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935A -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 Google Patents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935A
KR20220111935A KR1020210015353A KR20210015353A KR20220111935A KR 20220111935 A KR20220111935 A KR 20220111935A KR 1020210015353 A KR1020210015353 A KR 1020210015353A KR 20210015353 A KR20210015353 A KR 20210015353A KR 20220111935 A KR20220111935 A KR 2022011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ller
forming
roller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534B1 (ko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5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코일에 대응하여 하나의 포밍장치로 높이를 조절하여 포밍공정이 실행됨과 동시에 해당 코일의 포밍을 단계별로 실행하여 평탄도를 만족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분체가 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코일이 거치되는 엔트리 가이드와, 상기 몸체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된 코일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1차로 포밍하는 핀치롤러부재 및 상기 핀치롤러부재에 의해 1차로 포밍된 코일의 두께 폭에 따라 승강하여 해당 코일의 상면과 하면을 함께 가압하여 2차로 포밍하는 레벨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코일에 대응하여 하나의 포밍장치로 높이를 조절하여 포밍공정이 실행됨과 동시에 해당 코일의 포밍을 단계별로 실행하여 평탄도를 만족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포밍 공법은 코일을 풀어 상부 성형롤과 하부 성형롤을 한 쌍으로 구성하여 일렬로 배치된 다단의 롤 포머 유닛을 통과하도록 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절곡 성형하는 공법으로, 특히 차량용 빔류나 멤버류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직선타입의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적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롤 포밍 시스템 및 그 단계별 공정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그 공정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롤 포밍 공법은 공급되는 코일(10)을 풀어주는 언코일러(1)가 공정라인 전방에 구성되어 코일을 공급하여 주는 언코일 단계(S1)를 진행한다.
상기 언코일러(1)의 공정방향 후방에는 스트레이트너(2)가 구비되어 언코일러(1)로부터 풀려 나온 띠상의 코일(10)을 평평하게 펴주는 스트레이트닝 단계(S2)를 진행한다.
상기 스트레이트너(2)의 공정방향 후방에는 프레스(3)가 구비되어 스트레이트너(2)로부터 공급된 코일(10)에 여러 용도의 구멍을 성형하는 피어싱 단계(S3)를 진행한다.
상기 프레스(3)의 공정방향 후방에는 적어도 10단 이상의 롤 포머 유닛(R1~R10; 일부 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언코일러(1), 스트레이트너(2), 및 프레스(3)를 거쳐 공급되는 코일(10)을 순차적으로 절곡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는 직선타입의 성형빔(20)의 형상으로 롤 성형하는 롤 포밍 단계(S4)를 진행한다.
상기 롤 포밍 유닛의 공정방향 후방에는 컷팅 프레스(4)가 구비되어 상기 성형빔(20)을 제품화하기 위한 완성품
의 규격대로 절단하여 롤 포밍 성형품(30)을 생산하는 컷팅 단계(S5)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롤 포밍 유닛들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롤 포밍 공법은 그 특성상,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형상의 단면을 갖는 빔류만의 성형이 가능할 뿐,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다른 빔류는 성형이 불능한 단점이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다른 이형단면의 성형품의 경우, 종래의 롤 포밍 공법으로는 성형이 불가능하여 통상은 공정의 연속성이 없고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다단의 프레스 성형공법을 적용하여 성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33268호(공고일:2013.11.27.) 국내등록특허 제10-1817581호(공고일:2018.01.11.) 국내등록특허 제10-2114760호(공고일:2020.05.25.)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탄도를 위해 포밍공정을 실행하고자 하는 코일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 후, 포밍공정을 실행할 수 있는 포밍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는 두 분체가 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코일이 거치되는 엔트리 가이드와, 상기 몸체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인입된 코일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1차로 포밍하는 핀치롤러부재 및 상기 핀치롤러부재에 의해 1차로 포밍된 코일의 두께 폭에 따라 승강하여 해당 코일의 상면과 하면을 함께 가압하여 2차로 포밍하는 레벨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트리 가이드는 코일의 길이 폭에 대응되게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하부는 상기 몸체부와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弧) 형상의 가이드체와,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체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롤러에 