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228A -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228A
KR20220098228A KR1020227019939A KR20227019939A KR20220098228A KR 20220098228 A KR20220098228 A KR 20220098228A KR 1020227019939 A KR1020227019939 A KR 1020227019939A KR 20227019939 A KR20227019939 A KR 20227019939A KR 20220098228 A KR20220098228 A KR 2022009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lass
notch
polarizing plate
upp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양 웨이
구안헝 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01L51/5246
    • H01L51/528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Abstract

폴 스크린으로서,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220)이 설치되며, 제1 관통홀(220)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가 충전되는 편광판(200); 및, 편광판(200)과 결합되고,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편광판(200)이 위치하며, 제1 관통홀(2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331)이 설치된 유리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1월 22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1158728.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휴대폰의 전면 카메라를 설치하는 디자인 방식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Panel)에 구멍을 뚫는 방식과 투명홀 등 두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화면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 휴대폰의 프레임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좁은 프레임을 구현하고 더 높은 화면 비율을 달성할 수 있고, 더 나은 전체 화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블라인드 홀 방식으로도 불리우는 투명홀 방식은 더 작은 조리개를 구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유효 표시 영역(AA)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많은 휴대폰 제조업체에서 널리 사용된다.
블라인드 홀 방식을 사용한 AMOLED 폴 스크린은 빛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원활하게 통과하여 Panel 아래의 카메라에 도달하도록 편광판(POL) 상의 Panel의 투명 홀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어야 하지만, POL가 특정 두께(보통 70-200um)를 가지고, 또한 현재 사용되는 완전 밀착형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가 POL 구멍의 가장자리에서 완전히 충전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시 기포가 발생하여 외관 및 신뢰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구멍에 기포가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이 설치되며, 제1 관통홀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충전되는 편광판; 및,
편광판과 결합되고,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편광판이 위치하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설치된 유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폴 스크린을 개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폴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폴 스크린은 편광판을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전에 먼저 제1 관통홀에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충전되는데,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제1 관통홀에 완전히 충전될 수 있고,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응고될 때 제1 관통홀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외관 및 신뢰성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며,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본 발명에 대해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첨부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 스크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유리의 제1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유리의 제2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유리의 제1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유리의 제2 상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 및 해당하는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 편광판(200) 및 유리 조립체(300)를 포함하는 폴 스크린을 개시한다.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는 주로 보호 역할을 하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 등 투명 부재일 수 있다.
편광판(200)은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 결합되며, 편광판(200)에는 제1 관통홀(220)이 설치되고, 제1 관통홀(220) 내부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가 충전되며,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를 사용하면 빛의 투과에 영향 없이 제1 관통홀(220)을 충전할 수 있다. 편광판(200)을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에 결합하기 전에 먼저 제1 관통홀(220)에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가 충전되는데, 해당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는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우수한 유동성을 가져 제1 관통홀(220)에 완전히 충전될 수 있고,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가 응고될 때 제1 관통홀(220)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외관 및 신뢰성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동시에,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가 편광판(200)과 접합됨으로써,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구성 요소의 후속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유리 조립체(300)는 편광판(200)과 결합되어 편광판(200)이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 유리 조립체(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며, 유리 조립체(300)의 제1 관통홀(2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331)이 설치되고, 제2 관통홀(331)은 제1 관통홀(220)과 결합되어 빛을 통과시킨다.
