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673B1 - 레일 조명등 - Google Patents

레일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673B1
KR101734673B1 KR1020150124369A KR20150124369A KR101734673B1 KR 101734673 B1 KR101734673 B1 KR 101734673B1 KR 1020150124369 A KR1020150124369 A KR 1020150124369A KR 20150124369 A KR20150124369 A KR 20150124369A KR 101734673 B1 KR101734673 B1 KR 10173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erminal
outer member
main body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570A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4109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346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5012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6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2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조명등은, 전원을 전달하는 한 쌍의 콘센트 단자가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하나씩 구성된 레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레일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 사이에 삽입되며, 광원을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 전원을 연결하는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 사이에 걸쳐져 접속될 수 있는 단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조명등을 이용하면, 실내 천정이나 진열대 등에 시공된 레일에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 조명등{Rail type lamp}
본 발명은 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하며, 실내 천정이나 진열대 등에 시공된 레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레일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의 광원으로는 가정용, 사무용, 상업용으로서 필라멘트 방식을 비롯하여 가격 및 성능면 등에서 탁월한 LED 등이 있다.
최근에는 조명의 역할이 단순히 실내를 밝게 밝히는 용도로만 머물지 않고, 커피숍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소위 포인트(point) 조명이라고 하여 인테리어 목적으로도 많이 활용되며, 또한 백화점 등에서 광도나 명암 등의 조절에 의해 상품의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최근 추세에 맞추어 인테리어나 마케팅용 등으로서 조명의 설치 구조 또한 일반적인 백열등, 형광등 구조에서 벗어나, 실내 천정이나 상품 진열대 등에 직선, 곡선의 레일 구조로 설치되는 레일형이 각광받고 있다.
상기 레일형은 실내 천정이나 진열대 등에 상용전원 등과 연결된 레일이 시공되며, 상기 레일에 LED 등의 광원으로 구성된 조명등이 설치된다. 상기 LED 등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레일에는 상용전원 등과 연결된 콘센트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조명등에는 상기 콘센트 단자와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 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콘센트 단자는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나뉘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한 쌍의 콘센트 단자에 걸쳐져 접촉함으로써 상기 콘센트 단자와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레일 조명등은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레일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착탈 작업 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상기 조명등을 상기 레일에 설치, 분리할 때,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끝에서부터 밀어 넣어 설치, 분리해야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는, 상기 플러그 단자가 한 쌍의 콘센트 단자 사이에 나란하도록 상기 조명등을 상기 레일에 끼워 넣은 후 상기 레일 조명등 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에 걸쳐지도록 작업해야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상기 레일 조명등을 형광등과 같이 길고 가는 봉형으로 구성한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보다 극명하게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010호(공개일자; 2014년 7월 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천정이나 진열대 등에 시공된 레일의 수직방향으로 설치, 분리되되, 전체가 아닌 플러그 단자 측 일부분만 회전시켜 플러그 단자를 레일의 콘센트 단자에 접속, 차단시킬 수 있는 레일 조명등을 제공하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조명등은 전원을 전달하는 콘센트 단자가 내장된 레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레일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 단자 사이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끼움 결합되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방열주름부가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광원을 복개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 전원을 연결하는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함께 레일 내부의 상기 콘센트 단자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콘센트 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단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양쪽면에 각각 상기 플러그 단자가 회전될 수 있도록 단자용 개구홀이 형성된 외측부재와;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외측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부재의 개구홀을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부재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를 지지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단을 통해 삽입되어 착탈 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외측부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개방된 끝단면을 복개하는 커버 복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와 함께 상기 외측부재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에 걸쳐질 수 있는 레일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재는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양쪽면에 각각 상기 레일 걸림턱이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턱용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수동조작을 위해 상기 외측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재에는 