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80A - 물품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780A
KR20220093780A KR1020200184843A KR20200184843A KR20220093780A KR 20220093780 A KR20220093780 A KR 20220093780A KR 1020200184843 A KR1020200184843 A KR 1020200184843A KR 20200184843 A KR20200184843 A KR 20200184843A KR 20220093780 A KR20220093780 A KR 20220093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rk
conveyor
loa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081B1 (ko
Inventor
문성훈
김영종
김태영
이창노
임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18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0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물품 적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적재 시스템은,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는 물품 적재장치; 및 보관장소와 물품 적재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버퍼 소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 적재 시스템{Load Stacker System}
본 발명은, 물품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물품 적재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적재물들을 파렛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버퍼 소팅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다양한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품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물류는 그 범위가 계속적으로 확대되어 단순히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유통 분야에서부터 조달 물류, 생산 물류, 회수 물류를 모두 포함하며, 또한 원재료나 부품의 조달과 생산 계획, 제품 폐기물의 회수 처리 까지도 물류에 포함된다.
물류 적재창고는 공장 및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음료 및 의류, 가전 등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이다.
따라서, 이러한 적재창고는 대량생산된 물품을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에 의해 정해진 수량을 출고하며, 출고된 물품은 각 소비지역으로 배포된다. 또한, 소비지역으로 출고된 물품에 의해 발생되는 적재창고의 빈 공간에는 다시 새롭게 생산된 물품이 새롭게 적재됨으로써, 적재창고는 소비지역으로 신속하게 물품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생산지와 소비지역간의 중간기지 역활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류 적재창고는 적재된 물품을 보다 신속하게 적재 또는 하역하여야 하는 것이며, 신속한 적재 및 하역과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보다 대량의 물류를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적재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설계 및 시공하여야 한다.
한편, 물류 적재창고에 보관된 물품은 소비지역으로 배송되기 위해 파렛트 등에 적재되는데, 물품들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자동화 장치를 통해 물품들을 파렛트에 적재할 수 있는데 반해, 물품들의 크기가 제각각 다양한 경우에는 자동화장치를 이용할 수 없어 인력을 통해 이용하여 물품들을 파렛트에 적재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인력을 이용하여 물품들을 파렛트에 적재하는 경우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작업시간 또한 길어져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크기와 무게가 다양한 적재물들을 파렛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자동화된 물품 적재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크기와 무게가 다양한 물품들을 자동화된 물품 적재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물품 적재장치로 적재물을 전달하는 순서가 중요하다.
즉, 사전 시물레이션(S/W)을 통해 적재물의 적재 형태를 미리 결정해야 하며, 시물레이션 결과대로 패키지 상품들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물품 적재장치로 순차적으로 보내주어야 하는 이송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48929호, (1998.09.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화된 물품 적재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적재물들을 파렛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버퍼 소팅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다양한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품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는 물품 적재장치; 및 상기 보관장소와 상기 물품 적재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상기 적재물을 상기 이송 순서대로 상기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버퍼 소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퍼 소팅장치는, 상기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복수의 적재물을 선택적으로 입고시켜 보관하고 순차적으로 출고 가능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며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 각각은 개별적인 분기라인을 형성하는 버퍼 컨베이어 유닛; 상기 보관장소와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입고 리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물을 상기 입고 리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로 입고시키는 입고 유닛; 및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물품 적재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로부터 출고된 상기 적재물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출고 리프터를 구비하고, 상기 출고 리프터에 의해 출고된 상기 적재물을 상기 물품 적재장치로 전달하는 출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 소팅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 및 하강을 하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상기 적재물을 전달하는 전달 리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기 전에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예비 정렬하여 보관하는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전달 리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에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적재물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관하는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하나의 층에 복수의 분기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나의 층에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이 나란하게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의 양단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전달 리프터, 상기 입고 리프터 및 상기 출고 리프터는, 하나의 층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의 단부 사이를 수평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물품 적재장치로부터 상기 보관장소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적재물을 회송하는 회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회송라인은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일한 층에 마련된 단위 컨베이어 모듈과, 상기 입고 유닛의 상기 입고 리프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고 유닛은,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상기 적재물을 전달받아 상기 입고 리프터로 이송하는 입고 컨베이어; 및 상기 입고 컨베이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 사이에 별개의 적재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추가 투입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고 유닛은,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송라인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회수하는 회수 컨베이어; 상기 입고 컨베이어에 마련되며, 상기 입고 리프터에 의해 상기 회송라인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제1 디버터; 및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디버터에 의해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로 전달된 적재물을 상기 회수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제2 디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 적재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적재물들을 한 번에 파지하여 적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품 적재장치는, 적재물의 하부 영역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인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모듈을 구비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포크유닛; 상기 포크유닛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유닛들을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상기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들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유닛들을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크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포크용 