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193A -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콤팩트 라인 가이드 및, 이에 대한 생산 방법 및 슬리브 유닛 - Google Patents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콤팩트 라인 가이드 및, 이에 대한 생산 방법 및 슬리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193A
KR20220117193A KR1020227000966A KR20227000966A KR20220117193A KR 20220117193 A KR20220117193 A KR 20220117193A KR 1020227000966 A KR1020227000966 A KR 1020227000966A KR 20227000966 A KR20227000966 A KR 20227000966A KR 20220117193 A KR20220117193 A KR 20220117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line
bundle
lines
st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뢰셀
안드레아스 허메이
도미닉 바르텐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20/000047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48596A1/d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1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16L3/0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using articulated- or supple-gui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들을 포함하고, 특히 2개의 타워들 사이에 편향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앞뒤로 이동될 수 있는, 세장형 가요성 피복을 포함하는,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도관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가요성 피복은 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다수의 평행한 수용 부분들을 가지며, 각각의 수용 부분은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의 길이 방향으로 채널 방식으로 연장하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 연속적인 케이블들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묶음을 제공하는 단계; 및 - 가요성 피복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피복은 미리 제조되고 케이블 묶음은 미리 제조된 피복의 수용 부분 내로 도입되며, 여기에서 - 미리 제조된 피복은 개방 상태를 방진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의 2개의 상호작용 폐쇄 프로파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 미리 제조된 피복은 둘레가 폐쇄되도록 생산된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유닛을 포함하고, 케이블 묶음은 폐쇄된 슬리브 유닛 내로 길이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콤팩트 라인 가이드 및, 이에 대한 생산 방법 및 슬리브 유닛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기계 또는 설비의 2개의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연결 위치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가이드 되는, 예를 들어, 신호 또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 또는 공압 또는 유압 호스들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라인들에 대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반도체 또는 평면 스크린 생산, 제약 설비들, 의료 디바이스들 등의 클린 룸(clean room)들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들에 의한 입자들의 방출은 특히 바람직하지 않으며, 가능한 최대의 정도까지 최소화되어야 한다.
에너지 가이드 체인(energy guide chains)들은 전형적인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들이지만, 그러나, 회전식 조인트들을 갖는 체인 링크 구조의 통상적인 에너지 가이드 체인들은, 체인 링크들 자체가 연마 마모에 기인하여 동작 시에 입자들을 방출하기 때문에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덜 적합하다. 클린 룸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고 그러한 점에서 추가로 개발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WO 02/086349 A1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은 가요성 조인트 연결들에 의해 마모 먼지를 현저하게 적게 방출한다.
그러나, 알려진 문제점은, 아마도 더 적은 마모 먼지를 방출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내에서 가이드되는 라인들 자체가 또한, 변위 시에 이들이 움직이고, 구부러지고 서로 마찰됨에 따라 동작 시에 입자들을 방출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케이블들의 피복(sheathing)들 자체가 또한 변위 시에 주변으로 입자들을 방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라인들이 방진(dust-tightly) 봉입(enclose)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위해 추가로 개발된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다수의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들이 WO 2016/042134 A1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한편, 이러한 구조체들(도 10 내지 도 16 참조) 중 하나는 상표명 "e-skin"으로 출원인(igus GmbH, D-51147 Cologne)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은 특히, 전형적으로 제1 연결 위치와 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연결 위치 사이의 2개의 런(run)들 사이에 방향-변경 호가 형성되는, 가역적으로 또는 왕복적으로 변위할 수 있는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enclosure)를 갖는,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절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 또는 라인 보호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인클로저가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튜브형 구성의 다수의 수용 수단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여기에서 각각의 수용 수단은 제1 단부로부터 보호 가이드가 연결 위치들에서 장착되는 제2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유형의 기술된 일반적인 종류의 라인 보호 가이드들은, 예를 들어, 상표명 "GORE® Trackless High Flex"로 W.L. Gore & Associates, Inc.로부터 또는 상표명 "ChannelFLEX™" 또는 "EcoFlex™"로 Hitachi Cable America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청구항 1의 분류 부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관련된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상태로서 보는 마지막에 언급된 라인 보호 가이드의 변형예는, 예를 들어, DE 10 2012 100 290 B4 또는 US 8 662 456 B2에서 설명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공지된 라인 보호 가이드들은 함께 용접(weld)되어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2개의 필름들 사이에서 라인들을 적층함으로써 생산된다. 그 제조 방식은, 예를 들어, WO 2004/049509 A2(11 페이지 하단)로부터 알려진다. 또한, 예를 들어, EP 0 490 022 A2 또는 DE 11 2014 005 554 T5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인들, 특히 전기 케이블들이 추가적인 인클로저 내로 압출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라인 보호 가이드들은 기술적으로 단순한 구조이며, 가볍고 콤팩트한 구조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WO 2016/042134 A1과 관련하여 사용 시에 상당한 단점을 갖는다. 유지보수 작업, 특히 복수의 라인들 또는 복수의 라인 가닥(strand)들을 포함하는 라인 가이드 내에서 개별적인 라인 또는 개별적인 라인 가닥의 교체는 상당한 노력으로만 가능하다. 특히, 이미 희망되는 플러그들 또는 커플링들을 가지고 적절하게 미리 제조된 라인들에 의해 개별적인 라인들 또는 개별적인 라인 가닥들을 교체하는 것은 현장에서 불가능하다. 이는 유지보수를 상당히 단순화하고 비용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기술된 일반적인 종류의 라인 가이드들은 전형적으로 어셈블리로서 완전히 교체되며, 그 결과 이러한 경우에 온전한 라인들도 교체되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어, 추가 라인들을 추가하기 위한 설치된 라인 가이드에 대한 후속 수정이 쉽게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배경을 유념하면, 본 발명의 제1 주요 청구항에 따른 제1 목적은 상대적으로 콤팩트한 구조의 및/또는 저 중량이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상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라인 가이드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개별적인 라인들 또는 개별적인 라인 가닥들의 교체 및/또는 후속 수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라인 가이드에 대한 신규한 생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청구항 1에 따른 생산 방법 및 청구항 10에 따른 라인 보호 가이드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로, 이와 독립적으로 청구항 20에 따른 최신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인클로저 유닛이 제안된다.
제1 측면(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전기 라인들 및 특히 2개의 런(run)들 사이에서 방향-변경 호를 형성하면서 왕복적으로 변위가능한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enclosure)를 갖는,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인 가이드의 생산을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가요성 인클로저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라인에 대한 다수의 평행한 수용 수단을 가지며, 각각의 수용 수단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의 길이 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하고, 방법은 적어도,
- 상호 관련된 라인들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묶음을 제공하는 단계; 및
- 가요성 인클로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미리 제조되고, 라인 묶음은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의 수용 수단 내로 도입되며, 여기에서
-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는 개방 상태를 방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closure)의 2개의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특히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을 포함하며, 라인 묶음은 개방된 인클로저 내로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는 주변이 폐쇄되어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특히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을 포함하며, 라인 묶음은 길이 방향으로 폐쇄된 인클로저 내로 인출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라인들은 제 위치에서 적층되거나 또는 재료-결합 평면 리본 케이블을 가지고 압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심지어 개별적으로도 쉽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핵심 개념에 따르면, 청구항 10의 분류 부분에 따른 라인 가이드에서, 인클로저는 별개로 미리 제조되며, 개별적인 라인 묶음이 적어도 일부 수용 수단 내로 도입되고, 인클로저는 라인 묶음의 외부 피복을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추가적이고 결정적인 장점은, 라인 묶음들이 자체적인 외부 피복을 가질 필요가 없거나 또는 자체적인 외부 피복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편으로, 이는 불필요한 중량을 줄이고 라인 묶음들의 직경의 감소를 허용한다. 따라서, 수용 수단의 단면이 동일하게 남아 있는 상태에서 더 많은 라인들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표준 요건들이 기술되는 일반적인 종류의 라인 가이드들에 대해 불필요하기 때문에, 특히 기계적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 라인들과 관련하여 전형적으로 제공되는 전용 외부 피복들이 놀라울 정도로 단순해 보이는 실현에 기초한다. 이들은 인클로저 자체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이에 의해 대체된다. 따라서, 라인 묶음들은 공통 인클로저를 가지며, 실제 전도체들과 인클로저 사이에 그들 자체의 개별적이고 추가적인 외부 피복을 갖지 않는다.
