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217A -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217A
KR20220095217A KR1020227018438A KR20227018438A KR20220095217A KR 20220095217 A KR20220095217 A KR 20220095217A KR 1020227018438 A KR1020227018438 A KR 1020227018438A KR 20227018438 A KR20227018438 A KR 20227018438A KR 20220095217 A KR20220095217 A KR 2022009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ment
output
battery
battery module
modu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빙 유
지후아 야오
하이동 장
겐 차오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원은 전지 모듈군(20), 전지 팩(10), 장치 및 전지 모듈군(20)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 모듈군(20)은 전지 유닛(21)을 포함하고, 전지 유닛(21)은 제1 출력 전극 시트(21a)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21b)를 가지며, 전지 유닛(21)은 2개 이상의 나란히 배열 설치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전지 어셈블리(21c)를 포함하며, 전지 어셈블리(21c)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전지(22)를 포함하고, 각 이차 전지(22)의 2개의 포스트(222)가 배열되어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포스트군 사이에는 수용 간극(22a)을 가지며,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제1 출력극(21a)에 연결된 제1 연결부(31), 중간 연결부(32) 및 제1 출력부(33)를 포함하고, 중간 연결부(32)는 제1 연결부(31)의 수용 간극(22a)에 가까운 일측에 연결되고, 제2 출력 전극 시트(40)는 제2 총 출력극(21a)에 연결된 제2 연결부(41) 및 제2 출력부(42)를 포함하고, 제2 총 출력극(21b)은 제1 총 출력극(21a)의 제2 출력부(42)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며, 제1 출력부(33)와 제2 출력부(42)는 상기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된다. 전지 모듈군(20)은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의 배치의 복잡성 및 공간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본원은 전지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세계 에너지 구조의 변화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가 점차 전통적인 화석 연료를 대체하여 주류 에너지로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는 점차 전통적인 가솔린 자동차를 대체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핵심 부품 중 하나는 전지 모듈군이다. 전지 모듈군은 전기 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전지 모듈군의 총 정극과 총 부극은 일반적으로 전지 모듈군의 대향하는 양단에 설치되며, 총 정극과 총 부극이 동일 측에 설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모듈군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경우 접속 와이어링 하니스가 복잡하고, 보다 큰 장착 공간을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전지 모듈군의 총 정극과 총 부극이 동일한 측에 설치되지 않아, 복수의 전지 모듈군이 와이어링 하니스를이용하여 연결되는 경우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가 복잡하고, 보다 큰 장착 공간을 설치해야 되는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의 실시예는 전지 모듈군을 제안하는 바,
상기 전지 모듈군은 전지 유닛, 제1 출력 전극 시트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를 포함하는 바, 전지 유닛은 극성이 반대인 제1 총 출력극과 제2 총 출력극을 갖고, 전지 유닛은 2개 이상의 나란히 배열 설치된 전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인접된 2개의 전지 어셈블리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각 전지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며, 각 이차 전지의 2개의 포스트가 배열되어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포스트군 사이에는 이차 전지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신된 수용 간극을 가지며,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는 제1 총 출력극에 연결되며, 중간 연결부는 제1 연결부의 수용 간극에 가까운 일측에 연결되고, 제2 출력 전극 시트는 제2 연결부 및 제2 출력부를 포함하고, 제2 총 출력극은 제1 총 출력극의 제2 출력부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며, 제2 연결부는 제2 총 출력극에 연결되고, 제1 출력부와 제2 출력부는 전지 유닛의 동일한 측에 설치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중간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물을 갖고,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물은 배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인장 완충 구조물은 호형이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이차 전지는 방폭 밸브를 포함하고, 방폭 밸브는 2개의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수용 간극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중간 연결부는 오버플로우 홀을 가지고, 오버플로우 홀은 방폭 밸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및/또는, 중간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장착 고정부를 포함하고, 중간 연결부는 장착 고정부를 통해 외부 부재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중간 연결부는 배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된 제1 연신단편, 제2 연신단편 및 제3 연신단편을 포함하고, 제1 연신단편 및 제3 연신단편은 각각 제2 연신단편과 교차 설치되고, 제1 연신단편 및 제3 연신단편은 어긋나게 설치되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연신단편과 연결되고, 제2 출력 전극 시트에 위치를 양보하기 위해, 제2 연신단편은 제2 출력 전극 시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되며, 제1 출력부가 제3 연신단편에 연결되도록 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간 연결부의 폭 방향은 배열 방향과 교차하고, 적어도 일부의 제3 연신단편의폭은 제1 연신단편의 폭보다 작으며, 및/ 또는 제1 연신단편은 배열 방향을 따라 연신되고, 제2 연신단편의 연신 방향이 배열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각도는 45° 미만이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배열 방향을 따라, 제1 출력부의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가장자리와 중간 연결부의 제1 연결부에 가까운 가장자리의 수직 거리는 H1이고, 제1 연결부의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가장자리와 중간 연결부의 제1 연결부에 가까운 가장자리의 수직 거리는 H2이고, 여기서, H1:H2≤11:1이고, 및/또는, H1+H2≤400mm이다.
본원의 실시상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지 모듈군은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을 더 포함하고, 중간 연결부는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의 이차 전지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고,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은 수용 간극에 대응하게 설치된 수용 오목부를 갖고, 수용 오목부는 이차 전지를 향해 함몰되고, 중간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오목부에 설치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연결부는 중간 연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제1 연결부와 중간 연결부를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어댑터는는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되는 제1 단편, 완충단편 및 제2 단편을 포함하고, 제1 단편은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제2 단편은 중간 연결부에 연결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완충단편의 폭은 제1 단편보다 작고 또한 제2 단편보다 작으며, 완충단편은 만곡 구조이며, 완충단편과 제1 단편 사이 및 완충단편과 제2 단편 사이에 간극을 갖는다.
