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082A -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 Google Patents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082A
KR20220105082A KR1020210007704A KR20210007704A KR20220105082A KR 20220105082 A KR20220105082 A KR 20220105082A KR 1020210007704 A KR1020210007704 A KR 1020210007704A KR 20210007704 A KR20210007704 A KR 20210007704A KR 20220105082 A KR20220105082 A KR 2022010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box
stopper
spring
coupled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364B1 (ko
Inventor
송석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21000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3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6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traction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헤더박스의 하우징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우측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에 끼워진 조인트 로드, 가동 링크, 상기 헤더박스의 헤더박스 커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 링크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커버 연결편, 좌측 스프링 하단부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의 좌측에 위치한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좌측 스프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 스프링,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의 우측에 위치한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우측 스크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링크는, 상기 커버 연결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로드에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를 공개한다.

Description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for screen door header box}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실린더 대신 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조의 쇼프업소버에 관한 기술이다.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는 완충기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4008'은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헤더박스는 소정의 공간을 갖고 일부분이 트이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트인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안쪽 공간을 외부와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2185'는 스크린도어의 광고판 개폐 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광고판 개폐 장치는 상하로 개폐되는 광고판, 그리고 일측은 문틀의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광고판에 연결됨으로써 광고판을 상부로 밀어 올리는 메인소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쇼크업소버에는 피스톤을 이용하는 가스 업소버가 사용된다. 가스 업소버는 소모성 자재이다. 즉, 시간이 지나면서 가스가 줄어들면 가스 업소버의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 업소버를 대용할 수 있는 스프링 업소버로서, 교체가 불필요한 반영구적 스프링 업소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는, 헤더박스의 하우징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슬라이딩 슬릿(31) 및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100);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31)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31)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에 끼워진 조인트 로드(20); 가동 링크(30); 상기 헤더박스의 헤더박스 커버(7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 링크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커버 연결편(10); 좌측 스프링 하단부(512)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의 좌측에 위치한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좌측 스프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522)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의 우측에 위치한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우측 스크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 스프링(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링크(30)는, 상기 커버 연결편(1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로드(20)에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31)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는, 상기 베이스 중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31)이 형성되어 있는 좌측 수직부재(103)의 상단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좌측 헤더(21); 및 상기 베이스의 중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는 우측 수직부재(104)의 상단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우측 헤더(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스프링의 상기 좌측 스프링 상단부(511)는 상기 좌측 헤더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스프링의 상기 우측 스프링 상단부(521)가 상기 우측 헤더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는, 체결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링크(30)의 일단부에는 커버 연결편 결합홀(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연결편(10)은 기역자 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동 링크에 연결되는 면인 체결멤버 연결편에는 체결멤버 결합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링크에 연결되는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면인 헤더박스 커버 연결편에는 헤더박스 결합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멤버(50)가 상기 체결멤버 결합홀(11) 및 상기 커버 연결편 결합홀(301)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동 링크와 상기 커버 연결편을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박스 커버(70)에 형성된 홈과 상기 헤더박스 결합홀(12)에 제1결합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헤더박스 커버(70)와 상기 커버 연결편(10)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는,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링크(30)의 타단부에는 로드 관통홀(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32), 상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에 형성된 홀, 상기 로드 관통홀(302), 상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31)을 순서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31)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의 우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조인트 