청구항 1에 따른 방법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라인 가이드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호 관련된 라인들의 라인 묶음은 각기 자체적인 절연재(insulation)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꼬인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묶음을 포함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특히 모든 라인 묶음들이 자체적인 외부 피복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라인 묶음은, 슬라이딩가능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외부에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분리 층을 포함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폐쇄 상태로 생산된 인클로저들(비-개방가능 인클로저들) 내로 라인 묶음을 인출(draw)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외부 분리 층은 밴딩(banding), 특히 PTFE-함유 필름 또는 PTFE-함유 부직포의 스트립들의 형태일 수 있다. 밴딩은 적어도 하나의 포장재(wrapping), 특히 대향되는 방향들로 2개의 포장재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그 주위에 필름을 위치시킴으로써 분리 층을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라인 묶음은 적어도 2개의 고도로 가요성의 꼬인(stranded) 라인들, 특히 0.1 mm 미만의, 특히 0.08 mm 이하의 개별적인 와이어 직경을 갖는 꼬인 라인들 및/또는 극세(super-fine) 꼬인 라인들을 포함하며, 이는 다수의 굽힘 변경들을 갖는 매우 긴 서비스 수명에 대해 유익하다.
라인 묶음은, 예를 들어, PTFE, PFA, PVDF, ETFE, FEP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플로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절연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꼬인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재들은, 예를 들어, 내부로 라인들을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및/또는 내부 내의 마모 먼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밴딩 없이도 자체적인 슬라이딩 액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인장-저항 코어 요소는, 예를 들어, 중앙 중공 공동으로 이것을 인출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그렇지만 5개 이상의 와이어들을 묶음으로 꼴 때 중앙 중공 공동을 회피하기 위해 라인 묶음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라인 묶음은 적어도 6개의 층-꼬인 또는 묶음-꼬인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묶음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가능 인클로저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방된 인클로저는, 폐쇄 프로파일들에 의해 라인 묶음의 도입 이후에 방진 폐쇄될 수 있다.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미리 제조되고, 양측에서 대향되는 관계이며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인 2개의 고정 스트립들을 가지고, 방법은, 인클로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 유닛들을 함께 평행하게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라인 묶음이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의 대응하는 수용 수단 내에 교체가능하게 피팅(fit)될 수 있다는 고유 장점을 제공한다.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는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 특히 개방 상태에서 일체로 압출되는 인클로저 유닛들을 가지거나; 및/또는 주변이 폐쇄되어 생산되는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 특히 폐쇄된 프로파일의 형태로 압출되는 인클로저 유닛들을 갖는다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양측 상에서 대향되며 인클로저 유닛들과 일체이고, 이에 의해 인접한 인클로저 유닛들이 평행 관계로 함께 연결되는 2개의 고정 스트립들을 가지거나, 및/또는 인클로저는 굴곡 탄성 플라스틱의 인클로저 유닛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남아 있는 단면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측면(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30)
유익하게는 전술한 측면들과 조합될 수 있지만 특히 또한 청구항 20에 따른 독립항 발명으로서 청구되는 일 측면에 따르면, 신규한 플라스틱의 인클로저 유닛, 보다 더 구체적으로, 라인 가이드의 세장형 인클로저에 대한 플라스틱의 인클로저 유닛이 제안되며, 여기에서 인클로저 유닛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수단을 형성하고, 가요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인클로저 유닛은 하나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제1 고정 스트립 및 다른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제2 고정 스트립을 포함하고, 고정 스트립들은 해제가능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매칭 관계로 설계되며, 및 고정 스트립들은 인클로저 벽에 비해 굴곡적으로 강성이 더 강하며, 고정 스트립들은 특히 상기 인클로저 벽에 비해 더 단단하거나 및/또는 특히 굴곡적으로 강성이 더 강한 설계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들의 해제 시에 및 연결에 대한 실제적인 핸들링과 관련하여 상당한 장점들을 제공하며,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파괴적으로 해제가능한 더 강건한 연결을 허용한다.
개발에서, 고정 스트립들은, 특히 공-압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인클로저 벽에 대한 고정 스트립들의 후속 재료-결합 연결에 의해, 인클로저 벽에 대한 제1 플라스틱 및 고정 스트립들에 대한 더 단단한 제2 플라스틱으로부터 인클로저 벽과 일체로 생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인클로저 유닛은 적어도 인클로저 벽 상에서 및/또는 고정 스트립 상에서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제1 및 제2 플라스틱들과 관련하여 더 낮은 슬라이딩 계수를 갖는 제3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특히 PE-HMW 또는 PE-UHMW이다.
플라스틱들과 관련된 슬라이딩 계수는, Rz = 2.4 mm의 거칠기 깊이, 0.15 내지 1 MPa 사이의 표면 압력, 및 0.5 m/s의 슬라이딩 속도를 가지고 경화강에 대한 측정 값으로서 확인된다.
인클로저 유닛은, 예를 들어, 3개의 상이한 플라스틱들로부터의 삼중-압출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다.
고정 스트립들이 수놈 및 암놈 단면들을 갖는 한 쌍(conjugate) 관계로 설계되는 경우,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은 적어도 암놈 고정 스트립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은 인클로저 벽의 외부 표면의 지배적인(predominant) 표면 비율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이 인클로저 벽의 두께의 20% 미만의 층 두께인 경우 유익하다.
추가적인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인클로저 유닛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특히 TPS, TPU 또는 TPO로부터 단일 재료 방식으로 생산된다. 인클로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열간압출 방법으로 생산하기에 적절한 TPE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각각의 수용 수단에 대하여, 라인이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용 수단들 중 하나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방 상태의 방진 폐쇄를 위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폐쇄부의 2개의 협력 폐쇄 스트립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스트립들은,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결 방향에서 고정 스트립들의 연결에 의해 상호 매칭 고정 스트립들을 가지고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을 해제가능하게 함께 고정하기 위해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결 방향에서 함께 연결되도록 적응된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2개의 구성들과 함께, 폐쇄 스트립들이 고정 스트립들의 연결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힘에 의해 각기 개폐가능한 경우 핸들링과 관련하여 특히 실용적이다.
