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431A -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431A
KR20220119431A KR1020227024896A KR20227024896A KR20220119431A KR 20220119431 A KR20220119431 A KR 20220119431A KR 1020227024896 A KR1020227024896 A KR 1020227024896A KR 20227024896 A KR20227024896 A KR 20227024896A KR 20220119431 A KR20220119431 A KR 20220119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kin
weigh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보히스
이레이 쿠이
티엔위안 허
게리 피셔
루이스 슈나이더
존 렙번
아룬 라즈고팔
Original Assignee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Publication of KR2022011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본원에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나이 관련 피부 노화를 역전, 예방 및/또는 지연시키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본 출원은, 본원에 전체가 참고문헌으로서 인용된 미국 가명세서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2/952,931호(2019년 12월23일 출원)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분야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피부 손상을 역전, 예방 및/또는 지연시키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외부에 있는 장기로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외모와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피부의 총 중량은 개인의 체중에 따라서 다른데, 대략 체중의 3 kg ~ 5 kg이다. 피부는 다양한 세포와 특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체의 외부 표면을 덮어, 수분 보존, 체온 조절, UV와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의 보호, 그리고 세균 감염으로부터의 보호를 비롯, 외부 환경에 대한 1차 방어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로 피부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상해, 미생물(예컨대 세균, 진균 및 기생체)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UV 손상 또는 건조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뿐더러, 다양한 외부 자극에 응답하는 감각 수용기로서의 기능도 하며, 외래 항원을 인지함으로써 면역세포를 생성하기도 한다.
누적 산화 손상(cumulative oxidative damage)은 노화와 연관된 만성 질환 다수의 병태생리학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화한 인간 피부의 가장 흔한 특징은 진피 덩어리를 포함하는 제I형 콜라겐 원섬유의 단편화 및 생성 감소로 말미암아, 진피의 내구력(dermal strength)과 기능이 감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화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예방할 개선된 피부 케어 제제가 필요하다.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피부 손상을 역전, 예방 및/또는 지연시키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과 방법은 피부 노화 징후 및 증상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해 상승적으로 기능을 하는 천연 생성물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Malpighia emarginata) 추출물(예컨대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커큐마 론가(Curcuma longa) 추출물(예컨대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Osmanthus fragrans) 꽃 추출물, 또는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Spinacia oleracea) 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3가지 또는 전부)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는, 예를 들어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Rubus fruticosus) 잎 추출물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Centipeda cunninghamii) 추출물(예컨대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또는 전부)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커큐마 론가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및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는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및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임의의 구현예는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추출물, 커큐마 론가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및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용액, 크림, 로션, 겔, 연고, 고약(salve) 또는 스프레이이다.
본 발명은 개시된 추출물의 특정 농도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예에서,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1 중량% ~ 1.0 중량%(예컨대 0.1 중량%, 0.2 중량%, 0.3 중량%, 0.4 중량%,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또는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05 중량% ~ 0.5 중량%(예컨대 0.05 중량%, 0.1 중량%, 0.15 중량%, 0.2 중량%, 0.25 중량%, 0.3 중량%, 0.35 중량%, 0.4 중량%, 0.45 중량% 또는 0.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25 중량% ~ 1.25 중량%(예컨대 0.25 중량%, 0.35 중량%, 0.45 중량%, 0.55 중량%, 0.65 중량%, 0.75 중량%, 0.85 중량%, 0.95 중량%, 1.05 중량%, 1.15 중량% 또는 1.2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5 중량% ~ 1.5 중량%(예컨대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1.0 중량%, 1.1 중량%, 1.2 중량%, 1. 중량%, 1.4 중량% 또는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5 중량% ~ 1.5 중량%(예컨대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1.0 중량%, 1.1 중량%, 1.2 중량%, 1. 중량%, 1.4 중량% 또는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커큐마 론가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5 중량% ~ 1.5 중량%(예컨대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1.0 중량%, 1.1 중량%, 1.2 중량%, 1. 중량%, 1.4 중량% 또는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추가의 구현예는, 예컨대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추출물, 커큐마 론가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또는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3가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된 조성물을, 이 조성물이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하여야 할 조건하에 있는 대상체의 피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상된 피부를 수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예컨대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또는 전부)을 포함하고,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된 조성물을, 이 조성물이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예방하여야 할 조건하에 있는 대상체의 피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피부 손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피부 손상은 나이와 관련된 피부 손상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1가지 이상의 징후 또는 증상은, 예컨대 주름, 검버섯, 탄력 감소 및 건조 증가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대상체 피부에 코르티졸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대상체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킨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적어도 매일(예컨대 1일 이상의 기간 ~ 1주 이상 또는 1년 이상의 기간 또는 무제한의 기간 동안) 적용된다.
대상체의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도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대상체의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1가지 이상이 추가로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들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산화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의 예방을 위한 제제를 스크리닝(screening)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토콜을 보여준다.
도 2는, 산화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의 예방 및 수복을 위한 제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토콜을 보여준다.
도 3은, 산화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의 역전 및 예방을 위한 제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토콜을 보여준다.