폭방향의 일측면에 상기 레버 돌기가 회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용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광등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양쪽 끝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은 레일의 수직방향으로 착탈될 수 있으며, 본체부는 그대로 두고 단자 결합부의 회전부재만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플러그 단자와 콘센트 단자를 접속,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체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며, 아울러 착탈 작업 시 레일에 설치된 다른 레일 조명등을 불필요하게 분리, 결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은 회전부재의 레버를 손으로 잡고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수동 조작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레일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은 단자 결합부가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단자가 습기나 마모 등으로 손상된 경우 단자 결합부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이 형광등 구조인 경우, 착탈 작업의 용이성은 보다 현저하게 우월한 장점이 될 수 있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레일 조명등이 설치되는 레일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레일 조명등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레일 조명등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레일 조명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레일 조명등의 단자 결합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레일 조명등이 레일에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레일 조명등의 회전부재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3축 좌표계의 X축방향을 레일의 폭방향, Y축방향으로 레일의 길이방향, Z축방향으로 레일의 수직방향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명등(10)은 실내 천정이나 진열대 등에 일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시공되며, 상용전원 등과 연결된 한 쌍의 콘센트 단자(4)가 내장된 레일에 설치되어 위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레일(2)은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길며, 길이에 비해 폭이 좁은 사각형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2)의 종단면을 보면, 대략 'ㄷ'자형을 이룬다, 즉, 상기 레일(2)은 폭방향을 따라 양쪽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2a)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폐쇄면(2b)으로 구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의 개구된 부분인 개구부(2c)의 폭은 상기 레일(2)의 폭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2a)의 내측에는 한 쌍의 콘센트 단자(4)가 나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2a)의 내측에는 후술할 단자 결합부(50)의 레일 걸림턱(86)이 걸림될 수 있도록, 각각 폭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파인 한 쌍의 측면 개구홀(2d)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개구홀(2d)은 상기 레일(2)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콘센트 단자(4)와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조명등(10)은 광원 종류나 조명 목적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봉형 형광등 구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일 조명등(10)은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4) 사이의 개구부(2c)에 삽입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에 끼움 결합되며 광원(90)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9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방열주름부(46)가 구비된 브라켓(45)과, 상기 본체부(20)의 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90)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광원(90)과 전선(31) 등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센트 단자(4)와 전기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 단자(52)가 설치된 단자 결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레일(2)의 개구부(2c)를 통해 레일(2)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단자 결합부(50) 및 브라켓(45)이 설치되는 바디(30)와, 상기 브라켓(45)에 설치된 광원(90)을 복개하는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30)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2)의 개구부(2c)에 삽입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2) 반대쪽 면인 정면에 LED 등의 광원(90)이 설치된 브라켓(45)이 끼움 결합으로 체결된다. 상기 바디(30)는 종단면이 대략 중공의 사각형일 수 있고,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광원(90)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바디(30)의 정면과 마주보는 면이 개구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는 정단면이 대략 '∪'형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끝단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30)와 상기 커버(40)는 상기 바디(30)와 커버(40)의 모서리에 체결되는 브라켓(45)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방열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30) 또는 레일 조명등(10)의 LED 모듈 등과 면접촉 될 수 있으며,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방열 날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0)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2 내지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조명등(10)이 길이가 긴 형광등형 구조인 경우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20)의 양쪽 끝에 각각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50)는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상기 본체부(20)와 함께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4) 사이의 개구부(2c)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축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콘센트 단자(4) 사이에 걸쳐져 접속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단자 