추가적인 특징들
라인 보호 가이드에서, 인클로저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수용 수단에서 측방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들을 가지며, 이는, 수용 수단이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인 수용 수단이 새로운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완전히 교체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들이 새로운 라인 가닥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완전히 교체될 수 있는 한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이러한 점에서 용어 라인 가닥은 라인들, 특히 상호관련된 라인들의 묶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점에서, 하나 이상의 수용 수단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 유닛들에 의해 수용되는 개별적인 라인 가닥들의 부분적인 교체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능 영역은, 하나 이상의 라인들이 특히 완전한 인클로저를 분해하지 않고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측방으로/방사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수용 수단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closure)를 제공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능 영역은 특히, 가능한 한 먼지-밀봉 관계의 폐쇄를 위해 설계되며, 라인이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 수단의 개방 상태를 허용하는 2개의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측면에 따른 기본 개념에 따르면, 기능 영역은 필요에 따라 수용 수단 또는 인클로저의 적어도 부분의 해제 또는 맞춤을 위한 고정 스트립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는 것이 제공된다. 고정 스트립은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스트립 또는 협력 기능 영역에 대한 비-파괴 해제가능 연결을 위해,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맞물림에 의해 임의의 연결 원리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고정 스트립은 특히 고정 바(bar) 또는 고정 프로파일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기능 확장을 위한 개념들 둘 모두가, 동작 위치에서, 예를 들어, 클린 룸 내에서 입자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인클로저 전체를 분해할 필요 없이 플러그 커넥터들, 커플링들 또는 유사한 것이 이미 구비된 라인을 이용한 후속 교체 또는 개조를 동일하게 허용한다. 제1 측면에서, 라인은 인클로저를 수정하지 않고 교체될 수 있다. 제2 측면에서, 해당 라인들과 함께 오직 인클로저의 부분만이 교체된다. 이러한 점에서, 개별적인 수용 수단을 하나 이상의 라인들로 교체하는 것 또는 인클로저 유닛을 라인 가닥으로 교체하는 것 둘 모두가 고려되어야 한다.
인클로저 유닛은 각기 하나 이상의 라인들 또는 라인 가닥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수단을 갖는다. 수용 수단은 특히 튜브형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만들어지는 연질-탄성(soft-elastic) 또는 굴곡(flexurally) 탄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클로저 유닛을 포함한다. 인클로저 유닛은 또한, 예를 들어, 2개의 대칭적 절반-인클로저 부분들 또는 길이 방향으로 유사하게 분할된 튜브 부분들을 포함하는 다중-부분 구조일 수 있다. 일체 인클로저 유닛이 본원에서 선호되며, 예를 들어, 입자들의 누출과 관련하여 밀봉 무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영역은 각기 인클로저에 일체로 연결된다(말하자면, 오직 파괴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것은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로 직접적으로 생산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로 생산되고 그 후에, 접합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적절한 열 접합 프로세스, 특히 용접에 의해 재료-결합 관계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양한 특히 적절한 플라스틱들, 특히, 예를 들어, 열가소성 플라스틱들로부터의 압출에 의해, 한편으로는 기능 영역이 없는 "단순화된 프로파일"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능 영역의 별개 생산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기능 영역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들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1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인클로저 유닛의 나머지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재료-결합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제2 측면에 따르면, 인클로저는 복수의 별개의 인클로저 유닛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인클로저가 각기 정확하게 하나의 수용 수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각기 인클로저 유닛, 예를 들어, 바 또는 프로파일 부분과 일체인 측방 고정 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인클로저 유닛은 또한 다수의 수용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기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로 측방 고정 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은 인클로저를 형성하기 위해 평행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발예에서,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양측 상에서 대향되는 관계이며 인클로저 유닛들과 일체이고, 이러한 스트립들에 의해 인접한 인클로저 유닛들이 평행 관계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고정 스트립들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스트립들은, 상호 매칭 관계, 예를 들어, 한 쌍(conjugate) 구성 또는 확실한 잠금 관계로 서로 맞물리는 구성으로 직접 협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인클로저 유닛들을 고정하기 위해 함께 사용되는 별개의 고정 바와 협력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수용 수단을 갖는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에 의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은 특히, 라인 가닥이 정확하게 하나의 인클로저 유닛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이러한 수의 수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유익하게는, 인클로저 내의 개별적인 라인 가닥들이 각기 연관된 인클로저 유닛의 교체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용어 라인 가닥은 특히, 예를 들어, 마모의 민감성 또는 서비스 수명에 따라 그룹화된, 기능적으로 상호 관련된 라인들의 묶음들 또는 그룹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측방으로, 특히 고정 스트립과 대향되는 관계로,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로 2개의 폐쇄 프로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클로저 유닛의 폐쇄 프로파일들은 인접한 인클로저 유닛의 고정 스트립에 대한 연결에 의해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관계로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대향되어 배치된 고정 스트립과 맞물리는 폐쇄 프로파일들이 과도한 크기를 갖는 경우, 추가적인 맞춤(fitment) 단계들 없이 특히 견고한 폐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인접한 인클로저 유닛들은 각기 고정 스트립들과 협력하는 별개의 가요성 고정 바에 의해 함께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제1 측면)의 해제는 고정(제2 측면)과 분리되며, 즉, 인클로저 유닛의 분리는, 어떠한 마모 입자들도 의도하지 않게 배출되지 않도록 접합 인클로저 유닛의 원치 않는 개방을 야기할 수 없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인클로저 유닛이 복수의 평행한 수용 수단을 형성하는 구획(subdivision)들을 포함하고, 인클로저 유닛이 폐쇄(제1 측면), 특히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의 적어도 2개의 폐쇄 프로파일들을 갖는다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피팅(fitted)될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이 각각의 라인에 대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될 많은 수의 라인들을 갖는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조립 노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수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라인들이 개별적으로 액세스가능하게 남아 있도록 자체적인 연관된 폐쇄부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각의 수용 수단은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의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의 쌍을 가질 수 있다.
긴 가이드 라인들 또는 특히 연질-탄성 인클로저들 또는 인클로저 유닛들이 관련될 때,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방 외부 수단에서, 특히 방향-변경 호의 방향-변경 반경을 미리 결정하거나 및/또는 직선 부분에서 자체-지지 런(run)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개별적인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는 지지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프로파일은, 세분화된 인클로저 유닛의 경우에 특히 이와 일체인 각각의 경우에, 인클로저의 각각의 좁은 측면에서 고정 스트립으로서 제공된다. 확장성 이외에,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지지 체인에 대한 대안예로서 인클로저의 고정 프로파일들 외부에 상이한 종류의 지지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지지 기능을 위해 어떠한 사용가능한 수용 통로도 요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별적인 외부 지지 디바이스는 인클로저의 각각의 좁은 측면에서 고정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 디바이스는 방향-변경 호의 방향-변경 반경을 미리 결정하거나 및/또는 직선 부분에서 자체-지지 런을 지원하기 위해 낮은 레벨의 마모를 수반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각의 지지 디바이스는 캐리에 밴드(carrier band) 및 이에 수직으로 접합(abutment) 요소들, 특히 T-형 접합 요소들을 가지며, 이의 T-암(T-arm)들은 직선 부분에서 또는 방향-변경 호에서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접합 상태에 있다. 캐리어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중립 섬유(neutral fibre)의 레벨이다.
특히 고정 기능을 갖는(또는 개방 기능을 갖지 않는) 제2 측면에 따르면, 일 실시예는, 인클로저가 복수의 별개의 그리고 주변적으로 폐쇄된 인클로저 유닛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각기 하나의 수용 수단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양측 상에서 대향되는 관계이며 인클로저 유닛들과 일체인 2개의 고정 스트립들을 고정 목적들을 위한 기능 영역들로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 스트립들은, 예를 들어, 지퍼(Zip) 폐쇄 또는 슬라이딩 폐쇄 또는 유사한 것의 방식으로 서로 직접적으로 확실한 잠금 협렵을 위해 적응될 수 있거나, 또는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관계로 별개의 고정 바와 협력할 수 있다.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따르면 그리고 또한 폐쇄 및 고정 기능들의 조합을 이용하면, 인클로저 유닛들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남아 있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압출 프로세스에서, 바람직하게는 연질-탄성 또는 굴곡 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프로파일-유사 생산을 허용한다. 기능 영역은 이러한 경우에 아마도 별개로 압출될 수 있다.
