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085B1 - 조명등 고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조명등 고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085B1
KR102387085B1 KR1020210152539A KR20210152539A KR102387085B1 KR 102387085 B1 KR102387085 B1 KR 102387085B1 KR 1020210152539 A KR1020210152539 A KR 1020210152539A KR 20210152539 A KR20210152539 A KR 20210152539A KR 102387085 B1 KR102387085 B1 KR 102387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hanger bracket
bracket
fix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준주
Original Assignee
(주)지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엘텍 filed Critical (주)지엘텍
Priority to KR102021015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085B1/ko
Priority to KR1020220043662A priority patent/KR10244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및 가우징 겸용 송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급 장치는 작업 선택 장치 결합구, 작업 선택 장치, 및 용접 전원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어 용접 작업 및 가우징 작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작업선택 버튼; 및 상기 작업 선택 버튼에 결합되어 가우징 작업시 가우징 토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가우징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작업을 수행하면서 손쉽게 가우징 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등 고정 브라켓{LIGHT FIXTURE BRACKET}
본 발명은 조명등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 고정 브라켓을 천장에 장착한 후 조명등을 끼움으로써 조명등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조명등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에 대한 연구개발은 에너지효율과 소비자의 욕구충족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진행되고 있는바,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백열등, 형광등 및 삼파장 전구 등을 광원(光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는 제작 및 사용상의 간편함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조명등의 수명이 짧고, 에너지가 다량으로 소요되어 에너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조명기구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에너지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엘이디(LED) 조명등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엘이디 조명등은 천장에 장착되어야 하는데, 천장에 직접 장착하는 것은 작업에 번거러우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브라켓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9881호, '엘이디 조명등 장착 장치'에서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잇대어 끼워져 결합되어 상하부가 개구된 다각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등본체를 천장패널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는 엘이디 조명등 장착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개구된 함체(函體)형상으로 구성되어 천장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폭방향으로 향하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일측 걸림공의 양쪽에는 항상 내측으로 탄성작용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장착판과; 상기 프레임체의 상부 양쪽 내측에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장착판에 대하여 조명등본체를 장착할 때 아랫쪽으로부터 상기 장착판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장착판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공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걸리는 한쌍의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하면, 장착판 및 걸림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바가 비쌀 뿐만 아니라 조명등을 체결하기도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9881호, 엘이디 조명등 장착장치, 등록일 : 2018.05.1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6075호, 조명등용 고정 프레임 및 고정장치, 등록일 :2017.11.30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체결이 용이한 조명등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장에 조명등을 장착하기 위한 조명등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천장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는 형거 브라켓; 조명등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 브라켓이 일측이 체결되는 체결구; 및 상기 조명층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체결구와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행거 브라켓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브라켓은 일측 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리브가 조명등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명등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행거 브라켓이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여 행거 브라켓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는 행거 브라켓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복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거 브라켓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행거 브라켓면과 둔각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는 눌림부; 및 상기 눌림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제1홀이 형성되며 양쪽 끝단에 오목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눌림부를 가압하고 제2홀이 형성된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제1홀 및 제2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회전부가 눌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은 간단한 구조로 조명등을 천장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에 의하면 행거 브라켓의 다수의 실릿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천장에 부착시 반듯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이 조명등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의 정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클램프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클램프가 가압되어 행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이 조명등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의 정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클램프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클램프가 가압되어 행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고정 브라켓은 천장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는 형거 브라켓(100), 조명등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 브라켓이 일측이 체결되는 체결구(200), 및 상기 조명층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체결구와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행거 브라켓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300)를 포함한다.
