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477A -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 Google Patents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477A
KR20220097477A KR1020227019067A KR20227019067A KR20220097477A KR 20220097477 A KR20220097477 A KR 20220097477A KR 1020227019067 A KR1020227019067 A KR 1020227019067A KR 20227019067 A KR20227019067 A KR 20227019067A KR 20220097477 A KR20220097477 A KR 20220097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sitioning
information
network
s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산 먀오
빈 런
런 다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2X 시나리오에서 측위 수단을 제공하고 V2X 시나리오에서 측위 흐름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기술 분야와 관련된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 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V2X 시나리오에서 제1 단말이 피어 장치를 측위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복수의 기지국에 의존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피하고 V2X 시나리오에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을 측위시키는 흐름을 더욱 단순화하고, 그 적용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Description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본 출원은, 2019년 11월 11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911094955.7호,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통신 분야에는 두 가지 주요 통신 모드가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모드와 직접 통신 모드.
1.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모드
네트워크를 통한 기존의 통신 모드는 도 1과 같이 기지국과 단말(user equipment,UE) 사이에 Uu 인터페이스(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도 1에서 UE1, UE2는 다음과 같은 예이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모드의 경우, 송신 단말(UE)이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과 그의 서빙 기지국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먼저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음, 기지국이 송신한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보낼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수신 단말의 서빙 기지국으로 포워딩하고, 수신 단말의 서빙 기지국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2. 직접 통신 모드;
직접 통신 모드는 도 2와 같다.
직접 통신은 단말 간 D2D(Device to Device) 기술로 구현된다.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은 통신 분야에서 화두이며, V2X 통신은 크게 3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V2I(Vehicle-to-Infrastructure): 차량과 RSU(Road Side Units) 간의 통신. V2P(Vehicle-to-Pedestrian): 차량과 보행자(Vehicle-to-Pedestrian) 간의 통신.
현재 위의 1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모드에서 단말의 측위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정의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측위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PRS) 측정을 통한 단말 측위를 위한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UTDOA(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과 같은3GPP 무선 통신 시스템의 측위를 위한 방법이 있으나 위의 방법들은 모두 단말을 측위하기 위해 여러 기지국에 의존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을 측위하기 위한 기존의 과정은 비교적 복잡하고, 단말의 절대 위치는 복수의 기지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V2X 통신 시나리오에서 상대 위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V2X 시나리오에 대한 측위를 위한 방법은 없다.
본 발명은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하고,V2X 시나리오에서 측위를 위한 방법를 제공하고 V2X 시나리오에서 측위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방법은,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방법에서,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 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제1 단말이 V2X 시나리오에서 제 2 단말을 측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복수의 기지국에 의존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피하고 V2X 시나리오에서 제1 단말이 피어 단말(제2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더욱 단순화하고 적용 가능성이 강하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냄;
상기 제1 단말은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방법에서, 제1 단말은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상대 거리에 따라 그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위의 프로세스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시간 동기화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낮고, 복수의 기지국을 통한 측위를 피하고, 측위 수행이 간단하며 적용성이 강하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방법에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는 위치 결정 과정에서 제1 단말 자체와 제2 단말의 변위와 조합하여 결정되며 위치 정확도가 높고 위치 정확도가 향상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단말은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방법에서 측위 모드는 더 간단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시간 동기화 정확도가 높을수록 측위 정확도가 높아진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의 도움과 조합하여 측위를 수행한다. 즉, 측위는 측위 복수의 보조 정보에 의해 수행되어 측위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함; 및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방법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의 도움으로 측위 모드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통지된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자신과 복수의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단말은 주변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적 빠르게 얻을 수 있고 또한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을 줄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방법은,
제2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단말은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측위 신호 및 시간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은 제2 측위 신호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은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방법은,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제 4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제1 단말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1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내고,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상기 제2 단말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측위 신호 및 시간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측위 신호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제6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측 장치는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하고, 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제7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임의의 측위를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또한, 제4 내지 제7 측면의 임의의 구현에 의해 얻어진 기술적 효과는 제1 내지 제3 양태의 상이한 구현에 의해 얻어진 기술적 효과를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은 배경 기술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배경 기술에서 단말의 직접 통신의 개략도이다.
도 3은 UL-TDOA(Uplink-Time Differential Of Arrival, 업링크 시간 도착 시차)가 단말 측위에 사용되는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측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측위를 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측위를 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측위를 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제1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다른 제1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제2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다른 제2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을 위한 다른 네트워크 측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응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는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분명한 것은, 다음 설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라면 창작 노동 없이도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기존 3GPP는 OTDOA, UL-TDOA 등 다양한 단말 측위 방식을 정의하고 있는데, 기존의 네트워크 통신 시나리오에서 단말 측위 방식을 UL-TDO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UL-TDOA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ENB(Evolved NodeB) 1, eNB2, eNB3 및 UE1을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에 기반한 UL-TDOA에 의한 측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 1:UE1은 eNB1, eNB2 및 eNB3에 동시에 업링크 PRS(Position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측위 참조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은 업링크 PRS(Position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측위 참조 정보)를 eNB1, eNB2 및 eNB3에 동시에 전송하는데, eNB1이 PRS를 수신하는 시간은 T1(즉, 수신 모멘트)이고, eNB2가 상기 PRS를 수신하는 시간은 T2이며 eNB3이 PRS를 수신한 시간은 T3이다. 위의 T1, T2, T3은 기지국이 PRS를 수신하는 모멘트이지만 실제 적용에서 기지국은 T1, T2, T3 및 T3과 현재 타이밍 기준점 사이의 차이만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심볼 1에서 PRS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로 PRS의 도착 시간은 심볼 1에서 오프셋 1us이므로 전송 거리의 시간 길이는 1us이고 기지국은 위치 계산을 위해 시간 오프셋 값을 측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 측위 서버는 eNB1, eNB2 및 eNB3 중 인접한 두 기지국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한다.