결합부(50)는 상기 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이 상기 본체부(20)의 일측단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는 내측부재(60)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부재(60)의 타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폭방향을 따라 양쪽면에 각각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단자용 개구홀(72a)이 형성된 외측부재(70)와,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상기 외측부재(70)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부재(70)의 단자용 개구홀(72a)을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부재(70)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52)를 지지하는 회전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60)는 상기 바디(3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바디 결합부(62)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 결합부(62)로부터 상기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측부재(70)에 삽입되는 외측부재 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 결합부(62)에는 상기 바디(30)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30)에 형성된 홀(30a)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62a)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 결합부(62)의 걸림턱(62a)은 탄성력에 의해 착탈이 용이토록 일부 둘레가 절개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 결합부(62)는 바디(30)에 착탈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45)에도 삽입되어 착탈될 수 있어서, 바디(30)와 커버(40)를 연결시키는 브라켓(45)을 고정시켜 별도의 공구나 나사 등과 같은 고정구 없이도 레일 조명등(1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바디 결합부(62)의 분리 시 레일 조명등(10)의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 결합부(64)는 상기 외측부재(70)에 착탈 가능토록 상기 외측부재(70)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64a)을 갖는 하나 이상의 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부재 결합부(64)는 그 사이에 상기 회전부재(8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바디 결합부(62)의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7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디(30)에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내측부재(60)의 외측부재 결합부(64)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디 연결부(72)와, 수직방향으로 상기 바디 연결부(72)로부터 상기 레일(2) 반대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40)의 개방된 끝단면을 복개하는 커버 복개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연결부(72)는 종단면이 상기 레일(2)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용 개구홀(72a) 및 상기 내측부재(60)의 외측부재 결합부(64)가 걸림될 수 있는 홀 또는 홈, 단턱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자용 개구홀(72a)은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10)이 상기 레일(2)에 결합될 때, 폭방향으로 상기 레일(2)에 설치된 콘센트 단자(4)와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52)의 회전 반경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바디 연결부(72)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각각 후술할 레일 걸림턱(86)이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턱용 개구홀(7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용 개구홀(72b) 또한 상기 단자용 개구홀(72a)과 마찬가지로 폭방향으로 상기 레일(2)의 측면 개구홀(2d)과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연결부(72)에는 폭방향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쪽면에는 후술할 회전부재(80)의 레버(84b)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레버용 개구홀(72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용 개구홀(72c)은 상기 회전부재(80)의 레버부(84)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20) 측 끝단이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용 개구홀(72c)은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10)이 상기 레일(2)에 설치될 때, 상기 회전부재(80)의 레버부(84)가 상기 레일(2)의 개구부(2c)에 삽입되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커버(40) 측 끝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 연결부(72)의 내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커버(40) 측 끝단부에 상기 회전부재(80)를 받칠 수 있는 받침턱(72d)이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복개부(74)는 상기 커버(40)의 종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80)는 도 7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설치되는 회전체부(82)와, 상기 회전체부(82)와 일체로 회전토록 형성된 레버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부(82)는 상기 외측부재(70)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2) 측 끝단에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회전 반경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부(82) 내부에서 플러그 단자(52)가 본체부(20)에 연결된 전선(31)과 연결되며, 이와 같이 플러그 단자(52)와 연결된 전선(31)이 통과하는 배선홀(82a)이 회전체부(82)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레버부(84)의 레버(84b)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부(82)와 함께 회전되는 플러그 단자(52)에 연결된 전선(31)은 플러그 단자(52)의 회전으로 인해 전선(31)이 꼬이거나, 당겨져서 전선(31)이 플러그 단자(52)로부터 분리되어 끊어질 수 있으며, 반복적인 플러그 단자(52)의 회전에 의해 전선(31) 자체가 단선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전선(31)의 일부를 회전체부(82)의 표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회전체부(82)의 회전 시 자연스럽게 회전체부(82)의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여 전선(31)의 꼬임과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단선방지구(82b)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부(82)에는 회전 반경방향으로 상기 레일 