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134A -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134A
KR20220105134A KR1020220005722A KR20220005722A KR20220105134A KR 20220105134 A KR20220105134 A KR 20220105134A KR 1020220005722 A KR1020220005722 A KR 1020220005722A KR 20220005722 A KR20220005722 A KR 20220005722A KR 20220105134 A KR20220105134 A KR 2022010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gear
blade
mark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유키 엔도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26D1/3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26D5/3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scanning being effected by a photosensitiv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5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utters, e.g. guillotines, used in a label maker or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2Photoelectric detectors in barrier arrangements, i.e. emitter facing a recepto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9Single-function copy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Confectione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55)와,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커터 모터(55)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59)와, 구동 치차(59)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119)와, 발광 소자(141) 및 수광 소자(143)를 포함하는 수발광부(137)와, 발광 소자(141)로부터 수광 소자(143)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센서 기판(139)을 갖는 포토 센서(63)와, 포토 센서(63)를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69)과, 제 1 커터 프레임(69)과의 사이에서 센서 기판(139)을 덮는 커버 부재(65)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PRINTING APPARATUS}
본 개시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의 홈 포지션을 검출하는 스위치식의 HP 검출 센서를 구비한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274379 호 공보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 스위치식의 HP 검출 센서를 대신하여,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비한 광학식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광학식 센서에 대해, 커터 구동부로부터 비산한 그리스, 종이 절단시에 발생하는 종이 가루 등의 이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와,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커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와, 구동 치차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수발광부와, 수발광부가 마련되는 센서 기판을 가지며,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와, 포토 센서를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과, 제 1 커터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센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했다.
본 개시의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와,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커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와, 구동 치차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수발광부와, 수발광부가 마련되는 센서 기판을 가지며,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와, 구동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과, 회전부의 회전 경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환상 벽부와, 회전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환상 벽부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했다.
도 1은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인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인쇄 장치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커터 프레임을 제외하고 커터 유닛을 +Z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커터 유닛을 +Z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 절단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커터 유닛 중, 제 2 커터 프레임에 지지된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커터 유닛 중, 제 1 커터 프레임에 지지된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절단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검출 치차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검출 치차축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인쇄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는 예를 들면, POS 시스템에 있어서, 영수증 프린터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에 나타낸 XYZ 직교 좌표계에 따른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형태를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연직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도 5 내지 도 14에서는, 도 5에 도시한 구동 치차(59)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인쇄 장치의 외관 구조]
도 1 및 도 2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1)의 외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인쇄 장치(1)는 장치 본체(3)와, 개폐 커버(5)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3)는 +Z 방향의 면에 개구부(6)가 마련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3)의 내부에는, 롤지 수용부(7)가 마련되어 있다. 롤지 수용부(7)에는, 인쇄 매체인 기록지(P)가 권회된 롤지(R)가 수용된다(도 3 참조). 개폐 커버(5)는 장치 본체(3)의 +Y 방향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개구부(6)를 개폐한다.
인쇄 장치(1)는 외장으로서, 본체 외장부(9)와, 커터 유닛 커버(11)와, 개구 외장부(12)와, 커버 외장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외장부(9), 커터 유닛 커버(11) 및 개구 외장부(12)는, 장치 본체(3)의 외장을 구성하고 있다. 본체 외장부(9)는 +Z 방향의 면이 개구된 대략 직방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터 유닛 커버(11)는 개폐 커버(5)에 대해 -Y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커터 유닛 커버(11)가 개방되면, 후술하는 오토 커터(37)(도 3 참조)가 나타난다. 커터 유닛 커버(11)와 개폐 커버(5)의 경계부에는, 배출구(15)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15)로부터는, 롤지 수용부(7)에 수용된 롤지(R)로부터 조출된 기록지(P)가 배출된다. 개구 외장부(12)는 개구부(6)의 연부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 외장부(13)는 개폐 커버(5)의 외장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인쇄 장치(1)는 커버 개방 버튼(17)과, 이송 버튼(19)과, 패널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개방 버튼(17), 이송 버튼(19) 및 패널부(21)는 인쇄 장치(1)의 +Z 방향의 면에 있어서, +X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 개방 버튼(17)이 가압되면, 개폐 커버(5)가 개방된다. 이송 버튼(19)이 가압되면,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35)가 회전하고, 기록지(P)가 배출구(15)를 향하여 이송된다. 패널부(21)는 에러 등의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 대해 표시한다.
[인쇄 장치의 내부 구조]
도 3 및 도 4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인쇄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23)과, 본체 프레임(25)과, 커버 프레임(27)과, 서멀 헤드(29)와, 이송 모터(31)와, 치차열(33)과, 플래튼 롤러(35)와, 오토 커터(37)와, 로크 기구(39)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23) 및 본체 프레임(25)은 본체 외장부(9)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3)은 본체 프레임(25)을 지지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25)은 제 1 본체 프레임(41)과, 제 2 본체 프레임(43)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본체 프레임(41) 및 제 2 본체 프레임(43)은 모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본체 프레임(43)은 제 1 본체 프레임(41)에 대해, +X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본체 프레임(41) 및 제 2 본체 프레임(43)의 +Y 방향의 단부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지축(45)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27)은 커버 외장부(13)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27)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 지축(45)을 거쳐서, 본체 프레임(2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27)의 +Y 방향의 단부에는, 커버 지축(45)과 결합되는 커버 지축 구멍(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서멀 헤드(29)는 본체 프레임(25)에 지지되어 있다. 서멀 헤드(29)는 복수의 발열 소자(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으며, 롤지(R)로부터 조출된 기록지(P)에 인쇄를 실행한다.
