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93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93B1
KR102548493B1 KR1020220185477A KR20220185477A KR102548493B1 KR 102548493 B1 KR102548493 B1 KR 102548493B1 KR 1020220185477 A KR1020220185477 A KR 1020220185477A KR 20220185477 A KR20220185477 A KR 20220185477A KR 102548493 B1 KR102548493 B1 KR 10254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upport
bracket
upper bracket
safet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섭
Original Assignee
신창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창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from a light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이 형성되는 채널본체(210)와, 상기 채널본체(210)의 양측벽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한 쌍의 측면절곡단(220)을 갖는 지지채널(200)과; 조명을 인가하는 안전등본체(110)와, 상기 안전등본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채널본체(210)의 이동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공급라인이 수용되는 지지관(120)을 갖는 안전등(100)과; 상기 지지관(120)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120)과 함께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안전등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부브라켓(400)과; 상기 지지채널(200)에 상기 상부브라켓(400) 보다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400)과 상기 안전등본체(110)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라켓(400)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120)이 삽입되는 상부지지관삽입관(413)과,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상부채널고정볼트(418)와 한 쌍의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가 구비된 상부브라켓상판(415)을 갖는 상부브라켓본체(410)와;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를 덮도록 상기 지지채널(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판면에 상기 상부채널고정볼트(418)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고정볼트노출공(425)과 한 쌍의 무두볼트수용공(423)이 형성된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상기 상부채널가압판(4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채널고정볼트(418)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채널가압판(420)을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를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게 조절하는 상부클램핑레버(430)와; 상기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에 고정하는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Height adjustable safety lamp assembly}
본 발명은 안전등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간편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공장 등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통로나 작업장에 안전등을 설치한다. 안전등은 작업장의 벽면에 브라켓 등을 이용해 고정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설치나 유지보수를 위해 이렇게 고정된 안전등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브라켓을 분리한 후 벽면에 다시 고정해야하므로 높이 조절이 힘들고, 높이조절이 안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다리 등에 올라가야만 하는 위험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던 C형채널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성품을 구매하지 않고 안전등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안전등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등조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이 형성되는 채널본체(210)와, 상기 채널본체(210)의 양측벽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한 쌍의 측면절곡단(220)을 갖는 지지채널(200)과; 조명을 인가하는 안전등본체(110)와, 상기 안전등본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채널본체(210)의 이동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공급라인이 수용되는 지지관(120)을 갖는 안전등(100)과; 상기 지지관(120)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120)과 함께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안전등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부브라켓(400)과; 상기 지지채널(200)에 상기 상부브라켓(400) 보다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400)과 상기 안전등본체(110)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라켓(400)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120)이 삽입되는 상부지지관삽입관(413)과,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상부채널고정볼트(418)와 한 쌍의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가 구비된 상부브라켓상판(415)을 갖는 상부브라켓본체(410)와;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를 덮도록 상기 지지채널(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판면에 상기 상부채널고정볼트(418)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고정볼트노출공(425)과 한 쌍의 무두볼트수용공(423)이 형성된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상기 상부채널가압판(4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채널고정볼트(418)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채널가압판(420)을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를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게 조절하는 상부클램핑레버(430)와; 상기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에 고정하는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의 양측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복수개의 상부브라켓이빨(411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핑레버(430)가 상기 상부브라켓(400)이 고정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가압되며 상기 복수개의 상부브라켓이빨(411a)이 상기 측면절곡단(220)의 상부 내벽면과 맞닿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브라켓상판(415)은 상기 상부클램핑레버(430)가 상기 상부브라켓(400)이 고정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와 함께 상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측면절곡단(220)의 하단과 맞닿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120)이 삽입되는 하부지지관삽입관(313)과,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와 판면에 