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560A - Uv 경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나선형 여과 모듈의 접힘부 보호 및 그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Uv 경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나선형 여과 모듈의 접힘부 보호 및 그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560A
KR20220115560A KR1020227018010A KR20227018010A KR20220115560A KR 20220115560 A KR20220115560 A KR 20220115560A KR 1020227018010 A KR1020227018010 A KR 1020227018010A KR 20227018010 A KR20227018010 A KR 20227018010A KR 20220115560 A KR20220115560 A KR 2022011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embrane
adhesive
weight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민 청 (스톤)
제시 로렌스 데이비스
재커리 제이콥 브라이언
리 캉
수화 진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22011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03Details relating to membrane envelopes
    • B01D63/1031Glue line or sealin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2Spiral-wound membran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spiral-wound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6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8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modified by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by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755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7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carbodiimide and/or uretone-im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8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2Adhesives or g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40/00Filte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것은 아크릴 화학 및 폴리우레탄 화학 양자를 포함하는 이중 UV 및 반응 경화성 2 구성요소 접착제이다.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구성요소는 무-점착 표면을 생성시키는 빠른 경화 반응을 제공한다. 혼합된 2 구성요소 폴리우레탄은 유연성 및 화학물질 내성을 제공하는 반응 생성물로 경화된다. 상기 접착제는 나선 여과 모듈을 위한 접힘부 보호물로서 유용하다. 멤브레인 상에서 경화되었을 때, 상기 접착제는 높은 온도, 압력 및 넓은 pH 범위에서 주름 및 침지 처리 후 완전성 및 멤브레인에의 접착성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UV 경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나선형 여과 모듈의 접힘부 보호 및 그의 제공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나선 권취 여과 조립체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의 보강 코팅으로 사용되는 재료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물, 식품 및 음료 재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업계는 나선 권취 여과 조립체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체의 멤브레인 리프(leaf)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는 데에는 접착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요소 롤링(rolling) 과정에서, 멤브레인 리프는 투과수 튜브(permeate water tube)에서 "주름" 또는 "접힘"되어, 멤브레인 리프의 약한 부분이 생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와 같은 조립체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어서, 예를 들면 그 각각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개재되는 U.S. 특허 제4,842,736호 및 7,303,675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접힘부 영역에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멤브레인을 시도하여 제공하고 사용 동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는 접히는 멤브레인 리프 영역에서 코팅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부 적용분야에서, 멤브레인 조립체는 강한 염소 용액 또는 높은 온도 (70-85℃) 및 높은 pH (11.0-12.5)의 용액으로 매일 세척을 받는다. 접힘부 보호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이러한 세척 용액, 높은 온도 및 높은 pH 조건에 내성이어야 하며, 균열되거나 멤브레인 재료로부터 탈라미네이트화되지 않으면서 그의 기계적 완전성을 유지해야 한다.
두 가지 유형의 접착제가 현재 접힘부 보호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1종은 경화성 2 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이며, 다른 것은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이다. 폴리우레탄은 우수한 유연성 및 높은 pH/온도 환경에 대한 내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긴 경화 시간 (8시간 내지 수일)을 필요로 한다. 긴 경화 시간은 접힌 멤브레인 팩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오프-라인 처리로 제한한다.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접힘부 보호 재료로 사용하도록 제안되어 있다. 일부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들은 이와 같은 용도로는 너무 취성이다. 더 유연성인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1) 짧은 UV 노출하에서 무-점착 표면을 달성할 수 없으며, 2) 상기에서 언급된 높은 요구 온도 및 pH 조건 하에서 완전성, 접착성을 쉽게 상실하여, 멤브레인으로부터 박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2 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물론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도 멤브레인 접힘부 보호 재료로서 최적이 아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빠르게 경화가능하며 또한 우수한 유연성 및 높은 pH/온도 환경에 대한 내성을 갖는 고성능 접힘부 보호 접착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혼성의 2 구성요소 이중 경화 접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접착제는 반응 경화 폴리우레탄 화학과 UV 경화 아크릴레이트 화학의 두 가지 구성요소를 조합한 것이다. 상기 혼성 접착제는 단기간의 UV 방사선에의 노출 후 무-점착 표면을 제공하며, 감소된 수축 및 증가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상기 혼성 접착제는 높은 온도 및 pH에서 작동되는 세척 용액 처리에 대하여 증가된 내성을 갖는다. 접착제에서,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UV 경화, 화학물질 내성 및 비용을 최적화하도록 조정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혼성 2 구성요소 이중 경화 접착제가 접힘부 영역 상에 적용되어 있는 멤브레인 리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멤브레인의 접힘부 영역에의 혼성 2 구성요소 이중 경화 접착제의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되는 재료 및 방법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적절한 성분, 모이어티 또는 단계들을 포함하거나, 그것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그것으로 구성되도록 대안적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개시되는 재료 및 방법은 선행 기술 조성물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본 개시의 기능 및/또는 목적의 달성에 달리 필요하지 않은 임의의 구성요소, 재료, 성분, 아주반트, 모이어티, 종 및 단계들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 몇몇 도면에서 동일요소는 동일하게 번호를 지정하였다:
도 1은 권취된 여과 조립체 일 실시양태의 개략적 표시이다.
도 2는 멤브레인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여과 리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여 경화성 조성물이 적용되어 있는 절단된 멤브레인의 개략적 표시이다.
도 5는 공급물 스페이서 주위로 접힌 절단된 멤브레인의 개략적 표시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양태 각각을 위하여 본원에서 사용될 때에는, 하기의 정의가 적용된다.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 언급을 포함한다.
