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03Y1 -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 Google Patents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03Y1
KR200497703Y1 KR2020220000551U KR20220000551U KR200497703Y1 KR 200497703 Y1 KR200497703 Y1 KR 200497703Y1 KR 2020220000551 U KR2020220000551 U KR 2020220000551U KR 20220000551 U KR20220000551 U KR 20220000551U KR 200497703 Y1 KR200497703 Y1 KR 200497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ush frame
stopper
guide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49U (ko
Inventor
김희일
Original Assignee
김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일 filed Critical 김희일
Priority to KR2020220000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0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수용부 및 내측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외측 수용부를 포함하는 샤시 몸체 및 외측 수용부의 안내를 받아 외측 수용부로부터 출몰하는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외측 수용부의 내측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푸쉬 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푸쉬 프레임의 외벽부에는 제1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내벽부에는 제2 관통 슬릿이 형성되며, 제1 관통 슬릿 및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며 푸쉬 프레임에 결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외벽부에 지지되는 지지판, 제1 관통 슬릿과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는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에 형성되어 스토퍼를 푸쉬 프레임에 고정하는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DOOR SCHASSIS INCLUDING PUSH FRAME AND STOPPER FOR PUSH FRAME}
본 고안은 도어에 장착되어 손을 보호하기 위한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간단한 설치로 푸쉬 프레임의 출몰 운동 이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그 스토퍼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다른 구조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도어는 여닫이식, 미닫이식 및 회전식 등이 있다. 도어를 통해서 사람 또는 물건 등이 건물의 내외부로 출입하고, 도어를 닫아 건물의 내외부를 분리시킨다.
하지만,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문틈에 끼는 사고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물건 등이 끼여 물건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잦다. 최근에는 빌딩과 같이 대형 건물의 현관에 강화 유리로 구성된 도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대형 강화 유리는 무겁고 단단하기 때문에 일단 사람의 손이나 신체 일부가 대형 유리 도어가 끼면 손 또는 신체에 심각한 부상을 끼칠 수가 있다.
대형 유리 도어 등의 도어 몸체에 의해서 손가락, 손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 가지 고안 및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그 중 등록실용신안 제20-242276호는 "강화유리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출몰바를 이용하여 방음 및 방풍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 조립체(10)는 강화 유리로 제작되는 도어를 둘러싸는 4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4개의 프레임은 상부프레임, 하부 프레임 그리고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외측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수용부의 내부로 푸쉬 프레임(30)이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푸쉬 프레임(30)은 스프링 등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수직 프레임(20)과 다른 수직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20)과 외부 구조물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0)에 푸쉬 프레임(30)을 삽입한 후, 외측 수용부의 양단은 삽입 클립(4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삽입 클립(40)은 하나의 수직 프레임(20)의 양측에 배치되며, 도시된 슬라이드 도어인 경우에는 4개의 삽입 클립(4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클립(40)은 마찰에 의해서 삽입하기 때문에, 도어를 설치하는 도중 또는 이동하는 도중에 분실될 염려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도어를 들기 위해서 양쪽의 수직 프레임(20)을 잡을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도 푸쉬 프레임(30)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삽입 클립(40)이 쉽게 빠질 수가 있다.
등록특허 제10-2221573호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푸쉬 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관통홀에 나사 형상의 가이드 피스를 체결하여 푸쉬 프레임의 출몰 운동은 가이드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피스는 간단한 구조로 푸쉬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관통홀이 외부로 크게 노출될 수 있으며, 이를 가리기 위해서 부가 부품이 필요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삽입 클립 및 가이드 피스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 장착이 용이하고 제작도 용이한 구조의 스토퍼 및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수용부 및 내측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외측 수용부를 포함하는 샤시 몸체 및 외측 수용부의 안내를 받아 외측 수용부로부터 출몰하는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외측 수용부의 내측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푸쉬 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푸쉬 프레임의 외벽부에는 제1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내벽부에는 제2 관통 슬릿이 형성되며, 제1 관통 슬릿 및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며 푸쉬 프레임에 결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외벽부에 지지되는 지지판, 제1 관통 슬릿과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는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에 형성되어 스토퍼를 푸쉬 프레임에 고정하는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편은 가이드판을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외벽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판과 함께 가이드판을 고정할 수 있다. 탄성편이 내벽부를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판의 단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토퍼의 가이드판이 제1 관통 슬릿 및 제2 관통 슬릿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외측 수용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움직일 수도 있다.