고정결합된 볼트축안내너트(316) 및 레버축안내너트(317)가 구비된 하부브라켓상판(315)을 갖는 하부브라켓본체(310)와;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를 덮도록 상기 지지채널(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면에 상기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하부무두볼트노출공(325)과 볼트축삽입공(323) 및 레버축삽입공(327)이 형성된 하부채널가압판(320)과; 상기 볼트축삽입공(323)을 통해 상기 볼트축안내너트(316)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에 고정하는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상기 레버축삽입공(327)을 통해 상기 레버축안내너트(317)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에 고정하는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와; 상기 하부채널가압판(320)의 하부무두볼트노출공(3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채널가압판(320)을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를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시키거는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등(100)의 높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상기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상기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 및 상기 상부클램핑레버(430)가 상기 지지관(120)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한 후 상기 상부브라켓(40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는 안전등을 지지채널에 수용하고, 하부브라켓을 지지채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부브라켓만 상하로 이동시켜 안전등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사용하던 지지채널에 하부브라켓과 상부브라켓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높으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과의 결합과정에서 지지채널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하부브라켓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상부브라켓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고정상태에서 하부브라켓과 상부브라켓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높이조절 상태에서 하부브라켓과 상부브라켓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하부브라켓이 지지채널에 이동가능한 상태의 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의 하부브라켓이 지지채널에 고정된 상태의 횡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1)의 안전등(10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안전등조립체(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1)는 작업장 또는 공사장 또는 도로 등에 조명을 비춰주는 안전등(100)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된 지지채널(200)과, 안전등(100)이 지지채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안전등(100)과 지지채널(200)을 결합시키는 하부브라켓(300) 및 상부브라켓(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1)는 공사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C형채널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지지채널(200)로 사용하고,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만 지지채널(200)에 결합시켜 안전등(100)을 희망하는 높이로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전등(100)은 조명을 밝히는 안전등본체(110)와, 안전등본체(11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내부에 안전등본체(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A)이 수용되는 지지관(120)과, 지지관(1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지지관(120)의 높이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주름관(130)을 포함한다.
안전등본체(110)는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발광하며 조명을 밝힌다. 지지관(120)은 중공관 형태로 구비되며 안전등본체(110)의 하부로부터 수직하게 구비된다. 지지관(120)은 지지채널(2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부브라켓(400)과 하부브라켓(300)에 결합된다. 지지관(120)은 상부브라켓(400)에 고정결합되며 상부브라켓(400)의 위치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하며 안전등본체(11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한다.
주름관(130)은 지지관(120)의 하단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지지관(120)이 지지채널(200)을 따라 하강되더라도 바닥에 닿아 표면이 손상되거나 내부의 전원공급라인(A)에 손상이 가지 않게 한다. 작업자는 안전등본체(110)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때 주름관(130)을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조절하여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지지채널(200)은 안전등(100)의 지지관(12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지지채널(200)은 공지된 C형채널이 사용된다. 지지채널(200)은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ㄷ"자 형상의 채널본체(210)와, 채널본체(210)의 상부에 내측을 향해 절곡된 한 쌍의 측면절곡단(220)을 포함한다.
지지채널(200)은 공사장이나 작업현장의 가설물 또는 빔 등에 브라켓이나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된다. 지지채널(200)의 외부로 노출된 주름관(130)의 전원공급라인(A)은 근처의 전원공급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나 결합위치에 따라 그 역할은 상이하다. 상부브라켓(400)은 안전등(100)의 지지관(120)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며 안전등(100)의 높이가 고정되게 한다. 하부브라켓(300)은 상부브라켓(400)의 하부에서 지지채널(200)에 고정되고 상부브라켓(400)의 높이가 조절되며 하강될 때 상부브라켓(400)과 접촉되며 상부브라켓(400)과 안전등(100)의 최대 하강높이를 제한한다.
도 4는 하부브라켓(3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상부브라켓(4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안전등(100)의 위치가 지지채널(200)에 고정된 상태의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안전등(100)의 위치를 조절할 때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하부브라켓(300)이 지지채널(200)에 고정되기 전 상태의 횡단면구성이고, 도 9는 하부브라켓(300)이 지지채널(200)에 고정된 상태의 횡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브라켓(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채널(200)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채널(200)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브라켓본체(310)와, 지지채널(200)의 상부에서 하부브라켓본체(310)와 결합되는 하부채널가압판(320)과, 하부브라켓본체(310)와 안전등(100)의 지지관(120)을 고정하는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 및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브라켓본체(310)를 지지채널(200)에 고정시키는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를 포함한다.
