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602A -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방법, 및 물품 - Google Patents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방법,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602A
KR20220100602A KR1020227017022A KR20227017022A KR20220100602A KR 20220100602 A KR20220100602 A KR 20220100602A KR 1020227017022 A KR1020227017022 A KR 1020227017022A KR 20227017022 A KR20227017022 A KR 20227017022A KR 20220100602 A KR20220100602 A KR 2022010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oligomer
polyamideimide
amic aci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루티 헤지
테오 딩게만스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시티 오브 노쓰 캐롤라이나 엣 채플 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시티 오브 노쓰 캐롤라이나 엣 채플 힐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시티 오브 노쓰 캐롤라이나 엣 채플 힐
Publication of KR2022010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4Polyamide-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1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 C08G73/1014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in the form of (mono)anhydr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25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polymerised by radi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28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6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08G73/105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with oxygen only in the diamino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08G73/1071Wholly aromatic 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D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9/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61/00 - C09J177/00
    • C09J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J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condensates of cyclic compounds, e.g. polyimides, polybenzimidaz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curing or polymerising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로부터 만들어진다.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매우 다양한 관능성 재료, 제조 방법, 및 물품에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방법, 및 물품
관련된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원은 2019년 11월 8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932,892 및 2020년 9월 8일 출원된 63/075,610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의 양쪽은 본원에 그들 전체가 참고로 편입된다.
배경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이미드 (PAI)는 중합체 백본에서 교대 환식 이미드 및 아미드 연결기를 갖는 고성능 중합체이고, 1970년대 초반에 최초로 상용화되었다. 고 분자량 PAI는 뛰어난 고온 강도, 저온 인성 및 충격 강도, 그리고 우수한 내화학성 및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고 분자량 PAI는 이미드화되지 않는 중합체 백본에서 아믹산 기를 가질 수 있다. 아믹산 기는 중합체 백본에 일부 가요성을 부여하고, 이는 쉽지 않아도 PAI를 다소 용융 가공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고 분자량 PAI의 용융 가공과 연관된 몇몇 난제가 여전히 있다. 용융 점도는 온도 및 전단율에 고도로 민감성이고, PAI는 요구된 600 ℉ (316 ℃) 초과 가공 온도가 있는 협소한 가공 윈도우를 갖는다. 아믹산은 환화탈수에 의해 이미드로 열적으로 전환하고, 아믹산 기의 환식 이미드 기로의 전환은 중합체 백본의 강직성에서 신속한 증가, 그러므로 용융 점도에서 신속한 증가를 초래한다. 이것이 압출 동안 일어난다면, 중합체 용융물이 압출기에서 응고하는 위험이 있다. 비-이미드화된 아믹산 기의 존재로 인해, PAI는 고도로 수분 민감성이고 분자량 및 열적-기계적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용융 가공 전에 철저히 건조되어야 하고, 그 동안 건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게다가, 500 ℉ (260 ℃)에 20 일 이상 동안 이미드화의 물 제거 및 이미드화는 최적 특성들을 수득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이들 어려움들은 단순한 스톡 형상 예컨대 막대, 플레이트, 튜브, 및 기타 프로파일의 제조에 고 분자량 PAI의 사용을 제한하였다. 이들 스톡 형상은 그 다음, 예를 들어, 터닝, 드릴링, 및 밀링 단계에 의한 사출 성형으로 접근할 수 없는 부품으로 기계화될 수 있다.
고 분자량 PAI의 가공 한계의 관점에서, 점성이 덜한 사출 성형 등급이 개발되었다. 이들 등급은 사출-성형된, 충전된 및 미충전된 부품 그리고 스톡-형상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어려움이 있다. 사출 성형 등급은 원위치에서 분자량을 구축하기 위해 아민-말단 저 분자량 (올리고머성) 폴리아미드의 이무수물 사슬-확장제, 예컨대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PMDA)의 혼합물인 것으로 믿어진다. 폴리아미드의 올리고머성 성질은 용융 점도를 낮추고, 이는 용융 가공 단계에 일조하고, 아민-말단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이무수물과 반응되어 사슬-확장을 통해서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를 형성한다. 가공 후, 생산된 부품 및 스톡 형상은 후 경화될 필요가 있다. 후 경화에서, 아믹산 기는 환화탈수하여 PAI를 형성한다. PAI에 대한 이러한 루트의 주요 단점은 다량의 물이 최종 부품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물의 2개 공급원이 있다: i) 사슬-확장된 PAI에서 흡습성 잔여 아믹산 모이어티와 연관된 물리흡착된 물; 및 ii) 환화탈수 단계에서 생성된 물. 부품 및 스톡 형상으로부터 물 제거하기는 부품의 두께 및 이의 최종 적용에 의존적인 프로그래밍된 가열 프로토콜 하에서 며칠에서 몇 주가 소요되는 시간-소모 공정이다. 확장된 열적 후-경화 및 시간-소모 물 제거 단계가 필요 없는 전-방향족 PAI가 당업계에서 필요하다.
PAI의 사출 성형 등급이 고 분자량 PAI보다 개선이었어도, 용융 가공에서 많은 어려움이 여전하다. 상기 논의된 경우에, 아믹산 기는 사슬-확장된 PAI에서 여전히 존재하고, 그래서 사용 전에 철저히 건조되어야 한다. 중합 (사슬-확장)을 완료하기 및/또는 아믹산 기를 이미드화하기 위해 열적 후-처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또한 여전히 필요하다. 상기 논의된 경우에, 물은 이들 후-처리 단계에서 생성되고, 발포, 미세 기포의 형성, 및 부품의 취성을 피하기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사출 성형 등급 PAI에 관하여 다른 어려움이 또한 있다. 과도한 체류 시간이 사슬 확장 및 증가하는 점도로 인해 유동의 손실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체류 시간은 최적화되어야 한다. 금형은 신속하게 충전되어야 하고 압력은 각 금형 크기 및 형상에 최적화되어야 한다. 패밀리 금형 설계를 사용한 사출 성형은 양호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사출 성형 등급 PAI의 점도는 여전히 고도로 전단 민감성이다. 그러므로, 사출 스피드, 사출 압력, 배압, 스크류 스피드, 배럴 온도, 사이클 시간, 및 금형 가열은 모두 각 특정 금형 형상 및 크기에 최적화되어야 한다.
후열 처리는 사출 성형 등급 PAI에 여전히 임계적이다. 성형된 채의 부품이 완성된 것처럼 보여도, 이들은 실제로 약하고, 부서지기 쉽고, 불량한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 및 차선적 내열성을 갖는다. 최적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성형된 부품은 시간 간격으로 일련의 점진적 온도 증가의 경화 일정에 따라 강제-공기 오븐에서 가열되어야 하며, 이는 부품의 각 유형 및 크기에 최적화되어야 한다. 제조업체에 의해 권장된 일반 경화 일정은 총 8 일 동안 375 ℉ (191 ℃)에 1 일, 425 ℉ (218 ℃)에 1 일, 475 ℉ (246 ℃)에 1 일, 및 500 ℉ (260 ℃)에 5 일이다. 더 두꺼운 부품은 반응의 물이 반응이 진행하기 위해 부품으로부터 확산해야 하기 때문에 경화시키는데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그러므로, 반응 속도는 확산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줄어든다. 게다가, 특정 부품, 예컨대 초박형 벽 및/또는 섬세한 속성이 있는 것들은 엄격한 치수 공차를 충족시키기 위해 후-경화 동안 고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문제들의 관점에서, 가공 전에 방대한 건조화가 필요 없는 그리고 아믹산 작용기의 환화탈수로부터 생성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 방대한 열적 후-처리를 필요 없게 하는 쉽게 용융 가공가능하고 경화가능한 PAI에 대하여 필요가 당업계에서 여전하다. 다양한 물품 제조 공정에, 예를 들면 복합 형상으로 직접 사출 성형에, 연속 섬유를 사용하는 단향성 테이프 및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작에, 그리고 3D 인쇄 적용, 예컨대 필라멘트 또는 막대를 사용하는 융합된 증착 성형 (FDM), 또는 분말 층 인쇄 예컨대 선택적 레이저 소결 (SLS)에 적당한 PAI에 대하여 필요가 또한 여전하다. 본원에 기재된 주제는 당업계 및 그 이상에서 이들 단점을 다룬다.
간단한 설명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하나 이상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여기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다. "에서 유래된"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단계-성장 중합에 의해, 그리고 부산물로서 소 분자, 예를 들면 물 및 염산의 형성과 생성된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의 환화탈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C1-4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과량의 C1-4 알코올을 임의로 제거하는 단계;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이 또한 개시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여기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물 또는 C1-4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물 및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물 또는 C1-4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의 제거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제조, 형상화, 및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용액 주조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도 1은 실시예 4에서 기재된 경우에 제조된 예시적 복합 패널을 묘사한다. 탄소 섬유 직물 T650의 4겹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Mn = 5,000 g/mol, 완전히 이미드화되고, 용융됨)로 함침되었고, 가열된 평행 압반 프레스를 사용하여 고형화되어 복합 패널을 제조하였다.
도 2a 내지 2d는 계면들에 걸쳐서 확산, 그리고 계면들에 걸쳐서 사슬 얽힘 및 가교의 개념을 예시한다. 도 2a 및 2b는 고 분자량 고성능 열가소성물질의 확산 및 얽힘을 묘사한다. 도 2c 및 2d는 반응성 올리고머의 확산, 얽힘, 및 사슬 확장 및 가교를 묘사한다.
도 3은 2축 압출기에서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및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의 용융 중합을 위한 축력 (N) 대 시간 (분)의 그래프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또한 집합적으로 본원에 "반응성 올리고머"로 불림),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반응성 올리고머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제조 방법, 반응성 올리고머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가공 방법, 및 반응성 올리고머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으로부터 만들어진 물품이 본원에 개시된다. 본원에 기재된 폴리아미드이미드 물품에 대한 루트들은 확장된 열적 후 경화 및 시간-소모 물 제거 단계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이것은 용융 가공될 수 있는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설계하고 이어서 짧은 (고작 몇 시간) 열적 후-경화시켜 사슬 확장/가교를 통해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산출함으로써 성취된다. 후자 반응들은 선택된 작용기를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주의해서 편입시킴으로써 발생한다. 이들 작용기는 올리고머화 동안 여전히 미반응되고 그 다음 열적 후-경화에 이용가능하다. 열적 후-경화 동안, 이들 작용기는 물 같은 소 분자 부산물 생성 없이 첨가 반응들을 통해 중합 (사슬 확장/가교)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미반응된 작용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스톡-형상, 사출 성형된 복합 부품, 3D-인쇄된 부품 및 섬유- 또는 미네랄-강화 복합재료를 임의의 두께 제한 없이 생산하는 것은 최종 제품으로부터 물-제거 단계가 더 이상 필요없기 때문이다. 폴리아미드이미드에 대한 이들 루트들은 가공 이점 (예를 들면, 저 점도, 잔여 물 없음, 생성된 물 없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전에 제조가 불가능하였던 PAI 물품의 설계 및 제작을 허용한다.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범위에서 Mn을 갖는 것은 더 낮은 용융 점도 및 더 낮은 가공 온도를 제공하고, 이로써 용융 가공이 종래 용융 가공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하지만, 저 분자량 중합체 (올리고머)는 이들이 중합체 사슬 얽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량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다. 반응성 올리고머의 제조에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및/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사용하여, 분자량은 어느 한쪽 원위치 열적 중합에 의해 (예를 들면 반응 사출 성형 동안) 또는 열적 후-처리 단계 동안 (예를 들면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경우) 증가될 수 있다.