본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완충단편은 이차 전지를 향하가나 또는 이차 전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호형 구조를 갖는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연결부는 2개 이상의 포스트 연결단편 및 인접된 2개의 포스트 연결단편을 연결하는 호형 완충단편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포스트 연결단편은 배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중간 연결부는 포스트 연결단편에 연결된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중간 연결부와 제1 출력부는 분리형 구조이고, 제1 출력부의 일부는 상기 중간 연결부에 겹쳐 연결되어 연결 구조를 형성하고, 연결 구조의 두께는 중간 연결부의 최대 두께보다 크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일체형 성형 구조이거나, 또는,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는 분리형 구조이다.
본원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배열 방향을 따라, 제1 총 출력극은 상기 전지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총 출력극은 전지 유닛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며, 제1 총 출력극과 제2 총 출력극은 모두 전지 유닛의 최외측에 위치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군은 전지 유닛, 제1 출력 전극 시트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를 포함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전지 유닛의 제1 총 출력극에 연결되고, 제2 출력 전극 시트는 전지 유닛의 제2 총 출력극에 연결된다. 제 1 출력 전극 시트의 제 1 출력부는 중간 연결부과 제 1 연결부를 통해 제 1 총 출력극에 연결되어, 제 1 출력 전극 시트의 제 1 출력부와 제 2 출력 전극 시트의 제 2 출력부를 전지 유닛의 동일한 일측에 설치할 수 있어, 전지 모듈군의 극성이 반대인 2개의 전극이 동일한 측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전극 모듈군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전지 모듈군의 일측에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를 배치하여,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의 복잡성과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전지 모듈군의 전체적인 구조의 콤팩트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전지 모듈군의 전체 공간 점유율을 감소시켜, 전지 팩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군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전술한 전지 모듈군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2개 이상의 전지 어셈블리를 나란히 설치하여 전지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 전지 유닛은 제1 총 출력극과 제2 총 출력극을 갖고, 전지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며, 각 이차 전지의 2개의 포스트는 각각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포스트군 사이에 수용 간극을 가짐 -;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1 출력 전극 시트을 제공하고, 제1 연결부를 제1 총 출력극에 연결하고, 중간 연결부를 제1 연결부의 수용 간극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 연결부 및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출력 전극 시트를 제공하고, 제2 연결부를 제2 총 출력극에 연결하고, 제2 출력부를 제2 총 출력극의 제1 총 출력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하며,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를 전지 유닛의 동일한 측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일 양태에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극 시트를 제공하는 바, 상기 출력 전극 시트는,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중간 연결부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제1 연결부는 중간 연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연결부는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1 출력부는 다른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며, 중간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를 갖고,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는 2개의 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예시적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차량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전지 팩의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전지 모듈군의 개략적 개략도이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전지 모듈군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전지 모듈군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전지 모듈군의 평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출력 전극 시트의 평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출력 전극 시트의 축측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출력 전극 시트의 분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연결부와 어댑터의 연결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출력 전극 시트의 개략적인 축측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출력 전극 시트의 개략적인 축측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개시된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도면은 실제 축척으로 그려지지 않았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원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본원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본원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원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원의 설명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는 둘 이상이며, 용어 "상", "하", "좌", "우", "내", "외"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본원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칭하는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하기 설명에서 나타나는 지시어는 모두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서, 본원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의 설명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달리 명시적으로 규정되고 한정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상호 연결" 및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인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원에서의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 도 13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원의 실시예는 이차 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 선박 또는 항공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본체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1)을 제공한다. 전지 모듈은 차량 본체에 설치된다. 여기서, 차량(1)은 순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자동차일 수 있다. 차량 본체에는 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모터가 설치된다. 전지 모듈은 구동 모터에 동력원을 공급한다. 구동 모터는 구동 기구를 통해 차량 본체의 바퀴와 연결되어, 차량을 주행하도록 구동시킨다. 