도 4는, 노화로 유도된 피부의 손상을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예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노화로 유도된 피부의 손상을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예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노화로 유도된 피부의 손상을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수복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노화로 유도된 피부의 손상을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수복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콜라겐이 생성된 후 조기 소실되는 것이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콜라겐이 생성된 후 조기 소실되는 것이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콜라겐 생성이 회복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은,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콜라겐 조기 붕괴가 방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2는,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콜라겐 붕괴가 방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3은,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콜라겐 붕괴가 역전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4는,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염증 응답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5는,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염증 응답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6은,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세포내 스트레스 응답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7은,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에 의해 세포내 스트레스 응답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준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시험관내"란 용어는, 인공적 환경과, 인공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과정이나 반응을 지칭한다. 시험관내 환경은, 시험관 및 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내"란 용어는, 천연의 환경(예컨대 동물 또는 세포)과, 천연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과정이나 반응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유효량"이란 용어는, 유리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충분한, 조성물(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1회 이상의 투여, 적용 또는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특정의 제형이나 투여 경로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투여"란 용어는, 약물, 전구약물 또는 기타 제제 또는 치료적 치료제(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를 생리학적 시스템(예컨대 대상체 또는 생체내,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 세포, 조직, 장기)에 제공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인간 신체로의 예시적 투여 경로는 눈(안과적 경로), 입(구강 경로), 피부(경피 경로), 코(비강 경로), 폐(흡입), 구강 점막(협측), 귀, 주사(예컨대 정맥내, 피하, 종양내, 복막내 주사 등) 및 국소 투여 등을 통한 경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공동투여"란 용어는, 적어도 2가지의 제제(들)(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을 피부의 노화를 예방 또는 역전하는 것으로 공지된 제제 또는 치료제와 조합하여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2가지 이상의 제제 또는 치료제를 공동투여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제제/치료제는 제2 제제/치료제 투여전에 투여된다. 당 업자는, 사용된 다양한 제제나 치료제의 제형 및/또는 투여 경로가 다양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공동투여에 적당한 투여량은 당 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제나 치료제가 공동투여될 때, 각각의 제제 또는 치료제는 단독 투여시 적절한 투여량보다 적은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따라서, 공동투여는, 제제나 치료제의 공동투여가 잠재적으로 유해한(예컨대 독성을 보이는) 제제(들)의 필요 투여량을 낮추는 구현예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독성을 보이는"이란 용어는, 독성물질이 투여되기 전의 세포 또는 조직과는 비교되게, 그 어떤 해롭거나 유해한 영향이 동일한 세포, 조직 또는 대상체에 미치는 경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이란 용어는, 활성 제제(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것)와, 이 조성물을 시험관내, 생체내 또는 생체외 진단적 사용 또는 치료적 사용에 특히 적합하게 만드는 비활성 또는 활성 담체의 조합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용어는, 대상체에 투여될 때 조성물이 부작용, 예컨대 독성을 보이는 반응, 알레르기 반응 또는 부정적인 면역학적 반응을 실질적으로 일으키지 않는 경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국소적으로"란 용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이 피부 및 점막 세포 및 조직의 표면(예컨대 치조, 협측, 설하, 저작근 또는 비강 점막, 그리고 속이 빈 장기나 체강 내부를 감싸는 기타 조직과 세포)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용어는, 인산염 완충 염수 용액, 물, 유액(예컨대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액), 다양한 유형의 습윤제, 용매, 분산매질, 코팅제,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장제 및 흡수지연제, 그리고 붕해제(예컨대 감자 전분 또는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등의 것들중 임의의 것 및 모두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표준적 약학 담체중 임의의 것을 지칭한다. 본 조성물은 또한 안정화제와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 안정화제 및 보조제의 예는, 예컨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문헌[Mart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5th Ed., Mack Publ. Co., Easton, Pa. (1975)]을 참조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세포 배양액"이란 용어는, 임의의 시험관내 세포 배양액, 예컨대 원핵생물 세포 및 진핵생물 세포를 지칭한다. 이 용어에는 (예컨대 무한증식성 표현형을 보이는) 연속 세포주, 1차 세포 배양액, 형질전환된 세포주, 유한증식성 세포주(예컨대 미형질전환 세포), 고체 매질상 또는 액체 매질중의 세균 배양액, 그리고 시험관내 유지되는 기타 임의의 세포 모집단도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시료"란 용어는, 최광의로 사용된다. 하나의 의미로서, 이 용어는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된 표본이나 배양액뿐 아니라 생물 시료 및 환경 시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생물 시료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유체, 고체, 조직 및 가스를 포함한다. 생물 시료는 혈액 생성물, 예컨대 혈장 및 혈청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시료 유형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나이 관련 피부 손상을 역전, 예방 및/또는 지연시키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산화적 노출은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세포내 수준 증가를 유도하여, 노화/광선노화 인간 피부에서 진피 섬유아세포의 표현형과 닮은 세포 및 분자 변경을 촉진한다. 이 표현형의 특징적인 특징은 진피의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예컨대 제I형 프로콜라겐의 생성 감소를 유발하는 TGF-베타 경로의 장애와, 콜라겐 붕괴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 및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구동하는 AP-1 전사 인자 경로의 상향조절을 포함한다.
규정된 치료계획에 따라 1차 인간 성인 세포 섬유아세포를 H2O2에 노출시킴으로써 섬유아세포 노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기재된 방법의 변법(He et al., AGE (2014) 36:1079-1094)이, 식물성 추출물들과 그것들의 조합을 검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이하 "실험"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과산화물에 노출되기 전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해당 추출물이 예방 활성을 가지는지 스크리닝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은 노화된 피부 기능의 수복을 보이는 추출물을 동정하기 위해 과산화물 처리 후(예컨대 노화 기간 이후)에 첨가될 수 있다.
스크리닝 방법에서, 화합물은 산화적 노출이 이루어진 후에 적용되었고, 그 다음 세포는 5일 더 방치됨으로써 노화되었다. 이 작업을 통해 몇몇 화합물은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즉 MMP-1을 하향조절하고, 제I형 프로콜라겐을 증가시킴으로써 콜라겐의 항상성을 복구할 수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본원에 기재된 추가의 실험은 세포 기반 피부 노화 모델에서 식물성 추출물과 그 조합을 시험하였다. 이처럼 복잡한 모델은 유리한 노화 방지 활성에 대한 추출물 효능의 순위를 규명하였다. 중요한 점은, 시험을 통하여 피부 노화 예방과 노화된 피부의 수복 둘 다를 도모하기 위한 식물성 물질들의 신규 조합이 규명되었다는 점이다.