몇몇 이점은 열적으로 경화가능한 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발생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쉽게 용융 가공가능하고, 가공 전에 방대한 건조화가 필요 없고, 방대한 열적 후-처리가 필요 없다. 복합 부품은 1 단계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경화는, 약 300 내지 약 450 ℃에 실시되고 PAI의 현재 이용가능한 등급 경우에 며칠에 비교하여 약 1 내지 약 60 분 정도면 완료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용융 가공에 앞서 완전히 이미드화되는 경우, 스톡 형상 또는 사출 성형된 부품으로부터 물 제거의 어려운 단계가 필요 없다. 유리하게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반응성 올리고머가 즉석에서 경화되는 조건 하에서 복합 부품의 1-단계 사출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품은 약 1 내지 약 60 분 동안 쉽게 열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게다가 경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Tg, 파단 연신, 파단 강도, 및 인성은 현재 이용가능한 PAI의 것보다 훨씬 우수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은 하기 묘사된 화학적 구조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일부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아민은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을 포함한다. 카복실산의 관능성 등가물은 카복실 탄소 원자가 동일한 산화 상태에 있는 작용기, 예를 들면 카복실산 에스테르, 카복실산 할라이드, 및 카복실산 무수물이다. 예를 들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관능성 등가물은 벤젠 고리 상의 1-, 2-, 및 4-위치에서 치환체 탄소 원자가 동일한 산화 상태에 있는 화합물이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의 관능성 등가물은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이다.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은 근접한 (오르토) 카복실산 또는 관능성 등가 기, 예를 들어 프탈산 무수물 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을 포함하고, 이로써 5-원 프탈이미드 고리는 반응성 올리고머 백본에서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은 하기 묘사된 화학적 구조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03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은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용기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여전히 미반응되어서 후속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 반응들에 참여하는데 이용가능하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발생하는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는 "경화"로서 집합적으로 알려진다. "가교"는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의 임의의 조합에 대하여 또한 약칭이다. 경화 또는 가교는 열, 화학 (전자기) 복사, 및 전자 빔 복사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경화는 열적으로 개시된다. 후속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 반응들에 참여하는 미반응된 작용기는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들 미반응된 작용기는 화학 식, 화학 명칭, 및 경화 온도 범위가 있는 표 1에서 묘사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4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및 가교가능한 단량체의 예는, 미반응된 작용기에 대한 명칭과, 하기 제공된다. 1,2-디페닐에틴은 가교가능한 단량체이다. 모든 기타 화합물은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Figure pct00005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지만,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미반응된 작용기가 없다.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분지형이다. 분지화는 3-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다. 그래서, 일부 구현예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추가로 방향족 트리아민,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한다. 방향족 트리아민의 예는 1,3,5-트리아미노벤젠이고, 방향족 트리카복실산의 예는 1,3,5-벤젠트리카복실산이고,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의 예는 1,3,5-벤젠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이다.
수평균 분자량, Mn은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표적 값이고, 측정된 값이 아니다. 반응성 올리고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단량체 및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양은 Carothers 방정식, 반응식 (2)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반응식 (1)은 표적
Figure pct00006
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중합도
Figure pct00007
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본원에 Mn 으로서 또한 지칭됨)은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범위로부터 선택된 표적 수평균 분자량이고,
Figure pct00010
은 올리고머 반복 단위의 평균 분자량이다. 알려진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으로, 수평균 중합도 (
Figure pct00013
)는 계산되고 반응식 2에 대입된다. 반응은 완료되는 것으로 가정하므로 p = 1은 방정식 2를, 반응물 비율이고 표적
Figure pct00014
에 원하는 반응성 올리고머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화학양론적 오프셋을 제공하는 하나의 알려지지 않은, r로 단순화한다.
폴리아미드 아믹산은 폴리아미드이미드의 합성에서 중간체이다. 하기 반응식 1에서 묘사된 경우에, 폴리아미드이미드는 중간체 폴리아미드 아믹산 (상위 우측 구조)의 환화탈수에 의해 생산된다.
반응식 1
Figure pct00015
폴리아미드 아믹산이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에서 중간체이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이미드화, 즉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의 폴리아미드이미드로의 전환의 다양한 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일부 구현예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환화탈수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에서 유래되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약 80% 초과 및 100% 이하가 이미드화된다. 이미드화의 정도가 이 범위에 있는 경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완전히 이미드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 범위 내에서, 폴리아미드 아믹산 기의 85%, 90%, 95%, 96%, 97%, 98%, 및 99% 이상, 및 100% 이하가 이미드화될 수 있다.
일부 적용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80% 미만 이미드화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일부 구현예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환화탈수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에서 유래되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20% 이상 및 80% 이하가 이미드화된다. 그 범위 내에서, 아믹산 기의 30%, 40%, 50%, 60%, 및 70% 이상 및 80% 이하가 이미드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는,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 내지 1.0 %의 변형으로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된 360 ℃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다. 이 범위 내에서, 용융 복합 점도는 Mn의 함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가교가능한 또는 비-가교가능한 단량체 및 말단-캐퍼의 유형들 및 상대량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그래서, 전단율, 시간, 온도, 및 가열 속도의 함수로서 용융 복합 점도는 단량체 및 반응성 및 비-반응성 말단-캐퍼, 및 이들의 상대량의 선택에 의해 미세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복합 점도는 2,000, 3,000, 4,000, 또는 5,000 Pa·s 이상 및 90,000, 70,000, 50,000, 또는 30,000 Pa·s 이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융 복합 점도는 360 ℃에 약 5,000 내지 약 30,000 Pa·s이다. 대조적으로, 현재 이용가능한 PAI는 2 라디안/초으로 100,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예시적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2에서 제공된다.
반응식 2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A -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단 1개 유형과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B - 2개 상이한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C -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단 1개 유형과 이무수물 (4관능성) 및 2산/2산 클로라이드 (2관능성)로부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D - 가교가능한 단량체로부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합성; 및
E - 가교가능한 단량체로부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합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140 ℃ 내지 약 220 ℃이다. 상기 논의된 경우에,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의 형성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방법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를 이미드화하는데 요구된 온도 및 시간은 극성 용매, 만들어지는 구체적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원하는 정도의 이미드화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이미드화가 용매의 부재 하에서, 고체 상태에서 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 실시되는 경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220 ℃ 내지 약 300 ℃이다. 이미드화가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실시되는 경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140 ℃ 내지 약 220 ℃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제조되고, 이는 반응성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범위를 낮춘다. 극성 용매는 1 기압에 적어도 150 ℃의 비등점을 가져야 한다. 극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극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이다.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가열시키기에 앞서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부터 극성 용매의 제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상이한 이미드화 방법이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톨루엔을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첨가하고 톨루엔 및 물의 공비 증류시킴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미드화 제제는 아세트산 무수물일 수 있다. 산성 부산물은 이미드화에 의해 생성되고, 예를 들면 아세트산 무수물이 사용되는 경우 아세트산이다. 그러므로, 염기, 예를 들어 3차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3차 아민은, 예를 들어,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일 수 있다. 그래서, 일부 구현예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아세트산 무수물 및 촉매량의 3차 아민의 존재 하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가열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인산화 제제 및 촉매량의 염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이다. 이 방법에서,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은 산 할라이드, 예컨대 산 클로라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방법의 이점은 값비싼 산 클로라이드가 출발 물질로서 필요 없다는 것이다. 예로써, 공중합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극성 용매 예컨대 용매로서 NMP, 및 촉매량의 염 예컨대 LiCl 또는 CaCl2의 존재 하에서 실행된다. 질소 하에서 1.5 내지 2 시간 동안 최대 120 ℃ 가열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및 상응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부분적 이미드화를 초래한다. 질소 하에서 최대 5 시간 동안 추가의 피리딘으로 최대 150 ℃ 추가 가열은 완전 이미드화를 제공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반응성 압출에 의해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 (예를 들면 디아세틸화된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반응성 압출을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반응성 압출은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극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극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이다. 극성 용매는 단량체를 용해시킬 수 있거나, 번갈아, 단량체를 부분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고 반응성 압출 동안 형성된 올리고머 및 중간체와 함께 단량체의 슬러리 또는 유체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반응성 압출은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어 아믹산 중간체의 이미드화 (환화탈수)를 촉진시킬 할 수 있다. 반응성 압출 조건 하에서 액체인 경우, 산 촉매는 단량체를 또한 부분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고 반응성 압출 동안 형성된 올리고머 및 중간체와 함께 단량체의 슬러리 또는 유체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산 카탈스이스트가 액체인 경우, 반응성 압출 동안 배출 포트를 통해서 증류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산 촉매는 아세트산이고,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된다. 반응성 압출은 아세트산 무수물의 존재 하에서 또한 실행될 수 있고, 여기서 아세트산 무수물은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된다. 존재하거나 생성된 임의의 물, HCl, 극성 용매, 산 촉매,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제거를 촉진시키기 위해, 반응성 압출은 배출 포트 또는 이들 휘발물질의 제거를 위한 기타 수단이 장착된 복수의 사전-설정된 가열 구역을 갖는 용융 압출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방법에 의해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물 또는 C1-4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과량의 물 및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C1-4 알코올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또는 tert-부탄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C1-4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 적어도 하나이다.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방법에 의한 예시적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하기 반응식 3에서 기재된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8
무수물 및 디아민은 1 시간 동안 70 ℃에 C1-4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가열된다. 이것은 무수물을 개환시킬 것이고 상응하는 디카복실산 알킬 절반-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 절반-에스테르를 만들 것이다. 용매는 그 다음 진공 증류에 의해 제거된다. 그래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Ar이 아릴 기를 나타내고, Ar-COO-가 C1-4 알킬 절반-에스테르인 Ar-COO-+H3N-Ar의 모든 가능한 조합의 혼합물이다.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나일론 염의 유사체)은 중합 및 이미드화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 전환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중합 및 이미드화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기 위해 불활성 대기에서, 및 바람직하게는 가압 (0 내지 300 MPa) 하에서, 최대 300 ℃로 건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가열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반응식 3내 옵션 1) 가열은 밀봉된 용기에서 (반응식 3내 옵션 1) 및/또는 물 및 메탄올 또는 에탄올 증기의 제거를 위한 배출 능력이 있는 압출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반응식 3내 옵션 2) 예를 들어,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밀봉된 용기에서 각 1 시간 동안 60, 100, 및 200 ℃에 단계식으로 불활성 대기 하에서 가열, 그 다음 25 ℃로 냉각, 및 그 다음 320 내지 360 ℃에 압출기에서 올리고머화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할 수 있다. 그래서,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반응성 압출을 포함한다. 중합 및 이미드화는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 예컨대 물,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에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용해시키고, 이어서 160 ℃로 가열시킴으로써 또한 실시될 수 있다. (반응식 3내 옵션 3) 그래서,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시키기에 앞서 극성 용매에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용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물, 메탄올, 에탄올, 메탄올/물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물의 혼합물과 혼합되고 이어서 내압 컨테이너 (봄베 열량계 또는 오토클레이브)에서 220 ℃로 가열되어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중합 및 이미드화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약 80 내지 약 120 ℃의 온도 범위에 약 1 내지 약 100 Pa·s 범위인 용융 복합 점도를 갖고, 극성 용매 예컨대 NMP에서 용해도는 60 ℃에 최대 70 내지 80 wt%이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저 용융 복합 점도 및 고 용해도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를 위한 고 처리량을 허용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유용한 특성들이 있는 다양한 관능성 재료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블렌드 조성물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고 분자량 PAI 중합체 및 기타 고 분자량 중합체의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가소제 또는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PAI 중합체에 첨가된 반응성 올리고머는 고 분자량 PAI에 비해 개선된 유동 및 개선된 고형화 (공극의 최소화)에 의해 압축 성형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관능성 재료의 또 다른 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조성물이다. 분말 형태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다양한 기판, 예컨대 금속, 세라믹, 유리, 및 복합 기판 상에 코팅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분말 코팅물은 열적 스프레이, (진공) 플라즈마 스프레이, 및 콜드 스프레이 기법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관능성 재료의 또 다른 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이다. 분말 형태로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은 가압 하에서 350 내지 400 ℃의 온도에 다양한 기판에 (전처리 있거나 없이) 적용, 용융, 및 경화될 수 있다. 기판은 유리, 티타늄, 강철, 및 고 경화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한다. 반응성 분말은 불활성 구형 충전제와 혼합되어 접착제 층 두께 (예를 들면 유리 비드)를 제어할 수 있다. 반응성 접착제는 직물에 또한 용융되어 반응성 접착제 테이프를 만들 수 있고, 이는 2개 기판 사이 배치, 가열, 및 가압하 경화될 수 있다.
관능성 재료의 또 다른 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열시킴으로써 만들어진 고온 탄성중합체 조성물이다. 순수한, 충전되거나, 섬유 강화되는 가교 부품으로 만들어진 부품은 실란트 및 개스킷 적용을 위한 고온 탄성중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관능성 재료의 또 다른 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고온 발포체이다.
물리적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기타 재료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래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용융시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충전제, 또는 첨가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기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또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와 배합되어, 열기계적 특성들을 개선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기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또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 블록 공중합체를 만들어 열기계적 특성들을 개선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유용한 특성들을 가진 다양한 물품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은 약 1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00 내지 약 450 ℃이다. 예시적 경화 조건은 약 30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50 내지 약 400 ℃, 예를 들어 약 45 분 동안 약 360 ℃이다.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다양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물품은 하기 기재된다.
제조 방법은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필름의 분말로 실재할 수 있다. 그래서, 섬유 강화 복합 제조는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용융시키고,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극성 용매에서 또한 용해될 수 있다. 그래서, 섬유 강화 제조 방법은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셀룰로오스 (목질/종이 섬유, 짚), 폴리아라미드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벤족사졸 (PBO), 또는 폴리벤즈이미다졸 (PBI)일 수 있다.
이들 방법들 중 어느 한쪽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또한 개시된다. 예를 들어, 복합재료는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일 수 있다. 여러-겹 강화 복합재료는 임의의 수의 층들을 가질 수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층들의 수는 2개 층 이상 및 1,000개 층 이하이다.
