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151A -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151A
KR20220106151A KR1020227020515A KR20227020515A KR20220106151A KR 20220106151 A KR20220106151 A KR 20220106151A KR 1020227020515 A KR1020227020515 A KR 1020227020515A KR 20227020515 A KR20227020515 A KR 20227020515A KR 20220106151 A KR20220106151 A KR 2022010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urable composition
shielding
ultraviolet curabl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토시 후루조노
나오키 다카하라
Original Assignee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광중합성 모노머와, 유기 흑색 안료와, 입자상의 광산란재를 포함하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기재 상에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과, 수지막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경화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높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 마련되는 차광막은,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를 포함하는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는, 차광막의 주변 부재 또는 인쇄 장치의 손상 억제, 및, 인쇄 정밀도 등의 점에서, 열경화형의 잉크와 비교하여 유리하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234호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차광막은 높은 차광성을 갖지만, 카본 블랙이 자외선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점에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또는 잉크)은 충분한 자외선 경화성을 갖기 어렵다. 자외선을 어느 정도 투과하는 유기 흑색 안료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의 개선이 기대되지만, 그 경우, 차광막의 차광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충분한 자외선 경화성을 가짐과 함께, 높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중합성 모노머와, 유기 흑색 안료와, 입자상의 광산란재를 포함하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기재 상에 상기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수지막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충분한 자외선 경화성을 가짐과 함께, 높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은 메타크릴로일 또는 아크릴로일을 의미한다. 이것은 그 외의 유사한 표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광중합성 모노머와, 유기 흑색 안료와, 입자상의 광산란재를 포함한다. 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차광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차광막을 인쇄법에 의하여 형성하기 위한 잉크(예를 들면 잉크젯 잉크)일 수 있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광중합성의 관능기를 1 이상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광중합성의 관능기는, 에틸렌성 불포화기여도 된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1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중합성 모노머로서 이용되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은,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터,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알킬(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알킬(메트)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되고,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터, N-알킬(메트)아크릴아마이드, 및 N,N-다이알킬(메트)아크릴아마이드가 갖는 알킬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의 예로서는, 아릴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글리시딜기, 및 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실온(25℃)에 있어서 액상이어도 된다. 액상의 광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무(無)용제여도, 인쇄에 적합한 유동성을 갖기 쉽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구체예로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1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α-에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α-프로필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α-뷰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필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α-에틸-6,7-에폭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노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노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아노노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멘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카-8-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카-4-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이, 액상의 광중합성 모노머와, 폴리머 및/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머 및 올리고머가, 광중합성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중합성기를 갖는 폴리머 및 올리고머는, 광중합성 모노머로 간주된다.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이상, 20질량% 이상, 3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95질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화합물이 광중합성 모노머로서 이용되는 경우, 그들의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광중합성 모노머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화합물이다.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면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또는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일 수 있으며, 특히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여도 된다. 자외선 경화성의 관점에서, 광중합 개시제는,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300~400nm의 범위에 극댓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중합성 모노머와, 유기 흑색 안료와, 입자상의 광산란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광중합 개시제와 혼합하여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이용해도 된다.