상기 유리 조립체(300)는 상부 유리(310), 하부 유리(320), 지지 기둥(350) 및 발포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리(310)는 편광판(200)과 직접 결합되고, 하부 유리(320)는 실런트(340)에 의해 상부 유리(310)와 결합되며, 실런트(340)는 상부 유리(310)와 하부 유리(320) 사이에 위치하고, 실런트(340)는 상부 유리(310)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되며, 실런트(340)는 상부 유리(310)와 하부 유리(320) 사이에서 둘러싸여 캐비티를 형성하며, 하부 유리(320)는 상부 유리(310)의 편광판(200)과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부 유리(310)와 하부 유리(320)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 기둥(350)이 상부 유리(310)와 하부 유리(320) 사이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다수의 지지 기둥(350)은 모두 상기 캐비티에 위치한다. 발포체(330)는 하부 유리(320)가 상부 유리(310)와 발포체(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부 유리(320)와 결합되며, 제2 관통홀(331)은 발포체(330)에 위치하고, 제2 관통홀(331)은 제1 관통홀(220)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빛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부 유리(310)와 하부 유리(320) 사이의 제1 관통홀(22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지지 기둥(350)이 설치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부 유리(310)에는 제1 노치(3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유리(310)는 편광판(200)과 결합된 후, 상부 유리(310)는 편광판(200)의 제1 관통홀(220) 위치에서 매달린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 시에 상부 유리(310)는 해당 위치에서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러한 변형은 주로 해당 위치에서 편광판(200)과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으로 나타내는데, 이 경우, 상부 유리(310)의 편광판(200)을 향한 일측에 제1 홈(313)이 형성되고, 상부 유리(310)의 하부 유리(320)를 향한 일측에 돌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에 의해 초래되는 영향이라면, 사용 시에 상부 유리(310)의 하부면과 하부 유리(320)의 상부면 사이에 입사된 광선의 반사광이 박막 간섭 효과를 형성하기 쉽게 한다. 그 주된 이유는 상부 유리(310)에 의해 해당 위치에 형성된 구형 돌기이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상부 유리(310)에 제1 노치(3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노치(311)는 상부 유리(310)의 하부 유리(320)를 향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노치(311)의 위치와 제1 관통홀(220) 위치는 대응된다. 상부 유리(310)에 제1 노치(311)가 설치되면, 상부 유리(310)를 투과하여 하부 유리(320)에 조사되는 입사 광선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박막 간섭 효과가 개선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상부 유리(310)가 함몰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실시예의 일부 구현 방식에서, 제1 홈 바닥(312)은 호면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홈 바닥(312)이 바로 제1 노치(311)의 홈 바닥이다. 제1 홈 바닥(312)은 제1 노치(311)의 함몰 방향을 따라 호형을 나타내는데, 즉 상기 호형의 외벽이 제1 관통홀(220)을 향한다.
제1 홈 바닥(312)이 호면으로 설치되면, 상부 유리(310)가 함몰될 때, 상기 위치에서 하부 유리(320)를 향한 상부 유리(310)의 일면의 형태가 추가적으로 개변됨으로써, 박막 간섭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제1 홈 바닥(312)을 호면으로 형성하기 전에, 먼저 상부 유리(310)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1 홈(313)의 형태를 측정하여, 제1 홈 바닥(312)을 제1 홈(313)과 동일한 형태로 연마할 수 있다. 도 3(도 3은 상부 유리(310)가 함몰된 형태)을 참조하면, 제1 홈 바닥(312)과 제1 홈(313)의 형태가 동일한 경우, 상부 유리(310)가 함몰되면 제1 홈 바닥(312)의 형태가 변형되어 기본적으로 평면이 되며, 박막 간섭 효과가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6은 하부 유리(320)가 함몰되지 않은 상태이며, 하부 유리(320)에는 상부 유리(310)를 향한 일측에 위치하고 제2 관통홀(3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2 노치(321)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유리(320)는 상부 유리(310)와 발포체(330) 사이에 위치하고, 발포체(330)에는 제1 관통홀(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331)이 설치되기 때문에, 발포체(330)의 제2 관통홀(331) 위치에서 하부 유리(320)는 매달린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 시, 해당 위치에서 하부 유리(320)는 변형되기 쉬운데, 주요한 변형은 해당 위치가 상부 유리(310)를 향해 함몰되는 것이며, 이 경우, 하부 유리(320)의 상부 유리(310)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제2 홈(322)이 형성되고, 하부 유리(320)의 상부 유리(310)를 향한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부 유리(310)의 하부면과 하부 유리(320)의 상부면 사이의 반사광이 박막 간섭 효과를 형성하기 쉽다. 제2 노치(321)의 설치를 통해 상기 상황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제2 노치(321)와 제1 노치(311)가 조합되는 경우, 박막 간섭 효과가 더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 구현 방식에서, 제2 홈 바닥(323)이 호면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홈 바닥(323)이 바로 제2 노치(321)의 홈 바닥이다. 제2 홈 바닥(323)은 하부 유리(320)를 따라 발포체(330)의 방향을 향해 호형을 나타내는데, 즉 상기 호형의 외벽이 제2 관통홀(331)을 향한다.