하부브라켓본체(310)는 지지채널(200)의 채널본체(2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하부브라켓본체(310)는 하부브라켓블럭(311)과, 하부브라켓블럭(311) 내부에 수용된 하부지지관삽입관(313)과,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하부브라켓상판(315)과, 하부브라켓상판(315)의 상부에 고정결합된 볼트축안내너트(316)와 레버축안내너트(317) 및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를 포함한다.
하부브라켓블럭(311)은 상부가 개방된 "U"자 형태로 구비된다. 하부브라켓블럭(311)의 양측 상단에는 하부브라켓이빨(3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하부브라켓이빨(311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가 체결되기 전에는 지지채널(200)의 측면절곡단(220)과 일정거리(d) 이격되게 위치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가 체결되면 체력력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며 측면절곡단(220)의 내벽면과 맞물리게 된다.
이에 의해 하부브라켓(300)은 지지채널(200)의 측면절곡단(220)을 중심으로 하부에서는 하부브라켓이빨(311a)과 접촉되고 상부에서는 하부채널가압판(320)에 의해 가압되어 위아래에서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지지채널(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하부브라켓이빨(311a)은 각 이빨의 상단과 측면절곡단(220)의 상부 내벽면이 점접촉되고, 하부채널가압판(320)은 측면절곡단(220)이 상면과 면접촉되며 지지채널(200)의 표면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은 하부브라켓블럭(31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결합된다. 하부지지관삽입관(313)에는 안전등(100)의 지지관(120)이 수용된다.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의 내경은 지지관(1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지관(120)이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하부브라켓상판(315)은 하부브라켓블럭(311)이 상부에 수평하게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의 상단에 고정결합된다. 하부브라켓상판(315)의 중심영역에는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가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의 양측으로 볼트축안내너트(316)와 레버축안내너트(317)가 판면에 고정된다.
도 6의 (a)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축안내너트(316)와 레버축안내너트(317)가 형성된 하부브라켓상판(315)의 판면과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이 상면에는 하부볼트축삽입공(313a)이 관통형성된다.
볼트축안내너트(316)와 레버축안내너트(317)의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의 하부레버축(341)과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가 나사결합되며 지지관(120)의 하부볼트축삽입공(313a)으로 삽입되게 한다.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와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가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잠겨지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하부볼트축삽입공(313a)으로 하부레버축(341)과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가 삽입되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의 상단을 접촉가압하여 지지관(120)을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고정시킨다.
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와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가 풀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하부볼트축삽입공(313a)의 상부로 하부레버축(341)과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가 상승되며 지지관(120)과 이격된다. 이에 의해 안전등(100)의 지지관(120)은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는 하부브라켓상판(315)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된다. 돌출된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18a)이 형성된다.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채널가압판(320)의 하부무두볼트노출공(3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에 나사결합된다.
이 때, 작업자가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를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하부브라켓이빨(311a)이 측면절곡단(220)과 일정거리(d)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부브라켓(300)이 지지채널(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를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에 꽉 조이면 하부브라켓이빨(311a)이 측면절곡단(220)의 상부 내벽면에 접촉되고, 하부브라켓상판(315)이 측면절곡단(220)의 내측단부와 닿고, 하부채널가압판(320)이 지지채널(20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가압력을 인가하여 하부브라켓(300)이 지지채널(2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하부채널가압판(320)은 지지채널(200)의 상부에서 하부브라켓본체(310)와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 및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에 의해 고정된다. 하부채널가압판(320)은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의 결합력에 의해 지지채널(200)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부브라켓본체(310)가 지지채널(200)에 고정되게 한다.
하부채널가압판(320)의 양측에는 하부를 향해 절곡된 하부채널측면가압판(321)이 구비되어 지지채널(200)의 측면에도 구속력을 가하게 된다. 하부채널가압판(320)의 판면에는 볼트축삽입공(323)과 하부무두볼트노출공(325) 및 레버축삽입공(327)이 관통된다.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조작되어 지지관(120)이 하부브라켓(300)의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고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게 조작한다.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는 상부로 노출된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에 나사결합되어 하부채널가압판(320)과 하부브라켓상판(315)으로 결합력을 인가하여 하부브라켓(300)이 지지채널(200)과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게 한다.