측위 서버(eNB1, eNB2 또는 eNB3 중 어느 하나 또는 eNB1, eNB2 및 eNB3 이외의 독립 장치일 수 있음)는 인접 기지국 중 임의의 두 기지국 사이의 상대 시간차이, 즉 PRS를 수신하는 기지국 1과 기지국 2 사이의 시간차 T1-T2, PRS를 수신하는 기지국 1과 기지국 3 사이의 상대 시간차 T1-T3, 기지국 2와 기지국 3 사이의 상대 시간차 T2-T3을 측정한다. 선택적으로, 측위 서버는 위치 계산을 위해 PRS를 검출할 때 각 기지국에 의해 획득된 도착 시간차이를 수신한다.
단계 3:측위 서버는 3개의 기지국 eNB1, eNB2 및 eNB3의 지리적 위치와 상대적 시간차이 T1-T2, T1-T3 및 T2-T3에 따라 UE의 지리적 위치(절대 위치)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간단한 예를 들어 eNB1, eNB2 및 eNB3이 각각 동일한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있고 T1-T2, T1-T3 및 T2-T3의 값이 모두 0이라고 가정하면 측위 서버는 UE1이 eNB1, eNB2 및 eNB3에 의해 형성되는 정삼각형의 중심에 있다고 결정한다.
현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위를 할 때, 단말은 복수의 기지국과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단말의 측위를 위해 복수의 기지국 간에도 정보 교환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의 위치를 결정한다. V2X 통신을 위해 차량 간에 피어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 위의 측위를 위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두 차량 각각은의 각자의 인접 기지국에 동시로 측위 참조 신호를 보내야 한다. 그 다음, 양측 기지국 또는 두 단말이 각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교환하고, 측위 과정이 복잡하고, 현재 V2X 단말 측위를 위한 해결책이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수신하고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 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에 의종하여 제1 단말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게 되어 V2X 시나리오에 적합한 단말 간 측위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해결책은 5G 시스템,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유사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해결책은 셀룰러 링크 및 D2D 링크와 같은 장치 간의 링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D2D 링크 또는 V2X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도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이드링크는 사이드, 보조 링크 또는 직접 연결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용어들은 모두 동일한 종류의 장치들 간에 설정된 링크를 의미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동일한 종류의 장치는 단말 간의 링크, 또는 기지국 간의 링크, 또는 중계 노드 간의 링크이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 간의 링크는 3GPP 버전(Rel)-12/13에 의해 정의된 D2D 링크, 및 차량 대 차량, 차량 대 모바일 또는 차량 대 모든 엔티티 V2X 링크 일 수 있으며 Rel-14/15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연구 중인 3GPP Rel-16 및 후속 버전의 3GPP의 NR(New Radio)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V2X 링크가 포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로서, 단말 장치 1(이하 제1 단말이라 함) 및 단말 장치 2(이하 제1 단말이라 함)인 2개의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두 단말 장치는 직접 연결된 채널(sidelink)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수는 예시일 뿐이며,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는 차량 탑재 단말 장치 또는 차량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단순화된 개략도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 또는 네트워크 측 장치와 같은 다른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소개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 용어를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설명한다.
(1)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 스케줄링 및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 장치일 수 있고, 무선 단말 장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는 무선 연결 기능을 가진 휴대용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미래 진화형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단말 장치, 또는 NR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상술한 각종 단말 장치는 차량에 위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탑재 단말 장치로 간주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탑재 단말 장치를 OBU라고도 한다.
(2)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과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AN)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V2X 기술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RSU이다. 기지국은 수신된 에어 프레임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 패킷 간의 상호 변환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 및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라우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액세스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RSU는 V2X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고정 기반 시설 엔티티일 수 있으며 V2X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다른 엔티티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또는 LTE-A(LTE-Advanced) 시스템에서 Evolutional Node B(NodeB 또는 eNB 또는 e-NodeB)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5G NR 시스템에서 차세대 노드 B(next generation node B, gNB)를 포함할 수 있거나, 클라우드 RAN(Cloud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에서 CU(Centralized Unit) 및 DU(Distributed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3)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과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혼용될 수 있으며, "다중"은 둘 또는 둘 이상을 의미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다중"은 "적어도 두개"로도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 예를 들어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은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포함되는 항목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은 A, B, C,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와 같은 설명에 대한 이해는 비슷한다.
4)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며, 이는 세 가지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B만 그리고 A 및 B와 같은 세 가지 관계가 포함된다. 또한, "/" 문자는 일반적으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연관된 엔티티가 일종의 "또는"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구별되는 예에서 언급된 “제1 ”, “제2 ”와 같은 서수는 복수의 객체에 사용되며, 객체의 순서, 순위, 우선 순위 또는 중요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영역 자원과 제2 시간 영역 자원은 서로 다른 시간 영역 자원을 구별하는 데만 사용되며, 이들 두 시간 영역 자원의 우선순위나 중요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도면을 참조하여 소개하며, 이하에서는 보편성을 잃지 않고 두 단말 장치 간의 인터랙션 과정을 다음과 같이 예를 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10) 및 피어 장치(20)를 포함하는 측위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단말(10)은 측위 보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피어 장치(20)는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특정 실시예에서, 전술한 피어 장치(20)는 제2 단말일 수 있다.
위의 방법으로,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 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제1 단말이 V2X 시나리오에서 제 2 단말을 측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기지국에 의존하여 제2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피하다. V2X 시나리오에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더욱 단순화하고 적용 가능성이 강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측위 시스템에서, 피어 장치는 제1 단말과 직접 연결된 채널을 갖는 단말 장치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측위 보조 정보를 각각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통지함으로써, 제1 단말에 의한 제2 단말의 측위를 실현하여 V2X 시나리오에서 제2 단말과 제1 단말 간의 상대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대 위치 정보는 그들 사이의 상대 거리 및/또는 그들 사이의 상대 방향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들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1) 측위 신호의 전송 시간에 따라 결정한다.
2) 신호의 전송 손실과 전송 거리의 관계에 따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측위 신호의 도착 방향 등에 따라 그들 사이의 상대 방향각을 결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측위 신호는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는 신호, 예를 들어 P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 복조 참조 심볼(Demodulation Reference Symbol,DMRS),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SSB)또는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신호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신호와 같은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단말이 제1 단말 자체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은 PRS를 측위 신호로 예로 들어 아래에서 소개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측위 시스템은 단지 예시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상기 측위 시스템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단말은 또한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의 피어 장치로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과 인터랙션하는 피어 장치가 다를 때 형성된 측위 시스템이 다르고, 측위를 위한 방법과 프로세스도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도 5에 도시된 측위 시스템은 아래에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별을 단순화하기 위해 UE1은 제1 단말을 나타내고 UE2는 제2 단말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사이드링크(sidelink)를 기반으로 연결된 UE1 및 UE2로 구성된 측위 시스템.