간격조절유닛; 및 상기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들 각각에 지지되며, 상기 적재물을 상기 각각의 포크모듈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파지용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모듈은, 상기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용 바아부; 및 상기 포크용 바아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유닛은, 상기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크모듈용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모듈용 이동부는, 상기 포크모듈이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모듈을 이동시키는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포크모듈에 마련되는 포크용 랙기어에 치합되는 포크용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포크용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용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포크용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유닛은, 상기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접촉 벨트부를 가압하여 상기 접촉 벨트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벨트 클램핑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클램핑모듈은, 하단부가 상기 접촉 벨트부에 접촉되는 가압 샤프트부; 상기 가압 샤프트부에 지지되며, 상기 가압 샤프트부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아부; 상기 이동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바아부를 이동시키는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 및 상기 이동 바아부에 지지되고 상기 가압 샤프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 샤프트부를 상기 접촉 벨트부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모듈들과, 각각의 적재물을 각각의 포크모듈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파지용 가압유닛과, 포크모듈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포크용 간격조절유닛을 구비하는 물품 적재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적재물들을 한 번에 파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적재물들을 파렛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버퍼 소팅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다양한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 적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포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벨트 클램핑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과 파지용 가압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포크용 간격조절유닛의 간격조절용 프레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포크용 간격조절유닛의 간격조절용 이동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버퍼 소팅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버퍼 소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소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소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버퍼 소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물품 적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포크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벨트 클램핑모듈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과 파지용 가압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2의 포크용 간격조절유닛의 간격조절용 프레임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의 포크용 간격조절유닛의 간격조절용 이동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버퍼 소팅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의 버퍼 소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적재 시스템은, 물품 적재장치(100)와, 버퍼 소팅장치(200)를 포함한다.
먼저, 물품 적재장치(100)는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모듈(120)들과, 각각의 적재물을 각각의 포크모듈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파지용 가압유닛(180)과, 포크모듈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적재물들을 한 번에 파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적재물들을 파렛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장치는,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되 소정의 이격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미도시)를 구비하는 스탠드(미도시)와, 포크유닛(110)과,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과,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과, 파지용 가압유닛(180)과, 다관절 로봇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품 적재장치는 스탠드(미도시)에 놓여진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적재물들을 소정의 수량으로 한 번에 파지하여 적재물들을 파렛트(미도시)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재물은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며, 적재물들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크유닛(110)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포크유닛(110)은, 도 2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의 하부 영역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인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되며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모듈(120)과, 포크모듈(120)에 연결되며 포크모듈(120)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포크모듈용 이동부(150)를 포함한다.
포크모듈(120)은 적재물의 하부 영역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인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포크모듈(120)은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모듈(120)은,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용 바아부(121)와, 포크용 바아부(121)에 결합되는 포크용 랙기어(122)와, 포크용 바아부(12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벨트부(130)를 포함한다.
포크용 바아부(121)는 적재물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크용 바아부(121)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와,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들을 연결하는 바아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들은 제3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들은 바아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의 폭은 스탠드(미도시)의 지지대(미도시)들의 이격간격보다 작게 마련되어 지지대(미도시)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포크용 랙기어(122)는 포크용 바아부(121)에 결합된다. 이러한 포크용 랙기어(122)는 포크모듈용 이동부(150)에 연결된다.
접촉 벨트부(130)는 포크용 바아부(12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접촉 벨트부(130)는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벨트부(130)는 3개로 마련되어 상술한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 각각에 배치된다.
포크모듈용 이동부(150)는 포크모듈(120)에 연결되어 포크모듈(120)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모듈용 이동부(150)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모듈(120)이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과,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에 지지되고 포크모듈(120)에 연결되며 포크모듈(120)을 이동시키는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152)를 포함한다.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에는 포크모듈(120)이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은 내부가 중곡된 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의 내벽에 포크모듈(120)이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은 포크모듈(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에는,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의 내벽에 연결되며 후술할 벨트 클램핑모듈(140)과 상호작용하여 접촉 벨트부(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격벽부(151a)가 마련된다.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152)는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에 지지되고 포크모듈(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152)는 포크모듈(120)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152)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용 랙기어(122)에 치합되는 포크용 피니언 기어(153)와,포크용 피니언 기어(153)에 연결되며 포크용 피니언 기어(153)를 회전시키는 포크용 구동모터(154)를 포함한다.
