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714B1 -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714B1
KR101373714B1 KR1020120043861A KR20120043861A KR101373714B1 KR 101373714 B1 KR101373714 B1 KR 101373714B1 KR 1020120043861 A KR1020120043861 A KR 1020120043861A KR 20120043861 A KR20120043861 A KR 20120043861A KR 101373714 B1 KR101373714 B1 KR 10137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id
promoting
caffeic aci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741A (ko
Inventor
오명진
김보라
김진은
이수민
이주동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1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로넬릭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PROMOTING CORNIFIED ENVELOPE FORMATION}
본 발명은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부는 진피와 표피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 표피는 피부 최외각에 위치하며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한다. 표피최하층(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basal cell)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는 동안 단계적으로 형태와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각질형성세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각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현대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기능 이상이 가장 중요한 원인임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건조피부는 최근 환경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 등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아토피나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 능력이 있는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은 보습제가 개발되어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손상된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각질형성세포에 존재하는 PPAR(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가 그 리간드(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PPAR 알파는 세포 증식/분화의 조절, 염증 매개체들의 조절 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포도당, 지질, 호르몬의 대사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특히, 피부의 표피에서 각질형성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증식을 억제하며 지질대사를 통한 피부장벽 형성을 촉진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피부 기능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이 밝혀졌다. 또한, PPAR 알파의 활성은 피부의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이미 알려진 PPAR 알파의 작용제(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Feingold etal., J. Invest. Dermatol., 110, pp368-375, 1998], WY14643[Feingold et al., J. Invest. Dermatol., 115,pp353-360, 2000] 등을 피부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며, 피부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PPAR 알파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성분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시트로넬릭산 및 카페인산이 PPAR 알파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 각화막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로넬릭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PAR 알파의 활성 촉진능, 표피세포 분화 촉진능을 가지며, 이로써 각화막 형성을 촉진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피부를 보습시키며, 피부 자극을 완화한다.
도 1은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카페인산, (S)-(-)-시트로넬릭산 및 (R)-(+)-시트로넬릭산의 PPAR 알파 활성 증진능을 나타낸다.
도 2는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의 농도 의존적 PPAR 알파 활성 증진능을 나타낸다.
도 3은 카페인산의 농도 의존적 PPAR 알파 활성 증진능을 나타낸다.
도 4는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카페인산, (S)-(-)-시트로넬릭산 및 (R)-(+)-시트로넬릭산의 각화막 형성 촉진능을 나타낸다.
도 5는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의 농도 의존적 각화막 형성 촉진능을 나타낸다.
도 6은 카페인산의 농도 의존적 각화막 형성 촉진능을 나타낸다.
도 7은 카페인산의 인볼루크린 발현 증진능을 나타내고, 도 8은 카페인산의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1 발현 증진능을 나타낸다.
도 9는 카페인산의 필라그린 발현 증진능을 나타낸다.
도 10은 카페인산의 항산화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시트로넬릭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시트로넬릭산
본 발명의 시트로넬릭산(Citronellic acid, 3,7-Dimethyloct-6-enoic acid)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 시트로넬릭산은 이들의 개별적 광학 이성질체, 즉, (R)-(+)-시트로넬릭산 또는 S)-(-)-시트로넬릭산, 이들의 비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기의 화학식 2는 (R)-(+)-시트로넬릭산을 나타내며, 하기 화학식 3은 (S)-(-)-시트로넬릭산을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3

