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225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225B1
KR101730225B1 KR1020140188284A KR20140188284A KR101730225B1 KR 101730225 B1 KR101730225 B1 KR 101730225B1 KR 1020140188284 A KR1020140188284 A KR 1020140188284A KR 20140188284 A KR20140188284 A KR 20140188284A KR 101730225 B1 KR101730225 B1 KR 10173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inter
guide shaft
carriage
carria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117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시모리
히로시 나리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3Framework with reduce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6Stac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정밀도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어, 부품의 조립이 용이한 프린터 프레임을 구비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으로서, 프린터(1)는 프린터 구성부품이 탑재되는 프린터 프레임(31)을 갖고, 프린터 프레임(31)은 베이스 프레임(3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2)에 장착한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을 갖고,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은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34, 35, 3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레임(34)에는, 인쇄 헤드(20)를 담지하는 헤드 캐리지(21)를 가이드하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이 가설되고, 제 2 프레임(35)과 제 3 프레임(36) 사이에는, 기록지(10)를 수납하는 기록지 수납부(11)가 배치된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 판금제의 프린터 프레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시리얼(serial)형의 프린터에서는, 기록지 수납부에 수납한 기록지 롤로부터 송출되는 기록지에,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헤드 캐리지에 탑재한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가 실행된다. 이러한 종류의 프린터에서는, 판금제의 프린터 프레임에 프린터 구성부품이 탑재된 구성의 프린터 기구부를 구비하고, 이 프린터 기구부가 플라스틱제의 프린터 케이스로 덮여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린터 프레임을 구비한 프린터는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 개시된 프린터에서는, 프린터 프레임에 개폐 프레임이 장착되고, 개폐 프레임을 개방하면, 기록지 롤을 수납하는 기록지 수납부가 개구되는 동시에, 기록지 수납부로부터 인쇄 헤드에 의한 위치를 경유하여 기록지 배출구에 이르는 기록지 반송로가 개방된다.
프린터 프레임은, 절곡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일체 구조를 하고 있다. 즉, 프린터 프레임에는, 바닥판 부분, 및 그 폭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프린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우의 측판 부분 등의 부분이 절곡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판 부분의 사이에는, 그 프린터 전후방향의 중간의 부분에 있어서 프린터 폭방향으로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된다. 캐리지 가이드축의 전방측의 부분에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부가 배치되고, 캐리지 가이드축의 후방측의 부분에는 기록지 롤의 수납부가 배치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10-83147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4-351928 호 공보
프린터 프레임에는, 바닥판 부분 및 좌우의 측판 부분이 절곡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이들 각 부분에는 프린터 구성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나사 구멍 형성 부분, 부품 장착용의 절곡판 부분, 부품 장착용의 절결 부분 등)가 형성된다. 따라서, 프린터 프레임은 전체로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고, 각 부분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프린터 프레임을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금형도 구조가 복잡하게 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각 프린터 구성부품을 프린터 본체 프레임에 조립할 때에는, 예를 들어 좌우의 측판 부분을 넓혀서 부품을 장착하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조립성도 나쁠 경우가 있다. 더욱이, 각종의 프린터 구성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절결부 등을 형성하면, 프린터 프레임의 굽힘 강도, 그 각 부분의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도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정밀도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부품의 조립이 용이한 프린터 프레임을 구비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강도·강성이 높은 프린터 프레임을 구비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프린터는,
프린터 구성부품이 탑재되는 프린터 프레임을 갖고,
상기 프린터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을 구비한 프린터 본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인쇄 헤드를 담지(擔持)하는 헤드 캐리지를 가이드하는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되고,
상기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3 프레임 사이에는,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 수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 프레임을 1매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 등에 의해 제조할 경우에 비하여, 각 부분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사용하는 프레스 성형용의 금형도 복잡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프린터 구성부품 프린터 본체 프레임에의 조립성도 개선된다. 예를 들면, 제 2, 제 3 프레임의 사이에 기록지 수납부의 구성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은, 일체 구성의 프린터 본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판 부분의 사이에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측판 부분의 변형, 조립 부품의 변형을 수반하는 일없이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극히 용이해진다. 또한, 높은 정밀도로 부품을 조립할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캐리지 가이드축을 프린터 본체 프레임에 장착할 경우에는, 단일의 제 1 프레임에 장착하면 좋다. 제 1 프레임은 프린터 본체 프레임의 전체가 일체 구조의 경우에 비하여, 정밀도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에는 캐리지 가이드축의 장착 부분을 정밀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 가이드축을 정밀도 양호하게 프린터 본체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프레임 및 제 3 프레임은 각각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동시에, 제 1 프레임에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 전체의 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이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축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터를 잘못해서 낙하시켰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캐리지 가이드축을 지지하고 있는 제 1 프레임의 가이드축 장착부에는, 중량이 있는 인쇄 헤드가 탑재된 헤드 캐리지측으로부터 큰 충격력이 작용한다. 제 1 프레임의 가이드축 장착부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그 베이스 지지부를 거쳐서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프린터의 내낙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 캐리지의 이동 방향을 프린터 폭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프린터 폭방향 및 프린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윤곽을 한 프레임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프린터 상하방향의 상측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하여, 프린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상기 제 2, 제 3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프린터 폭방향 및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과, 상기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프린터 폭방향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기 프린터 상하방향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과, 상기 직사각형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프린터 폭방향의 우측 단부로부터 상기 프린터 상하방향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 및 상기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 사이에,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양측의 축단부 각각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에 대하여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며,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에 대하여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위치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기록지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 반송로 및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지 파편(paper chaff) 방지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 캐리지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는 상기 기록지 반송로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터에 있어서는, 캐리지 가이드축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인쇄 헤드에 의해 기록지에 인쇄가 실행된다. 기록지 수납부로부터 기록지 배출구로 연장되는 기록지 반송로도 캐리지 가이드축의 근방 위치를 경유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기록지 반송로를 따라 인쇄 위치를 경유하여 반송되는 기록지로부터는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이 낙하 혹은 비산한다. 이러한 이물질은 기록지 반송로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캐리지 가이드축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특히, 도트 임팩트 헤드(dot impact head)의 경우에는, 잉크 리본을 거쳐서 도트 와이어를 기록지에 부딪치면서 인쇄를 실행하므로, 인쇄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이 기록지로부터 낙하 혹은 비산하기 쉽다. 캐리지 가이드축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이물질이 캐리지 가이드축과 헤드 캐리지의 사이의 미끄럼운동 부분에 막혀서, 헤드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캐리지 모터의 부하가 증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캐리지 가이드축의 근방에는, 헤드 캐리지의 이동 위치(home position)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식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송되는 기록지로부터 낙하한 이물질이 센서의 수광면 등에 부착되어, 센서의 검출 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의 발생 장소가 캐리지 가이드축 및 검출기에 대하여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발생한 이물질이 캐리지 가이드축과 헤드 캐리지의 사이의 미끄럼운동부, 검출기의 검출면 등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고, 이물질 부착에 기인하는 캐리지 모터의 부하 증대, 검출기의 검출 불량 등의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 캐리지는, 상기 기록지 반송로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는 상기 슬릿에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 캐리지에 마련한 슬릿에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 반송로 등의 이물질 발생 장소측으로부터 캐리지 가이드축, 검출기 등의 부분에 이르는 이물질 침입로를 복잡하게 뒤얽힌 경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이 캐리지 가이드축, 검출기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장착하여 둘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린터는, 상기 헤드 캐리지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 헤드의 접지용 단자부 및 도전성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쌍방에 접촉하여 있는 도전성의 헤드 접지 부재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상기 제 1 프레임에 접지하는 도전성의 가이드축 접지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리얼형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가 헤드 캐리지에 탑재되고,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측의 인쇄 헤드와 고정측의 제어 기판 사이는, 플렉시블(flexible) 프린트 배선 기판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쇄 헤드의 헤드 소자의 수가 증가하면, 각 헤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해서 배선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면, 도트 임팩트 매트릭스 헤드(dot impact matrix head)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수가 증가한다. 