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600A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600A
KR20220117600A KR1020210021146A KR20210021146A KR20220117600A KR 20220117600 A KR20220117600 A KR 20220117600A KR 1020210021146 A KR1020210021146 A KR 1020210021146A KR 20210021146 A KR20210021146 A KR 20210021146A KR 20220117600 A KR20220117600 A KR 2022011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ndow
electric wire
insertion groo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913B1 (ko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주)광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기계 filed Critical (주)광진기계
Priority to KR102021002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9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윈도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풀리삽입홈이 마련되고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풀리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재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절개부가 마련된 커버부재; 절개부를 통하여 삽입된 전선이 외주면에 감아걸리고 본체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제1풀리; 상기 풀리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풀리에 감아걸린 전선이 외주면에 감아걸린 상태에서 제1풀리와 근접한 방향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전선가이드홈으로 안내하는 제2풀리조립체; 및 상기 제2풀리조립체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window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윈도우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가 승하강하면서 도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순환괘적 운동을 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윈도우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자동차 윈도우에는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즉, 윈도우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후에 평상시에는 투명하지만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을 재상할 때에는 밝고 선명한 그래픽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선팅과는 달리 외부의 빛에 따라서 차광성을 달리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윈도우에 열선을 내장시키는 기술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은 도어 내에 윈도우가 고정설치된 것이 아니라 빈번하게 상승과 하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가동체인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윈도우와 함께 전선이 함께 이동하면서 전선이 단락되거나 주변 구성품과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체 내에 한 쌍의 풀리가 설치되고, 그 중 하나의 풀리가 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직선이동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윈도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풀리삽입홈이 마련되고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풀리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재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절개부가 마련된 커버부재;
절개부를 통하여 삽입된 전선이 외주면에 감아걸리고 본체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제1풀리;
상기 풀리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풀리에 감아걸린 전선이 외주면에 감아걸린 상태에서 제1풀리와 근접한 방향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전선가이드홈으로 안내하는 제2풀리조립체; 및
상기 제2풀리조립체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본체부재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풀리삽입홈이 형성된 풀리삽입부와,
풀리삽입홈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풀리가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면에서 돌출되어 제1풀리가 끼워지는 풀리지지돌기가 마련된 풀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가이드홈은, 상기 풀리삽입홈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풀리결합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풀리삽입홈을 막는 제1커버; 및
제1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풀리의 측면을 감싸며 일측이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풀리지지부와,
상기 제1풀리의 앞면을 감싸며 풀리지지부에 연결되는 풀리덮개로 이루어지는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제2풀리조립체는,
외주면에 전선이 감길 수 있으며 상기 풀리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풀리삽입홈 내에서 제1풀리와 근접하는 방향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풀리삽입홈의 바닥면에서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풀리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풀리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가 풀리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승하강용 레일은 도어에 설치되는 모듈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모듈플레이트에 승하강용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윈도우의 승하강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선의 늘어짐을 한 쌍의 풀리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어서 전선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도어 내에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선이 풀리 외주면에 수회 감겨지는 구조가 아니라 풀리 외주면에 의하여 방향만 전환되고 있어서 전선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부재에 전선이 인입되는 절개부가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내부에 수분유입 및 빙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전선과 슬라이더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슬라이더에서 커버가 제거된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전선과 슬라이더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슬라이더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슬라이더가 와이어가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슬라이더가 승하강용 레일에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윈도우가 하강하였을 때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작동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승하강 레일의 상단이 위치하는 방향을 위미하고, "하방"의 방향은 승하강 레일의 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서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전방'의 방향지시어는 도어를 기준으로 운전석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도어를 기준으로 바깥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윈도우(9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20)과, 윈도우의 승하강 과정에서 전선(20)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20)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와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는, 도어의 패널에 다양한 구성품이 설치되어 있는 모듈플레이트에 가이드 레일(85)이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레일(85)과 각종 부속품이 도어에 각각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레일(85)은 가이드 레일(85)만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가이드 레일(85)이 각종 구성품과 일체화된 모듈형 패널에 적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모듈형 패널에 전원공급장치(10)가 설치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85)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90)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8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80)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80)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85)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9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승하강용 레일(85)은, 도어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85)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가이드 레일(8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80)가 상기 가이드 레일(85)의 절곡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는, 전선(20), 본체부재(30), 커버부재(40), 제1풀리(50), 제2풀리조립체(60) 및 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선(20)은, 일단이 윈도우(95)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에 접속되며, 타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윈도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20)의 일단은 캐리어 플레이트(80)에 고정설치된 윈도우의 하단측에 배치된 커넥터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전원에 연결되도록 커넥터가 마련된다. 