폐쇄부로서 역할하는 기능 영역은, 예를 들어, 기능 영역이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남아 있으며 누름 폐쇄부(press closure) 또는 무톱니(toothless) 슬라이딩 폐쇄부로서 협동하는 플라스틱의 2개의 한 쌍 상호맞물림 폐쇄 프로파일들을 갖는 경우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폐쇄 프로파일은 2개의 맞물림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말하자면 이중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각기 개별적인 고정 프로파일을 갖는 2개의 측방으로 대향되어 배치된 기능 영역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고정 프로파일들은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잠금 연결, 예를 들어, 오직 길이 방향으로만 해제될 수 있는 텅-앤-그루브(tongue-and-groove) 연결 또는 유사한 것을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 시에 인클로저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회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수용 수단은, 중립 섬유를 미리 결정하는 밴드 형태의 중간 영역들에 의해 함께 평행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폐쇄부와 관련하여, 계면은 인클로저의 중립 섬유의 레벨에 있다. 중립 섬유는 특히 수용 수단의 단면을 통해 중앙으로 연장된다.
클램핑(clamping) 디바이스들은 단부에서 인클로저 상에 제공될 수 있느며, 이들은 먼지 입자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인클로저 및 선택적으로 라인들을 폐쇄한다. 전형적인 사용 상황에서, 적어도 2개의 라인들 및 주로 다수의 라인들이 개별적인 수용 수단에서 서로 별도로 가이드되며, 인클로저에 의해 가능한 한 방진으로 봉입된다. 단부들에서도 입자들이 발생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2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인클로저의 생산을 위한 개별적인 부분으로서 인클로저 유닛과 관련된다. 이것은 플라스틱, 특히 연질-탄성 또는 굴곡 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생산되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의 길이 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튜브형 수용 수단을 갖는다.
이상에서 기술된 2개의 측면들의 조합에 따르면, 인클로저 유닛은, 길이방향 측면에서, 라인이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용 수단 내로 도입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방 상태를 가능한 한 먼지-밀봉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협력 프로파일들을 가지며, 다른 측면에서 인클로저 유닛은, 특히, 추가적인 인클로저 유닛의 대응하는 기능 영역과,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맞물림에 의해, 추가적인 인클로저 유닛에 대한 해제가능 연결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 스트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인클로저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라인의 별개의 가이드를 위해 특히 평행하고 튜브형의 복수의 명확한 수용 수단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각기 하나의 수용 수단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오직 제2 측면(고정 기능)만이 관련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클로저 유닛은 하나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제1 고정 프로파일 및 다른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제2 고정 프로파일을 가지며, 고정 프로파일들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고정 프로파일들을 갖는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을 함께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호 매칭 관계로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연결에 의한 해제가능 연결을 위해 설계된다. 구조적으로 동일한 고정 프로파일들의 경우에서, 특히 바 또는 프로파일에 대해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서 인클로저 유닛은 제1 길이 방향 측면에서 바 및 제2 길이 방향 측면에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여기에서 제1 인클로저 유닛의 바는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관계로 제2 인클로저의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인클로저 유닛은 특히 제2 인클로저 유닛과 구조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수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인클로저 유닛은 하나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제1 고정 프로파일 및 다른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제2 고정 프로파일을 가지며, 여기에서 고정 프로파일들은, 복수의 구조적으로 동일한 인클로저 유닛들을 해제가능하게 함께 고정하기 위해 상호 매칭 관계로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맞물림에 의한 해제가능 연결을 위해 설계된다.
추가로, 인클로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라인 또는 라인 가닥의 별개의 가이드를 위해 복수의 또는 정확하게 하나의 튜브형 수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인클로저 유닛이, 동작의 위치에서 입자들의 누출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인클로저 유닛이 수용 수단 주위에서 주변 방향으로 폐쇄된 채로 생산되는 경우 유익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 및 장점들은, 전술한 것의 일반성에 대한 제한 없이, 예시적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선호되는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예로서, 부분적으로 파단된-경로(도 1a)의 단부 영역의 부분적인 도면으로서 가요성 인클로저를 갖는 변위가능 라인 보호 가이드 및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라인 보호 가이드 또는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의 전형적인 배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상호 관련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라인 묶음을 형성하기 위해 예시적인 4개의 개별적인 와이어들을 꼬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자체적인 외부 피복이 없는 라인 묶음을 생산하기 위해 도 2의 꼬인 개별적인 와이어들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감는 것에 의한 밴딩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인 묶음을 방진 동적 라인 가이드를 위한 인클로저의 생산을 위해 폐쇄된 상태로 미리 제조되는 인클로저 유닛 내로 인출하는 방법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대안적인 방법 단계들로서, 예를 들어, 방진 동적 라인 가이드를 위한 인클로저를 생산하기 위해 그 후에 함께 연결되는 2개의 인클로저 유닛들의 계폐가능 인클로저 유닛으로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인 묶음의 측방 삽입(도 5b)을 도시하며, 동시에 도 5a 내지 도 5b는 미리 제조된 개폐가능 인클로저 유닛의 선호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각기 도 4 또는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원리들에 따라 생산된 인클로저의 순전히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소위 개별적인 포드(pod)로서) 폐쇄 상태로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 유닛의 선호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외부의 상이한 영역들에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들을 갖는 인클로저 유닛들의 변형예들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측방 고정 프로파일들에 의해 함께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의 수용 수단을 갖는 인클로저 유닛을 갖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개별적으로 채워질 수 있는 복수의 수용 수단, 및 연관된 기능 영역들의 선호되는 단면들을 갖는 인클로저 유닛을 갖는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a 내지 도 10d와 관련한 변형예들로서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라인들(미도시)에 대한 왕복가능(reciprocable) 라인 보호 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복수의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들(101)로 구성된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100)를 갖는다.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101)은 가요성 연질-탄성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 예를 들어, PE, PU, TPU, PTFE, 팽창 PTFE(expanded PTFE), PP 또는 유사한 것으로부터 생산된다. 이것의 길이에 걸쳐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101)은 길이 방향(L)에 수직으로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남아 있는 단면을 갖는다(도 1b). 인클로저 유닛(101)은, 예를 들어, 적절한 플라스틱 압출 프로세스에서 압출물의 형태로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100 mm 내지 약 1500 mm의 적절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동일한 인클로저 유닛들(101)은, 내부에 라인의 보호 가이드를 위한 실질적으로 원통형 수용 수단(102)을 형성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용 수단(102)의 단면과 관련하여 얇은 게이지인 벽 영역(103)을 갖는 튜브형 구성이다. 가요성 인클로저의 수용 수단(102)은, 내부에서 평행하게 가이드되는 라인들 사이에 어떠한 마모도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도 1a는 추가로 2개의 클램핑 부분들(131, 132)을 갖는 2개의 단부 클램핑 디바이스들(130) 중 하나를 도시하며, 그 사이에서 내부에서 가이드되는 라인들(미도시)을 갖는 인클로저(100)의 모든 인클로저 유닛들(101)은 함께, 예를 들어, 클램핑 나사들에 의해, 단부에서 그리고 축 방향에서 방진 폐쇄된다. 클램핑 디바이스들(130)은 또한 동시에 라인들(미도시)의 인장 응력 완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예를 들어, 이러한 점에서 본원에 통합되는 DE 10 2012 100 290 B4의 교시와 유사한 공지된 구조적 구성일 수 있다.