카페인산
본 발명의 카페인산 및 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된다. 이 때, R1 또는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5 이하의 알콕시이다. 상기 알콕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이하의 알콕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다. 상기 R1 및 R2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기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4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
본 발명의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은 표피세포 분화 촉진능, PPAR 알파의 활성 증진능, 피부 자극 완화능, 항산화능, 피부 보습능 또는 피부 장벽 강화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피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각화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보습을 증진시키고 가려움증 등 피부 건조로 인한 질환들의 예방, 개선 및 치료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각화막 형성 촉진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시트로넬릭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능, 표피세포 분화 촉진능, PPAR 알파의 활성 증진능 또는 피부 장벽 강화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표피세포 분화 촉진능, PPAR 알파의 활성 촉진능, 항산화능, 피부자극 완화능, 피부 보습능 또는 피부 장벽 강화능을 갖는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건조증, 가려움증, 피부 자극 완화 및 아토피의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 건조한 피부, 아토피성 피부 등을 갖는 환자 등에 투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시트로넬릭산 또는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허용 가능한 염을 0.01 내지 8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여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피부의 상태, 가려움증의 진행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도포하여 경피 흡수용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 또는 피부 도포용 유액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로넬릭산 또는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그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피부 상태, 연령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피부 1 cm2 당 0.01 g 내지 20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50 g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건강 유지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투여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재료>
하기 실험예에서는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S)-(-)-시트로넬릭산, (R)-(+)-시트로넬릭산 처리군 및 하기 화학식 5의 카페인산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5