이송 모터(31)는 제 1 본체 프레임(41)의 -Y 방향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송 모터(31)는 플래튼 롤러(35)의 구동원이다. 또한, 이송 모터(31)로서는, 예를 들면, DC 모터(DC: Direct Current)를 이용할 수 있다.
치차열(33)은 제 1 본체 프레임(41)에 마련되어 있다. 치차열(33)은, 복수의 치차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송 모터(31)의 동력을 플래튼 롤러(35)에 전달한다.
플래튼 롤러(35)는 커버 프레임(27)의 -Y 방향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35)는 개폐 커버(5)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멀 헤드(29)와 대향한다. 플래튼 롤러(35)는 롤러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서멀 헤드(29)를 향하여 힘이 부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35)는 서멀 헤드(29)와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협지한다. 플래튼 롤러(35)는 서멀 헤드(29)와의 사이에서 협지한 기록지(P)를, 배출구(15)를 향하여 이송한다. 즉, 플래튼 롤러(35)가 회전하면, 기록지(P)가 롤지(R)로부터 조출되고, 배출구(15)를 향하여 이송된다.
플래튼 롤러(35)와 동축상에는, 플래튼 롤러(35)에 대해 -X 방향에 위치하며, 롤러 치차(47)가 마련되어 있다. 롤러 치차(47)는 치차열(33)의 전달 치차(49)와 맞물려 있으며, 플래튼 롤러(35)와 일체로 회전한다.
오토 커터(37)는 플래튼 롤러(35)와 배출구(15)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배출구(15)로 이송된 기록지(P)를, 인쇄가 종료된 부분의 후방에서, X 방향, 즉 기록지(P)의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또한, 오토 커터(37)는 절단된 기록지(P)가 배출구(15)에 머물도록, 기록지(P)의 -X 방향의 단부를 남기고, 기록지(P)를 절단한다.
[오토 커터]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 커터(37)는 커터 유닛(51)과, 제 2 칼날(52)을 구비하고 있다. 커터 유닛(51)은 제 1 본체 프레임(41)과 제 2 본체 프레임(43) 사이를 건너도록 하고, 제 1 본체 프레임(41) 및 제 2 본체 프레임(43)의 -Y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칼날(52)은 개폐 커버(5)가 폐쇄되었을 때에, 커터 유닛(51)의 제 1 칼날(53)과 대향하도록, 커버 프레임(27)의 -Y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가동 칼날인 제 1 칼날(53)이 고정 칼날인 제 2 칼날(52)에 대해 절단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P)가 절단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 유닛(51)은 제 1 칼날(53)과, 커터 모터(55)와, 동력 전달 부재(57)와, 구동 치차(59)와, 검출 치차(61)와, 포토 센서(63)와, 커버 부재(65)와, 이들을 수용한 커터 프레임(67)을 구비하고 있다.
커터 프레임(67)은, 편평한 대략 직방체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터 프레임(67)은 제 1 커터 프레임(69)과, 제 2 커터 프레임(71)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커터 프레임(69)과, 제 2 커터 프레임(71)은, 예를 들면 소나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제 2 커터 프레임(71)은 제 1 커터 프레임(69)에 대해, -Z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2 커터 프레임(71)은 제 1 커터 프레임(69)과의 사이에서, 제 1 칼날(53), 커터 모터(55), 동력 전달 부재(57), 구동 치차(59), 검출 치차(61), 포토 센서(63) 및 커버 부재(65)를 수용하고 있다. 커터 모터(55), 동력 전달 부재(57), 구동 치차(59), 검출 치차(61), 포토 센서(63) 및 커버 부재(65)는, 제 1 커터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도 10 참조). 한편, 제 1 칼날(53)은, 제 2 커터 프레임(71)에 지지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제 1 커터 프레임(69)을 제 1 커터 커버, 제 2 커터 프레임(71)을 제 2 커터 커버라 기재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제 1 칼날(53)이 회동하는 영역을 칼날 회동 영역(73)이라 한다. 커터 모터(55), 동력 전달 부재(57) 및 구동 치차(59)가 마련된 영역을 구동 영역(75)이라 한다. 검출 치차(61), 포토 센서(63) 및 커버 부재(65)가 마련된 영역을 검출 영역(77)이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터 프레임(67)에 수용된 부품 중, 제 1 칼날(53)은 제 2 커터 프레임(71)에 지지되고, 다른 부품은 제 1 커터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날 회동 영역(73)과 제 1 커터 프레임(69) 사이에, 구동 영역(75) 및 검출 영역(77)이 X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되게 된다. 따라서, 커터 프레임(67)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커터 유닛(5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커터 프레임(69)에는 축 결합 구멍(79)과, 제 1 마크 개구(83)와, 제 2 마크 개구(85)와, 조작 개구(87)가 마련되어 있다.
축 결합 구멍(79)은 후술하는 검출 치차축(113)의 제 1 축 단부(125)와 결합된다(도 11 참조). 축 결합 구멍(79)은 -X 방향의 단부가 직선 형상이 된 D 구멍에 형성되어 있다. 축 결합 구멍(79)의 직선 형상 부분을 구멍 직선부(89)라 한다.