플렉시블 프린터 배선 기판에는, 일반적으로 인쇄 헤드를 접지하기 위한 GND 라인도 포함되어 있지만, 인쇄 헤드 구동용의 배선수가 증가하면, GND 라인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배선할 여유가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 헤드를 프린터 프레임에 접지하기 위한 GND 접지 라인이 캐리지 가이드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측의 인쇄 헤드와 고정측의 프린터의 제어 기판측을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GND 접지 라인을 마련하여 둘 필요가 없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축 접지 부재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 고정부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한쪽의 축단부면을 가압하고 있는 가이드축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지 가이드축을 제 1 프레임에 접지하기 위해 배치한 가이드축 접지 부재를 이용하여, 캐리지 가이드축의 축단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캐리지 가이드축의 덜걱거림(chatter)의 발생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라 인쇄 헤드를 탑재한 헤드 캐리지가 반복하여 이동하면, 헤드 캐리지의 미끄럼운동 부하에 의해, 제 1 프레임측에 지지되어 있는 캐리지 가이드축의 부분, 예를 들어 압입 고정 부분에 느슨함이 생기는 일이 있다. 캐리지 가이드축에 느슨함이 발생하면, 헤드 캐리지의 미끄럼운동에 수반하여 캐리지 가이드축에, 그 축선방향의 덜걱거림이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축 접지 부재에 의해 캐리지 가이드축이 그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 가이드축의 축선방향의 덜걱거림에 기인하여, 헤드 캐리지의 왕동(往動)시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의 인쇄 위치와, 복동(復動)시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의 인쇄 위치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는,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축단부에 마련한 편심축부와, 상기 편심축부에 고정되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상기 편심축부의 중심 주위로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편심 회전시키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를 상기 편심축부의 중심 주위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터에서는, 인쇄 헤드와, 이것에 대치하고 있는 플래튼(platen) 사이의 갭(gap)을 조정하기 위한 갭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갭 조정 기구로서, 캐리지 가이드축을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갭을 조정 가능한 기구가 있다. 이러한 형식의 갭 조정 기구에서는, 캐리지 가이드축의 축단부에 편심축부가 일체 형성되고, 이 편심축부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정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조정 부재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의 측판 부분의 외측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조정 부재를 회전시키면, 캐리지 가이드축이 편심 회전하므로, 캐리지 가이드축을 플래튼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는 헤드 캐리지에 탑재되어 있는 인쇄 헤드와 플래튼 사이의 갭을 증감할 수 있다.
갭을 조정후의 상태에 보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조정 부재에는 래치부(latch part)가 형성되고, 측판측에는, 래치부가 결합 가능한 복수의 홈부가 형성된다. 즉, 조정 부재에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의 측판 부분에 대치하는 부위에 래치부가 형성된다. 측판 부분의 표면에는, 조정 부재를 복수의 회전 각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홈부가 형성된다. 조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부는 하나의 홈에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조정 부재가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 보지된다. 가압력에 대항하여 조정 부재를 소망의 회전 각도 위치에 대응하는 홈까지 회전시켜, 상기 홈에 결합시키면, 조정 부재를 상기 회전 각도 위치에 보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 헤드로서 중량이 있는 것, 예를 들어 와이어 개수가 많은 도트 임팩트 헤드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래치부와 프레임측의 측판 부분의 홈부의 결합력만으로, 캐리지 가이드축을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 보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인쇄 헤드의 인쇄시에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구동되므로, 큰 충격력이 인쇄 헤드로부터 헤드 캐리지, 캐리지 가이드축을 거쳐서, 래치부와 홈부의 결합 부위에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력에 의해 래치부가 홈부로부터 빠지면, 조정 부재가 회전하고, 따라서 캐리지 가이드축이 편심 회전하여, 갭이 변동해버린다.
이와 같이, 도트 임팩트 프린터 등에 있어서, 대형의 인쇄 헤드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인쇄시에, 중량이 큰 인쇄 헤드의 인쇄 동작에 기인하여, 큰 충격력이 캐리지 가이드축을 거쳐서 조정 부재에 작용한다. 조정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편심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캐리지 가이드축이 편심 회전하여, 인쇄 헤드와, 이것에 대치하고 있는 플래튼 사이의 갭이 조정된다. 조정후의 회전 각도 위치에 조정 부재를 보지하기 위해서, 래치부가 홈부로 이루어지는 고정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큰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단일의 고정 기구에서는 확실하게 조정 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보지하여 두는 것이 곤란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제 2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정 부재가 회전하여, 갭이 변동해버린다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편심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형성한 소정 폭의 원호 홈과, 상기 원호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고정 나사와, 상기 고정 나사를 비틀어 삽입 가능한 나사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원호 홈은 상기 조정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 구멍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원호 홈에 대치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원호 홈을 통해서 상기 나사 구멍에 비틀어 삽입함으로써 상기 조정 부재를 상기 제 1 프레임에 체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고정식의 제 2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정 부재를 확실하게 조정 각도 위치에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로서 래치식의 고정 기구를 이용하면, 갭 조정시에, 조정 각도 위치에 조정 부재가 자동적으로 보지되므로,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장착한 제 4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4 프레임 사이에,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헤드 캐리지의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제 1 개구부로 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는 제 2 개구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봉쇄하는 제 1 봉쇄판과, 제 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봉쇄하는 제 2 봉쇄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트 임팩트 프린터에서는, 인쇄 동작에 의해 도트 임팩트 헤드가 고온이 된다. 조작자가 잘못해서 고온의 도트 임팩트 헤드에 접촉하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프레임에 장착한 제 4 프레임의 양단부에 제 1, 제 2 봉쇄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도트 임팩트 헤드에 조작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되어 있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잉크가 기록지에 전사되는 잉크 리본을 수납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봉쇄판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를 상기 장착부로 가이드하고,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의 송출측의 부위 및 잉크 리본의 회수측의 부위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 임팩트 프린터에서는, 잉크 리본을 거쳐서 인쇄 헤드의 와이어를 기록지에 충돌시켜서 도트 인쇄가 실행된다. 잉크 리본은 잉크 리본 카세트에 수납되고, 프린터에 마련한 카세트 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린터 본체 프레임의 카세트 장착부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의 좌우의 측판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다.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잉크 리본 카세트는, 잉크 리본의 수납부와, 이 수납부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송출측 아암부와, 수납부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송출측 아암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회수측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측 아암부에는 송출구가 형성되고, 회수측 아암부에는 회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리본은 송출구로부터 인출되어, 송출측 아암부의 선단과 회수측 아암부의 선단 사이에 가설되고, 회수구로부터 수납부 내로 회수된다. 쌍방의 아암부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잉크 리본의 부분이, 인쇄 헤드와 플래튼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캐리지 가이드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프린터의 카세트 장착부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아암부에 내측으로부터 대치하는 아암 대치면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아암 대치면은 결합 레버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잉크 리본 카세트의 한쪽의 아암부에는 결합 레버에 결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리본 카세트를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아암부를, 그 돌기가 결합 레버에 대하여 장착 방향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결합될 때까지 상기 아암부를 카세트 장착부로 압입한다. 그런 후에, 다른쪽의 아암부를 아암 대치면을 따라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카세트 장착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잉크 리본 카세트가 장착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 기구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한쪽의 아암부를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하고, 다음에 다른쪽의 아암부를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한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세트를, 한쪽의 아암부가 하측이 되고 다른쪽의 아암부가 상측이 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하고, 그런 후에 상측에 아암부를 카세트 장착부에 압입하는 것과 같은, 2단계의 장착 조작이 필요하다. 또한, 잉크 리본 카세트를 비스듬하게 한 상태로 한쪽의 아암을 장착하고, 다음의 다른쪽의 아암부를 장착하는 것과 같은 조작은 번잡하여,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종래의 장착 기구에서는, 장치의 소형화, 도트 임팩트 헤드의 대형화를 도모할 경우 등에 있어서도,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성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장치 치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잉크 리본 카세트를 대형으로 하면, 프린터 본체 프레임의 좌우의 측판 부분 사이의 카세트 장착부에 있어서, 그 양측의 부위에서, 장착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좌우의 아암부와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좁아져,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성이 저하해버린다.
