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12Y1 - 등기구 - Google Patents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12Y1
KR200497212Y1 KR2020210003770U KR20210003770U KR200497212Y1 KR 200497212 Y1 KR200497212 Y1 KR 200497212Y1 KR 2020210003770 U KR2020210003770 U KR 2020210003770U KR 20210003770 U KR20210003770 U KR 20210003770U KR 200497212 Y1 KR200497212 Y1 KR 200497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over
longitudinal direction
adap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974U (ko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ublication of KR20220001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측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외부의 전원과 접속 가능한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걸림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등기구 {LIGHTING EQUIPMENT}
본 개시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등기구는 광원(光源)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등기구로서 형광등, 엘이디등 및 레일등 등이 알려져 있다.
종래에, 사용자가 조명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에 설치되는 등기구('레일조명등'이라고도 불림)가 알려져 있다. 외부에 설치된 레일에 전원이 연결된 접속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등기구는 상기 접속부분에 접촉 가능한 연결 단자를 구비한다. 종래기술(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881호)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상기 연결 단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광원이 설치되는 등기구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어댑터를 개시하고, 이러한 슬라이딩 어댑터에 연결 단자가 설치되는 것이 개시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881호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슬라이딩 어댑터의 연결 단자에 연결된 전선은 등기구 본체에 설치된 광원까지 연결되므로, 슬라이딩 어댑터가 등기구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 동작을 하면서 등기구 본체에 대한 기존의 위치를 이탈할 때, 슬라이딩 어댑터의 기존의 위치에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면, 슬라이딩 어댑터가 다시 기존에 있던 위치로 되돌아 오는 동작 시 전선이 슬라이딩 어댑터와 다른 부품 사이에 끼이는 간섭 등 전선과 다른 부품 사이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슬라이딩 어댑터를 등기구 본체에 대해 무리하게 일정 범위 이상 슬라이딩(sliding)시킬 경우, 어댑터에 배치된 연결 단자로부터 등기구 본체에 설치된 광원까지 연결된 전선이 당겨짐으로써, 전선이 단선되거나 전선의 연결 부분의 내구성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등기구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측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외부의 전원과 접속 가능한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걸림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어느 하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에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에 접촉하여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돌기 대응부에 고정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의 양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일체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는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고정 커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고정 커버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 상의 사이 부분으로 슬라이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어느 하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에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 커버에 대해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접촉되어 밀리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어댑터 본체; 및 상기 연결 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1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오픈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일체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의 상측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하측면 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받침 가이드;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의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커버 경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말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커버 지지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돌출부가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제1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 및 상기 커버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 또는 홀인 복수의 위치 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 및 상기 커버 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특정 위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위치 조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딩 동작 시에도 상기 커버부에 의해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일정 범위 이상 슬라이딩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연결된 전선이 무리하게 당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 세트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프레임(10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1-S1'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슬라이딩 어댑터(200),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고정 커버(400)의 결합체의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딩 어댑터(200),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의 결합체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2-S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등기구 세트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등기구 세트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등기구 세트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프레임(10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3-S3'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버 지지부(130'),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를 일 측으로부터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커버 지지부(130'),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를 다른 측으로부터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4-S4'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U)", "하(D)", "길이 방향(Y1, Y2)", "폭 방향(X1, X2)”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양 방향인 길이 방향(Y1, Y2)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길이 방향(Y1)으로 정의하고 다른 한 방향을 제2 길이 방향(Y2)으로 정의하며, 양 방향인 폭 방향(X1, X2)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폭 방향(X1)으로 정의하고 다른 한 방향을 제2 폭 방향(X2)으로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등기구(10)가 외부의 부착면(예를 들어, 천장면 또는 벽면)을 바라보는 방향이 상측 방향(U)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측 방향(D)으로 광원(L)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른 방향에 비해 길이 방향(Y1, Y2)으로 등기구(10)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등기구 세트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프레임(10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1-S1'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세트(1)는 광원(L) 및 광원(L) 배치되는 등기구(10)를 포함한다. 광원(L)은 등기구(10)의 프레임(100)에 배치 가능하다. 일 예로, 등기구(10)에 광원(L)이 일체로 배치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등기구(10)는 광원(L)과 별개로 공급되고 등기구(10)에 교체 가능하게 광원(L)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L)은 형광등, LED 등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0)는 광원(L)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상측 방향(U)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112)을 포함한다.