숫자 값과 연계되어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약 또는 "대략"은 숫자 값 ± 10%, 바람직하게는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 1 % 이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적어도 1종은 1종 이상, 즉 1종, 2종, 3종, 4종, 5종, 6종, 7종, 8종, 9종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한다. 성분과 관련하여, 상기 표시는 절대적인 분자의 수가 아닌 성분의 유형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어도 1종의 중합체"는 예를 들면 적어도 1종 유형의 중합체, 즉 1종 유형의 중합체 또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중합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하는", "포함하다" 및 "~로 구성되다"라는 용어들은 "비롯한", "비롯하다", "함유하는" 또는 "함유하다"와 동의어이며 포괄적이거나 개방-종료형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비-언급 구성원,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양, 농도, 치수 및 기타 파라미터들이 범위, 바람직한 범위, 상위 한계 값, 하위 한계 값 또는 바람직한 상위 및 한계 값의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 임의의 상위 한계 또는 바람직한 값을 임의의 더 낮은 한계 또는 바람직한 값과 조합함으로써 수득가능한 어떠한 범위도 수득되는 범위가 문맥에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상황하에서 특정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실시양태를 지칭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거나 우선적인 실시양태에 대한 언급이 다른 실시양태는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영역에서 그 다른 실시양태를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구성요소 또는 1 부분 (1K) 조성물은 제조하고, 보관하며 최종 사용자에게로 운송하기에 충분한 상업적 안정성을 갖는 단일 제제이다. 1K 조성물은 어떠한 추가적인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적합한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 가교결합되거나 경화되게 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2 구성요소 또는 2 부분 (2K) 조성물은 2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각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와 별도로 제조, 보관 및 운송된다. 구성요소들은 사용 직전에 혼합된다. 구성요소들의 혼합은 경화 반응을 개시하며, 그에 따라 혼합 후의 상업적 저장은 가능하지 않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기술되는 조성물과 연계되어 언급되는 모든 백분율은 1 부분 (1K) 조성물의 경우 모든 성분들의 최종 조성물과 관련한 중량 퍼센트 (중량%)를, 또는 2 부분 (2K) 조성물의 경우 언급되는 부분의 모든 성분들의 최종 조성물과 관련한 중량 퍼세트 (중량%)를 지칭한다.
알킬은 알칸의 라디칼이며 선형 및 분지형 배열구조를 포함하는,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 예를 들면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를 지칭한다. 알킬 기의 예에는 하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및 2-에틸헥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알킬 기들은 비치환의 것일 수 있거나, 임의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치환기에는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미도, 아미노, 술포닐, 술피닐, 술파닐, 술폭시, 우레아, 티오우레아, 술파모일, 술파미드 및 히드록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에서 열거된 예시적인 탄화수소 라디칼들의 할로겐화된 유도체가 적합한 치환 알킬 기의 예로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 기에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치환 알킬 기 (C1-C6 알킬) - 예를 들면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치환 알킬 기 (C1-C4 알킬)가 포함된다.
알킬렌은 알칸의 라디칼이며 선형 및 분지형의 유기 기를 포함하고, 비치환의 것이거나 임의 치환된 것일 수 있는, 탄소 원자, 예를 들면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2가의 기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알킬렌 기에는 1-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치환 알킬렌 기 (C1-C12 알킬렌) - 예를 들면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C1-C6 알킬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C1-C4 알킬렌)를 포함하는 비치환 알킬렌 기가 포함된다.
알케닐 기는 탄소 원자, 예를 들면 2 내지 20개, 유리하게는 2 내지 10개, 더욱 유리하게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소 기를 지칭한다. 알켄은 알릴 기일 수 있다. 알켄은 공액인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언급된 알킬 기와 마찬가지로, 알케닐 기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일 수 있으며, 비치환의 것일 수 있거나, 임의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C2-C8 알케닐 기의 예로서 하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릴; 이소프레닐; 2-부테닐; 및 2-헥세닐.
"알콕시"는 구조 -OR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R은 탄화수소(hydrocarbyl)이다.
"알킨" 또는 "알키닐"은 사슬 탄소 원자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사슬 또는 기를 지칭한다. 알킨은 선형 탄화수소 사슬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기일 수 있다. 알킨은 시클릭일 수 있다. 알킨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더욱 유리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킨은 공액인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킨은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아민"은 적어도 하나의 -NHR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R은 공유 결합, H, 탄화수소 또는 폴리에테르일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민은 복수의 -NHR 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민으로 지칭될 수 있음).
단독 또는 더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 예컨대 "아랄킬 기" - 사용되는 "아릴" 또는 "Ar"는 모노시클릭 고리 시스템이 방향족이거나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 시스템의 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인 비치환이거나 임의 치환된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및 트리시클릭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 시스템에는 벤조융합된 2-3개 구성원의 카르보시클릭 고리가 포함된다. 예시적인 아릴 기에는 페닐; 인데닐; 나프탈레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테트라히드로인데닐; 테트라히드로안트라세닐; 및 안트라세닐이 포함된다.
아크릴레이트는 1가의 -O-C(O)-C=C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메타크릴레이트는 1가의 -O-C(O)-C(CH3)=C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지칭한다.
아크릴로일 (ACR)은 -C(O)-C=C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메타크릴로일 (MCR)은 -C(O)-C(CH3)=C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지칭한다.
"에스테르"는 구조 R-C(O)-O-R'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R 및 R'는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가 있거나 없는 탄화수소 기이다. 상기 탄화수소 기는 치환된 것 또는 비치환의 것일 수 있다.
"할로겐" 또는 "할로겐화물"은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및 아이오딘에서 선택되는 원자를 지칭한다.
"헤테로"는 구조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헤테로원자는 탄소 또는 수소가 아닌 다른 원자, 예를 들면 질소, 산소, 인 또는 황인 N, O 및 S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가 개재된"이라는 표현은 잔기의 주 사슬이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사슬 구성원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구조 중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헤테로원자인 모노시클릭 또는 멀티시클릭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헤테로원자는 N, O 및 S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시클릭 고리들은 결합에 의해 연결되거나 융합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5 내지 약 30개 탄소 원자; 유리하게는 5 내지 12개 탄소 원자,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5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헤테로아릴에는 푸릴, 이미다졸릴, 피리미디닐, 테트라졸릴, 티에닐, 피리딜, 피롤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퀴놀리닐 및 이소퀴놀리닐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은 치환된 것이다.
"탄화수소"는 탄소 및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기를 지칭한다. 탄화수소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기일 수 있다. 탄화수소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아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탄화수소는 치환된 것이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물론 수 평균 분자량 Mn도 스티렌 표준을 사용하여 23℃에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SEC로도 알려져 있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다분산도는 평균 분자량 Mw 및 Mn으로부터 유도된다. 그것은 PD = Mw/Mn으로 계산된다. 다분산도는 다분산 중합체에서의 개별 사슬들의 분자량 분포 및 그에 따른 서로 다른 중합도의 폭을 표시한다. 많은 중합체 및 중축합물에서, 약 2의 다분산도 값이 적용된다. 정확한 단분산성은 1의 값에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1.5 미만인 낮은 다분산도는 비교적 좁은 분자량 분포를 표시한다.