선택적으로, 전지 모듈이 차량 본체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지 모듈은 전지 팩(10)일 수 있다. 전지 팩(10)의 설치 형태는 다양하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전지 팩(10)은 박스바디 및 박스바디 내에 배치된 전지 모듈군(20)을 포함한다. 전지 모듈군(20)의 수는 하나 또는 복수이다. 하나 또는 복수의 전지 모듈군(20)은 박스바디 내에 배열 설치된다. 박스바디의 유형은 제한되지 않는다. 박스바디는 프레임형 박스바디, 디스크형 박스바디 또는 상자형 박스바디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박스바디는 전지 모듈군(20)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박스바디 및 하부 박스바디에 커버 합체되는 상부 박스바디를 포함한다. 상부 박스바디 및 하부 박스바디는 커버 합체된 후 전지 모듈군(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한다. 전지 모듈은 또한 전지 모듈군(20)일 수 있으며, 즉, 전지 모듈군(20)을 직접 차량 본체에 설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 모듈군(20)은 복수의 이차 전지(30)를 포함한다. 전지 모듈군(20)의 설치 형태는 다양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지 모듈군(20)은 수용부 및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이차 전지(30)는 수용부 내에 병렬 설치된다. 수용부의 설치 형태는 다양한 바, 예를 들어, 수용부는 케이스 및 케이스에 커버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거나, 수용부는 연속적으로 둘러싸서 연결된 측판 및 끝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용부는 대향하여 설치된 끝판을 포함하고, 끝판 및 이차 전지(30)의 외부를 둘러싸는 밴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의 이차 전지(22)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전극 어셈블리 및 하우징에 실링 연결된 상단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하우징은 사각형 구조 또는 다른 형상이다. 하우징은 전극 어셈블리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 및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를 갖는다. 하우징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 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의 상단 커버 어셈블리는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 포스트(222) 및 방폭 밸브(223)를 포함한다. 방폭 밸브(223)는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 상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 모듈군(20)은 제1 총 출력극(21a) 및 제2 총 출력극(21b)을 갖는 전지 유닛(21)을 포함한다. 전지 유닛(21)은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전지 어셈블리(21c)를 포함한다. 각 전지 어셈블리(21c)는 하나의 이차 전지(22)를 포함한다. 인접된 2개의 전지 어셈블리(21c)는 버스 바(23)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각 이차 전지(22)는 동일한 측에서 인출된 2개의 포스트(222)를 포함한다. 2개의 포스트(222)는 전지 유닛(21)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다. 각 전지 어셈블리(21c)는 배열 방향(X)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 후, 각 이차 전지(22)의 2개의 포스트(222)는 배열되어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포스트군 사이에는 배열 방향(X)을 따라 연신된 수용 간극(22a)을 갖는다. 전지 유닛(21)은 극성이 반대인 제1 총 출력극(21a) 및 제2 총 출력극(21b)을 갖는다. 배열 방향(X)을 따라, 전지 유닛(21)은 대향하는 양측을 갖는다. 제1 총 출력극(21a)은 전지 유닛(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총 출력극(21b)은 전지 유닛(21)의 다른 일측에 위치한다. 제1 총 출력극(21a)과 제2 총 출력극(21b)은 모두 전지 유닛(21)의 최외측에 위치한다. 제1 총 출력극(21a)과 제2 총 출력극(21b) 중 하나는 총 정극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총 부극으로 사용되다. 선택적으로, 제1 총 출력극(21a)과 제2 총 출력극(21b)의 설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최외측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총 출력극(21a)이 도 3에 도시된 최외측 위치에 설치고, 제2 총 출력극(21b)이 전지 유닛(21)의 중심 위치에 가깝게 설치되거나, 제2 총 출력극(21b)이 도면에 도시된 최외측에 설치되고, 제1 총 출력극(21b)이 전지 유닛(21)의 중심 위치에 가깝게 설치될 수도 있다. 각 전지 어셈블리(21c)에 포함되는 이차 전지(22)의 개수는 하나거나 도 4에 도시된 2개에 제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이차 전지(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전지 어셈블리(21c)는 2개의 병렬 설치된 이차 전지(22)를 포함한다. 인접된 2개의 전지 어셈블리(21c)는 버스 바(23)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전지 모듈군(20)은 제1 출력 전극 시트(30)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40)를 더 포함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40) 중 하나는 정극 출력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부극 출력으로 사용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되고, 양자의 극성은 동일하다. 제2 출력 전극 시트(40)는 제2 총 출력극(21b)에 연결되며, 양자의 극성은 동일하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31), 중간 연결부(32) 및 제1 출력부(33)를 포함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제1 연결부(31)를 통해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된다. 중간 연결부(32)는 제1 연결부(31)의 수용 간극(22a)에 가까운 일측에 연결된다. 중간 연결부(32)는 수용 간극(22a)의 위치에 대응하게 설치된다. 중간 연결부(32)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간극(22a) 내에 위치한다. 일례에서, 중간 연결부(32)는 기설정된 폭 및 길이를 갖는다. 전지 유닛(21)의 폭 방향은 중간 연결부(32)의 폭 방향(Y)과 동일하다. 이차 전지(22)의 배열 방향(X)은 중간 연결부(32)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중간 연결부(32)는 자체의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단부를 갖는다. 제1 연결부(31)는 중간 연결부(32)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 출력부(33)는 중간 연결부(32)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31)는 중간 연결부(32)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 출력부(33)는 중간 연결부(32)의 타단에 연결된다. 중간 연결부(32)의 폭 방향(Y)을 따라, 제1 연결부(31)는 중간 연결부(32)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총 출력극(21a)과 중간 연결부(32)는 폭 방향(Y)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출력 전극 시트(40)는 제2 연결부(41) 및 제2 출력부(42)를 포함한다. 제2 출력 전극 시트(40)는 제2 연결부(41)를 통해 제2 총 출력극(21b)에 연결된다. 제2 출력부(42)는 제2 총 출력극(21b)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총 출력극(21b)은 제1 총 출력극(21a)의 제2 출력부(42)에 가까운 일측, 즉 배열 방향 (X)을 따라, 제2 총 출력극(21b)는 제1 총 출력극(21a) 및 제2 출력부(42)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출력부(33) 및 제2 출력부(42)는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된다. 