본원에 기재된 식물성 추출물들의 조합은 피부의 산화적 노출 노화 모델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다수의 경로를 표적으로 삼고,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코르티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 조성물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I. 조성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몇몇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피부 노화의 징후 또는 증상을 치료, 예방, 지연 및/또는 역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식물성 추출물 1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화합물은, 예컨대 주름, 검버섯, 탄력 감소, 건조한 피부, 견고성 소실 또는 건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피부 노화의 가시적인 징후 또는 기타 징후를 역전시킨다. 몇몇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노화가 진행중인 피부에서 발견되는 콜라겐의 항상성의 불균형으로부터 회복시키고/회복시키거나 피부의 염증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 예들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조성물은 이하 표에 제시된 성분들 1가지 이상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추출물은, 예를 들어 상업상 공급원 또는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상업상 공급원으로서는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Access Business Group, LLC, Ada, MI);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SymMatrix from Symrise, Holzminden, Germany);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Bio Actives Export사 Plantolin BG, Melbourne, Australia);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Access Business Group, LLC);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Biospectrum Clariant사 HerbEx Curcuma Extract, Muttenz, Switzerland); 및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DermalRx Lushield from Biocogent, Stony Brook, NY)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예컨대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또는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3가지 또는 전부); 예컨대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 커큐라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및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또는 전부);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및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 또는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그리고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추출물의 특정 농도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예에서,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1 중량% ~ 1.0 중량%(예컨대 0.1 중량%, 0.2 중량%, 0.3 중량%, 0.4 중량%,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또는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은 조성물증에 0.05 중량% ~ 0.5 중량%(예컨대 0.05 중량%, 0.1 중량%, 0.15 중량%, 0.2 중량%, 0.25 중량%, 0.3 중량%, 0.35 중량%, 0.4 중량%, 0.45 중량% 또는 0.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25 중량% ~ 1.25 중량%(예컨대 0.25 중량%, 0.35 중량%, 0.45 중량%, 0.55 중량%, 0.65 중량%, 0.75 중량%, 0.85 중량%, 0.95 중량%, 1.05 중량%, 1.15 중량% 또는 1.2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5 중량% ~ 1.5 중량%(예컨대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1.0 중량%, 1.1 중량%, 1.2 중량%, 1. 중량%, 1.4 중량% 또는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며;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5 중량% ~ 1.5 중량%(예컨대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1.0 중량%, 1.1 중량%, 1.2 중량%, 1. 중량%, 1.4 중량% 또는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은 조성물중에 0.5 중량% ~ 1.5 중량%(예컨대 0.5 중량%, 0.6 중량%, 0.7 중량%, 0.8 중량%, 0.9 중량%, 1.0 중량%, 1.1 중량%, 1.2 중량%, 1. 중량%, 1.4 중량% 또는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화합물(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것)은 조성물(예컨대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 조성물 또는 화장품)에 혼입되어 피부에 투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형된다.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및 제형은 경피 패치, 연고, 로션, 크림, 겔, 점적액, 좌제, 스프레이, 액체, 구강세정제 및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약학 담체, 물, 분말 또는 유질의 베이스 및 증점제 등이 필요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용액, 유액 및 리포좀 함유 제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조성물은 예비 제조 액체, 자가 유화 고체 및 자가 유화 반고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성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에서 종래에 발견되는 기타 부가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추가의 양립가능한 재료로서, 약학적으로 활성인 재료, 예컨대 항소양제, 수렴제, 국소마취제 또는 소염제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조성물의 다양한 투여형을 물리적으로 제형하는데 유용한 추가 재료, 예컨대 염료, 풍미제, 보존제, 항산화제, 유백제, 증점제 및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가 첨가되면, 이 재료는 조성물중 성분들의 생물 활성을 부당하게 방해하면 안 된다. 제형은 안정화될 수 있으며, 원한다면 제형중 활성 제제와 유해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보조제, 예컨대 윤활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삼투압에 영향을 미치는 염, 완충제, 착색제, 풍미제 및/또는 방향성 성분 등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액, 겔, 로션, 크림, 연고, 수중유 유액, 유중수 유액 또는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형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공지된 종래의 다양한 화장품 성분이 원하는 결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한, 이러한 화장품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화장품용으로서 허용 가능한 비이클은 조성물이 피부에 적용될 때, 이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기타 재료의 분배가 촉진되도록, 이러한 기타 재료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의 기능을 한다.
물을 제외한 비이클은 액체 또는 고체인 피부연화제, 용매, 보습제, 증점제 및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비이클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비이클 1가지 이상과의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피부연화제는 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리시놀산염, 밍크오일, 세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염, 스테아르산, 이소부틸 팔미트산염, 이소세틸 스테아르산염, 올레일 알코올, 이소프로필 라우르산염, 헥실 라우르산염, 데실 올레산염, 옥타데칸-2-올, 이소세틸 알코올, 에이코사닐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틸 팔미트산염, 실리콘 오일,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디-n-부틸 세바스산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염, 부틸 스테아르산염,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라놀린, 코코아버터, 옥수수오일, 면실 오일, 올리브 오일, 야자핵 오일, 유채씨 오일, 홍화씨 오일, 달맞이꽃 오일, 대두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참기름, 코코넛 오일, 땅콩 오일, 피마자 오일, 아세틸화 라놀린 알코올, 바셀린, 미네랄 오일,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리놀레산염, 라우릴 젖산염, 미리스틸 젖산염, 데실 올레산염 및/또는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피부연화제"란, 건조를 예방하거나 완화할뿐더러, 피부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를 지칭한다. 다양한 피부연화제로서 적합한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문헌으로서 인용되어 있는 문헌[Sagarin, Cosmetics,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ition, Vol. 1, pp. 32-43 (1972)]은 적합한 재료의 예 다수를 다루고 있다. 유용한 피부연화제 군의 예로서는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1. 탄화수소 오일 및 왁스: 그 예로서는 미네랄 오일, 석유, 파라핀,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미세결정질 왁스, 폴리에틸렌 및 퍼하이드로스쿠알렌을 포함한다.
2. 실리콘 오일, 예컨대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수용성 및 알코올 용해성 실리콘 글리콜 공중합체.
3.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예컨대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 그 예로서는 피마자 오일, 홍화 오일, 면실 오일, 옥수수 오일, 올리브 오일, 대구간 오일, 아몬드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야자 오일, 참기름 및 대두유를 포함한다.
4. 아세토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예컨대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5. 에톡시화 글리세라이드, 예컨대 에톡시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염.
6. 탄소 원자를 10개 ~ 20개 가지는 지방산의 알킬 에스테르: 지방산의 메틸, 이소프로필 및 부틸 에스테르가 본원에 특히 유용하다. 기타 유용한 알킬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헥실 라우르산염, 이소헥실 라우르산염, 이소헥실 팔미트산염,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데실 올레산염, 이소데실 올레산염, 헥사데실 스테아르산염, 데실 올레산염, 이소데실 올레산염, 헥사데실 스테아르산염, 데실 스테아르산염,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염, 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염, 디이소헥실 아디프산염, 디헥실데실 아디프산염, 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염, 라우릴 젖산염, 미리스틸 젖산염 및 세틸 젖산염을 포함한다.
7. 탄소 원자를 10개 ~ 20개 가지는 지방산의 알케닐 에스테르: 그 예로서는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르산염 및 올레일 올레산염을 포함한다.