포크용 피니언 기어(153)는 포크모듈(120)에 마련되는 포크용 랙기어(122)에 치합된다. 이러한 포크용 피니언 기어(153)의 회전에 의해 포크용 랙기어(122)가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되고, 포크용 랙기어(122)의 이동에 따라 포크모듈(120)이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된다.
포크용 구동모터(154)는 포크용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포크용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킨다.
또한 포크유닛(110)은,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에 지지되며 접촉 벨트부(130)를 가압하여 접촉 벨트부(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벨트 클램핑모듈(1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 클램핑모듈(140)은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에 적재하기 위해 포크모듈(120)이 이동될 때 접촉 벨트부(130)를 가압하여 접촉 벨트부(130)가 포크용 바아부(121)와 함께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에 적재하기 적재물을 지지한 포크모듈(120)은 파렛트(미도시)의 상부 영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포크용 바아부(121)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되어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로 낙하시킨다. 이때, 적재물의 하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 벨트부(130)가 포크용 바아부(121)와 함께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된다면 적재물이 하측의 파렛트(미도시)로 바로 낙하하지 않고 포크모듈(120)과 함께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적재물이 파렛트(미도시)로 낙하되기 위해서는 포크용 바아부(121)는 제1축 방향(X)으로 이동하되, 적재물의 하부면에 직접 접촉된 접촉 벨트부(130)는 이동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벨트 클램핑모듈(140)이 접촉 벨트부(130)를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151)의 상술한 격벽부(151a)로 가압하여 접촉 벨트부(1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렇게 이동이 제한된 접촉 벨트부(130)는 포크용 바아부(121)의 제1축 방향(X)의 이동 시 포크용 바아부(121)와 함께 이동되지 않고 포크용 바아부(121)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크용 바아부(121)가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되더라도 적재물의 하부면에 직접 접촉된 접촉 벨트부(130)는 포크용 바아부(121)와 함께 이동되지 않으므로, 포크용 바아부(121)의 이동에 의한 적재물의 지지를 해제 시 적재물은 포크용 바아부(121)와 함께 이동되지 않고 하측으로 바로 낙하하여 파렛트(미도시)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 클램핑모듈(140)은, 도 4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접촉 벨트부(130)에 접촉되는 가압 샤프트부(141)와, 가압 샤프트부(141)에 지지되며 가압 샤프트부(141)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아부(142)와, 이동 바아부(142)에 연결되며 이동 바아부(142)를 이동시키는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143)와, 이동 바아부(142)에 지지되고 가압 샤프트부(141)에 연결되며 가압 샤프트부(141)를 접촉 벨트부(130)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44)를 포함한다.
가압 샤프트부(141)의 하단부가 접촉 벨트부(130)에 접촉된다. 이러한 가압 샤프트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 샤프트부(141)는 제2축 방향(Z)인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접촉 벨트부(130)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샤프트부(141)는 접촉 벨트부(130)의 개수에 상응하게 3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접촉 벨트부(130)를 가압한다. 도 5에서는 2개의 가압 샤프트부(141)만이 도시되었는데 2개 가압 샤프트부(141) 사이에 하나의 가압 샤프트부(141)가 더 배치되는데, 도 5에서는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143)에 가려 가운데의 가압 샤프트부(141)가 도시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샤프트부(141)는, 하단부가 접촉 벨트부(130)에 접촉되는 하단 몸체(141a)와, 하단 몸체(141a)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하단 몸체(141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중단 몸체(141b)와, 중단 몸체(141b)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중단 몸체(141b)의 외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다각 형상의 상단 몸체(141c)를 포함한다.
이동 바아부(142)는 가압 샤프트부(141)에 지지된다. 이러한 이동 바아부(142)에는 가압 샤프트부(141)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이동 바아부(142)에는 가압 샤프트부(141)의 중단 몸체(141b)가 관통하며 내주면이 중단 몸체(141b)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통홀(142a)이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홀(142a)의 내경은 상단 몸체(141c)의 폭 및 하단 몸체(141a)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된다.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143)는 이동 바아부(142)에 연결된다. 이러한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143)는 이동 바아부(142)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143)에는 이동 바아부(142)에 결합되는 실린더 로드(미도시)가 마련되어 실린더 로드(미도시)의 스트로크 동작에 의해 이동 바아부(142)를 제2축 방향(Z)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탄성체(144)는 이동 바아부(142)에 지지되고 가압 샤프트부(141)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 샤프트부(141)를 접촉 벨트부(130)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144)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체(144)는 상단부가 이동 바아부(142)에 지지되고 하단부가 가압 샤프트부(141)의 하단 몸체(141a)에 연결되어 가압 샤프트부(14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한편,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은 포크유닛(110)들 각각에 연결되어 포크유닛(110)들을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은 대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포크유닛(110)들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은, 도 2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에 결합되는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와, 파지용 가압유닛(180)에 결합되며 파지용 가압유닛(18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압유닛용 가이드부(162)와,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에 지지되고 포크유닛(110)에 연결되며 포크유닛(110)을 제2축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162)를 포함한다.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는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에 결합된다.