인접된 2개의 전지 모듈군(20)은 각각의 제1 출력부(33)와 제2 출력부(42)를 통해 서로 직렬 또는 병렬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의 전지 모듈군(20)은 전지 유닛(21), 제1 출력 전극 시트(30)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40)를 포함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전지 유닛(21)의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되고, 제2 출력 전극 시트(40)는 전지 유닛(21)의 제2 총 출력극(21b)에 연결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제1 출력부(33)는 중간 연결부(32)와 제1 연결부(31)를 통해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되며, 이로써,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제1 출력부(33)와 제 2 출력 전극 시트(40)의 제 2 출력부(42)가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전지 모듈군(20)의 극성이 반대인 2개의 전극이 동일한 측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전지 모듈군(20)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전지 모듈군(20)의 일측에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를 설치할 수 있어,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 배치의 복잡성 및 공간 점유율을 감소시키며, 전지 모듈군(20)의 전체적인 구조의 콤팩트성을 개선하는데 유리하고, 전지 모듈군(20)의 전체 공간 점유율을 감소시켜, 전지 팩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연결부(32)와 각 포스트(222) 사이 및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 사이에 기설정된 안전 간극이 유지되어, 중간 연결부(32)와 포스트(222) 또는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에서 파괴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중간 연결부(32)와 포스트(222) 사이 또는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 사이에 추가적인 절연 부품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 부품의 사용 개수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전지 모듈군(20)은 서로 연결되는 끝판(24)와 측판(25)을 포함한다. 2개의 끝판(24)과 2개의 측판(25)은 각각의 전지 유닛(21)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며, 이로써, 각 이차 전지(22)를 구속한다. 배치 방향(X)을 따라, 끝판(24)은 이차 전지(22)와 나란히 설치된다. 제1 출력부(33) 및 제2 출력부(42)는 모두 절연 부재를 통해 2개의 끝판(24) 중 하나의 끝판(24)에 연결된다. 일례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출력부(33), 제2 출력부(42) 및 절연 부재에는 모두 나사홀이 설치되어, 나사홀을 통해 제1 출력부(33) 및 제2 출력부(42)를 상응한 외부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전지 모듈군(20)은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을 더 포함한다.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은 이차 전지(22)의 상부에 설치된다. 중간 연결부(32)는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의 이차 전지(22)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된다.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은 수용 간극(22a)에 대응하게 설치된 수용 오목부(26a)를 갖는다. 수용 오목부(26a)는 이차 전지(22)를 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6a)는 중간 연결부(32)를 지지하는 바닥벽을 갖는다. 중간 연결부(32)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오목부(26a) 내에 설치되어, 한편으로는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이 중간 연결부(32)에 대해 위치 제한을 수행하여, 중간 연결부(32) 자체의 위치 변위에 의해 초래되는 중간 연결부(32)와 각 포스트(222) 사이 및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덮개판(221) 사이의 간극이 기설정된 안전 간극보다 작거나 접촉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줄이며, 이로써, 중간 연결부(32)와 포스트(222) 또는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덮개판(221)에서 파괴 또는 접촉으로 인한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다른 한 편으로는,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은 중간 연결부(32)와 각 포스트(222) 및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을 추가로 절연 격리시킬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연결부(32)와 각 포스트(222) 및 중간 연결부(32)와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의 절연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버스 바(23)는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의 이차 전지(22)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된다. 버스 바(23)와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에는 버스 바(2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프레임이 설치된다. 포스트(222)는 수용 프레임의 중앙홀에 삽입되어 버스 바(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스 바(23)와 중간 연결부(32)를 이격시키키 위해, 수용 프레임과 수용 오목부(26a) 사이에 격리 보스를 구비함으로써, 버스 바(23)와 중간 연결부(32) 사이에 파괴 또는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에는 2열의 수용 프레임이 설치되고, 폭 방향(Y)을 따라, 수용 오목부(26a)는 2열의 수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출력부(42)는 제2 연결부(41)의 수용 간극(22a)에 가까운 일측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41)와 제2 출력부(42)는 분리된 구조이다. 제2 연결부(41)는 수용 간극(22a)까지 연신된 연결단(411)을 갖고, 제2 출력부(42)는 연결단(411)에 연결된다. 중간 연결부(32)는 배열 방향(X)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된 제1 연신단편(32a), 제2 연신단편(32b) 및 제3 연신단편(32c)을 포함한다. 제1 연신단편(32a) 및 제3 연신단편(32c)은 각각 제2 연신단편(32b)에 교차 설치된다. 제1 연신단편(32a)과 제3 연신단편(32c)은 어긋나게 배치된다. 제1 연결부(31)는 제1 연신단편(32a)에 연결된다. 제1 출력부(33)는 제3 연신단편(32c)에 연결된다. 폭 방향(Y)을 따라, 제1 출력부(33)의 일부는 제3 연신단편(32c)의 가장자리를 초과한다. 제2 연신단편(32b)은 제2 출력 전극 시트(40)에 위치를 양보하기 위해 제2 출력 전극 시트(40)로부터 멀어지게 연신된다. 제2 연신단편(32b)과 제3 연신단편(32c)은 함께 자리 양보 공간을 형성하여, 중간 연결부(32)와 제2 연결부(41)에서 위치 간섭이 발성하지 않고 기설정된 안전 간극을 유지하도록 한다. 일례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32)의 폭 방향(Y)은 배열 방향(X)과 교차한다. 제3 연신단편(32c)의 적어도 일부의 폭은 제1 연신단편(32a)의 폭보다 작다. 수용 간극(22a)의 크기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제3 연신단편(32c)은 일측의 제2 연결부(41)와 다른 일측의 버스 바(23)를 대피할 수 있어, 제2 연결부(41) 및 버스 바(23) 사이에 기설정된 안전 간극을 유지함으로써, 수용 간극(22a)의 장착 공간을 충분히 이용한다. 일례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32)의 폭 방향(Y)은 배열 방향(X)과 교차한다. 제2 연신단편(32b)의 적어도 일부의 폭은 제1 연신부(32a)의 폭보다 작다. 제3 연신단편(32c)의 적어도 일부의 폭은 제2 연신단편(32b)의 폭보다 작다. 일례에서, 제1 연신단편(32a)은 배열 방향(X)을 따라 연신된다. 제2 연신단편(32b)의 연신 방향이 배열 방향(X)으로부터 벗어나는 각도(α)가 45°미만이므로, 제1 연신단편(32a)의 연신 방향과 제2 연신단편(32b)의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α)는 45°미만이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제1 연결부(31)는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 고정되고, 제1 출력부(33)는 끝판(24)에 연결 고정된다. 전지 모듈군(2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차 전지(22)는 배열 방향(X)에서 팽창이 발생하여, 중간 연결부(32)에 배열 방향(X)을 따른 인장 응력을 인가한다. 제2 연신단편(32b)의 연신 방향이 배열 방향(X)을 벗어나는 각도(α)가 45°미만이므로, 제1 연신단편(32a)과 제2 연신단편(32b)이 인장 응력을 받는 경우, 제1 연신단편(32a)과 제2 연신단편(32a)은 양자의 연결부위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연신단편(32b)와 제2 연신단편(32b) 양자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일례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제3 연신단편(32c)은 배열 방향(X)을 따라 연신된다. 