실시예 1은 왕복 시간(Round-Trip Time,RTT)에 기반한 단말간 상대 위치 측정으로, 예를 들어 V2X 시나리오에서 차량 사이의 상대 위치 측정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실시예 1의 인터랙션 과정의 개략도이다.
단계 600: 각 단말은 자신의 서빙 기지국을 통해 사이드링크에서 자신의 PRS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UE1은 eNB1을 통해 사이드링크에서 UE1의 측위 참조 신호 PRS1의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UE2는 eNB2를 통해 사이드링크에서 UE2의 측위 참조 신호 PRS2의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각 단말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eNB1은 UE1의 서빙 기지국이고, eNB2는 UE2의 서빙 기지국이며, eNB1 및 eNB2는 같은 기지국일 수 있다.
단계 600에서 기지국이 사이드링크에서 단말의 PRS의 자원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 및 UE가 상기 PRS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PRS를 구성하는 방식은 기존 메커니즘의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위의 내용은 예시일 뿐이며, 만약 측위를 위한 측위 신호가 다르면 단계 600도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UE1과 UE2가 데이터 신호에 따라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할 때 단계 600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계 600은 해당 측위 신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단계 601: UE1은 제1 시간에서 UE2에 PRS1을 전송한다.
UE1은 UE2에게 PRS1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UE2는 UE1이 전송한 PRS1을 수신한다. 여기서 UE1이 PRS1을 전송한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는 제1 시간(이하, T1라고 함), UE2가 PRS1을 수신한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를 제2 시간(이하, T2라고 함)으로 기록한다.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는 절대 시간 또는 시간 영역 자원의 일련번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시간 영역 리소스의 일련 번호는 무선 프레임 번호, 서브프레임 번호, 심볼 번호, 슬롯 번호, 미니 슬롯 번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단계 602: UE2는 제3 시간에서 UE1에 PRS2를 전송한다.
UE2는 UE1에게 PRS2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UE1은 UE2가 전송한 PRS2를 수신한다. 여기서 UE2가 PRS2를 전송한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는 제3 시간(이하, T3), UE1이 PRS2를 수신한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는 제 4 시간(이하 T4라고 함)으로 기록된다.
단계 603: UE2는 T3과 T2 사이의 간격 지속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시간차 정보를 UE1에 전송한다.
이 단계에서, UE2가 UE1으로 전송하는 시간차 정보는 T3와 T2 사이의 신간 간격(즉, T3과 T2 사이의 시간차) 또는 T2와 T3 사이의 시간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E2가 PRS1을 수신한 시간은 12:59:30(T2)이고, UE2가 PRS2를 전송하는 시간은 13:05:30(T3)이면 UE2는 T2와 T3 사이의 신간 간격, 즉 12:59:30과 13:05:30 사이의 시간차 값 6min을 UE1에 전송한다. 다른 예에서, UE2는 UE1에 12:59:30(T2) 및 13:05:30(T3)을 통지하고, UE1은 T2와 T3 사이의 신간 간격을 결정한다.
단계 604: UE2는 자신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UE1에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UE2는 또한 자신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UE1에 보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UE2의 속도 방향은 자신의 이동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방향 사이의 끼인 각도에 따라 UE2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끼인각도의 범위는 0~360°이다.
단계 605: UE1이 UE2와 UE1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UE1은 위의 방식으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측위 보조 정보는 UE1이 PRS1을 전송하는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T1), UE1이 UE2에 의해 전송된 PRS2를 수신하는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T4) 및 UE2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포함한다. UE1은 위의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UE1 자체에 대한 UE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결정된 위치 정보는 상대 거리 및/또는 상대 방향각을 포함한다. 상대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이 먼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는 많은 방법이 있으며, 두 가지가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
첫 번째 결정 방식: PRS2에 따라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를 추정한다.
UE1은 PRS2의 수신 전력 RSRP에 따라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신호의 전송 손실과 전송 거리의 관계에 따라, UE1은 PRS2 수신 시 수신 전력 RSRP와 PRS2의 전송 전력에 따라 신호의 전송 손실을 결정하여 UE1과 UE2사이의 상대 거리를 추정한다.
두 번째 결정 방식: 시간 정보에 따라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 및 UE2가 상대적으로 정적 상태에 있을 때 PRS1 및 PRS2의 측위 신호 전송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7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는 다음을 충족한다.
d1=Δt/2ХC(식 1)
Δt=|T1-T4|-|T2-T3| (식 2)
여기서 ||는 절대값, d1은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 C는 무선 인터페이스 전송 속도, 즉 빛의 속도,
Figure pct00001
t는 PRS1과 PRS2의 총 전송 시간을 나타낸다.
사실,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는 L이다. 차량의 주행 속도는 빛의 속도보다 훨씬 느리고 T2와 T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고, 마찬가지로 T4와 T3 사이의 간격이 작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d1은 L에 무한히 가깝기 때문에 여기서 L
Figure pct00002
d1일 수 있다.
