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266A - 출몰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출몰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266A
KR20220109266A KR1020210044555A KR20210044555A KR20220109266A KR 20220109266 A KR20220109266 A KR 20220109266A KR 1020210044555 A KR1020210044555 A KR 1020210044555A KR 20210044555 A KR20210044555 A KR 20210044555A KR 20220109266 A KR20220109266 A KR 2022010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haft
annular elastic
central cor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아이하라
다카유키 다구치
Original Assignee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필기 동작에 따른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축통(10) 내에, 전단에 필기부(21)를 가지는 중앙심(20)과, 중앙심(20)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30)와, 중앙심(20)을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 부재(41)와, 수용 부재(41)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축통(10)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한 회전자(42)와, 회전자(42)에 상대하여 수용 부재(41)를 부세 부재(30)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전방으로 탄발하는 환상 탄발 부재(43)를 구비하고, 회전자(42)를 부세 부재(30)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시켜 축통(10)에 계지함으로써 필기부(21)를 돌출시켜 그 돌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수용 부재(41)는, 중앙심(20)의 후단을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41a)와, 이 수용부(41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축부(41b)를 일체로 구비하고, 환상 탄발 부재(43)는, 축부(41b)에 대하여 환상으로 장착되며, 회전자(42)는, 축부(41b)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Description

출몰식 필기구{RETRACTABLE WRITING UTENSIL}
본 발명은, 노크 조작에 의하여 축통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필기부를 출몰하도록 한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발명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축통 내에, 상기 축통의 전단으로부터 출몰하는 필기체와, 상기 필기체를 후방으로 부세(付勢)하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필기체를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여 수축하는 제2 스프링과, 필기체후퇴 측의 통상 부분 및 제2 스프링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끼워 맞추어진 회전자를 구비하고, 전진했을 때의 상기 회전자를 축통에 계지(係止)하여, 상기 필기체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조출(繰出)식 필기구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제2 스프링을 내장한 것에 의하여 쿠션 효과가 얻어져, 장시간의 필기로 인한 피로 방지, 또는 낙하 등의 충격의 완화에 의한 펜끝부의 보호 및 구조의 간단화 등의 효과도 초래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60-157284호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필기체의 심 어긋남이나 휨 등에 기인하여, 제2 스프링에 의한 쿠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축통 내에, 전단에 필기부를 가지는 중앙심과, 상기 중앙심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와, 상기 중앙심을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상기 축통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상대하여 상기 수용 부재를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전방으로 탄발하는 환상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를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시켜 상기 축통에 계지함으로써 상기 필기부를 돌출시켜 그 돌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중앙심의 후단을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환상 탄발 부재는, 상기 축부에대하여 환상으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축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기 동작에 따른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필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全)단면도이고, (a)는 필기부를 몰입시킨 상태, (b)는 필기부를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동 필기구의 회전자유닛을 나타내는 반(半)단면도이다.
도 3은 동 회전자 유닛에있어서, (a)는 수용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용 부재가 후퇴하여 회전자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회전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축통에 대하여 회전자유닛을 장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축통은 전단면도, 회전자 유닛은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제1 특징은, 축통 내에, 전단에 필기부를 가지는 중앙심과, 상기 중앙심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와, 상기 중앙심을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상기 축통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상대하여 상기 수용 부재를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전방으로 탄발하는 환상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를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시켜 상기 축통에 계지함으로써 상기 필기부를 돌출시켜 그 돌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중앙심의 후단을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환상 탄발 부재는, 상기 축부에 대하여 환상으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축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도 1∼도 5 참조).
제2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자는, 대경부와 그 대경부의 후단 측에서 내주면을 축경(縮徑)한 소경부를 가지는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에 의하여 상기 환상 탄발 부재의 주위를 덮음과 함께, 상기 소경부에 의하여 상기 환상 탄발 부재의 후단을 수용하고 있다(도 2 참조).
제3 특징으로서, 상기 축부는, 상기 환상 탄발 부재를 관통함과 함께, 상기 환상 탄발 부재보다 후측에, 상기 소경부에 마련된 피계합(被係合)부에 대하여 소정량 진퇴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진다(도 2 참조).
제4 특징으로서, 상기 피계합부가 관통상의 원형 구멍이고, 상기 계합부보다 후측의 외주부에는, 상기 원형 구멍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원형 구멍을 빠져 나가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함과 함께 상기 원형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원형 구멍을 빠져 나가는 유삽부(遊揷部)가 마련된다(도 2 및 도 4 참조).
제5 특징으로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제6 특징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에는, 상기 환상 탄발 부재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환상 탄발 부재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가 있다(도 2 참조).