거치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이동하는 코일의 외면을 가압하여 이동을 제어하는 스테이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부재는 코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상기 몸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코일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 하부에 위치하되 코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상기 몸체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의 하면을 가압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핀치롤러부재는 상기 상부롤러 하부 사분점과 상기 하부롤러 상부 사분점이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지 않되 코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코일 외면이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방식의 가압에 의해 코일의 1차 포밍이 실행되어 상기 레벨롤러부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벨롤러부재는 하부가 상기 몸체부에 고정설치되되 상부에는 하부레벨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1차 포밍이 이루어진 코일의 2차 포밍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하부레벨롤러와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상부레벨롤러가 구비된 승강체 및 상기 고정체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되, 코일의 2차 포밍은 해당 코일의 하면과 면접하는 하부레벨롤러와 해당 코일의 상면과 면접하는 상부레벨롤러의 가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되 내부에 승강수단이 구비된 하부베이스 및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기 하부베이스와 결합하되 상부에는 상기 엔트리 가이드, 상기 핀치롤러부재 및 상기 레벨롤러부재가 설치되는 상부베이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평탄도를 위해 포밍공정을 실행하고자 하는 코일의 두께에 따라 핸들을 통해 승강체에 구비된 상부레벨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핀치롤러부재와 레벨롤러부재를 통해 단계별로 코일의 포밍공정이 가능하여 해당 코일의 평탄도를 만족하는 퀄리티가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포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도면.
도 3은 도 1에 대한 엔트리 가이드가 생략된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대한 몸체부 도면.
도 5는 도 1에 대한 핀치롤러부재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대한 레벨롤러부재의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이하, 간략하게 '포밍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1)는 크게 몸체부(100), 엔트리 가이드(200), 핀치롤러부재(300) 및 레벨롤러부재(40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롤(ROLL) 형태로 권출되는 스틸재질이되 플레이트 형상으로 권출되는 코일(C)의 평탄도를 위한 포밍(성형:Forming)이 단계별로 실행되어 해당 코일(C)이 종방향으로 평탄도를 갖도록 펼쳐져 후 공정(예를 들어, 절단공정이나 밴딘공정 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베이스(110) 및 상부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하부베이스(110)는 강철소재인 다수의 빔(예를 들어, H형 빔)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체결볼트에 의해 일정한 틀을 갖도록 결합하되 그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된다.
여기서, 하부베이스(110) 하부에는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한 바퀴(미도시)가 구비되어 포밍작업을 실행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1)를 작업장소의 원하는 위치에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하부베이스(110) 내부에는 상부베이스(120)와 결합하는 실린더 등과 같은 승강수단(111)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베이스(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베이스(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하부베이스(110) 외면 또는 내면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하부는 승강수단(111)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수단(111)의 승강을 통해 승강할 상기 상부베이스(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부베이스(120) 상부에는 후술하는 엔트리 가이드(200), 핀치롤러부재(300) 및 레벨롤러부재(40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베이스(120)와 함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형태로 공급되는 코일(C)의 권출 끝단 위치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하여 포밍작업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엔트리 가이드(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핀치롤러부재(300)와 레벨롤러부재(400)에 롤 형태의 코일(C)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포밍공정이 실행될 수 있게 해당 코일(C)을 원활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포밍공정의 실행 이전에 선공정으로 상기 코일(C)의 굽힘정도를 어느 