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403A -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0403A KR20190060403A KR1020170158563A KR20170158563A KR20190060403A KR 20190060403 A KR20190060403 A KR 20190060403A KR 1020170158563 A KR1020170158563 A KR 1020170158563A KR 20170158563 A KR20170158563 A KR 20170158563A KR 20190060403 A KR20190060403 A KR 20190060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guide rail
- wire
- carrier plate
- 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윈도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괘도운동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풀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주변에는 상기 풀리에 감겨진 와이어가 괘도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설치된 풀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풀리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기이며, 상기 풀리의 하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 개방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어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리 주변에 빗물들이 풀리 주변에 고이지 않고 쉽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에는 윈도우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구동방식에 따라서 X- 아암방식과 와이어 방식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와이어 방식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 방식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인너 패널(미도시)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의 상하부에 상부 가이드 수단(2)과 하부 가이드 수단(3)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에 캐리어(4)를 승강할 수 있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캐리어(4)에 연결된 와이어(6)의 상ㆍ하부 와이어(6')(6")를 상기 상ㆍ하부 가이드 수단(2)(3)을 경유시켜서 도어 인너 패널에 고정한 레귤레이터 모터(8)에 연결하며, 상기 상ㆍ하부 가이드 수단(2)(3)과 레귤레이터 모터(8) 사이의 상ㆍ하부 와이어(6')(6")는 튜브(7)가 피복된 케이블(5)로 형성하여 튜브(7)의 양단은 상기 상ㆍ하부 가이드 수단(2)(3)과 레귤레이터 모터(8)에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4)에는 미도시한 윈도우 그립에 의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연결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양측은 도어 인너 패널에 고정된 가이드 채널과 도어 프레임에 삽입 설치한 글래스런에 지지 안내되면서 승강되는 것이다.
종래의 상부 가이드 수단(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홀더(21)에 풀리 삽입홈(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 일측에 돌출부(23)를 형성하여 와이어 안내겸 튜브 고정공(24)을 형성하고, 상기 풀리 삽입홈(22)에 풀리(25)를 삽입한 후 상부 홀더(21) 및 풀리(25)를 가이드레일(1)에 리벳(26)으로 고정하고, 상기와 같이 상부 홀더(21) 및 풀리(25)를 고정할 때 상부 홀더(21)의 배면에 형성한 돌기(27)를 가이드레일(1)에 형성한 구멍(미도시)에 삽입하여 상부 홀더(21)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풀리(25)와 와이어 안내겸 튜브 고정공(24)으로 와이어(6)를 안내하 며, 상기 와이어 안내겸 튜브 고정공(24)에 튜브(7)의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한 것이다.
상기한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글래스를 닫을 때에는 레귤레이터 모터(8)를 회전하면 상부 와이어(6')는 윈도우 모터(8)에 감기면서 긴장되고, 하부 와이어(6")는 풀리면서 이완된 상태로 상하 가이드 수단(2)(3)에 안내되며, 상기 상부 와이어(6')가 잡아 당겨짐에 따라 캐리어(4)가 레귤레이터가 채널(1)에 안내되면서 상승함에 따라 윈도우 글래스도 상승되면서 닫쳐지고, 윈도우 글래스를 열 때에는 레귤레이터 모터(8)를 상기 닫을 때와 반대로 회전하면 하부 와이어(6")는 긴장되고, 상부 와이어(6')는 이완 상태로 캐리어(4)가 하강되면서 윈도우 글래스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풀리를 감싸는 가이드 수단은, 풀리를 전체적으로 덮고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특히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배치된 풀리를 감싸는 가이드 수단은 풀리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하여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풀리 주변을 가이드 수단이 거의 덮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 내부에 스며든 빗물이 풀리 주변에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풀리주변에 물이 고여있는 경우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와이어가 쉽게 부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에는 고여있는 물이 얼어버리게 되어 풀리의 회전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리에서 와이어가 이탈하지 않음을 물론 풀리 주변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쉽게 배수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윈도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괘도운동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풀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주변에는 상기 풀리에 감겨진 와이어가 괘도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설치된 풀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풀리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기이며,
상기 풀리의 하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설치된 풀리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돌기가 상기 풀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풀리와 마주보는 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원호의 곡면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풀리와 마주보는 돌기 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풀리의 곡률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도어 모듈판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도어 모듈판넬에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설치된 풀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있는 이탈수단수단인 돌기가 마련되어 있게 되어 풀리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풀리의 하부가 적어도 일부 외부와 개방되어 있어서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쉽게 배수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도어 레귤레이터에 마련된 상부 가이드 수단의 확대정면도.