가이드판의 폭에 비해 가이드 홀을 넉넉하게 형성하여 가이드 홀을 가이드판이 용이하게 통과하게 할 수 있다. 푸쉬 프레임에 스토퍼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스토퍼를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빠른 설치가 가능하다.
지지판에 고정홀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홀을 이용하여 스토퍼를 푸쉬 프레임에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는 푸쉬 프레임을 도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프레임은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수용부 및 내측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외측 수용부를 포함하는 샤시 몸체 및 외측 수용부의 안내를 받아 외측 수용부로부터 출몰하는 중공형의 푸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토퍼는 푸쉬 프레임의 외벽부에 형성된 제1 관통 슬릿 및 내벽부에 형성된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여 푸쉬 프레임에 결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는 외벽부에 지지되는 지지판, 제1 관통 슬릿과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는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에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편은 가이드판을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외벽부를 사이에 두고 지지판과 함께 가이드판을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토퍼는 푸쉬 프레임을 간단하게 도어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도 용이하게 제작도 상대적으로 간단할 수 있다.
나사 형식의 가이드 피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푸쉬 프레임에 상당한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해야 하나, 본 고안의 스토퍼를 장착하기 위한 관통 슬릿은 형성하기도 쉽고, 그나마 스토퍼를 장착하면 관통 슬릿이 가려져서 외형적으로도 깔끔하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100)은 샤시 몸체(120), 푸쉬 프레임(130), 스토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100)도 회전문, 자동문 또는 여닫이문의 수직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어 도어의 틀을 형성하거나 도어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강화 유리판에 단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샤시 몸체(120)는 강화 유리와 같은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내측 수용부(124)와 푸쉬 프레임(130)을 수용하는 외측 수용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측 수용부(122)의 바닥은 좌우 측벽을 연결하는 격벽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좌우를 연결하는 격벽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내측 수용부(124) 역시 수용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치수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샤시 몸체(12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압출 성형을 통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외면 보호 및 외관 형성을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외장재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샤시 몸체(120)의 외측 수용부(122)에는 푸쉬 프레임(130)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며, 푸쉬 프레임(130)은 중공형으로서 외벽부(132)와 내벽부(134)를 정의할 수 있다. 푸쉬 프레임(130)의 내벽부(134) 양측으로 지지대가 돌출 또는 연장되어 외측 수용부(122)에서 푸쉬 프레임(1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푸쉬 프레임(130) 역시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로는 방풍부재 수용부를 형성하고, 방풍부재 수용부에는 모헤어, 탄성소재 등의 방풍부재(140)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풍부재(140)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부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서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프레임(130)의 외벽부(132)의 일측으로 제1 관통 슬릿(133)이 폭이 좁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관통 슬릿(133)에 대응하여 내벽부(134)의 일측으로 제2 관통 슬릿(135)이 좁은 직사각형 또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쌍의 제1 관통 슬릿(133) 및 제2 관통 슬릿(135)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르게는 1곳 또는 3곳 이상의 위치에서 관통 슬릿의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수용부(122) 및 푸쉬 프레임(13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와이어 스프링 등과 같이 다양한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으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이 푸쉬 프레임(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관통 슬릿(133) 및 제2 관통 슬릿(135)에는 얇은 판재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스토퍼(150)가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지지판(152) 및 가이드판(15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판(152)은 외벽부(132)의 외면에 지지되고, 가이드판(154)은 제1 관통 슬릿(133)과 제2 관통 슬릿(135)을 통과하여 외측 수용부(122)의 가이드 홀(126)까지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54)에는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된 탄성편(156)이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편(156)은 가이드판(154)과 함께 제1 관통 슬릿(133)을 통과하여 스토퍼(150)를 푸쉬 프레임(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편(156)이 외벽부(132)를 사이에 두고 지지판(152)과 함께 고정될 수 있으며, 스토퍼(150)는 용이하게 관통 슬릿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일부러 제거되지 않은 이상 푸쉬 프레임(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50)의 가이드판(154)은 가이드 홀(126)을 통과할 수 있으며, 가이드 홀(126)에 의해 구성되어 푸쉬 프레임(130)이 외측 수용부(122)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판(154)의 단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50)의 가이드판(154)이 제1 관통 슬릿(133) 및 제2 관통 슬릿(135)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50)가 가이드판(154)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판(154)은 가이드 홀(126)을 드나들 수 있으며,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왕복 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원활한 운동을 위해 가이드판(154)의 폭에 비해 가이드 홀(126)을 넉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150)의 지지판(152)에는 고정홀(158)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홀(158)을 이용하여 스토퍼(150)를 나사 체결하여 푸쉬 프레임(130)에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지지판(152)이 외벽부(132)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관통 슬릿(133)은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푸쉬 프레임(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외형상 제1 관통 슬릿(133)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도어 프레임 120 : 샤시 몸체