제 1 마크 개구(83)는 구동 치차(59)와 검출 치차(61)의 맞물림 부분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마크 개구(85)는 제 1 마크 개구(83)와 구동 치차(59)의 회전 중심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 개구(87)는 제 1 마크 개구(83)에 대해 -Y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커터 프레임(69)의 외측, 즉 +Z 방향의 면에는, 매뉴얼 커터(91)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매뉴얼 커터(91)를 이용하여, 기록지(P)를 손으로 당겨 뜯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커터 프레임(71)의 +X 방향, 또한, +Y 방향의 모서리부에는, 커터 지축(93)이 마련되어 있다. 커터 지축(93)은 제 1 칼날(5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칼날(53)은 커터 지축(93)을 거쳐서, 제 2 커터 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칼날(53)은 제 1 칼날 끝(95)과, 커터 지축 구멍(도시 생략)과, 커터 결합 구멍(99)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칼날 끝(95)은 제 1 칼날(5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터 지축 구멍은, 제 1 칼날(53)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 즉 +X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커터 지축 구멍에는, 커터 지축(93)이 삽통되어 있다. 커터 결합 구멍(99)은, 제 1 칼날(53)의 봉우리부의 근방에 마련되며, 제 1 칼날(53)의 길이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터 결합 구멍(99)에는, 구동 치차(59)에 마련된 구동 핀(109)(도 10 참조)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칼날(53)이 절단 동작을 개시하는 위치를 절단 개시 위치라 한다. 제 1 칼날(53)의 절단 개시 위치는, 제 1 칼날(53)이 제 2 칼날(52)에 대해 가장 개방된 위치이다. 한편, 제 1 칼날(53)의 제 1 칼날 끝(95)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칼날(52)의 제 2 칼날 끝(도시 생략)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제 1 칼날(53)이 제 2 칼날(52)에 대해 노치한 위치를 노치 위치라 한다. 도 9 등의 각 도면에 도시한 제 1 칼날(53)은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절단 개시 위치를 대기 위치, 노치 위치를 절단 위치라 기재하여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 모터(55)는 제 1 커터 프레임(69)의 +X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 1 커터 프레임(69)에 고정되어 있다. 커터 모터(55)는, 제 1 칼날(53)의 구동원이다. 커터 모터(55)의 출력 축에는, 출력 치차(101)가 마련되어 있다. 커터 모터(55)로서는, 예를 들면, 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57)는 제 1 커터 프레임(69)의 -Y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 1 커터 프레임(6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57)는 커터 모터(55)의 동력을 구동 치차(59)에 전달한다. 동력 전달 부재(5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57)는 +X 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즉 커터 모터(55)에 가까운 순서대로, 제 1 치차부(103)와, 제 2 치차부(105)와, 조작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치차부(103), 제 2 치차부(105) 및 조작부(107)는 일체로 하여 회전한다.
제 1 치차부(103)는 출력 치차(101)와 맞물려 있다. 제 2 치차부(105)는, 구동 치차(59)와 맞물려 있다. 여기에서, 출력 치차(101) 및 동력 전달 부재(57)는 X축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한다. 한편, 구동 치차(59) 및 검출 치차(61)는 Z축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한다. 즉, 제 2 치차부(105) 및 구동 치차(59)는, 각각, 웜 및 웜 휠에 상당한다.
조작부(107)는, 대략 짧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부(107)의 둘레면에는, 조작부(107)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07)는, 제 1 커터 프레임(69)에 마련된 조작 개구(87)로부터 조작 가능하다(도 6 참조). 사용자는, 조작 개구(87)로부터 넣은 손가락으로 조작부(10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59)를 회전시켜, 제 1 칼날(53)을 회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107)는 예를 들면, 커터 유닛(51)에 기록지(P) 등이 막혀,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로 복귀되지 않고 로크된 경우 등에 이용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의 커터 유닛 커버(11)를 개방하고, 조작 개구(87)로부터 손가락을 넣어 조작부(10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53)을 절단 개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동 치차(59)는 제 1 커터 프레임(6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치차(59)는 제 2 치차부(105)에 대해 +Y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치차부(105)와 맞물려 있다. 또한, 구동 치차(59)는, 제 1 칼날(53)에 대해 +Z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도 7 참조). 구동 치차(59)의 -Z 방향의 단부면인 제 2 구동 단부면(59b)으로부터는, 구동 핀(109)이 제 1 칼날(53)을 향하여 -Z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구동 핀(109)은 제 1 칼날(53)의 커터 결합 구멍(99)과 결합되어 있다. 커터 모터(55)의 동력이 동력 전달 부재(57)를 거쳐서 구동 치차(59)에 전달되고, 구동 핀(109)이 구동 치차(59)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구동 핀(109)과 결합된 제 1 칼날(53)이 회동한다.
