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142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142A
KR20120095142A KR20110014639A KR20110014639A KR20120095142A KR 20120095142 A KR20120095142 A KR 20120095142A KR 20110014639 A KR20110014639 A KR 20110014639A KR 20110014639 A KR20110014639 A KR 20110014639A KR 20120095142 A KR20120095142 A KR 2012009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battery
battery cell
battery modul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702B1 (ko
Inventor
윤지형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702B1/ko
Priority to US13/067,564 priority patent/US8956752B2/en
Priority to EP11183180.6A priority patent/EP2490278B1/en
Publication of KR2012009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교차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에 개재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셀은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포함하며, 이들 극판들과 전해액과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의 내부에는 전기 화학적 반응의 부반응으로 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는 배터리 셀의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정렬시킴으로써 형성된 배터리 모듈의 형태에 영향을 주어, 상기 배터리 셀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 방해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의 스웰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불필요한 부재를 감소시킴으로써 경량화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교차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배리어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는 양끝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상기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배터리 셀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배리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플랜지형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리어의 동일한 면상에서 알방향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배리어와 직교하도록 상기 배리어의 어느 일면 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리어의 타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셀과 배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배터리 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부재 및 배터리 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Al, Cu, 스테인리스 스틸 및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스웰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경량화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구성 부재를 최적화함으로써 생산비가 절감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b에 도시된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리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에 의한 배리어의 사시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도 2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100)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배터리 셀 (10)의 중심부에서 교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 (100)은 상기 배터리 셀 (10)과 배리어 (150)를 수용하는 하우징 (110, 120, 130, 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150)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150)에서, X자 형상의 기판을 X자형부재 (152)라 할 때, 상기 배리어 (150)는 상기 X자형부재 (152)와 상기 X자형부재 (152)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5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 (10)은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14)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 (10)은 양극판 및 음극판과,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전지 케이스에 수용시킴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 (14)의 양끝단에는 전극 조립체의 양극판과 연결되는 양극 단자 (11)와, 음극판과 연결되는 음극 단자 (12)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해액과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에너지를 발생하고, 이러한 에너지는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또한, 캡 플레이트 (14)의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의 사이에는 벤트 (13)가 구비되고, 상기 벤트 (13)는 배터리 셀 (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하우징 (110, 120, 130, 140)은 배터리 셀 (10)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130, 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은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130, 14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속에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셀 (10)은 복수개가 넓은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정렬되므로, 이웃한 두 배터리 셀 (10)의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는 버스바 (bus-bar) (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 (15)에는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자들이 관통하여 연결된 버스바 (15)는 너트 (16) 등의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 (130, 140)는 배터리 셀 (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부재 (130) 및 배터리 셀 (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텀 부재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부재들 (130, 140)의 일단은 제1 엔드 플레이트 (110)에 체결되고, 상기 부재들 (130, 140)의 타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 (12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와 상기 부재 (130, 140)는 볼트-너트 등의 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는 각각 최외각의 배터리 셀 (10)과 면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사이드 부재 (130) 및 바텀 부재 (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은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가 서로 교대로 정렬되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110, 120, 130, 140)도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함으로, 본 실시예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 (10)의 연결 구조 및 개수는 배터리 모듈 (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b에 도시된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는 배리어 (15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150)는 대략 배터리 셀 (10)의 중심부에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X자형부재 (152)와, 상기 X자형부재 (15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151)는 배리어 (150)의 제1 및 제2 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돌출부 (151)는 상기 배리어 (150)와 배터리 셀 (10)이 서로 접하는 면에 구비된다.