제2 연신단편(32b)의 연신 방향은 배열 방향(X)을 벗어나는 각도(α)가 45°미만이므로, 제3 연신단편(32c)의 연신 방향과 제2 연신단편(32b)의 연신 방향 사이의 예각은 45°미만이다. 제2 연신단편(32b)과 제3 연신단편(32c)이 인장 응력을 받는 경우, 제2 연신단편(32b)과 제3 연신단편(32c) 사이의 연결부위에서의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제2 연신단편(32b) 및 제 3 연신부(32c)가 양자의 연결부위에서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배열 방향(X)을 따라, 제1 출력부(33)의 중간 연결부(32)로부터 멀어지는 가장자리와 중간 연결부(32)의 제1 연결부(31)에 가까워지는 가장자리 사이의 수직 거리는 H1이다. 배열 방향(X)을 따라, 제1 연결부(31)의 일부는 중간 연결부(32)를 초과한다. 제1 연결부(31)의 중간 연결부(32)로부터 멀어지는 가장자리와 중간 연결부(32)의 제1 연결부(31)에 가까워지는 가장자리의 수직 거리는 H2이다. 일례에서, H1:H2≤11:1이다. H1:H2>11:1인 경우, 중간 연결부(32)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과전류 용량이 감소하며, 따라서 전지 모듈군(20)의 충방전 시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온도가 쉽게 과열되고, 온도 샘플링 어셈블리의 샘플링 정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일례에서, H1+H2≤400mm이다. H1+H2>400mm인 경우,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전체 길이가 너무 길고, 전기 저항이 너무 높아,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발열이 과해지며, 마찬기지로 샘플링 어셈블리의 샘플링 정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32)는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물(321)을 갖는다.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배열 방향(X)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고, 모든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중간 연결부(32)의 두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이차 전지(22)가 팽창하여 중간 연결부(32)가 인장 응력을 받는 경우, 호형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인장 응력의 작용하에, 자체의 만곡 정도가 감소되고, 대응하는 곡률이 작아지며, 이로써, 인장 완충 구조물(31)이 인장 응력을 받을 경우 배열 방향(X)을 따라 늘어나, 중간 연결부(32)와 제1 연결부(31) 사이 및 중간 연결부(32)와 제1 출력부(33) 사이의 인장 응력을 줄이는데 유리하며, 나아가 중간 연결부(32)와 제1 연결부(31) 사이의 연결부위 및 중간 연결부(32)와 제1 출력부(33) 사이의 연결부위가 과도한 인장 응력을 받아 중간 연결부(32)와 제1 연결부(31) 또는 중간 연결부(32)와 제1 출력부(33) 사이에 분리가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배열 방향(X)에서 각 인장 완충 구조물(321)의 양측은 모두 평평한 구간이다. 일례에서, 인장 완충 구조물(321)이 호형으로써, 자체가 인장 응력을 받을 경우 나타나는 응력 집중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폭 방향(Y)을 따라 연신된다.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인접된 평평한 구간 사이에서 원활하게 과도한다.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이차 전지(22)를 향하여 돌출되거나 이차 전지(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간 연결부(32)의 일부에 대해 펀칭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인장 완충 구조물(321)을 제조함으로써, 중간 연결부(32)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보장하여,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31)는 2개 이상의 포스트 연결단편(31a) 및 인접된 2개의 포스트 연결단편(31a)을 연결하는 원호형 완충단편(31b)을 포함한다. 2개 이상의 퍼스트 연결부(31a)는 배열 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중간 연결부(32)는 하나의 포스트 연결단편(31a)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연결부(32)는 또한 2개 이상의 포스트 연결단편(31a)에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 연결단편(31a)의 개수는 전지 어셈블리(21c)에 포함된 병렬 설치된 이차 전지(22)의 개수와 동일하다. 2개 이상의 이차 전지(22)를 병렬 연결한 후, 일렬에 위치한 포스트(222)를 대응하는 포스트 연결단편(31a)에 연결한다. 이차 전지(22)의 팽창으로 인해 제1 연결부(31)가 인장 응력을 받을 경우, 호형 완충단편(31b)의 만곡 정도가 감소하고, 대응하는 곡률이 작아져, 호형 완충단편(31b)은 배열 방향(X)에 따라 늘어나, 인접된 2개의 포스트 연결단편(31a) 사이의 인장 응력을 줄이는데 유리하고, 제1 연결부(31)가 과도한 인장 응력을 받아 포스트 연결단편(31a) 및 포스트(222)가 연결 상태에서 벗어나거나, 제1 연결부(31)가 연신 파단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호형 완충단편(31b) 자체가 호형 구조이므로, 자체가 인장 응력을 받아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호형 완충단편(31b)은 폭 방향(Y)을 따라 연신된다. 호형 완충단편(31b)과 인접된 평평한 구간 사이는 원활하게 과도된다. 호형 완충단편(31b)은 이차 전지(22)를 향하여 돌출되거나, 이차 전지(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선택적으로, 제1 연결부(31)의 일부에 대해 펀칭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호형 완충단편(31b)을 제조함으로써, 제1 연결부(32)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보장하여,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9을 참조하면, 배열 방향(X)과 교차하는 폭 방향(Y)을 따라, 제1 연결부(31)는 중간 연결부(32)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연결부(31)는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제1 연결부(31)과 중간 연결부(32)을 연결하는 어탭터(34)를 더 포함한다. 어댑터(34)는 제1 연결부(31)의 수용 간극(22a)에 가까워지는 일측으로부터 수용 간극(22a) 내부를 향해 연신된다. 제1 연결부(31)는 어댑터(34)를 통해 중간 연결부(32)에 연결 고정되는데, 이는 제1 연결부(31)와 중간 연결부(32)의 연결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일례에서, 제1 연결부(31)와 어댑터(34)는 일체형 성형 구조이고, 어댑터(34)는 용접에 의해 중간 연결부(32)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31)와 어댑터(34)에 의해 형성된 일체형 구조는 강성이 높고, 양호한 인장 변형 내성을 갖는다. 이차 전지(22)에 팽창이 발생되어 중간 연결부(32)가 배열 방향(X)에 따라 변위될 경우, 중간 연결부(32)는 어댑터(34)에 배열 방향(X)을 향한 작용력을 인가한다. 어댑터(34)는 중간 연결부(32)에 용접 연결되기 때문에, 용접부위는 작용력의 일부를 완충 및 흡수할 수 있다. 어댑터(34)와 제1 연결부(31)가 일체형 성형 구조이기 때문에, 어댑터(34)가 작용력을 받을 경우 발생하는 변위량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여, 어댑터(34)와 제1 연결부(31)가 파열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일례에서, 제1 연결부(31)와 어댑터(34)는 분리형 성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1 연결부(31)와 어댑터(34)를 별도로 가공 및 제조할 수 있어, 가공 난이도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9을 참조하면, 어댑터(34)는 배열 방향(X)과 교차하는 폭 방향(Y)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된 제1 단편(341), 완충 단편(342) 및 제2 단편(343)을 포함한다. 제1 단편(341)은 제1 연결부(31)에 연결되고, 제2 단편(343)은 중간 연결부(32)에 연결된다. 어댑터(34)가 폭 방향(Y)을 따른 인장 응력을 받을 경우, 제1 단편(341)과 제2 단편(343) 양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완충 단편(342)은 인장 응력을 완충 및 흡수하기 위해, 폭 방향(Y)으로 늘어날 수 있으므로, 어댑터(34)가 단열되거나 파열될 가능성을 줄인다. 일례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완충 단편(342)의 폭은 제1 단편(341)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2 단편(343)의 폭보다 작다. 완충 단편(342)은 만곡 구조이다. 