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888A - 콘솔의 틸트 구조 - Google Patents

콘솔의 틸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888A
KR20220117888A KR1020227022847A KR20227022847A KR20220117888A KR 20220117888 A KR20220117888 A KR 20220117888A KR 1020227022847 A KR1020227022847 A KR 1020227022847A KR 20227022847 A KR20227022847 A KR 20227022847A KR 20220117888 A KR20220117888 A KR 2022011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er
console
holding
lin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가토
아미 이시미즈
Original Assignee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62D1/18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the entire column being tiltable as a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구성도 심플한 틸트 구조를 제공한다.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과 슬라이더(37)와 접속 부재(30)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와 유사한 기구)를 구성했다. 또, 상기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40, 47)를 갖춘다. 상기 조작 부재(40, 47)는 상기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거나, 또는,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콘솔의 틸트 구조
본 발명은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는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압 쇼벨 등의 건설기계에서는, 캐빈 내에 운전석이 설치되고, 이 운전석에 대하여 타고 내리기 위한 승강구가 좌우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 좌석의 측부에는 콘솔이 배치되고, 이 콘솔에 조종용의 조종 레버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석에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거나, 좌석에 앉았을 때의 조종 레버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기 위해,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를 설치한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틸트 브래킷에 상하 2개 평행하게 로킹 핀이 세팅되어, 상측의 로킹 핀이 제2 프레임측에 고정되고, 하측의 로킹 핀이 제1 프레임측의 치구부(齒溝部)에 로킹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제1 프레임측의 치구부에 대한 하측의 로킹 핀의 걸어맞춤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일본 실개 평7-1905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기재의 구조는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바꾸기 위해 콘솔의 내부에 배치된 틸트 브래킷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틸트 브래킷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구성도 심플한 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는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로서, 좌석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갖추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거나, 또는,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과 슬라이더와 접속 부재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와 유사한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링크 기구에 의해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또,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할지, 또는 로킹을 해제할지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링크 기구의 로킹을 해제하고,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또, 구성도 심플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좌석 및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의 기울기를 바꾼 상태의 좌석 및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의 측면도로서, (a)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한 상태의 도면, (b) 링크 기구의 로킹을 해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a) 콘솔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 (b) 제1 프레임과 접속 부재 및 조작 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프레임과 접속 부재 및 조작 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한 상태의 도면, (b) 링크 기구의 로킹을 해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 기구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 제2 프레임을 내린 상태의 도면, (b) 제2 프레임을 올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좌석 및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a) 콘솔의 내부를 설명하는 사시도, (b) 콘솔의 저면도, (c) A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한 상태의 도면, (b) 링크 기구의 로킹을 해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변경하여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저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종자가 좌석(10)에 착석했을 때의 수평한 정면 방향을 「전측」 방향으로 하고, 이 「전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측」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조종자가 좌석(10)에 착석하여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조종자로부터 보아 좌측을 「좌측」 방향으로 하고, 조종자로부터 보아 우측을 「우측」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11)은 유압 쇼벨 등의 건설기계에 사용된다. 이러한 건설기계는 캐빈 내에 조종자용의 좌석(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좌석(10)의 양측부에 콘솔(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콘솔(11)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용의 조종 레버(12)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종자는 이 조종 레버(12)를 양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좌우로 선회하거나, 암을 움직이거나와 같은 조종을 행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좌석(10)으로부터 보아 한쪽의 콘솔(11)(도 1에서는 좌측의 콘솔(11))의 더욱 안쪽에는, 좌석(10)에 대하여 타고 내리기 위한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석(10)에 앉기 위해서는 콘솔(11)의 앞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있어, 이 콘솔(11)의 앞이 좌석(10)으로의 승강 통로로 되어 있다. 이 한쪽의 콘솔(11)에는, 조종 시에 있어서의 승강을 방해하기 위한 게이트 레버(52)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 중은 승강 통로를 차단함과 아울러, 승강 시에는 게이트 레버(52)를 젖혀 올림으로써 승강 통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11)은 좌석(10)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거나, 좌석(10)에 앉았을 때의 조종 레버(12)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기 위해, 콘솔(11)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꾸어, 조종 레버(12)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콘솔(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과, 접속 부재(30)와, 슬라이더(34)와, 조작 부재(40)를 갖추고 있다. 이들 부재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51)로 덮인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조작 가능한 일부를 제외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프레임(20)은 좌석(10)의 측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이다. 이 제1 프레임(20)은 바닥면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프레임(20)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20a) 및 전판부(20b)를 갖춘다. 한 쌍의 측판부(20a)가 제1 프레임(20)의 측면을 구성하고, 전판부(20b)가 제1 프레임(20)의 전면을 구성하고 있다.