가압유닛용 가이드부(162)는 파지용 가압유닛(180)에 결합되며 파지용 가압유닛(18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가압유닛용 가이드부(162)는,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에 결합되는 가압유닛용 가이드레일(162a)와, 가압유닛용 가이드레일(162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파지용 가압유닛(180)의 후술할 액츄에이터 본체(181)에 결합되는 가압유닛 가이드용 가이드레일(162b)를 포함한다.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162)는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에 지지된다. 이러한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162)는 포크유닛(110)에 연결되며 포크유닛(110)을 제2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162)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로 마련된다. 이러한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162)는,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에 결합되는 전동 실린더 본체부(163a)와, 전동 실린더 본체부(163a)에 제2축 방향(Z)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포크유닛(110)이 결합되는 전동 실린더 로드부(163b)를 포함한다.
전동 실린더 로드부(163b)의 전동 실린더 본체부(163a)에 대한 상대이동에 따라 포크유닛(110)이 제2축 방향(Z)으로 이동된다.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은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은 포크유닛(110)들을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Z)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Y)으로 이동시켜 포크모듈(120)의 간격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은, 도 2,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 로봇유닛(미도시)에 연결되는 간격조절용 프레임(171)과, 간격조절용 프레임(171)부에 제3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이 결합되며 제3축 방향(Y)으로 이동되는 간격조절용 이동부(172)를 포함한다.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은 다관절 로봇유닛(미도시)에 연결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은, 다관절 로봇유닛(미도시)에 결합되는 간격조절 프레임 본체(171a)와, 간격조절 프레임 본체(171a)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171b)과, 간격조절 프레임 본체(171a)에 결합되는 간격조절용 랙기어(17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171b)은 2개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71b)은 간격조절용 이동부(172)의 이동을 안내한다.
간격조절용 이동부(172)는 간격조절용 프레임(171)부에 제3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축 방향(Y)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이동부(172)에는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의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161)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이동부(172)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에 연결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이동부(172)는, 도 9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71b)에 지지되는 가이드 휠(17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174)와,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에 마련된 간격조절용 랙기어(171c)에 치합되는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와,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174)에 지지되고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에 연결되며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를 회전시키는 간격조절용 구동모터(177)를 포함한다.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174)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174)의 배면에는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의 가이드 레일(171b)에 지지되는 가이드 휠(17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간격조절용 피니언 간격조절용 구동모터(177)에 연결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는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의 간격조절용 랙기어(171c)에 치합된다.
간격조절용 구동모터(177)는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174)에 지지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구동모터(177)는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176)의 회전에 의해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174)가 간격조절용 랙기어(171c)를 따라 제3축 방향(Y)으로 이동된다.
한편, 파지용 가압유닛(180)은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에 지지된다. 이러한 파지용 가압유닛(180)은 적재물을 각각의 포크모듈(120)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용 가압유닛(180)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에 지지된다.
이러한 파지용 가압유닛(180)은, 도 2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에 결합되는 액츄에이터 본체(181)와, 액츄에이터 본체(181)에 제2축 방향(Z)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츄에이터 본체(181)에 의해 이동되는 액츄에이터 이동블록(182)과, 액츄에이터 이동블록(182)에 결합되며 적재물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파지용 가압부(183)와, 파지용 가압부(183)에 결합되고 적재물의 상면부에 접촉되며 적재물이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제공받는 흡착패드부(184)와, 파지용 가압부(183)에 지지되며 적재물을 액츄에이터 본체(18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적재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핑용 가압부(185)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본체(181)는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의 전동 실린더 로드부(163b)에 결합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본체(181)는 전동 실린더 로드부(163b)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본체(181)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되어 공압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 이동블록(182)을 이동시킨다.
