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079B1 -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 Google Patents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079B1
KR102163079B1 KR1020190082225A KR20190082225A KR102163079B1 KR 102163079 B1 KR102163079 B1 KR 102163079B1 KR 1020190082225 A KR1020190082225 A KR 1020190082225A KR 20190082225 A KR20190082225 A KR 20190082225A KR 102163079 B1 KR102163079 B1 KR 10216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k member
upper plate
cable guid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9008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케이블이 감겨서 일방향으로 당김력이 걸리고,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재; 상기 원판부재를 상기 레일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핀으로서, 상기 원판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공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상부판부와, 상기 상부판부의 중앙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재를 지지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지지핀; 상기 레일본체에서 상기 원판부재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핀과 맞물려서 상기 지지핀이 상기 레일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레일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원판부재를 넘어서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의 당김력이 가해지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상부판부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면이 마련된 제2부분으로 구성된 지지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아암은 상기 레일본체에 일체사출로서 합성수지소재에 의하여 제조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 for windows regulator of car}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케이블을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을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한 것이다.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내/외측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 윈도우글래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캐리어 플레이트(2), 이 캐리어 플레이트(2)에 연결된 케이블(3), 이 케이블(3)을 구동하는 모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도어트림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모터(4)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모터(4)에 의해 케이블(3)이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이에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2)가 가이드레일(1)을 따라 승강됨으로써 윈도우글래스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이드레일(1)의 상단과 하단에 원판부재(6)가 설치되어, 케이블(3)의 방향을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3)이 적절한 장력으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판부재(6)는 도어모듈(5)의 재질(스틸, 플라스틱)에 상관없이 가이드레일(1)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거나 리벳(7)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판부재(6)에는 케이블(3)이 상부면에 걸쳐있게 디는데, 케이블(3)에는 하측을 향하도록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즉, 케이블(3)에 걸려 있는 장력은 케이블이 감겨 있는 원판부재(6)에 작용하게 되어 원판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에 의하여 장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경우, 특히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케이블(3)에 의하여 원판부재에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원판부재의 상단은 레일로부터 보다 이격되고 원판부재의 하단은 레일과 근접하게 된다.(상단의 이격거리 S1 > 하단의 이격거리 S2)
이러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원판부재에 가해지게 되면, 원판부재가 지지되는 레일부분은 파손(찢김)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원판부재가 설치된 레일 상단부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원판부재 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레일 또는 원판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현실성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켜서 레일의 파손을 방지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케이블이 감겨서 일방향으로 당김력이 걸리고,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재;
상기 원판부재를 상기 레일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핀으로서,
상기 원판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공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상부판부와, 상기 상부판부의 중앙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재를 지지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지지핀;
상기 레일본체에서 상기 원판부재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핀과 맞물려서 상기 지지핀이 상기 레일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레일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원판부재를 넘어서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의 당김력이 가해지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상부판부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면이 마련된 제2부분으로 구성된 지지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아암은 상기 레일본체에 일체사출로서 합성수지소재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서, 지지아암은 상기 지지핀의 상부판부를 측면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서, 상기 상부판부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아암의 지지면은 상부 판부의 일면을 대응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서,
상기 레일본체에는, 원판부재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의 일측을 감싸도록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제1지지리브와, 상기 원판부재의 타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의 타측을 감싸도록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아암의 제2부분은 상기 제2지지리브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본체에서, 상기 제2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제2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판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리브에 간섭되지 않고 레일본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에서,
상기 결속부재는,
레일본체에 배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핀의 중앙공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중앙에 핀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삽입공 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는, 레일본체에 원판부재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아암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원판부재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레일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도면.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5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레일본체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가이드(100)는, 자동차의 측면도어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서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어 케이블(16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가이드(100)는, 레일본체(110), 원판부재(120), 지지핀(130), 결속부재(140) 및 지지아암(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본체(110)는, 윈도우가 장착된 캐리어 플레이트가 일측면에 걸려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레일본체(1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제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본체(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케이블(160)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풀리형태의 원판부재(1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본체(110)의 각 단부에는 원판부재(120)가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측(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원호형상의 제1지지리브(111)와, 하측에 설치되며 원호형상의 제2지지리브(11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게 된다.