제2 홈 바닥(323)이 호면으로 설치되면, 하부 유리(320)가 함몰될 때, 상기 위치에서 상부 유리(310)를 향한 하부 유리(320)의 일면의 형태가 추가적으로 개변됨으로써, 박막 간섭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치(311)는 원기둥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제2 노치(321)는 구형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노치(311)와 제2 노치(321)는 동축으로 설치되고, 제1 노치(311)와 제2 노치(321)가 모두 제1 관통홀(220)과 동축으로 설치됨으로써, 폴 스크린 내부의 제1 관통홀(220), 제1 노치(311), 제2 노치(321) 및 제2 관통홀(331) 등 4개 투광 부분이 모두 동축으로 설치되어 빛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치(311)의 직경은 제1 관통홀(220)의 직경과 동일하고, 제2 노치(321)의 직경은 제2 관통홀(33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제2 관통홀(331)의 직경은 제1 관통홀(22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서로 다른 전자 장치의 제1 관통홀(220)과 제2 관통홀(331)의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효과를 얻기 위해, 전자 장치에 따라 제1 노치(311)와 제2 노치(321)의 크기 및 깊이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제2 홈 바닥(323)을 호면으로 형성하기 전에, 먼저 하부 유리(320)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2 홈(322)의 형태를 측정하여 제2 홈 바닥(323)을 제2 홈(322)과 동일한 형태로 연마할 수 있다. 도 5(도 5는 하부 유리(320)가 함몰된 형태)를 참조하면, 제2 홈 바닥(323)과 제2 홈(322)의 형태가 동일한 경우, 하부 유리(320)가 함몰되면 제2 홈 바닥(323)의 형태가 변형되어 기본적으로 평면이 되며, 박막 간섭 효과가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상부 유리(310)와 하부 유리(320)가 모두 함몰된 경우, 제1 홈 바닥(312)과 제2 홈 바닥(323)이 모두 평면이기 때문에, 박막 간섭 효과의 발생을 기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구현 방식에서, 지지 기둥(350)과 상부 유리(310)가 접촉되는 면적이 지지 기둥(350)과 하부 유리(320)가 접촉되는 면적보다 작다. 왜냐하면, 입사광이 일반적으로 상부 유리(310)에서 하부 유리(320) 쪽으로 입사되므로, 지지 기둥(350)과 상부 유리(310)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 기둥(350)은 지지 기둥(350)의 단면적이 상부 유리(310)가 하부 유리(32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구현 방식에서, 편광판(200)과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는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는 무색 투명하고, 광 투과율이 90%이상이고, 접착력이 우수하고, 상온 또는 중온에서 경화될 수 있고, 경화 시 수축이 작은 등의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는 OCA 광학 접착제일 수 있으며, 물론, OCA 광학 접착제는 본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현 방식일 뿐이며, 다른 구현 방식에서, 편광판(200)과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는 광 투과율이 90%이상인 다른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조립 시에 유리 조립체(300)를 먼저 조립한 후, 편광판(200)과 상부 유리(310)를 결합할 수 있다. 편광판(200)과 유리 조립체(300)가 단단히 결합된 후, 편광판(200)이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도록 평평한 면에 놓아 두고, 편광판(200)의 제1 관통홀(220) 내부에 광학용 투명 접착제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유리(310)는 함몰되어 제1 관통홀(220)과 연통되는 제1 홈(313)을 형성하므로, 광학용 투명 접착제를 충전할 때 광학용 투명 접착제의 부피를 제1 관통홀(220)의 부피보다 크게 함으로써,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제1 홈(313)에 가득 채워져 편광판(200)과 상부 유리(31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를 사용하여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를 편광판(200)에 접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응고되어 부피 수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관통홀(220)의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완전히 응고되고, 응고된 광학용 투명 접착제의 상부면이 편광판(200)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가 된 후,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를 편광판(20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구현 방식에서, 광학용 투명 접착제는 UV에 의해 경화될 수 있고, 편광판(200)과 상부 유리(310)는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제1 노치(311) 및 제2 노치(321)는 수치 제어 공작기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리(310) 