제7 특징으로서, 상기 수용 부재가,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제8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자가, 상기 축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분리되지 않도록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수용 부재와, 상기 회전자와, 상기 환상 탄발 부재가, 일체적인 회전자유닛을 구성하고 있다(도 2 및 도 5 참조).
<구체적 실시형태>
다음으로, 상기 특징을 가지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 축통 축방향이란 축통의 중심선이 뻗어 있는 방향을 의미하고, 축통 둘레 방향이란 축통 중심선의 주위를 도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이란, 축통 축방향의 일방 측이며 필기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란, 상기 일방 측에 대한 반대 방향 측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축통 직경 방향이란 축통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축통의 직경 방향을 의미하고, 축통 직경 방향 외측이란 축통 직경 방향을 따라 축통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축통 직경 방향 내측이란 축통 직경 방향을 따라 축통 중심을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중앙심직경 방향이란 중앙심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중앙심의 직경 방향을 의미하고, 중앙심직경 방향 외측이란 중앙심 직경 방향을 따라 중앙심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중앙심직경 방향 내측이란 중앙심 직경 방향을 따라 중앙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출몰식 필기구(A)는, 축통(10)과, 축통(10) 내에 수용됨과 함께 전단에 필기부(21)를 가지는 중앙심(20)과, 축통(10) 내에서중앙심(20)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30)와, 축통(10) 내에서 중앙심(20)을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회전자 유닛(40)과, 회전자 유닛(4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계탈(係脫) 가능하며 후단 측을 축통(10) 내로부터 축통(10) 밖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노크체(50)를 구비하고, 회전자 유닛(40)의 회전자(42)를 부세 부재(30)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시켜 축통(10)의 내주면에 계지함으로써 필기부(21)를 축통(1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시켜 그 돌출 상태를 유지한다.
축통(10)은, 단수 또는 복수의 통상 부재로부터 전후 방향에 걸친 장척 통상으로 구성된다. 도시예의 축통(10)은, 끝이 좁아지는 통상의 선구부(先口部)(11)와, 이 선구부(11)를 전단 측에 나사결합 접속한 통상의 전축(12)과, 이 전축(12)을 전단 측에 나사결합 접속한 통상의 후축(13)으로 일체의 장척 대략 통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14는, 전축(12)의 외주부에 끼워 맞추어진 통상의 탄성 그립, 부호 15는, 후축(13)의 후단 측에서 개폐하는 클립이다.
선구부(11)의 내주면에는, 부세 부재(30)의 전단부를 계지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하여 축경된환상의 단부(段部)(11a)가 마련된다.
후축(13)의 내주면의 후단 측에는, 회전자(42)를 회전 불가능하게 진퇴시키는 슬라이드 홈(13a)이나, 전진했을 때의 회전자(42)를 회전시켜 계지하는 캠 경사면 및 계지면(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된다. 이들 구성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49787호에 기재된 구조를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축(13)의 내주면에 있어서, 슬라이드 홈(13a) 및 상기 캠 경사면 등보다 전측에는, 조립 작업 시에 회전자 유닛(40)을 후방으로 넘어 감합하기 위한 넘음 감합 돌기(13b)가 마련된다(도 5 참조).
이 넘음 감합 돌기(13b)는, 축통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각 넘음 감합 돌기(13b)는, 종단면 대략 산형상의 돌기이다.
중앙심(20)은, 도시예에 의하면, 볼펜용 리필이며, 장척 원통상의 잉크 탱크(22)의 전단에, 볼펜 팁인 필기부(21)를 접속하고 있다.
이 중앙심(20)의 다른 예로서는, 샤프펜슬용 리필이나, 전자 기기용의 입력 펜(스타일러스 펜)을 구성하는 리필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중앙심(20)의 외주면의 전단 측에는, 전방을 향하여 축경하는 단부(23)가 마련된다. 이 단부(23)는, 부세 부재(30)의 후단에 맞닿아, 부세 부재(30)의 후방으로의 부세력(탄발력)을 수용하고 있다.
부세 부재(30)는, 도시예에 의하면, 환상 탄발 부재이고, 그 전단부를 축통(10) 내의 단부(11a)에 맞댐과 함께, 후단부를 중앙심(20)의 단부(23)에 맞대어, 중앙심(20) 및 회전자 유닛(40)을 후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또한, 부세 부재(30)의 다른 예로서는, 중앙심(20)을 후방으로 당기도록 한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자 유닛(40)은, 중앙심(20)을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 부재(41)와, 수용 부재(41)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축통(10)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한 회전자(42)와, 회전자(42)에 상대하여 수용 부재(41)를 부세 부재(30)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전방으로 탄발하는 환상 탄발 부재(43)를 구비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이 회전자 유닛(40)은, 부세 부재(30)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했을 때에, 축통(10) 내면에 계지함으로써 필기부(21)를 돌출 상태로 유지한다.