등기구(10)는 한 쌍의 레일(112)을 따라 길이 방향(Y1, Y2)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딩 어댑터(2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외부의 전원과 접속 가능한 연결 단자(224)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외부의 부착면에 고정된 외부 레일(미도시)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등기구(10)는 상기 외부 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또 다른 어댑터(200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200F)는 프레임(100)에 고정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어댑터(200F)가 프레임(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등기구(10)는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는 슬라이딩 커버(3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길이 방향(Y1, Y2)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걸림되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등기구(1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는 고정 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고정 커버(4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등기구(10)는 연결 단자(224)에 연결되는 전선(500)을 포함한다. 전선(500)은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통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0에는 전선(500)의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도 8 및 도 9에 전선(500)의 예시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프레임(100)은 레일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은 광원(L)을 지지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은 광원을 덮는 광원 커버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커버부(111)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커버부(111)는 광원(L)을 수용하는 광원 배치 공간(111s)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은 한 쌍의 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2)은 폭 방향(X1, X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2)의 사이에 공간(112g)이 형성된다. 공간(112g)의 폭 방향(X1, X2)의 경계는 한 쌍의 레일(112)에 의해 형성된다. 공간(112g)은 상측으로 오픈(open)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은 광원 배치 공간(111s)과 공간(112g)의 경계를 형성하는 격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112g)의 하측 방향(D)의 경계는 격벽부(1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12)은 격벽부(1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되는 기초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12)은 격벽부(113)에서 폭 방향(X1, X2)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2)의 절곡부(112b)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레일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을 덮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0)은 레일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Y1, Y2)의 양단을 덮는 한 쌍의 캡(120)이 구비될 수 있다. 캡(120)은 광원 배치 공간(111s)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을 덮을 수 있다. 캡(120)은 공간(112g)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을 덮을 수 있다.
프레임(100)은 어댑터(200F)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고정부(190)는 레일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고정 커버(400)를 고정하는 커버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한 쌍의 레일(112)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한 쌍의 레일(112)의 일단부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공간(112g)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어줄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슬라이딩 어댑터(200),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어댑터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어댑터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단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는 서로 조립되는 2개의 파트(210A, 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는 등기구(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어댑터 본체(210)는 회전 단자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는 레일(11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상측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돌출부(212)는 상기 외부 레일에 삽입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는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으로 삽입되는 레일 삽입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에는 레일(112)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는 레일 삽입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삽입 홈(211)은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되고, 레일 삽입 홈(211)에 레일(112)의 절곡부(112b)가 삽입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의 폭 방향(X1, X2)의 측면에 회전 단자부(220)의 레버(221)가 통과하는 레버 관통 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 본체(210)의 폭 방향(X1, X2)의 측면에 회전 단자부(220)의 연결 단자(224)가 통과하는 단자 관통 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단자부(220)는 전기 전도성 재질의 연결 단자(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단자(224)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단자(224)는 핀(226)에 의해 회전 축부(222)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단자부(220)는 회전 축부(222)에 삽입되어 연결 단자(224)를 고정시키는 핀(22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224)의 하단은 공간(112g)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단자(224)의 상단 중 일부는 회전 단자부(220)가 회전함에 따라 어댑터 본체(210)의 단자 관통 홀(21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 단자(224)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회전 단자부(220)는 연결 단자(224)가 고정되는 회전 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부(222)는 어댑터 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축부(222)는 어댑터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축부(222)는 어댑터 본체(2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 단자부(220)는 레버(22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221)를 조작하여, 회전 단자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221)는 회전 축부(22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레버(2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고정 커버(4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상대적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커버(400)는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고정 커버 플레이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커버 플레이트(410)는 상하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400)는 고정 커버 플레이트(410)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 리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리브(420)는 고정 커버 플레이트(410)의 가장자리에서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커버(400)에는 제1 길이 방향(Y1) 및 상하 방향(U, D)으로 오픈된 개구부(400h)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와 고정 커버(4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회전 단자부(220)가 개구부(400h)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회전 축부(222)가 개구부(400h)로 삽입될 수 있다. 