커넥터에 의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윈도우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선(20)의 길이는 승하강용 레일(85)의 하단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윈도우가 최대 상승하거나 최대하강해도 윈도우의 커넥터에서 전원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전선(20)의 일단은 윈도우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부재(40)를 통과하여 제1풀리(50)에 감기고 나서 이후에 제2풀리(61)에 감기고 이후에 전선가이드홈(33)을 통과한 후에 타단이 전원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재(30)는, 승하강용 레일(85)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풀리삽입홈(311)이 마련되고 전선(20)이 배출되는 전선가이드홈(3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부재(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본체부재(30)의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안쪽으로 들어간 풀리삽입홈(311)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재(30)의 타측에는 풀리삽입홈(311)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풀리결합부(32)가 마련된다.
상기 풀리삽입부(31)는, 제2풀리조립체(60)가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풀리조립체(60)는 풀리삽입홈(311) 내에서 풀리삽입홈(3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풀리삽입홈(311)의 바닥면에는 풀리삽입홈(3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풀리가이드홈(312)이 형성된다. 풀리가이드홈(312)은 풀리삽입홈(31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게 연장되며 바닥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 풀리결합부(32)는, 풀리삽입부(31)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풀리(50)가 접촉되는 접촉면(32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촉면(321)에는 제1풀리(50)가 끼워져서 회전가능한 풀리지지돌기(322)가 돌출되어 있게 된다. 제1풀리(50)는 풀리지지돌기(322)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감겨진 와이어(90)를 제2풀리(61)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풀리결합부(32)에는 상기 풀리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개구된 전선가이드홈(33)이 일측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게 된다. 전선(20) 가이드홈에 안내된 전선(20)은 외부로 돌출되어 전원에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본체부재(30)의 풀리삽입홈(311)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재(30)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20)이 삽입되는 절개부(4211)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본체부재(30)에 설치된 제1풀리(50)와 제2풀리(61)를 지지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내부 공간으로 수분유입이나 빙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전체적으로 본체부재(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커버(41)와, 제2커버(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41)는, 풀리삽입부(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풀리삽입홈(311)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풀리삽입부(31)의 풀리삽입홈(311)에 삽입된 제2풀리조립체(60)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풀리삽입홈(311)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커버(42)는, 상기 제1풀리(50)는 커버하면서 제1풀리(50)가 풀리결합부(32)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개부(421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절개부(4211)를 통해서 제1풀리(50) 내에 전선(20)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2커버(42)는, 풀리지지부(421)와 풀리덮개(422)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지지부(421)는 제1커버(4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풀리(5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풀리지지부(421)는 제1풀리(50)의 형상에 맞게 대략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풀리지지부(421)에는 일측이 하방향으로 개구된 절개부(4211)가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하방향으로 개구된 절개부(4211)를 통하여 전선(20)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풀리덮개(422)는 제1풀리(50)의 앞면을 감싸며 풀리지지부(421)에 연결된 원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커버(41)에서 절개부(4211)는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물이 도어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절개부(4211)를 통하여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
상기 제1풀리(50)는, 절개부(4211)를 통하여 삽입된 전선(20)이 외주면에 감아걸리고 본체부재(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풀리(50)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풀리지지돌기(322)가 삽입되는 원형구멍(5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전선(20)이 감아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풀리(50)는 절개부(4211)를 통하여 유입된 전선(20)을 제2풀리(61)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1풀리(50)는 풀리지지돌기(322)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서 전선(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전선(20)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선(20)을 제2풀리(61)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제2풀리조립체(60)는, 상기 풀리삽입홈(311)에 삽입되고, 상기 제1풀리(50)에 감아걸린 전선(20)이 외주면에 감아걸린 상태에서 제1풀리(50)와 근접한 방향과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20)을 전선가이드홈(33)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풀리조립체(60)는, 제2풀리(61)와, 슬라이더(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풀리(61)는, 외주면에 전선(20)이 감길 수 있으며 상기 풀리삽입홈(311) 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풀리(61)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전선(20)이 감길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원형공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제2풀리(61)는 전선(20)이 늘어지거나 줄어듬에 따라서 제1풀리(50)와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2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라이더(62)는 상기 제2풀리(6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풀리삽입홈(311) 내에서 제1풀리(50)와 근접하는 방향과,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62)는, 제2풀리(61)를 지지하는 풀리지지체(621)와, 상기 풀리지지체(62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끼움돌기(622)가 형성된다.