전판부(20b)의 전면에는, 통 형상의 슬리브(20c)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20c)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며, 전판부(20b)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판부(20b)를 관통한 슬라이더(34)는 슬리브(20c)의 내부로 삽입통과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슬리브(20c)의 개방단에는, 도 5 및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슬릿(2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0d)은 후술하는 유지 부재(42)로 슬리브(20c)를 감싸 유지했을 때, 슬리브(20c)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1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이 전판부(20b)와 대향하도록 지지판부(20e)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부(20e)는, 전판부(20b)의 후방에, 전판부(20b)와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부(20e)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4)를 관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슬리브(20c)와 협동하여 슬라이더(34)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 프레임(25)은 제1 프레임(20)의 상부에 부착되고, 제1 프레임(20)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프레임(25)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25a)를 갖춘다. 이 제2 프레임(25)의 측판부(25a)의 하단부는 제1 프레임(20)의 측판부(20a)의 상단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측판부(20a, 25a)가 후측부에서 겹치는 위치에, 양자를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요동축(21)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가 제2 프레임(25)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부가 슬라이더(34)(후술)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 부재(30)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링크 부재(31)를 평행하게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부재(30)는 상단부 부근에서 회동축(32)을 통하여 제2 프레임(2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접속 부재(30)는 하단부 부근에서 슬라이더(3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접속 부재(30)는 하단부 부근에 슬라이더 유지부(33)를 갖추고 있다. 슬라이더 유지부(33)는 한 쌍의 링크 부재(3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 슬라이더 유지부(33)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4)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3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유지부(33)의 부착구멍(33a)에 슬라이더(34)를 고정함으로써, 접속 부재(30)와 슬라이더(34)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더(34)는 제1 프레임(20)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더(3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둥근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이 슬라이더(34)는 상기한 부착구멍(33a)을 관통하여 슬라이더 유지부(3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슬라이더(34)는 전방에서 제1 프레임(20)의 슬리브(20c)에 의해 슬라이딩을 지지받고 있고, 후방에서 지지판부(20e)에 의해 슬라이딩을 지지받고 있다. 이 슬라이더(34)의 전단은 슬리브(20c)의 전단 개구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더(34)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슬리브(20c)의 전단으로부터의 돌출량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틸트 구조에서는, 상기한 4개의 링크(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25), 접속 부재(30), 슬라이더(34))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의 조인트 부분, 제2 프레임(25)과 접속 부재(30)의 조인트 부분, 접속 부재(30)와 슬라이더(34)의 조인트 부분은 회전쌍이다. 또, 제1 프레임(20)과 슬라이더(34)의 조인트 부분은 미끄럼쌍이다. 이것에 의해, 고정된 링크인 제1 프레임(20)에 대하여 제2 프레임(25)이 요동하면, 그것에 따라 접속 부재(30)가 요동하고, 슬라이더(34)가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프레임(25)이 하방으로 요동하면,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30)가 하방으로 요동하고, 슬라이더(3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또, 제2 프레임(25)이 상방으로 요동하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30)가 상방으로 요동하고, 슬라이더(34)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조작 부재(40)는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조작 부재(40)는 상기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거나, 또는,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40)는 슬라이더(34)를 이동할 수 없도록 슬라이더(34)를 유지하는 로킹 상태와, 슬라이더(34)를 해방하여 슬라이더(34)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4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1)와, 유지 부재(42)와, 볼트(43)와, 너트(44)를 갖춘다.
