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707A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707A
KR20220142707A KR1020210049080A KR20210049080A KR20220142707A KR 20220142707 A KR20220142707 A KR 20220142707A KR 1020210049080 A KR1020210049080 A KR 1020210049080A KR 20210049080 A KR20210049080 A KR 20210049080A KR 20220142707 A KR20220142707 A KR 2022014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rrier plate
power supply
window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636B1 (ko
Inventor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21004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도어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윈도우를 지지하며 윈도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글라스 홀더; 글라스 홀더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전원이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의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공급레일; 및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승하강하며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는 돌출전극과, 상기 글라스 홀더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글라스 홀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브라켓과, 상기 돌출전극과 전극브라켓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window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가 승하강하면서 도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순환괘적 운동을 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윈도우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자동차 윈도우에는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즉, 윈도우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후에 평상시에는 투명하지만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을 재생할 때에는 밝고 선명한 그래픽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선팅과는 달리 외부의 빛에 따라서 차광성을 달리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윈도우에 열선을 내장시키는 기술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은 도어 내에 윈도우가 고정설치된 것이 아니라 빈번하게 상승과 하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가동체인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윈도우와 함께 전선이 함께 이동하면서 전선이 단락되거나 주변 구성품과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원이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원공급레일과, 상기 전원공급레일에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윈도우를 지지하며 윈도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글라스 홀더;
글라스 홀더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전원이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의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공급레일; 및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승하강하며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는 돌출전극과, 상기 글라스 홀더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글라스 홀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브라켓과, 상기 돌출전극과 전극브라켓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전원공급레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된 레일본체와,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본체의 수용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전극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전극은,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전극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를 따라서 승하강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레일본체에서는 돌출전극이 삽입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개구된 슬릿을 수밀시키는 수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전원공급레일 사이에는,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게 위한 쿠션젠더가 마련되고,
상기 쿠션젠더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전원공급레일을 향하여 절곡된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전극은 탄성부로부터 전원공급레일을 향하여 돌출되어 레일본체의 수용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전극브라켓은,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1체결공 주변에 고정설치되는 링형 전극판과, 상기 링형 전극판에서 돌출되며 글라스 홀더를 향하여 돌출된 핀형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라스 홀더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 주위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핀형 전극에 접촉되는 접속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는 글라스 홀더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나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링형 전극판은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중앙공이 형성되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촉되고,
상기 핀형 전극은 상기 링형 전극판에서 돌출되고 캐리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글라스 홀더의 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가이드 레일의 측방으로 전원공급레일을 설치하고, 전원연결수단의 돌출전극이 캐리어 플레이트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전기적 신호가 윈도우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공급레일의 레일본체에 돌출전극이 삽입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수밀시키기 위한 수밀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서 빗물이 레일본체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전원공급레일 사이에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쿠션젠더가 마련되어 있어서 전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글라스 홀더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전원연결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전기적 접속구조가 간단해지고 전기적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도어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의 일 구성인 전원공급레일과 전원연결수단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의 일 구성인 캐리어 플레이트와 글라스 홀더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글라스 홀더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가이드 레일의 상단이 위치하는 방향을 위미하고, "하방"의 방향은 가이드 레일의 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서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가이드 레일의 측방에 이격되어 설치된 전원공급레일과,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글라스 홀더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연결수단에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모듈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가이드 레일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글라스 홀더(110), 캐리어 플레이트(120), 전원공급레일(130), 전원연결수단(140) 및 쿠션젠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글라스 홀더(110)는, 윈도우를 지지하며 윈도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글라스 홀더(110)는 윈도우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집게부(111)와, 상기 집게부(111)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홀더본체(112)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본체(112)의 하부에는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삽입부(121)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결합부(11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끼움결합부(113)의 중앙에는 제1체결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1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체결공(1131)의 주변에는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결합되었을 때 핀형 전극(1422)에 접촉되는 접속전극(113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체결공(1131)은 끼움결합부(113)가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삽입부(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제1체결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체결나사(160)가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제1체결공(122)과, 끼움결합부(113)의 제2체결공(1131)을 나사결합됨으로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와 글라스 홀더(110)를 서로 고정결합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끼움결합부(113)의 접속전극(1132)은 핀형 