걸림턱(86)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84)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회전체부(82)의 레일 걸림턱(86) 아래 방향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84)는 상기 회전체부(82)와 축중심이 일치하며 상기 회전체부(82)보다는 회전반경이 더 큰 받침판(84a)과, 상기 받침판(84a)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외측부재(70)의 레버용 개구홀(72c)을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레버(84b)와, 상기 받침판(84a)으로부터 회전 반경을 따라 돌출되어 회전부재(80)가 단자 결합부(50)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80)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부(8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명등(10)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 결합부(50)의 내측부재(60)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20)의 일측 끝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재(70)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80)를 밀어 넣어 결합시켜 상기 플러그 단자(52)는 상기 외측부재(70)의 단자용 개구홀(72a)에, 상기 회전부재(80)의 레일 걸림턱(86)은 상기 외측부재(70)의 걸림턱용 개구홀(72b)에, 상기 회전부재(80)의 레버(84b)는 상기 외측부재(70)의 레버용 개구홀(72c)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 단자(52) 및 상기 회전부재(80)의 레일 걸림턱(86)이 상기 외측부재(7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80)의 레버(84b)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외측부재(70)의 레버용 개구홀(72c)의 일정 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위와 같이 회전부재(80)와 결합된 외측부재(70)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20)에 결합된 내측부재(60)에 끼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준비된 레일 조명등(10)을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2)을 향해 밀어 넣어서 상기 바디(30) 및 상기 단자 결합부(50)가 함께 상기 레일(2)의 개구부(2c)에 삽입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재(80)의 레버(84b)를 손으로 잡고 상기 외측부재(70)의 레버용 개구홀(72c)을 따라 돌린다. 그러면, 상기 외측부재(7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80)만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상기 외측부재(70)의 단자용 개구홀(72a)을 통해 상기 외측부재(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폭방향으로 가로 배치되므로 상기 레일(2)의 한 쌍의 콘센트 단자(4)에 걸쳐져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러그 단자(52)가 상기 콘센트 단자(4)와 접속됨에 따라 상용전원이 상기 광원(90)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8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52)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부재(80)의 레일 걸림턱(86)이 상기 외측부재(70)의 걸림턱용 개구홀(72b)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레일(2)의 측면 개구홀(2d)에 걸쳐짐으로써 본 발명의 레일 조명등(10)이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2)에 설치된 레일 조명등(10)을 분리할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80)의 레버(84b)를 결합 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 단자(52)와 상기 레일 걸림턱(86)이 결합 시와 반대로 상기 외측부재(70) 안쪽으로 회전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짐과 동시에 레일(2)과 레일 조명등(10) 간의 고정상태가 해체되어 상기 레일 조명등(10)이 레일(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 레일 4: 콘센트 단자 10: 레일 조명등
20: 본체부 30: 바디 31: 전선
40: 커버 45: 브라켓 46: 방열주름부
50: 단자 결합부 52: 플러그 단자 60: 내측부재
70: 외측부재 80: 회전부재 82: 회전체부
84: 레버부 84b: 레버 90: 광원

Claims (5)

  1. 삭제
  2. 전원을 전달하는 콘센트 단자가 내장된 레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레일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 단자 사이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끼움 결합되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방열주름부가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광원을 복개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 전원을 연결하는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함께 레일 내부의 상기 콘센트 단자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콘센트 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단자 결합부가 구성되되,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양쪽면에 각각 상기 플러그 단자가 회전될 수 있도록 단자용 개구홀이 형성된 외측부재와;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외측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부재의 개구홀을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부재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를 지지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단을 통해 삽입되어 착탈 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외측부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개방된 끝단면을 복개하는 커버 복개부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와 함께 상기 외측부재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레일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에 걸쳐질 수 있는 레일 걸림턱과,
    상기 외측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재는 폭방향을 따라 양쪽면에 각각 상기 레일 걸림턱이 회전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용 개구홀과,
    상기 외측부재의 일측면에 상기 레버가 이동될 수 있는 레버용 개구홀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회전체부가 구성되되,
    상기 회전체부는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 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배선홀이 회전체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회전체부의 회전 시 회전체부에 상기 전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회전체부의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단선방지구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명등.
