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461A -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461A
KR20220109461A KR1020227023310A KR20227023310A KR20220109461A KR 20220109461 A KR20220109461 A KR 20220109461A KR 1020227023310 A KR1020227023310 A KR 1020227023310A KR 20227023310 A KR20227023310 A KR 20227023310A KR 20220109461 A KR20220109461 A KR 2022010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shielding
attachment portion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타로 호리노
마사요시 카키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커넥터(10)는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30b)와, 제 1 콘택트(30a)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부착부(21)와, 제 1 부착부(21)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제 2 콘택트(30b)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착부(22)를 갖는 인슐레이터(20)를 구비하고, 제 1 부착부(21)는 제 1 콘택트(30a)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벽부(213)를 갖고, 제 2 부착부(22)는 제 1 벽부(213)와 이간하고, 제 2 콘택트(30b)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벽부(222b)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
본 출원은 2020년 1월 29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0-01233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원용된다.
본 개시는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상이한 회로 기판에 실장되고, 이들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에 관한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노이즈 누출에 의한 전자 기기 내의 데이터 교환에 혼란 및 통신 불능이라는 문제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게다가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실드 부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전자 기기에 대하여 경박단소화 및 다기능화가 요구되어 있으며, 전자 기기의 내부 부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박단소화 및 다기능화가 요구되어 있다. 다기능화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는 신호용 회로 및 대전류용 회로의 조합, 또는 신호용 회로 및 고주파용 회로의 조합과 접속되는 것도 생각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6-059589호 공보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는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1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착부를 갖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착부는 상기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벽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이간하고, 상기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벽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모듈은
제 1 콘택트와,
제 2 콘택트와,
상기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1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착부를 갖는 제 1 인슐레이터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제 2 커넥터이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접속하는 접속 상태로 상기 제 1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3 콘택트와,
상기 접속 상태로 상기 제 2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4 콘택트와,
상기 접속 상태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감합하고, 상기 제 3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3 부착부와, 상기 제 3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4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4 부착부를 갖는 제 2 인슐레이터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착부는 상기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벽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이간하고, 상기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벽부를 갖고,
상기 제 3 부착부는 상기 제 3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3 벽부를 갖고,
상기 제 4 부착부는 상기 제 3 벽부와 이간하고, 상기 제 4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4 벽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는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다.
도 1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커넥터 단체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커넥터 단체를 하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 1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1 인슐레이터 단체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3의 제 1 커넥터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차폐 부재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제 2 커넥터 단체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 2 커넥터 단체를 하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 2 커넥터의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제 2 커넥터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 및 제 2 차폐 부재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2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8의 제 2 커넥터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 3 콘택트 및 제 4 콘택트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 2 차폐 부재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인슐레이터 및 제 2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1의 커넥터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XVII-X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XVIII-XV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상술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이한 종류의 회로에 대하여 복수의 콘택트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콘택트와 다른 콘택트는, 예를 들면 서로를 절연하거나 서로의 전송 특성으로의 영향을 억제하거나 하는 목적에 의해 소정 거리에서 서로 이간한 상태로 커넥터 내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한편, 커넥터에 포함되는 인슐레이터는 서로 이간한 복수의 콘택트가 부착되면서도 커넥터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 강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의 경박단소화에 따라 커넥터가 소형화되는 것 같은 경우 커넥터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인슐레이터의 강도가 특히 중요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드 부착 전기 커넥터에서는 인슐레이터의 이러한 강도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콘택트가 복수 부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 도 2, 및 도 8~도 18에 있어서 상이한 도면끼리 서로 정합하고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3~도 7에 있어서 상이한 도면끼리 서로 정합하고 있다. 도면에 따라서는 간편한 도시를 목적으로 하여 후술하는 회로 기판(CB1 및 CB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서로 접속 가능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를 갖는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콘택트(30a)를 갖는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콘택트(30a)와 상이한 제 2 콘택트(30b) 및 제 1 차폐 부재(40)를 갖는다.
제 2 커넥터(50)는 제 1 커넥터(10)와 접속 가능하다. 제 2 커넥터(50)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접속하는 접속 상태로 제 1 인슐레이터(20)와 감합하는 제 2 인슐레이터(60)를 갖는다. 제 2 커넥터(50)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로 제 1 콘택트(30a)와 접촉하고,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3 콘택트(70a)를 갖는다. 제 2 커넥터(50)는 감합 상태로 제 2 콘택트(30b)와 접촉하고,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4 콘택트(70b)를 갖는다. 제 4 콘택트(70b)는 제 3 콘택트(70a)와 상이하다. 제 2 커넥터(50)는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80)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커넥터(1)가 갖는 차폐 부재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폐 부재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40)와,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8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면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 2 커넥터(50)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서로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3 콘택트(70a) 및 제 4 콘택트(70b)가 탄성 변형되는 제 2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설명한다.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제 1 커넥터(10)를 플러그 커넥터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종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커넥터(50)가 플러그 커넥터의 역할을 하고, 제 1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역할을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회로 기판(CB1 및 CB2)에 각각 실장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접속 상태로 회로 기판(CB1)과 회로 기판(CB2)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회로 기판(CB1 및 CB2)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좋고, 또는 그것 이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1 및 CB2)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된다. 접속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일방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또한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타방이 평행 방향이 되도록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1)의 제 1 방향」은 일례로서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이며,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커넥터(1)의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은 일례로서 커넥터(1)의 폭 방향이며, 전후 방향에 대응한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접속하는 접속 상태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2쌍의 제 1 콘택트(30a) 및 제 3 콘택트(70a)를 갖는다. 커넥터(1)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1쌍의 제 1 콘택트(30a) 및 제 3 콘택트(70a)를 차폐하는 차폐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도 1의 제 1 커넥터(10) 단체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커넥터(10) 단체를 하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제 1 커넥터(10)는 일례로서 제 2 콘택트(30b)와 제 1 인슐레이터(20)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또한 제 1 콘택트(30a) 및 제 1 차폐 부재(4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됨으로써 얻어진다.