제조 방법은 단향성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인발일 수 있다. 섬유 강화 복합 제조와 같이, 인발은 극성 용매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융물 또는 용액 출신일 수 있다. 인발에 의해 제조된 단향성 테이프는 또한 개시된다. 단향성 (UD) 테이프는 일반 테이프, 슬릿 테이프, 로빙, 또는 토우프레그일 수 있다. UD 테이프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자동화된 테이프 레이-업 기법/TOW 로봇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섬유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일 수 있다.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에 의해 제조된 섬유는 또한 개시된다. 약 내지 약 10,000 g/mol의 Mn을 갖는 양쪽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어느 한쪽 용액 상태 또는 용융 상태로부터 섬유로 방사될 수 있다. 용액 방사에서, 적당한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 혼합물, 예를 들면 NMP, DMAc, DMF, 또는 NMP/THF에서 용해된 반응성 올리고머는 플런저 펌프 및 25 ℃ 내지 80 ℃에 작동된 방사구를 포함하는 표준 용액 방사 설정을 사용하여 섬유로 방사될 수 있다. 섬유는 비-용매 (예를 들면 -10 ℃ 내지 60 ℃에 물/아세톤)에서 응집 후 수득된다. 생성된 섬유는 건조 및 가열되어 이미드화 및 가교를 유도한다. 방사된 대로의 섬유는 뜨거운 공기의 스트림을 사용하여 건조될 수 있고 가열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열 처리 동안 섬유는 스트레칭 단계에 노출될 수 있고, 이는 스트레칭 방향을 따라 중합체 사슬의 정렬 및 그러므로 섬유 강도를 증가시킨다. 용융 방사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용융되고 플런저 펌프, 가열된 수지 챔버 (250 ℃ 내지 300 ℃) 및 300 ℃ 내지 400 ℃에 작동되는 가열된 방사구를 포함하는 방사 설정을 사용하여 섬유로 방사되어 가교를 유도한다. 열간-연신된 섬유는, 가교를 완료하고 섬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포스트 스트레칭 있거나 없이, (공기/물) 냉각 및 스플링될 수 있고, 제2 가열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적층 제조일 수 있다. 적층 제조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적층 제조의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이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은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각 층 사이 계면이 있도록 인접한 수평 층들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압출시키는 단계, 및 층들을 노출시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하고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은 재료 압출을 사용하여 아이템을 인쇄하고, 여기에서 공급원료 재료는 압출기를 통해서 밀어진다. 대부분의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 3D 인쇄 기계에서, 공급원료 재료는 스풀에 감긴 필라멘트의 형태로 나온다. 3D 프린터 액화기는 이러한 유형의 인쇄에 주로 사용된 구성요소이다. 이들 프린터를 위한 압출기는 고온 단부 및 저온 단부를 갖는다. "저온" 단부는 고온 단부보다 더 차갑지만, 100 내지 250 ℃의 온도 범위에서 여전이 있을 수 있다. 저온 단부는, 재료에 기어- 또는 롤러-기반된 토크를 사용하고 스테퍼 모터로 공급 속도를 제어하여, 재료를 스풀로부터 당긴다. 저온 단부는 공급원료를 고온 단부로 밀어낸다. 고온 단부는 가열 챔버 및 노즐로 이루어진다. 가열 챔버는 액화기를 호스팅하고, 이는 공급원료를 용융시켜 이것을 용융된 상태로 변형시킨다. 용융된 재료를 작은 노즐로부터 빠져나가게 하여 그것이 놓이는 재료에 부착할 플라스틱의 박형, 점착성 비드를 형성하도록 한다. 노즐은 0.3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보통 가질 것이다. 상이한 유형의 노즐 및 가열 방법은 인쇄될 재료에 의존하여 사용된다.
필라멘트는 스풀에 감겨진 박형 필라멘트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방법의 변동에서, 공급원료는 필라멘트 대신에 막대의 형태이다. 막대가 필라멘트보다 더 두꺼우므로, 피스톤 또는 롤러로 고온 단부 쪽으로 밀어져서, 종래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에 비교하여 더 큰 힘 및/또는 속력을 적용할 수 있다.
용접 라인은 압출된 재료의 층들 사이 평평한 계면으로서 정의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계면들에 걸쳐서 확산하고 반응하여 중합체 사슬 얽힘 및 네트워크 형성을 계면들에 걸쳐서 신속하게 증가시키고, 이로써 인접한 층들을 함께 융합시킨다. 용접 라인 (계면들)은, 개선된 z-축 강도를 초래하는, 계면들에 걸쳐서 얽힌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사슬 확장 및/또는 가교에 의해 추가로 강화된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에서 사슬 얽힘, 네트워크 형성, 사슬 확장, 및 가교의 이러한 공정은 2개 상이한 반응성 말단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사용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제1 경화 온도가 있는 제1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사슬은 인쇄된 구조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먼저 가교할 수 있다. 제1 경화 온도보다 더 높은 제2 경화 온도가 있는 제2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사슬은 계면에 걸쳐서 확산할 수 있고 제2 경화 온도에 경화할 수 있고, 부품의 분자량, 가교 밀도, 및 강도를 구축할 수 있다.
적층 제조의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선택적 레이저 소결이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입자를 레이저로 선택적으로 소결 및 가교시켜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 (SLS)은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또는 유리 분말의 소 입자를 원하는 3차원 형상을 갖는 덩어리로 융합하기 위한 고출력 레이저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레이저)의 사용을 포함한다. 레이저는 분말 층의 표면에서 부품의 3D 디지털 설명으로부터 (예를 들면 CAD 파일 또는 스캔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횡단면을 스캔함으로써 분말화된 재료를 선택적으로 융합시킨다. 각 횡단면이 스캐닝된 후, 분말 층은 1-층 두께만큼 낮아지고, 재료의 새로운 층이 최상부에 적용되고, 부품이 완료되는 때까지 공정은 반복된다. SLS 기계는 분말 층에서 벌크 분말 재료를 분말의 유동점 미만 온도로 예열시켜, 분말이 연화되고 함께 융합하는 지점까지 선택된 영역의 온도를 레이저가 상승시키는 것을 쉽게 만든다.
적층 제조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조 방법은 직접 에너지 증착 (DED) 또는 레이저 조작된 네트 형상화 (LENS)이다. DED 또는 LENS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돌출형 설계를 제작하기 위해 특별한 지지 구조를 가장 자주 요구하는, 일부 기타 적층 제조 공정, 예컨대 광조형법 (SLA) 및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 (FFF)과 대조적으로, SLS가 지지 재료를 위하여 별도 공급장치가 필요 없는 것은 작제되는 중인 부품이 언제나 소결되지 않은 분말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것이 이전에 불가능한 기하구조의 작제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계의 챔버가 분말 재료로 항상 충전되므로 여러 부품의 제작은 "네스팅"으로 알려진 기법을 통해서, 여러 부품이 기계의 경계 내에서 맞도록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전반적 어려움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낮다.
적층 제조 방법 예컨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FFF 및 SLS에서, 올리고머는 입자 또는 필라멘트 계면들에 걸쳐서 확산하고 상호작용하여 입자 또는 필라멘트 계면들에 걸쳐서 중합체 사슬 얽힘을 신속하게 증가시키고, 이로써 인접한 입자 또는 필라멘트를 함께 융합시킨다. 계면들은 계면들에 걸쳐서 얽혀진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사슬 확장 및 가교에 의해 추가로 강화된다.
계면들에 걸쳐서 확산, 그리고 계면들에 걸쳐서 사슬 얽힘 및 가교의 개념은 도 2a 내지 2d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도 2a 및 2d의 각각에, 좌측에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는 고체 상태에 있고 우측에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는 용융된 상태에 있다. 도 2a는 계면의 어느 한쪽 측면에서 고 분자량 고성능 열가소성물질을 묘사한다. 고 분자량 중합체는 양쪽 방향에서 계면에 걸쳐서 확산할 수 있고 도 2b에서 묘사된 사슬 얽힘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Tg 초과 그러나 Tm 미만 온도에 오랜 열적 어닐링 시간 (시간(hours))이 요구된다.
도 2c는 계면의 어느 한쪽 측면에서 반응성 올리고머를 묘사한다. 저 분자량 반응성 올리고머는 Tg 초과 그러나 Tm 미만 양쪽 방향에서 계면에 걸쳐서 훨씬 빠르게 확산하고 도 2d에서 묘사된 사슬 얽힘을 형성한다. 이러한 신속한 확산은 감소된 열적 어닐링 시간을 초래한다. 사슬 확장 및 가교는 미반응된 작용기를 통해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빠른 확산, 사슬 얽힘, 및 사슬 확장 및 가교의 순 효과는 개선된 층간 강도, FFF내 및 SLS내 개선된 z-축 강도이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과 같이, 사슬 얽힘, 네트워크 형성, 사슬 확장, 및 가교의 이러한 공정은 2개 상이한 반응성 말단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사용함으로써 선택적 레이저 소결에서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제1 경화 온도가 있는 제1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사슬은 인쇄된 구조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먼저 가교할 수 있다. 제1 경화 온도보다 더 높은 제2 경화 온도가 있는 제2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사슬은 계면들에 걸쳐서 확산할 수 있고 제2 경화 온도에 경화할 수 있고, 부품의 분자량, 가교 밀도, 및 강도를 구축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용액 주조일 수 있다. 용액 주조는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 주조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은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또한 사출 성형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상기 언급된 경우에,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에서 중간체이다. 그래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적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적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여기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가 상응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에서 중간체라는 점에서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들은 이미드화의 정도에서만 상이하다. 본원에 정의된 경우에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20% 초과 및 100% 이하를 가질 수 있는 한편, 아믹산 기의 0% 내지 약 20%는 본원에 정의된 경우에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서 이미드화된다.
본원에 개시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적용하는 조성적 설명은 마찬가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적용한다. 그래서, 방향족 디아민은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은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후속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 반응들에 참여하는 미반응된 작용기는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들 미반응된 작용기는 화학 식, 화학 명칭, 및 경화 온도 범위가 있는 표 1에서 묘사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지만,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미반응된 작용기가 없다.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제조되고, 이는 반응성 올리고머를 만드는데 충분한 온도 범위를 낮춘다. 극성 용매는 1 기압에 적어도 150 ℃의 비등점을 가져야 한다. 극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극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추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극성 용매로부터 단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처럼,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유용한 특성들이 있는 다양한 관능성 재료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블렌드 조성물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고 분자량 PAI 중합체 및 기타 고 분자량 중합체의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가소제 또는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PAI 중합체에 첨가된 반응성 올리고머는 고 분자량 PAI에 비해 개선된 유동 및 개선된 고형화 (공극의 최소화)에 의해 압축 성형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관능성 재료의 기타 예는 분말 코팅 조성물,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 및 고온 발포체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기타 재료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용융시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충전제, 또는 첨가제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처럼,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유용한 특성들이 있는 다양한 물품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형상화, 및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형상화, 및 가교하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은 약 1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00 내지 약 450 ℃이다. 예시적 경화 조건은 약 30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50 내지 약 400 ℃, 예를 들어 약 45 분 동안 약 360 ℃이다.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다양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물품은 하기 기재된다.
제조 방법은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필름 형태의 분말일 수 있다. 그래서, 섬유 강화 복합 제조는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이미드화시키고,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극성 용매에서 또한 용해될 수 있다. 그래서, 섬유 강화 제조 방법은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셀룰로오스 (목질/종이 섬유, 짚), 폴리아라미드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벤족사졸 (PBO), 또는 폴리벤즈이미다졸 (PBI)일 수 있다.
이들 방법들 중 어느 한쪽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부터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또한 개시된다. 예를 들어, 복합재료는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일 수 있다. 여러-겹 강화 복합재료는 임의의 수의 층들을 가질 수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층들의 수는 2개 층 이상 및 1,000개 층 이하이다.