액츄에이터 이동블록(182)은 액츄에이터 본체(181)에 제2축 방향(Z)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용 가압부(183)는 액츄에이터 이동블록(182)에 결합된다. 이러한 파지용 가압부(183)는 바아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축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용 가압부(183)는 적재물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하측으로 가압한다.
흡착패드부(184)는 파지용 가압부(183)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흡착패드부(184)는 적재물의 상면부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패드부(184)는 흡입 펌프(미도시)와, 흡입 펌프(미도시)에 연결되는 흡입용 연결관(미도시)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흡착시키는 진공 압력을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장치는, 적재물의 상면부에 접촉되며 적재물이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제공받는 흡착패드부(184)를 구비함으로써,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장치는, 무게가 가벼운 소형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포크모듈(120)로 적재물을 지지할 필요 없이 흡착패드부(184)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파지할 수 있어 적재물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흡착패드부(184)는 평평한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흡착 패트에는 흡입용 연결관(미도시)에 연통되는 흡입공(미도시)이 마련된다.
클램핑용 가압부(185)는 파지용 가압부(183)에 결합된다. 이러한 클램핑용 가압부(185)는 적재물을 액츄에이터 본체(18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적재물을 클램핑한다.
본 실시예에 클램핑용 가압부(185)는, 적재물을 액츄에이터 본체(18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적재물을 클램핑함으로써,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클램핑용 가압부(185)는 무게가 가벼운 소형 적재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포크모듈(120)을 사용하지 않고 흡착패드부(184)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파지하는 경우에 적재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용 가압부(185)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용 가압부(183)에 결합되는 클램핑용 가압실린더 본체부(186)와, 클램핑용 가압실린더 본체부(186)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와,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에 연결되며 적재물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클램핑용 가압부(185)를 포함한다.
클램핑용 가압실린더 본체부(186)는 파지용 가압부(183)에 결합된다. 이러한 클램핑용 가압실린더 본체부(186)는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는 클램핑용 가압실린더 본체부(186)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램핑용 가압 몸체부(188)는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에 연결된다. 이러한 클램핑용 가압 몸체부(188)는 적재물의 측면부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용 가압 몸체부(188)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에 결합되는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188a)와,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188a)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 본체(18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와,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에 연결되며 적재물의 측부면에 접촉되는 가압용 세로 플레이트부(188c)를 포함한다,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188a)는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187)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188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3축 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는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188a)에 연결된다. 이러한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 는 액츄에이터 본체(18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축 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압용 세로 플레이트부(188c)는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용 세로 플레이트부(188c)는 적재물의 측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장치는,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188b)에 연결되어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188a) 보다 액츄에이터 본체(18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압용 세로 플레이트부(188c)를 구비하는 클램핑용 가압 몸체부(188)를 포함함으로써, 클램핑용 가압 몸체부(188)의 클램핑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관절 로봇유닛(미도시)은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의 간격조절용 프레임(171)에 연결되어 포크유닛(110)에 지지된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장치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포크용 간격조절유닛(170)이 파렛트(미도시)에 적재할 적재물들의 크기에 따라 포크모듈(120)들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다. 적재물들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포크모듈(120)이 하나의 적재물을 지지하지만, 적재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를 벗어나게 큰 경우에는 복수의 포크모듈(120)들이 하나의 적재물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후, 단위 포크용 바아부(121)가 지지대(미도시)의 사이로 투입되어 포크모듈(120)이 적재물의 하측에 배치된다.
다음,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60)이 포크유닛(110)을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적재물이 포크모듈(120)에 지지된다. 이때, 파지용 가압부(183)가 적재물의 상면부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포크모듈(1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적재물이 파지된다.
이후, 다관절 로봇유닛(미도시)이 적재물을 파렛트(미도시)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포크모듈(120)이 뒤로 빠지면서 적재물이 파렛트(미도시)로 낙하하여 파렛트(미도시)에 적재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크용 바아부(121)가 이동되더라도 적재물의 하부면에 직접 접촉된 접촉 벨트부(130)는 이동되지 않으므로,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용 바아부(121)가 이동되어 적재물의 지지를 해제 시 적재물을 포크용 바아부(121)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지 않고 하측으로 바로 낙하하여 파렛트(미도시)에 적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장치는,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포크모듈들과, 각각의 적재물을 각각의 포크모듈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파지용 가압유닛과, 포크모듈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포크용 간격조절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적재물들을 한 번에 파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적재물들을 파렛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버퍼 소팅장치(200)는 보관장소(P1)와 물품 적재장치(100) 사이에 배치되며, 보관장소(P1)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100)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퍼 소팅장치(200)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과, 입고 유닛(230)과, 출고 유닛(250)과, 전달 리프터(270)를 포함한다.