위의 계산 방법은 UE1과 UE2가 상대적으로 정적인 상태이거나 UE1의 속도와 UE2의 속도가 모두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선택적 시나리오에서, UE2는 단계 604에서와 같이 UE1에 자신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보고한다. UE2로부터의 상대 거리를 결정할 때, UE1은 UE2 및 UE1 자체의 속도와 함께 따라 UE2로부터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UE1은 측위 과정에서 UE2의 변위, 이 과정에서 UE1 자신의 변위, UE1과 UE2 사이의 초기 거리를 결정하여,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UE1은 UE1 자신의 속도 정보, UE1의 속도 방향 정보, UE2의 속도 정보, UE2의 속도 방향 정보, PRS1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T1), PRS2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T4), 및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결정한다. 상기 실제 거리는 UE1과 UE2 사이의 초기 거리, 및 제1 단말이 PRS1을 전송한 시점부터 제1 단말이 PRS2를 수신한 시간까지의 일정 기간 동안 UE1 및 UE2의 수평 방향 변위 및 수직 방향 변위가 포함되는 총 변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속도 방향 정보는 상기 단말의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방향 사이의 끼인각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방향은 지도 좌표계에서 수평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UE1이 자신의 속도 방향을 결정하고 UE2가 자신의 속도 방향을 결정할 때 동일한 미리 설정된 기준 방향이 사용됨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에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PRS1 및 PRS2 신호 전송의 다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이 응용 시나리오에서 기준 방향이 지도 좌표계에서 수평 방향인 경우, UE1과 UE2는 수직 방향(수평 방향에 수직)으로 상대적인 움직임 경향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정적인 상태에 있으며, UE1과 UE2 사이의 초기 거리는 수직 방향의 거리 d1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E1의 속도 방향은 수평선으로부터 각도
Figure pct00003
1을 갖는 방향이고, UE2의 속도 방향은 수평선으로부터 각도
Figure pct00004
2를 갖는 방향이다.
Figure pct00005
1의 값이 양수이면
Figure pct00006
2의 값은 음수이다.
도 8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서, UE1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UE2로부터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V1은 UE1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V2는 UE2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2d1 +(V1×sinθ1+ V2×sinθ2)×(T4-T1)= Δt×C (식 3)
Δt=(T1-T4)-(T2-T3)(식 4)
식 3과 식 4로부터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 d2가 다음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d2= d1+ [(V1×sinθ1+ V2×sinθ2)×(T4-T1)]/2(식 5)
다른 예로, T2와 T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UE1과 UE1의 위치가 변하지 않은 채로 있다고 볼 수 있고, 마찬가지로 T4와 T3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고 UE1과 UE1의 위치는 이 기간 동안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적 시나리오에서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 d3는 다음을 만족한다.
d3= d1+ [(V1×sinθ1+ V2×sinθ2)×(T3-T2)]/2(식 6)
상기 계산 방법은 UE1과 UE2가 상대적인 움직임 경향이 있는 경우 또는 UE1의 속도 및/또는 UE2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603과 단계 604 사이에는 시간 순서가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603과 단계 604에서 UE2가 UE1에 전송한 정보는 단계 6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시간차 정보, UE2의 속도 정보 또는 속도 방향 정보는 PRS2와 함께 또는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즉, UE2는 602단계 내지 604단계에 관련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2는 PRS2, 시간차 정보, 자신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동시에 UE1에 전송하거나, 도 6과 같이 각각의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거나, 단계 602-단계 604에서 전송된 정보를 둘씩 결합하여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UE2에 의해 보고되는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는 UE2가 PRS2를 전송하는 모멘트에 대응하는 속도 및 속도 방향이다.
단계 606: UE1은 PRS2에 따라 자신에 대한 UE2의 방향각을 추정한다.
UE1은 PRS2의 도착 각도에 따라 UE1에 대한 UE2의 방향각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UE1이 PRS2의 도착 각도를 결정하는 과정은, UE1는 UE2로부터 PRS2를 수신하고; UE1은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획득하고, 최대값에 대응하는 각도가 도착 방향의 각도인 경우, 로컬 각도 가중 벡터를 통해 매칭하여 최대값을 검색하거나 MUSI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도달 각도 방향(Angle of Arrival,AOA)을 얻기 위해 수신된 신호의 최대 각도 성분을 추정한다.
여기서, UE1 자체에 대한 UE2의 방향각은 두 차량 사이의 상대적인 방향각이며, 예를 들어 UE1이 PRS2의 도착각이 UE1의 바로 앞에 있다고 판단하면 UE1은 UE2와 자신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 다음 UE2가 UE1을 중심으로 하고 결정된 상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UE1에 대한 UE2의 방향각을 결정한 후 UE1 자체에 대해 결정된 방향각에 따라 위치를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 위치는 UE1에 대한 UE2의 위치이다.
다만, 상술한 PRS에 따른 거리 및 방향각 추정은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구현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에 대응하여, UE2는 또한 상기 방식으로 자체 수신한 PRS1과 조합하여 UE1과 UE1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각을 추정하여, UE1의 상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UE1은 UE2와 인터랙션하는 동안 먼저 측위를 시작하는 당사자이다. 실제로 UE1은 PRS1을 UE2에 보낼 수 있으며 다른 단말에 의해 전송된 측위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UE2의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피어 단말에 피드백한다.
단계 604와 605 사이에는 시간 순서가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UE1은 단계 604 및 605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먼저 단계 605를 수행한 다음 단계 604를 수행할 수 있다. 즉, UE1은 또한 상대 방향각을 먼저 결정한 다음 상대 거리를 결정하거나 상대 거리와 상대 방향각을 동시에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UE1읕 PRS2의 도착 방향을 통해 UE2와 UE1 사이의 상대 방향각을 결정하는 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UE1은 또한 시간차 정보, 속도 정보 또는 속도 방향 정보의 도착 방향과 같은 UE2가 전송한 다른 정보를 통해 UE2와 UE1 사이의 상대 방향각을 결정할 수 있다.
위의 방법에 기초하여, UE1이 자신에 대한 UE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때, 복수의 기지국과 인터랙션할 필요가 없어 위치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실시예 2: 사이드링크를 기반으로 연결된 UE1 및 UE2로 구성된 측위 시스템.
실시예 2는 시간 동기화를 기반으로 한 단말와 단말의 상대 위치 측정이다. 이 실시예에서 UE1 및 UE2는 시간 동기화된다. 예를 들어, UE1 및 UE2는 모두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신호와 동기화된다. UE1과 UE2 사이의 시간 동기화를 달성하려면 시간 동기화의 정확도가 높을수록 위치 정확도가 높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간 동기화의 정확도는 밀리초 또는 마이크로초 등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 2의 인터랙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실시예 2는 도 4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0: 각 단말은 기지국을 통해 사이드링크에서 자신의 PRS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900의 실행 프로세스는 단계 600의 특정 동작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 901: UE1은 UE2로부터 PRS2 및 전송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의 PRS2와 실시예 1의 PRS2는 동일한 프로세스의 동일한 신호가 아니고, UE2에 대응하는 사이드링크 기반의 PRS를 의미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의 PRS2는 위의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각 실시예에서 PRS1은 PRS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UE2는 UE1에게 PRS2를 전송하고, PRS2를 전송한 모멘트의 타임스탬프는 T3로 기록되고, 이에 따라 UE1은 PRS2를 수신하고, PRS2를 수신한 모멘트의 타임스탬프는 T4로 기록된다.