제조 방법은 단향성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인발일 수 있다. 섬유 강화 복합 제조와 같이, 인발은 극성 용매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융물 또는 용액 출신일 수 있다. 인발에 의해 제조된 단향성 테이프는 또한 개시된다. 단향성 (UD) 테이프는 일반 테이프, 슬릿 테이프, 로빙, 또는 토우프레그일 수 있다. UD 테이프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자동화된 테이프 레이-업 기법/TOW 로봇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부터 섬유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에 의해 제조된 섬유는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적층 제조일 수 있다. 적층 제조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적층 제조의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이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각 층 사이 계면이 있도록 인접한 수평 층들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압출시키는 단계, 및 층들을 노출시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키고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적층 제조의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선택적 레이저 소결이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입자를 레이저로 선택적으로 소결, 이미드화, 및 가교시켜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선택적 레이저 소결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적층 제조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조 방법은 직접 에너지 증착 (DED) 또는 레이저 조작된 네트 형상화 (LENS)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DED 또는 LENS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용액 주조일 수 있다. 용액 주조는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필름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키고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 주조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은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또한 사출 성형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또한 블로우 성형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제조 방법은 상기 논의된다. 본 방법에서 제1 단계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이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에서 중간체로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자체로 유용한 조성물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C1-4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 예컨대 약 50 ℃ 내지 약 150 ℃, 약 30 분 내지 약 8 시간 동안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이 본원에 개시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C1-4 알코올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또는 tert-부탄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C1-4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이들 모두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적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반응성 단량체 또는 말단-캐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본원에 개시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관련된다. 그러므로, 본원에 개시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적용하는 조성적 설명은, 방향족 산 클로라이드가 필요 없음을 제외하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마찬가지로 적용한다. 그래서, 방향족 디아민은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은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후속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 반응들에 참여하는 미반응된 작용기는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들 미반응된 작용기는 화학 식, 화학 명칭, 및 경화 온도 범위가 있는 표 1에서 묘사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적 등가물과 반응성이지만,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미반응된 작용기가 없다.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1.0 %의 변형으로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된 약 80 ℃ 내지 약 120 ℃ 사이 약 1 내지 약 1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용융 복합 점도는 Mn의 함수 그리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가교가능한 또는 비-가교가능한 단량체 및 말단-캐퍼의 유형들 및 상대량이다. 제조 방법에 의존하여,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약 320 ℃에 또한 용융할 수 있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적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물 또는 C1-4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의 제거에 의해 제조되고; 여기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적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와 같이,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기타 재료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은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용융시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충전제, 또는 첨가제일 수 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처럼,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유용한 특성들이 있는 다양한 물품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 동안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제조, 형상화, 및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제조, 형상화, 및 가교하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은 약 300 ℃ 내지 약 400 ℃, 0 내지 약 300 MPa, 및 약 10 내지 약 60 분이다.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용액 주조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이들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물품은 하기 기재된다.
제조 방법은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일 수 있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실재할 수 있다. 그래서, 섬유 강화 복합 제조는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대하여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고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극성 용매에서 또한 용해될 수 있다. 그래서, 섬유 강화 제조 방법은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중합 및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셀룰로오스 (목질/종이 섬유, 짚), 폴리아라미드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벤족사졸 (PBO), 또는 폴리벤즈이미다졸 (PBI)일 수 있다.
이들 방법들의 어느 한쪽에 의해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으로부터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또한 개시된다. 예를 들어, 복합재료는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일 수 있다. 여러-겹 강화 복합재료는 임의의 수의 층들을 가질 수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층들의 수는 2개 층 이상 및 1,000개 층 이하이다.
제조 방법은 용액 주조일 수 있다. 용액 주조는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필름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고 가교시켜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 주조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은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또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사출 성형일 수 있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제조 방법은 또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압축 성형일 수 있다.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은 또한 개시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및 반응성 올리고머로부터 만들어진 물품은 몇몇 유리한 특성들을 갖는다. 현재 이용가능한 고 분자량 PAI는 용융 가공가능하도록 충분히 낮은 복합 점도를 갖기 위해 아믹산 기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아믹산 기의 존재는 PAI를 극도로 흡습성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사전-가공 건조화는 또한 요구된다. 도 1에서 예시된 대로 구성된 현재 이용가능한 PAI의 제조 및 가공은 폴리아미드 아믹산 스톡 형상 또는 사출 성형된 부품의 이미드화를 포함할 것이고, 아믹산 기의 이미드 기로의 전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기간의 열적 후-처리가 필요하다. 기계화된 PAI 부품은 기계화 후 여러-일 열적 처리 프로토콜에 또한 노출된다. 제조업체에 의해 권장된 일반 경화 일정은 총 8 일 동안 375 ℉ (191 ℃)에 1 일, 425 ℉ (218 ℃)에 1 일, 475 ℉ (246 ℃)에 1 일, 및 500 ℉ (260 ℃)에 5 일이다. 대조적으로, 약 300 내지 약 450 ℃에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위한 경화는 약 1 내지 약 60 분 정도면 완료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열적 후-처리 시간에서 이러한 감소는 크게 감소된 제조 사이클 시간 및 비용을 초래한다.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유리하게는 360 ℃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 특히 360 ℃에 약 5,000 내지 약 30,000 Pa·s를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현재 이용가능한 PAI는 2 라디안/초에 약 1,000,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 현재 이용가능한 PAI에 비해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저 용융 복합 점도는 예상 밖이다. 수득된 저 용융 복합 점도와 대조적으로, 방향족 아미드 단위와 교대하는, 강직성인, 폴리아라미드에서 처럼 강력하게 수소 결합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백본 프탈이미드 단위의 조합은 심지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대하여 고 융점 및 고 용융 복합 점도를 초래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유리하게는, 360 ℃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a·s의 범위에서 용융 복합 점도로, 용융 가공은 종래 용융 가공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고, 바로 사용가능한 사출 성형된 부품, 필름, 섬유 및 용융 가공가능한 고온 접착제는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합체와 비교하여,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합체보다 덜 흡습성이고, 사용된 단량체 및 반응성 및 비-반응성 말단-캐퍼에 의존하여, 극성 용매 예컨대 DMF, NMP, 및 DMAc에서 불용성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열적 경화 온도 범위 및 경화후 열기계적 특성들은 백본 단량체, 가교가능한 단량체,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및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선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개선된 열기계적 특성들은 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 수득된다. 양쪽 반응성 말단 기가 페닐에틴인 5,000 g/mol의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인, 하기 실시예 1c가 참조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부터 만들어지고 370 ℃에 1 시간 동안 경화된 필름은 326 ℃의 Tg를 가졌고, 이는 현재 이용가능한 PAI 필름의 Tg보다 약 46 ℃ 더 높다. 5,000 g/mol의 Mn 및 혼합된 반응성 말단 기 (50/50 메틸에틴/페닐에틴)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인, 하기 실시예 2가 또한 참조된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부터 만들어지고 370 ℃에 1 시간 동안 경화된 필름은 301 ℃의 Tg를 가졌다. 필름은 94.3 MJ/m3의 인성을 가졌다. 대조적으로, 현재 이용가능한 PAI는 겨우 ~10 MJ/m3의 인성을 가졌다. 그러므로, 이러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부터 만들어진 PAI 필름의 인성은 현재 이용가능한 PAI로부터 만들어진 PAI보다 거의 10 배 더 높을 수 있다. Tg, 파단 강도, 및 파단 연신은 현재 이용가능한 PAI와 비교하여 또한 증가된다.
유리하게는,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이미드 중합체에 비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저 용융 복합 점도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예컨대 유리, 탄소, 및 아라미드 섬유 강화 복합재료 제조하기에 이상적으로 적당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든다. 용액계 프리-프레그, 용융 함침, 및 용융 인발 방법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 아믹산은 섬유/수지 프리-프레그 및 복합재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었다. 하지만, 폴리아미드 아믹산 프리-프레그를 복합재료 패널에 용융 고화시키기 위해 충분한 용융 유동을 수득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아믹산의 이미드화 동안 복합재료 패널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것은 2% 미만 공극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울 것임을 의미하고, 이는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대안적으로,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 아믹산은 프리-프레그 단계에서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전환될 수 있고, 폴리아미드이미드 프리-프레그는 복합재료로 고화될 수 있다.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심지어 더 높은 용융 복합 점도는 프리-프레그를 허용가능한 품질 복합재료 패널로 고화시키기 위해 가압 하에서 충분한 용융 유동을 수득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상대적으로 저 용융 복합 점도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제작에서 양쪽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 아믹산보다 이점을 제공한다.
고 분자량 폴리아미드이미드 중합체와 대조적으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저 용융 복합 점도는 또한 이들을 3D 인쇄 적용에 이상적으로 적당화되도록 만든다.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필라멘트, 막대, 또는 분말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하기 양태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고, 이는 청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양태 1.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환화탈수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에서 유래되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80% 초과 및 100% 이하가 이미드화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3. 양태 1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환화탈수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에서 유래되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20% 이상 및 80% 이하가 이미드화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4.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1개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5.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6.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이 2개 방향족 디아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7.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2개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8.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동시 단계-성장 중합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9. 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Figure pct00019
양태 10.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1.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Figure pct00020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21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2. 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3. 양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반응된 작용기가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4. 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Figure pct00022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5. 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6. 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7. 양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있어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8. 양태 17에 있어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19. 양태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트리아민,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20. 양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 내지 1.0 %의 변형으로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된 360 ℃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21. 하기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Figure pct0002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Figure pct00024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2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Figure pct0002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양태 22.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양태 23.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양태 24. 양태 23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140 ℃ 내지 약 220 ℃인, 방법.
양태 25. 양태 23 또는 24에 있어서, 극성 용매가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인, 제조 방법.
양태 26. 양태 23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기에 앞서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부터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27. 양태 26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220 ℃ 내지 약 300 ℃인, 제조 방법.
양태 28. 양태 23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톨루엔을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첨가하고 톨루엔 및 물의 공비 증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29. 양태 23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아세트산 무수물 및 촉매량의 3차 아민의 존재 하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30. 양태 23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마이크로파 조사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31. 양태 23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중합하기가 인산화 제제 및 촉매량의 염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는, 제조 방법.
양태 32.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물 또는 C1-4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과량의 물 및 C1-4 알코올을 임의로 제거하는 단계;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양태 33. 양태 32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반응성 압출을 포함하는, 방법.
양태 34. 양태 32에 있어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기에 앞서 극성 용매에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용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35.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반응성 압출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양태 36. 양태 35에 있어서, 반응성 압출이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고, 극성 용매가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양태 37. 양태 35 또는 36에 있어서, 반응성 압출이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는, 제조 방법.
양태 38. 양태 37에 있어서, 산 촉매가 아세트산이고, 아세트산이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양태 39. 양태 35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반응성 압출이 아세트산 무수물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고, 아세트산 무수물이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양태 40. 양태 35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반응성 압출이 배출 포트가 장착된 복수의 사전-설정된 가열 구역을 갖는 용융 압출기에서 실행되는, 제조 방법.
양태 41.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드 조성물.
양태 42.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조성물.
양태 43.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
양태 44.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열시킴으로써 만들어진, 고온 탄성중합체 조성물.
양태 45.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고온 발포체.
양태 46.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용융시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
양태 47.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48. 양태 47에 있어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00 내지 약 450 ℃인, 제조 방법.
양태 49. 양태 47 또는 48에 있어서, 방법이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인, 제조 방법.
양태 50.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양태 51.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물품.
양태 52. 양태 51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물품.
양태 53.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인, 제조 방법.
양태 54. 양태 53에 있어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용융시키고,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55. 양태 53에 있어서,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56. 양태 53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57.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조성물.
양태 58. 양태 57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섬유 강화 조성물.
양태 59. 양태 57에 있어서, 복합재료가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인,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60.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단향성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인발인, 제조 방법.
양태 61. 양태 60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향성 테이프.
양태 62.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향성 테이프.
양태 63. 양태 62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단향성 테이프.
양태 64.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섬유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인, 제조 방법.
양태 65. 양태 64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양태 66.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양태 67. 양태 66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섬유.
양태 68.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적층 제조인, 제조 방법.
양태 69. 양태 68에 있어서, 방법이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인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각 층 사이 계면이 있도록 인접한 수평 층들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압출시키는 단계, 및 층들을 노출시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70. 양태 68에 있어서, 방법이 선택적 레이저 소결인 제조 방법으로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입자를 레이저로 선택적으로 소결 및 가교시켜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71. 양태 68에 있어서, 방법이 직접 에너지 증착 (DED) 또는 레이저 조작된 네트 형상화 (LENS)인, 제조 방법.
양태 72. 양태 68 내지 7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양태 73.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적층 제조된 물품.
양태 74. 양태 73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적층 제조된 물품.
양태 75.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용액 주조이고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76. 양태 75의 용액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
양태 77.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양태 78. 양태 77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가요성 필름.
양태 79. 양태 76 내지 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요성 필름이, 10 ℃/분의 가열 속도로 N2 하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된 약 280 내지 약 310 ℃의 유리 전이 온도 (Tg); 10 ℃/분의 가열 속도 및 1 Hz의 진동 속도로 N2 하에서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에 의해 측정된 약 2.2 내지 약 3.4 GPa의 저장 탄성률 (E'); 25 ℃에 모두 측정된 약 3.0 내지 약 3.8 GPa의 영률, 약 130 내지 약 160 MPa의 파단 강도, 또는 약 10 내지 80%의 파단 변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가요성 필름.
양태 80. 양태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사출 성형인, 제조 방법.
양태 81. 양태 80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 성형된 물품.
양태 82.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된 물품.
양태 83. 양태 82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사출 성형된 물품.