도 5는 도 3의 제 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제 1 인슐레이터(20) 단체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제 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제 1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좌우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20)는 큰 구성 요소로서 제 1 콘택트(30a)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부착부(21)와, 제 1 부착부(21)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제 2 콘택트(30b)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착부(22)를 갖는다. 제 1 부착부(21)는 좌우 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제 2 부착부(22)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인슐레이터(20)에서는 1쌍의 제 1 부착부(21)가 제 2 부착부(22)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1쌍의 제 1 부착부(21)와 제 2 부착부(2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착부(21)는 제 2 부착부(22)의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전후 폭을 넓히면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211)를 갖는다. 제 1 부착부(21)는 바닥판부(2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コ자형상으로 돌출되고,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212)을 갖는다. 외주벽(21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벽(212a)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제 2 벽(212b)을 포함한다.
제 1 부착부(21)는 제 1 콘택트(30a)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벽부(213)를 갖는다. 제 1 벽부(213)는 전후 방향의 외측 및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외주벽(212)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제 1 벽부(213)는 제 1 콘택트(30a)를 좌우 방향으로 끼운 상태로 제 1 부착부(21)에 있어서의 제 2 부착부(22)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1)을 기준으로 한 제 1 벽부(213)의 높이는 회로 기판(CB1)을 기준으로 한 후술하는 제 2 벽부(222b)의 높이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제 1 벽부(213)의 높이(H1)는 제 2 벽부(222b)의 높이(H2)와 동일하다. 제 1 벽부(213)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제 2 부착부(22)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와 동일하다.
제 1 부착부(21)는 제 1 벽부(213)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노치, 바닥판부(2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콘택트 유지 홈(214)을 갖는다. 제 1 콘택트 유지 홈(214)은 제 1 콘택트(30a)가 압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콘택트(30a)를 유지한다.
제 2 부착부(22)는 제 1 부착부(21)의 좌우 양측의 바닥판부(211)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221)를 갖는다. 제 2 부착부(22)는 바닥판부(2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환형상으로 돌출되고,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체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222)을 갖는다. 외주벽(22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폭 벽(222a)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길이 벽(222b)을 포함한다. 길이 벽(222b)은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제 2 벽부」에 대응한다.
제 2 벽부(222b)는 제 1 부착부(21)의 제 1 벽부(213)와 이간한다. 제 2 벽부(222b)에는 제 2 콘택트(30b)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1)을 기준으로 한 제 2 벽부(222b)의 높이는 회로 기판(CB1)을 기준으로 한 제 1 벽부(213)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 2 부착부(22)는 바닥판부(221)와 외주벽(2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감합 오목부(223)를 갖는다. 제 2 부착부(22)는 외주벽(222)의 제 2 벽부(222b)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외면 및 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 2 콘택트 유지 홈(224)을 갖는다. 제 2 콘택트 유지 홈(224)은 제 2 콘택트(30b)를 일체적으로 유지한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착부(22)는 제 2 부착부(22)에 있어서의 제 1 부착부(21)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 부재 유지 홈(225)을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 유지 홈(225)은 제 1 차폐 부재(40)가 압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차폐 부재(40)를 유지한다.
도 6은 제 1 인슐레이터(2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3의 제 1 커넥터(10)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서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콘택트(30a), 제 2 콘택트(30b), 및 제 1 차폐 부재(40)와 함께 제 1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1)의 실장 패턴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을 주로 참조하면서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콘택트(30a)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를 포함하는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1 콘택트(30a)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30a)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 1 콘택트(30a)는 전후 방향의 외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실장부(31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실장부(31a)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역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32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접속부(32a)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33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만곡부(33a)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1쌍의 접촉부(34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만곡부(33a)에 있어서의 자유단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록킹부(35a)를 갖는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30a)는 록킹부(35a)가 제 1 콘택트 유지 홈(214)에 록킹함으로써 제 1 콘택트 유지 홈(214)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0a)는 제 1 부착부(21)의 제 1 벽부(213)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30a)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1 콘택트 유지 홈(214)에 유지되면 제 1 콘택트(30a)의 실장부(31a)가 바닥판부(211)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된다.
제 2 콘택트(30b)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를 포함하는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2 콘택트(30b)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2 콘택트(30b)는 RF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 2 콘택트(30b)는 전후 방향의 외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실장부(31b)를 갖는다. 제 2 콘택트(30b)는 실장부(31b)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촉부(32b)를 갖는다. 접촉부(32b)는 전후 방향의 내면에 의해 구성되는 접촉면을 갖는다. 접촉부(32b)는 실장부(31b)보다 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택트(30b)는 접촉부(32b)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33b)를 갖는다. 제 2 콘택트(30b)는 만곡부(33b)의 자유단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접촉부(34b)를 갖는다. 제 2 콘택트(30b)는 접촉부(32b)의 접촉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5b)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30b)는 실장부(31b)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내면 전체와 제 2 콘택트 유지 홈(224)이 접면함으로써 제 2 콘택트 유지 홈(224)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제 2 콘택트(30b)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2 콘택트 유지 홈(224)에 유지되면 제 2 콘택트(30b)의 실장부(31b)의 선단은 길이 벽(222b)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차폐 부재(40)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도 7은 도 6의 제 1 차폐 부재(40)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주로 참조하면서 제 1 차폐 부재(4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1 차폐 부재(40)의 가공 방법은 펀칭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예를 들면 3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차폐 부재(40)는 제 1 인슐레이터(20),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를 사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부착되는 제 1 부재(40a)를 포함한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2 부착부(22)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부착되는 1쌍의 제 2 부재(40b)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40a)는 제 1 부착부(21)의 コ자형상의 외주벽(212)에 대하여 압입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의해 유지된다. 제 2 부재(40b)는 제 2 부착부(22)의 제 1 차폐 부재 유지 홈(225)에 대하여 압입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의해 유지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40b)는 좌우 방향의 내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실장부(41b)를 갖는다. 제 2 부재(40b)는 실장부(41b)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1 차폐부(42b)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차폐부(42b)는 제 2 부착부(22)에 있어서의 제 1 부착부(21)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차폐부(42b)는 제 1 콘택트(30a)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부재(40b)는 제 1 차폐부(42b)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노치된 노치부(43b)를 갖는다. 제 2 부재(40b)는 노치부(43b)의 전후 양측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록킹부(44b)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40b)는 록킹부(44b)가 제 1 벽부(213)에 록킹함으로써 제 1 차폐 부재 유지 홈(225)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40b)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1 차폐 부재 유지 홈(225)에 유지되면 제 2 부재(40b)의 실장부(41b)가 바닥판부(221)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된다.