UE2는 UE1에게 T3에 대응하는 전송 시간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는 PRS2와 함께 또는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PRS2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와 PRS2는 2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단위 또는 상기 PRS2의 데이터 유닛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RS2의 전송 시간의 타임스탬프 정보는 PRS2를 운반하는 데이터 유닛에 추가된다.
단계 902: UE1이 UE2와 UE1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UE1은 전술한 단계 605의 결정 방식으로 UE2와 자신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1은 또한 PRS2를 전송하는 기간에 따라 UE2와 UE2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 D는 다음을 만족한다:
D=|T4-T3|×C (식 7)
단계 903: UE1은 PRS2에 따라 자신에 대한 UE2의 방향각을 추정한다.
단계 903의 실행 프로세스는 단계 606의 특정 동작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9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은 또한 PRS1 및 PRS1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UE2로 전송할 수 있고, UE2는 UE1이 PRS1과 PRS1을 전송할 때의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및 PRS1를 수신할 때의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UE2와 UE1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또한 UE1이 전송한 PRS1에 따라 UE2에 대한 UE1의 방위각을 추정한다(단계 905 참조). 단계 905에 대해 UE2에 의해 구현된 프로세스는 UE1 측에서 단계 902 및 903의 특정 실행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선택적 구현에서, 실시예 1의 단계 601 및 단계 602에서 도입된 제1 시간 및 제3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 즉 UE1 및 UE2 모두가 미리 알고 있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RS1을 전송하기 전에 UE1은 UE1이 UE2에 PRS1을 전송한 시간(제1 시간)을 UE2에 통지하고, 제1 시간이 도착하면 UE1은 상기 PRS1을 UE2에 전송한다. PRS2를 전송하기 전에 UE2는 UE1에게 PRS2를 전송할 시간(제3 시간)을 통지하고, 제3 시간이 도착하면 UE2는 UE1에 상기 PRS2를 전송한다. 다른 예로, 제1 시간이 각 무선 프레임의 슬롯 m(slot m)이라고 가정한다. 제3 시간은 각 무선 프레임의 슬롯 n(슬롯 n은 슬롯 m 뒤에 위치)이고, UE1은 현재 무선 프레임의 슬롯 m에서 PRS1을 UE2로 전송한다. PRS1을 수신한 후 UE2는 슬롯 n에서 PRS2를 UE1로 전송한다.
실시예 1에서 위의 방법을 적용하면, UE2는 UE1이 전송한 PRS1을 수신한 후, UE1이 PRS1을 전송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T1)임을 알고 있으므로, UE2는 상대 UE2가 실제로 PRS1을 수신한 시간(T2)과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에 따라 자신에 대한 UE1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적접 결정하고, 위의 식 7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UE2가 보낸 PRS2를 수신한 후 미리 설정된 제3 시간과 UE1이 실제로 PRS2를 수신한 시간에 따라 자신에 대한 UE1의 상대 위치 정보를 직접 결정한다.
실시예 2에서 위의 방법을 적용하면, UE2는 미리 설정된 전송 모멘트에 PRS2를 UE1에 전송하므로, UE2는 PRS2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UE1에 보고할 필요가 없고, UE1은 미리 설정된 전송 모멘트와 상기 PRS2를 수신한 모멘트에 따라. UE1 자체에 대한 UE2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위의 두 실시예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측위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측위 방식이다. 위의 방식에서, 단말은 또한 네트워크 보조 측위 방식과 위의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하여 측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하 실시예 3을 통해 상세히 소개한다.
실시예 3: UE1, UE2 및 네트워크 측 장치(예: 기지국)로 구성된 측위 시스템.
실시예 3은 네트워크의 도움으로 차량 간의 상대 위치를 측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이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이며, 여기서 UE1과 UE2는 sidelink를 통해 연결되고, UE1과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UE2와 네트워크 측 장치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UE1과 UE2는 상술한 실시예 1 및/또는 실시예 2의 방식으로 측위를 수행할 수이으며 한편, 그들은 또한 네트워크 측 장치의 도움으로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 3의 인터랙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 3은 도 10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00: 각 단말은 기지국을 통해 사이드링크에서 자신의 PRS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기지국을 통해 Uu 인터페이스에서 자신의 PRS(측위 참조 신호)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1101: UE1은 Uu 인터페이스의 측위 참조 신호 PRS3를 eNB1에 전송하고, UE2는 Uu 인터페이스의 측위 참조 신호 PRS4를 eNB1에 전송한다.
UE1은 eNB1을 통해 Uu 인터페이스에서 자신의 측위 참조 신호 PRS3의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PRS3의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PRS3 신호를 구성한다. UE2는 eNB1을 통해 Uu 인터페이스에서 자신의 측위 참조 신호 PRS4의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PRS4의 자원 구성 정보에 따라 PRS4 신호를 구성한다.