상기 제1지지리브(111)는, 원판부재(120)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120)의 일측을 감싸도록 원호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리브(112)는, 상기 원판부재(120)의 타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120)의 타측을 감싸도록 원호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리브(111)와 제2지지리브(112)에 의하여 규정되는 장착공간의 바닥면에는 본체공(113)이 레일본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공(113)에는 지지핀(130)의 핀부(132)가 삽입된다.
상기 본체공(113)의 주변으로서 제2지지리브(112)와 인접한 위치에는 소정의 관통구멍(11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관통구멍(114)은 상기 레일본체(110)에서, 상기 제2부분(152)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사, 상기 관통구멍(114)은 상기 제2부분(15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관통구멍(114)이 형성되어 있게 되어 원판부재(120)는 상기 관통구멍(114)을 통해서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리브(111)에 간섭되지 않고 레일본체(110)에 안착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판부재(120)는 제1지지리브(111)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장착공간에 진입하기 어렵고, 또한 지지아암(150)에 의하여 수직방향에서 진입하기 어려운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관통구멍(114)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원판부재(120)가 경사지게 삽입되어 장착공간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재(120)는 상기 레일본체(110)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케이블(160)이 감겨서 일방향으로 당김력이 걸리고, 중앙에 중앙공(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판부재(120)는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케이블(160)이 걸리는 홈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지지핀(130)은, 상기 원판부재(120)를 상기 레일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핀(130)은, 상부판부(131)와 핀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부(131)는 상기 원판부재(12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원판부재(120)의 중앙공(121)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부판부(131)는 원판부재(120)가 레일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원판부재(120)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핀부(132)는 상기 상부판부(131)의 중앙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판부재(120)의 중앙공(121)에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재(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핀부(132)는 원판부재(120)의 중앙공(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본체(110)의 본체공(113)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핀부(132)에 원판부재(120)가 끼워져서 상기 원판부재(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결속부재(140)는, 상기 레일본체(110)에서 상기 원판부재(120)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핀(130)과 맞물려서 상기 지지핀(130)이 상기 레일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속부재(140)는, 레일본체(110)에 배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핀(130)의 중앙공(121)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중앙에 핀부(132)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원판부(141)와, 상기 원판부(141)의 삽입공 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부(142)를 가진다.
상기 보스부(142)에 상기 핀부(132)재의 핀부(132)가 억지끼움됨으로서 상기 핀부(132)재가 레일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아암(150)은, 레일본체(110)에 일체사출로 제조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핀부(132)재의 상부판부(1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아암(150)은 상기 레일본체(110)에서 돌출되고 상기 원판부재(120)를 넘어서서 연장되는 제1부분(151)과, 상기 제1부분(151)에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160)의 당김력이 가해지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상부판부(131)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면이 마련된 제2부분(1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분(151)은 레일본체(110)에서 돌출된 3개의 리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가 제2지지리브(112)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2부분(152)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아암(150)의 제2부분(152)은 제1부분(151)과 제2지지리브(11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핀(130)의 상부판부(131)를 측면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160)에 의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일본체(110)의 상부에 원판부재(120)가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160)에 의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은 하측이므로 상기 지지아암(150)은 상부판부(131)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판부(1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아암(150)의 지지면은 원판형태의 상부판부(131)와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지지아암(150)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16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원판부재(120)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지지핀(130)의 상부판부(131)에 직접 접촉되어 측면에서 이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지지아암(150)을 일체로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아암(150)이 지지핀(130)의 축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상부판부(131)를 지지함에 따라서 케이블(160)에 의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지지력이 보강되어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아암(150)의 제2부분(152)이 제2지지리브(112)와 제1부분(15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상부판부(131)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아암(150)을 지지하는 제1부분(151)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어 있어서, 케이블(160)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레일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지아암(150)은 레일본체(110)와 일체적으로 제작됨에 따라서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하는 것에 비해서 제조원가가 저렴해지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지지아암(150)의 설치로 인하여 원판부재(120)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점을 감안하여 레일본체(110)의 지지아암(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114)을 형성함으로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포함되는 범위라면 자명하게 해석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케이블 가이드 110...레일본체
111...제1지지리브 112...제2지지리브
113...본체공 114...관통구멍
120...원판부재 121...중앙공