및 하부 유리(320)에 대해 유리 연마 공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상부 유리(310)의 하부면과 하부 유리(320)의 상부면을 연마하여 상부 유리(310) 및 하부 유리(320)의 표면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제1 관통홀(220)에서 상부 유리(310)의 함몰 정도와 제2 관통홀(331)에서 하부 유리(320)의 함몰 정도를 줄임으로써, 입사광에 대한 간섭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폴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폴 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폴 스크린의 제1 관통홀(220)에 광학용 투명 접착제가 충전되기 때문에, 편광판(200)과 유리 조립체(300) 및 편광판(200)과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 사이에 모두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외관 및 신뢰성 시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카메라의 성능이 최적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 리더기, 게임기,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특정 유형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은 주로 각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으며, 각 실시예들 간의 서로 다른 최적화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모두 조합하여 더 바람직한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문장의 간결함을 위해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100-투광성 커버 플레이트;
200-편광판
210-광학용 투명 접착제
220-제1 관통홀
300-유리 조립체
310-상부 유리
311-제1 노치
312-제1 홈 바닥
313-제1 홈
320-하부 유리
321-제2 노치
322-제2 홈
323-제2 홈 바닥
330-발포체
331-제2 관통홀
340-실런트
350-지지 기둥
400-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

Claims (10)

  1. 폴 스크린으로서,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
    상기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220)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220)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가 충전되는 편광판(200); 및,
    상기 편광판(200)과 결합되고, 상기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편광판(200)이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홀(2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331)이 설치된 유리 조립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조립체(300)는,
    상기 편광판(200)과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홀(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노치(31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노치(311)는 상기 편광판(200)과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유리(310);
    실런트(340)에 의해 상기 상부 유리(310)와 결합되는 하부 유리(320);
    상기 상부 유리(310)와 상기 하부 유리(320) 사이에 위치한 지지 기둥(350); 및,
    상기 하부 유리(320)의 상기 상부 유리(310)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관통홀(331)이 위치하는 발포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311)의 제1 홈 바닥(312)은 호면이고, 상기 호면의 외측은 상기 제1 관통홀(220)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311)의 횡단면은 원형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노치(311)의 직경은 상기 제1 관통홀(220)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리(320)의 상기 제1 노치(3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노치(32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노치(321)는 상기 상부 유리(310)를 향한 상기 하부 유리(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350)과 상기 상부 유리(310)가 접촉되는 면적이 상기 지지 기둥(350)과 상기 하부 유리(320)가 접촉되는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350)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상부 유리(310)가 상기 하부 유리(3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투명 접착제(210)의 체적은 상기 제1 관통홀(220)의 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200)은 광학용 투명 양면 테이프(400)에 의해 상기 투광성 커버 플레이트(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스크린.