상부브라켓(400)은 지지채널(200)을 따라 하부브라켓(300) 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안전등(100)의 지지관(120)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게 지지관(120)에 결합된다. 상부브라켓(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채널(20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라켓본체(410)와, 지지채널(200)의 상부에서 상부브라켓본체(410)와 결합되는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지지채널(200)에 대한 고정력을 인가하거나 해제하는 상부클램핑레버(430)를 포함한다.
상부브라켓(400)과 상부채널가압판(420)은 하부브라켓(300) 및 하부채널가압판(32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채널가압판(420)에는 좌우로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가 구비되고,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를 통해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가 나사결합되어 상부지지관삽입관(413)으로 삽입된다.
상부브라켓(400)은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가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를 통해 상부지지관삽입관(413)에 삽입되어 지지관(120)을 고정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즉, 작업자는 초기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를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에 체결하여 지지관(120)을 고정하면 더 이상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를 조작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상부브라켓(400)은 지지관(120)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작업자는 상부브라켓(400)을 지지채널(200)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지지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채널가압판(420)의 중심영역에는 상부채널고정볼트(418)가 상부를 향해 돌출된다. 돌출된 상부채널고정볼트(418)는 상부클램핑헤드(431)의 고정볼트삽입홈(433)에 삽입된다.
작업자는 클램핑헤드(431)에 상부채널고정볼트(418)를 결합시킨 후 상부클램핑레버(430)를 회전조작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지지채널(200)에 고정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지지채널(200)로부터 이격되어 상부브라켓(400)이 지지채널(20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1)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1)를 조립한다. 이를 위해 안전등(100)과, 지지채널(200),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을 준비한다.
지지채널(200)은 기존에 사용하던 C형채널을 희망하는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준비한다. 작업자는 지지채널(2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을 끼운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부브라켓(300)의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를 체결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300)을 지지채널(200)에 고정한다.
그리고, 하부브라켓(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상부브라켓(400)을 지지채널(200)에 결합시키고, 상부브라켓(400)의 상부클램핑헤드(431)를 회전조작하여 상부브라켓(400)을 지지채널(200)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지채널(200)의 상부에서 안전등(100)의 지지관(120)을 지지채널본체(210)의 내부로 삽입하여 지지관(120)이 상부브라켓(400)의 상부지지관삽입관(413)을 경유하여 하부브라켓(300)의 하부지지관삽입관(313)으로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를 회전조작하여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레버축(341)이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을 관통하여 지지관(120)의 외면을 접촉하여 고정하게 한다.
또한, 작업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를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를 통해 나사결합하여 상부지지관삽입관(413)을 관통하여 지지관(120)의 외면을 접촉하여 고정하게 한다.
지지관(120)을 고정하는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의 상단은 상부채널가압판(420)의 무두볼트수용공(423)에 수용된다.
이렇게 하부브라켓(300)과 상부브라켓(400) 및 안전등(1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지지관(120)의 하부에 주름관(130)을 결합시키고 전원공급라인(A)을 전원공급부와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채널(200)을 작업현장 또는 공사장의 가설물이나 빔 등에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수직하게 고정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작업현장에 조명이 비춰지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높이(h1)에서 안전등조립체(1)를 사용하던 중 안전등(100)의 높이를 더 높게 조절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300)의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와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를 풀어 지지관(12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하부브라켓(300)은 지지채널(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관(120)만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서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업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400)의 상부클램핑레버(430)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상부브라켓본체(410)와 상부채널가압판(420)이 지지채널(200)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상부브라켓(400)은 지지채널(2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해진다.
이 때,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는 나사결합되어 지지관(120)의 상단을 접촉가압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부브라켓(400)을 손으로 잡고 상하로 이동시킬 때 안전등(100)도 지지관(120)과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망하는 높이(h2)로 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부브라켓(400)의 상부클램핑헤드(431)를 잠궈 상부브라켓(400)을 지지채널(200)에 고정한다.
그리고, 하부브라켓(300)의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를 잠궈 하부브라켓(300)에 지지관(120)이 고정되게 한다.