제 2 부재(40b)의 제 1 차폐부(42b)는 제 1 차폐부(42b)의 좌우 방향의 외면에 있어서 전후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1쌍의 접촉부(45b)를 갖는다. 1쌍의 접촉부(45b)는 노치부(43b)를 전후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40a)는 그 상단부를 구성하는 기부(41a)를 갖는다. 제 1 부재(40a)는 기부(41a)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차폐부(42a)를 갖는다. 제 2 차폐부(42a)는 제 1 콘택트(30a)에 대하여 제 1 차폐부(42b)와 좌우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차폐부(42a)는 제 1 콘택트(30a)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부재(40a)는 기부(41a)로부터 전후 방향의 외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에 소정 폭으로 연장되는 제 3 차폐부(43a)를 갖는다. 제 3 차폐부(4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제 1 콘택트(30a)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차폐부(43a)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부재(40a)는 제 2 콘택트(30b)와 겹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인슐레이터(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차폐부(44a)를 갖는다. 외주측 차폐부(44a)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콘택트(30b)와 겹치고,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1쌍의 제 3 차폐부(43a)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40a)의 제 2 차폐부(42a), 제 3 차폐부(43a), 및 외주측 차폐부(44a)는 기부(41a)와 함께 일체적으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든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제 1 부재(40a)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45a)를 갖는다. 제 1 부재(40a)는 제 2 차폐부(42a) 전체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1 실장부(46a)와, 제 3 차폐부(43a) 전체 및 외주측 차폐부(44a)의 일부의 하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의 외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실장부(47a)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40a)는 제 1 부착부(21)의 コ자형상의 외주벽(212)에 록킹부(45a)가 록킹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40a)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유지되면 제 1 부재(40a)의 제 1 실장부(46a) 및 제 2 실장부(47a)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제 1 부재(40a)의 제 2 차폐부(42a)는 제 2 차폐부(42a)의 좌우 방향의 외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는 3개의 제 1 접촉부(48a)를 갖는다. 제 1 부재(40a)의 제 3 차폐부(43a)는 제 3 차폐부(43a)의 전후 방향의 외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는 1개의 제 2 접촉부(49a)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제 1 커넥터(10)에서는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제 1 콘택트(30a)의 실장부(31a)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제 2 콘택트(30b)의 실장부(31b)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대하여 제 1 부재(40a)의 제 1 실장부(46a) 및 제 2 실장부(47a), 및 제 2 부재(40b)의 실장부(41b)가 납땜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제 1 콘택트(30a)의 실장부(31a) 각각은 독립된 하나의 회로 패턴(P1)에 대하여 납땜된다. 예를 들면, 4개의 제 2 콘택트(30b)의 실장부(31b) 각각은 독립된 하나의 회로 패턴(P2)에 대해서 납땜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40a)의 제 1 실장부(46a) 및 제 2 실장부(47a), 및 제 2 부재(40b)의 실장부(41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접지 패턴(P3)에 대하여 납땜된다. 이에 따라 제 1 부재(40a) 및 2개의 제 2 부재(40b)는 전기적으로 1개의 차폐 부재로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제 1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실장된다.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통신 모듈 등의 제 1 커넥터(10)와는 다른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제 2 커넥터(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8~도 14를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제 2 커넥터(50) 단체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 2 커넥터(50) 단체를 하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 2 커넥터(50)의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제 2 커넥터(50)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60) 및 제 2 차폐 부재(80)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50)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제 3 콘택트(70a)를 압입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제 4 콘택트(70b)를 압입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하여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제 2 차폐 부재(80)를 압입한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6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 부재이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61)를 갖는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바닥판부(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큰 구성 요소로서 제 3 콘택트(70a)가 부착되어 있는 제 3 부착부(62)와, 제 3 부착부(62)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제 4 콘택트(70b)가 부착되어 있는 제 4 부착부(63)를 갖는다. 제 3 부착부(62)는 좌우 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제 4 부착부(63)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서는 1쌍의 제 3 부착부(62)가 제 4 부착부(63)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1쌍의 제 3 부착부(62)와 제 4 부착부(6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부착부(62)는 제 4 부착부(63)의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전후 폭으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3 부착부(62)는 바닥판부(6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는 1쌍의 제 3 벽부(621)를 갖는다. 제 3 벽부(621)에는 제 3 콘택트(70a)가 부착되어 있다. 제 3 벽부(621)는 제 3 콘택트(70a)를 전후 방향으로 끼운 상태로 제 3 부착부(62)에 있어서의 제 4 부착부(63)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벽부(621)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벽(621a)과,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벽(621b)을 포함한다. 제 2 커넥터(5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2)을 기준으로 한 제 3 벽부(621)의 높이는 회로 기판(CB2)을 기준으로 한 후술하는 제 4 벽부(631)의 높이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 3 벽부(621)의 높이(H3)는 제 4 벽부(631)의 높이(H4)와 동일하다. 제 3 벽부(621)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제 4 부착부(6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와 동일하다.
제 3 부착부(62)는 전방벽(621a)의 후면, 바닥판부(61), 및 후방벽(621b)의 전방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 3 콘택트 유지 홈(622)을 갖는다. 제 3 콘택트 유지 홈(622)은 제 3 콘택트(70a)가 압입됨으로써 상기 제 3 콘택트(70a)를 유지한다.
제 4 부착부(63)는 바닥판부(6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는 1쌍의 제 4 벽부(631)를 갖는다. 제 4 벽부(631)는 제 3 부착부(62)의 제 3 벽부(621)와 이간한다. 제 4 벽부(631)에는 제 4 콘택트(70b)가 부착되어 있다. 제 4 벽부(631)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벽(631a)과,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벽(631b)을 포함한다. 제 2 커넥터(5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2)을 기준으로 한 제 4 벽부(631)의 높이는 회로 기판(CB2)을 기준으로 한 제 3 벽부(621)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 4 부착부(63)는 바닥판부(6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감합 볼록부(632)를 갖는다. 제 4 부착부(63)는 제 4 벽부(63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내면, 바닥판부(61), 및 감합 볼록부(632)의 전후 방향의 외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을 갖는다.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은 제 4 콘택트(70b)가 압입됨으로써 상기 제 4 콘택트(70b)를 유지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바닥판부(61)의 전후 좌우의 측면의 각처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 유지부(64)를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부착부(63)는 제 4 부착부(63)에 있어서의 제 3 부착부(62)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634)을 갖는다. 제 2 차폐 부재 유지부(64) 및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634)은 제 2 차폐 부재(80)가 압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차폐 부재(80)를 유지한다.