양태 84.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가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85. 양태 84에 있어서, 아믹산 기의 0% 내지 약 20%가 이미드화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86. 양태 84 또는 85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1개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87. 양태 84 내지 8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88. 양태 84 내지 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이 2개 방향족 디아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89. 양태 84 내지 8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2개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0. 양태 84 내지 8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동시 단계-성장 중합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1. 양태 84 내지 9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Figure pct00027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2. 양태 84 내지 9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3. 양태 84 내지 9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Figure pct00028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29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4. 양태 84 내지 9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5. 양태 84 내지 9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가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6. 양태 84 내지 9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Figure pct00030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7. 양태 84 내지 9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8. 양태 84 내지 9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99. 양태 84 내지 9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있어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100. 양태 99에 있어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101. 하기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Figure pct0003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Figure pct00032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3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Figure pct0003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양태 102.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양태 103.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양태 104. 양태 103에 있어서, 극성 용매가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인, 제조 방법.
양태 105. 양태 103 또는 104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극성 용매로부터 단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106.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드 조성물.
양태 107.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조성물.
양태 108.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
양태 109.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고온 발포체.
양태 110.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시키고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하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
양태 111.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12. 양태 111에 있어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0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00 내지 약 400 ℃인, 제조 방법.
양태 113. 양태 110 또는 111에 있어서, 방법이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인, 제조 방법.
양태 114.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양태 115.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물품.
양태 116.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인, 제조 방법.
양태 117. 양태 116에 있어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대하여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이미드화시키고,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18. 양태 116에 있어서,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19. 양태 116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120.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121. 양태 120에 있어서, 복합재료가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인,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122.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단향성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인발인, 제조 방법.
양태 123. 양태 122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향성 테이프.
양태 124.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향성 테이프.
양태 125.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섬유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인, 제조 방법.
양태 126. 양태 12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양태 127.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양태 128.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적층 제조인, 제조 방법.
양태 129. 양태 128에 있어서, 방법이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인 제조 방법으로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각 층 사이 계면이 있도록 인접한 수평 층들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압출시키는 단계, 및 층들을 노출시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키고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30. 양태 128에 있어서, 방법이 선택적 레이저 소결인 제조 방법으로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입자를 레이저로 선택적으로 소결, 이미드화, 및 가교시켜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31. 양태 128에 있어서, 방법이 직접 에너지 증착 (DED) 또는 레이저 조작된 네트 형상화 (LENS)인, 제조 방법.
양태 132. 양태 128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양태 133.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적층 제조된 물품.
양태 134.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용액 주조이고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필름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키고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135. 양태 134의 용액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
양태 136.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양태 137.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사출 성형인, 제조 방법.
양태 138. 양태 137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 성형된 물품.
양태 139. 양태 84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된 물품.
양태 140. 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블로우 성형인, 제조 방법.
양태 141.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C1-4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2. 양태 141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1개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3. 양태 141 또는 14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4. 양태 141 내지 1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이 2개 방향족 디아민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5. 양태 141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2개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6. 양태 141 내지 1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Figure pct00035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7. 양태 141 내지 1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8. 양태 141 내지 1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Figure pct00036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37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49. 양태 141 내지 1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0. 양태 141 내지 1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반응된 작용기가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1. 양태 141 내지 1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Figure pct00038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2. 양태 141 내지 1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3. 양태 141 내지 1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4. 양태 141 내지 1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있어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5. 양태 154에 있어서,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6. 양태 141 내지 1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이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 내지 1.0 %의 변형으로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된 약 80 ℃ 내지 약 120 ℃ 사이에 약 1 내지 약 1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7. 하기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Figure pct0003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Figure pct00040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4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Figure pct0004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양태 158.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양태 159.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C1-4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양태 160.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혼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태 141 내지 158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배합 방법.
양태 161.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양태 141 내지 158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제조,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62. 양태 161에 있어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이 약 300 ℃ 내지 약 400 ℃, 0 내지 약 300 MPa, 및 약 10 내지 약 60 분인, 제조 방법.
양태 163. 양태 161 또는 162에 있어서,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용액 주조인, 제조 방법.
양태 164. 양태 161 내지 16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양태 165. 양태 161 내지 1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인, 제조 방법.
양태 166. 양태 165에 있어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대하여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고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67. 양태 165에 있어서,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중합 및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68. 양태 165 내지 16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169. 양태 168에 있어서, 복합재료가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인, 섬유 강화 복합재료.
양태 170. 양태 161 내지 1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용액 주조이고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시키는 단계;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필름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고 가교시켜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양태 171. 양태 170의 용액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
양태 172. 양태 161 내지 1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사출 성형인, 제조 방법.
양태 173. 양태 161 내지 1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블로우 성형인, 제조 방법.
실시예
재료 및 방법
본원에 사용되거나 언급된 재료를 위한 약어는 표 2에 정의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들의 경우, 공급원이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된 기타 약어에 대한 핵심은 표 3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유동학. 용융 복합 점도는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 내지 1.0 %의 변형으로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되었다. 13-밀리미터 직경 샘플은 측정을 위하여 25-밀리미터 직경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중심된다.
열중량 분석 (TGA) . Td,5% 중량 손실 결정의 경우: TA 계기 TGA 5500, Pt 팬, 10 ℃/분, N2, 10 mg 샘플.
시차 주사 열량계 (DSC). Tg 결정의 경우: TA 계기 DSC2500, 밀폐형 뚜껑이 있는 T제로 팬, 10 ℃/분, N2, ~7 mg 샘플. 본 방법에서, Tg는 변곡점으로부터 결정된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DMTA). 장력 모드로 TA 계기 RSA G2, 2 ℃/분으로 25 ℃ 내지 400 ℃, N2 대기, 샘플 치수 = 0.030 mm × 2 mm × 10 mm. 본 방법에서, Tg는 손실 탄성률 피크의 최대값으로부터 결정된다.
응력 변형 측정. TA 계기 RSA G2 (32 N 로드 셀), 1 mm/분의 변형 속도, 샘플 치수 = ~0.030 mm × ~2 mm × 10 mm. 영률은 탄성 영역에서 응력-변형 곡선의 선형 맞춤에 의해 결정되었고; 0.1 내지 0.3 % 변형이었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 (GPC). LC20AD 펌프, SIL-20A HT 오토샘플러, 60 ℃에 CTO-20A 컬럼 오븐, 및 RID-20A 굴절률 검출기가 장착된 Shimadzu Prominence 초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UFLC) 시스템. 측정의 경우, 사용된 컬럼은 SHODEX™ LF-804이었다. 측정에 활용된 용리액은 0.5 mL/분의 일정한 유속에 작동하는 0.05 M LiBr 및 0.05 M H3PO4를 함유하는 NMP이었다. 상대 분자량은 SHODEX™ 폴리스티렌 표준과 비교에 의해 수득되었다.
실시예 1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5에서 하기 예시된다.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열적, (열-)기계적, 및 용융 특성들에 영향을 미친다. 본 실시예에서, 페닐에티닐 말단-캐퍼 (PEPA)는 5,000 g/mol (실시예 1B-1E), 3,000 g/mol (실시예 1F-1G), 및 8,000 g/mol (실시예 1H-1I)의 Mn 값을 가진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Carothers 방정식 (방정식 2)은 원하는 Mn 값을 가진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단량체 양을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 Mn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1개 초과 디아민 단량체가 활용되는 경우, 디아민 단량체의 상대 몰량은 올리고머성 백본의 강직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래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열적, (열-)기계적, 및 용융 특성들은 디아민 단량체의 비율을 가변시킴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실시예 1a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Mn은 5,000 g/mol이었고 백본은 0.72:0.28 몰비에서 2개 디아민, 4,4'-ODA 및 1,3-PD로 이루어졌다. 2개 디아민의 몰비 변화하기는 올리고머 특성들에서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4,4'-ODA 대 1,3-PD의 몰비는 실시예 1A-1I에서 0.72:0.28, 실시예 1J-1K에서 0.62:0.32, 및 실시예 1L-1M에서 0.813:0.197이다.
Figure pct00045
5,000 g/mol 반응성 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반응식 5.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와 페닐에티닐 반응성 말단기의 합성.
실시예 1A -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M n = 5,000 g/mol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6.38 mmol, 0.69 g), 4,4'-옥시디아닐린 (16.33 mmol, 3.27 g) 및 37 g NMP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이 수득된 때까지 교반되었다. 용액은 0 ℃로 냉각되었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21.28 mmol, 4.48 g) 및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2.9 mmol, 0.72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내지 2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어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B -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M n = 5,000 g/mol
이것은 페닐에티닐 말단기의 경화 없이 독립형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의 제조의 예이다. 실시예 1A에서 제조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필름은 부서지기 쉽고 다루기 어려웠는데, 이는 저분자량의 직접적 결과이다. Tg는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에 의해 측정된 248 ℃이었다.
실시예 1C - 경화된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M n = 5,000 g/mol
이것은 페닐에티닐 말단기의 경화가 있는 가요성, 독렵형 필름의 제조의 예이다. 실시예 1A에서 제조된 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83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301 ℃의 Tg를 보여준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3 ℃에 3.2 GPa, 300 ℃에 0.81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06.8 ℃의 Tg를 보여준다. 응력-변형 실험 (25 ℃)은 필름이 3.4 GPa의 영률, 134 MPa의 파단 강도, 및 17%의 파단 변형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필름 특성들은 고 분자량 중합체 필름에 예상되는 것을 초과한다.
실시예 1D - 단리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 M n = 5,000 g/mol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은 MeOH에서 실시예 1A의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용액의 침전에 의해 수득되었다. 폴리아미드 아믹산은, 1-3 분 동안 혼합하면서, Warring 블렌더에서 실시예 1A의 폴리아미드 아믹산 용액의 50 mL를 200 mL MeOH에 부음으로써 침전되었다. 침전물은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에 의해 수집되었고, 추가의 200 mL MeOH로 세정되었다. 세정된 폴리아미드 아믹산 분말은 진공 하에서 2 시간 동안 60 ℃에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26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을 수득하였다.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평행-플레이트 유동학 (N2, 10 ℃/분)은 361 ℃에 19,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1E - 경화된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M n = 5,000 g/mol
이것은 페닐에티닐 말단기의 경화가 있는 가요성, 독립형 필름의 제조의 또 다른 예이다. 실시예 1A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은 다음과 같이 이미드화되었다. 건조 톨루엔은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되었다. (아믹산의 이미드로의) 환화탈수 동안 형성된 물은 공비 증류에 의해 제거되었다. 2 시간 후,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98% 이미드화되었고 나머지 톨루엔은 증류에 의해 제거되었다. NMP내 생성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30 wt.% 고체)의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실온으로 냉각 후, 온도는 40 ℃로 2 시간 동안, 60 ℃로 2 시간 동안, 100 ℃, 200 ℃, 300 ℃로 30 분 동안, 및 37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326 ℃의 Tg를 보여주었고, 이는 현재 이용가능한 PAI 필름 (280 ℃)의 Tg보다 약 46 ℃ 더 높다.