도 3은 도 2의 상부 가이드 수단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확대도
도 6은 도 5의 Ⅴ-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의 도면.
도 2는 도 1의 도어 레귤레이터에 마련된 상부 가이드 수단의 확대정면도.
도 3은 도 2의 상부 가이드 수단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확대도
도 6은 도 5의 Ⅴ-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100)는, 도어 모듈판넬(110), 가이드 레일(120), 캐리어 플레이트, 와이어(140), 풀리(150) 및 이탈방지수단(16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모듈판넬(110)은, 최근 완성차의 조립에 있어서 조립 라인의 축소, 작업성 개선 등을 위하여 단위 부품을 집합하여 조립하는 모듈화의 채용이 증가하고 있고, 상기 경향에 따라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사이의 공동에 부설하는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 인사이드 핸들, 도어 래치를 모듈화 패널에 집합 조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모듈판넬(110)은 도어 레귤레이터(100)의 많은 구성품을 포함하고 있는 판으로서,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레일(120)은 상기 도어 모듈판넬(110)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20)에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 레일(120)에 접촉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서 승하강이동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미도시)는, 윈도우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와이어(140)가 고정설치되어서 상기 와이어(140)의 괘도 운동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120)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윈도우를 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140)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괘도운동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140)는 모터에 연결된 드럼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모터 구동에 의한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괘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140)는 가이드 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가이드 레일(120)의 하측 및 상측에 배치된 풀리(150)에 감겨서 이동경로가 모터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풀리(150)는,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상측과 가이드 레일(1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14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풀리(150)는 가이드 레일(120)의 상측과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모듈판넬(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풀리(15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40)가 감겨서 이동방향이 변경되며 와이어(140)의 괘도운동에 따라서 풀리(150)가 회전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풀리(15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가장자리 둘레에는 와이어(140)가 걸릴 수 있는 홈(15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와이어(140)는 풀리(150)에 마련된 홈(151)에 끼워진 상태에서 괘도운동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60)은, 풀리(150)의 주변에 설치되어 풀리(150)에 감겨진 와이어(140)가 괘도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리(15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탈방지수단(160)은 풀리(150)의 둘레와 약간의 틈새를 두고서 이격되어 있고 그 틈새에 와이어(140)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와이어(140)가 풀리(1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160)은 가이드 레일(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풀리(150)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풀리(150)와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풀리(150)의 두께만큼 도어 모듈판넬(11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즉, 풀리(150)의 상면과 이탈방지수단(160)인 돌기(160)의 상단이 거의 동등한 위치에 놓이거나 돌기(160)가 풀리(150)의 상면보다 다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풀리(150)의 하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 개방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탈방지수단(160)이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작은 돌기이다.