도 12는 제 2 인슐레이터(6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8의 제 2 커넥터(50)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서는 제 2 커넥터(50)의 제 3 콘택트(70a), 제 4 콘택트(70b), 및 제 2 차폐 부재(80)와 함께 제 2 커넥터(5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2)의 실장 패턴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3은 도 12의 제 3 콘택트(70a) 및 제 4 콘택트(70b)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주로 참조하면서 제 3 콘택트(70a) 및 제 4 콘택트(70b)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콘택트(70a)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3 콘택트(70a)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3 콘택트(70a)는 전체적으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3 콘택트(70a)는 RF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 3 콘택트(70a)는 그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실장부(71a)를 갖는다. 제 3 콘택트(70a)는 실장부(71a)의 상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폭넓은 록킹부(72a)를 갖는다. 제 3 콘택트(70a)는 록킹부(72a)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각각 연장되는 1쌍의 탄성 접촉부(73a)를 갖는다. 탄성 접촉부(73a)는 전후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스프링 탄성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콘택트(70a)는 록킹부(72a)가 제 3 콘택트 유지 홈(622)에 록킹함으로써 제 3 콘택트 유지 홈(622)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제 3 콘택트(70a)는 제 3 부착부(62)의 전방벽(621a)과 후방벽(621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콘택트(70a)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3 콘택트 유지 홈(622)에 유지되면 제 3 콘택트(70a)의 실장부(71a)가 바닥판부(61)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된다.
제 4 콘택트(70b)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4 콘택트(70b)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4 콘택트(70b)는 RF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콘택트(70b)는 전후 방향의 내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실장부(71b)를 갖는다. 제 4 콘택트(70b)는 실장부(71b)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해서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72b)를 갖는다. 록킹부(72b)는 실장부(71b) 및 후술하는 만곡부(73b)보다 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4 콘택트(70b)는 록킹부(72b)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73b)와, 만곡부(73b)에 연속하는 S자형상의 탄성 접촉부(74b)와, 탄성 접촉부(74b)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75b)를 갖는다. 제 4 콘택트(70b)는 만곡부(73b)의 전후 방향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접촉부(76b)를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콘택트(70b)는 록킹부(72b)가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에 록킹함으로써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제 4 콘택트(70b)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에 유지되면 탄성 접촉부(74b)는 감합 볼록부(632)에 형성되어 있는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 4 콘택트(70b)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4 콘택트 유지 홈(633)에 유지되면 제 4 콘택트(70b)의 실장부(71b)가 바닥판부(61)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된다.
도 14는 도 12의 제 2 차폐 부재(80)만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4를 주로 참조하면서 제 2 차폐 부재(8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차 이송 금형(스탬핑)을 사용하여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2 차폐 부재(80)의 가공 방법은 펀칭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예를 들면 4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폐 부재(80)는 제 2 인슐레이터(60), 제 3 콘택트(70a), 및 제 4 콘택트(70b)를 사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부착되는 1쌍의 제 1 부재(80a)를 포함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4 부착부(63)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부착되는 1쌍의 제 2 부재(80b)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2 차폐 부재 유지부(64)에 대하여 압입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60)에 의해 유지된다. 제 2 부재(80b)는 제 4 부착부(63)의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634)에 대하여 압입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60)에 의해 유지된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80b)는 좌우 방향의 내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실장부(81b)를 갖는다. 제 2 부재(80b)는 실장부(81b)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4 차폐부(82b)를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차폐부(82b)는 제 4 부착부(63)에 있어서의 제 3 부착부(62)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 3 콘택트(7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차폐부(82b)는 제 3 콘택트(70a)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 3 콘택트(7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부재(80b)는 제 4 차폐부(82b)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노치된 노치부(83b)를 갖는다. 제 2 부재(80b)는 제 4 차폐부(82b)의 전후 양측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킹부(84b)를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80b)는 록킹부(84b)가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634)에 록킹함으로써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634)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80b)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634)에 유지되면 제 2 부재(80b)의 실장부(81b)가 바닥판부(61)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된다.