여기에서,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동 치차(59)의 회전 위치를, 구동 치차 홈 위치라 한다. 구동 치차(59)는, 구동 치차 홈 위치로부터 1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53)을 +Z 방향으로부터 보아, 절단 개시 위치로부터 노치 위치에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또한, 노치 위치로부터 절단 개시 위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도 10 등의 각 도면에 도시한 구동 치차(59)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치차(59)의 +Z 방향의 단부면인 제 1 구동 단부면(59a)에는, 제 1 구동 마크(111a)와, 제 3 구동 마크(111c)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구동 마크(111a)와, 제 3 구동 마크(111c)와, 구동 핀(109)은 서로, 구동 치차(59)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 관계로 마련되어 있다. 즉, 제 1 구동 마크(111a)는, 구동 치차(59)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구동 치차(59)의 회전 중심과 검출 치차(61)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구동 마크(111a)는 구동 치차(59)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 1 마크 개구(83)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제 3 구동 마크(111c)는, 제 1 구동 마크(111a)와 구동 치차(59)의 회전 중심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구동 마크(111c)는, 구동 치차(59)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 2 마크 개구(85)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치차(59)의 제 2 구동 단부면(59b)에는, 제 2 구동 마크(111b)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구동 마크(111b)와 구동 핀(109)은 서로, 구동 치차(59)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 관계로 마련되어 있다. 즉, 제 2 구동 마크(111b)는, 구동 치차(59)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한다.
검출 치차(61)는 검출 치차축(113)을 거쳐서, 제 1 커터 프레임(6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검출 치차(61)의 중심에는,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과,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이 마련되어 있다(도 11 참조).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은,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에 대해, -Z 방향으로 마련되며,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보다 직경이 크다.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 및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에는, 검출 치차축(113)이 삽입되어 있다.
검출 치차(61)는 구동 치차(59)에 대해 -X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 치차(59)와 맞물려 있다. 검출 치차(61)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수는, 구동 치차(59)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수와 동일하다. 즉, 검출 치차(61)의 치수(齒數)는 구동 치차(59)의 치수와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치차(61)의 +Z 방향의 단부면인 제 1 검출 단부면(61a)으로부터는, 회전부(119)가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부(119)는, 검출 치차(6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119)는, 구동 치차(59)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환언하면, 회전부(119)는, 구동 치차(59)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즉, 회전부(119)는 구동 치차(59)와 맞물린 검출 치차(6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검출 치차(6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회전부(119)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수는, 구동 치차(59)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수와 동일하다. 검출 치차(61)가 회전하여 회전부(119)가 회전할 때에, 회전부(119)는, 포토 센서(63)의 발광 소자(141)와 수광 소자(143) 사이를 통과한다. 즉, 회전부(119)는, 발광 소자(141)로부터 수광 소자(143)로 발광된 검출광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1은 발광 소자(141)와 수광 소자(143) 사이에 회전부(119)가 위치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토 센서(63)는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에, 제 2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회전부(119)가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시킬 때, 즉, 발광 소자(141)와 수광 소자(143) 사이에 회전부(119)가 위치하지 않을 때의 검출 치차(61)의 회전 위치를 검출 치차 홈 위치라 한다. 도 10 등의 각 도면에 도시한 검출 치차(61)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치차(61)의 제 1 검출 단부면(61a)에는, 제 1 검출 마크(121a)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검출 마크(121a)와, 회전부(119)는 서로, 구동 치차(59)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 관계로 마련되어 있다. 즉, 제 1 검출 마크(121a)는, 검출 치차(61)가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검출 마크(121a)는, 검출 치차(61)가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 1 마크 개구(83)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치차(61)의 -Z 방향의 단부면인 제 2 검출 단부면(61b)에는, 제 2 검출 마크(121b)와, 제 3 검출 마크(121c)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검출 마크(121b)와, 제 3 검출 마크(121c)와, 회전부(119)는 서로, 검출 치차(6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 관계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 2 검출 마크(121b)는, 검출 치차(61)가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한다. 제 3 검출 마크(121c)는, 검출 치차(61)가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검출 치차(61)의 회전 중심과 후술하는 커버 마크(153)를 연결하는 커버 가상선(Lb) 상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치차(59)의 제 2 구동 단부면(59b)에는, 제 2 구동 마크(111b)가 마련되고, 검출 치차(61)의 제 2 검출 단부면(61b)에는, 제 2 검출 마크(121b) 및 제 3 검출 마크(121c)가 마련되고, 커버 부재(65)의 -Z 방향의 면에는, 커버 마크(1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자는 커터 유닛(51)의 조립시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치차(61)의 제 3 검출 마크(121c)를 커버 부재(65)의 커버 마크(153)에 합치시키는 것에 의해, 즉, 제 3 검출 마크(121c)를 커버 가상선(Lb)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 치차(61)를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검출 치차(61)의 제 2 검출 마크(121b)는,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한다.