여기서, UE1이 eNB1로 PRS1을 전송하는 시간은 UE2가 eNB1에 PRS2를 전송하는 시간과 같을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사이의 시간차는 특정 임계값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동시에 전송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정송할 수 잇으며 예를 들어, eNB1이 UE1과 UE2에게 동일한 슬롯에서 위치 참조 신호를 보내도록 알리거나 UE1과 UE2가 시간 정보를 교환하여 측위 참조 신호를 전송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단계(1101)가 수행될 때, UE1 및 UE2는 사이드링크 기반 측위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 1의 단계 또는 전술한 실시예 2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102: eNB1은 UE1과 eNB1 사이의 상대 위치, UE2와 eNB1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eNB1은 PRS1에 따라 UE1과 eNB1 사이의 상대 거리 및 방향각을 결정한다. 유사하게 eNB2는 PRS2에 따라 UE2와 eNB1 사이의 상대 거리 및 방향각을 결정한다. 결정 모드는 관련 실행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하고 여기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 1103: eNB1은 UE1 및 UE2에 각각 측위 보조 정보를 통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측위 보조 정보는 UE2와 eNB1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각, UE1과 eNB1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각, 및 eNB1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UE1은 eNB1에 의해 통지된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UE2와 eNB1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계산하고, 유사하게 UE2는 eNB1에 의해 통지된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UE1과 eNB1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eNB1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가 eNB1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eNB1은 지도 좌표계에서 좌표(0, 0)에 위치하고, UE1에 대한 eNB1의 상대 위치가 좌표(0, 10)이고 eNB1에 대한 UE2의 상대 위치가 좌표(0, 20)이면 UE1은 위 정보에 따라 UE1 자체에 대한 UE2의 상대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eNB1은 두 단말의 절대 위치를 직접 결정하고 두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UE1 및 UE2로 전송할 수도 있고, UE1 및 UE2는 획득한 절대 위치에 따라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각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1은 자신의 절대 위치와 UE2의 절대 위치에 따라 UE2와 UE1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각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대 거리 및 상대 방향각에 따라 UE1에 대한 UE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eNB1은 또한 UE1 및 UE2에 두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 정보를 직접 통지할 수 있다. 즉, eNB1은 UE1과 UE2 사이의 상대 거리 및 방향각을 결정한 다음 UE1에 대한 UE2의 상대 거리 및 방향각과 같은 정보를 UE1에 전송한다. 유사하게, eNB1은 또한 UE2에 대한 UE1의 거리 및 방향각와 같은 결정된 정보를 UE2에 전송할 수 있다.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UE1과 UE2는 동일한 서빙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1에 연결된 기지국은 eNB1이고, UE2에 연결된 기지국은 eNB2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오 같이 UE1 및 UE2는 단계 1100 및 1101에서 각각의 서버와 정보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단계 1101에서 UE1은 eNB1에 PRS3 신호를 전송하고 UE2는 eNB2에 PRS4 신호를 전송한다. eNB1은 PRS3에 따라 eNB1에 대한 UE1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고, eNB2는 PRS4에 따라 eNB2에 대한 UE2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eNB1과 eNB2는 상호 측위를 수행하고 eNB1과 eNB2는 단말의 측위 결과를 교환하여 상대방의 액세스 단말의 측위 정보 및 두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eNB1은 eNB1의 액세스 단말과 자신 사이의 상대 위치과 eNB2에 대한 eNB1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eNB2로 전송한다. eNB2는 eNB2의 액세스 단말과 자신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및 eNB1에 대한 eNB2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eNB1로 전송한다. 따라서 eNB1은 eNB1에 대한 eNB2 아래의 액세스 단말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결정된 각 단말의 상대적 위치 정보와 eNB1 자신의 위치 정보를 UE1에게 통지할 수 있고, eNB2도 eNB1와 같은 방법 흐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위에서는 실시예 3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두 단말과 eNB1으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구현에서, eNB1은 모든 단말의 결정된 위치 정보를 임의의 단말에 통지하여 상기단말로 하여금 다른 단말에 대한 자신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한다.
단계 1104: UE1은 eNB1의 측위 결과 및 사이드링크에 기반한 측위 결과에 따라 UE2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UE1은 eNB1의 위치 결정 결과에 따라 UE1 자체에 대한 UE2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실시예1 또는 실시예 2와 같이 스스로 결정한 UE1 자체에 대한 UE2의 상대적 위치를 기반으로 UE2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여 UE2의 측위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UE1이 네트워크 측 장치의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결정된 UE2와 UE1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실시예 1및/또는 실시예 2방식으로 결정된 UE2와 UE1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UE1 대한 UE2의 최종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은 물론 많지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1) 사이드링크의 신호 세기와 Uu 인터페이스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최종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사이드링크 신호의 신호 세기를 Uu 인터페이스 신호의 신호 세기와 비교하여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하는데,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신호가 상대적으로 강한 경우, sidelink의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측위의 신뢰성이 높다고 볼수 있으며 그러면 UE1은 sidelink의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UE2의 상대 위치를 UE1 자신에 대한 UE2의 최종 상대 위치로 할 수 있다. 즉, UE1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방식으로 UE1에 대한 UE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Uu 인터페이스 신호가 강한 경우 Uu 인터페이스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측위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UE1은 Uu 인터페이스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UE2의 상대 위치를 UE1 자신에 대한 UE2의 최종 상대 위치로 할 수 있다. 즉, UE1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서 통지한 측위 보조 정보를 기준으로 UE1에 대한 UE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2) 사이드링크 기반 측위 결과와 기지국 기반 측위 결과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UE1에 의해 사이드링크 기반으로 결정된 UE1에 대한 UE2의 거리는 10m이고 방위각은 60이고, eNB1가 얻은 UE1에 대한 UE2의 거리는 은 11m이고 방위각은 61이다. 그런 다음 UE1은 UE1에 대한 UE2의 최종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두 결과에 기초하여 가중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은 UE1에 대한 UE2의 최종적인 상대 거리가 10.5m이고 방위각은 60.5임을 결정한다.
실시예 4: UE1, UE2 및 네트워크 측 장치(예: 기지국)로 구성된 측위 시스템.
실시예 4는 전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으로, 도 12와 같이 UE1과 UE2 사이에 직접적인 통신 링크가 없을 때 UE1과 UE2는 실시예 3의 eNB1을 통한 측위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각 단말은 자신의 서빙 기지국을 통해 Uu 인터페이스에서 자신의 PRS의 자원 구성 정보를 얻는다.
2. UE1은 Uu 인터페이스의 측위 참조 신호 PRS3를 eNB1로 전송하고, UE2는 Uu 인터페이스의 측위 참조 신호 PRS4를 eNB1로 전송한다.
3. eNB1은 UE1과 eNB1 사이의 상대 위치, UE2와 eNB1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4. eNB1은 측위 결과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UE1과 UE2에게 통지한다.