또한, 잉크 리본 카세트를 카세트 장착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결합 레버 등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어, 종래와 같은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 기구를 채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는,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되어 있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잉크가 기록지에 전사되는 잉크 리본을 수납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봉쇄판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를 상기 장착부로 가이드하고,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의 송출측의 부위 및 잉크 리본의 회수측의 부위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4 프레임의 양단부에 배치한 제 1, 제 2 봉쇄판을 이용하여, 잉크 리본 카세트를 카세트 장착부로 가이드하고, 장착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양측의 아암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일이 없어, 적은 부품점수로, 잉크 리본 카세트의 가이드 및 지지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품점수의 증가,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제 2 봉쇄판은 상기 제 4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되어 있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부분의 사이에 마련된, 잉크 리본을 수납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를 상기 장착부로 가이드하는 제 1, 제 2 카세트 가이드와,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카세트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결합 가능한 제 1, 제 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1,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제 2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형성한 제 1, 제 2 카세트측 결합부는, 스냅 끼워맞춤식의 결합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의 프린터는 도트 임팩트 헤드를 구비한 도트 임팩트 프린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린터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린터의 개폐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린터의 기록지 반송로의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프린터의 내부의 프린터 기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프린터 기구부로부터 잉크 리본 카세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프린터 기구부로부터 일부의 부품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프린터 기구부의 프린터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프린터의 갭 조정 기구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1의 프린터의 인쇄 헤드의 접지 경로의 부분 사시도, 부분 측면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프린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프린터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개폐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프린터의 기록지 반송 경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프린터 폭방향을 X, 프린터 전후방향을 Y, 프린터 상하방향을 Z라고 하고, 프린터 좌측 및 우측은 프린터의 전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프린터 폭방향(X)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린터(1)는, 그 전후 좌우의 측면을 덮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의 본체 케이스(3)와, 프린터 상면의 전방측 부분을 덮는 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4)와, 프린터 상면의 후방측 부분을 덮는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5)를 구비하고, 이들에 의해 프린터 케이스(2)가 구성된다. 프린터 케이스(2)에 의해, 후술과 같이, 판금제의 프린터 프레임에 프린터 구성부품이 탑재된 구성의 프린터 기구부(30)가 덮여 있다. 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4)와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5) 사이에는 프린터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일정 폭의 기록지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터 케이스(2)에 있어서의 프린터 전면 부분에는 전원 스위치(7)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7)는 프린터 폭방향(X)의 우측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프린터 전면 부분에 있어서의 프린터 폭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프린터 후방으로 셋백(setback)하여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하단은 프린터 상방을 향하는 평탄한 조작면(8)으로 되어 있다.
조작면(8)은 패널 시트(panel sheet)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패널 시트에는, LED의 발광면인 원형의 표시부(8a, 8b, 8c)와, 패널 스위치(8d)가 배열되어 있다. 표시부(8a)는, 전원 스위치(7)를 온(on)으로 하면 점등하는 온오프 표시부이며, 표시부(8b)는 에러 발생시에 점등하는 에러 표시부이며, 표시부(8c)는 기록지가 떨어졌을 경우에 점등하는 용지 떨어짐 표시부이다. 표시부(8a)는 예를 들어 청색으로 점등하고, 표시부(8b, 8c)는 예를 들어 주황색으로 점등한다. 종래에 있어서는, 점등색으로서, 녹색과 적색의 조합이 일반적이지만, 본 예와 같이 청색과 주황색의 조합으로 하면, 색약 등의 색상의 식별에 대하여 장해가 있는 사람에게도 점등, 소등을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패널 스위치(8d)는 용지 이송 스위치이며, 상방으로 약간 돌출하여 있는 볼록원호형상, 원추사다리꼴형상 등의 볼록형상의 스위치이다. 패널 스위치(8d)는, 그 볼록형상의 외주면 부분이 내장의 LED로부터의 광을 난반사하므로, 각 방향으로부터의 스위치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면(8)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조작면으로 되어 있다.
프린터 케이스(2)에 있어서의 기록지 배출구(6)의 우측에는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5)를 개방하기 위한 슬라이드 버튼(9)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버튼(9)을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로크(lock)가 해제되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5)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5)를 개방하면, 기록지 롤(10)의 수납부인 기록지 수납부(11)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기록지 롤(10)의 교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4)를 개방하면, 잉크 리본을 수납한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13)(도 3 참조)가 상방으로 노출되어,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교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터(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의 내부에는, 그 후방측의 부분에 기록지 수납부(11)가 배치되어 있다. 기록지 수납부(11)는 프린터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방으로 개구된 원호형상의 바닥판 부분(14)을 구비하고, 여기에 기록지 롤(10)이 프린터 폭방향(X)에 횡방향으로 된 전동(轉動) 가능한 상태로 장전된다. 기록지 롤(10)로부터 인출되는 기록지(10a)는 기록지 수납부(11)의 전단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15)를 거쳐서 기록지 반송로(16)로 인도된다. 기록지 반송로(16)는 프린터 전후방향(Y)의 전방을 향해서 약간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반송로 부분(16a)과, 이 반송로 부분(16a)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큰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반송로 부분(16b)과, 이 반송로 부분(16b)의 상단으로부터 기록지 배출구(6)까지 연장되는 반송로 부분(16c)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는, 기록지 반송로(16) 및 기록지(10a)를 1개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반송로 부분(16a)은 상측의 반송 가이드(17)와 하측의 반송 가이드(18)에 의해 규정된다. 반송로 부분(16b)은 상측의 반송 가이드(17)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플래튼(19)과, 이것에 대치하여 있는 도트 임팩트식의 인쇄 헤드(20)의 헤드면(20a)에 의해 규정되고, 이들 사이의 위치가 기록지(10a)의 인쇄 위치이다. 인쇄 헤드(20)는 그 헤드면(20a)이 후방을 향해, 상방으로 약간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인쇄 헤드(20)는 헤드 캐리지(21)에 탑재되어 있고, 헤드 캐리지(21)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을 따라 프린터 폭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헤드 캐리지(21)에 있어서의 프린터 상측의 부분에는, 카세트 장착부(13)가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되는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잉크 리본(도시하지 않음)은, 인쇄 헤드(20)의 헤드면(20a)과 플래튼(19) 사이에, 이들에 평행한 상태로 프린터 폭방향(X)으로 가설된 상태가 된다.