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α-개열(開裂)형 화합물, 또는 수소 추출형 화합물이어도 되고, 2분자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여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로서는,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N,N,N'N'-테트라메틸-4,4'-다이아미노벤조페논(미힐러케톤), N,N-테트라에틸-4,4'-다이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다이메틸아미노벤조페논, α-하이드록시아이소뷰틸페논, 2-에틸안트라퀴논, t-뷰틸안트라퀴논, 1,4-다이메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3-다이클로로안트라퀴논, 3-클로로-2-메틸안트라퀴논, 1,2-벤즈안트라퀴논, 2-페닐안트라퀴논, 1,4-나프토퀴논, 9,10-페난트라퀴논, 싸이오잔톤, 2-클로로싸이오잔톤,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테인-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의 방향족 케톤 화합물; 벤조인, 메틸벤조인, 및 에틸벤조인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인메틸에터, 벤조인에틸에터, 벤조인아이소뷰틸에터, 및 벤조인페닐에터 등의 벤조인에터 화합물; 벤질; 2,2-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다이메틸케탈; β-(아크리딘-9-일)(메트)아크릴산의 에스터 화합물; 9-페닐아크리딘, 9-피리딜아크리딘, 및 1,7-다이아크리디노헵테인 등의 아크리딘 화합물; 2-(o-클로로페닐)-4,5-다이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클로로페닐)-4,5-다이(m-메톡시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플루오로페닐)-4,5-다이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다이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p-메톡시페닐)-4,5-다이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4-다이(p-메톡시페닐) 5-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2,4-다이메톡시페닐)-4,5-다이페닐이미다졸 이량체, 및 2-(p-메틸머캅토페닐)-4,5-다이페닐이미다졸 이량체 등의 2,4,5-트라이아릴이미다졸 이량체;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1-뷰탄온;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1-프로페인;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바이닐)페닐)프로판온)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0.1~10질량%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화합물이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용되는 경우, 그들의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유기 흑색 안료는, 유기 색소를 포함하는 흑색 입자이며, 흑색 안료로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유기 흑색 안료는, 예를 들면, 페릴렌계 안료(페릴렌 블랙), 락탐계 안료(락탐 블랙), 아닐린 블랙, 사이아닌 블랙, 리그닌 블랙, 및 RGB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있는 유기 흑색 안료의 평균 입경(분산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1~1.0μm여도 된다.
유기 흑색 안료의 함유량은, 차광막의 적절한 차광성의 관점에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질량% 이상, 또는 1.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50질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유기 흑색 안료가 이용되는 경우, 그들의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광산란재는, 복수의 입자로 구성된다. 통상, 이들 복수의 입자가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있다. 광산란재의 평균 입경은, 0.05μm 이상이어도 되고, 5.0μm 이하, 4.0μm 이하, 3.0μm 이하, 2.0μm 이하, 또는 1.0μm 이하여도 된다. 차광막의 적절한 차광성의 관점에서, 광산란재의 평균 입경이 0.1~1.0μm여도 된다. 광산란재의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값이어도 된다.
광산란재는, 예를 들면, 실리콘 입자, 실리카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산란재가, 실리콘 입자와,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및 산화 타이타늄 입자로부터 선택되는 그 외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산란재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중공(中空) 입자여도 된다. 실리콘 입자는 폴리실록세인쇄를 갖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입자이며, 실리콘은, 폴리실록세인쇄가 가교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폴리오가노실세스퀴옥세인이어도 된다. 실리콘 입자가, 폴리실록세인쇄를 갖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핵 입자와, 핵 입자의 표면 상에 형성된, 폴리오가노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막을 갖는 복합 입자여도 된다.
광산란재의 함유량은,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질량% 이상 또는 1.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0질량% 이하, 9.0질량% 이하, 8.0질량% 이하, 7.0질량% 이하, 6.0질량% 이하, 5.0질량% 이하, 또는 4.0질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광산란재가 이용되는 경우, 그들의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의 조성물이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제의 함유량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이하여도 되고, 0질량%여도 된다.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잉크)은, 예를 들면, 차광막 주변의 부재에 대한 손상 방지, 인쇄 장치의 손상 방지, 및, 고정밀의 차광막의 형성의 점에서 유리하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막이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경화막은, 높은 차광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형성되는 경화막의 OD값(광학 농도)이,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서의 OD값은, 두께 130μm±5μm의 경화막의, 파장 400~700nm의 광에 대한 평균 투과율로부터 산출되는 값이다.
이상 예시한 실시형태에 관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차광막을 갖는 각종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는, 기재 상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과, 수지막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인 차광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잉크로서 이용한 인쇄(예를 들면 잉크젯 인쇄)에 의하여, 수지막을 형성해도 된다. 수지막을 형성하고 있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자외선의 파장은, 300~400nm여도 된다. 수지막(차광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1000μm여도 된다.