도 1a는, 2개의 측방 외부 인클로저 유닛들(101)의 수용 수단(102) 내에 수용되고 개별적인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는, 2개의 지지 체인들(135) 중 하나를 도시한다. 한편으로 선택적인 지지 체인들(135)은 뒤틀림으로부터 체인을 보호하기 위한 방향-변경 호(4)(도 8)의 최소 허용가능 반경을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직선 위치에서 체인 링크들에 대한 접합들에 의해, 이동가능 런에서, 예를 들어, 상부 런(1)(도 8)에서 인클로저(100)의 자체-지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b는, 이동가능 상부 런(1) 및 고정식 하부 런(3)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도 1a에 따른, 방진 인클로저(100)를 갖는 동적 라인 가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들 사이에서 인클로저(100)는 개념적인 축(A)에 대해 미리 결정된 굽힘 반경의 방향-변경 호(4)를 형성한다. 방향-변경 호(4)는, 상부 런(1)이 이동가능 연결부(7)를 가지고 변위될 때 고정식 연결부(5)에 대해 소정의 거리에 걸쳐 이동한다. 그러나 임의의 공간적 위치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인클로저(100)는 또한 수직으로 또는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클로저(100)의 2개의 단부들은,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핑 디바이스들을 가지고 방진 폐쇄된다. 인클로저(100)는 전체적으로 호스형 구성이며, 특히, 적절한 구성에 의해 및/또는 적절한 재료의 선택에 의해 충분히 가요성이어서 작은 양의 인가되는 힘의 인가를 가지고 방향-변경 호(4)의 가역적 가요성 만곡을 허용하고 가능한 한 최소 저항을 가지고 이동가능 연결부(7)의 이동 방향을 따른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복수의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들(901)로 이루어진 인클로저(9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인클로저 유닛들(901)은 각기 하나 이상의 수용 수단(902)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6과는 대조적으로, 인클로저 유닛들(901)은 길이 방향(L)에서 그리고 주변 방향에서 폐쇄되며, 즉, 이들은 하나 이상의 수용 수단(902) 주위에서 임의의 중단 없이 연장하는 인클로저 벽(903)을 갖는다. 인클로저 벽(903)은,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렌즈형 또는 이중-점(double-pointed) 타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 호스 또는 유사한 것의 형태, 또는 또한 타원형의 세장형 원형 또는 원형 단면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렌즈형 단면이 수용 수단(902)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특히, 그들의 코드들(chords)에서 중립 섬유에 대해 대칭적으로 함께 피팅(fit)되는 2개의 동일한 원형 세그먼트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 단면 형상은 접힘, 즉, 방향-변경 호에서 연마 마모를 감소시킨다. 인클로저 유닛들(901)은 적어도 주로, 예를 들어, 팽창 PTFE를 포함하는, 특히 압출되는, 가요성의 영구적으로 탄성적인 가요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생산된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클로저 유닛들(901)은 비-파괴적으로 개방될 수 없으며, 즉, 라인들은, 도 1 내지 도 6의 상황과는 달리, 축 방향으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통과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지보수 작업들 동안 원치 않는 입자들의 누출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오직 개별적인 인클로저 유닛들(901)의 평행 고정을 위해 협력하는 기능 영역들(920, 921) 또는 기능 영역의 개념에 의해, 수용 수단(902)에서 폐쇄 기능이 없는 인클로저 유닛들(901)을 가지고 유지보수의 단순화 및 확장성이 달성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901)은, 예를 들어, 인클로저 유닛(901)의 교체에 의해, 상이한 라인 가닥과는 독립적으로 플러그들 또는 유사한 것을 가지고 미리 제조된 라인 가닥을 갱신하기 위해 연관된 라인 가닥을 가질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901)은, 양측에서 직경적으로 대향되며 폐쇄된 인클로저 벽(903)과 일체로 생산되거나 또는 그 후에 이에 연결되는 기능 영역들(920, 921)을 가지며, 기능 영역들은 길이 방향(L)에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기능 영역들(920, 921)은 각기 고정 스트립으로서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맞물림에 의한 해제가능 연결을 위한 고정 프로파일 및/또는 고정 바를 갖는다. 기능 영역(920, 921)은, 인접 인클로저 유닛(901)으로의 또는 이로부터의 인클로저 유닛(901)의 요구되는 바와 같은 해제 또는 맞춤을 위해 협력하도록 설계된다. 적절한 설계 구성이 이하에서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b 내지 도 9d는 예로서 2개의 연결된 인클로저 유닛들(901)을 도시하며, 제1 인클로저 유닛(901)은 3개의 수용 수단(902)을 형성한다. 도 9b에서, 제2 인클로저 유닛(901)이 또한 3개의 수용 수단(902)을 갖는다. 도 9c에서 제2 인클로저 유닛(901)은 2개의 수용 수단(902)을 가지며, 반면 도 9d에서 하나의 수용 수단(902)이 존재한다. 인클로저 유닛(901)에 의해 형성되는 상이한 수의 수용 수단(902)은 라인 가닥(미도시)에 대한, 특히 라인 가닥(미도시) 내의 라인들(미도시)의 수에 대한 인클로저 유닛(901)의 적응을 허용한다. 따라서, 인클로저(900) 내의 적응된 수의 수용 수단(902)을 갖는 인클로저 유닛들(901)의 요건들에 따른 구성은 개별적인 라인 가닥(미도시)이 인클로저 유닛(901)의 교체에 의해 필요에 따라 교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기능 영역들(920, 921)로서 압출을 허용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남아 있는 단면의 고정 프로파일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 영역들(920, 921)은 여기에서 또한 인클로저 벽(903)을 따라 2개의 측면들에서 대향되는 관계로 평면 내에서 스트립 형태로 연장한다. 기능 영역들(920, 921)의 고정 스트립들은, 예를 들어, 누름-폐쇄 백들과 유사하게, 상호 맞물리는 고정 프로파일들을 갖는 누름 폐쇄의 방식으로 설계된다. 기능 영역들(920, 921)은 여기에서, 아마도 또한, 고정 프로파일들 또는 고정 바들을 각기 연결하는, 도 2에서와 같은 별개의 고정 바를 가지고, 고정을 위해 협력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 영역들(920, 921)은, 예를 들어, 기능 영역들(920, 921)에 대해 가요성이지만 더 강한 또는 더 단단한 플라스틱을 갖는, 상이한 플라스틱들로부터 또는 단일 재료를 사용하여, 압출 프로세스에서 인클로저 벽들(903)과 일체로 생산된다. 기능 영역들(920, 921)은, 예를 들어,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개별적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절한 절차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용접되는 인클로저 유닛(901)의 나머지 프로파일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클로저 벽(903) 및 기능 영역들(920, 921)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원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인클로저 유닛(1001)의 특히 선호되는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인클로저 유닛(1001)은, 바람직하게는 압출되는, 가요성의 구부릴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폐쇄 상태에서 라인들(6)에 대해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수용 수단(1002)을 갖는다(도 10b).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수용 수단(1002)에 대한 인클로저 유닛(1001)은, 폐쇄부의 형태의, 여기에서 특히, 서로 한 쌍 관계로 맞물리는 2개의 맞물림 프로파일들 또는 폐쇄 프로파일들, 즉, 클로(claw) 프로파일(1012) 내로 맞물릴 수 있는 후크(hook) 프로파일(1011)을 갖는 스트립-형 폐쇄 바의 형태의 자체적인 개별적인 전용 또는 연관된 기능 영역(1010)을 갖는다. 후크 프로파일(1011) 및 클로 프로파일(1012)은 각기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undercut) 구성,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칭적 언더컷 구성들이 구비되며, 가시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서로 맞물리고, 즉, 이들은 상대적으로 폐쇄하거나 또는 연결하기에 용이하지만 오직 현저하게 더 높은 힘을 인가하는 경우에만 해제된다.