반송로 부분(16b)과 기록지 배출구(6) 사이를 연결하는 반송로 부분(16c)에는, 용지 이송 롤러(23)와, 기록지(10a)를 사이에 두고 용지 이송 롤러(23)에 가압되는 용지 가압 롤러(24)가 배치되어 있다. 기록지(10a)는 용지 이송 롤러(23)에 의해 기록지 반송로(16)를 따라 반송된다.
반송로 부분(16c)에 있어서의 기록지 배출구(6)의 근방에는, 기록지(10a)를 그 폭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가위식의 자동 절단 유닛(25)이 배치되어 있다. 자동 절단 유닛(25)은, 예를 들어 반송로 부분(16b)을 사이에 두고 고정날과 가동날이 배치되고, 이들 사이의 위치에서 기록지(10a)를 절단한다. 또한, 기록지 배출구(6)에 있어서의 프린터 전방측의 부위에는, 수동 조작에 의해 기록지(10a)를 절단 가능한 절단날(27)이 배치되어 있다.
(프린터 프레임)
도 4는 프린터 케이스(2)에 의해 덮여 있는 프린터 기구부(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분리한 상태의 프린터 기구부(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프린터 기구부(30)에 있어서 카세트 장착부(13)의 일부의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린터 기구부의 프린터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프린터 기구부(30)는 도 7에 도시하는 판금제의 프린터 프레임(31)에 프린터 구성부품이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주로 도 7을 참조하여 프린터 프레임(31)의 구성을 설명한다. 프린터 프레임(31)은 베이스 프레임(3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2)에 장착한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을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은 제 1 프레임(34), 제 2 프레임(35) 및 제 3 프레임(36)의 3개의 프레임을 나사 등의 체결금구(締結金具)에 의해 서로 체결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32)은, 프린터 폭방향(X) 및 프린터 전후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윤곽을 한 프레임이며, 프린터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32a)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32a)의 전후의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전면판 부분(32b), 후면판 부분(32c), 및 베이스 플레이트(32a)의 좌우의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측판 부분(32d), 우측판 부분(32e)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32)의 베이스 플레이트(32a) 위에,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34, 35, 36)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이 장착되어 있다. 제 1 프레임(34)은 프린터 전후방향(Y)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프레임(34)에는, 캐리지 가이드축(22)(도 4 내지 도 6)이 프린터 폭방향(X)으로 가설된다. 또한, 제 1 프레임(34)에는, 카세트 장착부(13)(도 4 내지 도 6)가 배치된다. 제 2, 제 3 프레임(35, 36)은 제 1 프레임(34)에 대하여 프린터 전후방향(Y)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제 3 프레임(35, 36)의 사이에는 기록지 수납부(11)(도 4 내지 도 6)가 배치된다. 또한, 제 2, 제 3 프레임(35, 36)의 후단부에는, 후방측 개폐 덮개 프레임(5a)(도 4 내지 도 6)의 후단이 상하방향의 회동 가능에 장착되어 있다. 후방측 개폐 덮개 프레임(5a)에는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5)가 장착되어, 후방측 개폐 덮개가 구성된다(도 2 참조).
제 1 프레임(34)은 직사각형의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에 있어서의 프린터 폭방향(X)의 좌우의 단부 에지에는, 프린터 상하방향(Z)의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 및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과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에 있어서의 프린터후방측의 부분에는, 프린터 폭방향(X)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34d, 34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 구멍(34d, 34e)의 사이에, 캐리지 가이드축(22)(도 4 내지 도 6)이 가설된다.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은, 그 전단 에지가 베이스 플레이트(32a)의 상면에 탑재되어 있지만, 그 후단 에지는 베이스 플레이트(32a)로부터 소정의 높이 위치가 되도록 경사 배치되어 있다.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 각각에 있어서, 축 구멍(34d, 34e)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직하의 하단 에지 부분에는,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이 경사 배치되도록, 그들의 하측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다리판 부분(34f), 우측 다리판 부분(34g)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다리판 부분(34f), 우측 다리판 부분(34g)의 하단은 프린터 폭방향(X)의 내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좌측 체결판 부분(34h), 우측 체결판 부분(34i)으로 되어 있다. 이들 좌측 체결판 부분(34h), 우측 체결판 부분(34i)에는 각각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체결 나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2a)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34)은, 이들 좌측 체결판 부분(34h), 우측 체결판 부분(34i)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도 체결 나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2a)에 체결 고정 가능하다.
제 2 프레임(35)은,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프린터 상하방향(Z)으로 기립한 상태로 프린터 전후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프레임(35)의 하단 에지에는, 복수 개소에 있어서 프린터 폭방향(X)의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체결판 부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들 체결판 부분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체결판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체결 나사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2a)에 체결 고정되는 제 1 체결부이다. 또한, 제 2 프레임(35)의 전단 에지에는, 프린터 폭방향(X)의 내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체결판 부분(35a)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복수개, 예를 들어 2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판 부분(35a)에는, 프린터 전후방향(Y)의 후방측으로부터,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의 후단 에지에 형성한 체결판 부분(34j)이 접촉하여 있다. 체결판 부분(34j)에도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판 부분(35a, 34j)을 도시하지 않은 체결 나사에 의해 체결 고정함으로써,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과 제 2 프레임(35)이 체결 고정된다. 체결판 부분(35a)은 제 1 프레임(34)에 체결 고정되는 제 2 체결부이다.
제 3 프레임(36)은,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보다 소정량만큼 프린터 폭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고, 프린터 상하방향(Z)으로 기립한 상태로 프린터 전후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프레임(36)의 하단 에지에는, 복수 개소에 있어서 프린터 폭방향(X)의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체결판 부분(36a)(제 1 체결부)이 형성되고, 이들 체결판 부분(36a)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체결 나사를 이용하여 각 체결판 부분(36a)이 베이스 플레이트(32a)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제 3 프레임(36)의 전방측의 하단 에지 부분에는, 프린터 폭방향(X)의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체결판 부분(3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판 부분(36b)의 선단 부분에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체결 나사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이 복수의 프레임(34 내지 36)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을 1매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 등에 의해 제조할 경우에 비하여, 각 프레임(34 내지 36)의 제조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사용하는 프레스 성형용의 금형도 복잡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프린터 구성부품의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에의 조립성도 개선된다.