수용 부재(41)는, 회전자(42)에 대하여, 소정량 진퇴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수용 부재(41)는, 중앙심(20)의 후단을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얇은 원기둥상의 수용부(41a)와, 이 수용부(41a)의 후단면중앙 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축부(41b)와, 축부(41b)의 주위에 있어서 수용부(41a)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41c)를 일체로 가진다.
축부(41b)는, 환상 탄발 부재(43)를 관통하는 장척 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회전자(4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1) 및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계합부)를 가진다.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1)는, 환상 탄발 부재(43)보다 전측(도 2에 의하면 좌측)에 위치하는 원통상의 면이며, 회전자(42)를 소정량 진퇴시키도록, 그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축부(41b)에 있어서의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1)보다 후측은, 단부(41b2)를 개재하여 소경으로 형성된다. 단부(41b2)는, 환상 탄발 부재(43)의 전단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축부(41b)에 있어서, 단부(41b2)보다 후측의 소경 부분(41b3)은, 환상 탄발 부재(43)에 삽통(揷通)된다. 그리고, 이 소경 부분(41b3)에 있어서, 환상 탄발 부재(43)보다 후측에는, 회전자(42)의 피계합부(42b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가 마련된다.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는, 소경 부분(41b3)의 외주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오목하게 한 오목부이다. 이 환상의 오목부의 바닥면은,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이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는, 회전자(42)를 소정량 진퇴시키도록 그 전후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고, 회전자(42)의 피계합부(42b1)에 대하여 소정량진퇴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축부(41b)에 있어서,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계합부)보다 후측의 외주부에는, 피계합부(42b1)(원형 구멍)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이 피계합부(42b1)를 빠져 나가도록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원호상으로 돌출되는 압입부(41b32)가 마련된다. 또한, 축부(41b)에 있어서, 압입부(41b32)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분에는, 피계합부(42b1)(원형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고 이 피계합부(42b1)를 관통하는 평면상의 유삽부(41b33)가 마련된다.
압입부(41b32)는, 중심축을 사이에두고 대칭으로 2개 마련된다. 이들 압입부(41b32, 41b32)의 외경은, 피계합부(42b1)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유삽부(41b33)는,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략 평행하게 2개 마련된다.
또한, 압입부(41b32) 및 유삽부(41b33)는, 단수나, 3개 이상 등, 도시예 이외의 수로 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형상의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41c)는, 수용부(41a)의 후단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이들 복수의 돌기부(41c)는, 수용 부재(41)가 회전자(42)에 상대하여 후퇴했을 때에, 회전자(42)의 전단면에 맞닿는다(도 3 참조).
회전자(42)는, 축부(41b)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분리되지 않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회전자(42)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대경부(42a)와, 대경부(42a)의 후단 측에서 내주면 및 외주면을 축경한 소경부(42b)를 가진다.
대경부(42a)는,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1)로부터 환상 탄발 부재(43)에 걸쳐 그 주위를 덮는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이 대경부(42a) 내주면의 전단 측은, 수용 부재(41)가 회전자(42)에 상대하여 진퇴할 때에,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소경부(42b)는, 그 내경이, 환상 탄발 부재(43)의 외경보다 작은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이 소경부(42b)의 후단 측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환상으로 돌출되는 피계합부(42b1)가 마련된다. 이 피계합부(42b1)의 내주면은, 원형상의 관통 구멍이다.
이 피계합부(42b1)는,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계합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소정량 진퇴하도록,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를 구성하는 오목상 부분보다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게 설정된다.
또 회전자(42)의 외주 측에는, 축통(10)의 슬라이드 홈(13a)에 끼워져 전후로 안내되도록 전후 방향에 걸친 돌조(突條)(42c)나, 이 돌조(42c)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노크체(50)의 캠 경사면(51)이나 축통(10)의 상기 캠 경사면(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경사면(42d) 등이 마련된다.
환상 탄발 부재(43)는, 축부(41b)와 회전자(42)의 사이의 통상 공간에 수납되고, 전단부를 단부(41b2)에 맞댐과 함께 후단부를 소경부(42b) 전단면에 맞대어, 회전자(42)에 상대하여 수용 부재(41)를 전방으로 탄발하고 있다.
도시예의 환상 탄발 부재(43)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이 환상 탄발 부재(43)의 부세력(탄발력)은, 부세 부재(30)의 부세력보다 크다.