로드가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좌측 수직부재(103)와 상기 우측 수직부재(10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5); 및 기역자 모양의 형태로서, 상기 연결부재(105)의 일면과 맞닿는 루프 지지부(400), 상기 루프 지지부(400)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좌측 스토퍼 루프(411), 및 상기 루프 지지부(400)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와 평행한 우측 스토퍼 루프(412)를 포함하는 스토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 체결홀(10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 지지부(400)에는 상기 연결부재(105)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 체결홀(10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스토퍼 결합홀(40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체결홀(101)과 상기 스토퍼 결합홀을 제2결합부재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링크는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411), 및 상기 우측 스토퍼 루프(412) 사이에 형성된 가동 링크 안내홈에 끼워지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 로드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을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상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도 함께 상승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상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가 각각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411) 및 상기 우측 스토퍼 루프(412)와 맞닿으면,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411) 및 상기 우측 스토퍼 루프(412)에 의해 상기 조인트 로드의 상승이 중지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스프링 상단부(511), 좌측 스프링 하단부(512), 우측 스프링 상단부(521),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522)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측 헤더(21)에는 상기 좌측 스프링 상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헤더(22)에는 상기 우측 스프링 상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좌측 스프링 하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우측 스프링 하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수직부재에는 좌측 헤더박스 연결편(10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측 수직부재에는 우측 헤더박스 연결편(107)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헤더박스 연결편(106) 및 상기 우측 헤더박스 연결편(107)에는 상기 헤더박스의 하우징에 연결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고정홀들(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업소버를 대용할 수 있는 스프링 업소버로서, 교체가 불필요한 반영구적 스프링 업소버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크업소버 어셈블리가 헤더박스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크업소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크업소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업소버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정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업소버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업소버를 구성하는 좌측 헤더 및 우측 헤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 2의 쇼크업소버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좌측 스프링, 및 우측 스프링을 생략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가동 링크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도 5a의 조인트 로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d는 도 5a의 서로 동일한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헤더 커버가 열렸을 때에 가동링크의 하단부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와 맞닿을 수 있는 스토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도 2의 쇼크업소버의 좌측 헤더, 및 우측 헤더가 제거된 상태의 투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연결편을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헤더박스 커버가 열렸을 때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헤더박스는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 및 비상도어 위쪽에 설치된 구조물로서,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외부에서 보았을 때에 가동도어 및 비상도어 및 광고판을 제외한 프레임의 일부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스크린도어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자장치 및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이다. 헤더박스 커버는 헤더박스 내부의 장치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헤더박스 내부의 장치들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헤더박스 커버를 열었을 때에 또는 닫았을 때에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가스식 쇼크업소버가 사용되었다. 일 실시예가 상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4008'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크업소버(1) 어셈블리가 헤더박스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는 열려있는 헤더박스 커버(70')와 닫혀있는 헤더박스 커버(70'')를 함께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크업소버(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쇼크업소버(1)는 가동링크(30', 30''), 및 커버 연결편(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링크(30')는 커버 연결편(10')을 통해 헤더박스 커버(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크업소버(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업소버(1)를 구성하는 베이스(100)의 정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크업소버(1)를 구성하는 베이스(100)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커업소버(1)를 구성하는 좌측 헤더(21) 및 우측 헤더(22)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쇼크업소버(1)는 커버 연결편(10), 가동링크(30) 외에, 베이스(100), 좌측 스프링(51), 우측 스프링(52), 스토퍼(40), 조인트 로드(20), 좌측 헤더(21), 및 우측 헤더(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크게 서로 대칭되어 배치된 기역자('r') 모양의 수직부재들(103, 104), 수직부재들(103, 104)를 사이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105), 및 수직부재들(103, 104)의 대응하는 일측에 형성된 헤더박스 연결편(106, 107)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면, 좌측 수직부재(103)의 기역자('r')를 형성하는 각 꼭지점에는 좌측 스프링 결합부 체결홀들(2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수직부재(104)의 기역자('r')를 형성하는 각 꼭지점에는 우측 스프링 결합부 체결홀들(2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 수직부재(103)에는 좌측 헤더(21)가 서로 결합되고, 우측 수직부재(104)에는 우측 헤더(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특히 도 4c를 참조하면, 좌측 