상기 풀리지지체(62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자유단에 제2풀리(61)의 원형공에 끼워지는 걸림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풀리(61)가 풀리지지체(62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풀리지지체(621)의 하단에는 풀리가이드홈(31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돌리가 풀리가이드홈(312)에 끼워져 있어서 슬라이더(62)는 일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끼움돌기(622)는 풀리지지체(621)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2풀리(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622)에는 스프링(70)이 삽입되어 스프링(7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풀리지지체(621)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프링(70)은, 제2풀리조립체(60)는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70)은 일단은 끼움돌기(622)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타단은 풀리삽입홈(311)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어서 제2풀리(61)가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게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스프링(70)은 전선(20)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제2풀리(61)는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모듈플레이트는, 자동차의 도어 이너패널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도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모듈플레이트에 승하강용 레일(85), 캐리어 플레이트(80), 구동수단, 스피커 등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듈플레이트(97)에는 상기 본체부재(30)가 승하강용 레일(85)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게 위한 설치부(971)가 마련된다. 상기 설치부(971)는, 대략 본체부재(30)와 대응되는 홈으로 구성되며 본체부재(30)은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설치부(971)에 끼워져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재(30)은 승하강용 레일(85)을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듈플레이트(97)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일단이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이는 전선(20)을 통해서 윈도우 측에 전달되어 윈도우의 디스플레이트나 열선등을 전기적으로 동작시키게 한다.
도 7에서는 윈도우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때에는 제2풀리(61)가 제1풀리(50)와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형태가 도 7에 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절개부(4211)를 통하여 제1풀리(50)로 유입된 전선(20)은 제1풀리(50)에 감아걸려서 제2풀리(61)에 감아걸린다. 이후에 제2풀리(61)에 의하여 방향전환된 후에 전선(20)가이드를 통하여 전선(20)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스프링(70)은 슬라이더(62)에 의하여 최대압축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제1풀리(50)와 제2풀리(61) 사이의 간격이 최대한 좁아지게 되어 전선(20)이 최대한 외부로 신장될 수 있게 한다.
이후에, 캐리어 플레이트(80)가 하방하면서 본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경우 도 9 및 도 6의 점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풀리(61)가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면서 전선(20)을 최대한 본체부재(30) 내부에 수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스프링(7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62)가 제1풀리(5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데 필요한 가압력을 부여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전선(20)은 본체부재(30) 내부에 수납되면서도 일정한 장력을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캐리어 플레이트(80)가 최대 하강하게 되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풀리(61)가 제1풀리(50)측으로 이동하면서 본체부재(30) 내부에 수납된 전선(2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스프링(70)은 최대한 압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는 전선(20)은 윈도우가 최대 상승위치에서 최대 하강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선(20)이 늘어지지 않게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중이라도 도어 내부에서 전선(20)이 떨리면서 소음을 유발하거나 주변 구성품에 접촉되어 구성품에 엉키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전선의 길이조절을 위한 본체부재가 승하강용 레일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전선의 길이변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하단이나 상단에 공간을 추가할 필요가 없이 도어 내부에 설치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체부재에는 커버부재가 기밀성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커버부재의 절개부는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빙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풀리가 직선적으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늘어짐을 방지하고 있고, 풀리의 외주면에 복수회 감기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전선이 풀리에 감기는 과정에서 꼬이는 일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전선으로 전기적 신호를 윈도우에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밀성과 전기적 안정성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레귤레이터에 적용이 가느하며 특히 본체부재를 모듈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전체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레이아웃 설정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핀 이하의 얇은 전선에도 적용가능하며, 그 외에 굵은 두께를 가지는 전선도 적용가능하며 범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전원공급장치 20...전선
30...본체부재 31...풀리삽입부
311...풀리삽입홈 312...풀리가이드홈
32...풀리결합부 321...접촉면
322...풀리지지돌기 33...전선가이드홈
40...커버부재 41...제1커버
42...제2커버 421...풀리지지부
4211...절개부 422...풀리덮개
50...제1풀리 51...원형구멍
60...제2풀리조립체 61...제2풀리
62...슬라이더 621...풀리지지체
622...끼움돌기 70...스프링
80...캐리어 플레이트 85...레일