8. 탄소 원자를 10개 ~ 20개 가지는 지방산: 적합한 예로서는 펠라르곤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시놀레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및 에루신산을 포함한다.
9. 탄소 원자를 10개 ~ 20개 가지는 지방 알코올: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헥사데실,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하이드록시스테아릴, 올레일, 리시놀레일, 베헤닐 및 에루실 알코올뿐만 아니라, 2-옥틸 도데칸올이 만족스러운 지방 알코올의 예이다.
10. 지방 알코올 에테르: 10개 ~ 20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은 1개 ~ 50개의 산화에틸렌기 또는 1개 ~ 50개의 산화프로필렌기가 부착된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올레일 및 콜레스테롤 알코올을 포함한다.
11. 에테르-에스테르, 예컨대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12. 라놀린 및 유도체: 라놀린, 라놀린 오일, 라놀린 왁스, 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산염, 에톡시화 라놀린, 에톡시화 라놀린 알코올, 에톡시화 콜레스테롤, 프로폭시화 라놀린 알코올, 아세틸화 라놀린, 아세틸화 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알코올 리놀레산염, 라놀린 알코올 리시놀산염, 라놀린 알코올 리시놀산염의 아세트산염, 에톡시화 알코올-에스테르의 아세트산염, 라놀린의 수소화분해물, 에톡시화된 수소화 라놀린, 에톡시화 솔비톨 라놀린과, 액체 및 반고체 라놀린 흡수 베이스는 라놀린으로부터 유래된 피부연화제의 예이다.
13. 다가 알코올 및 폴리에테르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000 및 4000,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솔비톨, 에톡시화솔비톨, 하이드록시프로필솔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 600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350, 550, 750, 2000 및 5000, 폴리[산화에틸렌]-동종중합체(100,000 ~ 5,000,000),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유도체, 헥실렌글리콜(2-메틸-2,4-펜탄디올), 1,3-부틸렌글리콜, 1,2,6-헥산트리올, 에토헥사디올 USP(2-에틸-1,3-헥산디올), C15~C18 인접 글리콜, 그리고 트리메틸로프로판의 폴리옥스프로필렌 유도체가 이러한 재료 군의 예이다.
14.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 1 지방산 및 2 지방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 1 지방산 및 2 지방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 1 지방산 및 2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200 ~ 6000) 1 지방산 및 2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1 지방산 및 2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000 모노올레산염,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000 모노스테아르산염, 에톡시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염, 글리세릴 1 지방산 및 2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시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염, 1,3-부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염, 1,3-부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본원에서 사용하기 만족스러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이다.
15. 왁스 에스테르, 예컨대 밀납, 경랍,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르산염.
16. 밀랍 유도체,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밀랍: 이는 산화에틸렌 함량이 다양한 에톡시화 솔비톨과 밀랍의 반응 생성물로서, 에테르-에스테르 혼합물을 생성한다.
17. 카르나우바 및 칸데릴라 왁스를 포함하는 식물성 왁스.
18. 인지질, 에컨대 레시틴 및 유도체.
19. 스테롤: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이것의 예이다.
20. 아미드, 예컨대 지방산 아미드, 에톡시화 지방산 아미드, 고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비이클은 또한 추진제, 예컨대 프로판,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 이산화탄소,산화질소; 그리고 용매, 예컨대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또는 분말, 예컨대 백악, 활석, 표토, 카올린, 전분, 검, 콜로이드성 실리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테트라알킬 및/또는 트리알킬 아릴암모늄 스멕타이트, 화학 변형된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유기 변형된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수화된 규산알루미늄, 발연 실리카, 카복시비닐 중합체,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되는 도중 햇빛에의 과다 노출로 인한 유해한 영향에 대해 보호기능을 제공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 예컨대 무기 및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서 평균 입도가 1 nm ~ 300 nm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평균 입도가 1 nm ~ 300 nm인 산화철, 평균 입도가 1 nm ~ 100 nm 인 실리카, 예컨대 발연 실리카도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리카가 본 발명에 따른 유액중 한 성분으로서 사용될 때, 적외 복사선에 대해 보호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오일 또는 유질의 재료(피부연화제)가 보통은 유화제와 함께 존재하여, 대개 사용된 유화제의 평균 친수성-친유성 밸런스(HLB)에 따라 유중수 유액 또는 수중유 유액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경우의 유액이다. 유중수 유액이 필요할 때, 선택된 유화제 또는 유화제들은 보통 평균 HLB값이 1 ~ 6이어야 한다. 수중유 유액이 필요할 때, 선택된 유화제 또는 유화제들의 평균 HLB값은 6을 초과하여야 한다.
적합한 유화제의 예로서는 솔비탄 트리올레산염, 솔비탄 트리올레산염, 글리세롤 모노올레산염,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염, 글리세롤 모노라우르산염, 솔비탄 세스퀴놀산염, 솔비탄 모노올레산염, 솔비탄 모노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 밀랍 유도체, PEG 200 디라우르산염, 솔비탄 모노팔미트산염, 폴리옥시에틸렌(3.5), 노닐페놀, PEG 200 모노스테아르산염, 솔비탄 모노라우르산염, PEG 400 디올레산염, 폴리옥시에틸렌(5) 모노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4) 솔비탄 모노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솔비탄 모노올레산염, PEG 300 모노올레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트리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트리올레산염, 폴리옥시에틸렌(8) 모노스테아르산염, PEG 400 모노올레산염, PEG 400 모노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10) 모노올레산염, 폴리옥시에틸렌(10)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 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9.3) 옥틸페놀, 폴리옥시에틸렌(4) 솔비탄 모노라우르산염, PEG 600 모노올레산염, PEG 1000 디라우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 라놀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12) 라우릴에테르, PEG 1500 디올레산염, 폴리옥시에틸렌(14) 라우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Tween, 솔비탄 모노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 20 솔비탄 모노올레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팔미트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5) 옥시프로필렌 모노스테아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톨 모노라우르산염, 폴리옥시에틸렌(23)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0) 모노스테아르산염 및/또는 PEG 4000 모노스테아르산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한다면, 2가지 이상의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혼입될 수 있는 유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의 양은 본 조성물의 1 중량% ~ 50 중량%, 2 중량% ~ 20 중량%, 또는 2 중량% ~ 10 중량%이다.