"올리고머"는 중합되어 분자를 형성한 정해진 작은 수의 반복 단량체 단위, 예컨대 2-5,000개 단위, 유리하게는 10-1,000개 단위를 지칭한다. 올리고머는 중합체라는 용어의 하위세트이다.
"폴리에테르"는 주 중합체 사슬에 다수의 에테르 기 (각 에테르 기는 2개의 탄화수소 기에 연결된 산소 원자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폴리에테르 사슬의 반복 단위들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시적인 폴리에테르에는 단일 중합체 예컨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부틸렌 옥시드,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및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시드 co 프로필렌 옥시드) 및 EO 첨화된(tipped) 폴리프로필렌 옥시드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는 다수의 에스테르 연결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폴리에스테르는 선형 또는 분지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중합체"는 올리고머에 비해 사슬 길이 및 분자량이 더 큰 임의의 중합 생성물을 지칭한다. 중합체는 약 20 내지 약 25000의 중합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중합체에는 올리고머 및 중합체가 포함된다. 중합 조건은 단량체들을 중합체로 조합하는 데에 적합한 반응 조건을 의미한다.
"폴리올"은 2개 이상의 -OH 기를 포함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폴리올은 또한 분자 상에 다른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이라는 용어는 단일 폴리올 또는 2종 이상 폴리올의 혼합물을 포괄한다.
실온은 약 22 내지 25℃의 온도를 지칭한다.
"치환된"은 분자 상의 임의의 가능한 위치에서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의 존재를 지칭한다. 유용한 치환기는 개시되는 반응식을 상당히 감쇠시키지 않는 기들이다. 예시적인 치환기에는 예를 들면 H, 할로겐,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옥세탄, 우레아, 우레탄, N3, NCS, CN, NCO, NO2, NX1X2, OX1, C(X1)3, C(할로겐)3, COOX1, SX1, Si(OX1)iX2 3 -i, 알킬, 알콜, 알콕시가 포함되며; 여기서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아릴을 포함하고, i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티올"은 적어도 하나의 -SH 기를 포함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티올은 복수의 -SH 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티올로 지칭될 수 있음).
상기 접착제는 1종 이상의 다관능성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다관능성 폴리올은 2개 이상의 OH 기 및 임의로 다른 관능기를 갖는 분자이다. 다관능성 폴리올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올, 피마자 오일 기재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그리고 인비스타(INVISTA) 사, 바스프(BASF) 사, 헌츠만(Huntsman) 사, 유니바르(Univar) 사 및 바이엘(Bayer) 사와 같은 다양한 공급자들로부터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이 포함된다. 다관능성 폴리올은 60 g/mol 내지 6,000 g/mol의 MW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관능성 폴리올은 140 g/mol 내지 4,000 g/mol의 MW를 가질 수 있다.
다관능성 폴리올은 단쇄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단쇄 폴리올은 1000 g/mol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g/mol 내지 1,000 g/mol의 통상적인 MW를 갖는다. 유용한 단쇄 폴리올에는 에탄디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이 포함된다.
접착제는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는 1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1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1관능성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관능성 알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관능성 헤테로시클로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알킬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이며; 상기 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기이고; 상기 헤테로시클로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질소 및 산소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기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옥시 기,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 기,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옥시 기 및 히드록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다관능성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알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헤테로시클로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알킬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이며; 상기 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기이고; 상기 헤테로시클로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질소 및 산소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기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옥시 기,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옥시 기,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옥시 기 및 히드록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대표적인 예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모르폴린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접착제는 2- 또는 3-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TMPTMA"),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GMA"),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메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디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롤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A 모노 및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톡실화 비스페놀-A (메트)아크릴레이트 ("EBIPMA"), 비스페놀-F 모노 및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톡실화 비스페놀-F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관능화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관능화 우레탄에는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포함된다. 다른 (메트)아크릴레이트-관능화 우레탄으로는 방향족, 지방족 또는 고리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되고 히드록시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되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있다. 일부 유용한 예로는 이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예컨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헥산디오산과 디에틸렌 글리콜의 폴리에스테르 (CAS 72121-94-9); 톨릴렌-2,6-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CAS 37302-70-8);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헥산디오산과 디에틸렌 글리콜의 폴리에스테르 (CAS 69011-33-2); 톨릴렌-2,4-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헥산디오산, 1,2-에탄디올 및 1,2 프로판디올의 폴리에스테르 (CAS 69011-31-0);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헥산디오산, 1,2-에탄디올 및 1,2-프로판디올의 폴리에스테르 (CAS 69011-32-1); 및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에테르가 포함된다. 또 다른 (메트)아크릴레이트-관능화 우레탄으로는 1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예컨대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1-도도산올에 의해 캡핑된 폴리프로필렌이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관능화 우레탄에는 또한 2관능성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예컨대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에테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에테르;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에테르; 및 톨릴렌-2,4-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종결되고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캡핑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접착제는 1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서로 다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는 적어도 2개의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NCO) 기를 갖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중합체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어서, 저분자량 화합물 또는 단량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는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톡시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시클로부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토에틸)푸마레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2,4- 및 2,6-헥사히드로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1,3- 또는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벤지딘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1,6-디이소시아네이토-2,2,4-트리메틸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2,4,4-트리메틸헥산,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XDI),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1,3- 및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이들의 이성질체 혼합물이 포함된다. 