이어서, 조립 작업자는, 구동 치차(59)의 제 2 구동 마크(111b)를 검출 치차(61)의 제 2 검출 마크(121b)에 합치시키는 것에 의해, 즉, 제 2 구동 마크(111b)를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59)를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 작업자는 제 2 구동 마크(111b), 제 2 검출 마크(121b), 제 3 검출 마크(121c) 및 커버 마크(153)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59)를 용이하게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검출 치차(61)를 용이하게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구동 치차(59) 및 검출 치차(61)의 위치맞춤의 순서로서, 조립 작업자가, 검출 치차(61)의 제 3 검출 마크(121c)를 커버 부재(65)의 커버 마크(153)에 합치시킨 후, 구동 치차(59)의 제 2 구동 마크(111b)를 검출 치차(61)의 제 2 검출 마크(121b)에 합치시키는 순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동(同)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립 작업자는, 제 3 검출 마크(121c) 및 커버 마크(153)를 이용하는 일이 없이, 구동 치차(59)의 제 2 구동 마크(111b)와 검출 치차(61)의 제 2 검출 마크(121b)를 합치시키는, 즉, 제 2 구동 마크(111b) 및 제 2 검출 마크(121b)를 치차간 가상선(La) 상에 위치시켜도 좋다. 이 경우도, 구동 치차(59)를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검출 치차(61)를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치차(59)의 제 1 구동 단부면(59a)에는, 제 1 구동 마크(111a) 및 제 3 구동 마크(111c)가 마련되고, 검출 치차(61)의 제 1 구동 단부면(59a)에는, 제 1 검출 마크(121a)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커터 프레임(69)에는, 제 1 마크 개구(83) 및 제 2 마크 개구(8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부(107)를 회전시켜 제 1 칼날(53)을 절단 개시 위치로 복귀할 때에,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마크 개구(85)로부터 제 3 구동 마크(111c)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조작부(10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53)을 절단 개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작업자는, 제 1 마크 개구(83)로부터 제 1 구동 마크(111a) 및 제 1 검출 마크(121a)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59)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는 동시에, 검출 치차(61)가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치차축(113)은 축 고정 나사(123)에 의해, 제 1 커터 프레임(69)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 치차축(113)은 제 1 축 단부(125)와, 제 2 축 단부(127)와, 축 중간부(129)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축 단부(125)는 검출 치차축(113)의 +Z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며, 축 중간부(129)보다 직경이 작다. 제 1 축 단부(125)에는, D컷 가공된 제 1 컷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축 단부(125)는 제 1 커터 프레임(69)에 마련된 축 결합 구멍(79)보다 약간 직경이 작으며, 축 결합 구멍(79)과 결합된다. D컷 가공된 제 1 축 단부(125)와, D 구멍인 축 결합 구멍(79)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검출 치차축(113)이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축 단부(127)는 검출 치차축(113)의 -Z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며, 축 중간부(129)보다 직경이 크다. 제 2 축 단부(127)는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보다 약간 직경이 작으며,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과 결합된다. 제 2 축 단부(127)에는, D컷 가공된 제 2 컷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컷부(133)는 검출 치차축(11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1 컷부(131)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축 중간부(129)는 제 1 축 단부(125)와 제 2 축 단부(127)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 중간부(129)는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 및 후술하는 커버측 축 삽입 구멍(155)보다 약간 직경이 작으며,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 및 커버측 축 삽입 구멍(155)과 결합된다
커터 유닛(51)의 조립시에는, 검출 치차축(113)은 -Z 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 및 커버측 축 삽입 구멍(155)에 삽입되는 동시에, 제 1 축 단부(125)가 축 결합 구멍(79)과 결합된상태에서, 축 고정 나사(123)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제 1 축 단부(125)를 축 결합 구멍(79)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축 단부(125)의 제 1 컷부(131)의 방향을, 축 결합 구멍(79)의 구멍 직선부(89)의 방향에 맞출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조립 작업자는, 검출 치차(61) 및 커버 부재(65)에 차단되어 제 1 컷부(131)를 볼 수가 없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는 상이하게, 제 2 축 단부(127)에 제 2 컷부(133)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조립 작업자는, 제 1 컷부(131)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하여, 제 1 축 단부(125)를 축 결합 구멍(79)에 결합시키는데 수고를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축 단부(127)에 검출 치차축(11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1 컷부(131)와 동일한 위치에 제 2 컷부(13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자는 제 2 컷부(133)를 보는 것에 의해, 제 1 컷부(131)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즉, 조립 작업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컷부(133)를, 구멍 직선부(89)의 방향에 맞도록 -X 방향을 향하는 것에 의해, 제 1 컷부(131)를 구멍 직선부(89)의 방향으로 맞출 수 있어서, 제 1 축 단부(125)를 축 결합 구멍(79)에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작업자는, 제 2 컷부(133)의 방향이 구멍 직선부(89)의 방향에 대해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제 2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7)의 내주면과 제 2 컷부(133) 사이에 생긴 간극에 핀셋 등을 삽입하여 검출 치차축(11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컷부(133)의 방향을 구멍 직선부(89)의 방향에 맞추어, 제 1 축 단부(125)를 축 결합 구멍(79)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센서(63)는 제 1 커터 프레임(69)의 -X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제 1 커터 프레임(69)과 커버 부재(65)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포토 센서(63)는, 센서 나사(135)(도 7 참조)에 의해, 커버 부재(65)에 고정되어 있다. 즉, 포토 센서(63)는 커버 부재(65)를 거쳐서, 제 1 커터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포토 센서(63)는 검출 치차(61)에 대해 +Z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포토 센서(63)는 수발광부(137)와, 센서 기판(139)을 구비하고 있다. 수발광부(137)는 발광 소자(141)와, 수광 소자(143)를 구비하고, 센서 기판(139)에 마련되며, 센서 기판(139)으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발광부(137)는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 치차(61)가 회전하여 회전부(119)가 회전할 때에, 회전부(119)는, 발광 소자(141)와 수광 소자(143)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141)로부터 수광 소자(143)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된 상태와,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수광 소자(143)는 발광 소자(141)에 대해, 검출 치차(61)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이 역이어도 좋다.