헤더(21)에는 좌측 스프링 결합부 체결홀들(2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측 체결홀(21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헤더(22)에는 우측 스프링 결합부 체결홀들(2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측 체결홀(2221)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 수직부재(103)와 좌측 헤더(21)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우측 수직부재(104)와 우측 헤더(22)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좌측 헤더(21) 및 우측 헤더(22)에는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의 일 단부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좌측 스프링 상단부 결합홀(211) 및 우측 스프링 상단부 결합홀(2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면, 좌측 수직부재(103)와 우측 수직부재(104)의 서로 마주보는 수직면(103b, 104b)의 하측에는 좌측 슬라이딩 슬릿(31), 및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재(105)의 하측에는 복수 개(예컨대, 4개)의 스토퍼 체결홀(101)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헤더박스 연결편(106, 107)에는 헤더박스에 연결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고정홀(102)들(예컨대, 2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좌측 수직부재(103) 및 우측 수직부재(104)의 기역자('r') 모양으로 형성되는 공간에는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가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스프링(51)의 좌측 스프링 상단부(511) 및 좌측 스프링 하단부(512)는 갈고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스프링(52)의 우측 스프링 상단부(521)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522)는 갈고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좌측 스프링 상단부(511)는 좌측 헤더(21)의 좌측 스프링 상단부 결합홀(2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우측 스프링 상단부(521)는 우측 헤더(22)의 우측 스프링 상단부 결합홀(22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은 스프링이 인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과 같이 헤더박스 커버(70')가 오픈되면,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은 원래 상태(원래 길이)로 돌아갈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의 원래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으로 헤더박스 커버(70')를 오픈된 상태로 고정시키려는 노력 없이도 헤더박스 커버(70')를 오픈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a는 도 2의 쇼크업소버(1)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을 생략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가동 링크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도 5a의 조인트 로드(2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d는 도 5a의 서로 동일한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d의 (a)는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d의 (b)는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헤더 커버가 열렸을 때에 가동링크의 하단부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와 맞닿을 수 있는 스토퍼(40)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동링크(30)의 상단부에는 커버 연결편(10)과 결합되기 위한 커버 연결편 결합홀(301)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링크(30)의 하단부에는 조인트 로드(20)와 결합되기 위한 로드 관통홀(3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조인트 로드(20)의 좌측단부에는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1)이 형성되어 있고, 조인트 로드(20)의 우측단부에는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조인트 로드(20)는 베이스(100)의 수직면(103b)와 수직면(104b)에 형성된 좌측 슬라이딩 슬릿(31) 및 우측 슬라이딩 슬릿(32)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조인트 로드(20)의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1)에는 좌측 스프링(51)의 좌측 스프링 하단부(51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조인트 로드(20)의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2)에는 우측 스프링(52)의 우측 스프링 하단부(52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조인트 로드(20), 가동링크(30),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 좌측 수직부재(103), 및 우측 수직부재(104)의 결합 순서를 설명한다.
수직면(103b)와 수직면(104b) 사이에는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가동링크(30),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조인트 로드(20)의 좌측단부는 수직면(104b)에 형성된 우측 슬라이딩 슬릿(32),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에 형성된 홀, 가동링크(30)의 로드 관통홀(302), 수직면(103b)에 형성된 좌측 슬라이딩 슬릿(3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베이스(10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로드(20)의 위치는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1)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202)에 좌측 스프링 하단부(512)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522)가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로드(20)가, 좌측 스프링 하단부(512)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522)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조인트 로드(20)를 수직면(103b)와 수직면(104b)에 고정시키는 마감재(예컨대, 너트)가 조인트 로드(20)의 양단부를 통해 각각 채워질 수 있다.
스토퍼(40)는 수직면(103b)와 수직면(104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보다 위쪽에 연결부재(105)의 하단 부근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4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기역자('r') 모양의 형태로서, 연결부재(105)의 일면과 맞닿는 루프 지지부(400), 루프 지지부(400)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과 맞닿도록 되어있는 좌측 스토퍼 루프(411), 및 루프 지지부(400)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과 맞닿도록 되어있는 우측 스토퍼 루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스토퍼 루프(411)과 우측 스토퍼 루프(412)는 평행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스토퍼 루프(411)과 우측 스토퍼 루프(412) 사이에 가동 링크 안내홈(420)이 마련될 수 있다.
루프 지지부(400)에는 연결부재(105)와 결합되기 위해, 연결부재(105)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홀(10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 결합홀(401)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체결홀(101)과 상기 스토퍼 결합홀(401)을 제2결합부재(미도시)가 통과함으로써, 베이스(100)와 스토퍼(4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a는 도 2의 쇼크업소버(1)의 좌측 헤더(21), 및 우측 헤더(22)가 제거된 상태의 투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연결편(10)을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멤버(50)를 나타낸 것이다.