역시 적합한 것으로는 MDI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화된 시클로알킬 유도체, 예를 들면 완전히 수소화된 MDI (H12-MDI), 알킬-치환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화된 시클로알킬 유도체, 4,4'-디이소시아네이토페닐퍼플루오르에탄, 프탈산-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 에스테르, 1 클로로메틸페닐-2,4- 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트, 1-브로모메틸페닐-2,4- 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트, 3,3'-비스-클로로메틸 에테르-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황-함유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2 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 몰의 티오디글리콜 또는 디히드록시디헥실 술피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들, 이량체 지방산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거명된 디이소시아네이트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다른 유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는 변형된 형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가 포함된다. 유용한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예를 들면 카르보디이미드-변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변형 MDI), 알로파네이트-변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알로파네이트-변형 MDI), 뷰렛-변형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뷰렛-변형 MDI), 중합체성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MDI)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어서,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거나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다른 유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는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올리고머화,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언급된 이소시아네이트들의 올리고머화에 의해 수득가능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들이 포함된다. 그와 같은 트리- 이상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HDI 또는 IPDI의 트리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 트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아닐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포스겐화에 의해 수득가능한 폴리페닐 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접착제는 임의로 1종 이상의 연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성분은 혼합된 접착제 성분에 존재하는 아크릴레이트 모이어티 및 이소시아네이트 모이어티 모두와 반응할 수 있는 결합 분자(tie molecule)이다. 유용한 연결 성분에는 히드록실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민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접착제는 1종 이상의 히드록실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결합은 물론, 이소시아네이트-히드록실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히드록실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히드록실 (OH) 모이어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된다. 일부 유용한 히드록실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폴리에톡시 (10) 알릴 에테르, 3-페녹시 2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아민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아민 (NH 또는 NH2) 모이어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된다. 일부 유용한 아민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예를 들면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3-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및 2-(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이소시아네이트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NCO) 모이어티 및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이어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된다. 일부 유용한 이소시아네이트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에는 사르토머(Sartomer) 사 및 알넥스(Allnex) 사와 같은 공급자로부터 구입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보유-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지방족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접착제는 1종 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혼합된 접착제 조성물이 화학 방사선, 예를 들면 자외 (UV) 방사선과 같은 전자기 방사선에 노출될 때 경화 과정의 속도를 강화한다. 일부 유용한 광개시제의 예에는 "이르가큐어(IRGACURE)" 및 "다로큐어(DAROCUR)"의 상표명하에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 사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광개시제들, 구체적으로 "이르가큐어" 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907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 프로판-1-온), 369 (2-벤질-2-N,N-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탄온), 500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과 벤조페논의 조합), 651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1700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 펜틸)포스파인 옥시드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의 조합) 및 819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파인 옥시드], 그리고 "다로큐어" 1173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1-온) 및 4265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파인 옥시드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의 조합); 및 가시광 [청색] 광개시제, 디-캄포퀴논 및 "이르가큐어" 784DC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이들 물질의 조합 역시 본원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다른 광개시제에는 알킬 피루베이트,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피루베이트, 그리고 아릴 피루베이트, 예컨대 페닐, 벤질 및 이들의 적절하게 치환된 유도체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한 광개시제에는 자외선 광개시제, 예컨대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예컨대 "이르가큐어" 651), 및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 (예컨대 "다로큐어" 1173),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파인 옥시드 (예컨대 "이르가큐어" 819), 그리고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파인 옥시드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의 자외선/가시광 광개시제 조합 (예컨대 "이르가큐어" 1700)은 물론, 가시광 광개시제 비스(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예컨대 "이르가큐어" 784DC)가 포함된다. 유용한 화학 방사선에는 자외선 광, 가시광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본원에 유용한 다른 광개시제로는 중합체성 광개시제가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광개시제는 600-1000 g/mol 사이의 분자량을 가지며, 종종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체성 광개시제로 지칭된다. 바람직하게는, 1000 g/mol을 초과하는 분자량은 독성학적으로 적격이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 중합체성 광개시제에는 중합체성 벤조페논 유도체, 중합체성 티오크산톤 유도체, 및 란(RAHN) 사와 같은 공급자로부터 구입가능한 아미노벤조에이트 유도체가 포함된다. 제노폴(GENOPOL)* TX-2는 낮은 이동(migration) 및 낮은 악취가 요구되는 경우에 UV-경화성 코팅 및 접착제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관능성 티오크산톤 유도체이다. 제노폴* AB-2는 낮은 이동(migration) 및 낮은 악취가 요구되는 경우에 UV-경화성 접착제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관능성 아미노벤조에이트 유도체이다. 제노폴* AB-2는 표준 아미노벤조에이트의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물에 불용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엘라스토머 밀봉재 조성물을 경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화학 방사선은 약 200 nm 내지 약 1,000 nm의 파장을 갖는다. 유용한 UV로는 UVA (약 320 nm 내지 약 410 nm), UVB (약 290 nm 내지 약 320 nm), UVC (약 220 nm 내지 약 290 nm)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용한 가시광에는 청색 광, 녹색 광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은 유용한 가시광들은 약 450 nm 내지 약 550 nm의 파장을 갖는다.