차광막을 갖는 물품의 예로서는, 화상 표시 장치, 광학식 센서, 및 렌즈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원료
1-1. 흑색 안료
유기 흑색 안료
·락탐계 안료(분산 입경: 0.17μm)
·페릴렌계 안료(분산 입경: 0.17μm)
이들 락탐계 안료 및 페릴렌계 안료의 투과 스펙트럼은, 파장 300~400nm의 범위에 있어서, 투과율 10%를 초과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그 외 안료
·카본 블랙(분산 입경: 0.15μm)
1-2. 광산란재
·실리콘 입자(신에쓰 가가쿠 고교제, 제품명: X-52-854, 평균 입경: 0.7μm)
·실리콘 입자(신에쓰 가가쿠 고교제, 제품명: KMP-706, 평균 입경: 2.0μm)
·실리콘 복합 입자(신에쓰 가가쿠 고교제, 제품명: X-52-7030, 평균 입경: 0.8μm)
·실리카 입자(아드마텍스제, 제품명: S0-C1, 평균 입경: 0.3μm)
·실리카 입자(아드마텍스제, 제품명: S0-C2, 평균 입경: 0.5μm)
1-3. 광중합성 모노머
·4-하이드록시뷰틸아크릴레이트(4-HBA)
1-4.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BASF사제, 제품명: Irgacure-184)
·4-메틸벤조페논(주식회사 소트제, 제품명: SB-PI712)
2.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잉크)
실시예 1
락탐계 안료 3.0질량부를 4-하이드록시뷰틸아크릴레이트 91.7질량부에 분산시켜, 락탐계 안료의 분산 입경이 0.17μm인 분산액을 얻었다. 이 분산액에, 실리콘 입자(X-52-854) 2.0질량부,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rgacure-184) 3.0질량부, 및 4-메틸벤조페논(SB-PI712) 0.3질량부를 더하고, 혼합액을 자공전(自公轉) 믹서(주식회사 싱키, 제품명: ARE-250)를 이용하여 회전수 2,000rpm으로 5분간 교반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8 및 비교예 1~3
각 재료 및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했다.
3. 적층 필름의 제작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두께 75μm의 지지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후지모리 고교제, 제품명: 75E-0010HTA) 상에,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도공했다. 형성된 수지막에, 이형 처리된 두께 50μm의 보호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후지모리 고교제, 제품명: 50E-0010BD)을 덧씌웠다. 보호 필름 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 장치(아이 그래픽스 주식회사제,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3,000mJ/cm2)함으로써 수지막을 경화시켜,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차광막(두께 약 130μm)을 갖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4. 평가
4-1. 반응률(자외선 경화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유리판 상에 1g 정도 적하하여, UV 조사 전의 측정 샘플로서의 수지막을 형성했다. 형성된 수지막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쿠쇼제, 제품명: IR Spirit(QATR-S 유닛))를 이용하여, 상온(25℃)의 환경하, 분해능: 2cm-1, 적산(積算): 64회의 조건의 ATR법에 의하여 측정했다.
차광막을 갖는 적층 필름으로부터, 10mm×10mm의 사이즈를 갖는 측정 샘플을 잘라내고, 그것으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했다. 노출된 차광막을 유리판에 첩합하고, 이어서, 차광막으로부터 지지 필름을 박리했다. 노출된 차광막(UV 조사 후의 측정 샘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얻어진 각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810cm-1 근방에 극대를 나타내는 아크릴로일기에 귀속하는 흡수 피크의 강도 (A)와, 1720cm-1 근방에 극대를 나타내는 카보닐기에 귀속하는 흡수 피크의 강도 (B)를 구하고, 하기 식에 의하여, 아크릴로일기 흡수 피크비를 산출했다.
아크릴로일기 흡수 피크비=(A)/(B)
UV 조사 전의 측정 샘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진 아크릴로일기 흡수 피크비 α, 및, UV 조사 후의 측정 샘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진 아크릴로일기 흡수 피크비 β로부터, 하기 식에 의하여, 아크릴로일기의 반응률을 산출했다. 이 반응률의 값이 큰 것은,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경화가 진행된 것을 의미한다.