레버(41)는 후술하는 볼트(43)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이 레버(41)는 원반 형상의 회전반부(41b)와, 회전반부(41b)로부터 연장 설치된 그립(41a)을 갖춘다. 회전반부(41b)의 중앙에는, 볼트(43)를 관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반부(41b)의 측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43)를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의 일부에 돌기(4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41a)은 볼트(43)를 중심으로 레버(41)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이다. 이 그립(41a)은,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솔(11)의 전방으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지 부재(4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U자형의 부재이다. 이 유지 부재(42)는 소정의 범위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부재(42)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띠부(42a)와, 띠부(42a)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제1 단부(42b)와, 띠부(42a)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제2 단부(42d)를 갖춘다.
띠부(42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C자형의 내주면을 가지고 있고, 이 내주면으로 제1 프레임(20)의 슬리브(20c)를 감싸듯이 유지하고 있다. 이 띠부(42a)는, 도 4(b)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등의 고정구(45)에 의해 슬리브(20c)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단부(42b)는 전술한 레버(41)의 회전반부(41b)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원반 형상의 부위이다. 이 제1 단부(42b)에는, 볼트(43)를 부착하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1 단부(42b)는 회전반부(41b)에 면하는 측면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돌기(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42c)는 볼트(43)를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반부(41b)의 돌기(41c)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단부(42d)는 제1 단부(42b)와 대향 배치되어 있고, 볼트(43)를 부착하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43)는,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1)의 회전반부(41b)와 제1 단부(42b)와 제2 단부(42d)를 관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볼트(43)의 선단부에는, 제2 단부(42d)의 외측의 측면에서 너트(4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너트(44)는 볼트(43)의 머리부와 너트(4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볼트(4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40)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1)를 끌어올림으로써 로킹 상태가 된다. 이 로킹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1)의 돌기(41c)가 유지 부재(42)의 돌기(42c)에 올라타고 걸어맞춤한다. 이때, 레버(41)의 돌기(41c)에 의해 유지 부재(42)의 돌기(42c)가 내측으로 밀어 넣어지므로, 유지 부재(42)의 제1 단부(42b)와 제2 단부(42d)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유지 부재(42)가 탄성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띠부(42a)가 슬리브(20c)를 죄어, 슬리브(20c)가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20c)가 직경 축소함으로써, 슬리브(20c)의 내부에 삽입통과된 슬라이더(34)가 유지되어, 슬라이더(34)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슬라이더(34)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링크 기구 전체를 작동할 수 없으므로, 제2 프레임(25)도 요동할 수 없게 되어, 제2 프레임(25)의 각도가 고정된다.
또, 이 조작 부재(40)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1)를 밀어 내림으로써 해제 상태가 된다. 이 해제 상태에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1)의 돌기(41c)와, 유지 부재(42)의 돌기(42c)가 볼트(43)를 축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레버(41)의 돌기(41c)에 의해 유지 부재(42)의 돌기(42c)가 내측으로 밀어 넣어지지 않아, 띠부(42a)가 슬리브(20c)를 죄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슬리브(20c)의 내부에 삽입통과된 슬라이더(34)가 해방되어 있어, 슬라이더(34)의 슬라이딩이 허용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5)을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과 슬라이더(34)와 접속 부재(30)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링크 기구에 의해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또, 조작 부재(4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할지, 또는 록을 해제할지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40)를 조작하여 링크 기구의 로킹을 해제하고,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40)를 조작하여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또, 구성도 심플하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8∼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피하고,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한 개소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11)은, 도 9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과, 접속 부재(30)와, 슬라이더(37)와, 조작 부재(47)를 갖추고 있다. 이들 기구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51)로 덮여 있어, 조작 가능한 일부를 제외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프레임(20)은 좌석(10)의 측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이다. 이 제1 프레임(20)은 바닥면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프레임(20)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20a) 및 전판부(20b)를 갖춘다. 한 쌍의 측판부(20a)가 제1 프레임(20)의 측면을 구성하고, 전판부(20b)가 제1 프레임(20)의 전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1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전판부(20b)와 대향하도록 지지판부(20e)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부(20e)는, 전판부(20b)의 후방에, 전판부(20b)와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부(20e)와 전판부(20b)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7)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더 가이드(20f)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더 가이드(20f)는 전후에 수평으로 유지된 축 부재이다.