센서 기판(139)은 발광 소자(141)로부터 수광 소자(143)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즉, 센서 기판(139)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에 제 2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는, 예를 들면, 서로 전압이 상이한 신호여도 좋으며, 서로 전류가 상이한 신호여도 좋다.
센서 기판(139)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검출 신호 혹은 제 2 검출 신호는 인쇄 장치(1)에 구비된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 회로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는,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어 회로는, 제 2 검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제어 회로는, 기록지(P)의 절단 예정 개소가 오토 커터(37)까지 이송된 후,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회로는,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커터 모터(55)를 작동시켜, 제 1 칼날(53)의 절단 동작을 개시시킨다. 또한, 제어 회로는,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즉 제 2 검출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제 1 칼날(53)의 절단 동작의 개시 후, 제어 회로는,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회로는,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즉 제 2 검출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로 복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커터 모터(55)의 작동을 계속한다. 제어 회로는, 포토 센서(63)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로 복귀되었다고 판단하고, 커터 모터(55)를 정지시켜, 제 1 칼날(53)의 절단 동작을 종료시킨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5)는, 제 1 커터 프레임(69)의 -X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 1 커터 프레임(69)과 검출 치차(61)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65)는 센서 수용부(145)와 치차 대향부(147)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수용부(145)는 +Z 방향이 개방된, 편평한 대략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 수용부(145)는 센서 기판(139)을 수용하고, 제 1 커터 프레임(69)과의 사이에서, 센서 기판(139)을 덮는다. 즉, 센서 기판(139)의 -Z 방향과, 센서 기판(139)의 주위가, 센서 수용부(145)에 의해 덮이고, 센서 기판(139)의+Z 방향이, 제 1 커터 프레임(69)에 의해 덮인다. 센서 수용부(145)의 -Z 방향의 벽부에는 센서 개구(149)가 마련되어 있다. 센서 개구(149)로부터는, 포토 센서(63)의 수발광부(137)가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수용부(145)에 의해 센서 기판(139)이 덮여 있는 것에 의해, 센서 기판(139)을 향하여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한 이물에 의해 포토 센서(63)의 검출 결과에 에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침입한 이물에 의해 포토 센서(63)가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물에는, 예를 들면, 기록지(P)가 절단되었을 때에 생긴 종이 가루나 종이 조각, 커터 유닛(51)의 구동부로부터 비산한 그리스, 사용자가 잘못하여 흘러 넘친 배출구(15)로부터 침입한 물 등이 포함된다.
센서 수용부(145)의 -Z 방향의 면, 즉 커버 부재(65)의 외면에는, -Z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베이스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베이스부(151)는 -Z 방향으로부터 보아, 검출 치차(61)의 직경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베이스부(151)의 -Z 방향의 면에는, 검출 치차(61)의 회전 중심에 가장 가까운 개소에, 커버 마크(153)가 마련되어 있다.
치차 대향부(147)는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검출 치차(61)의 제 1 검출 단부면(61a)과 대향하고 있다. 치차 대향부(147)의 대략 중심부에는, 상기의 검출 치차축(113)이 삽입되는 커버측 축 삽입 구멍(155)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측 축 삽입 구멍(155)은 상기의 제 1 치차측 축 삽입 구멍(115)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다.
치차 대향부(147)의 -Z 방향의 면으로부터는, 제 1 환상 벽부(157)와, 제 2 환상 벽부(159)가, 검출 치차(61)를 향하여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환상 벽부(157) 및 제 2 환상 벽부(159)는, 커버측 축 삽입 구멍(155)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환상 벽부(157)는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의 내측을 따라서 마련되며, 제 2 환상 벽부(159)는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의 외측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즉, 회전부(119)는 제 1 환상 벽부(157)와 제 2 환상 벽부(159)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환상 벽부(157) 중, 센서 개구(149)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제 1 절결부(161)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환상 벽부(159) 중, 센서 개구(149)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제 2 절결부(163)가 마련되어 있다. 센서 개구(149)로부터 돌출된 수발광부(137)는 제 1 절결부(161) 및 제 2 절결부(163)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의 내측에, 제 1 환상 벽부(157)가 마련되고,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의 외측에, 제 2 환상 벽부(159)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를 향하여, 이물 혹은 외란광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한 이물 혹은 외란광에 의해 포토 센서(63)의 검출 결과에 에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침입한 이물에 의해 포토 센서(63)가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치차 대향부(147)의 -Z 방향의 면으로부터는, 끼움 억제부(165)가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끼움 억제부(165)는, 상기의 조작부(107)와, 구동 치차(59) 및 검출 치차(61)의 맞물림 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도 11 참조). 끼움 억제부(165)는, 조작부(107)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 개구(87)로부터 진입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구동 치차(59)와 검출 치차(6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억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에 의하면, 커터 유닛(51)에 있어서, 센서 수용부(145)에 의해 센서 기판(139)이 덮여 있는 것에 의해, 센서 기판(139)을 향하여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에 의하면, 커터 유닛(51)에 있어서,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의 내측에, 제 1 환상 벽부(157)가 마련되고, 회전부(119)의 회전 경로의 외측에, 제 2 환상 벽부(159)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전부(119)를 향하여 이물 혹은 외란광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것 외에, 이하와 같은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를, 각각 조합한 구성이어도 좋다.
