pct00016
화합물 A: 하기 구조의 화합물
[화학식 16]
Figure pct00017
화합물 B: 하기 구조의 화합물
[화학식 17]
Figure pct00018
화합물 C: 하기 구조의 화합물
[화학식 18]
Figure pct00019
화합물 D: 하기 구조의 화합물
[화학식 19]
Figure pct00020
화합물 E: 하기 구조의 화합물
[화학식 20]
Figure pct00021
<외부 양자 효율, 암전류의 평가>
제조한 광검출 소자에 대하여 반도체 파라미터 애널라이저(C4156, Agilent제)를 이용하여, 외부 양자 효율(EQE) 및 암전류를 각각 측정했다.
먼저, 광을 조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0V부터 -2V까지 전압을 소인(掃引)하면서 전류-전압 특성(I-V 특성)을 측정하고, -1V에서의 전륫값을 암전류로서 평가했다.
계속해서, 940nm의 모노크로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0V부터 -2V까지 전압을 소인하면서 I-V 특성을 측정했다. -1V를 인가한 상태에서의 광전륫값으로부터, 외부 양자 효율(EQE)을 산출했다.
[표 2]
Figure pct0002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광검출 소자는, 비교예보다 외부 양자 효율이 높고, 또한, 암전류가 낮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광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국제 공개공보 제2016/186050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2016/190162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작한 광학 필터와 함께 공지의 방법으로 이미지 센서를 제작하고, 고체 촬상 소자에 내장함으로써, 양호한 가시, 적외 촬상 성능을 갖는 이미지 센서를 얻을 수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광전 변환층의 반도체 양자 도트를 PbSe 양자 도트로 변경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극층을, Au 대신에 Pd로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1: 광검출 소자
11: 제1 전극층
12: 제2 전극층
13: 광전 변환층
21: 전자 수송층
22: 정공 수송층

Claims (17)

  1.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과,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광전 변환층과,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광전 변환층의 사이에 마련된 전자 수송층과,
    상기 광전 변환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의 사이에 마련된 정공 수송층을 갖고,
    상기 광전 변환층은,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양자 도트의 집합체 및 상기 반도체 양자 도트에 배위하는 배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정공 수송층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Au, Pt, Ir, Pd, Cu, Pb, Sn, Zn, Ti, W, Mo, Ta, Ge, Ni, Cr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광검출 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에 있어서, Ag 원자의 함유량이 98질량% 이하인, 광검출 소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Au, Pd, Ir 및 P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광검출 소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의 일함수가 4.6eV 이상인, 광검출 소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이 포함하는 유기 반도체는, 하기 식 1-1~식 1-6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광검출 소자;
    Figure pct00023

    식 1-1 중, Ar1~A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2 중, A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r5~A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3 중, Ar9~A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4 중, Ar16~A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n1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1-5 중, Ar25~A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식 1-6 중, Ar34~A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 1-1의 Ar1~Ar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상기 식 1-2의 Ar4~Ar8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가지며,
    상기 식 1-3의 Ar9~Ar15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상기 식 1-4의 Ar16~Ar2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가지며,
    상기 식 1-5의 Ar25~Ar3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상기 식 1-6의 Ar34~Ar4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광검출 소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성기가 알킬기, 알켄일기, 알카인일기, 아릴기, 복소환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싸이오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실릴기인, 광검출 소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이 포함하는 유기 반도체는, 하기 식 3-1 또는 식 3-2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광검출 소자;
    Figure pct00024

    식 3-1 중, Ar43~A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 식 3-a로 나타나는 기 또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m4 및 m5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내며,
    L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식 3-2 중, Ar47~A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 복소환기, 식 3-a로 나타나는 기 또는 식 3-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Rf~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m6~m8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5