또, 제1 프레임(20)의 바닥부에는, 바닥판부(22)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판부(22)에는, 도 9(b) 및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유지 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22a)은 후술하는 조작 부재(47)의 선단부(47d)가 걸어맞춤하는 오목부 또는 구멍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 홈(22a)은 복수의 원형의 유지 구멍(22b)을 전후 일렬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25)은 제1 프레임(20)의 상부에 부착되고, 제1 프레임(20)에 대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프레임(25)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25a)를 갖춘다. 이 제2 프레임(25)의 측판부(25a)의 하단부는 제1 프레임(20)의 측판부(20a)의 상단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측판부(20a, 25a)가 후측부에서 겹치는 위치에, 양자를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요동축(21)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30)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가 제2 프레임(25)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부가 슬라이더(37)(후술)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 부재(30)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링크 부재(31)를 평행하게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부재(30)는 상단부 부근에서 회동축(32)을 통하여 제2 프레임(2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접속 부재(30)의 하단부 부근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7)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접속 부재(30)의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47)를 부착하기 위한 조작부 유지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 유지부(36)는 한 쌍의 링크 부재(3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 조작부 유지부(36)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47)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관통구멍(3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36a)에 의해 조작 부재(47)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함으로써, 조작 부재(47)는 수직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37)는 제1 프레임(2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더(37)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접속 부재(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 부재(3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37)에는, 전술한 슬라이더 가이드(20f)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37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37a)에 슬라이더 가이드(20f)를 삽입통과함으로써, 슬라이더(37)는 슬라이더 가이드(20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틸트 구조에서는, 상기한 4개의 링크(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25), 접속 부재(30), 슬라이더(37))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의 조인트 부분, 제2 프레임(25)과 접속 부재(30)의 조인트 부분, 접속 부재(30)와 슬라이더(37)의 조인트 부분은 회전쌍이다. 또, 제1 프레임(20)과 슬라이더(37)의 조인트 부분은 미끄럼쌍이다. 이것에 의해, 고정된 링크인 제1 프레임(20)에 대해 제2 프레임(25)이 요동하면, 그것에 따라 접속 부재(30)가 요동하고, 슬라이더(37)가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프레임(25)이 하방으로 요동하면,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30)가 하방으로 요동하고, 슬라이더(37)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또, 제2 프레임(25)이 상방으로 요동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30)가 상방으로 요동하고, 슬라이더(37)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조작 부재(47)는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부재이다. 이 조작 부재(47)는 상기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거나, 또는,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47)는 접속 부재(30)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킹 상태와, 접속 부재(30)를 해방하여 접속 부재(30)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47)는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꿀 때 조종자에 의해 조작되는 막대 형상 부재이며, 조작부 유지부(36)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47)는, 스프링(48)에 의해, 상시 하방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47)는, 도 9(a) 및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47a)과, 축부(47b)를 갖춘다.