개구부(400h)는 고정 커버 플레이트(41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40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1 길이 방향(Y1)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하는 중 스토퍼(440)에 접촉함으로써 더 이상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440)의 예시로서 돌출 스토퍼(440a) 및/또는 단차 스토퍼(440b)를 도시하나, 스토퍼(4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스토퍼(440a)는 고정 커버 플레이트(4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스토퍼(440a)는 개구부(400h)의 제2 길이 방향(Y2)의 경계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스토퍼(440a)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돌출 스토퍼 삽입 홈(300h)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300)의 돌출 스토퍼 삽입 홈(300h)의 제2 길이 방향(Y2)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이 돌출 스토퍼(440a)에 접촉되어 걸림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 단자부(220)가 돌출 스토퍼(440a)에 접촉되어 걸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차 스토퍼(440b)는 개구부(400h)의 폭 방향(X1, X2)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차 스토퍼(440b)가 개구부(400h)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단차 스토퍼(440b)는 제2 길이 방향(Y2)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부(32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이 단차 스토퍼(440b)에 접촉되어 걸림될 수 있다.
고정 커버(4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 대응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대응부(460)는 커버 지지부(130)의 후술하는 고정 커버 고정부(131)에 후크 걸림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고정 커버(4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 할 때, 슬라이딩 어댑터와 고정 커버의 길이 방향 상의 사이 부분으로 슬라이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슬라이딩 커버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 플레이트(310)는 상하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 플레이트(310)는 개구부(400h)를 상측에서 덮을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개구부(400h)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의해 제2 길이 방향(Y2)으로 밀려 이동하고, 개구부(400h)에 회전 축부(222)가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고정 커버(400)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는 돌출 스토퍼 삽입 홈(300h)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돌출 스토퍼 삽입 홈(300h)은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스토퍼 삽입 홈(300h)은 제1 길이 방향(Y1) 및 하측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고정 커버(400)의 결합체의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딩 어댑터(200),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의 결합체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슬라이딩 커버(300)는,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한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4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므로,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고정 커버(400)에 걸림됨으로써 레일(112)에 대한 제1 길이 방향(Y1)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고정 커버(4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고정 커버(400)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길이 방향(Y1, Y2)으로 일정 범위 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커버(400)가 가이드 돌기(430)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가이드 홈(216)이 형성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가이드 돌기(430)를 포함하고 고정 커버(400)에 가이드 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고정 커버(400)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가 각각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홈을 가진 실시예에서, 고정 커버(4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홈은 일정 범위 내에서만 길이 방향(Y1, Y2)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므로,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길이 방향(Y1, Y2)으로 일정 범위 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가 각각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홈을 가진 실시예에서, 고정 커버(4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커버(300)는 고정 커버(400)에 대한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상대 운동 범위가 제한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홈은 일정 범위 내에서만 길이 방향(Y1, Y2)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므로,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된다.
이하 고정 커버(400)가 가이드 돌기(430)를 포함하고 어댑터 본체(210)에 가이드 홈(216)이 형성되는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 돌기(430)가 구비되고, 한 쌍의 가이드 돌기(430)에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216)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0)는 폭 방향(X1, X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0)는 어댑터 본체(21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6)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할 때(도 7의 화살표 A 참조),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216)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216)의 제1 길이 방향(Y1)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도 6 참조).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216)의 제2 길이 방향(Y2)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도 7 참조).