  10. 전자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27019939A 2019-11-22 2020-11-19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KR20220098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58728.6 2019-11-22
CN201911158728.6A CN110867136B (zh) 2019-11-22 2019-11-22 极点屏及电子设备
PCT/CN2020/130232 WO2021098800A1 (zh) 2019-11-22 2020-11-19 极点屏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228A true KR20220098228A (ko) 2022-07-11

Family

ID=6965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939A KR20220098228A (ko) 2019-11-22 2020-11-19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74370A1 (ko)
EP (1) EP4064256A4 (ko)
JP (1) JP7359960B2 (ko)
KR (1) KR20220098228A (ko)
CN (1) CN110867136B (ko)
WO (1) WO2021098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7136B (zh) * 2019-11-22 2021-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极点屏及电子设备
CN111885237A (zh) * 2020-07-29 2020-1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034549A (zh) * 2020-08-25 2020-12-04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偏光片及其加工工艺方法及显示设备
CN113556418B (zh) * 2021-07-22 2024-04-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999A (ja) * 1998-01-28 1999-08-06 Teijin Ltd 光変調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H11316376A (ja) * 1998-05-06 1999-11-16 Toyota Motor Corp 自発光表示素子
US20120200816A1 (en) * 2011-02-04 2012-08-09 Guardian Industries Corp. Electronic devices having reduced susceptibility to newton ring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2540581A (zh) * 2012-02-06 2012-07-04 深圳市瑞福达液晶显示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3d液晶眼镜液晶盒
JP6390117B2 (ja) * 2014-02-26 2018-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2570551B1 (ko) 2016-07-05 2023-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741621B2 (en) 2016-11-25 2020-08-1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fingerprint sensor
WO2018216545A1 (ja) 2017-05-22 2018-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CN107395928A (zh) * 2017-08-01 2017-11-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光学组件及移动终端
CN107946341B (zh) * 2017-11-10 2020-05-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7909922B (zh) * 2017-11-16 2019-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2391961B1 (ko) * 2018-01-29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9854B1 (ko) * 2018-02-06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JP2019158956A (ja) 2018-03-08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CN109100891A (zh) * 2018-08-10 2018-12-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194787A (zh) * 2018-09-20 2019-01-11 厦门三德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前置摄像头的显示模组结构及其贴合工艺
CN109164648B (zh) * 2018-09-30 2021-11-1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407375B (zh) * 2018-10-16 2021-10-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屏组件、电子设备
CN109545826B (zh) 2018-11-19 2020-12-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制造方法及包含其的显示装置
CN109283736B (zh) * 2018-12-06 2021-10-22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及电子设备
CN209233928U (zh) * 2019-01-04 2019-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637378A (zh) * 2019-01-31 2019-04-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9782461A (zh) * 2019-02-22 2019-05-21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全面屏的点胶填充贴合工艺、全面屏以及电子设备
CN109733034B (zh) * 2019-02-22 2020-06-05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偏光片及其制造工艺
CN110133902A (zh) * 2019-04-29 2019-08-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138935A (zh) * 2019-05-05 2019-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及终端设备
CN110136573B (zh) * 2019-05-06 2021-09-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CN110187567A (zh) * 2019-05-15 2019-08-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208891A (zh) * 2019-05-21 2019-09-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显示屏及移动终端
CN209642745U (zh) * 2019-05-30 2019-1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及终端设备
CN110208976A (zh) * 2019-06-13 2019-09-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全屏显示模组
CN110456545B (zh) * 2019-07-29 2021-04-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基板制作方法
CN110867136B (zh) * 2019-11-22 2021-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极点屏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67136B (zh) 2021-10-15
CN110867136A (zh) 2020-03-06
EP4064256A1 (en) 2022-09-28
JP2023503913A (ja) 2023-02-01
JP7359960B2 (ja) 2023-10-11
WO2021098800A1 (zh) 2021-05-27
EP4064256A4 (en) 2023-01-11
US20220274370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8228A (ko) 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CN108681131B (zh) 显示装置
JP6804652B2 (ja) 表示画面、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5779620B2 (ja) 複合式導光板及び表示装置
CN10966929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8145469A1 (zh) 导光板、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JP565790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6348302B2 (ja) 画像表示装置
CN103237435A (zh) 一种显示装置及其盖板
CN108181758B (zh) 遮光双面胶带及显示装置
CN105005365A (zh) 电子设备
TW201328502A (zh) 電子面板及其製造方法與電子裝置
JP2012215621A (ja) 液晶表示装置
CN109459883A (zh) 液晶显示器装置
KR20220079999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장치, 전자기기
EP3715940A1 (en) Flexible lcd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11443523A (zh) 电子设备及其显示组件
CN108319336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2478678B1 (ko) 표시 장치
US20190121148A1 (en) Grating,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3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WO2019149082A1 (zh) 一种背光模组、显示组件和电子装置
CN113327511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14846151U (zh) 一种带透光icon的小尺寸显示模组
TWI517007B (zh) 觸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6395397B2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