또한, 환상 탄발 부재(43)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고무 등, 스프링 이외의 탄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크체(50)는, 후방으로부터 노크 조작되는 봉상의 부재이다.
이 노크체(50)는, 전단면을 개구하고 또한 후단면을 폐쇄한 대략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단면에, 회전자(42)의 캠 경사면(42d)에 슬라이딩 접촉시키기 위한 캠 경사면(5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동 노크체(50)의 외주면에는, 축통(10) 내의 슬라이드 홈(13a)에 계합하여 진퇴하는 계합 돌기(52)가 마련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이 노크체(50)를, 원통상 부재와, 이 원통상부재의 후단을 폐쇄하는 부재의 2 부재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 노크체(50)의 다른 예로서는, 일체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양태나, 3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양태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내는 일례에 의하면, 필기부(21)의 돌출 상태에 있어서, 노크체(50)는, 회전자 유닛(40)보다 후측의 공간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지만, 다른 예로서는, 노크체(50)를 도시하지 않은 부세 부재 등에 의하여 전후 어느 쪽에 근접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출몰식필기구(A)에 대하여, 그 특징적인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기 상태(도 1의 (a) 참조)에 있어서 노크체(50)가 전방으로 눌려 작동되면, 노크체(50)의 계합 돌기(52), 축통(10)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홈(13a)과 도시하지 않은 캠 경사면 및 계지면, 회전자(42)의 돌조(42c) 및 캠 경사면(42d) 등의 작용에 의하여, 중앙심(20)이 소정량 전진하고 필기부(21)를 축통(10) 전단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도 1의 (b) 참조)로 유지된다. 이들 작용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49787호 등에 기재되는 구조의 것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외부 조작에 의하여 회전자유닛(40)을 소정량 전진시켜 계지하는 기구는, 상술한 구성 이외의 것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필기부(21)의 돌출 상태에 있어서, 축통(10)이 필기자 등에게 파지되어 필기가 행해지면, 그 필기 동작 중의 진동이나 충격은, 환상 탄발 부재(43)에 흡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심(20)의 후단은 수용 부재(41)의 전단면에 의하여 수용되고 있기 때문에, 필기부(21)가 피필기면(예를 들면 지면 등)에 눌리거나 하여, 필기부(21)에 부세 부재(30)의 부세력보다 큰 후방으로의 압압력이 가해지면, 중앙심(20) 및 수용 부재(41)가, 환상 탄발 부재(43)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즉, 수용 부재(41)의 돌기부(41c) 후단과 회전자(42) 전단의 사이의 치수 W(도 2 및 도 3 참조)가 작아진다.
이 후, 상기 압압력이 해제되면, 중앙심(20) 및 수용 부재(41)가, 환상 탄발 부재(43)의 탄발력에 의하여 전진한다. 즉, 이 전진에 의하여, 수용 부재(41)의 돌기부(41c) 후단과 회전자(42) 전단의 사이의 치수 W가 커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필기 중, 필기부(21)를 피필기면에 대하여 누르거나 떨어뜨리거나 하는 동작의 반복 등에 의하여, 축통 축방향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진동을, 축부(41b) 주위의 통상 공간 내에서 신축하는 환상 탄발 부재(43)의 탄성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수용 부재(41)는, 상기 진동 시,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1)와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41b31)의 전후 2개소를 회전자(42)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덜컹이는 일 없이 매끄럽게 전후 미동한다. 또한, 수용 부재(41)는 회전자(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출몰식 필기구(A)에 의하면, 필기 동작에 따라 중앙심(20)의 진동이나 충격이 축통(10)에 전달되는 것을, 중앙심의 심 어긋남이나 휨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필기자에 대하여 소프트한 필기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몰식 필기구(A)의 제조상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자 유닛(40)을 조립할 때, 수용 부재(41)의 축부(41b)에 환상 탄발 부재(43)가 환상으로 장착되고, 이들 축부(41b) 및 환상 탄발 부재(43)를 덮도록 하여 회전자(42)가 장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부(41b)는, 전단 측의 압입부(41b32) 및 유삽부(41b33)를, 환상 탄발 부재(43)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원형 구멍상의 피계합부(42b1)에 압입하여 관통시킨다.
이때, 원호상의 압입부(41b32)가 피계합부(42b1)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데, 평면상의 유삽부(41b33)는 피계합부(42b1) 내주면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압입력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다.