조명등(10)은 프레임(11),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커버(12), 및 LED에서 출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확산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고, 커버의 상부 내측에서는 LED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행거 브라켓(100)은 일측 단부에 삽입공(111)이 형성된 리브(110)가 조명등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명등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00)는 상기 삽입공(111)으로 삽입되어 행거 브라켓이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300)는 상기 고정부(120)를 가압하여 행거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브라켓(100)은 천장에 먼저 고정되며, 천장 고정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슬릿(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슬릿(101)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줄을 맞춰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거 브라켓(100)을 천장에 고정할 때 상기 슬릿을 통해 천장의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어 행거 브라켓(100)을 반듯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 브라켓(100)의 중앙부에는 전선 인입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10) 행거 브라켓(100)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복수 개의 삽입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00)는,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부(210);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수직부(220);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00)는 행거 브라켓(100)에 체결되어 행거 브라켓(100)을 지지하고 행거 브라켓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구(200)의 돌출부(100)는 조명등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리브의 삽입공(1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의 개수와 삽입공의 개수는 동일하며 돌출부는 삽입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행거 브라켓(100)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행거 브라켓면과 둔각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부(121),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는 눌림부(122), 및 상기 눌림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110)는 행거 브라켓의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행거 브라켓 면과 둔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 방향은 브라켓이 천장에 장착된 것을 기준으로 해서 조명등 방향이 아래 방향이고, 천장 방향이 위쪽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눌림부(122)는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 경사부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눌림부(122)는 수평보다 조금 더 위로 꺾어지도록 절곡된다. 클램프(300)의 힌지 브라켓이 회전하면서 눌림부를 누르게 되므로 눌림부는 수평보다 더 절곡되여 약간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23)는 눌림부(122)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300)는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제1 홀(314)이 형성되며 양쪽 끝단에 오목부(312)가 형성된 하우징(310),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눌림부를 가압하고 제2홀(324)이 형성된 제1 회전부(321)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 회전부(322)를 포함하는 힌지 브라켓(320), 및 상기 제1홀(314) 및 제2홀(324)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에 지속적인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회전부(321)가 눌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쪽 측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측벽(311) 및 상기 바닥면의 후방(행거 브라켓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후면벽(3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311)의 전방(행거 브라켓 방향)에는 오목부(312)가 형성되고, 후면벽에 제1 홀(3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홀(314)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320)은 하우징 양쪽 측벽의 오목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눌림부(122)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브라켓(320)은 힌지 브라켓의 회전축에서 돌출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눌림부(122)를 가압하는 제1 회전부(321)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회전부(321)와 일체로 형성된 제2 회전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321)의 하부(회전축 근처)에는 제2홀(3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홀은 복수개 형성되며, 제1 홀(314)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행거 브라켓(100)이 클램핑(3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회전부(322)를 누르면 제1 회전부(321)가 회전하면서 눌림부(122)를 가압하게 된다. 제1 회전부(321)가 눌림부(122)를 누른 상태에서 스프링(330)에 의해 제1 회전부(321)가 당져지므로 행거 브라켓(100)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321)는 보드판 형태로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부(322)는 포크 형태로 가지가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부(321)는 눌림부(122)를 가압하므로 접촉 면적이 넓은 것이 유리하다. 제2 회전부(322)는 포크 형태로 형성하여 가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클램프(300)를 조명등 프레임(11)에 고정할 때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클램프(300)를 프레임(1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나사로 고정해야 하는데, 제2 회전부를 보드판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고정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제1홀(314)와 제2홀(323)에 스프링(330)이 결합되어 하우징과 브라켓 사이에 지속적인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등이 행거 브라켓(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행거 브라켓 110 : 리브
120 : 고정부 121 : 경사부
122 : 눌림부 123 : 지지부
200 : 체결구 210 : 수평부
220 : 수직부 230 : 돌출부
300 : 클램프 310 : 하우징
311 : 측벽 312 : 오목부
313 : 후면벽 314 : 제1홀
320 : 회전브라켓 321 : 제1 회전부
322 : 제2 회전부 324 : 제2홀
330 : 스프링

Claims (5)

  1. 천장에 조명등을 장착하기 위한 조명등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천장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는 행거 브라켓;
    조명등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행거 브라켓이 일측이 체결되는 체결구; 및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체결구와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행거 브라켓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브라켓은 일측 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리브가 조명등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명등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행거 브라켓이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여 행거 브라켓을 고정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조명등 프레임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거 브라켓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행거 브라켓면과 둔각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가압되는 눌림부; 및
    상기 눌림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고정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행거 브라켓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복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고정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경사부와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고정 브라켓..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제1홀이 형성되며 양쪽 끝단에 오목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눌림부를 가압하고 제2홀이 형성된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제1홀 및 제2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회전부가 눌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고정 브라켓.