예를 들면, 제 2, 제 3 프레임(35, 36)의 사이에 기록지 수납부(11)의 구성부품인 바닥판 부분(14) 등을 조립하는 작업은, 일체 구성의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판 부분의 사이에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측판 부분의 변형, 조립 부품의 변형을 수반하는 일없이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극히 용이해진다.
또한, 높은 정밀도로 조립이 필요한 캐리지 가이드축(22)을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에 장착할 경우에는, 단일의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의 사이에 장착하면 좋다. 제 1 프레임(34)은,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의 전체가 일체 구조인 경우에 비하여, 정밀도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34)에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장착 부분인 축 구멍(34d, 34e)을 정밀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 가이드축(22)을 정밀도 양호하게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에 조립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프레임(34 내지 36)은 각각 베이스 프레임(32)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34)과 제 2 프레임(35)이 서로 체결 고정되고, 제 1 프레임(34)과 제 3 프레임(36)이 서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프레임(35) 및 제 3 프레임(36) 각각은 베이스 프레임(32)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 및 제 1 프레임(34)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33)의 전체의 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은, 그들의 가이드축 장착부인 축 구멍(34d, 34e)의 직하의 부위가 베이스 프레임(32)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32)에 의해 지지된 베이스 지지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터(1)를 잘못해서 낙하시켰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을 지지하고 있는 제 1 프레임(34)의 축 구멍(34d, 34e)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는, 중량이 있는 인쇄 헤드(20)가 탑재된 헤드 캐리지(21)측으로부터, 큰 충격력이 작용한다. 충격력은 제 1 프레임(34)을 거쳐서 베이스 프레임(32)측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프린터(1)의 내낙하성을 높일 수 있다.
(카세트 장착부)
다음에,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프린터 프레임(31)의 제 1 프레임(34)에 배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1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쇄 헤드(20)를 탑재한 헤드 캐리지(21)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을 따라 프린터 폭방향(X)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들 인쇄 헤드(20) 및 헤드 캐리지(21)의 이동 공간은, 캐리지 가이드축(22)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과, 상측에 배치한 제 4 프레임인 리본 프레임(37)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리본 프레임(37)은,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천장판 부분(37a), 그 전방측의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직사각형 전면판 부분(37b), 및 천장판 부분(37a)의 후방측의 에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하방으로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후면판 부분(37c)을 구비하고 있다. 리본 프레임(37)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판 부분(37a)에 있어서의 좌우의 단부 에지에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동일 형상의 측판 부분(3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 부분(37d)은 그 프린터 후방측의 부위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 연장 부분(37f)을 구비하고 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본 프레임(37)의 전방측의 부분에는,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과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 사이에, 프린터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장착부 바닥판(38)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 바닥판(38)에 의해 카세트 장착부(13)의 바닥면이 규정되어 있다. 장착부 바닥판(38)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측에 있어서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에 장착한 잉크 리본 이송 기구의 구성부품 등을 덮어서 숨기고 있다.
여기에서, 잉크 리본 카세트(1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윤곽을 한 편평한 잉크 리본 수납부(12a), 좌측 아암부(12b) 및 우측 아암부(12c)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 리본 수납부(12a)에는 잉크 리본(12A)이 수납되어 있다. 좌측 아암부(12b) 및 우측 아암부(12c)는, 잉크 리본 수납부(12a)에 있어서의 장변방향(長邊方向)의 양단부로부터, 그 단변방향(短邊方向)으로 동일 길이만큼 돌출하여 있다. 잉크 리본(12A)은, 우측 아암부(12c)의 근원부(根元部)에 형성한 회수구(12d)로부터 잉크 리본 수납부(12a) 내로 회수되고, 좌측 아암부(12b)의 선단부에 형성한 송출구(12i)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되고 있는 잉크 리본(12A)의 부분은,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아암부(12b)의 선단과 우측 아암부(12c)의 선단 사이에 가설된 상태로 둘러쳐져 있다.
잉크 리본 수납부(12a)의 상면에 있어서의 장변방향의 중앙부로부터는, 단변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판(12e)이 수직으로 돌출하여 있다. 수납부(12a)의 장변방향의 우측 단부에는, 잉크 리본(12A)을 권취하기 위한 손잡이(12f)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 리본 수납부(12a)의 양측의 좌우의 단변측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12g) 및 스냅 끼워맞춤용의 결합부(12h)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2g)은, 잉크 리본 수납부(12a)의 좌우의 단변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좌측 아암부(12b), 우측 아암부(12c)측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 잉크 리본 수납부(12a)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정 폭의 가이드 홈이다. 결합부(12h)는, 잉크 리본 수납부(12a)의 좌우의 측면에 있어서, 가이드 홈(12g)에 인접한 부위에 마련된 탄성 변위 가능한 부위이다.
이것에 대하여, 카세트 장착부(13)의 바닥면을 규정하고 있는 장착부 바닥판(38)은,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프린터 폭방향(X)의 양단부 에지에는,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동일 형상을 한 측판 부분(38b)이 형성되어 있다(도 5에 있어서는 좌측의 측판 부분(38b)만을 도시하고 있음). 측판 부분(38b)에는, 가이드판 부분(38c) 및 스냅 끼워맞춤용의 결합 돌기(38d)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 부분(38c)은 상단 부분이 프린터 폭방향(X)의 외측으로 퍼지도록 경사져 있다. 결합 돌기(38d)는 프린터 폭방향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하여 있는 일정 폭의 돌기이다.
카세트 장착부(13)의 바닥면을 규정하고 있는 장착부 바닥판(38)은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수납부(12a)를 장착 가능한 넓이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과, 이것에 내측으로부터 대치하고 있는 리본 프레임(37)의 좌측의 측판 부분(37d) 사이에는,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좌측 아암부(12b)를 상측으로부터 집어넣기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과, 리본 프레임(37)의 우측의 측판 부분(37d) 사이에는,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우측 아암부(12c)를 상측으로부터 집어넣기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12)는 카세트 장착부(13)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 가능하다. 장착에 있어서는,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좌측 아암부(12b), 우측 아암부(12c)를, 리본 프레임(37)의 양측의 측판 부분(37d)의 외측 표면을 따라 압입하는 동시에,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잉크 리본 수납부(12a)를, 그 양측의 가이드 홈(12g)에 장착부 바닥판(38)의 양측의 가이드판 부분(38c)이 삽입되도록 위치 결정하여, 장착부 바닥판(38)을 향해서 압입한다.
잉크 리본 카세트(12)는, 프린터(1)측의 리본 프레임(37)의 측판 부분(37d) 및 장착부 바닥판(38)의 양측의 가이드판 부분(38c)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이드되어서,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된다.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장착 위치까지 압입하면, 그 잉크 리본 수납부(12a)의 양측의 스냅 끼워맞춤용의 결합부(12h)가 장착부 바닥판(38)측의 결합 돌기(38d)에 결합된다. 이 결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12)가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된다.