그리고, 압입부(41b32)가 피계합부(42b1)를 후방으로 빠져 나간 후에는, 압입부(41b32)의 후단부가, 원형 구멍상의 피계합부(42b1)의 전단부에 계지되어, 축부(41b)가 피계합부(42b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즉, 회전자(42)가, 수용 부재(41)에 대하여 진퇴 가능 또한 분리 불가능이 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41), 회전자(42) 및 환상 탄발 부재(43)를, 일체적인 회전자 유닛(40)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회전자유닛(4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축(12)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넘음 감합 돌기(13b)를 넘어, 넘음 감합 돌기(13b)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자(42) 전단 측의 환상의 칼라(collar)부(42e)가, 넘음 감합 돌기(13b)보다 후방 측에 위치함으로써, 회전자(42)를 포함하는 회전자유닛(40) 전체가, 넘음 감합 돌기(13b)보다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중앙심(20)의 교환 등을 위하여, 전축(12)으로부터 후축(13)을 분리하고, 중앙심(20)을 빼낸 경우에도, 후축(13)으로부터 회전자유닛(40)이 탈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 회전자(42)에 대하여 수용 부재(41)를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계합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입부(41b32)를 생략하여, 회전자(42)와 수용 부재(41)가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0: 축통
13b: 넘음 감합 돌기
20: 중앙심
21: 필기부
30: 부세 부재
40: 회전자 유닛
41: 수용 부재
41a: 수용부
41b: 축부
41b1: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
41b31: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계합부)
41b32: 압입부
41b33: 유삽부
42: 회전자
42a: 대경부
42b: 소경부
42b1: 피계합부(원형 구멍)
43: 환상 탄발 부재
A: 필기구

Claims (8)

  1. 축통 내에, 전단에 필기부를 가지는 중앙심과, 상기 중앙심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와, 상기 중앙심을 후방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상기 축통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상대하여 상기 수용 부재를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전방으로 탄발하는 환상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를 상기 부세 부재의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시켜 상기 축통에 계지함으로써 상기 필기부를 돌출시켜 그 돌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중앙심의 후단을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환상 탄발 부재는, 상기 축부에 대하여 환상으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축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후단 측에서 내주면을 축경한 소경부를 가지는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에 의하여상기 환상 탄발 부재의 주위를 덮음과 함께, 상기 소경부에 의하여 상기 환상 탄발 부재의 후단을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환상 탄발 부재를 관통함과 함께, 상기 환상 탄발 부재보다 후측에, 상기 소경부에 마련된 피계합부에 대하여 소정량 진퇴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합부가 관통상의 원형 구멍이고,
    상기 계합부보다 후측의 외주부에는, 상기 원형 구멍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원형 구멍을 빠져 나가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함과 함께 상기 원형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원형 구멍을 빠져 나가는 유삽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필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에는, 상기 환상 탄발 부재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환상 탄발 부재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슬라이딩 접촉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가,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가, 상기 축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또한 분리되지 않도록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수용 부재와, 상기 회전자와, 상기 환상 탄발 부재가, 일체적인 회전자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KR1020210044555A 2021-01-28 2021-04-06 출몰식 필기구 KR20220109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11949A JP2022115377A (ja) 2021-01-28 2021-01-28 出没式筆記具
JPJP-P-2021-011949 2021-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266A true KR20220109266A (ko) 2022-08-04

Family

ID=8252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55A KR20220109266A (ko) 2021-01-28 2021-04-06 출몰식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15377A (ko)
KR (1) KR20220109266A (ko)
CN (1) CN1148015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284A (ja) 1984-01-27 1985-08-17 Hitachi Ltd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284A (ja) 1984-01-27 1985-08-17 Hitachi Ltd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01551A (zh) 2022-07-29
JP2022115377A (ja)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2962B2 (ja) 複合筆記具
JP2013063541A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220109266A (ko) 출몰식 필기구
JP4435724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6385735B2 (ja) 多芯式筆記具
JP5216248B2 (ja) 多芯筆記具
WO2019189323A1 (ja) 筆記具
JP6625172B2 (ja) 多芯式筆記具
JP6356532B2 (ja) 筆記具
JP7509673B2 (ja) 出没式筆記具
JP3945409B2 (ja) 出没式筆記具
JP5469346B2 (ja) 筆記具
JP5550375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7508103B2 (ja) 筆記具
JP7479263B2 (ja) 出没式筆記具
JP7304774B2 (ja) 筆記具
JP5843196B2 (ja) 多機能ペン
JP2022053830A (ja) 複数出没式筆記具
KR19980065067U (ko) 복합필기구
JP5840414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3933059B2 (ja) 出没式筆記具
JP5114893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23004112A (ja) 出没式筆記具用先端カバー及びこの出没式筆記具用先端カバーを具備した出没式筆記具
JPH115391A (ja) 複合筆記具
JP5896723B2 (ja) 多機能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