정도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체(210), 가이드롤러(220) 및 스테이바(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가이드체(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C)의 길이 폭과 대응되게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그 각각의 하부는 기둥형상의 회전축 양측에 관통삽입되어 상부베이스(120)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가이드체(210)는 회전 이후에 고정핀(미도시) 등에 의해 브라켓에 고정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가이드체(210)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서로 대향되게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관통공을 통해 다수의 가이드롤러(220)가 상기 가이드체(210)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외면에 거치된 코일(C)이 포밍을 위해 이동시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작업자는 롤 형태에서 권출되는 코일(C)의 굽힘 정도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220)나 다수의 상기 가이드롤러(220)에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되어 후술하는 핀치롤러부재(300) 등에 공급되어 포밍공정이 실행되기 이전에 선공정으로 해당 코일(C)의 평탄도가 어느 정도 이행된 이후에 상기 핀치롤러부재(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바(230)는 포밍공정을 위해 이동하는 코일(C) 상부에 위치하도록 브라켓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승강에 의해 해당 코일(C)의 외면을 강제로 가압하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테이바(230)의 승강은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등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러부재(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트리 가이드(200)에 거치되어 공급되는 코일(C)의 평탄도를 위해 1차 포밍이 실행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120)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과 그 각각의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해당 브라켓에 횡방향(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코일(C)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할 수 있는 한 쌍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해당 유닛은 종방향(코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복수회에 걸쳐 코일(C)의 1차 포밍공정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상부롤러(310)의 하부 사분점(Q1)과 하부롤러(320) 상부 사분점(Q2)는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지 않게 다수의 상기 상부롤러(310)와 상기 하부롤러(320)가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어 복수회에 걸쳐 코일(C)의 1차 포밍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사분점(Q1,Q2)는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코일(C)의 외면에 구부러짐이 형성되지 않게 포밍이 실행되도록 하며, 해당 코일(C)의 이동은 상호 면접하는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의 회전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벨롤러부재(400)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술한 핀치롤러부재(300)에 의해 1차 포밍이 이루어진 코일(C)을 공급받아 평탄도를 위한 2차 포밍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체(410), 승강체(420) 및 핸들(430)을 포함한다.
예컨대 고정체(4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상부베이스(120)와 체결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되 상부에는 승강체(42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체(410) 상부에는 1차 포밍공정이 이루어진 코일(C)의 외면을 상부레벨롤러(421)와 함께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레벨롤러(4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코일(C)의 2차 포밍공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승강체(420) 하부에는 하부레벨롤러(411)와 횡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부레벨롤러(4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일(C)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레벨롤러(411) 상부 사분점(Q3)와 상기 상부레벨롤러(421) 하부 사분점(Q4)가 코일(C)의 두께(T1,T2)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때, 승강체(420)는 작업자의 수동작에 의한 핸들(430)의 회전을 통해 고정체(410) 상부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강체(420)의 승강은 포밍을 실행하고자 하는 코일(C)의 두께에 따라 그 승강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핸들(430)을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430)과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고정체(410)나 승강체(420)에 구비되는 스크류나 기어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승강체(420)가 