도 8은 도 1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2-S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등기구 세트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등기구 세트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는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 중 전선(500)이 통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슬라이딩에 따라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할 때(도 9의 화살표 A 참조),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가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커질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가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길이 방향(Y1, Y2)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걸림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 커버(300) 및 고정 커버(400)가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대해 길이 방향(Y1, Y2)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슬라이딩 커버(300)에 대해 제1 길이 방향(Y1)으로 최대한 상대 이동한 제1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300)에 걸림되어, 슬라이딩 커버(300)를 고정 커버(400)에 대해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슬라이딩 커버(300)에 대해 제2 길이 방향(Y2)으로 최대한 상대 이동한 제2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300)에 걸림되어, 슬라이딩 커버(300)를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접촉되어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는 걸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3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걸림되는 부분(330a)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3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걸림되는 부분(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 중 어느 하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걸림 돌기(217)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커버(300)가 걸림 돌기 대응부(330a)를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커버(300)가 상기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걸림 돌기(217)가 걸림 돌기 대응부(330a)에 걸림되어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할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한 제2 실시예에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길이 방향(Y1, Y2)으로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걸림 돌기(217')가 걸림 돌기 대응부(330a')에 고정적으로 걸림되어 슬라이딩 커버(300')가 슬라이딩 어댑터(200')와 일체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어댑터 본체(210)의 내측면에서 폭 방향(X1, X2)의 내측으로 걸림 돌기(217)가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의 걸림부(330)는 걸림 돌기(217)가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걸림 돌기 대응부(330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 시, 걸림 돌기(217) 및 걸림 돌기 대응부(330a)는 서로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접촉되어 밀리는 접촉면(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접촉면(330b)을 제2 길이 방향(Y2)으로 밀면, 슬라이딩 커버(300)는 제2 길이 방향(Y2)으로 고정 커버(400)에 대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걸림부(330)는 접촉면(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330b)은 제1 길이 방향(Y1)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회전 축부(222)가 접촉면(330b)에 접촉할 수 있다. 접촉면(330b)은 회전 축부(222)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커버 지지부(130)에 해제 가능하게 걸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도 8 참조)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커버 지지부(130)의 어댑터 락킹부(133)에 걸림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어댑터(200)를 제1 길이 방향(Y1)으로 소정의 힘 이상으로 밀 경우 슬라이딩 어댑터(200)는 어댑터 락킹부(133)의 이탈되어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어댑터 락킹부(133)는 제1 길이 방향(Y1)으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고정 커버(400)를 고정하는 고정 커버 고정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커버 고정부(131)는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커버 고정부(131)가 고정 커버(400)의 제2 길이 방향(Y2)의 말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등기구 세트에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프레임(10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0)에 대한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후술할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0')에도 적용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등기구(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등기구(10')를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프레임(100')은 한 쌍의 레일(112)의 일단부의 상측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하도록 슬라이딩 커버(300')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35)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1 길이 방향(Y1) 및 제2 길이 방향(Y2)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어댑터(200')와 일체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는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이동 거리와 같은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는 제2 길이 방향(Y2)으로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이동 거리와 같은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최대한 이동했을 때,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제2 길이 방향(Y2) 말단부와 커버 지지부(130')의 제1 길이 방향(Y1) 말단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 및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움직일 때,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커버(300') 및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움직일 때,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에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 중 전선(500)이 통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슬라이딩에 따라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가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가 공간(112g)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도 14는 도 11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3-S3'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버 지지부(130'),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를 일 측으로부터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커버 지지부(130'), 슬라이딩 어댑터(200'). 