이에 더하여, 대향되는 좁은 양측에서, 인클로저 유닛(1001)은 또한, 지지 디바이스에서 또는 상호 병치된 관계로 측방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기능 영역들(1020 및 1021)을 가지고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1001)을 모듈식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개별적인 기능 영역(1020 및 1021)을 갖는다(도 3a 참조). 고정 스트립들 또는 밴드들(1020, 1021)은 여기에서 또한 각기, 폐쇄 기능 영역들(1010)과 유사하거나 또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클로 프로파일(1022) 및 후크 프로파일(1025)의 형태이다.
도 10c 내지 도 10d는, 폐쇄 기능 영역들(1020 및 1021)에 대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후크 프로파일(1011) 및 클로 프로파일(1012)의 확대 단면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후크 프로파일(1011) 및 클로 프로파일(1012)은 (도 10c 내지 도 10d의 평면에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남아 있는 단면을 가지며, 방향-변경 호(4)에서 축(A)에 대해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 스트립들 또는 밴드들의 형태이다(도 4). 후크 프로파일(1011)은, 예를 들어, 여기에서 화살촉 형상, 또는 버섯 형상 또는 유사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 섬유(N)에 대해 대칭적인 이중-후크 프로파일의 형태이며, 개별적인 대응하는 후방 언더컷 구성들 또는 언더컷들을 갖는다. 후방 측면들(1027)은, 가시로서의 작용을 향상시키고 원치 않는 해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대칭 평면 및 연결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클로 프로파일(1012)은 중립 섬유(N)에 대해 대칭적으로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다. 클로 프로파일(1012)은 후크 프로파일(1011)과 매칭 또는 한 쌍 관계의 매칭 단면을 갖는 내부 수용 수단을 가지며, 여기에서 수용 수단은 강제-잠금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과소크기(undersize)일 수 있다. 그 수용 수단 주위에서, 클로 프로파일(1012)은 조(jaw)와 같은 후크 프로파일(1011) 뒤에서 맞물리고 이것을 단단하게 유지하는 2개의 클로형 바들 또는 스트립들을 형성한다. 후크 프로파일(1011) 및 클로 프로파일(1012)의 다른 형태들이 또한 각기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무톱니 지퍼 체결구들, 특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슬라이딩 또는 누름 폐쇄부의 경우에서와 같이 고려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는 기능 영역들(1020, 1021)을 고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며 슬라이더 없이 동작되는 상호 맞물리는 2개의 부분들을 갖는 지퍼 체결구들(1010 또는 1020, 1021)은, 이러한 구성이 압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된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 섬유(N)의 레벨에서의 폐쇄 기능 영역들(1010) 및 고정 기능 영역들(1020 및 1021)의 배열이 특히 유익하다. 제로 라인으로도 지칭되는 중립 섬유(N)는 굽힘 시에, 특히 방향-변경 호(4)의 변위 시에 그 길이가 변화하지 않는 단면 내의 층이며(도 8), 즉, 만곡 시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치수를 유지하는 층이다.
폐쇄 기능 영역들(1010) 및 고정 기능 영역들(1020 및 1021)은, 수용 수단(1002)의 벽들과 함께 단일 재료로 생산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인클로저 유닛(1001) 및 연결들의 안정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압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비교적 굴곡적으로 강성이 더 강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도 11은, 고정 기능 영역들(1120 및 1121)이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원리들에 따라 설계된 인클로저 유닛(1101)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대조적으로, 폐쇄 기능 영역들(111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원리들에 기초하는 이중-후크 맞물림 프로파일들의 형태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폐쇄 기능 영역들(410)이 크게 확대된 축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c의 도면은 축적에 대해 참이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기능 영역들(1010, 1020 및 1021 또는 1110, 1120 및 1121)은 각기, 예를 들어, 1.5 mm 내지 약 3 mm의 밀리미터 범위의 단면에서의 구조적 높이를 갖는다.
도 12는 결과적으로 도 10a 내지 도 10d와 관련하여 수정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실질적인 차이점은, 도 12의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1201)이 개별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폐쇄될 수 있는 하나의 수용 수단을 정확하게 형성한다는 점이다. 도 10a 내지 도 10d와 유사하게 후크 프로파일(1212) 및 클로 프로파일(1211)을 갖는 대응하는 폐쇄 기능 영역(1210) 이외에, 도 12에서 각각의 수용 수단 상에, 각각의 개별적인 수용 수단은 또한 각각의 좁은 측면에서 양측에서 그 자체의 고정 프로파일, 예를 들어, 클로 프로파일(1211) 및 후크 프로파일(1212)을 갖는다.
다시 도 2 내지 도 6으로 돌아오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인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평면 리본 라인에 대한 선호되는 생산 방법이 이제 제안된다.
도 2 내지 도 3은, 각각의 가닥의 개별적인 와이어들(21)의 개별적인 와이어 직경 ≤ 0.08 mm의 고도로 가요성의 꼬인 라인으로 구성된 복수의 개별적인 와이어들(20)을 도시한다. 개별적인 와이어들(20)은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꼬이며, 여기에서 특히 피치 길이가 꼬인 라인들에 대해 적응된다. 각각의 가닥은 자체적인 적절한 절연재(22)를 갖는다. 개별적인 와이어들(20)을 포함하는 꼬인 구조체(도 2에서 우측)는 그런 다음, 바람직하게는, 도 3(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감긴, PTFE 필름(23)의 2개의 밴드들 또는 스트립들을 포함하는 포장재(wrapping)를 가지고 밴딩(band)된다.
결과적인 라인 묶음(30)(도 3에서 좌측)은 자체적인 외부 피복을 갖지 않으며, 예를 들어, 케이블 제조사로부터 구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인 묶음들(30)(도 3의 좌측)의 제조를 위한 절차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지만 그러나 - 관련 표준들로부터 벗어나서 - 여기에서 어떠한 외부 피복도 의도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이는 전형적으로 후속 압출에 의해 라인 묶음(30)에 적용될 것이다. 라인 묶음은, 예를 들어, 스크리닝 목적들을 위한 브레이드(braid) 또는 메시, 인장-저항 코어 요소 등과 같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컴포넌트들을 더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인 가이드의 생산을 위한 2개의 단계들 중 하나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에서 예로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들(901)을 포함하는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가 제공된다. 따라서,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900)는, 하나 이상의 수용 수단(902)을 갖는, 주변이 폐쇄된 상태로 생산된 적어도 하나의 인클로저 유닛(901)을 갖는다. 폐쇄된 상태로 생산되는 라인 유닛(901)의 경우에, 라인 묶음(30)은 길이 방향(L)으로 느슨하게 또는 인클로저 벽들(903)에 대해 자유 공간을 가지고 폐쇄된 인클로저 유닛 내로 인출되며, 즉, 풀링 와이어(pulling wire) 또는 적절한 절차를 가지고 인클로저 내로 인출된다. 인클로저 유닛들(901)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기 라인들(30)을 갖는 라인 가이드가 생산되도록 인클로저(900)를 구성하기 위해 그 후에 또는 이전에 연결될 수 있다(도 9a 내지 도 9d 참조).
대안적으로, 도 5a 내지 도 5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부의 2개의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511, 512)을 갖는 개폐가능 인클로저 유닛(501)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 11과 관련하여 수정예로서, 배열은, 다른 특징들은 도 11과 동일하지만, 단지 하나의 상호 맞물림 프로파일 바를 갖는 폐쇄부(510)를 도시한다.