한편, 상부브라켓(40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높이를 조절하는 도중 상부브라켓(400)을 놓칠 경우 상부브라켓(400)은 지지채널(200)을 따라 아래로 하강한다. 이 때, 하강하는 상부브라켓(400)은 하부브라켓(300)과 닿으며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어 상부브라켓(400)이 바닥으로 추락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작업자는 사다리 위에 올라가거나 지지채널(20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손으로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 및 상부클램핑레버(430)의 회전조작하고, 상부브라켓(400)을 상하이동시켜 안전등(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등조립체는 안전등을 지지채널에 수용하고, 하부브라켓을 지지채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부브라켓만 상하로 이동시켜 안전등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사용하던 지지채널에 하부브라켓과 상부브라켓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높으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과의 결합과정에서 지지채널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안전등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안전등조립체 100 : 안전등
110 : 안전등본체 120 : 지지관
200 : 지지채널 210 : 채널본체
220 : 측면절곡단 300 : 하부브라켓
310 : 하부브라켓본체 311 : 하부브라켓블럭
311a : 하부브라켓이빨 313 : 하부지지관삽입관
313a : 하부볼트축삽입공 315 : 하부브라켓상판
316 : 볼트축안내너트 317 : 레버축안내너트
318 :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 318a : 나사산
320 : 하부채널가압판 321 : 하부채널측면가압판
323 : 볼트축삽입공 325 : 하부무두볼트노출공
327 : 레버축삽입공 330 : 하부지지관고정볼트
331 : 볼트헤드 340 :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
341 : 하부레버축 350 :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
400 : 상부브라켓 410 : 상부브라켓본체
411 : 상부브라켓블럭 411a : 상부브라켓이빨
413 : 상부지지관삽입관 413a : 상부볼트축삽입공
415 : 상부브라켓상판 416 :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
417 :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 418 : 상부채널고정볼트
420 : 상부채널가압판 421 : 상부측면가압판
423 : 무두볼트수용공 425 : 고정볼트노출공
430 : 상부클램핑레버 431 : 클램핑헤드
433 : 고정볼트삽입홈
A : 전원공급라인

Claims (4)

  1.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레일이 형성되는 채널본체(210)와, 상기 채널본체(210)의 양측벽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한 쌍의 측면절곡단(220)을 갖는 지지채널(200)과;
    조명을 인가하는 안전등본체(110)와, 상기 안전등본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채널본체(210)의 이동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공급라인이 수용되는 지지관(120)을 갖는 안전등(100)과;
    상기 지지관(120)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120)과 함께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안전등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부브라켓(400)과;
    상기 지지채널(200)에 상기 상부브라켓(400) 보다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400)과 상기 안전등본체(110)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하부브라켓(3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라켓(400)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120)이 삽입되는 상부지지관삽입관(413)과,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상부채널고정볼트(418)와 한 쌍의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가 구비된 상부브라켓상판(415)을 갖는 상부브라켓본체(410)와;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를 덮도록 상기 지지채널(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판면에 상기 상부채널고정볼트(418)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고정볼트노출공(425)과 한 쌍의 무두볼트수용공(423)이 형성된 상부채널가압판(420)과;
    상기 상부채널가압판(4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채널고정볼트(418)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채널가압판(420)을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를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되게 조절하는 상부클램핑레버(430)와;
    상기 상부무두볼트결합너트(417)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관삽입관(4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에 고정하는 한 쌍의 상부지지관고정무두볼트(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의 양측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복수개의 상부브라켓이빨(411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핑레버(430)가 상기 상부브라켓(400)이 고정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가압되며 상기 복수개의 상부브라켓이빨(411a)이 상기 측면절곡단(220)의 상부 내벽면과 맞닿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상판(415)은 상기 상부클램핑레버(430)가 상기 상부브라켓(400)이 고정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와 함께 상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측면절곡단(220)의 하단과 맞닿아 상기 상부브라켓본체(410)가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300)은,
    상기 지지채널(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120)이 삽입되는 하부지지관삽입관(313)과,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와 판면에 고정결합된 볼트축안내너트(316) 및 레버축안내너트(317)가 구비된 하부브라켓상판(315)을 갖는 하부브라켓본체(310)와;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를 덮도록 상기 지지채널(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면에 상기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하부무두볼트노출공(325)과 볼트축삽입공(323) 및 레버축삽입공(327)이 형성된 하부채널가압판(320)과;
    상기 볼트축삽입공(323)을 통해 상기 볼트축안내너트(316)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에 고정하는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상기 레버축삽입공(327)을 통해 상기 레버축안내너트(317)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지지관삽입관(313) 내에 수용된 지지관(120)과 맞닿아 상기 지지관(120)을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에 고정하는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와;
    상기 하부채널가압판(320)의 하부무두볼트노출공(3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하부채널고정무두볼트(318)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채널가압판(320)을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하부브라켓본체(310)를 상기 지지채널(200)에 고정시키거는 하부무두볼트결합너트(35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등(100)의 높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상기 하부지지관고정볼트(330)와 상기 하부지지관클램핑레버(340) 및 상기 상부클램핑레버(430)가 상기 지지관(120)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한 후 상기 상부브라켓(4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조립체.