제 2 부재(80b)의 제 4 차폐부(82b)는 제 4 차폐부(82b)의 좌우 방향의 내면에 있어서 전후 양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1쌍의 접촉부(85b)를 갖는다. 1쌍의 접촉부(85b)는 노치부(83b)를 전후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는 그 좌우 방향의 단부를 구성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차폐부(81a)를 갖는다. 제 5 차폐부(81a)는 제 3 콘택트(70a)에 대하여 제 4 차폐부(82b)와 좌우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제 3 콘택트(7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5 차폐부(81a)는 제 3 콘택트(70a)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 3 콘택트(7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부재(80a)는 그 전후 방향의 단부를 구성하고, 좌우 방향에 소정 폭으로 연장되는 제 6 차폐부(82a)를 갖는다. 제 6 차폐부(82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3 콘택트(70a)와 겹치도록 제 3 콘택트(70a)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6 차폐부(82a)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3 콘택트(70a)와 겹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부재(80a)는 제 4 콘택트(70b)와 겹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제 2 인슐레이터(6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차폐부(83a)를 갖는다. 외주측 차폐부(83a)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4 콘택트(70b)와 겹치고, 좌우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6 차폐부(82a)와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의 제 5 차폐부(81a), 제 6 차폐부(82a), 및 외주측 차폐부(83a)는 일체적으로 コ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제 1 부재(80a)는 모든 제 3 콘택트(70a) 및 제 4 콘택트(70b)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제 1 부재(80a)는 제 5 차폐부(81a), 제 6 차폐부(82a), 및 외주측 차폐부(83a)의 각처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84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제 5 차폐부(81a)의 하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실장부(85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제 1 부재(80a)의 2개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실장부(86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제 6 차폐부(82a) 및 외주측 차폐부(83a)의 하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의 외측에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실장부(87a)를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2 차폐 부재 유지부(64)에 록킹부(84a)가 록킹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가 제 2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면 제 1 부재(80a)의 제 1 실장부(85a), 제 2 실장부(86a), 및 제 3 실장부(87a)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제 1 부재(80a)의 제 5 차폐부(81a)는 제 5 차폐부(81a)의 좌우 방향의 내면에 있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3개의 제 1 접촉부(88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의 제 6 차폐부(82a)는 제 6 차폐부(82a)의 전후 방향의 내면에 있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1개의 제 2 접촉부(89a)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제 2 커넥터(50)에서는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제 3 콘택트(70a)의 실장부(71a)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제 4 콘택트(70b)의 실장부(71b)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대하여 제 1 부재(80a)의 제 1 실장부(85a), 제 2 실장부(86a), 및 제 3 실장부(87a), 및 제 2 부재(80b)의 실장부(81b)가 납땜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제 3 콘택트(70a)의 실장부(71a) 각각은 독립된 하나의 회로 패턴(P4)에 대하여 납땜된다. 예를 들면, 4개의 제 4 콘택트(70b)의 실장부(71b) 각각은 독립된 하나의 회로 패턴(P5)에 대하여 납땜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80a)의 제 1 실장부(85a), 제 2 실장부(86a), 및 제 3 실장부(87a), 및 제 2 부재(80b)의 실장부(81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접지 패턴(P6)에 대하여 납땜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제 1 부재(80a) 및 2개의 제 2 부재(80b)는 전기적으로 1개의 차폐 부재로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제 2 커넥터(50)는 회로 기판(CB2)에 대하여 실장된다.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또는 메모리 등의 제 2 커넥터(50)와는 다른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도 15~도 18을 참조하면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접속하고,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서의 커넥터(1)의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커넥터(10)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대략 일치시키면서 서로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제 1 커넥터(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서로 접속되어 커넥터(1)의 접속 상태가 얻어진다. 이때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감합 오목부(223)와 제 2 인슐레이터(60)의 감합 볼록부(632)가 서로 감합한다.
도 15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6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1의 커넥터(1)를 상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2 부재(40b)가 갖는 제 1 차폐부(42b)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2 부재(80b)가 갖는 제 4 차폐부(82b)는 서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차폐부(42b)에 돌출되어 있는 접촉부(45b)가 제 4 차폐부(82b)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85b)와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부재(40a)가 갖는 제 2 차폐부(42a)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가 갖는 제 5 차폐부(81a)는 서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차폐부(42a)에 돌출되어 있는 제 1 접촉부(48a)가 제 5 차폐부(81a)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촉부(88a)와 결합한다.
감합 상태에서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차폐부(42b) 및 제 4 차폐부(82b)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에 대하여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2 차폐부(42a) 및 제 5 차폐부(81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에 대하여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제 1 차폐부(42b) 및 제 4 차폐부(82b), 및 제 2 차폐부(42a) 및 제 5 차폐부(81a)에 의해 각각 차폐되어 있다.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차폐부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도 17은 도 15의 XVII-X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의 접촉부(34a)와 제 3 콘택트(70a)의 탄성 접촉부(73a)가 접촉하고, 스프링 탄성을 갖는 탄성 접촉부(73a)가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 1 콘택트(30a)와 제 3 콘택트(70a)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에 의해 전후 양측의 2개소에서 접촉한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부재(40a)가 갖는 제 3 차폐부(43a)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가 갖는 제 6 차폐부(82a)는 서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차폐부(43a)에 돌출되어 있는 제 2 접촉부(49a)가 제 6 차폐부(82a)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촉부(89a)와 결합한다.
감합 상태에서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3 차폐부(43a) 및 제 6 차폐부(82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제 3 차폐부(43a) 및 제 6 차폐부(82a)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차폐부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도 18은 도 15의 XVIII-XV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콘택트(30b)의 돌기(35b)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4 콘택트(70b)의 접촉부(75b)를 타고 넘어 제 2 콘택트(30b)의 접촉부(32b)와 제 4 콘택트(70b)의 접촉부(75b)가 접촉한다. 이때 스프링 탄성을 갖는 탄성 접촉부(74b)가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콘택트(30b)의 접촉부(34b)와 제 4 콘택트(70b)의 접촉부(76b)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제 2 콘택트(30b)와 제 4 콘택트(70b)는 접촉부(32b) 및 접촉부(75b)에 의해, 및 접촉부(34b) 및 접촉부(76b)에 의해 2개소에서 접촉한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부재(40a)가 갖는 외주측 차폐부(44a)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가 갖는 외주측 차폐부(8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측 차폐부(44a)는 외주측 차폐부(83a)보다 전후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외주측 차폐부(83a)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감합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 있는 외주측 차폐부(44a) 및 외주측 차폐부(83a)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2b) 및 접촉부(75b), 및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b) 및 접촉부(76b)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콘택트(30b) 및 제 4 콘택트(70b)의 2개소의 접촉 부분은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외주측 차폐부(44a) 및 외주측 차폐부(83a)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제 2 콘택트(30b) 및 제 4 콘택트(70b)의 2개소의 접촉 부분은 전후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차폐부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 1 커넥터(10)에 의하면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강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제 1 인슐레이터(20)가 제 1 부착부(21) 및 제 2 부착부(22)를 갖고, 서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는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에 대하여 각각 제 1 벽부(213) 및 제 2 벽부(2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강도가 향상된다. 특히, 좌우 방향의 굽힘 모멘트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제 1 커넥터(10)로서의 강도도 향상되고, 제 2 커넥터(50)와의 감합 시 및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0)의 파손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10)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1 벽부(213) 및 제 2 콘택트(30b)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2 벽부(222b)가 서로 이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벽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와 비교해서 제 1 인슐레이터(20)에 있어서의 벽부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 대한 경박단소화의 요구에 맞춰 제 1 인슐레이터(20)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제 1 커넥터(10)가 소형화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끼리를 소형화된 제 1 커넥터(10) 내에서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 및 저배화에 대응한 제 1 커넥터(10)에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종류의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가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커넥터(10)는 상이한 종류의 회로에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 대한 다기능화의 요구에 맞춰 제 1 커넥터(10)가 복수의 기능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CB1)을 기준으로 한 제 1 벽부(213)의 높이(H1)가 회로 기판(CB1)을 기준으로 한 제 2 벽부(222b)의 높이(H2)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제 1 벽부(213)가 제 2 벽부(222b)보다 낮은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부착부(21)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강도 및 제 1 커넥터(10)로서의 강도도 향상된다. 제 1 커넥터(10)의 좌우 방향에 대한 굽힘 모멘트 및 제 1 커넥터(10)의 주면에 대한 트위스팅 힘이 가해져도 제 1 부착부(21)와 제 2 부착부(22)의 접속부가 평탄하기 때문에 노치 효과에 의한 파단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제 1 벽부(213)가 제 1 콘택트(30a)를 좌우 방향으로 끼운 상태로 제 1 부착부(21)에 있어서의 제 2 부착부(22)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벽부(213)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강도 및 제 1 커넥터(10)로서의 강도도 향상된다.