잉크 리본 카세트(12)는 소정의 결합력으로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된 상태로 보지된다.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카세트 장착부(13)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손잡이판(12e)을 손가락으로 잡고,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스냅 끼워맞춤식의 결합부(12h)가 카세트 장착부(13)측의 결합 돌기(38d)로부터 분리되어, 잉크 리본 카세트(12)를 카세트 장착부(13)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잉크 리본 카세트(12)는, 카세트 장착부(13)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상기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할 수 있고, 반대방향에 끌어올림으로써, 상기 카세트 장착부(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착탈 조작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 장착부(13)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세트(12)에 있어서, 그 좌측 아암부(12b) 및 우측 아암부(12c)에 대하여 그들의 내측으로부터 리본 프레임(37)의 양측의 측판 부분(37d)의 연장판 부분(37f)이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들 연장판 부분(37f)에 의해 좌측 아암부(12b), 우측 아암부(12c)가 지지된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착탈시 등에 있어서, 좌측, 우측 아암부(12b, 12c)에 무리한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연장판 부분(37f)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파손 등의 우려가 없다.
또한, 본 예에서는, 리본 프레임(37)의 양측에 측판 부분(37d)을 마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0)를 탑재한 헤드 캐리지(21)의 이동 공간을 덮고 있는 리본 프레임(37)의 양측의 측판 부분(37d)은, 이동 공간의 프린터 폭방향(X)의 양측의 개구 부분을, 장착된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좌측 아암부(12b), 우측 아암부(12c)와 함께 실질적으로 덮어서 숨긴다. 즉, 측판 부분(37d)은, 잉크 리본 카세트(12)의 가이드 및 좌우의 아암부(12b, 12c)의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이동 공간의 측방의 개구 부분을 봉쇄하는 봉쇄판으로서도 기능한다.
프린터(1)에 있어서는, 인쇄 동작에 의해 도트 임팩트 헤드인 인쇄 헤드(20)가 고온으로 된다. 조작자가 잘못해서 고온의 인쇄 헤드(20)에 접촉하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리본 프레임(37)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 등이 인쇄 헤드(20)에 접촉하지 않도록, 봉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폐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 침입 방지판)
다음에,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1 프레임(34)에 장착되어 있는 이물질 침입 방지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4)에 있어서의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34b)과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 사이에는,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이 가설되어 있다.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은 전체로서 직사각형의 판이며, 기록지 반송로(16)와 캐리지 가이드축(22) 사이에서, 캐리지 가이드축(22)을 따르는 방향인 프린터 폭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은,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에 있어서의 프린터 후방측의 에지 단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3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한 자세로 프린터 폭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은 캐리지 가이드축(22)에 대하여 프린터 상하방향(Z)의 하측의 높이 위치부터 인쇄 헤드(20)에 의한 인쇄 위치 근방의 높이 위치에 이르는 폭 치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드 캐리지(21)에 있어서의 기록지 반송로(16)측의 부위에는, 프린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정 폭의 슬릿(2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a)은, 헤드 캐리지(21)에 있어서, 프린터 폭방향(X)의 양단부로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21a)에는 하측으로부터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의 상측의 부분(39a)이 집어넣어져 있다. 헤드 캐리지(21)는 슬릿(21a)에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의 상측의 부분(39a)이 집어넣어진 상태로 캐리지 가이드축(22)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기록지 반송로(16)를 따라 인쇄 위치를 향해서 반송되는 기록지(10a)로부터 낙하 혹은 비산한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은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에 의해 캐리지 가이드축(22)측으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캐리지 가이드축(22)의 근방 위치에는, 헤드 캐리지(21)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40)가 배치되어 있다. 검출기(40)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캐리지(21)가 프린터 폭방향(X)의 좌측 단부에 설정한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홈 포지션 센서이다. 검출기(40)는 예를 들어 투과형의 포토센서(photosensor)이다.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에 의해,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이 검출기(40)측까지 침입하여, 상기 검출기(40)에 부착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캐리지 가이드축(22)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이물질이 캐리지 가이드축(22)과 헤드 캐리지(21) 사이의 미끄럼운동 부분에 막혀서, 헤드 캐리지(21)를 이동시키는 캐리지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부하가 증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캐리지 가이드축(22)의 근방의 검출기(40)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검출 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본 예에서는,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의 발생 장소인 기록지 반송로(16)가 캐리지 가이드축(22) 및 검출기(40)로부터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발생한 이물질이 캐리지 가이드축(22)과 헤드 캐리지(21)의 사이의 미끄럼운동부, 검출기(40)의 검출면 등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어, 이물질 부착에 기인하는 캐리지 모터의 부하 증대, 검출기(40)의 검출 불량 등의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이물질 침입 방지판(39)의 상측의 부분이, 헤드 캐리지(21)에 형성한 슬릿(21a)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 반송로(16) 등의 이물질 발생 장소측으로부터 캐리지 가이드축(22), 검출기(40) 등의 부분에 이르는 이물질 침입 경로가 뒤얽힌 복잡한 경로가 된다. 따라서, 용지 파편 등의 이물질이 캐리지 가이드축(22), 검출기(40)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갭 조정 기구의 고정 기구)
다음에, 도 8의 (a)는 프린터(1)의 플래튼 갭 조정 기구를 조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그 부분 단면도이다.
프린터(1)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20)의 헤드면(20a)과, 이것에 대치하고 있는 플래튼(19) 사이의 갭(도 3 참조)을 조정하기 위한 갭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본 예의 갭 조정 기구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을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22)에 미끄럼운동 가능에 장착한 헤드 캐리지(21)에 탑재되어 있는 인쇄 헤드(20)를, 플래튼(19)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갭을 조정할 수 있다. 좌우의 갭 조정 기구는 동일 구성이므로, 우측의 갭 조정 기구를 설명하고, 다른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갭 조정 기구(50)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축단부에, 일정량만큼 편심시킨 상태로 형성한 원형 단면의 편심축부(51)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축부(51)는, 제 1 프레임(34)의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의 축 구멍(34e)을 통해서 프린터 폭방향(X)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편심축부(51)에 있어서의 축 구멍(34e)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축 부분은 갭 조정용의 조정 부재인 조정 롤러(52)의 베어링 구멍(52a)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조정 롤러(52)에는,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팔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팔부(52b)의 선단부에는 래치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의 외측 표면에는, 래치부(52c)의 이동 궤적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래치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롤러(52)의 팔부(52b)의 래치부(52c)는 래치 홈(53) 중 하나에 소정의 가압력으로 끼워넣어져 있다. 래치부(52c)가 래치 홈(53)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부에 의해, 조정 롤러(52)는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 보지된다.
또한, 조정 롤러(52)에는, 상기 조정 롤러(52)를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 보지하기 위해서 제 2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제 2 고정부는, 편심축부(51)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형성한 소정 폭의 원호 홈(54)과, 원호 홈(5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고정 나사(55)와, 고정 나사(55)를 비틀어 삽입 가능한 나사 구멍(56)을 구비하고 있다.