먼저,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은 보관장소(P1)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복수의 적재물을 선택적으로 입고시켜 보관하고 순차적으로 출고 가능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을 구비하되,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이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고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 각각은 개별적인 분기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은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을 포함하는데, 도 1 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은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과,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과,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 사이에 전달 리프터(27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은 두 개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을 포함하므로, 그 사이에 하나의 전달 리프터(270)가 마련되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전달 리프터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모두 두 개의 전달 리프터가 마련될 것이다.
정리하면, n 개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이 포함되는 버퍼 소팅장치는 각각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n-1 개의 전달 리프터가 마련될 것이다.
이러한 전달 리프터(270)는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들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 및 하강을 하면서,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인접한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적재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으로부터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으로 적재물을 전달하는 것이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적재물을 이송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이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으로부터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으로 적재물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반대 방향으로 적재물을 전달하는 방식은 적재물의 이송 중에 주문이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과 같이, 새로 결정된 이송 순서에 따라 다시 정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정방향으로 적재물을 이송하는 중에 주문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이송을 한 후에 다시 정방향으로 새롭게 분류하여 전달함으로써, 간단하게 새로 결정된 이송 순서에 따라 다시 정렬하고 순차적으로 적재물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적재을 위한 시물레이션의 변경에 따라 적재물의 재배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을 포함함으로써, 분류를 원하는 적재물을 첫 번째로 배치되는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의 동일한 층으로 전달하여 1차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시 분류를 원하는 적재물을 두 번째로 배치되는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의 원하는 층으로 전달하여 2차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총 두 번의 분류가 가능하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추가하게 되면 추가적인 분류가 가능하므로 최대로 분류할 수 있는 적재물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적재량이 늘어나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를 원하는 적재물의 양과 처리할 수 있는 적재량의 조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갯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은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을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기 전에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예비 정렬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은 전달 리프터(270)를 사이에 두고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에 반대측에 배치되며,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으로부터 적재물을 전달받아 이송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입고 유닛(230)은 보관장소(P)와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 사이에 배치되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입고 리프터(231)를 구비하고, 적재물을 입고 리프터(231)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로 입고시키는 역할을 한다.
출고 유닛(250)은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과 물품 적재장치(100)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로부터 출고된 적재물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출고 리프터(251)를 구비하고, 출고 리프터(251)에 의해 출고된 적재물을 물품 적재장치(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소팅장치(200)에 의해, 보관장소(P1)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100)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의 A 구간은, 보관장소(P1)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이 입고 컨베이어(232)에 의해 입고 리프터(231)까지 이송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B 구간은 입고 리프터(231)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에 층마다 배치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로 입고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1층에는 1 ~ 6 의 적재물이 입고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2층에는 7 ~ 12 의 적재물이 입고되어 또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마찬가지로 3층에는 13 ~ 18의 적재물, 4층에는 19 ~ 24 의 적재물, 5층에는 25 ~ 30의 적재물, 6층에는 31 ~ 36 의 적재물이 입고되어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렇게, B 구간에 위치한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은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적재물을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기 전에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예비 정렬하여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C 구간은 1차적으로 예비 정렬되어 각각의 층에 분리된 그룹을 최종적으로 물품 적재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 순서대로 다시 정렬하여 보관하는 단계이며, 예를 들어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의 1층에 보관된 1 ~ 6 의 적재물을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의 각 층에서 물품 적재장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은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으로부터 적재물을 전달받아 이송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D 구간은 이송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관된 적재물들을 출고 리프터(251)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송 순서대로 출고하여 순차적으로 물품 적재장치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의 각 층에서 물품 적재장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1 ~ 6 의 적재물을 순차적으로 출고함으로써, D 구간의 이송 순서는 1 부터 6 까지 순차적으로 물품 적재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버퍼 소팅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다양한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적재물을 이송 순서대로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소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은, 제 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이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마련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하나의 층에 복수의 분기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나의 층에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a, 231b)이 나란하게 상호 이격 배치되는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이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 예와 같이 모든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이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만이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의 길이가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B') 보다 길게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열을 가진 버퍼 컨베이어 유닛보다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의 길이를 짧게 마련하여, 동일한 수의 적재물을 분류하되 적재물의 이송 길이를 더 짧게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마련함에 따라, 도 1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의 양단부측에 배치되는 전달 리프터(270'), 입고 리프터(231') 및 출고 리프터(251')는 하나의 층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a, 213b)의 단부 사이를 수평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소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버퍼 소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컨베이어 유닛(210")은, 제 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A", 211B")이 물품 적재장치(100)로부터 보관장소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재물을 회송하는 회송라인(L1)을 포함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회송라인(L1)을 포함함으로써, 오류로 출고된 제품이나 출고가 취소된 제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체 적재 작업을 정지할 필요가 없이 오류로 출고된 제품이나 출고가 취소된 제품만을 도면에 표시된 회송라인(L1)을 따라 보관장소로 반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송라인(L1)은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211)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일한 층에 마련된 단위 컨베이어 모듈(213")과, 입고 유닛(230")의 입고 리프터(231")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층에 마련된 단위 컨베이어 모듈에 의해 회송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입고 유닛(230")은, 도 1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 컨베이어(232)와, 추가 투입 컨베이어(233)와, 회수 컨베이어(234)와, 제1 디버터(235)와, 제2 디버터(236)를 포함한다.