제 1 차폐 부재(40)가 제 1 차폐부(42b)를 가짐으로써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최근, 전자 기기에서는 정보량의 증가 또는 통신 속도의 고속화에 의한 고주파화가 현저하게 진행되어 있으며, 기기 내의 노이즈 대책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한편, 최근 전자 기기는 소형화가 진행되어 있으며, 전자 기기 내에 실장되는 커넥터 자체에도 저배화를 비롯한 소형화가 요구된다. 그래서 소형화한 커넥터에 있어서도 커넥터 단자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충분한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는 것이 요구된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 1 커넥터(10)는 이러한 요구도 충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차폐부(42b)는 제 1 콘택트(30a)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1 콘택트(30a)를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차폐한다. 이에 따라 제 1 콘택트(30a)가 제 2 콘택트(30b)군에 대하여 차폐되고, 제 1 콘택트(30a)에 대한 제 2 콘택트(30b)군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입 및 제 1 콘택트(30a)로부터 제 2 콘택트(30b)군으로의 노이즈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차폐 부재(40)가 제 2 차폐부(42a)를 가짐으로써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제 2 차폐부(42a)는 제 1 콘택트(30a)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1 콘택트(30a)를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차폐한다. 이에 따라 제 1 콘택트(30a)가 좌우 방향의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고, 제 1 콘택트(30a)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입 및 제 1 콘택트(30a)로부터 외부로의 노이즈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차폐 부재(40)가 제 3 차폐부(43a)를 가짐으로써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제 3 차폐부(43a)는 제 1 콘택트(30a)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제 1 콘택트(30a)와 겹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1 콘택트(30a)를 전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차폐한다. 이에 따라 제 1 콘택트(30a)가 전후 방향의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고, 제 1 콘택트(30a)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입 및 제 1 콘택트(30a)로부터 외부로의 노이즈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차폐 부재(40)가 제 1 차폐부(42b), 제 2 차폐부(42a), 및 제 3 차폐부(43a)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콘택트(30a)가 4방향으로부터 차폐되어 제 1 콘택트(30a)에 대한 노이즈의 유입 및 제 1 콘택트(30a)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보다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차폐 부재(40)가 외주측 차폐부(44a)를 가짐으로써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외주측 차폐부(44a)는 제 2 콘택트(30b)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콘택트(30b)와 겹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2 콘택트(30b)를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차폐한다. 이에 따라 제 2 콘택트(30b)가 전후 방향의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어 제 2 콘택트(30b)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입 및 제 2 콘택트(30b)로부터 외부로의 노이즈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벽부(213)의 폭 방향의 위치가 제 2 부착부(2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와 동일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를 폭 방향에 대칭적으로 또한 폭을 줄여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인슐레이터(20)의 면적 절약화가 실현되어 제 1 커넥터(1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대응한 최근 통신 단말에서는 통신 전파의 지향성에 의해 안테나를 배치하는 개소 및 방향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공간 절약화를 위해 통신 단말에 내장되는 커넥터의 소형화가 요구되어 있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 1 커넥터(10)는 이러한 요구도 충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벽부(213)가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는 것, 즉 폭 방향에 선대칭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제 1 벽부(213)에 위치 결정되어 부착된 제 1 콘택트(30a)로부터 방출된 자계에 의한 리턴 패스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리턴 패스의 흐름이 균일해지며, 코먼 모드 노이즈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
제 1 커넥터(10)가 서로 상이한 종류의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를 가짐으로써 제 1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1)과 회로 기판(CB2) 사이에서 여러 가지 종류의 신호를 전송 가능하다. 복수의 제 2 콘택트(30b)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2 부착부(22)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1 부착부(21)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콘택트(30a)와 이간한다. 제 2 콘택트(30b)를 제 1 커넥터(10) 내에서 제 1 콘택트(30a)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콘택트(30b)는 독립된 차폐 부재를 사용하여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차폐 부재를 설치하는 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 2 콘택트(30b)를 다방향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제 1 콘택트(30a)가 RF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하고, 제 2 콘택트(30b)가 RF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한다. 고주파 통신용의 제 1 콘택트(30a)와 다른 용도의 제 2 콘택트(30b)를 제 1 차폐부(42b)를 통해 이간시킴으로써 고주파 통신용의 RF 신호에 기인하는 노이즈가 차폐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콘택트(30a)로부터 제 2 콘택트(30b)로의 상기 노이즈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제 1 커넥터(10)에 관한 효과의 설명은 제 1 커넥터(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제 2 커넥터(50)가 대응하는 구성부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 2 커넥터(50)도 상기 제 1 커넥터(10)에 관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를 갖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도 상기 제 1 커넥터(10)에 관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에서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차폐부(42b) 및 제 4 차폐부(82b)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차폐부(42b)와 제 4 차폐부(82b)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예를 들면 접지 패턴에 의거하여 회로 기판(CB1)과 회로 기판(CB2) 사이를 흐르는 신호의 전송 거리가 단축된다. 제 1 차폐부(42b) 및 제 4 차폐부(82b)가 서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 2 부재(40b)의 실장부(41b)와 제 2 부재(80b)의 실장부(81b)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고, 또한 충분한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2 차폐부(42a) 및 제 5 차폐부(81a)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3 차폐부(43a) 및 제 6 차폐부(82a)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34a) 및 탄성 접촉부(73a)는 전후 좌우의 4방향 각각으로부터 차폐부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콘택트(30a) 및 제 3 콘택트(70a)에 대한 노이즈의 유입 및 제 1 콘택트(30a) 및 제 3 콘택트(70a)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보다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콘택트(30b) 및 제 4 콘택트(70b)의 2개소의 접촉 부분은 전후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서로 겹쳐 있는 외주측 차폐부(44a) 및 외주측 차폐부(83a)의 2중 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노이즈 차폐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제 2 콘택트(30b) 및 제 4 콘택트(70b)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유입 및 제 2 콘택트(30b) 및 제 4 콘택트(70b)로부터 외부로의 노이즈의 유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보다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은 예시적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상기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조립 방법은 상기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조립 방법은 각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10)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 및 제 1 차폐 부재(40)의 