130 : 푸쉬 프레임 140 : 방풍 부재
150 : 스토퍼 152 : 지지판
154 : 가이드판 156 : 탄성편

Claims (7)

  1.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수용부 및 상기 내측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외측 수용부를 포함하는 샤시 몸체 및 상기 외측 수용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외측 수용부로부터 출몰하는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용부의 내측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푸쉬 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푸쉬 프레임의 외벽부에는 제1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내벽부에는 제2 관통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 슬릿 및 상기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며 상기 푸쉬 프레임에 결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벽부에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제1 관통 슬릿과 상기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기 푸쉬 프레임에 고정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가이드판을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판과 함께 상기 가이드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단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폭에 비해 상기 가이드 홀은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고정홀이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6.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수용부 및 상기 내측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외측 수용부를 포함하는 샤시 몸체 및 상기 외측 수용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외측 수용부로부터 출몰하는 중공형의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서, 상기 푸쉬 프레임의 외벽부에 형성된 제1 관통 슬릿 및 내벽부에 형성된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푸쉬 프레임에 결착되는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에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제1 관통 슬릿과 상기 제2 관통 슬릿을 통과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스토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가이드판을 부분적으로 절개 및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판과 함께 상기 가이드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KR2020220000551U 2022-03-02 2022-03-02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KR200497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51U KR200497703Y1 (ko) 2022-03-02 2022-03-02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51U KR200497703Y1 (ko) 2022-03-02 2022-03-02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49U KR20220000649U (ko) 2022-03-21
KR200497703Y1 true KR200497703Y1 (ko) 2024-01-30

Family

ID=8093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551U KR200497703Y1 (ko) 2022-03-02 2022-03-02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0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49Y1 (ko) 2005-06-23 2005-09-08 장영근 강화도어용 완충장치
KR200398167Y1 (ko) 2005-07-27 2005-10-11 박정래 도어용 안전프레임유니트
KR100959261B1 (ko) 2009-11-11 2010-05-2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반자동문용 탄성커버부가 구비된 반자동문용 손보호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37Y1 (ko) * 1998-02-23 2000-05-15 이근수 그릴셔터
KR102221573B1 (ko) * 2019-07-10 2021-03-02 김희일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49Y1 (ko) 2005-06-23 2005-09-08 장영근 강화도어용 완충장치
KR200398167Y1 (ko) 2005-07-27 2005-10-11 박정래 도어용 안전프레임유니트
KR100959261B1 (ko) 2009-11-11 2010-05-2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반자동문용 탄성커버부가 구비된 반자동문용 손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49U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703Y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200446004Y1 (ko) 창호용 이탈 방지장치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US3291192A (en) Screen door for sliding glass doors
KR102221573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200300419Y1 (ko) 도어용 안전장치
KR102504250B1 (ko) 유격이 없는 창호
JP2015232218A (ja) サッシ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0441254B1 (ko) 여닫이문의 안전장치 설치구조
KR101219380B1 (ko)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방풍 및 방음장치
US2883715A (en) Double hung window mount
KR102278145B1 (ko) 미닫이 도어 및 도어 손잡이
CN215803974U (zh) 淋浴房的滑轮限位结构及具有该滑轮限位结构的淋浴房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101651746B1 (ko)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JP2019039205A (ja) 遮蔽装置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JPS6227670Y2 (ko)
KR0124246Y1 (ko)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경첩
JP2513228Y2 (ja) 雨戸上枠の連結部構造
KR19990012222U (ko) 통유리를, 채용할수 있는 붙박이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