하강하되 반대로, 상기 핸들(43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체(420)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미세조정되어 코일(C)의 두께에 맞게 하부레벨롤러(411)를 기준으로 상부레벨롤러(421)의 높이를 제어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핸들(430)을 통해 승강하는 승강체(420)의 높이 즉, 하부레벨롤러(411)와 상부레벨롤러(421) 사이에 형성되어 2차 포밍공정을 위해 코일(C)이 진입하는 간격은 상술한 핀치롤러부재(300)의 브라켓이나 고정체(410) 외면에 게이지(431) 등으로 그 수치가 표시되어 작업자가 해당 게이지(431)를 식별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고정체(410) 외면에는 2차 포밍공정이 이루어진 코일(C)이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다른 공정장치에 공급될 수 있게 다수의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평탄도를 위해 포밍공정을 실행하고자 하는 코일(C)의 두께에 따라 핸들(430)을 통해 승강체(420)에 구비된 상부레벨롤러(421)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핀치롤러부재(300)와 레벨롤러부재(400)를 통해 단계별로 코일(C)의 포밍공정이 가능하여 해당 코일(C)의 평탄도를 만족하는 퀄리티가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100: 몸체부
110: 하부베이스 111: 승강수단
120: 상부베이스
200: 엔트리 가이드
210: 가이드체 220: 가이드롤러
230: 스테이바
300: 핀치롤러부재
310: 상부롤러 320: 하부롤러
400: 레벨롤러부재
410: 고정체 411: 하부레벨롤러
420: 승강체 421: 상부레벨롤러
430: 핸들
C: 코일

Claims (5)

  1. 두 분체가 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코일(C)이 거치되는 엔트리 가이드(200);
    상기 몸체부(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 내측으로 인입된 코일(C)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1차로 포밍하는 핀치롤러부재(300); 및
    상기 핀치롤러부재(300)에 의해 1차로 포밍된 코일(C)의 두께(T1,T2) 폭에 따라 승강하여 해당 코일(C)의 상면과 하면을 함께 가압하여 2차로 포밍하는 레벨롤러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가이드(200)는
    코일(C)의 길이 폭에 대응되게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하부는 상기 몸체부(100)와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弧) 형상의 가이드체(210);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체(210)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체(210)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20); 및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롤러(220)에 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측으로 이동하는 코일(C)의 외면을 가압하여 이동을 제어하는 스테이바(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부재(300)는
    코일(C)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코일(C)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롤러(310); 및
    상기 상부롤러(310) 하부에 위치하되 코일(C)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C)의 하면을 가압하는 하부롤러(320);를 포함하되,
    상기 핀치롤러부재(300)는 상기 상부롤러(310) 하부 사분점(Q1)과 상기 하부롤러(320) 상부 사분점(Q2)이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지 않되 코일(C)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코일(C) 외면이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방식의 가압에 의해 코일(C)의 1차 포밍이 실행되어 상기 레벨롤러부재(4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롤러부재(400)는
    하부가 상기 몸체부(100)에 고정설치되되 상부에는 하부레벨롤러(41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고정체(410);
    상기 고정체(410)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1차 포밍이 이루어진 코일(C)의 2차 포밍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하부레벨롤러(411)와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회전하는 상부레벨롤러(421)가 구비된 승강체(420); 및
    상기 고정체(410)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체(420)를 승강시키는 핸들(430);을 포함하되,
    코일(C)의 2차 포밍은 해당 코일(C)의 하면과 면접하는 하부레벨롤러(411)와 해당 코일(C)의 상면과 면접하는 상부레벨롤러(421)의 가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바닥면에 지지되되 내부에 승강수단(111)이 구비된 하부베이스(110); 및
    상기 승강수단(11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기 하부베이스(110)와 결합하되 상부에는 상기 엔트리 가이드(200), 상기 핀치롤러부재(300) 및 상기 레벨롤러부재(400)가 설치되는 상부베이스(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KR1020210015353A 2021-02-03 2021-02-03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KR10243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53A KR102437534B1 (ko) 2021-02-03 2021-02-03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53A KR102437534B1 (ko) 2021-02-03 2021-02-03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35A true KR20220111935A (ko) 2022-08-10