실시예 1F, 경화된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M n = 3,000 g/mol
Mn = 3,000 g/mol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말단-캐퍼로 제조되었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22.84 mmol, 2.47 g), 4,4'-옥시디아닐린 (62.07 mmol, 12.43 g) 및 82 g NMP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이 수득된 때까지 교반되었다. 용액은 0 ℃로 냉각되었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76.08 mmol, 16.02 g) 및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17.64 mmol, 4.38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질소 대기 하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0 ℃에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어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500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91 ℃의 Tg를 보여준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5 ℃에 1.71 GPa, 300 ℃에 0.25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292 ℃의 Tg를 보여준다. 응력-변형 실험 (25 ℃)은 필름이 3.0 GPa의 영률, 110 MPa의 파단 강도, 및 16.4 %의 파단 변형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G - 단리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 M n = 3,000 g/mol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은 MeOH에서 실시예 1D의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용액의 침전에 의해 수득되었다. 폴리아미드 아믹산은, 1-3 분 동안 혼합하면서, Warring 블렌더에서 실시예 1D의 폴리아미드 아믹산 용액의 50 mL를 200 mL MeOH에 부음으로써 침전되었다. 침전물은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에 의해 수집되었고, 추가의 200 mL MeOH로 세정되었다. 세정된 폴리아미드 아믹산 분말은 진공 하에서 2 시간 동안 60 ℃에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26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을 수득하였다.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평행-플레이트 유동학 (N2, 10 ℃/분)은 361 ℃에 545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1H - 경화된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M n = 8,000 g/mol
Mn = 8,000 g/mol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는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반응성 말단기로 제조되었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22.84 mmol, 2.47 g), 4,4'-옥시디아닐린 (56.43 mmol, 11.30 g) 및 73 g NMP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이 수득된 때까지 교반되었다. 용액은 0 ℃로 냉각되었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76.08 mmol, 16.02 g) 및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6.04 mmol, 1.5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내지 2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어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40 ℃에 2 시간 동안 및 60 ℃에 2 시간 동안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90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87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5 ℃에 3.0 GPa, 300 ℃에 0.75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00 ℃의 Tg를 보여주었다. 응력-변형 실험 (25 ℃)은 필름이 3.1 GPa의 영률, 139 MPa의 파단 강도, 및 57.4%의 파단 변형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1I - 단리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 M n = 8,000 g/mol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성 분말은 MeOH에서 실시예 1F의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용액의 침전에 의해 수득되었다. 폴리아미드 아믹산은, 1-3 분 동안 혼합하면서, Warring 블렌더에서 폴리아미드 아믹산 용액의 50 mL를 200 mL MeOH에 부음으로써 침전되었다. 침전물은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에 의해 수집되었고, 추가의 200 mL MeOH로 세정되었다. 세정된 폴리아미드 아믹산 분말은 진공 하에서 2 시간 동안 60 ℃에 탐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26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을 수득하였다.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평행-플레이트 유동학 (N2, 10 ℃/분)은 333 ℃에 49,902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1J - 경화된 올리고머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4,4'-ODA : 1,3-PD 비율 = 0.62:0.32, M n = 5,000 g/mol
본 실시예에서, 2개 디아민; 4,4'-ODA 및 1,3-PD의 몰비는 0.62:0.32이었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37.54 mmol, 4.06 g), 4,4'-옥시디아닐린 (62.52 mmol, 12.52 g) 및 92 g NMP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이 수득된 때까지 교반되었다. 용액은 0 ℃로 냉각되었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93.89 mmol, 19.77 g) 및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12.41 mmol, 3.08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내지 2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어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40 ℃에 2 시간 동안 및 60 ℃에 2 시간 동안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78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83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5 ℃에 2.0 GPa, 300 ℃에 0.24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291.3 ℃의 Tg를 보여주었다. 응력-변형 실험 (25 ℃)은 필름이 2.5 GPa의 영률, 82.5 MPa의 파단 강도, 및 10.1%의 파단 변형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1K - 단리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 4,4'-ODA : 1,3-PD 비율 = 0.62:0.32, M n = 5,000 g/mol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은 MeOH에서 실시예 1I의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의 침전에 의해 수득되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Waring 블렌더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의 50 mL를 200 mL MeOH에 붓고, 1-3 분 동안 혼합시킴으로써 침전되었다. 침전물은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에 의해 수집되었고, 추가의 200 mL MeOH로 세정되었다. 세정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분말은 진공 하에서 2 시간 동안 60 ℃에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26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을 수득하였다.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평행-플레이트 유동학 (N2, 10 ℃/분)은 370 ℃에 40,339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1L - 경화된 올리고머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 4,4'-ODA : 1,3-PD 비율 = 0.813:0.197, M n = 5,000 g/mol
본 실시예에서, 2개 디아민; 4,4'-ODA 및 1,3-PD의 몰비는 0.813:0.187이었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18.77 mmol, 2.03 g), 4,4'-옥시디아닐린 (81.70 mmol, 16.36 g) 및 96 g NMP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이 수득된 때까지 교반되었다. 용액은 0 ℃로 냉각되었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93.89 mmol, 19.77 g) 및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12.41 mmol, 3.08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내지 2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어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40 ℃에 2 시간 동안 및 60 ℃에 2 시간 동안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96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308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5 ℃에 2.5 GPa, 300 ℃에 1.0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22 ℃의 Tg를 보여주었다. 응력-변형 실험 (25 ℃)은 필름이 3.7 GPa의 영률, 132 MPa의 파단 강도, 및 12.6%의 파단 변형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1M - 단리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 4,4'-ODA : 1,3-PD 비율 = 0.813:0.197, M n = 5,000 g/mol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은 MeOH에서 NMP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침전에 의해 수득되었다.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Warring 블렌더에서에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의 50 mL를 200 mL MeOH에 붓고, 1-3 분 동안 혼합시킴으로써 침전되었다. 혼합물은 Warring 블렌더에서 1-3 분 동안 세정되었다. 침전물은 부흐너 깔때기에서 여과에 의해 수집되었고, 추가의 200 mL MeOH로 세정되었다. 세정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분말은 진공 하에서 2 시간 동안 60 ℃에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26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을 수득하였다. 완전히 이미드화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의 평행-플레이트 유동학 (N2, 10 ℃/분)은 359 ℃에 49502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보여준다.
실시예 2
2개 상이한 말단-캐퍼를 사용하여 5,000 g/mol의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PAI)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6에서 하기 보여진다. 2개 상이한 말단-캐퍼는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및 4-(메틸에티닐)프탈산 무수물이다.
Figure pct00046
반응식 6. 2개 상이한 반응성 말단기가 있는 Mn = 5,000 g/mol 전-방향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50/50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6.38 mmol, 0.69 g), 4,4'-옥시디아닐린 (16.33 mmol, 3.27 g) 및 36 g NMP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이 수득된 때까지 교반되었다. 용액은 0 ℃로 냉각되었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21.28 mmol, 4.48 g),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1.45 mmol, 0.36 g) 및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1.45 mmol, 0.27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내지 2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었다. 제조된 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66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98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3 ℃에 2.6 GPa, 300 ℃에 0.64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01 ℃의 Tg를 보여주었다. 평행-플레이트 유동학 (N2, 10 ℃/분)은 301 ℃에 98,560 Pa·s의 점도를 보여주었다. 25 ℃에 응력-변형 실험은 필름이 3.6 GPa의 영률, 155 MPa의 파단 강도, 75%의 파단 연신, 및 94.3 MJ/m3의 인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조적으로, 이용가능한 문헌의 검토는 고작 현재 이용가능한 PAI가 겨우 ~10 MJ/m3의 인성, 140 MPa의 파단 강도, 및 10 내지 15%의 파단 연신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부터 만들어진 PAI 필름의 인성은 현재 이용가능한 PAI의 인성, 파단 연신, 및 파단 강도, 각각보다 거의 10 배 더 높을 수 있고, 파단 연신은 약 5 배 더 높을 수 있고, 파단 강도는 약 10% 더 높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가교는 파단 연신에서 감소를 초래한다. 놀랍게도,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가교시, 양쪽 파단 강도 및 파단 연신은 증가하고, 이는 인성에서 큰 증가를 초래한다.
실시예 3
또 다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7에서 하기 보여진다. TMACl은 고가이어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에서 이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MACl은 1개 산 클로라이드 기 및 1개 카복실산 무수물 기를 갖는다. 1 당량 TMACl을 사용하는 대신, ½ 당량의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PMDA) 및 ½ 당량의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IPC)가 사용되었다. 반응성 올리고머는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반응성 말단기가 있는 5,000 g/mol의 Mn으로 제조되었다.
Figure pct00047
반응식 7.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반응성 말단기가 있는 Mn = 5,000 g/mol 전-방향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실시예 2의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및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로 대체된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10.64 mmol, 2.32 g),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64 mmol, 2.16 g),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2.9 mmol, 0.72 g) 및 37 g NMP로 충전되었다. 이 현탁액은 15 분 동안 교반되었고 0 ℃로 냉각되었다. 양쪽 디아민, 1,3-페닐렌 디아민 (6.38 mmol, 0.69 g) 및 4,4'-옥시디아닐린 (16.33 mmol, 3.27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었다. 제조된 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76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315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3 ℃에 2.8 GPa 및 300 ℃에 0.93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299 ℃의 Tg를 보여주었다. 25 ℃에 응력-변형 실험은 필름이 3.2 GPa의 영률, 121 MPa의 파단 강도, 25%의 파단 연신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
또 다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8에서 하기 보여진다. 가교가능한 이무수물 단량체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이무수물 또는 EBPA)는 반응성 올리고머 백본에 편입되었다. 분자량 (Mn)을 5,000 g/mol로 제한하기 위해, 프탈산 무수물 (비-반응성) 말단-캐퍼가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48
반응식 8. 백본에서 가교가능한 아세틸렌계 이무수물 단량체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이무수물 또는 EBPA)가 있는 Mn = 5,000 g/mol 전-방향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분자량 (Mn)은 비-반응성 프탈산 무수물 말단-캐퍼를 사용함으로써 5,000 g/mol로 제한된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ODPA) (7.98 mmol, 2.48 g),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64 mmol, 2.16 g), EBPA (2.66 mmol, 0.85 g), 프탈산 무수물 (2.9 mmol, 0.43 g) 및 42 g NMP로 충전되었다. 이 현탁액은 15 분 동안 교반되었고 0 ℃로 냉각되었다.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22.71 mmol, 4.55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었다. 제조된 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어 필름을 형성하였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63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68 ℃의 Tg를 보여주었다.
또 다른 필름은,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이 1 시간 동안 400 ℃ 대신 400 ℃에 경화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식으로 형성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59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3 ℃에 2.0 GPa 및 300 ℃에 0.16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282 ℃의 Tg를 보여주었다. 25 ℃에 응력-변형 실험은 필름이 2.1 GPa의 영률, 56 MPa의 파단 강도, 및 3%의 파단 연신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5
아오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9에서 아래 보여진다. 가교가능한 이무수물 단량체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이무수물 또는 EBPA)는 반응성 올리고머 백본에 편입되었다. 분자량 (Mn)을 5,000 g/mol로 제한하기 위해,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반응성 말단-캐퍼가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49
반응식 9. 백본에서 가교가능한 아세틸렌계 이무수물 단량체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이무수물 또는 EBPA)가 있는 Mn = 5,000 g/mol 전-방향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분자량 (Mn)은 반응성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말단-캐퍼를 사용함으로써 5,000 g/mol로 제한된다.
교반 막대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15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ODPA) (7.98 mmol, 2.48 g),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64 mmol, 2.16 g), EBPA (2.66 mmol, 0.85 g),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2.9 mmol, 0.72 g) 및 42 g NMP로 충전되었다. 이 현탁액은 15 분 동안 교반되었고 0 ℃로 냉각되었다.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22.71 mmol, 4.55 g)은 한번에 첨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0 ℃에 1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되었고, 이 시간 후 빙조는 제거되었고 반응 혼합물은 교반되었고 25 ℃로 밤새 (~16 시간) 가온되었다.
실시예 5A
이것은 백본 에티닐 기가 아니고, 페닐에티닐 말단기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킴으로써 수득된 독립형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의 제조의 예이다. 제조된 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98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3 ℃에 2.3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02 ℃의 Tg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5B
이것은 양쪽 페닐에티닐 말단기 및 백본 에티닐 기의 경화를 이용한 독립형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의 제조의 예이다. 제조된 대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10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60 ℃에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탈수시켰고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온도는 400 ℃로 증가되었고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이 온도에서, 양쪽 페닐에티닐 말단기 및 백본 에티닐 기가 경화하였다. 필름을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및 인성 필름이 수득되었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453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 33 ℃에 2.7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24 ℃의 Tg를 보여주었다. 25 ℃에 응력-변형 실험은 필름이 2.6 GPa의 영률, 78 MPa의 파단 강도, 및 4%의 파단 연신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6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루트를 사용하여 Mn = 5000 g/mol을 가진 또 다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10에서 하기 보여진다.
Figure pct00050
5,000 gr/mol 반응성 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반응식 10.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루트를 통해 Mn = 5,000 g/mol 전-방향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환류 냉각기 및 질소 주입 어댑터가 장착된 화염-건조된 3-목,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0.2556 몰 (49.11 g)의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0.036 몰 (8.94 g)의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및 85 g의 MeOH로 충전되었다. 혼합물은 70 ℃에 질소 하에서 2 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이 혼합물에, 0.2730 몰 (54.67 g)의 4,4'-옥시디아닐린이 1개 배치로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24 시간 동안 환류되었고, 메탄올은 증발에 의해 제거되었다. 생성된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은 진공 하에서 70 ℃에 건조되었다. 염은 10 ℃/분으로 300 ℃까지 질소 하에서 가열되었고 300 ℃에 1 시간 동안 3 atm 기압으로 등온적으로 유지되어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수득하였다.
열중량 분석 (N2, 10 ℃/분)은 510 ℃에 5%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가교에 앞서 올리고머에 대하여 226 ℃의 Tg를 보여준다. 반응성 올리고머를 (370 ℃에 1시간) 열적으로 가교시킨 후 Tg는 226 ℃에서 287 ℃로 증가하였다. Perkin Elmer Spectrum, ATR 모드를 사용한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1718 cm-1 (이미드 C=O), 1660 cm-1 (아미드 C=O) 및 1374 cm-1 (이미드 C-N).
실시예 7
용융 올리고머화에 의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PAI) 올리고머의 제조는 반응식 11에서 하기 예시된다. 페닐에티닐 말단-캐퍼 (PEPA)는 5,000 g/mol의 Mn을 가진 반응성 올리고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51
반응식 11. 용융 중합에 의해 페닐에티닐 반응성 말단기가 있는 Mn = 5,000 g/mol 전-방향족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합성.