90...와이어 97...모듈플레이트
971...설치부

Claims (6)

  1.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윈도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풀리삽입홈이 마련되고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풀리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부재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절개부가 마련된 커버부재;
    절개부를 통하여 삽입된 전선이 외주면에 감아걸리고 본체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제1풀리;
    상기 풀리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풀리에 감아걸린 전선이 외주면에 감아걸린 상태에서 제1풀리와 근접한 방향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전선가이드홈으로 안내하는 제2풀리조립체; 및
    상기 제2풀리조립체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풀리삽입홈이 형성된 풀리삽입부와,
    풀리삽입홈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풀리가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면에서 돌출되어 제1풀리가 끼워지는 풀리지지돌기가 마련된 풀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가이드홈은, 상기 풀리삽입홈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풀리결합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원도우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풀리삽입홈을 막는 제1커버; 및
    제1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풀리의 측면을 감싸며 일측이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풀리지지부와,
    상기 제1풀리의 앞면을 감싸며 풀리지지부에 연결되는 풀리덮개로 이루어지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조립체는,
    외주면에 전선이 감길 수 있으며 상기 풀리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풀리삽입홈 내에서 제1풀리와 근접하는 방향과, 제1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삽입홈의 바닥면에서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풀리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풀리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가 풀리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직선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용 레일은 도어에 설치되는 모듈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모듈플레이트에 승하강용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210021146A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44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46A KR102444913B1 (ko)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46A KR102444913B1 (ko)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00A true KR20220117600A (ko) 2022-08-24
KR102444913B1 KR102444913B1 (ko) 2022-09-21

Family

ID=8311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146A KR102444913B1 (ko)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9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973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이중창의 파워 윈도우(power-window)장치
JP2008247086A (ja) * 2007-03-29 2008-10-16 Yazaki Corp 給電装置
JP2014068419A (ja) * 2012-09-24 2014-04-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ガイド
KR20140092715A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광진 개선된 풀리장착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190060403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973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이중창의 파워 윈도우(power-window)장치
JP2008247086A (ja) * 2007-03-29 2008-10-16 Yazaki Corp 給電装置
JP2014068419A (ja) * 2012-09-24 2014-04-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ガイド
KR20140092715A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광진 개선된 풀리장착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190060403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913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3561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2064799B1 (ko) 조리기기
US20090019776A1 (en) Cable guide and sliding door drive mechanism using the same
US8209907B2 (en) Window regulator
US8564162B2 (en) Actuator for operating a sliding curtain
KR102444913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2010285793A (ja) 開閉体の駆動ケーブル係止構造
JP2007278061A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237065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509095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H11122791A (ja) 開閉部材構造
KR102431768B1 (ko) 자동차용 원도우 전기공급장치
KR102335174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52212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53883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승강부재
US20200256104A1 (en) Window regulator
KR101249731B1 (ko) 가구 문이 슬라이딩 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를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납 가구
JPH07238754A (ja) 引戸における電気機器への給電装置
JP4987560B2 (ja) 給電装置
KR10267051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US11408217B2 (en) Cable routing structure and window-glass lifting device using same
CN211823070U (zh) 空调器的面板组件以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8252995A (ja) 給電装置
KR20220142707A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CN116222063A (zh) 具有走线模块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