130...지지핀 131...상부판부
132...핀부 140...결속부재
141...원판부 142...보스부
150...지지아암 151...제1부분
152...제2부분 160...케이블

Claims (5)

  1.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케이블이 감겨서 일방향으로 당김력이 걸리고,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재;
    상기 원판부재를 상기 레일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핀으로서,
    상기 원판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공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상부판부와, 상기 상부판부의 중앙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재를 지지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지지핀;
    상기 레일본체에서 상기 원판부재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핀과 맞물려서 상기 지지핀이 상기 레일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레일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원판부재를 넘어서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의 당김력이 가해지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상부판부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면이 마련된 제2부분으로 구성된 지지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아암은 상기 레일본체에 일체사출로서 합성수지소재에 의하여 제조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은 상기 지지핀의 상부판부를 측면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아암의 지지면은 상부 판부의 일면을 대응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본체에는, 원판부재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의 일측을 감싸도록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제1지지리브와, 상기 원판부재의 타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의 타측을 감싸도록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아암의 제2부분은 상기 제2지지리브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본체에서, 상기 제2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제2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판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리브에 간섭되지 않고 레일본체에 안착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레일본체에 배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핀의 중앙공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중앙에 핀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삽입공 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부를 가지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KR1020190082225A 2019-07-08 2019-07-08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KR10216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25A KR102163079B1 (ko) 2019-07-08 2019-07-08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25A KR102163079B1 (ko) 2019-07-08 2019-07-08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079B1 true KR102163079B1 (ko) 2020-10-07

Family

ID=7288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25A KR102163079B1 (ko) 2019-07-08 2019-07-08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0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604A (ko) * 2002-07-13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40052380A (ko) * 2002-12-17 2004-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KR20050092988A (ko) * 2004-03-17 2005-09-23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어퍼 홀더
KR20100015519A (ko) * 2007-03-13 2010-02-12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케이블 레귤레이터 레일 및 스냅인 풀리를 구비한 캐리어
JP2016223132A (ja) * 2015-05-29 2016-12-2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170089111A1 (en) * 2015-09-24 2017-03-30 Inteva Products France Sas Apparatus and method for pulley reinforcement in a window regulator
KR20190060403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604A (ko) * 2002-07-13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40052380A (ko) * 2002-12-17 2004-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KR20050092988A (ko) * 2004-03-17 2005-09-23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어퍼 홀더
KR20100015519A (ko) * 2007-03-13 2010-02-12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케이블 레귤레이터 레일 및 스냅인 풀리를 구비한 캐리어
JP2016223132A (ja) * 2015-05-29 2016-12-2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170089111A1 (en) * 2015-09-24 2017-03-30 Inteva Products France Sas Apparatus and method for pulley reinforcement in a window regulator
KR20190060403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9552A (en) Visor mounting assembly
US9822568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10316570B2 (en)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WO2002075090A1 (fr) Structure de soutien pour vitre incurvee et gouverneur d'enroulement
CN108779656B (zh) 拉线式车窗调节器
US20150275560A1 (en) Window regulator, window regulator sub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286705B1 (en)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KR102163079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US10577849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20190186188A1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7010841B2 (en) Interior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component
JPH03177607A (ja) 自動車用内装材の取付構造
JP2011226171A (ja) モジュール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US20030157830A1 (en) Connector holding structure
JP3853588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移動体位置規制構造
KR20100101154A (ko)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될 것으로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위한 지지체
JP2011174337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の取付構造
KR101294080B1 (ko) 차량용 도어 글라스 고정유닛
CN211173657U (zh) 汽车用车窗调节器
KR101975376B1 (ko) 모듈 판넬의 마운팅부 구조
US11352824B2 (en)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KR100836099B1 (ko) 차량용 선루프 지지브라켓 구조
KR20230172942A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178093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JP3936239B2 (ja) 昇降ガラスの支持構造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