입고 컨베이어(232)는 보관장소로부터 적재물을 전달받아 입고 리프터(231)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추가 투입 컨베이어(233)는 입고 컨베이어(232)의 일측에 배치되어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 사이에 별개의 적재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역할을 하고, 회수 컨베이어(234)는 추가 투입 컨베이어(233)의 일측에 마련되어 회송라인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디버터(235)는 입고 컨베이어(232)에 마련되며, 입고 리프터(231)에 의해 회송라인(L1)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추가 투입 컨베이어(23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디버터(236)는 추가 투입 컨베이어(233)에 마련되어 제1 디버터(235)에 의해 추가 투입 컨베이어(233)로 전달된 적재물을 회수 컨베이어(23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입고 유닛(230")에 의해, 보관장소로부터 적재물을 전달받아 입고 리프터(231")로 이송하는 작업과,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 사이에 별개의 적재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작업과, 회송라인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회수하는 작업을 경우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포크유닛 120: 포크모듈
121: 포크용 바아부 122: 포크용 랙기어
130: 접촉 벨트부 140: 벨트 클램핑모듈
141: 가압 샤프트부 141a: 하단 몸체
141b: 중단 몸체 141c: 상단 몸체
142: 이동 바아부 143: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
144: 탄성체 150: 포크모듈용 이동부
151: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 151a: 격벽부
153: 포크용 피니언 기어 154: 포크용 구동모터
160: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161: 포크 업/다운(up/down) 이동용 프레임부
162: 파지용 가압유닛용 가이드부
163: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
170: 포크용 간격조절유닛 171: 간격조절용 프레임
171a: 간격조절 프레임 본체 171b: 가이드 레일
171c: 간격조절용 랙기어 172: 간격조절용 이동부
174: 간격조절용 이동 몸체 175: 가이드 휠
176: 간격조절용 피니언 기어 177: 간격조절용 구동모터
180: 파지용 가압유닛 181: 액츄에이터 본체
182: 액츄에이터 이동블록 183: 파지용 가압부
184: 흡착패드부 185: 클램핑용 가압부
186: 클램핑용 가압실린더 본체부
187: 클램핑용 가압 실린더 로드부
188: 클램핑용 가압 몸체부 188a: 결합용 세로 플레이트부
188b: 결합용 가로 플레이트부 188c: 가압용 세로 플레이트부
200: 버퍼 소팅장치 210: 버퍼 컨베이어 유닛
213: 단위 컨베이어 모듈 230: 입고 유닛
231: 입고 리프터 232: 입고 컨베이어
233: 추가 투입 컨베이어 234: 회수 컨베이어
235: 제1 디버터 236: 제2 디버터
250: 출고 유닛 251: 출고 리프터
252: 출고 컨베이어 270: 전달 리프터

Claims (16)

  1.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을 파렛트에 적재하는 물품 적재장치; 및
    상기 보관장소와 상기 물품 적재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파렛트에 적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고, 정렬된 상기 적재물을 상기 이송 순서대로 상기 물품 적재장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버퍼 소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소팅장치는,
    상기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복수의 적재물을 선택적으로 입고시켜 보관하고 순차적으로 출고 가능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며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 각각은 개별적인 분기라인을 형성하는 버퍼 컨베이어 유닛;
    상기 보관장소와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입고 리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물을 상기 입고 리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로 입고시키는 입고 유닛; 및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물품 적재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모듈로부터 출고된 상기 적재물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출고 리프터를 구비하고, 상기 출고 리프터에 의해 출고된 상기 적재물을 상기 물품 적재장치로 전달하는 출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 소팅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 및 하강을 하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 상기 적재물을 전달하는 전달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무작위로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이송 순서에 맞춰 정렬시키기 전에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예비 정렬하여 보관하는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전달 리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에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퍼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적재물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관하는 제2 버퍼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하나의 층에 복수의 분기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나의 층에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이 나란하게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열 버퍼 컨베이어 유닛의 양단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전달 리프터, 상기 입고 리프터 및 상기 출고 리프터는,
    하나의 층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 컨베이어 모듈의 단부 사이를 수평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물품 적재장치로부터 상기 보관장소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적재물을 회송하는 회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회송라인은 상기 복수의 단위 버퍼 컨베이어 유닛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일한 층에 마련된 단위 컨베이어 모듈과, 상기 입고 유닛의 상기 입고 리프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유닛은,
    상기 보관장소로부터 상기 적재물을 전달받아 상기 입고 리프터로 이송하는 입고 컨베이어; 및