KR1020220185477A 2022-12-27 2022-12-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KR10254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477A KR102548493B1 (ko) 2022-12-27 2022-12-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477A KR102548493B1 (ko) 2022-12-27 2022-12-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93B1 true KR102548493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477A KR102548493B1 (ko) 2022-12-27 2022-12-27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9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656A (ko) * 2005-07-21 2007-01-25 김재관 미닫이식 개폐 등기구
KR200470131Y1 (ko) * 2013-10-01 2013-12-04 최혜지 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102195316B1 (ko) * 2020-11-02 2020-12-24 이범섭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명을 구비한 조명 기구
JP6906797B2 (ja) * 2018-08-24 2021-07-21 株式会社ライトボーイ 投光器
KR102281758B1 (ko) * 2020-12-31 2021-07-23 한창희 레일등 어댑터
JP2021174778A (ja) * 2020-04-20 2021-11-01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210144112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인터원 실내조명용 엘이디 모듈 바
KR20210002869U (ko) * 2020-06-16 2021-12-23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행거형 조명등의 트랙거치장치
KR20220001974U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등기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656A (ko) * 2005-07-21 2007-01-25 김재관 미닫이식 개폐 등기구
KR200470131Y1 (ko) * 2013-10-01 2013-12-04 최혜지 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JP6906797B2 (ja) * 2018-08-24 2021-07-21 株式会社ライトボーイ 投光器
JP2021174778A (ja) * 2020-04-20 2021-11-01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210144112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인터원 실내조명용 엘이디 모듈 바
KR20210002869U (ko) * 2020-06-16 2021-12-23 이리코조명 주식회사 행거형 조명등의 트랙거치장치
KR102195316B1 (ko) * 2020-11-02 2020-12-24 이범섭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명을 구비한 조명 기구
KR102281758B1 (ko) * 2020-12-31 2021-07-23 한창희 레일등 어댑터
KR20220001974U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952B1 (ko) 형강 가공 드릴용 고정 지그
US4919384A (en) Guiding device for a portable machine
US10427279B2 (en) Screw installation aid for holding and aligning a screw
KR10254849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등조립체
KR20160029938A (ko)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KR20160108201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KR200482162Y1 (ko) 천장 앵커볼트용 등기구레일 고정구
KR102041392B1 (ko)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CA1195153A (en) Drill press with overhead mount
EP0338142B1 (en) Stanchion or post
CN110526078A (zh) 一种电梯导轨纠偏用检修装置及应用该装置的检修方法
GB2099061A (en) Safety barrier
CN214135935U (zh) 管道连接用对中装置
KR101644346B1 (ko) 교량 점검로
CN112451041A (zh) 一种骨科钻孔定位方法
KR102338633B1 (ko) 탈부착 안전 난간
KR102031748B1 (ko) 높이 조절형 난간 포스트
EP3567160A1 (en) Temporary switch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CN220300076U (zh) 可调节稳定型导靴
KR101883887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CN214722311U (zh) 一种锚下垫板专用夹具
KR102525665B1 (ko)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DE20220029U1 (de) Fliesen- und Glasschneidevorrichtung und Anschlagvorrichtung für eine Fliesen- und Glasschneidevorrichtung
KR20150019894A (ko) 써클홀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