5. UE1은 eNB1의 측위 결과에 따라 UE2의 상대 위치(UE1에 대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UE2는 또한 eNB1의 측위 결과에 따라 UE2 자체에 대한 UE1의 상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계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에 대해, 실시예 3의 관련 실행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동일한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를 더 제공한다. 이 단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의 제1 단말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단말의 원리는 시스템에서 제1 단말의 방법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 단말의 구현은 시스템에서 제1 단말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1300), 메모리(1301) 및 송수신기(1302)를 포함하는 측위을 위한 제1 단말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3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301)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3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기(1302)는 프로세서(13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0)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301)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3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301)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3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은 프로세서(1300)에 적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1300)에 의해 실시된다. 실시 과정에서, 신호 처리 흐름의 단계들 각각은 프로세서(1300) 내의 하드뤠어의 집적 노리 회로이나 소프트웨어식의 명령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세서(130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특징 집적 회로、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이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분리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분리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 및 블록 다이아그램을 실시하거나 구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 프로세서이나 임의의 노멀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되거나, 프로세서네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결합으로 수행되어 완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이나 전기적 소거/기록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행 분야의 주시 기억 매질에 구배될 수 있다. 당해 기억 매질은 메모리(1301) 에 내장되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301)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다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흐름의 신호 처리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0) 는 다음을 위해 메모리(1301)의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1302)를 통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동일한 사상에 기초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측위를 위한 또 다른 제1 단말를 제공한다:
상기 측위를 위한 또 다른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1400); 및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140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1400)은 구체적으로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모듈(14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모듈(1401)은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1400)은 구체적으로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처리 모듈(14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4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1400)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1400)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1400)은 또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된다.
동일한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을 더 제공한다. 이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에서 피어 장치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단말의 원리는 시스템에서 피어 장치의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단말의 구현은 시스템에서 피어 장치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1500), 메모리(1501) 및 송수신기(1502)를 포함하는 측위을 위한 제2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15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501)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5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기(1502)는 프로세서(15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0)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501)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5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501)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5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은 프로세서(1500)에 적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1500)에 의해 실시된다. 실시 과정에서, 신호 처리 흐름의 단계들 각각은 프로세서(1500) 내의 하드뤠어의 집적 노리 회로이나 소프트웨어식의 명령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세서(150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특징 집적 회로、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이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분리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분리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 및 블록 다이아그램을 실시하거나 구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 프로세서이나 임의의 노멀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되거나, 프로세서네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결합으로 수행되어 완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이나 전기적 소거/기록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행 분야의 주시 기억 매질에 구배될 수 있다. 당해 기억 매질은 메모리(1501) 에 내장되어, 프로세서(1500)는 메모리(1501)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다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흐름의 신호 처리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0)는 다음을 위해 메모리(1501)의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1502)를 통해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0)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측위 신호 및 시간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측위 보조 정보는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전송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0)은 또한,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0)은 또한, 제2 측위 신호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0)은 또한,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동일한 사상에 기초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측위를 위한 다른 제2 단말를 제공한다:
상기 측위를 위한 다른 제2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1600); 및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하도록 송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160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1600)은 구체적으로,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측위 신호 및 시간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1600)은 또한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1600)은 구체적으로, 제2 측위 신호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1600)은 또한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동일한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 네트워크 측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이고 이러한 네트워크 측의 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의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네트워크 측 장치의 구현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된 설명 생략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1700), 메모리(1701) 및 송수신기(1702)를 포함하는 측위을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7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701)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7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기(1702)는 프로세서(17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0)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701)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7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701)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7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은 프로세서(1700)에 적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1700)에 의해 실시된다. 실시 과정에서, 신호 처리 흐름의 단계들 각각은 프로세서(1700) 내의 하드뤠어의 집적 노리 회로이나 소프트웨어식의 명령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세서(170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특징 집적 회로、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이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분리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분리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 및 블록 다이아그램을 실시하거나 구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 프로세서이나 임의의 노멀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되거나, 프로세서네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결합으로 수행되어 완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이나 전기적 소거/기록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행 분야의 주시 기억 매질에 구배될 수 있다. 당해 기억 매질은 메모리(1701) 에 내장되어, 프로세서(1700)는 메모리(1701)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다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흐름의 신호 처리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0)는 다음을 위해 메모리(1701)의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하고,
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동일한 사상에 기초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측위를 위한 다른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1800); 및
통지 모듈(1801):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지 모듈(180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동일한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방법의 원리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에서 제1 단말에 대응하는 방법의 원리에 유사하므로 이 방법의 구현은 장치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1900: 제1 단말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1901: 상기 제1 단말은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단말이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이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단말은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이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동일한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의 피어 장치가 제2 단말인 경우의 방법에 대응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방법의 원리는 장치의 구현과 유사하므로 이 방법의 구현은 장치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 측에서 측위를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은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측위 신호 및 시간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은 제2 측위 신호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은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하고, 그 위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7에 설명된 상기 방법의 단계 또는 제2 단말 측에서 측위를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위를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방법의 원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응하는 방법의 원리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방법의 구현은 장치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되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2000: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2001: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위치결정용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9에 설명된 상기 방법의 단계 또는 상기 단계의 단계를 구현한다. 측위 시스템의 제2 단말 측에 설명된 방법, 또는 도 20에 설명된 위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한 블록과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를 생산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및/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세서 및/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이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블록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생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 포함)도 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사용하거나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또는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가 명령 실행에 의해 사용되거나 사용될 매체에 구현되어 있다. 시스템 명령 실행 시스템과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통신, 전송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으며,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비에서 사용하거나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비와 함께 사용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당업자는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 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 범위에 속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하기 위한 것입니다.

Claims (36)

  1. 측위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단말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은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내고,
    상기 제1 단말이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이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단말은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이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9. 측위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2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측위 보조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단말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측위 보조정보는 시간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사이의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3.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4. 측위를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방법.
  17. 측위를 위한 제1 단말로서,
    상기 제1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18. 측위를 위한 제2 단말로서,
    상기 측위를 위한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19.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
  20. 측위를 위한 제1 단말로서,
    상기 제1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및
    획득한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제1 측위 신호를 제2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한 시간 사이의 시차를 나타내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방향 정보, 상기 제1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시간차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수신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 및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도달 각도 및 제1 단말에 대한 제2 단말의 상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6.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측위 보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1 단말.