이러한 돌기(16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돌기(160)는 풀리(15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돌기(160)가 풀리(15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기(160)는 가급적 풀리(150)와 근접하게 배치되면서 와이어(140)와 최대한 마주보는 면적인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풀리(150)와 마주보는 돌기(160)의 측면은 원호의 곡면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풀리(150)와 마주보는 돌기(160) 측면의 곡률반경은 풀리(150)의 곡률반경과 동등한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돌기(160)의 측면에 곡면형상이 가공됨에 따라서 돌기(160)가 풀리(150)에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되면서도 와이어(140)와 마주하는 면적이 최대화되어 와이어(140)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160)의 측면이 풀리(150)의 곡률반경과 동등한 경우에는 풀리(150)의 회전에 최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풀리 주변에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인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에서 풀리로 떨어지는 빗물이 고이지 않게 됨으로서 풀리 주변의 와이어가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쉽게 ㅁ배수됨으로서 빗물이 풀리주변에 고여있어서 겨울이 빗물이 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수단이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배치된 풀리에만 작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레일의 상측에 배치된 풀리 주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돌기가 풀리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돌기가 풀리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돌기에서 풀리와 마주보는 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곡면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도어 레귤레이터 110...도어 모듈판넬
120...가이드 레일 140...와이어
150...풀리 151...홈
160...이탈방지수단
120...가이드 레일 140...와이어
150...풀리 151...홈
160...이탈방지수단
Claims (5)
-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윈도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괘도운동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풀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주변에는 상기 풀리에 감겨진 와이어가 괘도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설치된 풀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풀리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기이며,
상기 풀리의 하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설치된 풀리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돌기가 상기 풀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풀리와 마주보는 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원호의 곡면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와 마주보는 돌기 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풀리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도어 모듈판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도어 모듈판넬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563A KR102053882B1 (ko) | 2017-11-24 | 2017-11-24 |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563A KR102053882B1 (ko) | 2017-11-24 | 2017-11-24 |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0403A true KR20190060403A (ko) | 2019-06-03 |
KR102053882B1 KR102053882B1 (ko) | 2019-12-09 |
Family
ID=6684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8563A KR102053882B1 (ko) | 2017-11-24 | 2017-11-24 |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388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079B1 (ko) * | 2019-07-08 | 2020-10-07 | 주식회사 광진 |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
KR20220117600A (ko) * | 2021-02-17 | 2022-08-24 | (주)광진기계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KR20240089761A (ko) | 2021-11-16 | 2024-06-20 |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벨트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96122A1 (en) * | 2005-03-01 | 2006-09-07 | Urieta Alberto B | Structural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
KR20110106570A (ko) * | 2010-03-23 | 2011-09-29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분리형 가이드채널을 갖는 일체형 모듈플레이트 |
JP2014118770A (ja) * | 2012-12-18 | 2014-06-30 | Aisin Seiki Co Ltd | 車両用駆動装置 |
KR101605287B1 (ko) * | 2015-02-12 | 2016-03-21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 모듈 |
KR101610537B1 (ko) * | 2014-11-07 | 201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풀리 어셈블리 |
-
2017
- 2017-11-24 KR KR1020170158563A patent/KR1020538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96122A1 (en) * | 2005-03-01 | 2006-09-07 | Urieta Alberto B | Structural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
KR20110106570A (ko) * | 2010-03-23 | 2011-09-29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분리형 가이드채널을 갖는 일체형 모듈플레이트 |
JP2014118770A (ja) * | 2012-12-18 | 2014-06-30 | Aisin Seiki Co Ltd | 車両用駆動装置 |
KR101610537B1 (ko) * | 2014-11-07 | 201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풀리 어셈블리 |
KR101605287B1 (ko) * | 2015-02-12 | 2016-03-21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 모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079B1 (ko) * | 2019-07-08 | 2020-10-07 | 주식회사 광진 |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
KR20220117600A (ko) * | 2021-02-17 | 2022-08-24 | (주)광진기계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KR20240089761A (ko) | 2021-11-16 | 2024-06-20 |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벨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3882B1 (ko) | 2019-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20533B1 (en) | Wire harness routing structure | |
KR101209499B1 (ko) | 차량 도어용 유닛 서포트 | |
KR20190060403A (ko) |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 |
US20060196122A1 (en) | Structural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 |
WO1997037099A2 (en) | Window regulator with improved glider assembly | |
WO2014061599A1 (ja) | プーリ装置 | |
US4635964A (en) | Seatbelt assembly | |
JP5149106B2 (ja) |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 |
CA2540456C (en) | Power supply apparatus for sliding door | |
JP6835524B2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車両用ドア | |
JP2009255724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2007223402A (ja) |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 |
JP5322539B2 (ja) |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 |
KR970002075B1 (ko) | 기능도어 카트리지와 그 제조방법 | |
JP2010007386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EP0243325A2 (en) |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body with a vehicle door | |
JP6172985B2 (ja) | 車両用開閉装置 | |
CN109414977B (zh) | 用于车辆车身的卷帘组件和用于组装卷帘组件的方法 | |
JP2012178907A (ja) |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 | |
JPH08232539A (ja) | 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 |
JPH0336109B2 (ko) | ||
KR200162098Y1 (ko) | 승합차의 파워 윈도우 와이어링 지지구조 | |
JPH0356095Y2 (ko) | ||
JP2009262704A (ja) | プーリ装置 | |
JPH0732196Y2 (ja) | 車両のドア用スライド式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