회전부(119)는, 검출 치차(61)에 마련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 치차(59)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회전부(119)는 구동 치차(59)에 마련된 구성이어도 좋고, 구동 치차(59)와 일체로 회전하는 치차에 마련된 구성이어도 좋으며, 구동 치차(59)와 맞물려 있지 않지만, 구동 치차(59)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치차에 마련된 구성이어도 좋으며, 커터 모터(55)와 구동 치차(59) 사이에 마련된 구성이어도 좋다.
커버 부재(65)는 제 1 환상 벽부(157) 및 제 2 환상 벽부(159)의 쌍방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환상 벽부(157) 및 제 2 환상 벽부(159)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센서 기판(139)은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어 회로에 의해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센서 기판(139)은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에, 제어 회로에 의해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검출광이 회전부(119)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에, 제 1 칼날(53)이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하도록, 검출 치차(61)에 있어서의 회전부(119)의 위치를 변경하면 좋다.
[부기]
이하, 인쇄 장치에 대해 부기한다.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와,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커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와, 구동 치차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수발광부와,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센서 기판을 갖는 포토 센서와, 포토 센서를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과, 제 1 커터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센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에 의해 센서 기판이 덮여 있는 것에 의해, 센서 기판을 향하여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록지(P)는 "인쇄 매체"의 일 예이다.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와,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커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와, 구동 치차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수발광부와,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로 발광된 검출광이 회전부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센서 기판을 갖는 포토 센서와, 구동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과, 회전부의 회전 경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환상 벽부와, 회전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환상 벽부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 경로의 내측에 제 1 환상 벽부가 마련되며, 혹은, 회전 경로의 외측에 제 2 환상 벽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전부를 향하여 이물 혹은 외란광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치차와 맞물린 검출 치차를 구비하고, 검출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을 가지며, 회전부는, 제 1 검출 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 치차의 제 1 검출 단부면에 마련된 회전부를, 검출광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터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제 1 칼날, 커터 모터, 구동 치차, 검출 치차, 포토 센서 및 커버 부재를 수용한 제 2 커터 프레임을 구비하고, 커터 모터, 구동 치차, 검출 치차, 포토 센서 및 커버 부재는, 제 1 커터 프레임에 지지되고, 제 1 칼날은, 제 2 커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칼날이 회동하는 칼날 회동 영역과 제 1 커터 프레임 사이에, 커터 모터 및 구동 치차가 마련된 구동 영역과, 검출 치차, 포토 센서 및 커버 부재가 마련된 검출 영역이 마련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커터 프레임과 제 2 커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구동 단부면을 가지며, 제 2 구동 단부면에는, 구동 치차가 제 1 칼날을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구동 치차의 회전 중심과 검출 치차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2 구동 마크가 마련되며, 검출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검출 단부면을 가지며, 제 2 검출 단부면에는, 검출 치차가 센서 기판으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립 작업자는, 제 2 구동 마크와 제 2 검출 마크를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를 용이하게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검출 치차를 용이하게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제 1 구동 단부면을 가지며, 제 1 구동 단부면에는, 구동 치차가 제 1 칼날을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구동 치차의 회전 중심과 검출 치차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구동 마크가 마련되며, 제 1 검출 단부면에는, 검출 치차가 센서 기판으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검출 마크가 마련되며,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구동 마크 및 제 1 검출 마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제 1 마크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립 작업자는, 제 1 마크 개구로부터 제 1 구동 마크 및 제 1 검출 마크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는 동시에, 검출 치차가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의 외면에는, 커버 마크가 마련되고, 검출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검출 단부면을 가지며, 제 2 검출 단부면에는, 검출 치차가 센서 기판으로부터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검출 치차의 회전 중심과 커버 마크를 연결하는 커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3 검출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립 작업자는, 제 3 검출 마크를 커버 가상선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 치차를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제 1 구동 단부면을 가지며, 제 1 구동 단부면에는, 제 3 구동 마크가 마련되며,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구동 치차가 제 1 칼날을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 3 구동 마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제 2 마크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 2 마크 개구로부터 제 3 구동 마크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가,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터 프레임에 고정되며, 검출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검출 치차축을 구비하고,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검출 치차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검출 치차축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축 단부와 결합되는 축 결합 구멍이 마련되며, 제 1 축 단부에는, D컷 가공된 제 1 컷부가 마련되며, 검출 치차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검출 치차축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축 단부에는, D컷 가공된 제 2 컷부가 마련되며, 제 1 컷부와 제 2 컷부는, 검출 치차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립 작업자는, 제 2 컷부를 보는 것에 의해, 제 1 컷부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커터 모터에 의하지 않고, 구동 치차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조작부를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개구가 마련되며, 커버 부재는 조작부와, 구동 치차 및 검출 치차의 맞물림 부분 사이에 마련된 끼움 억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 개구로부터 진입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구동 치차와 검출 치차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와,
    상기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상기 커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와,
    상기 구동 치차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수발광부와, 상기 수발광부가 마련되는 센서 기판을 가지며,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상기 수광 소자로 발광된 검출광이 상기 회전부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포토 센서를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과,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기 센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인쇄 매체를 절단하는 제 1 칼날과,
    커터 모터와,
    상기 제 1 칼날과 결합되고, 상기 커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 치차와,