KR102437534B1 KR102437534B1 (ko) 2022-08-29

Family

ID=8284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53A KR102437534B1 (ko) 2021-02-03 2021-02-03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534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41A (ko) * 1991-07-31 1993-02-24 강진구 핸들에 콘트롤 박스가 설치된 액정 tv
JP2968409B2 (ja) * 1993-02-26 1999-10-25 鋼板剪断機械株式会社 ローラレベラ
JP3066676B2 (ja) * 1992-05-20 2000-07-17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トレートナにおける圧下量調整装置
KR100854655B1 (ko) * 2007-02-22 2008-08-27 박영원 프레스작업용 재료공급장치
KR20090129098A (ko) * 2008-06-12 2009-12-16 무송기공(주) 언코일러
KR20110033452A (ko) * 2009-09-25 2011-03-31 김현화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KR101333268B1 (ko) 2011-08-24 2013-11-27 주식회사 금강 롱레일용 롤 포밍장치
KR101415427B1 (ko) * 2013-05-27 2014-07-04 신형운 프레스기에의 소재공급장치의 소재 평탄화 장치
CN103949499A (zh) * 2014-04-25 2014-07-30 无锡市桥联冶金机械有限公司 钢板矫直装置
KR20170127824A (ko) * 2016-05-13 2017-11-22 심우웅 철판코일의 평판성형장치
KR101817581B1 (ko) 2016-08-31 2018-01-1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공급장치
KR101855309B1 (ko) * 2016-12-08 2018-05-08 신형운 프레스기에의 소재공급장치의 소재 평탄화 장치
KR101863262B1 (ko) * 2018-02-13 2018-05-31 와이더블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박용 스틸메쉬필터의 제작을 위한 필터망 평탄화장치
KR102114760B1 (ko) 2019-11-08 2020-05-25 이완섭 롤 포밍 장치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41A (ko) * 1991-07-31 1993-02-24 강진구 핸들에 콘트롤 박스가 설치된 액정 tv
JP3066676B2 (ja) * 1992-05-20 2000-07-17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トレートナにおける圧下量調整装置
JP2968409B2 (ja) * 1993-02-26 1999-10-25 鋼板剪断機械株式会社 ローラレベラ
KR100854655B1 (ko) * 2007-02-22 2008-08-27 박영원 프레스작업용 재료공급장치
KR20090129098A (ko) * 2008-06-12 2009-12-16 무송기공(주) 언코일러
KR20110033452A (ko) * 2009-09-25 2011-03-31 김현화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KR101333268B1 (ko) 2011-08-24 2013-11-27 주식회사 금강 롱레일용 롤 포밍장치
KR101415427B1 (ko) * 2013-05-27 2014-07-04 신형운 프레스기에의 소재공급장치의 소재 평탄화 장치
CN103949499A (zh) * 2014-04-25 2014-07-30 无锡市桥联冶金机械有限公司 钢板矫直装置
KR20170127824A (ko) * 2016-05-13 2017-11-22 심우웅 철판코일의 평판성형장치
KR101817581B1 (ko) 2016-08-31 2018-01-1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공급장치
KR101855309B1 (ko) * 2016-12-08 2018-05-08 신형운 프레스기에의 소재공급장치의 소재 평탄화 장치
KR101863262B1 (ko) * 2018-02-13 2018-05-31 와이더블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박용 스틸메쉬필터의 제작을 위한 필터망 평탄화장치
KR102114760B1 (ko) 2019-11-08 2020-05-25 이완섭 롤 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534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4315A (en) Variable width strip conditioner
KR101742576B1 (ko) 금속판의 그루빙 절곡 머신
KR101927832B1 (ko) 복렬 롤 포밍용 언코일 장치
KR102437534B1 (ko)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KR20160110826A (ko) 판재 연속절단설비 및 방법
KR102262922B1 (ko) 금속 판재를 평탄화하는 레벨러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KR20170127824A (ko) 철판코일의 평판성형장치
KR101846158B1 (ko)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안내장치
KR100949734B1 (ko) 교정기용 교정롤 세팅장치
KR101952046B1 (ko) 롤 포밍장치
KR101259357B1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KR20210128991A (ko) 타발 장비
KR20120126428A (ko) 라운더 벤더의 위치조정장치
JP2669688B2 (ja) クラッド鋼板の反り矯正機
KR101205155B1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KR20180078633A (ko) 복렬 롤 포밍 장치
US31361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cold rolled metal strip
KR101204480B1 (ko) 롤 포밍 시스템용 피어싱 성형장치
KR100775812B1 (ko) 롤 포밍장치용 사이드 롤 유닛
US3595053A (en) Rolling mill system
KR20190005272A (ko) 앵글 가공장치
KR101189067B1 (ko) 롤 스폿 용접기용 가압장치
CN219151205U (zh) 一种抗耐磨高硬度冷拉扁钢用矫直辊轮装置
CN219292434U (zh) 一种焊管机组的带钢进料矫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