전극(1422)에 접촉됨으로서, 전원으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적 신호가 글라스 홀더(110)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글라스 홀더(110) 내부에는 접속전극(1132)으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윈도우에 전달하기 위한 전선(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서 윈도우에 소정의 이미지가 나타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도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모듈패널(170)에 일체화된 가이드 레일(17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상부에 글라스 홀더(110)가 삽입되어 윈도우를 지지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의 폭이 길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하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부(121)가 마련되어 있게 되고, 상기 삽입부(121)에 글라스 홀더(110)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21)는 글라스 홀더(110)의 끼움결합부(113)와 대응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면방향으로 연장된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끼움결합부(113)의 제2체결공(1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체결공(122) 주변에는 링형 전극판(1421)이 삽입되어 끼워걸리는 표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수용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수용부(123)는 링형 전극판(1421)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일측벽에서 제1체결공(122) 주변에는 제1체결공(122)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통공(1231)이 마련되며 상기 통공(1231)에 핀형 전극(1422)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상부 양단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24)는 글라스 홀더(110)에 지지된 윈도우를 글라스 홀더(110)와 함께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일면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켓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125)의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171)이 끼워결합되는 가이드부(126)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126)의 일측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측면에는 쿠션젠더(150)의 고정부(15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구멍(127)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지지구멍(127)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130)은, 전원(미도시)이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171)의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레일(130)은, 가이드 레일(171)의 측방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171)과 거의 동일한 상하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130)은, 레일본체(131), 전극체(132), 마개(133) 및 수밀수단(134)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본체(13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부(1311)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1311)를 연결하는 연결체(1312)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1311)는, 원형단면을 가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원형단면을 가지는 수용홈(1311a)과 상기 수용홈(1311a)에서 일측벽이 개구된 슬릿(1311b)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슬릿(1311b)은 전원연결수단(140)의 돌출전극(141)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 쌍의 레일부(1311)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결체(1312)는, 상기 한 쌍의 레일부(1311)는 연결하는 것으로서 레일부(1311)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체(1312)의 배면에는 상기 레일본체(131)가 모듈패널(170)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돌출고정부(15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전극체(132)는,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극체(132)는 원봉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측이 절개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전극체(132)는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의 레일부(1311)의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전극체(132)는 돌출전극(141)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돌출전극(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돌출전극(141)이 캐리어 플레이트(120)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해도 돌출전극(141)이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개(133)는, 레일본체(131)의 개구된 양단을 폐쇄하는 것으로서 레일본체(131)의 양단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돌출전극(141)이 레일본체(131)의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돌출전극(141)이 레일본체(131)의 개구된 양단을 통해서 삽입되게 하고, 돌출전극(141)이 레일본체(131)의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돌출전극(141)이 레일본체(13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레일본체(131)의 양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밀수단(134)은, 레일본체(131)에서 돌출전극(141)이 삽입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개구된 슬릿(1311b)을 수밀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밀수단(134)은 레일본체(131)의 개구를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으로 도어 내부는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빗물이 전극체(132)에 닿게 되면 전극체(132)에 녹이슬거나 또는 전기누설의 원인이 되므로 전극체(132)를 빗물 등의 수분으로부터 밀봉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수밀수단(134)은, 레일본체(131)의 슬릿(1311b) 양측벽에서 슬릿(1311b)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고무리브로 구성된다. 하나의 고무리브는 슬릿(1311b) 주변의 일측벽에서 타측벽을 향하여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고무리브는 슬릿(1311b) 주변의 타측벽에서 일측벽을 향하여 돌출되며 중간부분에서 한 쌍의 고무리브는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돌출전극(141)은 한 쌍의 고무리브의 자유단부에 의하여 중첩된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고무리브는 돌출전극(14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벌어져서 돌출전극(141)이 수용홈(1311a)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한 쌍의 고무리브가 서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수밀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연결수단(140)은, 전원공급레일(1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글라스 홀더(110)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연결수단(140)은, 캐리어 플레이트(120)와 함께 승하강하며 전원공급레일(1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는 돌출전극(141)과, 상기 글라스 홀더(110)가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글라스 홀더(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브라켓(142)과, 상기 돌출전극(141)과 전극브라켓(14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14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전극(141)은 전선(143)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원의 음극과 양극을 각각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각각의 돌출전극(141)은 각각의 레일본체(131)의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돌출전극(141)은, 기둥부(1411)와, 기둥부(14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되는 볼부(1412)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411)는 일단이 전선(143)에 연결된 상태에서 쿠션젠더(150)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으로 타단이 레일본체(131)의 슬릿(1311b)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둥부(1411)는 전기적 신호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볼부(1412)는, 상기 기둥부(141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전극체(132)의 내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과정에서 전극내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극브라켓(142)은, 전선(143)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글라스 홀더(11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링형 전극판(1421)과 핀형 전극(14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형 전극판(1421)은,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오목수용부(123)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체결공(122)과 대응되는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된 링형 부재이다. 이러한 링형 전극판(1421)은 오목수용부(1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얇은 금속박판소재로 이루어진다.