<실험예 1> 피부 장벽 강화능
<1-1> PPAR 알파 활성 증진능
원숭이 신장 상피 세포주인 CV-1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펙션(transfection) 정도를 표준화하는 컨트롤 사용 목적인 레닐라-루시퍼라제 구조체와,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도 발현되는 유니버셜 프로모터 뒤에 PPARα가 결합하여 활성화되는 PPRE(peroxisome proliferator-responsive element)를 포함하는 반딧불-루시퍼라제 DNA 구조체가 결합된 플라스미드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평판배양기에 CV-1 세포를 일정 농도로 분주하고 PPAR-α DNA, PPRE를 포함하는 반딧불-루시퍼라제 DNA 구조체, 레닐라-루시퍼라제 구조체를 무혈청 배지에 섞어 리포펙타민과 함께 처리하여 트랜스펙션 시켰다. 트랜스펙션 후 시험 물질드을 각각 일정 농도로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하고 일정시간 37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리포터 라이시스버퍼를 이용해 세포 용출액을 준비하여 마이크로 튜브로 옮기고 1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여물을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세포 용출액을 얻었다.
PPAR 알파 활성도는 반딧불 루시퍼라제 활성 대비 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 비율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러므로 세포 파쇄 용액 내 반딧불 및 레닐라 루시퍼라제의 활성을 루미노미터로 각각 측정한 뒤 반딧불 루시퍼라제 활성값을 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값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무처리 군의 반딧불/ 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 값을 1이라 환산하고 시험물질의 반딧불/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 값을 무처리군 대비 증가되는 활성(fold activity)으로 수치화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CV-1 세포를 평판배양기에 분주하여 CO2 5%, 37℃의 조건에서 90% 배양하고 리포펙타민을 이용하여 세포에 플라스미드들을 트랜스펙션 시킨 후 약물 처리한 후 리포터 라이시스버퍼를 이용해 세포 용출액을 준비하였다. 이를 마이크로 튜브로 옮기고 1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여물을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세포 용출액을 얻었다. 각 시험물질의 PPAR 알파 활성도는 세포 용출액에 루시퍼라제 기질을 1:1비율로 혼합하고, 루미노미터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고,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하여 PPAR 알파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PPAR activator인 WY14643(상품명, pirinixic acid)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카페인산, (S)-(-)-시트로넬릭산 및 (R)-(+)-시트로넬릭산 처리군들이 모두 무처리군에 비하여 PPAR 알파 활성이 증가하였다(도 1). 또한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및 카페인산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PAR 알파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각각 도 2 및 도 3). 도 1에서 1: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2: 카페인산, 3: (S)-(-)-시트로넬릭산, 4: (R)-(+)-시트로넬릭산 처리군이다.
<1-2> 피부 각화막 형성 촉진능
인간 각질 형성 세포(Human normal keratinocyte)를 성장인자가 포함된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그 후 이를 평판배양기에 분주하여 CO2 5%, 37℃의 조건에서 70~80% 배양한 뒤 시료를 처리하여 표피 세포 분화능을 시험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1.2mM CaCl2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이들을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PBS로 씻고 세포를 회수하여 85 ℃에서 15분간 끓여 세포를 용출하였다. 20,000rpm로 60분간 원심분리 하여 세포 잔여물을 침전시킨 뒤 상등액 중 일부를 이용해 단백질을 정량한 후 96공 평판배양기에 옮겨서 430nm 조건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및 CaCl2를 모두 처리하지 않은 군을 100%로 하고, 이에 대하여 상대적인 표피 세포 분화 정도를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카페인산, (S)-(-)-시트로넬릭산 및 (R)-(+)-시트로넬릭산 처리군들 모두 각질 형성 세포, 즉, 표피 세포 분화를 증진시켜 피부 각화막 형성이 촉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특히,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및 카페인산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각화막 형성이 촉진되었다(각각 도 5 및 도 6). 도 4에서 1: 시트로넬릭산 라세미 혼합물, 2: 카페인산, 3: (S)-(-)-시트로넬릭산, 4: (R)-(+)-시트로넬릭산 처리군이다.
<1-3> 인볼루크린 및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1의 발현 증진능
인간 표피 세포를 성장인자가 포함된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이를 평판배양기에 분주하여 CO2 5%, 37℃의 조건에서 70~80% 배양한 뒤 카페인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1.2mM CaCl2 처리군을 이용하여, 피부 각화막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인볼루크린 및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1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37℃, 48시간 배양 후 PBS로 씻고 RIPA 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한 뒤 원심분리 하여 세포 용출액을 얻었다. Bradford assay로 단백질 정량을 한 뒤 전기영동법으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를 PVDF 멤브레인에 트랜스퍼한 뒤 인볼루크린,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1 항체와 각각 반응시킨 뒤 필름에 현상하였다.
그 결과, 인볼루크린의 발현이 무처리군에 비해 카페인산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7),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1의 발현 역시 무처리군에 비해 카페인산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8).
<실험예 2> 피부 보습능
인간 표피 세포를 성장인자가 포함된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이를 평판배양기에 분주하여 CO2 5%, 37℃의 조건에서 70~80% 배양한 뒤 카페인산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 1.2mM CaCl2를 처리하여 피부 보습능을 비교하였다. 37℃, 48시간 배양 후 PBS 로 씻고 Trizol reagent를 이용해 RNA를 분리하였다. Reverse Transcription Premix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 한 후 각각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피부 보습을 담당하는 천연 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전구 단백질인 프로필라그린의 유전자의 발현이 무처리군에 비해 카페인산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9). 프로필라그린은 필라그린의 전구체인데, 필라그린은 표피 항상성을 위한 중요한 조절 단백질로 필라그린이 분해 시 보습제인 NMF 성분이 되는바, 카페인산은 피부 보습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항산화능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카페인산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0.1mM DPPH 메탄올 용액과 농도별 샘플을 1:1로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6㎚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소거된 DPPH의 농도를 정량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scavenging activity)은 하기 <식 1>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동일 농도의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식 1>
자유라디칼 소거율(Radical scavenging, %) = [1-(B-C)/A]ㅧ100
A: 샘플을 첨가하지 않은 채 반응한 후의 흡광도,
B: 샘플을 첨가하여 반응한 후의 흡광도
C는 DPPH 대신 메탄올로 대체하였을 때의 흡광도
그 결과, 카페인산의 IC50는 21.6μM으로, 아스코르브산(IC50=23.5μM)과 비슷한 수준의 우수한 항산화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
<실험예 4> 피부 자극 완화능
피험자의 양 팔의 전완 부위를 시험부위로 지정하고, IQ chamber를 이용하여 SLS (Sodium Lauryl sulfate, Sigma) 1.5% 용액을 24시간 동안 폐쇄첩포 하였다. 첩포를 제거한 후 항온항습 조건에서 대기 한 후 시험부위에 TEWAMETER TM210 (C+K사, 독일)를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 : Transepidermal water loss, 측정단위 : g/h㎡)을 기기 측정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은 피부장벽기능을 측정하는 데 있어 유용한 방법이며, 각질충의 수분량의 측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TEWL 수치가 낮을수록 피부상태가 좋음을 의미하며, 개선율은 시료 사용 전/후 측정값을 이용하여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이 때, 시료는 하기 표 1에 따라 조제하여 사용하였으며, 시료 사용 후 1일, 2일, 7일 후에 피부 자극 완화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장벽 손상 후 자연 치유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도포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6
<식 2>
TEWL 개선율(%) = (시료 사용 전 경피수분손실량 측정값 시료 사용 후 경피수분손실량 측정값) / 시료 사용 전 경피수분손실량 측정값) x 100
그 결과, 무도포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시료를 도포한 실험군들의 피부 자극 개선율이 더 우수하였는바, 피부 장벽 개선을 통하여 피부 자극 완화능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표 2).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7