배리어 (150)는 이웃하는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셀 (10)들을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배터리 셀 (10) 사이에 빈공간을 구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공간은 배터리 셀 (10)에서 발생하는 열이 누적되지 않도록, 열을 방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셀 (1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매체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통상, HEV, PHEV, EV용 배터리 셀은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셀의 스웰링 (swelling)을 제어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해 줄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배터리 셀 사이에 상기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구조물인 배리어를 개재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배터리 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배터리 모듈의 절대 무게가 증가된다. 이를 방지하고 배터리 모듈을 경량화하기 위하여, 가벼우면서도 동시에 배터리 셀의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리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150)는 X자형부재 (152)와 상기 X자형부재 (152) 상에 구비되는 돌출부 (151)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돌출부 (151)는 X자형부재 (15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충방전이 반복되면서 배터리 셀 (10)은 열화될 수 있고, 열화된 배터리 셀 (10)은 주변부보다는 중심부의 두께가 더 증가하여, 대략 외형이 X자형으로 스웰링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배리어 (150)를 배터리 셀 (10)의 X자형의 변형축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제작하고, 그 외의 불필요한 부분이 생략되도록 함으로써, 배리어 (150)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경량화된 배리어 (150)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리어 (150)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150)가 개재된 배터리 셀 (10)의 정면도로, 배리어 (150)는 상기 배리어 (150)의 각 끝단이 배터리 셀 (10)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리어 (150)은 배터리 셀 (10)과 대략 유사하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 셀 (10)의 양끝단을 연결하는 대각선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 (150)은 열전도율이 높으면서 동시에 강도가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배리어는 Al, Cu, 스테인리스 스틸 및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 (150)는 X자형부재 (152)의 중심부인 A영역과, 상기 중심부에서 연결된 끝단인 4개의 B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A영역은 배터리 셀 (10)의 중심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스웰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경량화할 수 있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자형부재 (152)에 이격되도록 구비된 돌출부 (151)에 의하여 냉매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150)의 B영역은 배터리 셀 (10)의 각 끝단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셀 (10)의 각 끝단은 배터리 셀 (10)의 스웰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부분으로, 배터리 셀 (10)의 열화에 의해서도 스웰링 등의 변형이 거의 없다. 따라서, 배리어 (150)의 B영역은 배터리 셀 (10)과 밀접하게 접하여, 외력에 의하여 배터리 셀 (10)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3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250) 및 상기 배터리 셀 (10)과 배리어 (250)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250)는 배터리 셀 (10)의 X자형부재 (252)와 상기 X자형부재 (25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250)는 상기 배리어 (250)의 양끝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리브 (253)은 상기 배터리 셀 (1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브 (253)는 상기 배리어 (250)의 양끝단, 구체적으로 상기 X자형부재 (252)의 각 끝단을 모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리어 (250)는 X자형부재 (252)의 양끝단이 리브 (25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브 (253)는 X자형부재 (252)의 양끝단을 연결함으로써 배리어 (250)를 구조적으로 보완하여,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 (250)의 두께가 감소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로 이루어진 배리어 (250)의 경우에도 상기 리브 (253)를 추가함으로써, 배리어 (25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b와 같이 리브 (253)에 의하여 양끝단이 연결된 배리어 (250)는 배터리 셀 (1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배터리 셀 (250)의 위치를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배터리 셀 (250)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25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350) 및 상기 배터리 셀 (10)과 배리어 (350)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350)는 배터리 셀 (10)의 X자형부재 (352)와 상기 X자형부재 (35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 (351)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상기 X자형부재 (35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 (351)는 배리어 (350)와 배터리 셀 (10)을 이격시킴으로써,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351)는 상기 X자형부재 (352)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X자형부재 (352) 상에 구비시킬 수 있다. 돌출부 (351)의 형태는 배터리 셀 (10)의 형태 또는 크기 등에 따라 배리어 (350)가 최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X자형부재 (352)와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배리어 (350)의 단가를 낮춤으로, 배터리 모듈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450)는 X자형부재 (452)와 상기 X자형부재 (452)에 구비되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 (451)를 포함하고, 상기 X자형부재 (452)의 양끝단은 리브 (45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브 (453)는 배터리 셀 (10)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 (453)는 상기 배터리 셀 (10)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배리어 (450)의 강성을 보조함과 동시에, 배터리 셀 (10)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 (453)는 X자형부재 (452)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으며, 리브 (453)의 개수 및 연결 형태 등은 배터리 모듈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500)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550), 상기 배터리 셀 (10)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130, 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 (550)는 X자형부재 (552)와 상기 X자형부재 (55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5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리어 (550)는 배터리 셀 (10)을 고정하는 고정부 (5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 복수개의 배터리 셀은 일체형 하우징이 아닌 브라겟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부재를 연결하여 배터리 셀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부재들을 연결하여 배터리 셀을 고정한 경우는 일체형 하우징에 비하여 배터리 모듈을 경량화할 수 있으나 배터리 셀의 고정력은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상기 고정력을 향상키기기 위하여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부재를 증가시키면, 일체형 하우징에 비하여 경량화 정도가 미비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을 경량화시키면서, 동시에 배터리 셀 (1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55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 (55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554)는 배리어 (550)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플랜지형태로, 상기 배터리 셀 (10)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554)는 상기 배리어 (550)의 동일한 면상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고정부 (554)는 상기 고정부 (554)가 향하는 방향으로 개재되는 배터리 셀 (10)을 고정하여. 