폐쇄부(510)는, 인클로저 유닛(501)이 압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개방 상태를 방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생산 방법에서,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라인 묶음(30)은 개방된 인클로저 유닛(501) 내로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도입되며, 그런 다음 인클로저 유닛(501)이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오직 2개의 라인들(30)에 대해 도 5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기 라인들(30)을 갖는 라인 가이드가 생산될 수 있다. 인클로저 유닛들(501)은 인클로저(500)를 구성하기 위해 그 이후에 또는 이전에 연결될 수 있다(도 5b 참조).
도 7a 내지 도 7b는 도 4에서 사용된 선호되는 인클로저 유닛들(901)의 2개의 변형예들을 예시하는 확대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주변으로 연장하는 인클로저 벽(903)은 측방 고정을 위한 기능 영역들(920, 921)을 갖는 단일 재료로 생산된다. 도 7c는, - 도 9 내지 도 10에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된 - 기능 영역들(920, 921)이 인클로저 벽(903)과는 대조적으로 상이한 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생산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들(도 7c)과 비교하여 더 낮은 슬라이딩 계수를 갖는, 제3 플라스틱, 특히 PE-HMW 또는 PE-UHMW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생산 작업은, 예를 들어, 3개의 상이한 플라스틱들로부터의 삼중-압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도 8a에서,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801)은 오직 인클로저 벽들(903) 상에 외부적으로만 제공된다.
도 8b에서, 측방 고정을 위해 기능 영역들(920, 921) 상에 또한 완전 주변 관계로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802)이 제공된다.
도 8c는, 거의 완전하게 주변으로 연장하지만 수놈(male) 후크-형 커넥터(521)에서는 연장하지 않는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803)을 갖는 도 5a 내지 도 5b와 관련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추가적인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 특히 PE-HMW 또는 PE-UHMW가 또한 수용 수단의 내향 측면에, 즉, 라인(30)을 향한 인클로저 벽들(503 및 903)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c에 미도시).

Claims (30)

  1. 전기 라인들 및 특히 2개의 런(run) 사이에서 방향-변경 호를 형성하면서 왕복적으로 변위가능한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enclosure)를 갖는,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인 가이드의 생산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가요성 인클로저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라인에 대한 다수의 평행한 수용 수단을 가지며, 각각의 수용 수단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의 길이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하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 상호 관련된 라인들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묶음을 제공하는 단계; 및
    - 상기 가요성 인클로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미리 제조되며, 상기 라인 묶음은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의 수용 수단 내로 도입되며,
    -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는, 개방 상태를 방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의 2개의 협력 폐쇄 프로파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인클로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라인 묶음은 개방된 인클로저 내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는, 주변이 폐쇄되어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클로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라인 묶음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폐쇄된 인클로저 내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호 관련된 라인들의 상기 라인 묶음은, 각기 자체적인 절연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꼬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묶음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라인 묶음은 외부 피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묶음은, 슬라이딩가능 재료, 바람직하게는 외부에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분리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분리 층은 밴딩(banding), 특히 PTFE-함유 필름 또는 PTFE-함유 부직포의 스트립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은 적어도 하나의 포장재(wrapping), 특히 대향되는 방향들로 2개의 포장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라인 묶음은, 적어도 2개의 고도로 가요성의 꼬인(stranded) 라인들, 특히 0.1 mm 미만의, 특히 0.08 mm 이하의 개별적인 와이어 직경을 갖는 꼬인 라인들 및/또는 극세(super-fine) 꼬인 라인들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 상기 라인 묶음은, 예를 들어, PTFE, PFA, PVDF, ETFE, FEP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플로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절연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꼬인 라인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 상기 라인 묶음은 인장-저항 코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묶음은 적어도 6개의 층-꼬인 또는 묶음-꼬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묶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인클로저는, 상기 폐쇄 프로파일들에 의해 상기 라인 묶음의 도입 이후에 방진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미리 제조되고, 양측에서 대향되는 관계이며 상기 인클로저 유닛과 일체인 2개의 고정 스트립을 가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 유닛들을 함께 평행하게 연결하여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특히 2개의 런 사이에서 방향-변경 호를 형성하면서 왕복적으로 변위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라인에 대한 복수의 수용 수단을 갖는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를 포함하되, 각각의 수용 수단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의 길이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특히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예를 들어, 케이블들, 호스들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라인들에 대한 라인 가이드로서,
    상기 인클로저는 별개로 미리 제조되며, 개별적인 라인 묶음이 적어도 일부 수용 수단 내로 도입되고,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라인 묶음의 외부 피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호 관련된 라인들의 상기 라인 묶음은, 각기 자체적인 절연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꼬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묶음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라인 묶음은 외부 피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묶음은, 슬라이딩가능 재료, 바람직하게는 외부에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분리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분리 층은 밴딩, 특히 PTFE-함유 필름 또는 PTFE-함유 부직포의 스트립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은 적어도 하나의 포장재, 특히 대향되는 방향들로 2개의 포장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5.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라인 묶음은, 적어도 2개의 고도로 가요성의 꼬인 라인들, 특히 0.1 mm 미만의, 특히 0.08 mm 이하의 개별적인 와이어 직경을 갖는 꼬인 라인들 및/또는 극세 꼬인 라인들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 상기 라인 묶음은, 예를 들어, PTFE, PFA, PVDF, ETFE, FEP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플로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절연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꼬인 라인들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 상기 라인 묶음은 인장-저항 코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묶음은 적어도 6개의 층-꼬인 또는 묶음-꼬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묶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라인 가이드에 있어서, 각각의 라인 묶음은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의 대응하는 수용 수단 내로 교체가능하게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라인 가이드.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의 라인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제조된 인클로저는,
    - 협력 폐쇄 프로파일들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 특히 개방 상태에서 일체로 압출되는 인클로저 유닛들을 가지거나; 및/또는
    - 주변이 폐쇄되어 생산되는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 특히 폐쇄된 프로파일의 형태로 압출되는 인클로저 유닛들을 가지거나, 및/또는
    -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양측에서 대향되며 상기 인클로저 유닛들과 일체이고, 이에 의해 인접한 인클로저 유닛들이 평행 관계로 함께 연결되는 2개의 고정 스트립을 가지거나, 및/또는
    - 상기 인클로저는 굴곡(flexurally) 탄성 플라스틱의 인클로저 유닛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인클로저 유닛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라인 가이드.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인 가이드.