및 슬라이딩 커버(300)를 다른 측으로부터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커버 지지부(13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134)의 폭 방향(X1, X2)의 양 측단 사이의 거리가 한 쌍의 레일(11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면(134)은 슬라이딩 커버(300')가 길이 방향(Y1, Y2)으로 슬라이딩 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를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 할 때, 커버면(134)이 슬라이딩 커버(300')를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슬라이딩 할 때, 커버면(134)이 슬라이딩 커버(300')를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폭 방향(X1, X2)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부(135)는 커버 경로 가이드(135a) 및 커버 받침 가이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경로 가이드(135a)는 커버면(134)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경로 가이드(135a)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부(320')가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 경로 가이드(135a1, 135a2)는 커버면(134)의 폭 방향(X1, X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경로 가이드(135a)의 길이 방향(Y1, Y2)에서 바라본 단면은 예각을 가진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커버 경로 가이드(135a)의 내측면은 폭 방향(X1, X2)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커버 받침 가이드(135b)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측면 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받침 가이드(135b)는 커버 지지부(130')의 제2 길이 방향(Y2)의 말단보다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받침 가이드(135b)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하측면의 제1 폭 방향(X1) 및 제2 폭 방향(X2)의 말단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받침 가이드(135b)는 커버 경로 가이드(135a)의 하단에서 폭 방향(X1, X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받침 가이드(135b)는 슬라이딩 커버(300')를 지지하는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경로 가이드(135a)의 내측면과 커버 받침 가이드(135b)의 상측면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 받침 가이드(135b1, 135b2)가 한 쌍의 커버 경로 가이드(135a1, 135a2)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 받침 가이드(135b1, 135b2)가 폭 방향(X1, X2)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는 커버 경로 가이드(135a)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는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 할 때, 커버 경로 가이드(135a)와 슬라이딩부(320')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넓이는 작아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는 슬라이딩 커버 플레이트(310')의 폭 방향(X1, X2)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135)에 대응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20a', 320b')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의 길이 방향(Y1, Y2)에서 바라본 단면은 예각을 가진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의 상기 단면은 커버 경로 가이드(135a) 및 커버 받침 가이드(135b)에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의 상기 측면은 폭 방향(X1, X2)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의 하측면은 수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슬라이딩부(320')의 상기 단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커버(300') 및 슬라이딩 어댑터(20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를 연결하고 고정하는 구조(예를 들어, 걸림 돌기(217') 및 걸림 돌기 대응부(3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걸림 돌기(217')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커버(300')가 걸림 돌기 대응부(330a')를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커버(300')가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217')와 걸림 돌기 대응부(330a')는 서로 결합된다. 걸림 돌기 대응부(330a')는 슬라이딩부(320')에 폭 방향(X1, X2)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20a', 320b')에 한 쌍의 걸림 돌기 대응부(330a1', 330a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 대응부(330a')는 슬라이딩부(320')의 제2 길이 방향(Y2)의 말단보다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 대응부(330a')는 슬라이딩부(32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217')는 슬라이딩 어댑터의 제2 길이 방향(Y2)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217')는 폭 방향(X1, X2)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 돌기 대응부(330a')의 길이 방향(Y1, Y2)의 길이는 걸림 돌기(217')의 길이 방향(Y1, Y2)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커버(300')는 한 쌍의 레일(112)에 대한 슬라이딩 어댑터(2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 커버(300')의 길이 방향(Y1, Y2)의 말단부 중 커버 지지부(130')에 가까운 말단부는 길이 방향(Y1, Y2)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40)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슬라이딩부의 제2 길이 방향(Y2) 말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커버 지지부(130')는 스토퍼(13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7)는 슬라이딩 어댑터(2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 할 때, 돌출부(340)가 걸림되어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1 길이 방향(Y1)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137)는 제2 길이 방향(Y2)을 바라보는 걸림면(137C)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7)의 상단에 커버 받침 가이드(135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37)는 커버 받침 가이드(135b)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135)에 대응하는 한 쌍의 스토퍼(137a, 137b)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340)와 걸림면(137C)이 접촉되어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1 길이 방향(Y1)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커버 지지부(130')에 대해 제1 길이 방향(Y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는 돌출부(340)와 걸림면(137C)이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커버 지지부(130')는 결합 돌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136)는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결합 돌기(136)는 레일의 하단에 걸림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6)는 스토퍼(137)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6)는 스토퍼(137)에서 폭 방향(X1, X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137)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 돌기(13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프레임(100')은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0')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Y1, Y2)의 일단을 덮을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은 캡(12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2 길이 방향(Y2)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커버 지지부(130')에 대해 제2 길이 방향(Y2)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는 슬라이딩 커버(300')와 캡(120')이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7은 도 12의 등기구 세트를 라인 S4-S4'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슬라이딩 커버(300') 및 커버 지지부(130')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위치 조정부(360)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커버(300') 및 커버 지지부(130') 중 다른 하나는 위치 조정 돌기(13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위치 조정부(360)는 길이 