그립(47a)은 조작 부재(47)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조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프레임 커버(5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그립(47a)은 조작 부재(47)를 축회전시키기 위해 원형의 손잡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축부(47b)는 조작 부재(47)의 하방에 연장 설치된 막대 형상부이며, 전술한 조작부 유지부(36)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 축부(47b)의 하단에는, 바닥판부(22)의 유지 홈(22a)에 걸어맞춤 가능한 선단부(47d)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부(47d)는 유지 홈(22a)을 관통하고 있고, 유지 홈(22a)을 관통한 하측에 플랜지부(47e)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7e)는 유지 홈(22a)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47d)가 유지 홈(22a)의 상방으로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이 플랜지부(47e)의 상방의 축부(47b)는 단계적으로 직경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47e)의 바로 위에 형성된 소직경부(47f)와, 이 소직경부(47f)의 상부에 형성된 대직경부(47g)와, 대직경부(47g)의 더욱 상부에 형성된 팽출부(47c)를 갖춘다. 소직경부(47f)는 유지 홈(22a)의 최소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소직경부(47f)가 유지 홈(22a)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축부(47b)가 복수의 유지 구멍(22b)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대직경부(47g)는 유지 홈(22a)의 최소폭보다 크고, 유지 구멍(22b)보다 작은(또는 유지 구멍(22b)에 꼭 맞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대직경부(47g)가 유지 홈(22a)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축부(47b)가 복수의 유지 구멍(22b)의 사이를 이동할 수 없도록(유지 구멍(22b)에 걸어지도록) 되어 있다. 팽출부(47c)는 유지 홈(22a)이나 유지 구멍(22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유지 홈(22a)의 내부로는 들어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상태에서는, 스프링(48)의 바이어스력과 조작 부재(47)의 자체 중량에 의해, 조작 부재(47)가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축부(47b)는 팽출부(47c)의 하면이 바닥판부(22)에 부딪치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눌려져 있다. 그리고, 축부(47b)의 대직경부(47g)가 복수의 유지 구멍(22b) 중 어느 하나에 끼워맞춤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가 로킹 상태이다. 이 로킹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47)가 전후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부 유지부(36)의 전후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30)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접속 부재(30)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링크 기구 전체를 작동할 수 없으므로, 제2 프레임(25)도 요동할 수 없게 되어, 제2 프레임(25)의 각도가 고정된다.
한편,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부(47f)가 유지 홈(22a)의 높이가 되는 위치까지 조작 부재(47)가 들어 올려지면, 조작 부재(47)는 유지 홈(2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가 해제 상태이다. 이 해제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47)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 유지부(36)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30)의 이동이 허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30)의 이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제2 프레임(25)을 요동시킬 수 있다.
제2 프레임(25)의 각도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47)를 들어올려 해제 상태로 하고 이 해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5)을 들어올려 소정의 각도로 한 후, 들어올리고 있던 조작 부재(47)를 놓으면 된다. 이와 같이 조작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7)를 놓은 위치에서 조작 부재(47)가 로킹 상태로 되어, 제2 프레임(25)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과 슬라이더(37)와 접속 부재(30)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링크 기구에 의해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또, 조작 부재(47)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할지, 또는 로킹을 해제할지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47)를 조작하여 링크 기구의 로킹을 해제하고,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부재(47)를 조작하여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또, 구성도 심플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47)의 선단부(47d)를 걸어맞춤시키기 위해, 복수의 원형의 유지 구멍(22b)을 일렬로 연결한 유지 홈(22a)을 설치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구멍(22b)을 각각 독립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로킹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47)의 선단부(47d)가 유지 구멍(22b)에 삽입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47)의 선단부(47d)가 유지 구멍(22b)으로부터 뽑히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좌석
11 콘솔
12 조종 레버
20 제1 프레임
20a 측판부
20b 전판부
20c 슬리브
20d 슬릿
20e 지지판부
20f 슬라이더 가이드
21 요동축
22 바닥판부
22a 유지 홈
22b 유지 구멍
25 제2 프레임
25a 측판부
30 접속 부재
31 링크 부재
32 회동축
33 슬라이더 유지부
33a 부착구멍
34 슬라이더
36 조작부 유지부
36a 관통구멍
37 슬라이더
37a 가이드 구멍
40 조작 부재
41 레버
41a 그립
41b 회전반부
41c 돌기
42 유지 부재
42a 띠부
42b 제1 단부
42c 돌기
42d 제2 단부
43 볼트
44 너트
45 고정구
47 조작 부재
47a 그립
47b 축부
47c 팽출부
47d 선단부