  20. 라인 가이드의 세장형 가요성 인클로저에 대한 플라스틱의 인클로저 유닛으로서, 상기 인클로저 유닛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의 길이방향으로 통로형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수단을 형성하고 가요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벽을 가지며,
    - 상기 인클로저 유닛은,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에서 제1 고정 스트립 및 다른 길이방향 측면에서 제2 고정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해제가능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매칭 관계로 설계되며, 및
    -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상기 인클로저 벽에 비해 굴곡적으로 강성이 더 강하며,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특히 상기 인클로저 벽에 비해 더 단단하거나 및/또는 특히 굴곡적으로 강성이 더 강한 설계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특히 공-압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상기 인클로저 벽에 대한 상기 고정 스트립들의 후속 재료-결합 연결에 의해, 상기 인클로저 벽에 대한 제1 플라스틱 및 상기 고정 스트립들에 대한 더 단단한 제2 플라스틱으로 상기 인클로저 벽과 일체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2.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유닛은, 적어도 상기 인클로저 벽 상에서 및/또는 고정 스트립 상에서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 특히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들에 비해 더 낮은 슬라이딩 계수를 갖는 제3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층을 가지며, 상기 인클로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삼중-압출 방법으로 3개의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생산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3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특히 PE-HMW 또는 PE-UHM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수놈 및 암놈 단면들을 갖는 한 쌍(conjugate) 관계로 설계되며, 상기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은 적어도 상기 암놈 고정 스트립의 외부에 제공되거나, 및/또는
    상기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은 상기 인클로저 벽의 외부 표면의 지배적인(predominant) 표면 비율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커버하거나, 및/또는
    상기 슬라이딩 마찰-감소 층은 상기 인클로저 벽의 두께의 20% 미만의 층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유닛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특히 TPS, TPU 또는 TPO로, 바람직하게는 열간압출 방법으로 생산하기에 적절한 TPE로 단일 재료 방식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5.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 압출된 고정 프로파일들의 형태로 상호 한 쌍 관계로 설계되고,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상호 맞물림 관계로 협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중심 평면에 대해, 특히 중립 섬유(neutral fibre)에 대해 대칭적인 구성이며, 상기 제1 고정 스트립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스트립은 2개의 대칭적으로 배열된 경사진 삽입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로파일들은, 연결 방향으로 상호 매칭 고정 스트립들의 연결에 비해 상기 연결 방향에 대해 대향되는 관계로 현저하게 더 높은 힘의 인가에 의해서만 상기 고정 프로파일들이 해제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바람직하게는 가시(barb) 기능을 갖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 수단은, 라인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수용 수단들 중 하나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방 상태의 방진 폐쇄를 위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폐쇄부의 2개의 협력 폐쇄 스트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트립들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결 방향으로 상기 고정 스트립들의 연결에 의해 상호 매칭 고정 스트립들을 가지고 복수의 인클로저 유닛을 해제가능하게 함께 고정하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연결 방향으로 함께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스트립들은 상기 고정 스트립들의 연결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힘에 의해 각기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라인의 별개의 가이드를 위해 정확하게 하나의 튜브형 수용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저 유닛.
KR1020227000966A 2019-06-11 2020-06-13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콤팩트 라인 가이드 및, 이에 대한 생산 방법 및 슬리브 유닛 KR20220117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3276.6U DE202019103276U1 (de) 2019-06-11 2019-06-11 Kompakte Leitungsschutzführ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Hülleinheit und Klemmvorrichtung hierfür
IBPCT/IB2020/000047 2020-01-14
PCT/IB2020/000047 WO2020148596A1 (de) 2019-01-14 2020-01-14 Kompakte leitungsschutzführ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hülleinheit und klemmvorrichtung hierfür
PCT/EP2020/050842 WO2020148300A1 (de) 2019-01-14 2020-01-14 Kompakte leitungsschutzführ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hülleinheit und anordnung mit stützkette hierfür
EPPCT/EP2020/050842 2020-01-14
PCT/EP2020/025283 WO2021004654A1 (de) 2019-06-11 2020-06-13 Kompakte leitungsführ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herstellverfahren und hülleinheit hierf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193A true KR20220117193A (ko) 2022-08-23

Family

ID=6978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966A KR20220117193A (ko) 2019-06-11 2020-06-13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콤팩트 라인 가이드 및, 이에 대한 생산 방법 및 슬리브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68372A1 (ko)
EP (2) EP3984106B1 (ko)
JP (1) JP7465897B2 (ko)
KR (1) KR20220117193A (ko)
CN (1) CN114270086A (ko)
DE (1) DE202019103276U1 (ko)
ES (1) ES2963538T3 (ko)
HU (1) HUE064892T2 (ko)
WO (1) WO2021004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673A (ko) * 2019-01-14 2021-09-16 이구스 게엠베하 클린룸 용도의 컴팩트한 보호 케이블 도관 및 인케이싱 유닛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을 갖는 장치
DE202020102090U1 (de) 2020-04-15 2021-05-25 Igus Gmbh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und modulare Endbefestigungen mit flexibler Umhüllung für Reinraumanwendungen
EP4073893A1 (de) 2019-12-14 2022-10-19 Igus GmbH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und modulare endbefestigungen mit flexibler umhüllung für reinraumanwendungen
NL2030151B1 (en) * 2021-12-16 2023-06-28 Lentolin B V Guide for a bendable connecting means, such as a cable or a wir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7548C (de) * 1951-12-16 1954-03-25 Elektro App K G Gothe & Co Einfuehrungsstutzen fuer Gummischlauchleitungen, insbesondere fuer ortsveraenderliche Betriebsmittel
US3160175A (en) * 1961-10-02 1964-12-08 Rob Ric Co Conduit cap and spacer
DE9016870U1 (ko) 1990-12-13 1992-04-16 W.L. Gore & Associates Gmbh, 8011 Putzbrunn, De
US6751382B2 (en) * 2000-12-29 2004-06-15 Gateway, Inc. System for organizing wires and cables
DE20107003U1 (de) * 2001-04-23 2002-09-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EP1579543A4 (en) 2002-11-22 2006-07-26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ELEMENT FOR SUPPORTING AN ENSEMBLE
WO2005071284A1 (en) * 2004-01-23 2005-08-04 A & A Mfg. Co., Inc. Monolithic enclosed cable carrier
ATE399282T1 (de) * 2005-04-14 2008-07-15 Ekd Gelenkrohr Gmbh Leitungsverbund
DE102006019133B3 (de) * 2006-04-21 2007-06-28 Ekd Gelenkrohr Gmbh Leitungsverbund
CN102227856B (zh) * 2009-11-27 2014-11-26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细径同轴电缆束及其制造方法
JP5510046B2 (ja) 2010-05-11 2014-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5127943B2 (ja) * 2011-02-10 2013-01-23 サムウォン ア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079894B2 (ja) * 2011-02-15 2012-11-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6021156B2 (ja) * 2013-04-10 2016-1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6002656B2 (ja) 2013-12-04 2016-10-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フラット状伝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AR099038A1 (es) 2014-01-08 2016-06-22 General Cable Tech Corp Conductor aéreo recubierto
EP3195434B1 (de) 2014-09-18 2021-06-16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reinraumanwendungen, schalenteile und stützgerippe hierfür
DE102016000864A1 (de) * 2016-01-28 2017-08-03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Energieführungskette
KR101743953B1 (ko) * 2017-01-23 2017-06-07 성호철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63538T3 (es) 2024-03-27
EP3984106C0 (de) 2023-08-23
US20220268372A1 (en) 2022-08-25
WO2021004654A1 (de) 2021-01-14
HUE064892T2 (hu) 2024-04-28
JP7465897B2 (ja) 2024-04-11
EP3984106A1 (de) 2022-04-20
EP4311050A3 (de) 2024-04-17
CN114270086A (zh) 2022-04-01
EP4311050A2 (de) 2024-01-24
JP2022536654A (ja) 2022-08-18
EP3984106B1 (de) 2023-08-23
DE202019103276U1 (de)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7193A (ko) 클린 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콤팩트 라인 가이드 및, 이에 대한 생산 방법 및 슬리브 유닛
US20220149556A1 (en) Compact protective cable conduit for clean room applications and encasing unit and arrangement with support chain for same
TWI689669B (zh) 線導引裝置及製造線導引裝置用之殼部和支架模組
AP1290A (e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CN102889437B (zh) 一种柔性复合油管
KR20100015976A (ko)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내부덕트 구조체
US9242419B2 (en) Divided conduit extrusion die and method
CN211151396U (zh) 多空腔内导管结构体
US10594126B2 (en) Process for forming a divided conduit
DE202019100169U1 (de) Kompakte flexible Leitungsschutzführung, insbesondere für Reinraumanwendungen
JP7496827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途向けのコンパクトな保護用ケーブル導管ならびにそのための収容ユニットおよび支持チェーンを備えた装置
US10239248B2 (en) Fabric and die design for divided conduit
US20060141229A1 (en) Strand-shaped flexible profil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ITMI952235A1 (it) Elemento tubolare aperto longitudinalmente provvisto di coperchio rimovibile e su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