방향(Y1, Y2)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위치 조정 돌기(138)는 슬라이딩 커버(300')가 길이 방향(Y1, Y2)으로 복수의 특정 위치가 설정되도록 복수의 위치 조정부(360)에 해제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 및 커버 지지부(130') 중 상기 위치 조정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하나는 위치 조정 돌기(138)를 지지하는 돌기 지지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커버(300')가 복수의 위치 조정부(360)를 형성하고 커버 지지부(130')가 위치 조정 돌기(138)를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커버(300')가 상기 위치 조정 돌기를 포함하고 커버 지지부(130')가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지지부(130')의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이 절개되어 홈(139h)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9h)은 길이 방향(Y1, Y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에 복수의 홈(139h)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홈(139h)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130')는 제1 길이 방향(Y1)의 말단에 형성된 돌기 지지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지지부(139)는 제1 길이 방향(Y1)으로 돌출된다. 돌기 지지부(139)는 두 개의 홈(139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길이 방향(Y1, Y2)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위치 조정 돌기(138)가 어느 한 위치 조정부(360)로부터 다른 한 위치 조정부(360)에 삽입될 때, 돌기 지지부(139)는 상하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돌기(138)는 돌기 지지부(139)의 제1 길이 방향(Y1) 말단부에서 하측 방향(D)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조정 돌기(138)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폭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 조정부(360)는 길이 방향(Y1, Y2)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복수의 홈은 위치 조정 돌기(138)의 형상과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홈 또는 홀은 폭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1 길이 방향(Y1)으로 슬라이딩 할 때, 위치 조정 돌기(138)와 결합되는 홈 또는 홀의 위치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2 길이 방향(Y2) 말단과 가까워질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300')가 제2 길이 방향(Y2)으로 슬라이딩 할 때, 위치 조정 돌기(138)와 결합되는 홈 또는 홀의 위치는 슬라이딩 커버(300')의 제1 길이 방향(Y1) 말단과 가까워질 수 있다.
위치 조정 돌기(138)는 슬라이딩 커버(300')가 길이 방향(Y1, Y2)으로 슬라이딩 할 때, 복수의 위치 조정부(360)와 결합하고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돌기(138)는 복수의 홈 또는 홀과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 커버(300')의 길이 방향(Y1, Y2)으로 복수의 특정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위치 조정 돌기(138)가 복수의 홈 또는 홀 중 어느 하나의 홈 또는 홀과 결합되었을 때, 슬라이딩 커버(300')가 길이 방향(Y1, Y2)으로 슬라이딩 하기 위해, 길이 방향(Y1, Y2)으로 소정의 힘이 필요하다. 소정의 힘보다 작은 힘이 슬라이딩 커버(300')에 가해질 경우, 슬라이딩 커버(300')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슬라이딩 커버(300')에 대한 위치 설정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등기구 세트, 10, 10': 등기구, 100, 100': 프레임, 110: 레일 프레임, 120, 120': 캡, 130, 130': 커버 지지부, 135a: 커버 경로 가이드, 135b: 커버 받침 가이드, 137: 스토퍼, 138: 위치 조정 돌기, 139: 돌기 지지부, 190: 어댑터 고정부, 200: 슬라이딩 어댑터, 200F: 어댑터, 210: 어댑터 본체, 211: 레일 삽입 홈, 214: 레버 관통 홀, 215: 단자 관통 홀, 216: 가이드 홈, 217: 걸림 돌기, 220: 회전 단자부, 221: 레버, 222: 회전 축부, 224: 연결 단자, 226: 핀, 300: 슬라이딩 커버, 310, 310': 슬라이딩 커버 플레이트, 320: 슬라이딩부, 330: 걸림부, 330a, 330a': 걸림 돌기 대응부, 330b: 접촉면, 340: 돌출부, 360: 위치 조정부, 400: 고정 커버, 400h: 개구부, 420: 사이드 리브, 430: 가이드 돌기, 440: 스토퍼, 460: 고정 대응부

Claims (18)

  1. 광원이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측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외부의 전원과 접속 가능한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걸림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는,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등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어느 하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을 상측에서 덮는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에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에 접촉하여 걸림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돌기 대응부에 고정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의 양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일체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상측에서 덮는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하는,
    등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고정 커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고정 커버 중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등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 상의 사이 부분으로 슬라이딩하게 구성되는,
    등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어느 하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 대응부에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 커버에 대해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접촉되어 밀리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등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어댑터 본체; 및
    상기 연결 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고정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2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1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오픈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등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일체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등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의 상측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등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하측면 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받침 가이드;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의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커버 경로 가이드를 포함하는,
    등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 말단부 중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말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와 상기 커버 지지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딩 어댑터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제1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돌출부가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제1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등기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 및 상기 커버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 또는 홀인 복수의 위치 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 및 상기 커버 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특정 위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위치 조정 돌기를 포함하는,
    등기구.