접착제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에는 2개 구성요소가 혼합되었을 때 반응의 속도를 변형시키는 촉매 또는 경화-유도 성분이 포함된다. 일부 적합한 촉매로는 유기금속 촉매, 유기주석 촉매, 비스무트 촉매, 지르코늄 촉매, 티타네이트 촉매 및 아민 촉매를 포함하여 폴리우레탄 반응 및 폴리우레탄 경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있다. 예시적인 촉매에는 에보니크(Evonik)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다브코(DABCO)® T-12 또는 다브코® 결정질; DMDEE (2,2'-디모르폴리닐디에틸에테르);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가 포함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1종을 초과하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임의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함유될 수 있다. 일부 유용한 첨가제에는 충전재, 요변제, 레올로지 개질제, 산화방지제, 반응 개질제, 열가소성 중합체, 접착 촉진제, 착색제, 점착화제, 가소제, 난연제, 희석제, 반응성 희석제, 수분 포집제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유용한 충전재에는 예를 들면 리소폰,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히드록시드, 예컨대 칼슘,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등의 히드록시드, 규조토,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소듐,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산화물, 예컨대 아연, 마그네슘, 크롬, 세륨,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 산화물, 칼슘 점토, 나노실리카, 흄드 실리카, 실란 또는 실라잔에 의해 표면 처리된 실리카 예컨대 에보니크 인더스트리스(Evonik Industries)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에어로실(AEROSIL)® 제품,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표면 처리된 실리카 예컨대 에보니크 인더스트리스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에어로실® R7200 또는 R711, 침전 실리카, 비처리 실리카, 흑연, 합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경우, 충전재는 비경화 조성물 및 경화된 반응 생성물에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데에 효과적인 농도, 통상적으로는 조성물 중 약 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더욱 통상적으로는 조성물 중 1 중량% 내지 30 중량%인 충전재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재에는 예를 들면 사우턴 클레이 프라덕츠(Southern Clay Products) 사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클로이사이트(Cloisite)® 나노점토와 같은 유기점토, 및 예를 들면 XG 사시언시즈(Sciences) 사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xGnP® 그래핀 나노판제와 같은 박리성 흑연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적합한 충전재에 의해 강화된 장벽 특성이 달성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요변제 또는 레올로지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요변제는 비경화 조성물의 레올로지 특성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일부 유용한 요변제에는 예를 들면 처리되지 않거나 해당 표면의 화학적 특성을 변경하도록 처리될 수 있는 융합 또는 흄드 실리카와 같은 실리카가 포함된다. 사실상 모든 보강성의 융합, 침전 실리카, 흄드 실리카 또는 표면 처리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처리된 흄드 실리카의 예에는 폴리디메틸실록산-처리 실리카, 헥사메틸디실라잔-처리 실리카, 및 기타 실라잔 또는 실란 처리 실리카들이 포함된다. 그와 같은 처리된 실리카들은 예컨대 CAB-O-SIL® ND-TS라는 상표명하에 카보트 코포레이션(Cabot Corporation) 사로부터, 그리고 에어로실®, 예컨대 에어로실® R805라는 상표명하에 에보니크 인더스트리스 사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역시 유용한 것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표면 처리된 실리카, 예컨대 에보니크 인더스트리스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에어로실® R7200 또는 R711이다. 비처리 실리카의 예에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비정질 실리카 예컨대 에어로실® 300, 에어로실® 200 및 에어로실® 130이 포함된다.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함수 실리카에는 재팬 실리카 코기아(Japan Silica Kogya) Inc. 사에 의해 제조되는 닙실(NIPSIL)® E150 및 닙실® E200A가 포함된다. 레올로지 개질제는 비경화 조성물 및 경화된 반응 생성물에 원하는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는 데에 효과적인 농도, 통상적으로는 조성물 중 약 0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인 농도, 유리하게는 조성물 중 약 0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인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충전재와 레올로지 개질제는 동일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유용한 산화방지제로는 이르가녹스(IRGANOX)®라는 상표명하에 바스프 사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것들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경우, 산화방지제는 경화성 조성물 중 약 0 내지 약 15 중량%, 예컨대 경화성 조성물 중 약 0.3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로 존재해야 한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반응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 개질제는 경화성 조성물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되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8-히드록시퀴놀린 (8-HQ)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5-히드록시메틸-8-히드록시퀴놀린은 경화 속도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 반응 개질제는 경화성 조성물 중 약 0.001 내지 약 15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관능성 또는 비-관능성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크릴 중합체, 관능성 (예컨대 -OH 및/또는 -COOH와 같은 반응성 모이어티를 포함함) 아크릴 중합체, 비-관능성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블록 공중합체, 3차-알킬 아미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 폴리실록산 중합체,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디비닐벤젠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메틸렌 폴리비닐 에테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비정질 폴리올레핀,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OBC],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삼원중합체, 에틸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및/또는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중 어느 것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상용성이며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1종 이상의 접착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접착 촉진제의 예에는 아미노 실란, 글리시딜 실란, 메르캅토 실란, 이소시아네이토 실란, 비닐 실란,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란 및 알킬 실란이 포함된다. 통상적인 접착 촉진제들은 실퀘스트(Silquest)라는 상표명하에 모멘티브(Momentive) 사로부터, 또는 제니오실(Geniosil)이라는 상표명하에 왜커 케미에(Wacker Chemie) 사로부터 구입가능하다. 실란 종결된 올리고머 및 중합체도 사용될 수 있다. 접착 촉진제는 경화성 조성물의 약 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범위, 유리하게는 경화성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적용분야의 경우, 착색된 조성물이 적용된 조성물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유익할 수 있다. 착색제, 예를 들면 색소 또는 염료는 예정 적용분야에 유익한 원하는 색상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착색제에는 이산화 티타늄, C.I. 식소 청색 28, C.I. 색소 황색 53 및 프탈로시아닌 청색 BN이 포함된다. 일부 적용분야에서는, UV 방사선하에서의 적용된 조성물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형광 염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착색제는 관찰 또는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양, 예를 들면 총 조성물의 약 0.002 중량% 이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최대 양은 비용, 방사선의 흡수 및 조성물 경화 방해의 고려사항에 의해 좌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착색제는 총 조성물 중 약 2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 또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의 원하는 특성을 그것이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원하는 관능 특징을 산출하기 위하여,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점착화제, 가소제, 난연제, 희석제, 반응성 희석제, 수분 포집제, 및 상기 중 어느 것의 조합과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첨가제들의 조성물 약 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면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경화성 조성물 총 중량의 80 중량%까지 적합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접착제는 용매-기반 접착제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 기재 상에서의 경화성 조성물의 적용시, 예를 들면 가열 오븐에 의해 빠르게 용매가 증발 제거된 다음, 첫 번째 기재의 경화성 조성물 코팅 측면 상에 두 번째 기재가 라미네이트화됨으로써, 라미네이트화된 구조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에는 용매 및/또는 물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여과 조립체(30)는 통상적으로 그 주위로 복수의 리프들 (각각 (10)) 및 기타 요소들이 나선으로 권취되어 고정되는 코어 또는 투과액 캐리어(32)를 포함한다. 각 리프(10)는 멤브레인(12)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일 실시양태에서, 멤브레인(12)은 얇고 조밀한 반-투과성 층(13),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스크림(scrim)과 같은 지지 층(16) 위에 놓인 폴리에테르술폰과 같은 여과 층(14) 위에 놓인 폴리아미드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얇고 조밀한 반-투과성 층(13)은 멤브레인(12)의 일 표면(18)을 한정하고, 지지 층(16)은 멤브레인(12)의 반대 표면(20)을 한정한다. 얇고 조밀한 반-투과성 층(13), 또는 여과 층(14)과의 조합으로서의 얇고 조밀한 반-투과성 층(13)은 분리를 초래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멤브레인(12)은 폴리에스테르 스크림과 같은 지지 층(16) 상에 폴리에테르술폰과 같은 여과 층(14)을 포함한다. 여과 층(14)은 멤브레인(12)의 일 표면(18)을 한정하고, 지지 층(16)은 멤브레인(12)의 반대 표면(20)을 한정한다. 여과 층(14)은 분리를 초래한다.