본 조성물은 또한 물을 보통 95 중량% 이하, 예컨대 5 중량% ~ 95 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이미 언급된 선택적 유화제(들)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유화제로서의 역할도 또한 할 수 있는 고분자량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리콘 계면활성제가 본 조성물중에 존재할 때, 그 양은 보통 유액의 2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15 중량%일 것이다.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부가성분의 예로서는 보존제, 예컨대 파라-하이드록실 벤조산염 에스테르; 항산화제, 예컨대 부틸하이드록실톨루엔;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롤, 에톡시화 글리세린, 예컨대 글리세린에트-26, 솔비톨, 2-피롤리돈-5-카복실산염, 디부틸프탈산염, 젤라틴, 폴리에틸렌글리콜, 예컨대 PEG 200 ~ 600; 염기, 예컨대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완충제; 왁스, 예컨대 밀랍, 오조케라이트 왁스, 파라핀 왁스; 식물 추출물, 예컨대 알로에베라, 수레국화, 위치하젤, 엘더플라워, 오이; 그리고 아세로라체리 발효액, 증점제; 활성 증강제(activity enhancer); 착색제 및 향수를 포함한다. 화장품 부가성분은 본 조성물의 나머지를 채울 수 있다.
소염제 및/또는 자극방지제(anti-irritant agent)를 혼입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천연 소염제 및/또는 자극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감초와 이의 추출물, 글리시리진산이칼륨, 귀리 및 귀리 추출물, 칸데릴라 왁스, 알파 비사볼롤, 알로에베라, 갈퀴꼭두서니(루비아(Rubia)속 식물, 구체적으로 루비아 코르디폴리알(Rubia cordifolial)로부터 추출) 및 구갈(Guggal)(콤미포라(Commiphora)속 식물, 구체적으로 콤미포라 머컬(Commiphora Mukul)로부터 추출)이 사용될 수 있다.
피부에 유익한 추가의 제제, 예컨대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스핑고지질, 예컨대 스핑고미엘린, 세레브로시드, 설파티드 및 강글리오시드, 스핑고신, 디하이드로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인지질도 또한 별도로 또는 혼합물로서 혼입될 수 있다. 지방산도 또한 이처럼 피부에 유익한 제제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마이드 및 글리코세라마이드는, 관련 부분들이 본원에 참고용으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589,178호, 동 제5,661,118호 및 동 제5,688,752호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슈도세라마이드는, 관련 부분들이 본원에 참고용으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198,210호, 동 제5,206,020호 및 동 제5,415,855호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a)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과, b) 피부 노화를 치료, 예방 또는 역전시키는데 유용한 기타 제제 1가지 이상을 함유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유지를 위한 방식으로 또는 계속 투여를 위한 방식(예컨대 1일 1회 이상, 1일 2회 이상, 1주일에 1회 이상 등)으로 투여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예컨대 피부 패치, 반창고 또는 서방 제형을 통해) 지속적으로 투여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1회, 2회, 5회, 10회 또는 이 이상 투여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수주,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투여되거나 무제한으로 투여된다.
II. 용도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손상(예컨대 나이 관련 피부 손상)을 치료,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데에서 그 용도를 발견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역전 또는 예방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예에서, 손상된 피부를 수복하기 위한 조성물(예컨대 피부 손상을 역전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또는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3가지 또는 전부)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줄기/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예컨대 2가지 또는 전부)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거나, 이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은 피부 손상의 증상(예컨대 주름, 검버섯, 탄력 감소 및 건조 증가) 1가지 이상을 예방 또는 감소시킨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대상체 피부에서 코르티졸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대상체 피부에서 염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킨다.
몇몇 구현예에서, 본 조성물은 적어도 매일(예컨대 1일 이상으로부터 1주 이상 또는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또는 무제한) 적용된다.
실험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임의의 구현예를 입증하고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노화 관련 피부 손상을 예방 및 수복하기 위한 식물성 추출물의 스크리닝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하 조성물이 본 실시예에 사용되었다: 예방용: 0.5% 아세로라체리, 0.1% 블랙베리, 0.75% 센티페다; 수복용: 1% 오스만투스, 1% 시금치, 1% 터메릭.
도 1 ~ 도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산화적 노출 노화 모델에서 식물성 물질을 시험하였다. 시험은 3개의 단계 5개 경로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1. 노화 표현형의 조기 예방
a. 생존율과 증식 평가지표(proliferation endpoint)로 측정된 항산화 경로의 활성화. 산화적 노출 이전에 식물성 물질을 첨가하였으며, 이 식물성 물질이 노화 표현형의 출현을 예방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2. 영구 노화 표현형이 획득되기 전인 중년 노화 표현형
a. 조기 보호/회복: AP-1/MMP-1 콜라겐 손상 경로의 억제. 산화적 노출 이후, 즉 섬유아세포가 영구 노화 표현형을 획득하기 전의 시점에 식물성 물질을 첨가하였다.
b. 조기 보호/회복: TGF-베타/콜라겐 생성 경로의 보호. 산화적 노출 이후이되, 섬유아세포가 영구 노화 표현형을 획득하기 전에 식물성 물질을 첨가하였다.
3. 완전히 획득한 노화 표현형
a. 회복: AP-1/MMP-1 콜라겐 손상 경로의 억제. 섬유아세포가 노화 표현형으로 안정화된 후에 식물성 물질을 첨가하였다.
b. 회복: TGF-베타/콜라겐 생성 경로의 보호. 섬유아세포가 노화 표현형으로 안정화된 후에 식물성 물질을 첨가하였다.
본 시험은, 노화의 상이한 단계(조기, 중기 및 완전 획득)에서 상이한 노화 경로를 억제하는, 식물성 물질의 효능에 관한 독특한 순위 체계를 규명하였다(표 1 ~ 표 5). 이러한 발견은, 활성을 가지는 식물성 물질들의 독특한 조합이, 제제 하나가 제공하는 노화 방지 이득보다 더욱 포괄적인 노화 방지 이득을 제공하였음을 나타낸다.