    식 3-a 중, Ri~Ro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l3은 0 또는 1을 나타내며, *는 연결손을 나타낸다;
    식 3-b 중, Rp~Rv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l4는 0 또는 1을 나타내며, *는 연결손을 나타낸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식 3-1의 Ar43~Ar46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고,
    식 3-2의 Ar47~Ar5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광검출 소자.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 원자를 포함하는, 광검출 소자.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양자 도트는 PbS를 포함하는, 광검출 소자.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위자는,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 및 배위부를 2 이상 포함하는 다좌 배위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광검출 소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할로젠 원자를 포함하는 배위자가 무기 할로젠화물인, 광검출 소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할로젠화물은 Zn 원자를 포함하는, 광검출 소자.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토 다이오드형의 광검출 소자인, 광검출 소자.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적외선 이미지 센서인, 이미지 센서.
KR1020227026905A 2020-02-13 2021-02-08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20220124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2577 2020-02-13
JP2020022577 2020-02-13
PCT/JP2021/004478 WO2021161941A1 (ja) 2020-02-13 2021-02-08 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746A true KR20220124746A (ko) 2022-09-14

Family

ID=7729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905A KR20220124746A (ko) 2020-02-13 2021-02-08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6850A1 (ko)
JP (1) JP7472258B2 (ko)
KR (1) KR20220124746A (ko)
CN (1) CN115088085A (ko)
TW (1) TW202135334A (ko)
WO (1) WO20211619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62A (ko) * 2022-08-17 2024-02-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활성층에 의한 하이브리드 uv 포토디텍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851A (ja) * 2000-01-31 2001-08-07 Hodogaya Chem Co Ltd トリフェニルアミン化合物
JP2001316336A (ja) * 2000-02-25 2001-11-13 Hodogaya Chem Co Ltd 電子製品材料の製造方法
JP2004087130A (ja) * 2002-06-24 2004-03-18 Victor Co Of Japan Ltd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03850A2 (en) * 2011-06-30 2013-01-0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foundation,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frared radiation with gain
US10749058B2 (en) * 2015-06-11 2020-08-1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Monodisperse, IR-absorbing nano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KR102545673B1 (ko) * 2016-11-25 202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자점, 이를 포함한 조성물 또는 복합체, 그리고 이를 포함한 전자 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e Woong Lee, Do Young Kim and Franky So, "Unraveling the Gain Mechanism in High Performance Solution-Processed PbS Infrared PIN Photodiod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5, 1233-1238(20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62A (ko) * 2022-08-17 2024-02-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활성층에 의한 하이브리드 uv 포토디텍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35334A (zh) 2021-09-16
JPWO2021161941A1 (ko) 2021-08-19
US20220406850A1 (en) 2022-12-22
CN115088085A (zh) 2022-09-20
WO2021161941A1 (ja) 2021-08-19
JP7472258B2 (ja)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2112A1 (ja) 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WO2021002104A1 (ja) 光検出素子、光検出素子の製造方法、イメージセンサ、分散液および半導体膜
US20220384753A1 (en) Photodetector element and image sensor
US20230040906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film, dispersion liquid, photodetector element, and image sensor
US20220406850A1 (en) Photodetector element and image sensor
KR102642657B1 (ko) 광검출 소자, 광검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미지 센서
TW202118024A (zh) 光檢測元件、光檢測元件的製造方法、影像感測器、分散液及半導體膜
JP7454688B2 (ja) 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KR102677640B1 (ko) 반도체막, 반도체막의 제조 방법, 광검출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20220119707A (ko) 반도체막, 광검출 소자, 이미지 센서 및 반도체막의 제조 방법
WO2022264872A1 (ja) 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WO2023008353A1 (ja) 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WO2023085180A1 (ja) 半導体膜、半導体膜の製造方法、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WO2023171404A1 (ja) 半導体膜、光検出素子、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半導体量子ドットの製造方法
WO2023171405A1 (ja) 半導体膜、光検出素子、イメージセンサ、分散液および半導体膜の製造方法
WO2022158403A1 (ja) 半導体膜、半導体膜の製造方法、光検出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