멤브레인(12)은 재료 롤로부터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멤브레인에는 접힘부 라인(24)이 설정된다. 경화성 조성물(26)이 혼합된 후, 접힘부 라인(24)에 인접하여 절단된 멤브레인(12)에 적용된다.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는 것은 접힘부 라인 영역상, 그리고 어느 정도 정해진 거리까지 접힘부 라인을 넘어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화성 조성물은 접힘부 라인 상에, 그리고 접힘부 라인의 어느 한 측 상에 약 0.1 내지 5.0 인치 적용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이 전체 멤브레인 표면 상에 적용되는 것은 아닌데, 이는 멤브레인의 여과 능력을 저하시켜 코팅된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화성 조성물(26)은 여과 표면(18), 지지 층 표면(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상에 접힘부 라인(24)에 인접하여 적용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26)의 혼합 및 적용은 확립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적용된 경화성 조성물(26)의 혼합물은 일차 경화를 개시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자외선 (UV) 파장인 화학 방사선에 노출된다. 혼합된 폴리우레탄 성분들은 이후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물질들의 반응에 의해 경화되게 된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경화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단된 멤브레인(12)은 접힘부 라인(24)을 따라 접히며, 접힌 멤브레인의 인접하는 여과 표면(18) 사이로 공급물 스페이서 재료(22)가 배치된다. 공급물 스페이서(22)는 통상적으로 유체 투과성인 중합체 네트 유형의 구조이다. 투과액 캐리어(34)는 지지 표면(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투과액 캐리어(34) 주위에 권취되어 거기에 고정된다.
여과 조립체(30)는 하우징 (미도시)에 배치된다. 공급물 스트림(36)은 압력하에 하우징으로 제공된다. 공급물 스트림(36)은 적어도 2종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공급물 스트림의 예시적인 일 예는 염수일 수 있다. 공급물 스페이서(22)는 얇고 조밀한 반-투과성 층(13) 또는 여과 층(14)의 여과 표면(18)과 접촉하여 여과 조립체를 가로질러 세로 방향으로 공급물 스트림(36)을 유도한다. 염이 없거나 낮은 농도의 염을 포함하는 물은 일반적으로 여과 표면(18)으로부터 수직 방향인 멤브레인(10)을 통해 여과 조립체의 지지 표면(20)으로 진행함으로써, 다공성인 투과액 캐리어 층(34) (미도시)을 통하여 투과액 튜브(32)로 유도되는 투과액 스트림(38)을 형성한다. 투과액 스트림(38)은 투과액 튜브(32)로부터 방출된다. 이제는 그것이 개시될 때보다 더 높은 염 농도를 갖는 공급물 스트림(36) 중 나머지는 투과액 스트림(38)과 별도로 여과 조립체(30)로부터 유도되는 농축물 스트림 (42)을 형성한다.
하기 표에, 본 개시 접착제 조성물 일부 실시양태의 성분들을 제시하였다. 양은 총 접착제 중량을 기준으로 한 그 성분의 중량 백분율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성분들은 2개 구성요소로 조합된다. 일 구성요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며, 다른 구성요소는 폴리올, 히드록실 포함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 촉매를 포함한다. 나머지 물질들은 상업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하는 대로 어느 한 쪽 구성요소에 배치될 수 있다. 2개 구성요소는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저장된다. 사용 직전에, 구성요소들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실 포함 물질 사이의 반응을 개시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혼합된다. 반응 동안, 혼합물은 점도가 증가하게 되며, 혼합된 재료는 저장될 수 없어서, 혼합물이 허용되지 않는 높은 점도로 경화되기 전에 빠르게 사용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혼합된 구성요소들은 약 1시간 이내에 허용되지 않는 높은 점도를 가지게 된다.
[ 실시예 ]
하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 예시를 목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달리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한,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의 성분들을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02
하기 표의 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접착제 구성요소들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3
수분의 부재하에 하기 표의 물질들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실시예 4A, 4B, 5A 및 5B를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4
1 피마자 오일
2 멀트라놀 4012
3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4 HEMA
5 BR 528E8
6 포토머 6008
7 TPO-L
8 옴니래드 184
9 폼레즈 UL28
10 수프라섹 2029
11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12 BR 528E8
비교 샘플 A 및 B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단일 구성요소 UV-경화성 아크릴 접착제이다. 비교 샘플 C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2-구성요소 폴리우레탄이다.
샘플들을 경화, 점착성, 굽힘 접착성 및 화학물질 내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사용된 멤브레인은 다우(DOW) NF-245 3"×3"이었으며, 샘플 재료의 코팅은 약 0.2-0.3 mm의 두께로 멤브레인의 표면에 적용한 후, 경화하였다.
UV 경화는 1.61 W/cm2에서 10초 동안 405 nm의 파장을 갖는 UV 광에 샘플을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시험하였다. 경화 후, 촉감에 의해 샘플 표면을 점착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30:70, 50:50 및 70:30 아크릴:폴리우레탄 중량 퍼센트 (중량%) 비로 2개 구성요소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에 의해, 3K 혼합물의 반응성 경화를 시험하였다. 샘플 4 및 5에서 각각 55 중량% 및 24 중량%의 전체적인 폴리우레탄 함량을 사용하여 1:1 부피 혼합 비로 통합된 혼성 시스템의 반응성 경화를 시험하였다. 샘플은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경화 후, 촉감에 의해 샘플 표면을 점착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굽힘 접착성은 굽힘 시험에 의해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은 시험 조성물을 사용하여 멤브레인의 일 표면을 코팅하고 조성물을 경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경화된 코팅이 굽힘부의 내부가 되도록 코팅된 멤브레인을 처음 접고, 편평한 개시 위치로 되돌린 후, 경화된 코팅이 굽힘부의 외부가 되도록 두 번째 접었다. 멤브레인으로부터의 경화된 코팅의 균열 또는 탈라미네이트화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 샘플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화학물질 내성은 침지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샘플을 12.5 pH의 수성 용액에 침지한 다음, 그것을 80℃ 온도-조절 오븐에 배치하였다. 샘플을 분해 또는 탈라미네이트화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결과를 기록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샘플 A 및 B는 모두 UV 조건 하에 경화되어 10초 미만 이내에 필터 멤브레인 상에 우수한 무-점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샘플 1, 2 및 3은 각각 UV-경화성 구성요소 및 2개의 별도 폴리우레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3 구성요소 (3K) 접착제이다. 상기 3개 구성요소들은 별도로 저장되며, 사용 직전에 폴리우레탄 구성요소의 경화를 개시하기 위하여 혼합된다. 각 샘플의 폴리우레탄 함량은 70 중량%로부터 30 중량%까지 감소된다. 샘플 1 및 2에서의 증가된 PU 함량으로 인하여, 최초 UV-경화 후 수시간 동안 표면이 점착성으로 유지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샘플 4 및 5는 각각 이차적인 폴리우레탄 반응을 동반하는 일차 UV-경화 유리 라디칼 반응을 포함하는 통합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이중 경화 2 구성요소 혼성 시스템이다. 50 중량%를 초과하는 PU 함량 (샘플 4)으로도 UV-광에의 노출 후 무-점착 표면이 달성되었다.