적어도 일방이 압입이 아니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10)에 있어서 제 2 콘택트(30b)가 인서트 성형이 아니라 압입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커넥터(50)에 있어서 제 3 콘택트(70a), 제 4 콘택트(70b), 및 제 2 차폐 부재(80)의 적어도 1개가 압입이 아니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6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콘택트(30b)는 제 1 콘택트(30a)와 상이하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콘택트(30b)는 제 1 콘택트(30a)와 동일해도 좋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30b)을 통해 동일한 회로에 접속되어도 좋고, 상이한 종류의 회로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벽부(213)의 높이(H1)는 제 2 벽부(222b)의 높이(H2)와 동일하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벽부(213)의 높이(H1)는 제 2 벽부(222b)의 높이(H2)와 상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벽부(213)는 제 2 벽부(222b)보다 한층 낮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벽부(213)는 제 1 콘택트(30a)를 좌우 방향으로 끼운 상태로 제 1 부착부(21)에 있어서의 제 2 부착부(22)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벽부(213)는 제 1 부착부(21)에 있어서의 제 2 부착부(22)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벽부(213)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일부에 있어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애초에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 1 벽부(213)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3 벽부(621)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는 1쌍의 벽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10)는 제 1 차폐 부재(40)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차폐 부재(40)를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는 제 1 차폐부(42b), 제 2 차폐부(42a), 제 3 차폐부(43a), 및 외주측 차폐부(44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제 1 차폐부(42b), 제 2 차폐부(42a), 제 3 차폐부(43a), 및 외주측 차폐부(44a) 중 적어도 1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는 전후 방향의 양측에 제 3 차폐부(43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편측에만 제 3 차폐부(43a)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는 제 1 부재(40a) 및 제 2 부재(40b)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2개의 부재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방향은 제 1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이며, 제 2 방향은 제 1 커넥터(10)의 폭 방향이라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방향이 제 1 커넥터(10)의 폭 방향이며, 제 2 방향이 제 1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벽부(213)의 폭 방향의 위치는 제 2 부착부(2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벽부(213)의 폭 방향의 위치는 제 2 부착부(2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 이외의 위치와 동일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2 부재(40b)는 노치부(43b)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부재(40b)는 노치부(43b)를 갖지 않아도 좋다. 이때 제 1 차폐부(42b)는 하나의 평판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노이즈 차폐 효과가 더 향상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40a)의 기부(41a)에 대하여 제 2 차폐부(42a) 및 제 3 차폐부(43a)가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부재(40a)는 제 2 차폐부(42a) 및 제 3 차폐부(43a)에 추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기부(41a)의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가져도 좋다. 이에 따라 노이즈 차폐 효과가 더 향상된다. 이러한 연장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스프링 탄성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연장부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차폐 부재(80)의 임의의 구성부와 접촉해도 좋다.
이상의 제 1 커넥터(10)에 관한 변형예의 설명은 제 1 커넥터(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제 2 커넥터(50)가 대응하는 구성부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 2 커넥터(50)도 상기 제 1 커넥터(10)에 관한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변형예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또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를 갖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도 상기 제 1 커넥터(10)에 관한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변형예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3 벽부(621)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는 1쌍의 전방벽(621a) 및 후방벽(621b)을 포함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벽부(621)는 제 1 벽부(213)와 마찬가지로 제 3 콘택트(70a)를 좌우 방향으로 끼운 상태로 제 3 부착부(62)에 있어서의 제 4 부착부(63)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벽부(621)는 제 3 부착부(62)에 있어서의 제 4 부착부(63)측의 일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벽부(621)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일부에 있어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애초에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60)의 감합 볼록부(632)는 전체적으로 노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인슐레이터(60)의 감합 볼록부(632)는 감합 볼록부(632)의 외형에 적합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재료의 임의의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어도 좋다. 이러한 부재는 감합 볼록부(632)의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감합 볼록부(632)의 중앙 부분에서 좌우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감합 볼록부(632)의 강도가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제 2 인슐레이터(60)의 강도도 향상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부(42b)와 제 4 차폐부(82b)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차폐부(42b)와 제 4 차폐부(82b)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부(42a)와 제 5 차폐부(81a)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차폐부(42a)와 제 5 차폐부(81a)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차폐부(43a)와 제 6 차폐부(82a)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차폐부(43a)와 제 6 차폐부(82a)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실장부의 실장 패턴은 상기 설명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실장부는 대응하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있어서 임의의 실장 패턴으로 실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 제 1 커넥터(10), 또는 제 2 커넥터(50)는 회로 기판(CB1) 및 회로 기판(CB2)을 포함한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임의의 통신 단말 기기, 퍼스널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 처리 기기를 포함한다. 그 외 전자 기기는 임의의 산업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커넥터(1)에 있어서 콘택트가 복수 부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커넥터(1)의 강도가 향상되고, 커넥터(1)의 파손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전자 기기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커넥터(1)에 있어서 양호한 노이즈 차폐 효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송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1: 커넥터(커넥터 모듈) 10: 제 1 커넥터(커넥터)
20: 제 1 인슐레이터(인슐레이터) 21: 제 1 부착부
211: 바닥판부 212: 외주벽
212a: 제 1 벽 212b: 제 2 벽
213: 제 1 벽부 214: 제 1 콘택트 유지 홈
22: 제 2 부착부 221: 바닥판부
222: 외주벽 222a: 폭 벽
222b: 길이 벽(제 2 벽부) 223: 감합 오목부
224: 제 2 콘택트 유지 홈 225: 제 1 차폐 부재 유지 홈
30a: 제 1 콘택트 30b: 제 2 콘택트
31a: 실장부 31b: 실장부
32a: 접속부 32b: 접촉부
33a: 만곡부 33b: 만곡부
34a: 접촉부 34b: 접촉부
35a: 록킹부 35b: 돌기
40: 제 1 차폐 부재(차폐 부재) 40a: 제 1 부재
40b: 제 2 부재 41a: 기부
41b: 실장부 42a: 제 2 차폐부
42b: 제 1 차폐부 43a: 제 3 차폐부
43b: 노치부 44a: 외주측 차폐부
44b: 록킹부 45a: 록킹부
45b: 접촉부 46a: 제 1 실장부
47a: 제 2 실장부 48a: 제 1 접촉부
49a: 제 2 접촉부 50: 제 2 커넥터(커넥터)
60: 제 2 인슐레이터(인슐레이터) 61: 바닥판부