  5. 삭제
KR1020150124369A 2015-09-02 2015-09-02 레일 조명등 KR10173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69A KR101734673B1 (ko) 2015-09-02 2015-09-02 레일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69A KR101734673B1 (ko) 2015-09-02 2015-09-02 레일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70A KR20170027570A (ko) 2017-03-10
KR101734673B1 true KR101734673B1 (ko) 2017-05-11

Family

ID=5841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369A KR101734673B1 (ko) 2015-09-02 2015-09-02 레일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67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3B1 (ko) 2017-09-25 2019-02-22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2095430B1 (ko) * 2018-11-14 2020-03-3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양방향에서 회전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일조명등
KR20200001555U (ko) 2019-01-03 2020-07-13 김기화 조명등기구
KR20200103520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고정 위치 조절 구조의 레일 조명 장치
KR20210028897A (ko) 2019-09-05 2021-03-15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KR102273174B1 (ko) * 2020-01-17 2021-07-06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장착 및 분리시공이 용이한 위치가변형 엘이디 무빙레일조명장치
KR102281758B1 (ko) 2020-12-31 2021-07-23 한창희 레일등 어댑터
KR20220001974U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등기구
KR20220145676A (ko) * 2021-04-22 2022-10-31 유한회사 하이에스텍 레일 조명시스템용 조명등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70Y1 (ko) * 2017-12-18 2018-07-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직관등기구용 레일접속장치
KR200491539Y1 (ko) * 2019-04-17 2020-04-23 민승천 레일등용 커넥팅 장치
KR102090899B1 (ko)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KR200491881Y1 (ko) * 2019-07-08 2020-06-24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직관형 레일등용 슬라이딩 어댑터
KR102230800B1 (ko) * 2019-07-25 2021-03-22 주식회사 린노 연속 연결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34A (ja) * 1999-11-30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電ダクト用プラグ
JP2006024513A (ja) * 2004-07-09 2006-01-26 Daiko Electric Co Ltd 照明器具の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95B1 (ko) 2013-01-17 2014-07-28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34A (ja) * 1999-11-30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電ダクト用プラグ
JP2006024513A (ja) * 2004-07-09 2006-01-26 Daiko Electric Co Ltd 照明器具のプラ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3B1 (ko) 2017-09-25 2019-02-22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2095430B1 (ko) * 2018-11-14 2020-03-3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양방향에서 회전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일조명등
KR20200001555U (ko) 2019-01-03 2020-07-13 김기화 조명등기구
KR102366266B1 (ko) * 2019-02-25 2022-02-22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고정 위치 조절 구조의 레일 조명 장치
KR20200103520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고정 위치 조절 구조의 레일 조명 장치
KR20210028897A (ko) 2019-09-05 2021-03-15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KR102262767B1 (ko) * 2019-09-05 2021-06-09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KR102273174B1 (ko) * 2020-01-17 2021-07-06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장착 및 분리시공이 용이한 위치가변형 엘이디 무빙레일조명장치
KR102281758B1 (ko) 2020-12-31 2021-07-23 한창희 레일등 어댑터
KR20220001974U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등기구
KR200497212Y1 (ko) 2021-02-04 2023-09-0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등기구
KR20220145676A (ko) * 2021-04-22 2022-10-31 유한회사 하이에스텍 레일 조명시스템용 조명등기구
KR102567555B1 (ko) 2021-04-22 2023-08-21 유한회사 하이에스텍 레일 조명시스템용 조명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70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673B1 (ko) 레일 조명등
US9494307B2 (en) Repositionable junction box
US9739460B2 (en) Interchangeable lighting fixtures for track and wall lighting system
US9464770B2 (en) LED lighting strip
US7261446B2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US9976712B2 (en) Lamp for use in a lighting strip system and lighting strip system
JP2014078427A (ja) 照明器具
US1902026A (en) Reflector socket
US5727868A (en) Wall mounted battery operated, fluorescent illuminating device
US20140078731A1 (en) Led socket adapter assembly
KR101085225B1 (ko) Led 형광램프 조립체
KR102387085B1 (ko) 조명등 고정 브라켓
US6017134A (en) Lamp string holding frame
KR20170000511U (ko) 시스템 조명등기구
KR200483081Y1 (ko) 전등 커버 고정구
CN210567802U (zh) Led橱柜灯
KR200236556Y1 (ko)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US5615942A (en) Light socket adapter
KR101796981B1 (ko) 매립형 등기구의 안정기 조립구조
JP2014216215A (ja) 照明器具
KR102262767B1 (ko)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JP6383596B2 (ja) 直管灯用取付具
JP6049167B2 (ja) 照明器具
JP5014180B2 (ja) 照明器具
JPH0935524A (ja) スポット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09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110

Effective date: 202006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4853;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710

Effective date: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