샘플 4 및 5는 샘플 1, 2 및 3의 3K 혼합물에 비해 사용하기가 더 편리한 2K 접착제이다. 또한, 샘플 4 및 5의 양 구성요소는 6개월 이상의 상업적 저장 조건 동안 구성요소에서의 물질 분리 없이 안정하다.
모든 샘플이 표면 코팅을 따라 멤브레인을 굽혔을 때 외부 표면 상의 코팅을 유지하는 접힘/주름 시험을 통과하였다. 마찬가지로, 모든 샘플이 표면 코팅을 따라 멤브레인을 굽혔을 때 내부 표면 상의 코팅을 유지하는 접힘/주름 시험을 통과하였다. 양 시험의 어떠한 샘플에서도 균열 또는 코팅 접착 실패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각 샘플들 중 하나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에 의해 일 표면상이 코팅된 멤브레인 샘플들을 12.5 pH 수성 용액 중에 침지하고, 80℃ 온도-조절 오븐에 배치하였다. 3일 후, 샘플 A는 접착성을 상실하고, 멤브레인으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사용 실패가 되게 된다. 샘플 B는 용액 중에 완전히 용해되었다. 이는 사용 실패가 되게 된다. 70 중량%의 아크릴 접착제를 함유하는 샘플 3에서는 약간의 분해가 관찰되었다. 이는 사용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되게 된다. 샘플 C, 1, 2, 4 및 5는 어떠한 접착성 상실 또는 용해도 나타내지 않고, 필름 완전성을 유지하였다.
각각 샘플들 중 하나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에 의해 일 표면상이 코팅된 멤브레인 샘플들을 12.5 pH 수성 용액 중에 침지하고, 10일 동안 80℃ 온도-조절 오븐에 배치하였다. 10일 후, 샘플 A(100% 아크릴)는 모든 접착성은 상실하였으나; 용액 중에 필름이 용해되지는 않았다. 이는 사용 실패가 되게 된다. 10일 후, 샘플 2 (50 중량% 아크릴 및 50 중량% 폴리우레탄) 및 샘플 3 (70 중량% 아크릴 및 30 중량% 폴리우레탄) 양자는 모든 접착성을 상실하거나, 상당한 분해 및 분리 징후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사용 실패가 되게 된다. 10일 후, 최고의 PU 중량%를 갖는 샘플 1 (30 중량% 아크릴 및 70 중량% 폴리우레탄)은 접착 실패 및 분해의 개시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사용 실패가 되게 된다. 10일 후, 샘플 3 (100% 폴리우레탄)은 어떠한 접착성 상실 또는 용해도 나타내지 않고, 필름 완전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샘플 3의 느린 경화 속도와 장기간인 점착성 기간은 많은 적용분야에서 그 접착제의 유용성을 제한한다.
10일 후, 샘플 4 및 5는 어떠한 접착성 상실 또는 용해도 나타내지 않고, 필름 완전성을 유지하였다. 샘플 4 및 5는 UV 노출 기간 후 무점착이었다. 따라서, 통합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이중 경화 혼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샘플 4 및 5는 아크릴 접착제의 접착성 상실 및 용해 문제 없이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화학물질 내성을 가지면서도,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점착성인 경화 상태 없이 광 경화 아크릴의 경화 속도를 보유한다.
전기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기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 및 의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변이 및 변형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다관능성 폴리올, 임의로는 단쇄 폴리올, 임의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개시제, 촉매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임의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구성요소;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또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 양자에 존재하는 연결 성분
    을 포함하는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이며,
    여기서 혼합된 형태의 접착제는 UV 경화 메카니즘 및 반응성 경화 메카니즘 양자를 가지며, 경화된 반응 생성물은 굽힘 시험에서 멤브레인 표면에 대한 접착성을 유지하며, 경화된 반응 생성물은 침지 시험 10일 후에 멤브레인 표면에 대한 접착성을 유지하는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된 형태의 접착제가 UV 방사선에의 노출에 의해 표면 무점착 상태로 경화될 수 있는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가 2 내지 40 중량%의 다관능성 폴리올, 0 내지 5 중량%의 단쇄 폴리올, 0 내지 30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0 내지 80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개시제, 촉매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구성요소 중 모든 물질의 총합은 100 중량%이고;
    제2 구성요소가 5 내지 80 중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 내지 30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0 내지 80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임의로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구성요소 중 모든 물질의 총합은 100 중량%이고;
    0 내지 40 중량%의 연결 성분이 제1 부분, 제2 부분, 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양자에 존재하는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가 10 내지 35 중량%의 다관능성 폴리올, 0.5 내지 5 중량%의 단쇄 폴리올, 0 내지 10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개시제, 촉매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구성요소 중 모든 물질의 총합은 100 중량%이고;
    제2 구성요소가 20 내지 75 중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 내지 30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5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임의로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구성요소 중 모든 물질의 총합은 100 중량%이고;
    20 내지 40 중량%의 연결 성분이 제1 부분, 제2 부분, 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양자에 존재하는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5. 제1항에 있어서, 여과 멤브레인의 표면 상에 코팅된 혼합된 형태의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6. 제1항에 있어서, 혼합된 형태의 접착제가 멤브레인 표면 상의 멤브레인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여 코팅된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7. 제1항에 있어서, 혼합된 형태의 접착제가 멤브레인 표면 상의 멤브레인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여 코팅되며, 상기 표면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에스테르 스크림에서 선택되는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8. 제1항에 있어서, 혼합된 형태의 접착제가 멤브레인 표면 상의 멤브레인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여 코팅되며, 나머지 멤브레인 표면에는 혼합된 접착제가 없는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9. 제1항에 있어서, 혼합된 형태의 접착제가 멤브레인 여과 표면, 멤브레인 지지 표면, 또는 멤브레인 여과 표면 및 멤브레인 지지 표면 양자 상의 멤브레인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여 코팅된 것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
  10. 여과 멤브레인의 표면에 결합된 혼합된 형태의 제1항에 따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
  11. 코어 주위에 권취된 복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혼합된 형태의 제1항에 따른 2 구성요소 접착제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여과 멤브레인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인 여과 조립체.