링형 전극판(1421)에는 글라스 홀더(110)를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나사(160)의 머리가 접촉되어 있으며, 체결나사(160)는 중앙공, 제1체결공(122), 제2체결공(1131)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핀형 전극(1422)은 상기 링형 전극판(1421)에서 돌출되며 글라스 홀더(110)를 향하여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링형 전극판(1421)에서 돌출되고 캐리어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글라스 홀더(110)의 접속전극(1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핀형 전극(1422)의 일단에는 전선(143)이 연결된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통공을 통과하여 타단이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표면에서 돌출된 핀형 전극(1422)은 글라스 홀더(110)의 접속전극(1132)에 접촉되어 상기 글라스 홀더(1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핀형 전극(1422)은 전기적 도통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표면에 금, 은 등의 귀금속이 도금된 것도 좋다.
상기 전선(143)은 돌출전극(141)과 전극브라켓(14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외면에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143)은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음극 또는 양극 신호를 각각 전달하게 된다.
돌출전극(141)을 통해서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전선(143)을 통해서 전극브라켓(142)의 핀형 전극(1422)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쿠션젠더(150)는,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출전극(141)이 레일본체(131)의 수용홈(1311a)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레일본체(131)로 전달되지 않고 흡수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쿠션젠더(150)는, 단부에 지지구멍(127) 내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에서 레일본체(131)를 향하여 경사진 탄성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51)는 서로 한 쌍이 배치되며 탄성부(152)는 한 쌍의 고정부(151)에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152)의 중앙에는 돌출전극(141)이 고정되어 있으며 돌출전극(141)은 탄성부(152)로부터 전원공급레일(130)을 향하여 돌출되어 레일본체(131)의 수용홈(1311a)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쿠션젠더(150)도 캐리어 플레이트(12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고 레일본체(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탄성부(152)가 변형되면서 그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돌출전극(141) 또는 레일본체(131)에 파손이 발생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윈도우가 장착된 글라스 홀더(110)를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삽입부(121)에 끼워넣는다. 이 과정에서 글라스 홀더(110)의 접속전극(1132)이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핀형 전극(1422)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에, 체결나사(160)를 이용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20)와 글라스 홀더(110)를 서로 고정결합시키면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핀형 전극(1422)과 글라스 홀더(110)의 접속전극(1132)은 서로 전기적 도통가능하게 접속된다.