항산화 반응 요소 검정
항산화 반응 요소(6X: GTGACxxxGCA(서열 번호 1)의 제어하에 있는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구조체(pGL4.27)로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HepG2 세포를, 웰당 30000개 세포의 밀도가 되도록, 10% 혈청을 함유하는 최소 필수 조직 배양 배지중 백색 벽 콜라겐 코팅 평판에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개별 성분(아세로라체리(AC), 블랙베리 분말(BB) 및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추출물(CC))을 조직 배양 배지중에 희석한 다음, 특정 농도로 웰에 부가하였다. 또한, 3가지 성분 AC, BB 및 CC를, AC:BB:CC의 비 0.5:0.1:0.75가 되도록 조합하였다. 이러한 조합을 다양한 농도로 희석한 다음, 시험 웰에 부가하였다. 48시간 후, 세포를 용해하고 나서, 제작자(Biotium, Inc., Hayward, CA)의 지침에 따라 루시퍼라아제 시험을 사용하여 루시퍼라아제를 정량하였다. 데이터를 미처리 웰의 응답율(%)로서 제시하였다. 특정 용량일 때 개별 성분의 응답율을 도 4의 "예측값"이라 표지된 중첩 막대로 제시하였다. 이 응답율은, 시료들의 효과를 함께 더하였을 때의 ARE 응답율에 관한 예측값이다. 동일한 개별 용량을 적용한 조합 처리를 도 4에 도시하였고, 도 4의 "실제값"이라 표지된 막대로서 제시하였는데, 이는 조합의 응답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승 활성을 보여준다.
헤목시게나아제(HOX)
AG01518 섬유아세포의 세포를 MEM + 가느다란 숯 조각 포함 2% FBS +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암포테리신 B중에 유지시켰다. 96웰 평판의 웰당 20,000개 세포를 도말한 후, 세포를 MEM + 가느다란 숯 조각 포함 2% FBS중에 유지시켰다. 세포를 18시간 동안 예방용 및 수복용 복합체의 개별 성분과, 특정의 예방용 및 수복용 복합물의 다양한 희석물로 처리하였다. 이 예방용 복합체는 아세로라체리(AC), 블랙베리 분말(BB) 및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추출물(CC)을 함유하였던 반면, 수복용 복합체는 시금치 잎(SL; NF7321A), 오스만테시스(Osmantheis)(OF; RN2407) 및 터메릭(T; (RN2404))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하였다. 성분 처리후, 세포를 용해한 다음, RNA를 단리하였다. HOX 발현을 정량하기 위해 RT-qPCR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유전자에 관한 주기 역치값(cycle threshold value)을 자체의 내부 하우스키핑 유전자 HPRT1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처리 발현값을 미처리 대조군의 평균 발현값으로 나누어, 미처리 대조군의 HOX 배수 발현 수준(HOX Fold Expression level)을 초과하는 HOX 배수 발현 수준을 산정하였다. 데이터를 미처리 웰의 응답율(%)로서 제시하였다. 개별 성분이 특정 용량일 때 HOX 유전자 응답율에 대한 효과를, 도 5 및 도 6의 "예측값"이라 표지된 중첩 막대로서 제시하였다. 만일 시료가 개별적으로 작용하면, 이는 ARE 응답율의 예측값이다. 동일 개별 용량들이 함께 "조합되어" 적용된 복합 처리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보였으며, 도 5 및 도 6의 "실제값"이라 표지된 막대로서 제시하였다. "실제값"이라 표지된 막대는 성분들이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의 응답율을 나타낸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수복 검정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 세포를 6웰 평판에서 DMEM 배지(성장 배지)중에 생육하였다. 합류도가 70%에 도달하였을 때, 세포를 우선 인산염 완충 염수(PBS)로 세척한 다음, 처리 배지(혈청 불포함 성장 배지)중에서 150 μM H2O2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세포를 인산염 완충 염수(PBS)로 2회 세척한 다음, 성장 배지를 세포에 부가하고 나서, 평판을 항온처리기에 넣어 방치하여 두었다. 다음 날, 동일한 처리(H2O2 처리)를 반복하였다. H2O2 처리 2 연속일 경과 후,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수복용 복합체"의 성분으로 개별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1일차). 4일 더 세포가 성장하도록 허용하였다. 그 다음, 5일차에 세포를 용해하고 나서, RNAeasy 미니 키트(Qiagen사, Germantown, MD)로 RNA를 단리하였다. 그 다음, 260 nm에서의 흡광도를 통해 다양한 RNA 세트를 정량하였다. 이후, iscript cDNA 합성 키트(Bio-RAD사, Hercules, CA)를 사용하여 총 RNA를 cDNA로 전환시켰다. 그 다음, cDNA를 5배 희석한 후, qPCR 반응당 5 μl씩 사용하였다. Sso Advances Universal SYBR 그린 수퍼믹스(Bio-Rad사, Hercules, CA)를 사용하여 qPCR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를 Qiagen (Germantown, MD)으로부터 구입하였다.