KR2020210003770U 2021-02-04 2021-12-10 등기구 KR2004972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78 2021-02-04
KR20210000378 2021-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74U KR20220001974U (ko) 2022-08-11
KR200497212Y1 true KR200497212Y1 (ko) 2023-09-01

Family

ID=8280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70U KR200497212Y1 (ko) 2021-02-04 2021-12-10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493B1 (ko) * 2022-12-27 2023-06-28 신창엔텍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716A (ja) 2011-05-24 2012-12-10 Koizumi Trading:Kk ダクトレール
JP2013098040A (ja) 2011-11-01 2013-05-20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ライト
KR101734673B1 (ko) 2015-09-02 2017-05-11 김동환 레일 조명등
KR102090899B1 (ko)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KR102095430B1 (ko) 2018-11-14 2020-03-3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양방향에서 회전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일조명등
KR200491881Y1 (ko) 2019-07-08 2020-06-24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직관형 레일등용 슬라이딩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043A (ko) * 2021-04-07 2021-05-04 주식회사 나인와트 전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716A (ja) 2011-05-24 2012-12-10 Koizumi Trading:Kk ダクトレール
JP2013098040A (ja) 2011-11-01 2013-05-20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ライト
KR101734673B1 (ko) 2015-09-02 2017-05-11 김동환 레일 조명등
KR102095430B1 (ko) 2018-11-14 2020-03-3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양방향에서 회전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일조명등
KR102090899B1 (ko)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KR200491881Y1 (ko) 2019-07-08 2020-06-24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직관형 레일등용 슬라이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74U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105B1 (en) Relamping cartridge assembly
KR101083452B1 (ko) 로우 프로파일 램프 조립체
KR200497212Y1 (ko) 등기구
US8573717B2 (en) Front panel assembly having a sliding door mechanism
KR102062101B1 (ko)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267857B1 (ko) 원터치 체결용 등기구
KR102567555B1 (ko) 레일 조명시스템용 조명등기구
US11982421B2 (en) Retractable spotlight
CN213513417U (zh) 灯具
US6578233B1 (en) Hinge mechanism for outdoor lighting assembly
RU2660531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95499Y1 (ko) 행거형 조명등의 트랙거치장치
CN212869480U (zh) 明装灯具
JP6604573B2 (ja) 照明器具
KR101104855B1 (ko) 빔 조절가능 벽등
KR102061657B1 (ko) 모듈 탈착식 led 조명등
JP4548452B2 (ja) 照明器具
WO2016052486A1 (ja) 反射板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3094791B2 (ja) ランプソケット装置
CN106724867B (zh) 一种开盖结构和电饭煲或电压力锅
KR101250461B1 (ko) 바아형 엘이디 조명장치
CN210179458U (zh) 一种天花射灯
CN212377859U (zh) 一种线型地埋灯
CN215411602U (zh) 一种方形天花灯
KR101611979B1 (ko) 천정 매설형 조명 기구 및 그것의 루버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