원호 홈(54)은 조정 롤러(5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팔부(52b)에 간섭하지 않는 부위에 일체 형성된 연장판 부분(52d)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56)은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에 있어서의 원호 홈(54)에 대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나사(55)를, 원호 홈(54)을 통해서 나사 구멍(56)에 비틀어 삽입함으로써, 조정 롤러(52)를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에 체결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갭 조정 기구에 있어서, 나사(55)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조정 롤러(52)를 강제적으로 회전하여, 갭을 조정할 수 있다. 소정의 갭이 얻어진 위치에서, 조정 롤러(52)의 래치부(52c)가 래치 홈(53)에 끼워지고, 조정 롤러(52)가 조정후의 회전 각도 위치에 보지된다. 또한, 조정후에는, 고정 나사(55)를 조임으로써, 조정 롤러(52)가 조정후의 회전 각도 위치에 확실하게 보지된다.
인쇄 헤드(20)로서 중량이 있는 것, 예를 들어 와이어 개수가 많은 도트 임팩트 헤드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래치부(52c)와 래치 홈(53)의 결합력만으로, 캐리지 가이드축(22)을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 보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인쇄 헤드(20)의 인쇄시에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구동되므로, 큰 충격력이 인쇄 헤드(20)로부터 헤드 캐리지(21), 캐리지 가이드축(22)을 거쳐서, 래치부(52c)와 래치 홈(53)의 결합 부위에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력에 의해 래치부(52c)가 래치 홈(53)으로부터 빠지면, 조정 롤러(52)가 회전하고, 따라서 캐리지 가이드축(22)이 편심 회전하여, 갭이 변동해버린다.
본 예에서는, 조정 롤러(52)의 고정 기구로서, 래치부(52c) 및 래치 홈(53)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부에 부가하여, 고정 나사(55)를 이용한 제 2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조정 롤러(52)가 회전하여, 갭이 변동해버린다라는 폐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나사(55)를 느슨하게 하면, 래치식의 제 1 고정부에 의해 조정 롤러(52)가 고정되어 있는 것뿐으므로, 갭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인쇄 헤드의 접지 경로)
다음에, 도 9의 (a)는 인쇄 헤드(20)의 접지 경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그 부분 측면도이다. 시리얼형의 프린터(1)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20)가 헤드 캐리지(21)에 탑재되고, 캐리지 가이드축(22)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동측의 인쇄 헤드(20)와, 인쇄 헤드(20)를 구동 제어하는 헤드 드라이버(head driver) 등의 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고정측의 제어 기판(도시하지 않음) 사이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쇄 헤드(20)의 헤드 소자인 와이어의 개수가 증가하면, 다수개의 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해서 배선수가 증가한다. 플렉시블 프린터 배선 기판에는, 일반적으로 인쇄 헤드(20)를 접지하기 위한 GND 라인도 포함되어 있다. 인쇄 헤드 구동용의 배선수가 증가하면, GND 라인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배선할 여유가 없는 경우도 있다. 본 예에서는, 도전성 부재인 캐리지 가이드축(22)을 접지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인쇄 헤드(20)의 프린터 프레임(31)에 접지하고 있다.
도 6,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캐리지(21)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지용 단자판(41)이 탑재되어 있다. 접지용 단자판(41)은 인쇄 헤드(20)의 접지용 단자부인 도전성의 헤드 케이스(20b)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접지용 단자판(41)은,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외주면에 가압되어 있고, 헤드 캐리지(21)의 이동에 수반하여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외주면을 미끄럼운동하여, 전기적인 접촉 상태가 항상 유지된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프레임(31)의 제 1 프레임(34)에 있어서의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에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을 상기 제 1 프레임(3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도전성의 가이드축 접지판(42)이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축 접지판(42)은, 프레임 장착 부분(42a)과, 이 프레임 부착 부분(42a)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프레임 부착 부분(42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축 접촉 부분(42b)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축 접지판(42)의 프레임 부착 부분(42a)은 고정용의 나사(43)에 의해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우측의 축단부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편심축부(51)로 되어 있고, 이 편심축부(51)가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34c)의 축 구멍(34e)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량만큼 돌출하여 있다. 이러한 편심축부(51)에 갭 조정용의 조정 롤러(52)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편심축부(51)는, 조정 롤러(52)의 중심의 베어링 구멍(52a)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량만큼 돌출하여 있고, 이러한 축단부(51)의 축단부면(51a)에, 가이드축 접지판(42)의 가이드축 접촉 부분(42b)의 선단면이 소정의 가압력을 수반하여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쇄 헤드(20)를 프린터 프레임(31)에 접지하기 위한 GND 접지 라인이, 접지용 단자판(41), 캐리지 가이드축(22) 및 가이드축 접지판(4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측의 인쇄 헤드(20)와 고정측의 프린터의 제어 기판(도시하지 않음)측을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GND 접지 라인을 마련하여 둘 필요가 없다.
또한, 가이드축 접지판(42)은 소정의 가압력으로 캐리지 가이드축(22)을 그 축선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가이드축 접지판(42)의 가압력에 의해,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축선방향의 덜걱거림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즉, 캐리지 가이드축(22)을 따라 인쇄 헤드(20)를 탑재한 헤드 캐리지(21)가 반복하여 이동하면, 헤드 캐리지(21)의 미끄럼운동 부하에 의해, 제 1 프레임(34)에 지지되어 있는 캐리지 가이드축(22)의 부분, 본 예에서는, 그 양측에 압입 고정한 조정 롤러(52)에 약간이지만 축선방향으로 느슨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캐리지 가이드축(22)에 축선방향의 느슨함이 발생하면, 헤드 캐리지(21)의 미끄럼운동에 수반하여 캐리지 가이드축(22)에 그 축선방향으로 덜걱거림이 생긴다. 캐리지 가이드축(22)의 축선방향의 덜걱거림에 기인하여, 헤드 캐리지(21)의 왕동시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20)의 인쇄 위치와, 복동시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20)의 인쇄 위치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폐해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예에서는, 가이드축 접지판(42)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이러한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상기의 프린터(1)에서는, 인쇄 헤드(20)로서 도트 임팩트 헤드가 구비되어 있다. 인쇄 헤드(20)로서 서멀 헤드(thermal head), 잉크젯 헤드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X : 프린터 폭방향, Y : 프린터 전후방향, Z : 프린터 상하방향, 1 : 프린터, 2 : 프린터 케이스, 3 : 본체 케이스, 4 : 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 5 : 후방측 개폐 덮개 케이스, 6 : 기록지 배출구, 7 : 전원 스위치, 8 : 조작면, 8a, 8b, 8c : 표시부, 8d : 패널 스위치, 9 : 슬라이드 버튼, 10 : 기록지 롤, 10a : 기록지, 11 : 기록지 수납부, 12 : 잉크 리본 카세트, 12a : 수납부, 12b : 좌측 아암부, 12c : 우측 아암부, 12d : 송출구, 12e : 손잡이판, 12f : 손잡이, 12g : 가이드 홈, 12h : 결합부, 12A : 잉크 리본, 13 : 카세트 장착부, 14 : 바닥판 부분, 15 : 가이드 롤러, 16 : 기록지 반송로, 16a : 반송로 부분, 16b : 반송로 부분, 16c : 반송로 부분, 17 : 반송 가이드, 18 : 반송 가이드, 19 : 플래튼, 20 : 인쇄 헤드, 20a : 헤드면, 20b : 헤드 케이스, 21 : 헤드 캐리지, 21a : 슬릿, 22 : 캐리지 가이드축, 23 : 용지 이송 롤러, 24 : 용지 가압 롤러, 25 : 자동 절단 유닛, 27 : 절단날, 30 : 프린터 기구부, 31 : 프린터 프레임, 32 : 베이스 프레임, 32a : 베이스 플레이트, 32b : 전면판 부분, 32c : 후면판 부분, 32d : 좌측판 부분, 32e : 우측판 부분, 33 : 프린터 본체 프레임, 34 : 제 1 프레임, 34a :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 34b :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 34c :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 34d : 축 구멍, 34e : 축 구멍, 34f : 좌측 다리판 부분, 34g : 우측 다리판 부분, 34h : 좌측 체결판 부분, 34i : 우측 체결판 부분, 34j : 체결판 부분, 35 : 제 2 프레임, 35a : 체결판 부분, 36 : 제 3 프레임, 36a : 체결판 부분, 36b : 체결판 부분, 37 : 리본 프레임, 37a : 천장판 부분, 37b : 전면판 부분, 37c : 후면판 부분, 37d : 측판 부분, 37f : 측판 연장 부분, 38 : 장착부 바닥판, 38b : 측판 부분, 38c : 가이드판 부분, 38d : 결합 돌기, 39 : 이물질 침입 방지판, 39a : 부분, 40 : 검출기, 41 : 접지용 단자판, 42 : 가이드축 접지판, 42a : 프레임 장착 부분, 42b : 가이드축 접촉 부분, 43 : 나사, 50 : 갭 조정 기구, 51 : 편심축부, 52 : 조정 롤러, 52a : 베어링 구멍, 52b : 팔부, 52c : 래치부, 52d : 연장판 부분, 53 : 래치 홈, 54 : 원호 홈, 55 : 고정 나사, 56 : 나사 구멍

Claims (17)

  1. 프린터 구성부품이 탑재되는 프린터 프레임을 갖고,
    상기 프린터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한 프린터 본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린터 본체 프레임은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인쇄 헤드를 담지하는 헤드 캐리지를 가이드하는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되고,