커버 연결편(10)은 기역자('r')의 형태로서, 승강장으로부터 선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멤버 커버 연결편(도 7b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 상기 체결멤버 커버 연결편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 즉, 승강장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박스 커버 연결편(도 7b에서 상대적으로 긴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멤버 커버 연결편에는 체결멤버 결합홀(11)이 형성되며, 상기 헤더박스 커버 연결편에는 헤더박스 결합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링크(30)의 상단에 형성된 커버 연결편 결합홀(301)과 체결멤버 결합홀(11)이 대응되도록 가동 링크(30)의 일면에 커버 연결편(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멤버(50)가 체결멤버 결합홀(11) 및 커버 연결편 결합홀(30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커버 연결편(10)과 가동링크(30)를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편(10)의 상기 헤더박스 커버 연결편은 우측 스프링(52)이 위치하는 방향으로(즉, 승강장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헤더박스 커버 연결편은 헤더박스 결합홀(12)을 통해 헤더박스 커버(7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더박스 커버(70)에 형성된 홈과 상기 헤더박스 결합홀(12)에 제1결합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헤더박스 커버(70)와 상기 커버 연결편(10)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 헤더박스 연결편(106) 및 상기 우측 헤더박스 연결편(107)에는 헤더박스 프레임(80)(또는, 헤더박스 하우징)의 양측면에 연결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고정홀들(1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3결합부재(미도시)가 상기 고정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00)가 헤더박스 프레임(80)에 고정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헤더박스 커버(70')이 열렸을 때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헤더박스 커버(70')가 열리면, 헤더박스 커버(70')에 고정 연결된 커버 연결편(10)을 통해 가동링크(30)가 승강장 쪽 사선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가동링크(30)의 상승으로 인해 조인트 로드(20)의 하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조인트 로드(20)의 하단부가 상승하면서,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는 스토퍼(40)의 좌측 스토퍼 루프(411) 및 우측 스토퍼 루프(412)에 맞닿을 때까지 상승하게 되며, 맞닿은 이후에는 스토퍼(40)에 의해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41)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42)의 상승이 멈추게 된다. 헤더박스 커버(70')를 여는 동작을 시작하면, 닫힌 상태에서 인장되어 있던 좌측 스프링(51)과 우측 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헤더박스 커버(70')가 쉽게 열릴 수 있다.
이때,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은 조인트 로드(20)가 상승하면서 수축하게 되며, 헤더박스 커버(70)가 닫혔을 때 강제로 인장된 상태에서 헤더박스 커버(70)이 열리면서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가므로 원래 상태를 유지하려는 좌측 스프링(51) 및 우측 스프링(52)의 탄성력으로 헤더박스 커버(7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 쇼크업소버 어셈블리 10: 커버 연결편 (10')
11: 체결멤버 결합홀 12: 헤더박스 결합홀
20: 조인트 로드 21: 좌측 헤더
22: 우측 헤더 30: 가동 링크(30', 30'')
31: 좌측 슬라이딩 슬릿 32: 우측 슬라이딩 슬릿
40: 스토퍼 41: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42: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 50: 체결멤버
51: 좌측 스프링 52: 우측 스프링
70: 헤더박스 커버 (70', 70'') 80: 헤더박스 프레임
100: 베이스 101: 스토퍼 체결홀
102: 고정홀 201: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
202: 우측 스크링 하단부 결합홀 211: 좌측 스프링 상단부 결합홀
221: 우측 스프링 상단부 결합홀 301: 커버 연결편 결합홀
302: 로드 관통홀 401: 스토퍼 결합홀
411: 좌측 스토퍼 루프 412: 우측 스토퍼 루프
420: 가동 링크 안내홈 511: 좌측 스프링 상단부
512: 좌측 스프링 하단부 521: 우측 스프링 상단부
522: 우측 스프링 하단부 2111: 좌측 스프링 결합부 체결홀
2121: 좌측 체결홀 2211: 우측 스프링 결합부 체결홀
2221: 우측 체결홀

Claims (8)

  1. 헤더박스의 하우징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우측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에 끼워진 조인트 로드;
    가동 링크;
    상기 헤더박스의 헤더박스 커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 링크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커버 연결편;
    좌측 스프링 하단부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의 좌측에 위치한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좌측 스프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 스프링;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의 우측에 위치한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우측 스크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링크는, 상기 커버 연결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로드에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중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좌측 수직부재의 상단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좌측 헤더; 및
    상기 베이스의 중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우측 수직부재의 상단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우측 헤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스프링의 상기 좌측 스프링 상단부는 상기 좌측 헤더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스프링의 상기 우측 스프링 상단부가 상기 우측 헤더에 결합되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 링크의 일단부에는 커버 연결편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연결편은 기역자 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동 링크에 연결되는 면인 체결멤버 연결편에는 체결멤버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링크에 연결되는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면인 헤더박스 커버 연결편에는 헤더박스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멤버가 상기 체결멤버 결합홀 및 상기 커버 연결편 결합홀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동 링크와 상기 커버 연결편을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박스 커버에 형성된 홈과 상기 헤더박스 결합홀에 제1결합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헤더박스 커버와 상기 커버 연결편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4.