완충 단편(342)과 제1 단편(341) 사이 및 완충 단편(342)과 제2 단편(343)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완충 단편(342)는 2개의 단부를 갖는다. 2개의 단부 중 하나의 단부는 제1 단편(341)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2 단편(343)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완충 단편(342)은 제1 호형 영역, 중간 과도 영역 및 제2 호형 영역을 구비하고, 완충 단편(342)이 S자 모양이므로, 자체가 응력을 받을 경우 응력 집중 영역이 쉽게 나타나지 않아, 양호한 인장 내성을 갖는다. 제1 호형 영역은 제1 단편(341)에 연결되고, 제2 호 형상 영역은 제2 단편(343)에 연결된다. 일례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완충 단편(342)은 이차 전지(22)를 향하여 돌출된 호형 구조(342a)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호형 구조물(342a)는 이차 전지(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차 전지(22)가 팽창이 발생하거나 사용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단편(341) 및 제2 단편(343)은 수직면에서 상하 스윙이 발생할 수 있다. 제1단편(341)과 제2 단편(343)이 수직면에서 상하 스윙이 발생하는 경우, 완충 단편(342)의 호형 구조(342a)는 제1 단편(341) 또는 제2 다편(343)이 스윙할 때 완충 단편(342)에 인가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완충 단편(342)이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자체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1 단편(341)과 제2 단편(343)은 완충 단편(342)에 의해 연결되는 방법을 통해, 폭 방향(Y)을 따른 인장 응력과 상하로 스윙시 발생하는 인장 응력을 완충 단편(342)을 통해 완충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34)에 파단이 발생하여 전지 모듈군(20)의 고장을 초래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완충 단편(342)은 제1 호형 영역, 중간 과도 영역 및 제2 호형 영역을 갖고, 호형 구조물(342a)은 중간 과도 영역에 설치된다. 호형 구조물(342a)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32)는 2개 이상의 장착 고정부(322)를 포함한다. 중간 연결부(32)는 장착 고정부(322)를 통해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 또는 이차 전지(22)의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 등 외부 부재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장착 고정부(322)와 인장 완충 구조물(321)은 배열 방향(X)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다. 일례에서, 장착 고정부(322)는 장착 고정홀이다. 리벳 또는 나사에 의해 장착 고정부(322)에 관통 삽입되고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26) 또는 상단 커버 플레이트(221)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 고정홀은 배열 방향(X)을 따라 연신되는 스트립형 홀이므로, 중간 연결부(32)가 배열 방향(X)을 따라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32)와 제1 출력부(33)는 분리형 구조이다. 제1 출력부(33)의 일부가 중간 연결부(32)에 겹쳐 연결되어 연결 구조를 형성한다. 연결 구조의 두께는 중간 연결부(32)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워, 연결 구조 부위에서의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과전류 능력이 증가되어, 온도의 상승을 낮추는데 유리하다. 일례로서, 제1 출력부(33)는 중간 연결부(32)의 제3 연신단편(32c)와 서로 맞물리고, 제1 출력부(33)와 제3 연신단편(32c)의 맞물림 부분의 폭은 제3 연신단편(32c)의 폭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1), 중간 연결부(32) 및 제1 출력부(33) 삼자는 각각 분리형 구조이고, 즉, 삼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제1 연결부(31)와 중간 연결부(32)는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중간 연결부(32)와 제1 출력부(33)는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연결부(31)는 포스트(222)의 용접에 사용된다. 용접 강도의 요구를 충족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연결부(31)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설계된다. 중간 연결부(32)의 길이가 제1 연결부(31) 및 제1 출력부(33)에 비해 보다 길기 때문에, 자체 저항이 크다. 제1 출력부(33)는 출력단이고, 자체가 방열에 대한 요구가 높으므로, 두께가 제1 연결부(31)의 두께보다 두껍다. 제1 연결부(31), 중간 연결부(32) 및 제1 출력부(33)의 재료가 모두 알루미늄인 경우, 삼자의 두께는 제1 연결부(31)가 제1 출력부(33)보다 작고, 제1 출력부(33)가 중간 연결부(32)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만족한다. 제1 연결부(31) 및 중간 연결부(32)의 재료가 알루미늄이고, 제1 출력부(33)의 재료가 구리인 경우, 구리의 전도성이 보다 높고 방열성이 좋기 때문에, 제1 출력부(33) 자체의 두께가 상응하게 얇아지며, 이로써, 삼자의 두께는 제1 연결부(31)가 제1 출력부(33)보다 작거나 같고, 제1 출력부(33)가 중간 연결부(32)보다 작은 것을 만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전지(22)의 방폭 밸브(223)는 2개의 포스트(222)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수용 간극(22a)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32)는 오버플로우 홀(323)을 갖는다. 오버플로우 홀(323)은 방폭 밸브(223)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차 전지(22)의 내부 압력이 너무 높아, 방폭 밸브(223)가 폭발적으로 분출하는 경우, 방폭 밸브(223)에서 분출되는 기류 또는 물질이 오버플로우 홀(323)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어, 기류 또는 물질의 확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중간 연결부(32)가 방폭 밸브(223)에서 분출되는 기류 또는 물질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여 이차 전지(22)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우 홀(323)의 개수 및 위치는 방폭 밸브(223)의 개수 및 위치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일체형 성형 구조이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는 블랭크에 펀칭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가공 단계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본원의 실시예의 전지 모듈군(20)은, 직렬로 설치된 전지 어셈블리(21c)를 포함한다. 직렬로 설치된 전지 팩(21c)은 전지 유닛(21)을 형성한다. 인접된 2개의 전지 어셈블리(21c)는 하나의 버스 바(23)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전지 유닛(21)은 제1 총 출력극(21a) 및 제2 총 출력극(21b)을 갖는다. 전지 모듈군(20)은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되는 제1 출력 전극 시트(30) 및 제2 총 출력극(21b)에 연결되는 제2 출력 전극 시트(40)를 더 포함한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제1 출력부(33)와 제2 출력 전극 시트(40)의 제2 출력부(42)는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된다. 제1 출력부(33)와 제2 출력부(42)가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를 이용하여 2개의 전지 모듈군(20)을 연결하는 경우,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의 배선 방식 및 분포 방식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동시에,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와 제1 출력부(33) 또는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와 제2 출력부(42)의 연결 과정의 조작이 용이하여, 연결 난이도를 줄인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중간 연결부(32)는 전지 유닛(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용 간극(22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전체 전지 모듈군(20)의 폭 방향(Y)에서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폭 방향(Y)에서의 장착 공간 점유율을 낮출 수 있어, 전지 모듈군(20)의 에너지 밀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군(20)의 제조방법을 더 제공한다.