데이터는 MMP-1 응답 억제율(%)로 제시하였다. 개별 성분이 특정 용량일 때의 응답율을, 도 7의 "예측값"이라 표지된 중첩 막대로서 제시하였다. 이 응답율은, 시료들의 효과를 함께 더하였을 때의 검정에 관한 예측값이다. 동일한 개별 용량을 적용한 조합 처리를 "실제값"이라 표지된 막대로서 제시하였는데, 이는 조합의 응답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응답율이 해당 농도와 동일한 농도일 때의 개별 응답율의 합보다 훨씬 더 높았던 것으로 보아, 조합은 상승작용을 보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실시예 2
예방용 복합 성분은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제I형 프로콜라겐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막아준다(피부 노화의 예방 모델)
1차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섬유아세포를, 아세로라체리(체리),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블랙베리 잎(블랙베리)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센티페다)와 같이 명시된 예방용 복합 성분으로 2일 동안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그 다음, 섬유아세포를 무혈청 DMEM중에 넣고 나서, 100 μM H2O2에 1시간 동안 노출시켰다(2 연속일, 산화적 노출). 산화적 노출이 끝날 때마다, 배지를, FBS 및 예방용 복합 성분(들)을 함유하는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2차 산화적 노출 후 6일 경과시, 배지를, 2% FBS 함유 배지(예방용 복합 성분 불포함)로 교환하였고, 12시간 후에는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제I형 프로콜라겐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제I형 프로콜라겐 단백질 수준을 섬유아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예방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체리:블랙베리:센티페다 0.5:0.1:0.75였다. 결과를 도 8에 보였다. 데이터는 3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예방용 복합 성분은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제I형 프로콜라겐 생성을 개선한다: 피부 노화의 조기 치료 모델
1차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섬유아세포를 무혈청 DMEM에 넣은 후, 1시간 동안 100 μM H2O2에 노출시켰다(2 연속일, 산화적 노출). 산화적 노출이 끝날 때마다, 배지를 새 FBS 함유 배지로 교환하였다. 2차 산화적 노출 후 1일 경과시 세포를, 아세로라체리(체리),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블랙베리 잎(블랙베리)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센티페다)와 같이 명시된 예방용 복합 성분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함유하는 배지중에서 배양하였다. 2차 산화적 노출 후 6일 경과시, 배지를, 2% FBS 함유 배지(예방용 복합 성분 불포함)로 교환하였고, 12시간 후에는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제I형 프로콜라겐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제I형 프로콜라겐 단백질 수준을 섬유아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예방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체리:블랙베리:센티페다 0.5:0.1:0.75였다. 결과를 도 9에 보였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수복용 복합 성분은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제I형 프로콜라겐 생성을 복구한다(피부 노화의 회춘 모델)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합류상태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섬유아세포를 무혈청 DMEM에 넣고 나서, 1시간 동안 200 μM H2O2에 노출시켰다(2 연속일, 산화적 노출). 산화적 노출이 끝날 때마다, 배지를 10% FBS 함유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산화적 노출 후 5일 경과시 트립신처리에 의해 섬유아세포를 수집한 다음, 계수하였으며, 동일한 수의 섬유아세포를 24웰 평판내 10% FBS 함유 배지중에서 배양하였다. 2일 후, 섬유아세포를, 시금치 추출물(시금치),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아시아 티 올리브) 꽃 추출물(오스만투스) 또는 커큐마 론가 추출물(커큐민)과 같이 명시된 수복용 복합 성분으로 6일 동안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그 다음, 이 배지를, 2% FBS 함유 배지(수복용 복합 성분 불포함)로 교환하였고, 12시간 후에는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제I형 프로콜라겐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제I형 프로콜라겐 단백질 수준을 섬유아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수복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시금치:오스만투스:커큐민 1:1:1이었다. 결과를 도 10에 보였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예방용 복합 성분은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붕괴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 -1을 차단한다: 피부 노화의 예방 모델
1차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섬유아세포를 아세로라체리(체리),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블랙베리 잎(블랙베리)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센티페다)와 같이 명시된 예방용 복합 성분으로 2일 동안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그 다음, 섬유아세포를 무혈청 DMEM에 넣고 나서, 1시간 동안 100 μM H2O2에 노출시켰다(2 연속일, 산화적 노출). 산화적 노출이 끝날 때마다, 배지를 10% FBS 및 예방용 복합 성분(들) 함유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2차 산화적 노출 후 6일 경과시, 배지를 2% FBS 함유 배지(예방용 복합 성분 불포함)로 교환하였고, 12시간 후에는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였다.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단백질 수준을 섬유아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예방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체리:블랙베리:센티페다 0.5:0.1:0.75였다. 결과를 도 11에 보였다. 데이터는 3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예방적 복합 성분은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붕괴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 -1을 감소시킨다: 피부 노화의 조기 치료 모델
1차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섬유아세포를 무혈청 DMEM에 넣고 나서, 1시간 동안 100 μM H2O2에 노출시켰다(2 연속일, 산화적 노출). 산화적 노출이 끝날 때마다, 배지를 10% FBS 함유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2차 산화적 노출 후 1일 경과시 세포를 아세로라체리(체리),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블랙베리 잎(블랙베리)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센티페다)와 같이 명시된 예방용 복합 성분을 단독 또는 조합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차 산화적 노출 후 6일 경과시 배지를, 2% FBS 함유 배지(수복용 복합 성분 불포함)로 교환하였고, 12시간 후에는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였다.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단백질의 수준을 섬유아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예방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체리:블랙베리:센티페다 0.5:0.1:0.75였다. 결과를 도 12에 보였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수복용 복합 성분은 성인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붕괴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 -1 생성 수준의 상승을 역전시킨다: 피부 노화의 회춘 모델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합류상태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섬유아세포를 무혈청 DMEM에 넣고 나서, 1시간 동안 200 μM H2O2에 노출시켰다(2 연속일, 산화적 노출). 산화적 노출이 끝날 때마다, 배지를 10% FBS 함유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산화적 노출 후 5일 경과시 트립신처리에 의해 섬유아세포를 수집한 다음, 계수하였으며, 동일한 수의 세포를 24웰 평판에 가하였다. 2일 후, 섬유아세포를, 시금치 추출물(시금치),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아시아 티 올리브) 꽃 추출물(오스만투스) 또는 커큐마 론가 추출물(커큐민)과 같이 명시된 수복용 복합 성분으로 6일 동안 10% FBS 함유 새 배지중에서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그 다음, 이 배지를, 2% FBS 함유 배지(수복용 복합 성분 불포함)로 교환하였고, 12시간 후에는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단백질을 ELISA로 측정하였다. 기질 메탈로프로티나아제-1 수준을 섬유아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수복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시금치:오스만투스:커큐민 1:1:1이었다. 결과를 도 13에 보였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예방용 복합 성분은 성인 표피 피부 세포에서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 E 2 의 생성을 억제한다
인간 피부 세포(각질세포)를, 각질세포 무혈청 성장 배지(SGM)에서 합류도 60% ~ 7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질세포를 1% 소태아혈청(FBS) 함유 새 SG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배지를, 1% FBS 함유 새 SGM으로 교환하고 나서, 아세로라체리(체리),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블랙베리(블랙베리)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센티페다)와 같이 명시된 예방용 복합 성분으로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6일 후,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PEG2)를 ELISA로 측정하였다. PEG2 수준을 각질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예방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체리:블랙베리:센티페다 0.5:0.1:0.75였다. 결과를 도 14에 보였다. 결과는 2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수복용 복합 성분은 성인 표피 피부 세포에서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 E 2 의 생성을 억제한다
인간 피부 세포(각질세포)를, 각질세포 무혈청 성장 배지(SGM)에서 합류도 60% ~ 7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질세포를 1% 소태아혈청(FBS) 함유 새 SG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이 배지를, 1% FBS 함유 새 SGM 배지로 교환하고 나서, 시금치 추출물(시금치),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아시아 티 올리브) 꽃 추출물(오스만투스) 또는 커큐마 론가 추출물(커큐민)과 같이 명시된 수복용 복합 성분으로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6시간 후,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PEG2)를 ELISA로 측정하였다. PEG2 수준을 각질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수복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시금치:오스만투스:커큐민 1:1:1이었다. 결과를 도 15에 보였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수복용 복합 성분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생성을 억제한다