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및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 링크의 타단부에는 로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 상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에 형성된 홀, 상기 로드 관통홀, 상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및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을 순서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의 우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조인트 로드가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좌측 수직부재와 상기 우측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기역자 모양의 형태로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맞닿는 루프 지지부, 상기 루프 지지부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좌측 스토퍼 루프, 및 상기 루프 지지부의 넓은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와 평행한 우측 스토퍼 루프를 포함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 체결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 지지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 체결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스토퍼 결합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체결홀과 상기 스토퍼 결합홀을 제2결합부재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링크는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 및 상기 우측 스토퍼 루프 사이에 형성된 가동 링크 안내홈에 끼워지게 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로드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릿 및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릿을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및 상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도 함께 상승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스토퍼 접촉부재 및 상기 우측 스토퍼 접촉부재가 각각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 및 상기 우측 스토퍼 루프와 맞닿으면, 상기 좌측 스토퍼 루프 및 상기 우측 스토퍼 루프에 의해 상기 조인트 로드의 상승이 중지되도록 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스프링 상단부, 좌측 스프링 하단부, 우측 스프링 상단부, 및 우측 스프링 하단부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측 헤더에는 상기 좌측 스프링 상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헤더에는 상기 우측 스프링 상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좌측 스프링 하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좌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우측 스프링 하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우측 스프링 하단부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수직부재에는 좌측 헤더박스 연결편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측 수직부재에는 우측 헤더박스 연결편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헤더박스 연결편 및 상기 우측 헤더박스 연결편에는 상기 헤더박스의 하우징에 연결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고정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KR1020210007704A 2021-01-19 2021-01-19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KR10253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04A KR102531364B1 (ko) 2021-01-19 2021-01-19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04A KR102531364B1 (ko) 2021-01-19 2021-01-19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082A true KR20220105082A (ko) 2022-07-26
KR102531364B1 KR102531364B1 (ko) 2023-05-12

Family

ID=8260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704A KR102531364B1 (ko) 2021-01-19 2021-01-19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3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058A (ja) * 2003-04-21 2004-11-18 Zenji Tsuchikawa ドアークローザー
KR20120004719U (ko) * 2010-12-21 2012-06-29 (주)애드라이트 지하철 스크린 도어 상부에 설치하는 광고판의 설치 구조
KR20200096533A (ko) * 2017-12-14 202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수납 장치, 및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058A (ja) * 2003-04-21 2004-11-18 Zenji Tsuchikawa ドアークローザー
KR20120004719U (ko) * 2010-12-21 2012-06-29 (주)애드라이트 지하철 스크린 도어 상부에 설치하는 광고판의 설치 구조
KR20200096533A (ko) * 2017-12-14 202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수납 장치,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364B1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519B1 (ko) 다관절 힌지
KR101009986B1 (ko) 유니버샬 조인트 힌지
KR101242976B1 (ko) 래치장치
KR102496649B1 (ko) 트렁크 리드용 힌지조립체
US6401299B1 (en) Folding hinge
JP4782982B2 (ja) ケース
US10738523B2 (en) Bidirectional damper and movable door thereof
US6834703B2 (en) Floating pivot mount for a folding panel
KR20220105082A (ko) 스크린도어의 헤더박스용 쇼크업소버
US20210230922A1 (en) Damped hinge for pieces of furniture
KR200497212Y1 (ko) 등기구
JP3663273B2 (ja) ドアボトムのシール装置
KR102221573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
ES2237639T3 (es) Dispositivo para el retroceso amortiguado de componentes moviles a una posicion final.
US10138667B2 (en) Spring and/or damping element
JPH11291832A (ja) 開閉可能なルーフボックス
KR200378288Y1 (ko) 슬라이딩장치
KR200393608Y1 (ko)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제어장치
US5231761A (en) Hinged frames for a dry shaving apparatus
JP3673209B2 (ja) 両開きスクリーン装置
KR200497703Y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US11725442B1 (en) Hinge assembly with energy control and methods
JP5016536B2 (ja) 戸当たり
KR102655055B1 (ko) 방충창 이탈방지구
KR200456509Y1 (ko)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