2개 이상의 전지 어셈블리(21c)를 나란히 배열하여 전지 유닛(2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전지 유닛(21)은 제1 총 출력극(21a) 및 제2 총 출력극(21b)을 갖고, 전지 어셈블리(21c)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전지(22)를 포함하며, 각 이차 전지(22)의 2개의 포스트(222)는 각각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포스트군 사이에 수용 간극(22a)을 갖는, 단계;
제1 연결부(31), 중간 연결부(32) 및 제1 출력부(3)를 포함하는 제1 출력 전극 시트(30)를 제공하고, 제1 연결부(31)를 제1 총 출력극(21a)에 연결하고, 중간 연결부(32)를 제1 연결부(31)의 수용 간극(22a)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 연결부(41) 및 제2 출력부(42)를 포함하는 제2 출력 전극 시트(40)를 제공하고, 제2 연결부(41)를 제2 총 출력극(21b)에 연결하고, 제2 출력부(42)를 제2 총 출력극(21b)의 제1 총 출력극(21a)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하며, 제1 출력부(33) 및 제2 출력부(42)를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술한 전지 모듈(20)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지 모듈(20)은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제1 출력부(33)와 제2 출력 전극 시트(40)의 제2 출력부(42)를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출력부(33)와 제2 출력부(42)는 전지 유닛(21)의 동일한 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를 사용하여 2개의 전지 모듈군(20)을연결하는 경우,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의 배선 방식 및 분포 방식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동시에,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와 제1 출력부(33), 또는 연결 와이어링 하니스와 제2 출력부(42)의 연결 과정의 조작이 용이하여, 연결 난이도를 줄여준다.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중간 연결부(32)는 전지 유닛(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용 간극(22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전체 전지 모듈군(20)의 폭 방향(Y)에서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1 출력 전극 시트(30)의 폭 방향(Y)에서의 장착 공간 점유율을 낮출 수 있어, 전지 모듈군(20)의 에너지 밀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을 설명하였으나,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중 일부를 균등물로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존재하지 않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각각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 수단을 포함한다.
1: 차량 10: 전지 팩
20: 전지 모듈군 21: 전지 유닛
21a: 제1 총 출력극 21b: 제2 총 출력극
21c: 전지 어셈블리 22: 이차 전지
22a: 수용 간극 221: 상단 커버 플레이트
222: 포스트 223: 방폭 밸브
23: 버스 바 24: 끝판
25: 측판 26: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
26a: 수용 오목부 30: 제1 출력 전극 시트
31: 제1 연결부 31a: 포스트 연결단편
31b: 호형 완충단편 32: 중간 연결부
32a: 제1 연신단편 32b: 제2 연신단편
32c: 제3 연신단편 321: 인장 완충 구조물
322: 장착 고정부 323: 오버플로우 홀(Overflow hole)
33: 제1 출력부 34: 어댑터
341: 제1 단편 342: 완충 단편
342a: 호형 구조물 343: 제2 단편
40: 제2 출력 전극 시트 41: 제2 연결부
411: 연결단 42: 제2 출력부
X: 배열 방향 Y: 폭 방향

Claims (20)

  1. 전지 모듈군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군은 전지 유닛, 제1 출력 전극 시트 및 제2 출력 전극 시트를제1 연신단편 포함하는 바,
    상기 전지 유닛은 극성이 반대인 제1 총 출력극과 제2 총 출력극을 갖고, 상기 전지 유닛은 2개 이상의 나란히 배열 설치된 전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인접된 2개의 상기 전지 어셈블리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각 상기 전지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이차 전지의 2개의 포스트가 배열되어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상기 포스트군 사이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신된 수용 간극을 가지며,
    상기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총 출력극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수용 간극에 가까운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 전극 시트는 제2 연결부 및 제2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총 출력극은 상기 제1 총 출력극의 상기 제2 출력부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총 출력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부와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전지 유닛의 동일한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물을 갖고, 2개 이상의 상기 인장 완충 구조물은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완충 구조물은 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방폭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 밸브는 2개의 상기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간극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중간 연결부는 오버플로우 홀을 가지고, 상기 오버플로우 홀은 상기 방폭 밸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중간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장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장착 고정부를 통해 상기 외부 부재에 장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된 제1 연신단편, 제2 연신단편 및 제3 연신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신단편 및 상기 제3 연신단편은 각각 상기 제2 연신단편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제1 연신단편 및 상기 제3 연신단편은 어긋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연신단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 전극 시트에 위치를 양보하기 위해 상기 제2 연신단편은 상기 제2 출력 전극 시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되며, 상기 제1 출력부가 제3 연신단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의 폭 방향은 배열 방향과 교차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3 연신단편의 폭은 상기 제1 연신단편의 폭보다 작으며, 및/ 또는, 상기 제1 연신단편은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연신되고, 상기 제2 연신단편의 연신 방향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각도가 4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출력부의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가장자리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부에 가까운 가장자리의 수직 거리는 H1이이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가장자리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부에 가까운 가장자리의 수직 거리는 H2이고, 여기서, H1:H2≤11:1이고, 및/또는, H1+H2≤4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군은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의 상기 이차 전지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 격리판은 상기 수용 간극에 대응하게 설치된 수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이차 전지를 향해 함몰되고, 상기 중간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중간 연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를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되는 제1 단편, 완충단편 및 제2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편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단편은 상기 중간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단편의 폭은 상기 제1 단편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2 단편보다 작으며, 상기 완충단편은 만곡 구조이며, 상기 완충단편과 상기 제1 단편 사이 및 상기 완충단편과 상기 제2 단편 사이에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단편은 상기 이차 전지를 향하거나 또는 상기 이차 전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호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또는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2개 이상의 포스트 연결단편 및 인접된 2개의 상기 포스트 연결단편을 연결하는 호형 완충단편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상기 포스트 연결단편은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포스트 연결단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와 상기 제1 출력부는 분리형 구조이고, 상기 제1 출력부의 일부는 상기 중간 연결부에 겹쳐 연결되어 연결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구조의 두께는 상기 중간 연결부의 최대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전극 시트는 일체형 성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는 분리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총 출력극은 상기 전지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총 출력극은 상기 전지 유닛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총 출력극과 상기 제2 총 출력극은 모두 전지 유닛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전지 모듈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8. 