오버-헤드 교반기 및 질소 주입 튜브가 장착된 500 mL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1,3-페닐렌 디아민 (63.8 mmol, 6.9 g), 4,4'-옥시디아닐린 (163.3 mmol, 32.7 g),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212.8 mmol, 40.9 g),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29 mmol, 7.2 g) 및 200 mL 빙초산으로 충전되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은 2 시간 동안 환류 가열되었고, 그 후 20 mL의 아세트산 무수물이 첨가되었고, 반응은 1 시간 초과 동안 환류되었다. 반응 동안 형성된 아세트산, 잔여 아세트산 무수물, 및 물은 진공 증류에 의해 제거되었다. 생성된 황색 단량체 혼합물은 290 ℃에 배출 능력을 가진 Xplore 2축 압출기에 공급되었다. 용융물은 압출기에서 290 ℃에 55 분 동안 50 rpm으로 순환되어 중합이 발생되었다. 중합은, 도 3에서 도시된 대로, 축력 (N) 대 시간 (분)을 측정함으로써 모니터링되었다. 중합은 5000 N의 축력이 도달되는 때 (55 분)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지점에서 반응성 PAI 올리고머는 연속 호박색 필라멘트로서 압출되었고 분석되었다.
가교된 재료가 아니고 반응성 올리고머가 수득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작은 샘플이 NMP에서 용해되었다. 폴리스티렌 표준에 대한 GPC 분석은 4500의 Mn 및 2.22의 다분산 지수 (PDI)를 보여주었다. TGA는 생성된 필라멘트에서 10 ℃/분으로 질소 하에서 운용되었고 395 ℃에 1% 질량 손실 및 448 ℃에 5% 질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분말화된 샘플은 13 mm 펠렛 프레스 다이에서 압축되었고 30 ℃에서 350 ℃까지 10 ℃/분의 램프 속도로 2 rad/초에서 그리고 0.03% 변형에서 진동 전단 온도 램프에 적용되었다. 최소 기록된 점도는 33,000 Pa·s이었다.
필라멘트의 샘플은 분말로 분쇄되었고 NMP에서 20 wt%로 밤새 용해되었고 그 다음 대략 40 μm의 두께를 가진 필름으로서 주조되었다. 필름은 진공 하에서 40 ℃에 2 시간 동안, 60 ℃에 1.5 시간 동안, 및 100 ℃, 200 ℃, 300 ℃, 및 350 ℃에 1 시간 동안 각각 경화되었다. 경화된 필름은 단축 변형에 적용되었고 3 GPa 모듈러스로 17 % 변형에서 115 MPa의 최상 파단 응력을 표시하였다. 샘플은 30 ℃에서 400 ℃까지 2℃/분의 램프 속도로 2 rad/초에서 그리고 0.03% 변형에서 단축 진동 온도 램프에 적용되었다. 샘플은 3 GPa의 모듈러스 및 290 ℃의 Tg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8
이것은 환원된 그래핀 옥시드 (rGO) 2-D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나노복합 필름의 제조의 예이다. NMP내 그래핀 옥시드 (0.53 wt.% 콜로이드의 2.26 g)는, 교반하면서 실시예 1A의 30 wt.% 5,000 g/mol (Mn)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3.6 g (GO 대 수지 비 = 1:10)에 적가되었다. 1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그래핀 옥시드 용액 (4 mL)은 유리 플레이트에 주조되었고 40 ℃에 2 시간 동안 그리고 60 ℃에 2 시간 동안 진공 하에서 건조되었다. 온도는 100 ℃로 1 시간 동안, 200 ℃로 1 시간 동안, 및 300 ℃로 1 시간 동안 단계식으로 증가되어 미반응된 페닐에티닐 말단기가 있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성-환원된 그래핀 옥시드 나노콤포시에트를 수득하였다. 가열 동안, GO는 부분적 열적 환원을 경험하여 옥시기의 제거로 인해 rGO를 형성한다. 온도는 370 ℃로 증가되었고 나노복합 필름은 이 온도에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25 ℃로 냉각시킨 후, 가요성 나노복합 필름은 수득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N2, 10 ℃/분)는 296 ℃의 Tg를 보여주었다.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 (N2, 10 ℃/분, 1 Hz)은 35 ℃에 5.8 GPa, 300 ℃에 2.5 GPa의 저장 탄성률 (E') 및 314 ℃의 Tg를 보여주었다. 응력-변형 실험 (25 ℃)은 필름이 5.0 GPa의 영률, 65 MPa의 파단 강도, 및 1.32%의 파단 변형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환원된 그래핀 옥시드 (rGO) 2-D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나노복합 필름은 실시예 1A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아민 용매, 예컨대 아크릴화된 아민은 NMP 대신 GO를 분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GO 분산액은 (본 실시예에서 처럼)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과 또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에스테르의 용액과 혼합될 수 있다.
실시예 9
이것은 프리프레그 루트에 의해 연속 탄소 섬유 4-겹 복합재료의 제조의 예이다. 사 (4) 겹 (20 × 20 cm)의 평직 탄소 섬유 직물 T650은 실시예 1의 20 wt% 5,000 g/mol (Mn)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용액 (섬유 대 수지 비 = 60:40)으로 함침되었다. NMP가 증발하게 된 후 (진공, 50 ℃) 프리프레그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폐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 전환시키기 위해 진공 오븐에서 가열되었다. 사용된 열적 프로파일: 100 ℃에 1 시간, 200 ℃에 1 시간, 및 300 ℃에 1 시간. 4 겹은 고온 이형 제제 (MARBOCOTE 227)로 코팅된 KAPTONTM 호일 (50 μm) 사이 축적되었고 도 1에서 도시된 대로 평행 압반 프레스의 2개 강철 플레이트들 사이 배치되었다.
평행 압반 프레스는 300 ℃로 가열되었고 스택은, 도 1에서 도시된 대로, 프레스에 배치되었다. 스택은 5 톤의 압력을 사용하여 고형화되었다. 온도는 15 분 동안 370 ℃로 증가되었고 10 분후 370 ℃에, 압력은 30 톤으로 증가되었다. 스택은 30 분 동안 370 ℃/30 톤으로 유지되었고, 그 시간 후 가열기는 작동중지되었고 스택은 25 ℃로 냉각하게 되었다. 뚜렷한 금속성 소리를 나타내는 단단하고 잘 고형화된 패널은 수득되었다. 수지는 패널에서 배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이것은 수지 분말 용융 주입에 의한 연속 탄소 섬유 5-겹 복합재료의 제조의 예이다. 오 (5) 겹 (20 × 20 cm)의 평직 탄소 섬유 직물 T650은 각 층 사이 배치된 7 g의 완전히 이미드화된 5,000 g/mol (Mn)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분말 (~20 μm)로 축적되었다. 오 겹은 고온 이형 제제 (MARBOCOTE 227)로 코팅된 KAPTONTM 호일 (50 μm) 사이 축적되었고 평행 압반 프레스의 2개 강철 플레이트들 사이 배치되었다. 평행 압반 프레스는 375 ℃로 가열되었고 스택은 프레스에서 배치되었다. 스택은 5 톤의 압력을 사용하여 고형화되었다. 압력은 15 분 동안 5 톤에서 25 톤으로 증가되었고, 스택은 이 압력 및 375 ℃에 45 분 동안 유지되었고, 그 시간 후 가열기는 작동중지되었고 스택은 25 ℃로 냉각하게 되었다. 잘 고형화된 패널은 수득되었고 수지는 패널에서 배출되지 않았다.
본원에 기재된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는 "거대단량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가교가능한 단량체"는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지칭한다.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말단-캐퍼를 지칭한다.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는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지만,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또는 가교할 수 있는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지 않는 말단-캐퍼를 지칭한다.
경화는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열기계적 특성들에서 향상으로 이어지는 사슬 확장, 분지화, 및 가교의 임의의 조합을 집합적으로 지칭한다. 경화는 열, 화학 (전자기) 복사, 또는 전자 빔 복사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용어들 "열적 경화", "열적 후-처리", 및 "후-열 경화"는 열에 의해 개시된 경화에 대하여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들 "아세틸렌" 및 "알킨"은 본원에 호환적 사용된다.
용어들 "적층 제조" 및 "3D 인쇄"는 본원에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들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 및 "융합된 증착 성형"은 본원에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중 적어도 하나"는 본원에 사용된 경우에 목록과 관련하여 목록이 개별적으로 각 요소, 뿐만 아니라 목록의 2개 이상의 조합, 및 언급되지 않은 유사 요소와 목록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성물, 방법, 및 물품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적합한 재료, 단계, 또는 성분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상기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 및 방법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조성물 및 방법의 기능 또는 목적의 달성에 달리 필요 없는 임의의 재료 (또는 종), 단계, 또는 성분이 결여되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없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범위는 종료점을 포함하고, 종료점은 독립적으로 서로 조합가능하다 (예를 들면, "25 wt.% 이하,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5 wt.% 내지 20 wt.%"의 범위는, 예를 들어, "5 wt.% 내지 25 wt.%를 포함하는, 그 범위의 종료점 및 모든 중간 값을 포함한다). 본원에 "약" 값 또는 파라미터 지칭은 그 값 또는 파라미터 스스로에 관한 구현예를 포함 (및 설명)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용어 "약"은 지시된 양 ± 50%를 포함한다. 특정 기타 구현예에서, 용어 "약"은 지시된 양 ± 20%를 포함한다. 특정 기타 구현예에서, 용어 "약"은 지시된 양 ± 10%를 포함한다. 기타 구현예에서, 용어 "약"은 지시된 양 ± 5%를 포함한다. 특정 기타 구현예에서, 용어 "약"은 지시된 양 ± 1%를 포함한다. 특정 기타 구현예에서, 용어 "약"은 지시된 양 ± 0.5% 및 특정 기타 구현예에서, 0.1%를 포함한다. 그러한 변화량은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는데 또는 개시된 조성물을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용어 "약 x"에는 "x"의 설명을 포함한다.
"조합"은 블렌드,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용어들 "한" 및 "하나" 및 "상기"는 수량에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본원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명확하게 문맥에 의해 모순되지 않는 한 양쪽 단수형 및 복수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는"은 명확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명세서 내내 "일부 구현예", "한 구현예", 및 기타 등등 지칭은 구현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한 특정한 요소가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예에서 포함되고, 기타 구현예에서 존재할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재된 요소들이 다양한 구현예에서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원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든 인용된 특허, 특허 출원, 및 기타 참고문헌은 그들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편입된다. 하지만, 본원에서 한 용어가 편입된 참고문헌에서 한 용어와 모순되거나 상충한다면, 본원에서의 용어가 편입된 참고문헌에서의 상충하는 용어에 우선한다.
특정한 구현예가 기재되었지만, 현재 예상되지 않거나 그럴 수 있는 대안, 수정, 변동, 개선, 및 실질적 균등물이 출원인 또는 당업자에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출원된 대로 첨부된 양태, 그리고 이들이 수정될 수 있는 경우는 모든 그러한 대안, 수정 변동, 개선, 및 실질적 균등물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73)

  1.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로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환화탈수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에서 유래되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80% 초과 및 100% 이하가 이미드화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환화탈수에 의해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중간체에서 유래되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중간체에서 아믹산 기의 20% 이상 및 80% 이하가 이미드화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1개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이 2개 방향족 디아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2개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동시 단계-성장 중합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Figure pct00052
    .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Figure pct00053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54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반응된 작용기가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Figure pct00055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트리아민,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올리고머가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 내지 1.0 %의 변형으로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된 360 ℃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21. 하기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Figure pct0005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Figure pct00057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5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Figure pct0005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22.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상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140 ℃ 내지 약 220 ℃인, 제조 방법.
  25. 제 23 항, 제 24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가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인, 제조 방법.
  26. 제 23 항, 제 24 항,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기에 앞서 상기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부터 상기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드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상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 분 내지 약 120 분 동안 약 220 ℃ 내지 약 300 ℃인, 제조 방법.
  28.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톨루엔을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첨가하고 톨루엔 및 물의 공비 증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29.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아세트산 무수물 및 촉매량의 3차 아민의 존재 하에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30.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마이크로파 조사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31. 제 23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하기가 인산화 제제 및 촉매량의 염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는, 제조 방법.
  32.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물 또는 C1-4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과량의 물 및 C1-4 알코올을 임의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반응성 압출을 포함하는,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기에 앞서 극성 용매에서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용해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반응성 압출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제조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반응성 압출이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고, 상기 극성 용매가 상기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압출이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는, 제조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산 촉매가 아세트산이고, 상기 아세트산이 상기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39.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압출이 아세트산 무수물의 존재 하에서 실행되고, 상기 아세트산 무수물이 상기 반응성 압출 동안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40.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압출이 배출 포트가 장착된 복수의 사전-설정된 가열 구역을 갖는 용융 압출기에서 실행되는, 제조 방법.