    상기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3 프레임 사이에는,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 수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 장착한 제 4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4 프레임 사이에,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헤드 캐리지의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제 1 개구부로 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는 제 2 개구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봉쇄하는 제 1 봉쇄판과, 제 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봉쇄하는 제 2 봉쇄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이 가설되어 있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잉크가 기록지에 전사되는 잉크 리본을 수납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봉쇄판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장착부로 가이드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의 송출측의 부위 및 잉크 리본의 회수측의 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이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축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캐리지의 이동 방향을 프린터 폭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프린터 폭방향 및 프린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윤곽을 한 프레임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프린터 상하방향의 상측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하여, 프린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상기 제 2, 제 3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프린터 폭방향 및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과, 상기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프린터 폭방향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기 프린터 상하방향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과, 상기 제 1 프레임 바닥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프린터 폭방향의 우측 단부로부터 상기 프린터 상하방향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 및 상기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 사이에,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양측의 축단부 각각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 좌측판 부분에 대하여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며,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 우측판 부분에 대하여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전후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인
    프린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수납부로부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위치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기록지 반송로와,
    상기 기록지 반송로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캐리지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는 상기 기록지 반송로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캐리지는, 상기 기록지 반송로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는 상기 슬릿에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판인
    프린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프린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캐리지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 헤드의 접지용 단자부 및 도전성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쌍방에 접촉하여 있는 도전성의 헤드 접지 부재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상기 제 1 프레임에 접지하는 도전성의 가이드축 접지 부재를 갖고 있는
    프린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 접지 부재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 고정부와,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한쪽의 축단부면을 가압하고 있는 가이드축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의 축단부에 마련한 편심축부와,
    상기 편심축부에 고정되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상기 편심축부의 중심 주위로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편심 회전시키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를 상기 편심축부의 중심 주위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갖고 있는
    프린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편심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형성한 소정 폭의 원호 홈과, 상기 원호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고정 나사와, 상기 고정 나사를 비틀어 삽입 가능한 나사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원호 홈은 상기 조정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 구멍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원호 홈에 대치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원호 홈을 통해서 상기 나사 구멍에 비틀어 삽입함으로써 상기 조정 부재를 상기 제 1 프레임에 체결 가능한
    프린터.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봉쇄판은 상기 제 4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프린터.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장착부로 가이드하는 제 1, 제 2 카세트 가이드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지 가이드축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카세트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결합 가능한 제 1, 제 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1,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제 2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에 형성한 제 1, 제 2 카세트측 결합부는, 스냅 끼워맞춤식의 결합 구조인
    프린터.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도트 임팩트 헤드인
    프린터.
KR1020140188284A 2013-12-26 2014-12-24 프린터 KR101730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8723 2013-12-26
JP2013268723A JP2015123639A (ja) 2013-12-26 2013-12-26 プリン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117A KR20150076117A (ko) 2015-07-06
KR101730225B1 true KR101730225B1 (ko) 2017-05-11

Family

ID=5353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284A KR101730225B1 (ko) 2013-12-26 2014-12-24 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123639A (ko)
KR (1) KR101730225B1 (ko)
CN (1) CN1047425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58115A (ja) * 2021-04-01 2022-10-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可動刃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1999A (ja) 2005-07-20 2007-02-01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組立方法
JP2009262429A (ja) 2008-04-25 2009-11-12 Alps Electric Co Ltd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0083147A (ja) 2002-07-04 2010-04-1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0086A (zh) * 2008-05-04 2009-11-0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机
EP2317405B1 (en) * 2009-10-29 2016-11-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147A (ja) 2002-07-04 2010-04-1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2007021999A (ja) 2005-07-20 2007-02-01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組立方法
JP2009262429A (ja) 2008-04-25 2009-11-12 Alps Electric Co Ltd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117A (ko) 2015-07-06
JP2015123639A (ja) 2015-07-06
CN104742540B (zh) 2017-05-17
CN104742540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039B2 (ja) テープ印刷装置
US7533985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CN107650515B (zh) 热敏式打印机和便携式终端
CN106364174B (zh) 打印装置
WO2012165009A1 (ja) 電子機器
US11794482B2 (en) Recording apparatus
KR101730225B1 (ko) 프린터
US7628558B2 (en) Transport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2006205537A (ja) 移動体の支持構造及び該支持構造を備えた記録装置と液体噴射装置
US9467539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1845070B (zh) 记录装置
JP4831008B2 (ja) 印刷装置
JP2013086347A (ja) プリンタ
US20150217574A1 (en) Printer
JP4058647B2 (ja) キャリッジ案内構造及び記録装置
JP2020194674A (ja) 検出スイッチ及びプリンタ
JP6897807B2 (ja) 液体収容体
JP6652178B2 (ja) 液体収容体
JP6432172B2 (ja) 記録装置及び液体収容体
JP3705234B2 (ja) プリンタ
JP2014195903A (ja) 記録装置
JP2005247436A (ja) 電気的接地構造、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4923895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2006056178A (ja) 記録装置
JP2008068425A (ja) 蓋体支持装置、キャリッジ、記録装置、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