전지 모듈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전지 모듈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전지 어셈블리를 나란히 배열하여 전지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전지 유닛은 제1 총 출력극과 제2 총 출력극을 가지고, 상기 전지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이차 전지의 2개의 포스트는 각각 2열의 포스트군을 형성하고, 2열의 포스트군 사이에 수용 간극을 가짐 -;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1 출력 전극 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연결부를 상기 제1 총 출력극에 연결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를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수용 간극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 연결부 및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출력 전극 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연결부를 제2 총 출력극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출력부를 상기 제2 총 출력극의 상기 제1 총 출력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하며,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를 상기 전지 유닛의 동일한 측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20. 출력 전극 시트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극 시트는 제1 연결부, 중간 연결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중간 연결부의 폭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는 중간 연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하나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출력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인장 완충 구조를 갖고, 2개 이상의 상기 인장 완충 구조는 2개의 상기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전극 시트.
KR1020227018438A 2019-12-03 2019-12-03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KR20220095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22711 WO2021108986A1 (zh) 2019-12-03 2019-12-03 电池模组、电池组、装置及电池模组的制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217A true KR20220095217A (ko) 2022-07-06

Family

ID=7622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438A KR20220095217A (ko) 2019-12-03 2019-12-03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123740A1 (ko)
EP (1) EP3855560B1 (ko)
JP (1) JP7395744B2 (ko)
KR (1) KR20220095217A (ko)
CN (1) CN113169426B (ko)
ES (1) ES2930134T3 (ko)
HU (1) HUE060614T2 (ko)
WO (1) WO2021108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720168U (zh) * 2022-01-05 2022-06-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及用电装置
JP2023173146A (ja) * 2022-05-25 2023-1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2947B2 (ja) * 2010-04-22 2015-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配線材
JP6204320B2 (ja) * 2014-09-30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スタック
WO2017163995A1 (ja)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部接続バスバー保持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接続モジュール
DE102016121265A1 (de) * 2016-11-07 2018-05-09 Elringklinger Ag Zellkontaktierungssystem für eine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JP6781837B2 (ja) 2017-06-14 2020-11-04 古野電気株式会社 タイミング信号生成装置、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タイミング信号生成方法
KR102519443B1 (ko) * 2017-12-27 2023-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19134699A1 (zh) * 2018-01-08 2019-07-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汽车
CN208062147U (zh) * 2018-01-31 2018-11-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汇流排组件、电池包以及电动车辆
CN108767178A (zh) * 2018-03-28 2018-11-06 北京普莱德新能源电池科技有限公司 印刷电路板pcb托盘及电池模组
CN208589484U (zh) * 2018-09-14 2019-03-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10911594A (zh) * 2018-09-14 2020-03-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其汇流构件和汇流组件
CN209071468U (zh) * 2018-12-29 2019-07-05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包的电池模组以及电池包
CN209418623U (zh) * 2019-02-18 2019-09-20 江苏塔菲尔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CN209526152U (zh) * 2019-04-30 2019-10-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电池包
CN111081961B (zh) * 2019-11-25 2022-04-2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线束板组件及电池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9426B (zh) 2023-05-26
US20230123740A1 (en) 2023-04-20
WO2021108986A1 (zh) 2021-06-10
HUE060614T2 (hu) 2023-03-28
EP3855560A4 (en) 2021-07-28
ES2930134T3 (es) 2022-12-07
JP7395744B2 (ja) 2023-12-11
CN113169426A (zh) 2021-07-23
JP2023504481A (ja) 2023-02-03
EP3855560B1 (en) 2022-10-19
EP3855560A1 (en)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747B1 (ko) 전지 모듈
US9786965B2 (en) Power source device
US9768427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7651812B2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JP5231442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用の電力切換モジュール
CN100349320C (zh) 可再充电电池组件
KR101282519B1 (ko) 배터리 모듈
US9112202B2 (en) Battery module
US20100190050A1 (en) Battery array and battery array separator
JP2023503628A (ja) 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二次電池を使用する装置
KR20100070170A (ko)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JP2012099477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2015225765A (ja) 蓄電装置の冷却構造
KR2011006299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646201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EP2450978A2 (en) Battery module
US9461283B2 (en) Battery module
JP7318102B2 (ja) 上部冷却方式バッテリーパック
US1029085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an interlock switch
KR20120095142A (ko) 배터리 모듈
KR20220095217A (ko) 전지 모듈군, 전지 팩, 장치 및 전지 모듈군의 제조방법
KR101741029B1 (ko) 격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113362A (ko) 셀 연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714170B1 (ko) 차량용 배터리
KR20200002327U (ko) 전지 스택용 스페이서 및 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