47e 플랜지부
47f 소직경부
47g 대직경부
48 스프링
51 프레임 커버
52 게이트 레버

Claims (3)

  1.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는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로서,
    좌석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해, 3개의 회전쌍과 1개의 미끄럼쌍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링크 기구의 작동을 로킹하거나, 또는,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유지하는 로킹 상태와, 상기 슬라이더를 해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킹 상태와, 상기 접속 부재를 해방하여 상기 접속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KR1020227022847A 2019-12-26 2020-12-02 콘솔의 틸트 구조 KR20220117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6074 2019-12-26
JP2019236074A JP7266879B2 (ja) 2019-12-26 2019-12-26 コンソールのチルト構造
PCT/JP2020/044873 WO2021131558A1 (ja) 2019-12-26 2020-12-02 コンソールのチルト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888A true KR20220117888A (ko) 2022-08-24

Family

ID=7657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847A KR20220117888A (ko) 2019-12-26 2020-12-02 콘솔의 틸트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42989B2 (ko)
JP (1) JP7266879B2 (ko)
KR (1) KR20220117888A (ko)
CN (1) CN114867920A (ko)
DE (1) DE112020006327T5 (ko)
WO (1) WO2021131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7328B2 (ja) * 2018-07-27 2022-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KR102294109B1 (ko) * 2020-12-21 2021-08-25 안국수 건설장비의 다관절 작동형 콘솔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58A (ja) 1993-06-15 1995-01-20 Fuji Heavy Ind Ltd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115796U (de) * 1971-04-23 1971-07-22 Gebr Isringhausen Fahrzeugsitz mit hinterem fahrzeugfestem tragteil
JPS61128140U (ko) * 1985-01-31 1986-08-11
GB2241885B (en) * 1987-06-26 1992-01-08 Seats Inc Floating knee pivot suspension
JPH0719058U (ja) 1993-09-22 1995-04-04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縦装置に於けるチルトロック装置
JP3034795B2 (ja) * 1996-04-25 2000-04-17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コンソールのチルト装置
JP3937914B2 (ja) * 2002-05-14 2007-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操作装置
US6971279B2 (en) * 2003-02-12 2005-12-0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ontrol lever safety apparatus for heavy equipment
CN1842626A (zh) * 2004-07-20 2006-10-04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操作机构箱装置
JP4535457B2 (ja) 2006-06-13 2010-09-01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作業機械における乗降遮断装置
JP4555268B2 (ja) 2006-09-11 2010-09-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チルト角度調節装置
KR100826628B1 (ko) 2007-06-11 2008-05-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JP6410645B2 (ja) * 2015-03-09 2018-10-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7075835B (zh) * 2016-10-21 2020-01-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916072B2 (ja) * 2017-09-12 2021-08-11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8221340A1 (de) * 2018-12-10 2020-06-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onsole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58A (ja) 1993-06-15 1995-01-20 Fuji Heavy Ind Ltd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05265A (ja) 2021-07-26
CN114867920A (zh) 2022-08-05
US20220410766A1 (en) 2022-12-29
JP7266879B2 (ja) 2023-05-01
US11642989B2 (en) 2023-05-09
DE112020006327T5 (de) 2022-10-06
WO2021131558A1 (ja)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7888A (ko) 콘솔의 틸트 구조
JPH0212772B2 (ko)
EP1568536B1 (en) Vehicle seat
JP4544171B2 (ja) キャビン昇降装置
KR100398935B1 (ko) 건설기계
WO2021131556A1 (ja) コンソールのチルト構造およびコンソール
JP681034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KR20220117887A (ko) 콘솔의 틸트 구조
JP426057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7323768A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JPS6314582Y2 (ko)
JP4527498B2 (ja) シート
JPH0366167B2 (ko)
JP4070220B2 (ja) 収納式シート
KR101590020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WO2004108471A1 (ja) インターロック機構を備える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JPH0537790Y2 (ko)
KR20050024689A (ko) 쿠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쿠션 조립체
JP2019023397A (ja) 建設機械
JPH06241302A (ja) 車両用可倒式変速操作レバー
JPS6359891B2 (ko)
KR0129843Y1 (ko) 중장비의 콘트롤스탠드 안전레버장치
JP4491689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ストッパ機構
JPH07305378A (ja) 可動式アームレス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