배터리 모듈 (500)을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배터리 셀 (1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554)는 배터리 모듈의 설계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에 의한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리어 (650)는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교차하는 X자형부재 (652)와 상기 X자형부재 (65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6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리어 (650)는 배터리 셀을 고정하는 고정부 (6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654)는 두개 이상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고정부 (654a, 65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고정부 (654)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인 제1 고정부 (654a)는 하나의 배터리 셀을 고정하도록 일방향을 향하여 구비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고정부인 제2 고정부 (654b)는 제1 고정부 (654a)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부 (654a)는 상기 배리어 (650)와 직교하도록 상기 배리어 (650)의 어느 일면 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부 (654b)는 상기 제1 고정부 (654b)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리어 (650)의 타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리어 (650)의 제1 고정부 (654a)는 배리어 (650)의 제1 면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부 (654b)는 상기 배리어 (650)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각기 다른 배터리 셀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 (654a)는 배리어 (65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 고정부 (654b)는 상부에 구비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654a, 654b)는 그 구비되는 위치 및 개수 등이 배터리 모듈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모듈의 설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터리 셀 11: 양극 단자
12: 음극 단자 13: 벤트
14: 캡 플레이트 15: 버스바
16: 너트 100, 500: 배터리 모듈
110: 제1 엔드 플레이트 120: 제2 엔드 플레이트
130: 사이드 부재 140: 바텀 부재
150, 250, 350, 450, 550, 650: 배리어
151, 251, 351, 451, 551, 651: 돌출부
152, 252, 352, 452, 552, 652: X자형부재
253, 453, 553, 653: 리브
554, 654: 고정부

Claims (14)

  1.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교차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양끝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배터리 셀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배리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플랜지형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는 배터리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리어의 동일한 면상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배리어와 직교하도록 상기 배리어의 어느 일면 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고정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리어의 타면 상에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셀과 배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배터리 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부재 및 배터리 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텀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Al, Cu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KR1020110014639A 2011-02-18 2011-02-18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10124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39A KR101240702B1 (ko) 2011-02-18 2011-02-18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US13/067,564 US8956752B2 (en) 2011-02-18 2011-06-09 Battery module
EP11183180.6A EP2490278B1 (en) 2011-02-18 2011-09-28 Cells spacer for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39A KR101240702B1 (ko) 2011-02-18 2011-02-18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42A true KR20120095142A (ko) 2012-08-28
KR101240702B1 KR101240702B1 (ko) 2013-03-11

Family

ID=4471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39A KR101240702B1 (ko) 2011-02-18 2011-02-18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56752B2 (ko)
EP (1) EP2490278B1 (ko)
KR (1) KR101240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014A1 (de)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sches Spannungs- und Frequenzskalier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86B1 (ko) * 2009-12-28 2012-02-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US9356268B2 (en) * 2011-01-10 2016-05-3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911951B2 (en) 2014-09-30 2018-03-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compressed cell assembly
US9929441B2 (en) * 2015-10-02 2018-03-27 Bosch Battery Systems, Llc Elastic bellows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US10276846B2 (en) 2015-10-02 2019-04-30 Bosch Battery Systems, Llc Elastic bladder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US10355304B2 (en) * 2015-10-02 2019-07-16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GmbH Elastic plates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CN106129533B (zh) * 2016-08-29 2019-02-26 南通鼎鑫电池有限公司 一种抽风式锂电池散热模组结构
JP7468436B2 (ja) * 2021-03-31 2024-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37108A (en) 1976-08-20 1978-12-29 Chloride Group Ltd Cell racks for holding electric cells
JP2002245992A (ja) * 2001-02-16 2002-08-30 Toyota Motor Corp 組電池
JP4127060B2 (ja) 2003-01-20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リチウムイオン組電池
KR100684796B1 (ko) 2005-03-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7507124B2 (en) 2004-05-04 2009-03-2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JP4701652B2 (ja) * 2004-08-02 2011-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0648698B1 (ko) * 2005-03-25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89B1 (ko) 2005-05-17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6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861B1 (ko) * 2005-12-23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805153B1 (ko) 2006-04-2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08165989A (ja) 2006-12-27 2008-07-17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JP2008235149A (ja) * 2007-03-23 2008-10-02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用スペーサ部材及び組電池
JP5121395B2 (ja) * 2007-10-31 2013-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用セパレータ
DE102008043960A1 (de) 2008-11-21 2010-05-2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mit mindestens einer Akkumulatorzelle
JP5393365B2 (ja) 2009-09-11 2014-01-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014A1 (de)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sches Spannungs- und Frequenzskalier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4045A1 (en) 2012-08-23
EP2490278A1 (en) 2012-08-22
US8956752B2 (en) 2015-02-17
EP2490278B1 (en) 2015-10-21
KR101240702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702B1 (ko)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EP2658008B1 (en) Battery Module
KR101271883B1 (ko) 배터리 모듈
US8734979B2 (en) Battery module
EP2533350B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EP2887427B1 (en) Battery module with bus-bar holder
KR101261736B1 (ko) 배터리 팩
US8808887B2 (en) Battery pack
US20140295235A1 (en) Battery module
KR101219237B1 (ko) 배터리 모듈
KR101749191B1 (ko) 배터리 모듈
KR101282519B1 (ko) 배터리 모듈
US20120094155A1 (en) Battery module
US9356268B2 (en) Battery module
EP2515360B1 (en) Battery module
KR101252936B1 (ko) 배터리 팩
KR101883915B1 (ko)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07048750A (ja) 電池モジュール
EP2521203B1 (en) Battery module
US8765287B2 (en) Battery module
KR20140140795A (ko) 배터리 모듈
EP2797138B1 (en) Battery pack
KR102511573B1 (ko) 간접 냉각 방식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