반응률(%)=(β/α)×100
4-2. OD값(차광성)
40mm×50mm의 사이즈를 갖는 차광막의 투과율을, 광원으로서 D65가 장착된 헤이즈미터(닛폰 덴쇼쿠 고교제, 제품명: SH7000)를 이용하여, 400nm에서 700nm까지, 5nm 마다의 각 파장에 있어서 측정했다. 각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 C로부터, 하기 식에 의하여 OD값을 산출했다. OD값이 큰 것은, 차광막의 가시광에 대한 차폐성(차광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OD값=-Log10(C/100)
[표 1]
Figure pct00001
각 실시예의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양호한 경화성으로 경화됨과 함께, 충분히 높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막을 형성했다. 유기 흑색 안료를 포함하고, 광산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차광막은, 차광성이 낮았다.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은, 높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막을 형성했지만, 경화성의 점에서 충분하지 않았다.

Claims (8)

  1. 광중합성 모노머와,
    유기 흑색 안료와,
    입자상의 광산란재를 포함하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재의 평균 입경이 0.1~3.0μm인,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재가, 실리콘 입자, 실리카 입자, 또는 이들 양방을 포함하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재의 함유량이, 당해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10질량%인,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막이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경화막의 OD값이, 1.5 이상이고,
    상기 OD값이, 두께 130μm±5μm의 상기 경화막의, 파장 400~700nm의 광에 대한 평균 투과율로부터 산출되는 값인,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차광막.
  8. 기재 상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수지막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27020515A 2019-11-29 2019-11-29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220106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46902 WO2021106221A1 (ja) 2019-11-29 2019-11-29 遮光用紫外線硬化性組成物、遮光膜、及び、遮光膜を有する物品を製造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151A true KR20220106151A (ko) 2022-07-28

Family

ID=7612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515A KR20220106151A (ko) 2019-11-29 2019-11-29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14076B2 (ko)
KR (1) KR20220106151A (ko)
CN (1) CN114730027A (ko)
TW (1) TW202124460A (ko)
WO (1) WO20211062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234A (ja) 2007-07-10 2009-02-19 Nippon Steel Chem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隔壁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遮光性カラーフィルター隔壁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128A (ko) * 2011-08-22 2013-03-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160145589A (ko) * 2014-04-15 2016-12-20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차광재가 형성된 기판,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이 차광재를 형성하기 위한 착색 수지 조성물
JP2019032351A (ja) * 2015-12-25 2019-02-28 Agc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および光学装置
JP7396786B2 (ja) 2017-02-24 2023-12-12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遮光膜用の感光性樹脂組成物、遮光膜、液晶表示装置、スペーサー機能を有する遮光膜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8155878A (ja) 2017-03-16 2018-10-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物、有機電界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234A (ja) 2007-07-10 2009-02-19 Nippon Steel Chem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隔壁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遮光性カラーフィルター隔壁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06221A1 (ko) 2021-06-03
WO2021106221A1 (ja) 2021-06-03
TW202124460A (zh) 2021-07-01
JP7414076B2 (ja) 2024-01-16
CN114730027A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577B1 (ko) 무기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당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TWI409306B (zh) Hard coating
JP5558363B2 (ja) 耐摩耗性および指紋除去性に優れた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455248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300838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KR101089604B1 (ko) 산화지르코늄 입자 분산액, 산화지르코늄 입자 함유 광경화성 조성물 및 경화막
KR101272984B1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
KR20100055160A (ko)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CN108663732B (zh) 一种低雾度防眩膜及偏光板
WO2016171187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る硬化膜の製造方法及び該硬化膜を含む積層体
TWI776297B (zh) 防眩膜及具有此防眩膜之偏光板
TWI662088B (zh) 一種低霧度防眩膜
TW202007732A (zh) 抗反射膜、具此抗反射膜之偏光板、及含此抗反射膜及/或含具此抗反射膜之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WO2013021631A1 (ja) 有機無機複合体及びその形成用組成物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19938A (ja) 無機粒子含有組成物、塗膜、塗膜付きプラスチック基材、および表示装置
JP4775603B2 (ja) 反射防止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硬化性組成物
KR20220106151A (ko) 차광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차광막, 및, 차광막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JP617138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338202B2 (ja) 無溶剤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塗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機能性薄膜付基体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4831377B2 (ja) 反射防止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硬化性組成物
KR20200132844A (ko) 방현 필름
JP5760833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KR102551649B1 (ko) 투명도가 개선된 무기입자 분산액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