이후에, 전극체(132)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극체(132)의 전기적 신호는 돌출전극(141), 전선(143), 핀형 전극(1422)을 통해서 글라스 홀더(110)의 접속전극(1132)으로 전달된다. 이후에는 접속전극(1132)으로 도달된 전기적 신호를 소정의 전원연결수단(140)을 이용하여 윈도우 측에 전달되며, 이러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윈도우 표면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사용자가 조작에 의하여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윈도우도 승하강하게 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하강하는 경우에도, 돌출전극(141)은 레일 본체 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돌출전극(141)과 전극체(1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도 돌출전극(141)과 전극체(132) 간의 전기적 연결은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돌출전극으로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전선, 핀형 전극을 통해서 글라스 홀더의 접속전극로 전달되고 이후에는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결국, 윈도우가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는 물론, 윈도우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과정 중에서도 윈도우에 가해지는 전기적 신호를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 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꼬이거나 풀리는 일이 없고 이에 따라서 전선이 도어 내부의 구성품에 충돌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전원공급장치 110...글라스 홀더
111...집게부 112...홀더본체
113...끼움결합부 1131...제2체결공
1132...접속전극 120...캐리어 플레이트
121...삽입부 122...제1체결공
123...오목수용부 124...지지대
125...포켓부 126...가이드부
127...지지구멍 130...전원공급레일
131...레일본체 1311...레일부
1311a...수용홈 1311b...슬릿
1312...연결체 132...전극체
133...마개 134...수밀수단
140...전원연결수단 141...돌출전극
142...전극브라켓 143...전선
150...쿠션젠더 151...고정부
152...탄성부 160...체결나사

Claims (6)

  1. 도어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윈도우를 지지하며 윈도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글라스 홀더;
    글라스 홀더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전원이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의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공급레일; 및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승하강하며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는 돌출전극과, 상기 글라스 홀더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글라스 홀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브라켓과, 상기 돌출전극과 전극브라켓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슬릿이 형성된 레일본체와,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본체의 수용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전극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전극은,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전극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를 따라서 승하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본체에서는 돌출전극이 삽입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개구된 슬릿을 수밀시키는 수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전원공급레일 사이에는,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게 위한 쿠션젠더가 마련되고,
    상기 쿠션젠더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전원공급레일을 향하여 절곡된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전극은 탄성부로부터 전원공급레일을 향하여 돌출되어 레일본체의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브라켓은,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1체결공 주변에 고정설치되는 링형 전극판과, 상기 링형 전극판에서 돌출되며 글라스 홀더를 향하여 돌출된 핀형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라스 홀더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 주위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핀형 전극에 접촉되는 접속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는 글라스 홀더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전극판은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중앙공이 형성되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촉되고,
    상기 핀형 전극은 상기 링형 전극판에서 돌출되고 캐리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글라스 홀더의 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210049080A 2021-04-15 2021-04-15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48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80A KR102489636B1 (ko) 2021-04-15 2021-04-15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80A KR102489636B1 (ko) 2021-04-15 2021-04-15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07A true KR20220142707A (ko) 2022-10-24
KR102489636B1 KR102489636B1 (ko) 2023-01-17

Family

ID=8380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80A KR102489636B1 (ko) 2021-04-15 2021-04-15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318A (ko) * 1995-06-23 1999-04-15 로르 로베르 바퀴 달린 차량용 지상 레일 안내 및 전기 공급장치
KR20030041401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글라스의 차양장치
KR200377960Y1 (ko) * 2004-12-01 2005-03-1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의 커서와 홀더간의 결합구조
JP2009519162A (ja) * 2005-12-14 2009-05-14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追突警報装置を備える自動車
KR20170050676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KR102090899B1 (ko) *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318A (ko) * 1995-06-23 1999-04-15 로르 로베르 바퀴 달린 차량용 지상 레일 안내 및 전기 공급장치
KR20030041401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글라스의 차양장치
KR200377960Y1 (ko) * 2004-12-01 2005-03-1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의 커서와 홀더간의 결합구조
JP2009519162A (ja) * 2005-12-14 2009-05-14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追突警報装置を備える自動車
KR20170050676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KR102090899B1 (ko) *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36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44B2 (en) Af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window glass to a carrier plate, and a window regulator using the affixing structure
US9579956B2 (en) Sliding window for vehicle, and trim board fixing method
ES2705404T3 (es) Acristalamiento de automóvil conmutable eléctricamente
KR20220142707A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US9222295B2 (en) Window regulator
KR20220066583A (ko) 차량의 도어글래스용 전력 공급 장치
CA2636616C (en) Drive unit
JP2005238932A (ja) ハーネスの支持構造
KR20220024352A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431768B1 (ko) 자동차용 원도우 전기공급장치
AU2008212082B2 (en) Electric power-feeding structure
KR10231031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KR102444913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2016179728A (ja) 可動体用給電構造
KR20220117599A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509095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2005247148A (ja) 昇降ガラスの水滴誘導構造
KR101575533B1 (ko) 자동차용 도어글래스 홀딩 장치
KR100692276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선바이저 시스템
CN215851083U (zh) 一种用于车窗升降玻璃供电的结构
KR10052020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가이드
US20220305982A1 (en) Light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module and rear view device
KR20240079935A (ko) 자동차 도어용 전원공급장치
CN209782396U (zh) 筒灯
KR200377960Y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의 커서와 홀더간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