Claims (7)

  1.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8

    이때, 상기 R1 또는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5 이하의 알콕시임.
  2. 제 1항에 있어서,
    표피세포 분화 촉진능, PPAR 알파의 활성 촉진능 또는 피부 장벽 강화능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페인산,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화막 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2033468214-pat00009

    이때, 상기 R1 또는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5 이하의 알콕시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43861A 2012-04-26 2012-04-26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61A KR101373714B1 (ko) 2012-04-26 2012-04-26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61A KR101373714B1 (ko) 2012-04-26 2012-04-26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370A Division KR101373715B1 (ko) 2013-12-30 2013-12-30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41A KR20130120741A (ko) 2013-11-05
KR101373714B1 true KR101373714B1 (ko) 2014-03-13

Family

ID=4985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61A KR101373714B1 (ko) 2012-04-26 2012-04-26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591B1 (ko) * 2019-11-28 2021-08-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룰산 및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604A (ko) * 2001-05-21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화장용 제제
KR20080030938A (ko) * 2006-10-02 2008-04-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카페인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US20080119527A1 (en) 2006-09-15 2008-05-22 L'oreal Composition for combating the localized hyperpigmentation of dark skin
WO2011147933A1 (en) * 2010-05-27 2011-12-01 Laboratorios Leti, S.L. Topical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r conditions that transcur through a deficit of maturation of the cornified envelo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604A (ko) * 2001-05-21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화장용 제제
US20080119527A1 (en) 2006-09-15 2008-05-22 L'oreal Composition for combating the localized hyperpigmentation of dark skin
KR20080030938A (ko) * 2006-10-02 2008-04-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카페인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11147933A1 (en) * 2010-05-27 2011-12-01 Laboratorios Leti, S.L. Topical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r conditions that transcur through a deficit of maturation of the cornified envel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41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4183B2 (ja) 皮膚外用剤
CN111053703A (zh) 用于婴幼儿皮肤屏障守护的分段健脂护肤组合物
JP2010504299A (ja) マトリプターゼ発現を刺激する活性剤の化粧上での使用
US8168197B2 (e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ontaining Scrophularia buergeriana miq. extract and the use thereof for the skin moisturizing cosmetics
JP2018158946A (ja) チオレドキシン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US20220331389A1 (en) Skin composition
KR20220136979A (ko) 콜히친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소양증 치료용 조성물
JP3508042B2 (ja) セラミド合成促進剤
CN110623899A (zh) 一种大米来源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3714B1 (ko)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2386655A (zh) 大白蝴蝶兰萃取物用于制备抗醣化与改善皮肤外观的组合物的用途
KR101373715B1 (ko)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070286915A1 (en) Nerve Growth Factor Production Inhibitor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the Skin, Cosmetic, Quasi Drug, Preventive and Remedy for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the Nerve Growth Factor Production Inhibitor
JP3342672B2 (ja) 表皮肥厚抑制剤
JP4630102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1495679B1 (ko) 태지와 양막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6890A (ko) 필라그린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463841B1 (ko)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166688A (zh) 青蒿烯作为保湿抗皱、抗衰老成分在化妆品中的应用
KR20070028902A (ko) 카테킨류 및 캄페롤 성분을 함유하는 피지억제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116370A (ko)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KR101056541B1 (ko) Ppar 알파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CN116236435A (zh) 一种抑制trpv1的舒敏组合物及其应用
JP3215534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