  41.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드 조성물.
  42.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조성물.
  4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
  44.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열시킴으로써 만들어진, 고온 탄성중합체 조성물.
  45.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고온 발포체.
  46.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용융시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합 방법.
  47.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00 내지 약 450 ℃인, 제조 방법.
  49.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인, 제조 방법.
  50.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51.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물품.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물품.
  53.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인, 제조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용융시키고, 상기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5. 제 53에 있어서,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상기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6. 제 53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57.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인, 섬유 강화 복합재료.
  60.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단향성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인발인, 제조 방법.
  61. 제 60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향성 테이프.
  62.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향성 테이프.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단향성 테이프.
  64.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섬유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인, 제조 방법.
  65. 제 64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섬유.
  66.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섬유.
  68.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적층 제조인, 제조 방법.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인 제조 방법이고,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각 층 사이 계면이 있도록 인접한 수평 층들에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압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층들을 노출시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0.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선택적 레이저 소결인 제조 방법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입자를 레이저로 선택적으로 소결 및 가교시켜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1.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직접 에너지 증착 (DED) 또는 레이저 조작된 네트 형상화 (LENS)인, 제조 방법.
  72. 제 68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7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적층 제조된 물품.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적층 제조된 물품.
  75.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이 용액 주조이고,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상기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필름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가교시키고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76. 제 75 항의 용액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
  77.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가요성 필름.
  79. 제 76 항 내지 제 7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필름이
    10 ℃/분의 가열 속도로 N2 하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된 약 280 내지 약 310 ℃의 유리 전이 온도 (Tg);
    10 ℃/분의 가열 속도 및 1 Hz의 진동 속도로 N2 하에서 동적 기계적 열적 분석에 의해 측정된 약 2.2 내지 약 3.4 GPa의 저장 탄성률 (E');
    25 ℃에 모두 측정된 약 3.0 내지 약 3.8 GPa의 영률, 약 130 내지 약 160 MPa의 파단 강도, 또는 약 10 내지 80%의 파단 변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가요성 필름.
  80.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사출 성형인, 제조 방법.
  81. 제 80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 성형된 물품.
  82.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된 물품.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가 가교되는, 사출 성형된 물품.
  84.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가 Carothers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85. 제 84 항에 있어서, 아믹산 기의 0% 내지 약 20%가 이미드화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86. 제 84 항 또는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1개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87. 제 84 항 내지 제 8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88. 제 84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이 2개 방향족 디아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89. 제 84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2개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0. 제 84 항 내지 제 8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의 동시 단계-성장 중합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1. 제 84 항 내지 제 9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Figure pct00060
    .
  92. 제 84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3. 제 84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Figure pct00061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62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4. 제 84 항 내지 제 9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5. 제 84 항 내지 제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가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6. 제 84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Figure pct00063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7. 제 84 항 내지 제 9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8. 제 84 항 내지 제 9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99. 제 84 항 내지 제 9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101. 하기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Figure pct0006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Figure pct00065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6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Figure pct00067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102.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로서,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103.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중합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가 물,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디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또는 술포란 중 적어도 하나인, 제조 방법.
  105. 제 103 항 또는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상기 극성 용매로부터 단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6.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드 조성물.
  107.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분말 코팅 조성물.
  108.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
  109.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고온 발포체.
  110.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배합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혼합시키고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하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합 방법.
  111.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2.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이 약 10 내지 약 60 분 동안 약 300 내지 약 400 ℃인, 제조 방법.
  113. 제 110 항 또는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적층 제조,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섬유 방사,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트랜스퍼 성형, 발포 성형, 열성형, 주조, 용액 주조, 또는 단조인, 제조 방법.
  114.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115.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물품.
  116.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인, 제조 방법.
  117. 제 116 항에 있어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에 대하여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이미드화시키고, 상기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8. 제 116 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상기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9. 제 116 항 내지 제 11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120.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121. 제 1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인, 섬유 강화 복합재료.
  122.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단향성 테이프를 만들기 위한 인발인, 제조 방법.
  123. 제 122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향성 테이프.
  124.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향성 테이프.
  125.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섬유의 용액 방사 또는 용융 방사인, 제조 방법.
  126. 제 125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127.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섬유.
  128.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적층 제조인, 제조 방법.
  129. 제 1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융합된 필라멘트 제작인 제조 방법으로서,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각 층 사이 계면이 있도록 인접한 수평 층들에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압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층들을 노출시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키고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0. 제 1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선택적 레이저 소결인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입자를 레이저로 선택적으로 소결, 이미드화, 및 가교시켜 상기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1. 제 1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직접 에너지 증착 (DED) 또는 레이저 조작된 네트 형상화 (LENS)인, 제조 방법.
  132. 제 128 항 내지 제 13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133.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적층 제조된 물품.
  134.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용액 주조이고,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하는 단계;
    상기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 필름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이미드화 및 가교시키고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5. 제 134 항의 용액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
  136.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137.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사출 성형인, 제조 방법.
  138. 제 137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 성형된 물품.
  139. 제 84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폴리아미드 아믹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된 물품.
  140. 제 11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블로우 성형인, 제조 방법.
  141.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C1-4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2. 제 14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열적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1개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3. 제 141 항 또는 제 14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4. 제 141 항 내지 제 1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이 2개 방향족 디아민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5. 제 141 항 내지 제 1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2개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6. 제 141 항 내지 제 1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Figure pct00068
    .
  147. 제 141 항 내지 제 1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8. 제 141 항 내지 제 1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Figure pct00069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70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49. 제 141 항 내지 제 1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0. 제 141 항 내지 제 1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반응된 작용기가 에틴, 메틸에틴, 페닐에틴, 케토에틴, 프로파길 에테르, 노르보르넨, 말레이미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프탈로니트릴, 벤조사이클로부텐, 비페닐렌, 또는 벤족사진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1. 제 141 항 내지 제 1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Figure pct00071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2. 제 141 항 내지 제 1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3. 제 141 항 내지 제 1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 범위에 반응성인 2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4. 제 141 항 내지 제 1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5. 제 15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벤조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프탈산 무수물, 또는 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인,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6. 제 141 항 내지 제 1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이 N2 하에서 10 ℃/분의 가열 속도, 2 라디안/초의 주파수, 및 0.03% 내지 1.0 %의 변형으로 평행 플레이트들 사이 진동 전단 유동학에 의해 측정된 약 80 ℃ 내지 약 120 ℃ 사이에 약 1 내지 약 100 Pa·s의 용융 복합 점도를 갖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7. 하기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Figure pct0007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Figure pct00073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치환됨
    Figure pct0007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Figure pct0007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
  158.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으로서, 1,3-페닐렌 디아민, 4,4'-옥시디아닐린, 또는 3,4'-옥시디아닐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아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클로로포르밀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4-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메틸에티닐 프탈산 무수물, 4-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PEPA), 또는 4,4'-(에틴-1,2-디일)디프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에서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159.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2-, 3-, 또는 4-관능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를 C1-4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충분한 온도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과량의 C1-4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능한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말단-캐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아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3-, 또는 4-관능성 방향족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관능성 등가물과 반응성이고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형성 후 사슬 확장 및 가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반응된 작용기를 갖는, 방법.
  160. 제 141 항 내지 제 15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배합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적어도 하나의 기타 재료와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혼합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지만, 가교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합 방법.
  161.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41 항 내지 제 15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시켜,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제조, 형상화, 및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2. 제 16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이 약 300 ℃ 내지 약 400 ℃, 0 내지 약 300 MPa, 및 약 10 내지 약 60 분인, 제조 방법.
  163. 제 161 항 또는 제 16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 인발,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용액 주조인, 제조 방법.
  164. 제 161 항 내지 제 16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165. 제 161 항 내지 제 1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섬유 강화 복합 제조인, 제조 방법.
  166. 제 165 항에 있어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 및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적어도 1개 층을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에 대하여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상기 섬유 직물을 함침시키고,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고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7. 제 165 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으로 섬유 직물의 적어도 1개 층을 함침시키는 단계;
    상기 극성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중합 및 가교시켜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8. 제 165 항 내지 제 16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169. 제 168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여러-겹 탄소 강화 복합재료인, 섬유 강화 복합재료.
  170. 제 161 항 내지 제 1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용액 주조이고,
    극성 용매에서 용해된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의 용액을 금형에 주조시키는 단계;
    상기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성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염 필름을 충분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가열하여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를 만들고 가교시켜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1. 제 170 항의 용액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필름.
  172. 제 161 항 내지 제 1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사출 성형인, 제조 방법.
  173. 제 161 항 내지 제 1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블로우 성형인, 제조 방법.
KR1020227017022A 2019-11-08 2020-11-06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방법, 및 물품 KR20220100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32892P 2019-11-08 2019-11-08
US62/932,892 2019-11-08
US202063075610P 2020-09-08 2020-09-08
US63/075,610 2020-09-08
PCT/US2020/059456 WO2021092419A1 (en) 2019-11-08 2020-11-06 Reactive polyamideimide oligomers, methods, and art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602A true KR20220100602A (ko) 2022-07-15

Family

ID=7365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022A KR20220100602A (ko) 2019-11-08 2020-11-06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방법, 및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2558A1 (ko)
EP (1) EP4055083A1 (ko)
JP (1) JP2023501374A (ko)
KR (1) KR20220100602A (ko)
CN (1) CN114651031A (ko)
WO (1) WO2021092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4006A1 (en) * 2021-02-12 2022-08-18 Manufacturing Resources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using structural adhesive
CN113336942B (zh) * 2021-06-18 2022-08-09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3d打印在交联型聚酰亚胺中的应用、多孔聚酰亚胺的制备、聚酰亚胺复合材料的制备
CN114456490B (zh) * 2022-01-29 2023-06-06 武汉金发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3551A1 (de) * 1977-03-28 1978-10-12 Basf Ag Vernetzbare polyamidimide
JP3901164B2 (ja) * 2004-02-25 2007-04-04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芳香族ポリアミドイミド及びその前駆体
WO2008099709A1 (ja) * 2007-02-13 2008-08-21 Toray Industries, Inc.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
JP2014509674A (ja) * 2011-04-01 2014-04-21 ネクサム ケミカル エイビー 改善したオリゴイミドおよびポリイミド
CN105153445B (zh) * 2015-09-25 2018-02-02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由反应性封端聚酰胺酸树脂制备聚酰亚胺薄膜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51031A (zh) 2022-06-21
JP2023501374A (ja) 2023-01-18
EP4055083A1 (en) 2022-09-14
WO2021092419A1 (en) 2021-05-14
US20230002558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0602A (ko) 반응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올리고머, 방법, 및 물품
CA2852997C (fr) Materiau composite thermoplastique renforce de fibres synthetiques et procede de fabrication
EP2911867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composite thermoplastique en moule ferme, avec injection dans un moule froid
WO2016099667A1 (en) Controlling crosslinking density and processing parameters of phthalonitriles
EP0178762B1 (en) Composites
KR20160147822A (ko) 예비중합체 및 사슬 연장제로부터 수득된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로 함침된 복합 재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WO2019121823A1 (en) Piperidine-containing semi-aromatic polyamide
JP6592856B2 (ja) 末端変性イミドオリゴマー、ワニス、それらの硬化物、フィルム、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イミドプリプレグおよび繊維強化複合材料
KR20200020847A (ko) 반응성 열가소성 예비중합체로 함침된 섬유 재료
EP0385304A1 (en) Polyamide-imide polymers having fluorine-containing linking groups
KR20220034161A (ko) 반응성 인발에 의해 함침된 섬유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KR20220100601A (ko) 반응성 올리고머, 적층 제조 방법, 및 이의 물품
WO2009002633A1 (en) Single-step-processable polymides
CN112888726B (zh) 用于模制聚酰亚胺复合材料的新型酰胺酸低聚物工艺
TW202212471A (zh) 樹脂組成物及成形體
JPWO2021092419A5 (ko)
Cano et al. Polyimide Composites from Salt-Like Solution Precursors
Liu et 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henylethynyl-containing imide oligomers based on isomeric 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s
FR3092786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composite thermoplastique en moule ferme, avec injection dans un moule isotherme
Bystry-King et al. Polyimides
JP7418737B2 (ja) イミドオリゴマー、ワニス、それらの硬化物、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
JP7496547B2 (ja) イミドオリゴマー、ワニス、それらの硬化物、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
EP0371907A1 (en) Method for making a fiber reinforced crosslinked polyimide matrix composite article
US20230042415A1 (en) Polyamic acid having specific composition, varnish, cured product, and composite material
JP2003105083A (ja) 熱硬化性ポリイミドオリゴマー、その成形方法、その成形方法により得られる成形物、及び、その成形物を熱処理して得られる硬化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