62: 제 3 부착부(제 1 부착부) 621: 제 3 벽부(제 1 벽부)
621a: 전방벽 621b: 후방벽
622: 제 3 콘택트 유지 홈 63: 제 4 부착부(제 2 부착부)
631: 제 4 벽부(제 2 벽부) 631a: 전방벽
631b: 후방벽 632: 감합 볼록부
633: 제 4 콘택트 유지 홈 634: 제 2 차폐 부재 유지 홈
64: 제 2 차폐 부재 유지부 70a: 제 3 콘택트(제 1 콘택트)
70b: 제 4 콘택트(제 2 콘택트) 71a: 실장부
71b: 실장부 72a: 록킹부
72b: 록킹부 73a: 탄성 접촉부
73b: 만곡부 74b: 탄성 접촉부
75b: 접촉부 76b: 접촉부
80: 제 2 차폐 부재(차폐 부재) 80a: 제 1 부재
80b: 제 2 부재 81a: 제 5 차폐부(제 2 차폐부)
81b: 실장부 82a: 제 6 차폐부(제 3 차폐부)
82b: 제 4 차폐부(제 1 차폐부) 83a: 외주측 차폐부
83b: 노치부 84a: 록킹부
84b: 록킹부 85a: 제 1 실장부
85b: 접촉부 86a: 제 2 실장부
87a: 제 3 실장부 88a: 제 1 접촉부
89a: 제 2 접촉부 CB1: 회로 기판
CB2: 회로 기판 H1, H2, H3, H4: 높이
P1, P2, P4, P5: 회로 패턴 P3, P6: 접지 패턴

Claims (12)

  1.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1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착부를 갖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착부는 상기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벽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이간하고, 상기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벽부를 갖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는 상기 커넥터의 제 1 방향의 외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부착부측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타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제 1 콘택트와 상이한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부착부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콘택트와 겹치도록 상기 커넥터의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부를 갖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 1 콘택트에 대하여 상기 제 1 차폐부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콘택트와 겹치도록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차폐부를 갖는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와 겹치도록 상기 제 1 콘택트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차폐부를 갖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 3 차폐부와 연결하고, 상기 제 2 콘택트와 겹치도록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차폐부를 갖는 커넥터.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폭 방향이며,
    상기 제 1 벽부의 상기 폭 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 2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와 동일한 커넥터.
  9. 제 1 콘택트와,
    제 2 콘택트와,
    상기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1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착부를 갖는 제 1 인슐레이터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제 2 커넥터이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접속하는 접속 상태로 상기 제 1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3 콘택트와,
    상기 접속 상태로 상기 제 2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4 콘택트와,
    상기 접속 상태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감합하고, 상기 제 3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3 부착부와, 상기 제 3 부착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4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4 부착부를 갖는 제 2 인슐레이터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착부는 상기 제 1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벽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이간하고, 상기 제 2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벽부를 갖고,
    상기 제 3 부착부는 상기 제 3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3 벽부를 갖고,
    상기 제 4 부착부는 상기 제 3 벽부와 이간하고, 상기 제 4 콘택트가 부착되어 있는 제 4 벽부를 갖는 커넥터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부착부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콘택트와 겹치도록 상기 커넥터 모듈의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부를 갖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제 4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부착부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콘택트와 겹치도록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차폐부를 갖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부와 상기 제 4 차폐부는 서로 접촉하는 커넥터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또는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RF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콘택트는 RF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콘택트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227023310A 2020-01-29 2021-01-22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 KR20220109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2331 2020-01-29
JP2020012331A JP2021118145A (ja) 2020-01-29 2020-01-29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PCT/JP2021/002162 WO2021153435A1 (ja) 2020-01-29 2021-01-22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461A true KR20220109461A (ko) 2022-08-04

Family

ID=7707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310A KR20220109461A (ko) 2020-01-29 2021-01-22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64606A1 (ko)
EP (1) EP4099508A4 (ko)
JP (2) JP2021118145A (ko)
KR (1) KR20220109461A (ko)
CN (1) CN115039288A (ko)
TW (1) TWI780583B (ko)
WO (1) WO20211534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1843B2 (ja) * 2003-01-22 2010-02-10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2736999Y (zh) * 2004-09-23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5825477B2 (ja) * 2011-08-18 2015-12-02 Smk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
TWM497353U (zh) * 2014-08-20 2015-03-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電連接器及其組合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WO2018025873A1 (ja) * 2016-08-04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07218B2 (ja) * 2016-11-18 2021-01-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925883B2 (ja) *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635242B1 (ja) * 2018-06-27 2020-01-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6898890B2 (ja) 2018-07-20 2021-07-07 株式会社奥村組 シールド掘削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9508A1 (en) 2022-12-07
JP2021118145A (ja) 2021-08-10
TWI780583B (zh) 2022-10-11
CN115039288A (zh) 2022-09-09
EP4099508A4 (en) 2024-02-28
WO2021153435A1 (ja) 2021-08-05
JP2023160933A (ja) 2023-11-02
US20230064606A1 (en) 2023-03-02
TW202139533A (zh) 202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351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CN110299635B (zh) 连接器以及电子设备
JP6408106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14830453A (zh) 连接器及电子设备
WO2019171973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23026504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6450496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220109461A (ko)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 기기
JP2019160489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14830449B (zh) 连接器以及电子设备
JP741820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20230006376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2219653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4019021A1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23243443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