  28. 측위를 위한 제2 단말로서,
    상기 제2 단말은,
    측위 보조 정보를 제1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로 하여금 상기 측위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송신 모듈; 및
    제1 단말로 측위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송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제1 단말로 측위 보조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측위 보조정보는 시간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제2 측위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사이의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속도 정보 및 속도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2 측위 신호의 전송 모멘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32. 제28항, 제 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제3 측위 신호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측위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제2 단말.
  33.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 및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측위 보조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측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한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보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3 측위 신호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제2 단말의 절대 위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 4 측위 신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를 위한 네트워크 측 장치.
  36.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 또는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 또는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27019067A 2019-11-11 2020-11-09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KR20220097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94955.7A CN112788519B (zh) 2019-11-11 2019-11-11 一种进行定位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201911094955.7 2019-11-11
PCT/CN2020/127573 WO2021093710A1 (zh) 2019-11-11 2020-11-09 一种进行定位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477A true KR20220097477A (ko) 2022-07-07

Family

ID=7574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67A KR20220097477A (ko) 2019-11-11 2020-11-09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94648A1 (ko)
EP (1) EP4061022A4 (ko)
JP (1) JP2023501554A (ko)
KR (1) KR20220097477A (ko)
CN (1) CN112788519B (ko)
WO (1) WO2021093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24A1 (ko) * 2022-10-06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rs와 관련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91A1 (en) * 2021-01-07 2022-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based communication in network nodes
CN117157924A (zh) * 2021-06-30 2023-1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参考信号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696562A (zh) * 2021-07-26 2023-0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终端及介质
WO2023019482A1 (zh) * 2021-08-18 2023-0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锚点确定方法、第一电子设备和第二电子设备
CN116076119A (zh) * 2021-09-03 2023-05-05 苹果公司 使用侧链路通信的基于ue的定位
CN114245289B (zh) * 2021-11-02 2022-09-30 北京邮电大学 一种移动设备自主定位方法
WO2023087150A1 (zh) * 2021-11-16 2023-05-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6866820A (zh) * 2022-03-28 2023-10-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处理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867056A (zh) * 2022-03-28 2023-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WO2023206547A1 (zh) * 2022-04-29 2023-11-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相对位置的定位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7014807A (zh) * 2022-04-29 202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3209202A1 (en) * 2022-04-29 2023-11-02 Sony Grou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direction from one ue to another using sidelink
WO2023206325A1 (en) * 2022-04-29 2023-11-02 Apple Inc.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idelink localization procedure
WO2023230806A1 (zh) * 2022-05-31 2023-1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及设备
CN117319920A (zh) * 2022-06-24 2023-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距方法和通信装置
CN117375780A (zh) * 2022-07-01 2024-01-09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参考信号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1469B2 (en) * 2005-01-05 2011-10-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ermining relative spatial information between vehicles
WO2007086636A1 (en) * 2006-01-26 2007-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US7295159B1 (en) * 2006-10-26 2007-11-13 Motorola, Inc. Method for measuring time of arrival of signal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5050740B2 (ja) * 2007-08-31 2012-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TWI394976B (zh) * 2008-12-24 2013-05-01 Mstar Semiconductor Inc 定位輔助方法以及使用該方法之定位輔助裝置
US9674814B2 (en) * 2014-06-16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Failure conditions for fine timing measurement (FTM) protocol
US9973949B2 (en) * 2015-02-10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FTM protocol with angle of arrival and angle of departure
US9801019B2 (en) * 2015-03-16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triggering of RTT ranging for enhanced position accuracy
US9807637B2 (en) * 2015-09-23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ranging messages for WLAN RTT measurements
CN105891811A (zh) * 2015-10-16 2016-08-24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车联网中的车辆距离确定方法和装置
US9794753B1 (en) * 2016-04-15 2017-10-17 Infinitekey,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al-time location
JP6652040B2 (ja) * 2016-12-05 2020-02-19 株式会社Soken 携帯機位置推定システム
WO2018106467A1 (en) * 2016-12-05 2018-06-14 Intel IP Corporation Vehicle-to-everything positioning technique
EP3376249A1 (en) * 2017-03-17 2018-09-19 Veoneer Sweden AB Enhanced object position detection
CN110233903A (zh) * 2019-06-30 2019-09-13 南京云睿航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汽车定位导航交互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24A1 (ko) * 2022-10-06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rs와 관련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88519B (zh) 2022-07-22
WO2021093710A1 (zh) 2021-05-20
JP2023501554A (ja) 2023-01-18
EP4061022A4 (en) 2023-01-11
CN112788519A (zh) 2021-05-11
EP4061022A1 (en) 2022-09-21
US20230194648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7477A (ko) 측위를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US20210029573A1 (en) Methods for Reference Determination in Inter-RAT TDOA
CN113169795B (zh) 针对非陆地网络中的移动ran适配物理层过程
US10904710B2 (en) User equipment positioning using PRSs from a plurality of TRPs in a 5G-NR network
EP3668205B1 (en) Positioning and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EP3832913A1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CN110574450B (zh) 确定协作位置的系统和方法
KR20170117056A (ko) 도달 각도 및 출발 각도를 갖는 ftm 프로토콜
WO2021032267A1 (en) Non-line-of-sight path detection for user equipment positioning in wireless networks
JP2020501390A (ja) ビームベースの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リンク監視のためのモビリティ基準信号の強化
US20230262590A1 (en) Connection control for non-terrestrial networks
EP3834481B1 (en)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 ne-dc and nr-nr dc
US202303285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volume counting
WO2016159864A1 (en) Time synchronization using transmitter location information
WO2017071136A1 (zh) 辅助定位的方法及装置
US20220386262A1 (en) Positioning and timing advance determination
JP2023513291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KR20230147062A (ko)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집된 맵 데이터를 활용하는 포지셔닝시스템
CN112839304B (zh) 通信方法及装置
CN115150937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12004105B2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4031589A1 (zh) 用于定位的无线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2092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direction from one ue to another using side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