  12. 코어 주위에 권취된 복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혼합된 형태의 제1항에 따른 2 구성요소 접착제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여과 멤브레인의 표면에 접힘부 라인에 인접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인 여과 조립체.
  13. 멤브레인의 접힘부 영역을 보강하는 방법이며,
    다관능성 폴리올, 임의로는 단쇄 폴리올, 임의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개시제, 촉매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임의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또는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 양자에 연결 성분이 존재하고;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를 혼합하여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이의 일차 경화 반응을 개시하여, 혼합된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과 표면, 지지 표면을 갖고 접힘부 라인을 한정하는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단계;
    접힘부 라인에 인접한 여과 표면, 지지 표면, 또는 여과 표면 및 지지 표면 양자를 혼합된 접착제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및
    멤브레인 표면 상에 코팅된 혼합된 접착제 조성물을 화학 방사선에 노출시켜 이차 경화 반응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혼합된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이 굽힘 시험에서 멤브레인 표면에 대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경화된 반응 생성물이 침지 시험 10일 후에 멤브레인 표면에 대한 접착성을 유지하는 것인 방법.
  15. 여과 조립체 구성요소의 접힘부 라인 영역을 코팅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통합 혼성 2 구성요소 접착제의 용도.
KR1020227018010A 2019-12-18 2020-11-11 Uv 경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나선형 여과 모듈의 접힘부 보호 및 그의 제공 방법 KR20220115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9588P 2019-12-18 2019-12-18
US62/949,588 2019-12-18
PCT/US2020/059953 WO2021126422A1 (en) 2019-12-18 2020-11-11 Fold protection for spiral filtration modules utilizing uv cured polyurethan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560A true KR20220115560A (ko) 2022-08-17

Family

ID=7647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010A KR20220115560A (ko) 2019-12-18 2020-11-11 Uv 경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나선형 여과 모듈의 접힘부 보호 및 그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15818A1 (ko)
EP (1) EP4077575A4 (ko)
JP (1) JP2023510127A (ko)
KR (1) KR20220115560A (ko)
CN (1) CN114761510A (ko)
CA (1) CA3163890A1 (ko)
TW (1) TW202128806A (ko)
WO (1) WO20211264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775A (en) * 1997-12-23 1999-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rethane/acrylate bead bond for retroreflective articles
DE10048275C1 (de) * 2000-09-29 2002-05-29 Basf Coatings Ag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s Mehrkomponentensystem und seine Verwendung
JP4399159B2 (ja) * 2000-10-23 2010-01-13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モノマー含有量の少ない多段硬化性の反応性接着剤
US7368171B2 (en) * 2004-09-03 2008-05-06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Laminating adhesive, laminat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a laminate
US20070068864A1 (en) * 2005-09-28 2007-03-29 Cruz Josh D L Fold protection for spiral wound filter element
US20090012202A1 (en) * 2007-07-03 2009-01-08 Henkel Corporation Acrylated Urethanes,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and Curable Compositions Including the Same
US7875177B2 (en) * 2008-12-09 2011-01-2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mbrane leaf packet with reinforced fold
US20150099818A1 (en) * 2013-10-08 2015-04-09 Dymax Corporation Tri-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WO2016164526A1 (en) * 2015-04-09 2016-10-13 Cytec Industries Inc. Polyurethane adhesives for reverse osmosis modules
TWI682976B (zh) * 2016-03-02 2020-01-21 阿科瑪法國公司 雙固化型軟觸感塗層
CA3074424C (en) * 2017-08-31 2022-03-22 Hercules Llc Urethane acrylate hybrid structure adhesives
CN114391026A (zh) * 2019-09-19 2022-04-22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可光固化(甲基)丙烯酸酯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0127A (ja) 2023-03-13
EP4077575A1 (en) 2022-10-26
US20220315818A1 (en) 2022-10-06
CN114761510A (zh) 2022-07-15
WO2021126422A1 (en) 2021-06-24
CA3163890A1 (en) 2021-06-24
TW202128806A (zh) 2021-08-01
EP4077575A4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3991B2 (ja) エンチオール系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EP2342251B1 (en) Radiation curable adhesive
JP3622169B2 (ja) 低遊離モノマー含有で、低オリゴマー含有の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からなる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06459722B (zh) 氨基甲酸酯系粘接剂组合物
KR900007870B1 (ko) 반복 블럭, 올리고머-유리, 다상, 열성형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KR20110033048A (ko) 시트 및 점착 시트
JP2009019211A (ja) 1成分系の接着剤又は封止剤
KR20130140537A (ko) 라디칼 경화성 핫 멜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체
WO2007086461A1 (ja) チオール化合物を含有する硬化性組成物
JP2009001654A (ja) 光硬化型透明接着剤組成物
KR20190002820A (ko) 디설파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자가치유 탄성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70320998A1 (en) Functionalized polyurethanes prepared from renewable materials
MX2010012370A (es) Formulacion acrilica que contiene isocianato curable con humedad.
WO2022075366A1 (ja) 接着剤セット、フィルム、接着体、及び被着体の分離方法
US20220204660A1 (en) Photocurable (meth)acrylate compositions
KR20210077714A (ko) 액체 광학 투명 접착제 응용분야를 위한 이중 경화성 실리콘-유기 하이브리드 중합체 조성물
JP3205977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接着剤、シール剤及び結束剤
JP5493816B2 (ja) イソシアネート基含有ポリサルファイドポリマー、オキサゾリジン含有ポリサルファイドポリマー、および硬化性組成物
KR20220115560A (ko) Uv 경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나선형 여과 모듈의 접힘부 보호 및 그의 제공 방법
JP5476974B2 (ja) 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混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硬化性組成物
JP6686274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CN111607332B (zh) 一种胶层组合物以及保护膜
JP7228092B2 (ja) 湿気硬化型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18193338A (ja) イソシアネート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96594B1 (ko) 습기 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