KR1020210152539A 2021-11-08 2021-11-08 조명등 고정 브라켓 KR10238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39A KR102387085B1 (ko) 2021-11-08 2021-11-08 조명등 고정 브라켓
KR1020220043662A KR102449176B1 (ko) 2021-11-08 2022-04-07 조명등 고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39A KR102387085B1 (ko) 2021-11-08 2021-11-08 조명등 고정 브라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662A Division KR102449176B1 (ko) 2021-11-08 2022-04-07 조명등 고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085B1 true KR102387085B1 (ko) 2022-04-15

Family

ID=81212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539A KR102387085B1 (ko) 2021-11-08 2021-11-08 조명등 고정 브라켓
KR1020220043662A KR102449176B1 (ko) 2021-11-08 2022-04-07 조명등 고정 브라켓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662A KR102449176B1 (ko) 2021-11-08 2022-04-07 조명등 고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7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722B1 (ko) * 2022-10-14 2023-02-14 기민전자주식회사 Led 터널등용 매미 고리형 잠금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674A (ko) * 2009-04-20 2010-10-28 김연국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투광커버
KR20150017202A (ko) * 2013-08-06 2015-02-16 룩스플랜(주)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KR101806075B1 (ko) 2017-06-16 2018-01-10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용 고정 프레임 및 고정장치
KR101859881B1 (ko) 2017-09-15 2018-05-21 빌트조명(주) 엘이디 조명등 장착장치
KR20190049654A (ko) * 2019-04-10 2019-05-09 빌트조명(주) 엣지타입 조명등 장착장치
KR102149402B1 (ko) * 2019-05-10 2020-08-28 박철수 조명등의 장착구조
KR20210105281A (ko) * 2020-02-18 2021-08-26 김용식 등기구 탈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674A (ko) * 2009-04-20 2010-10-28 김연국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투광커버
KR20150017202A (ko) * 2013-08-06 2015-02-16 룩스플랜(주)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KR101806075B1 (ko) 2017-06-16 2018-01-10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용 고정 프레임 및 고정장치
KR101859881B1 (ko) 2017-09-15 2018-05-21 빌트조명(주) 엘이디 조명등 장착장치
KR20190049654A (ko) * 2019-04-10 2019-05-09 빌트조명(주) 엣지타입 조명등 장착장치
KR102149402B1 (ko) * 2019-05-10 2020-08-28 박철수 조명등의 장착구조
KR20210105281A (ko) * 2020-02-18 2021-08-26 김용식 등기구 탈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722B1 (ko) * 2022-10-14 2023-02-14 기민전자주식회사 Led 터널등용 매미 고리형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176B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446B2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JP5697492B2 (ja) 照明器具
KR101713384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2387085B1 (ko) 조명등 고정 브라켓
KR20160053526A (ko) 엘이디 모듈과 케이스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KR20170118638A (ko) 엣지타입 조명등의 장착장치
JP5971591B2 (ja) 照明器具
JP2014078427A (ja) 照明器具
KR200483908Y1 (ko) Led 평판조명등
JP2016207621A (ja) 照明装置
KR100920793B1 (ko) Led타입 또는 전구타입 조명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원터치식 매입등 케이스
KR200450568Y1 (ko) 조명등 케이스의 투과창 장착구조
KR101128769B1 (ko) 루버형 매입 엘이디 조명장치
JP3642066B2 (ja) 天井バーの構造
US6158700A (en) Arch frame with decorative light string
KR100308343B1 (ko) 형광등기구
KR101520225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선 접속장치
JP2006167363A (ja) 棚板装置
KR102599425B1 (ko) 라인형 led 조명등 프레임
CN215336216U (zh) 方便装卸接线盒的灯具
JP2009259624A (ja) 照明器具
JP7061273B2 (ja) ばね装置および照明器具
CN216408733U (zh) 嵌装灯
KR102262767B1 (ko)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JP7068809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