    상기 구동 치차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부와,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수발광부와, 상기 수발광부가 마련되는 센서 기판을 가지며,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상기 수광 소자로 발광된 검출광이 상기 회전부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구동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커터 프레임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 경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환상 벽부와, 상기 회전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환상 벽부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와 맞물린 검출 치차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치차는 제 1 검출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칼날, 상기 커터 모터, 상기 구동 치차, 상기 검출 치차, 상기 포토 센서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수용한 제 2 커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커터 모터, 상기 구동 치차, 상기 검출 치차, 상기 포토 센서 및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제 1 칼날은 상기 제 2 커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구동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구동 단부면에는, 상기 구동 치차가 상기 제 1 칼날을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구동 치차의 회전 중심과 상기 검출 치차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2 구동 마크가 마련되며,
    상기 검출 치차는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검출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검출 단부면에는, 상기 검출 치차가 상기 포토 센서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2 검출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제 1 구동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구동 단부면에는, 상기 구동 치차가 상기 제 1 칼날을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구동 치차의 회전 중심과 상기 검출 치차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구동 마크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에는, 상기 검출 치차가 상기 포토 센서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 검출 마크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상기 치차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구동 마크 및 상기 제 1 검출 마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제 1 마크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외면에는, 커버 마크가 마련되며,
    상기 검출 치차는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검출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검출 단부면에는, 상기 검출 치차가 상기 포토 센서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출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검출 치차의 회전 중심과 상기 커버 마크를 연결하는 커버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제 3 검출 마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상기 제 1 검출 단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제 1 구동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구동 단부면에는, 제 3 구동 마크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 치차가 상기 제 1 칼날을 절단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 치차 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3 구동 마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제 2 마크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검출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검출 치차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상기 검출 치차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치차축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축 단부와 결합되는 축 결합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축 단부에는, D컷 가공된 제 1 컷부가 마련되며,
    상기 검출 치차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치차축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축 단부에는, D컷 가공된 제 2 컷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컷부와 상기 제 2 컷부는, 상기 검출 치차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터 모터에 의하지 않고, 상기 구동 치차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터 프레임에는, 상기 조작부를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구동 치차 및 상기 검출 치차의 맞물림 부분 사이에 마련된 끼움 억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20220005722A 2021-01-19 2022-01-14 인쇄 장치 KR20220105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6186A JP2022110650A (ja) 2021-01-19 2021-01-19 印刷装置
JPJP-P-2021-006186 2021-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134A true KR20220105134A (ko) 2022-07-26

Family

ID=8240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722A KR20220105134A (ko) 2021-01-19 2022-01-14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7598A1 (ko)
JP (1) JP2022110650A (ko)
KR (1) KR20220105134A (ko)
CN (1) CN114801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578A (zh) * 2020-12-30 2021-03-02 精耐特(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湿水牛皮纸胶带切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4379A (ja) 2009-05-29 2010-12-09 Star Micronics Co Ltd 用紙カッター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8750B1 (en) * 1999-06-23 2002-06-25 Fuji Photo Film Co., Ltd. Printer capable of cutting margins
JP4706682B2 (ja) * 2007-09-26 2011-06-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重連印刷システム
JP6019962B2 (ja) * 2012-09-07 2016-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打抜き装置
JP6092621B2 (ja) * 2012-12-28 2017-03-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593113B2 (ja) * 2015-11-09 2019-10-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ター
CN106945106B (zh) * 2017-05-11 2018-09-28 福建实达电脑设备有限公司 一种带陶瓷切刀的自动切纸装置及其实现方法
CN208812768U (zh) * 2017-07-21 2019-05-03 东芝泰格有限公司 切割装置以及打印机
JP7072211B2 (ja) * 2017-11-24 2022-05-20 株式会社Isowa 段ボールシート給送装置、及び段ボールシート製函機
JP7375303B2 (ja) * 2019-01-21 2023-1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279370B2 (ja) * 2019-01-21 2023-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4379A (ja) 2009-05-29 2010-12-09 Star Micronics Co Ltd 用紙カッター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01518A (zh) 2022-07-29
CN114801518B (zh) 2023-09-22
JP2022110650A (ja) 2022-07-29
US20220227598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984B2 (en) Auto-cutter for roll paper printer
EP3275667B1 (en) Thermal printer and portable terminal
KR20220105134A (ko) 인쇄 장치
JP2009046251A (ja)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サイズ検知方法
JP2005194026A (ja) ロールシートホルダ及びテープ印刷装置
JP6092621B2 (ja) プリンタ装置
JP4204536B2 (ja) 用紙サイズ検知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08094008A (ja) 電子装置
WO2020116094A1 (ja) プリンタ
JP2007298133A (ja) 軸受装置
TW201544349A (zh) 帶匣
EP3831611A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CN214606608U (zh) 印字单元及热敏打印机
JP2007079375A (ja) 移動体固定装置およびスキャナキャリッジ固定装置
JPH05337877A (ja) オートカッター装置と機器
JP330050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49701A5 (ko)
US7942087B2 (en) Sheet pun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992548B2 (ja) ロール紙カッタ
KR101730225B1 (ko) 프린터
US20220153035A1 (en) Cartridge and tape printing device
WO2015146094A1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JP2006345587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210134028A (ko) 카트리지 및 테이프 인쇄 장치
KR20220105135A (ko) 인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