인간 부신 세포(H295 세포)를, 10% 코스믹 송아지(Cosmic calf) 혈청(CCS)을 함유하는 DMEM/F12(1:1) 배지에서 합류도 60% ~ 7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0.1% CSS 함유 DMEM/F12(1:1)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0.1% CSS 함유 새 DMEM/F12(1:1) 배지로 교환하고 나서, 시금치 추출물(시금치),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아시아 티 올리브) 꽃 추출물(오스만투스) 또는 커큐마 론가 추출물(커큐민)과 같이 명시된 수복용 복합 성분으로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22시간 후,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코르티졸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코르티졸 수준을 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수복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시금치:오스만투스:커큐민 1:1:1이었다. 결과를 도 16에 보였다. 데이터는 3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예방용 복합 성분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생성을 억제한다
인간 부신 세포(H295 세포)를, 10% 코스믹 송아지 혈청(CCS)을 함유하는 DMEM/F12(1:1) 배지에서 합류도 60% ~ 7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0.1% CSS 함유 DMEM/F12(1:1)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0.1% CSS 함유 새 DMEM/F12(1:1) 배지로 교환하고 나서, 아세로라체리(체리),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블랙베리 잎(블랙베리) 또는 센티페다 컨닌감미이(센티페다)와 같이 명시된 예방용 복합 성분으로 단독 또는 조합 처리하였다. 22시간 후, 조정한 배지를 수집하여, 코르티졸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코르티졸 수준을 세포 수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예방용 복합 성분의 상대적 농도(농도 비)는, 체리:블랙베리:센티페다 0.5:0.1:0.75였다. 결과를 도 17에 보였다. 결과는 3회의 독립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상기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특허 출원 및 수탁 번호는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첨부되어 있다. 본 발명이 특정 구현예와 연계되어 기재되었지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그러한 특정 구현예에 과도하게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여러가지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하기 청구항들로 이루어진 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SEQUENCE LISTING <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120>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KIN DAMAGE <130> UM-37824-601 <150> US 62/952,931 <151> 2019-12-23 <160> 1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220> <221> misc_feature <222> (6)..(8) <223> n is a, c, g, or t <400> 1 gtgacnnngc a 11

Claims (35)

  1.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및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중 3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전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4.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및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2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전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및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
  7.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 및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
  8.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 및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크림, 로션, 겔, 연고, 고약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1 중량% ~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 열매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05 중량% ~ 0.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스 프루티코서스 잎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1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25 중량% ~ 1.2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티페다 컨닌감미이 잎/줄기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7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5 중량% ~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오스만투스 프래그란스 꽃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5 중량% ~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나시아 올레라세아 잎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0.5 중량% ~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큐마 론가 뿌리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중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을, 이 조성물이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하여야 할 조건하에 있는 대상체의 피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상된 피부를 수복하는 방법.
  23. 제4항 또는 제5항에 의한 조성물을, 이 조성물이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예방하여야 할 조건하에 있는 대상체의 피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
  24.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을, 피부 손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은 나이 관련 피부 손상인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은 주름, 검버섯, 탄력 감소 및 건조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대상체 피부에서 코르티졸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대상체 피부의 염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
  29.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매일 적용되는 방법.
  30. 대상체에서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
  3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32. 대상체에서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제4항 또는 제5항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
  33.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34. 대상체에서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1항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
  35.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피부 손상에 관한 1가지 이상의 징후나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227024896A 2019-12-23 2020-12-23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20119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52931P 2019-12-23 2019-12-23
US62/952,931 2019-12-23
PCT/US2020/066856 WO2021133914A1 (en) 2019-12-23 2020-12-23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kin da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431A true KR20220119431A (ko) 2022-08-29

Family

ID=7657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896A KR20220119431A (ko) 2019-12-23 2020-12-23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3285A1 (ko)
JP (1) JP2023507855A (ko)
KR (1) KR20220119431A (ko)
CN (1) CN114828823A (ko)
WO (1) WO20211339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867A1 (en) * 2004-05-12 2006-01-26 Ichimaru Pharco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CA2685534A1 (en) * 2007-04-30 2008-11-06 Living Proof, Inc. U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in skin care
CA2831597C (en) * 2011-03-28 2020-10-13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BR112014002626A2 (pt) * 2011-08-05 2017-04-04 Stemtech Int Inc composições de cuidados da pele que contêm combinações de ingredientes naturais
FR3061416B1 (fr) * 2016-12-29 2021-06-1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e l'eau de coco comme solvant d'extraction
IL257892A (en) * 2018-03-05 2018-05-02 Bio Bee Sde Eliyahu Ltd New methods for cultivation, cultiva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7855A (ja) 2023-02-27
US20230073285A1 (en) 2023-03-09
WO2021133914A1 (en) 2021-07-01
CN114828823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779B2 (ja) 皮膚外用剤
US8354099B2 (en) Skin-car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1470045B1 (ko) 피부 외용제에 유용한 베시클 및 상기 베시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JPH0585924A (ja) 皮膚外用剤
TW201023908A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Melicope hayesii and a method of treating skin
JP2012502093A (ja) レウコユム球根の抽出物及びその利用
ES2741874T3 (es) Uso de Tiliacora triandra en cosméticos y composiciones de los mismos
JPH03251518A (ja) 竹から抽出されたフケ菌発育阻害成分を含有する皮膚・頭皮・頭髪剤
JP2010184916A (ja) 育毛剤
US7763263B2 (en) Skin external agents and drugs
KR20220119431A (ko) 피부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N107325157B (zh) 调节皮脂分泌的肽以及包含其的化妆品
EP1249237B1 (en) Topical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alkoxylated diester of fumaric acid
KR102059513B1 (ko) 애엽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103375B2 (ja) 老化の不都合な影響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13056841A (ja) 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52468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242801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116370A (ko)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JPH0930927A (ja) 皮膚外用剤
KR101373714B1 (ko)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612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