    상기 입고 컨베이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장소에서 공급되는 적재물 사이에 별개의 적재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추가 투입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유닛은,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송라인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회수하는 회수 컨베이어;
    상기 입고 컨베이어에 마련되며, 상기 입고 리프터에 의해 상기 회송라인을 따라 회송된 적재물을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제1 디버터; 및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디버터에 의해 상기 추가 투입 컨베이어로 전달된 적재물을 상기 회수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제2 디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적재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적재물들을 한 번에 파지하여 적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적재장치는,
    적재물의 하부 영역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인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모듈을 구비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포크유닛;
    상기 포크유닛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유닛들을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상기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들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유닛들을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크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포크용 간격조절유닛; 및
    상기 포크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들 각각에 지지되며, 상기 적재물을 상기 각각의 포크모듈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파지용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모듈은,
    상기 적재물을 지지하는 포크용 바아부; 및
    상기 포크용 바아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적재물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유닛은,
    상기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크모듈용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모듈용 이동부는,
    상기 포크모듈이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모듈을 이동시키는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모듈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포크모듈에 마련되는 포크용 랙기어에 치합되는 포크용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포크용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용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포크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유닛은,
    상기 포크모듈용 가이드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접촉 벨트부를 가압하여 상기 접촉 벨트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벨트 클램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램핑모듈은,
    하단부가 상기 접촉 벨트부에 접촉되는 가압 샤프트부;
    상기 가압 샤프트부에 지지되며, 상기 가압 샤프트부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아부;
    상기 이동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바아부를 이동시키는 벨트 가압용 실린더부; 및
    상기 이동 바아부에 지지되고 상기 가압 샤프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 샤프트부를 상기 접촉 벨트부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시스템.

KR1020200184843A 2020-12-28 2020-12-28 물품 적재 시스템 KR10245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843A KR102459081B1 (ko) 2020-12-28 2020-12-28 물품 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843A KR102459081B1 (ko) 2020-12-28 2020-12-28 물품 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80A true KR20220093780A (ko) 2022-07-05
KR102459081B1 KR102459081B1 (ko) 2022-10-26

Family

ID=8240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843A KR102459081B1 (ko) 2020-12-28 2020-12-28 물품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2725A (zh) * 2023-11-20 2023-12-22 广东码清激光智能装备有限公司 用于工件上下料的装卸系统、装卸方法以及工作站
WO2024019535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씨젠 물품 박스 공급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359A (en) * 1987-08-10 1989-02-16 Sumitomo Metal Ind Long length material receiving and transfer device
JPH06171762A (ja) * 1992-05-20 1994-06-21 Murata Mach Ltd ピッキング装置
JPH07232804A (ja) * 1993-11-24 1995-09-05 Carl Schenck Ag 被搬送物質のための担持体を多層階の倉庫内におよび多層階の倉庫内から入出庫もしくはこの多層階の倉庫内で積替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9980048929A (ko) 1996-12-18 1998-09-15 이능희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JP2000118615A (ja) * 1998-10-19 2000-04-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移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自動倉庫
JP2003104518A (ja) * 2001-09-28 2003-04-09 Chuo Logistics Engineering:Kk ピッキング自動倉庫
JP2005280965A (ja) * 2004-03-31 2005-10-13 Daifuku Co Ltd 仕分け設備
KR20090110571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메인텍 팔레트 출하 시스템
KR20130046562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20180010999A (ko) * 2016-07-21 2018-01-3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재배열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보관 설비
JP2018069345A (ja) * 2016-10-24 2018-05-10 オムニヨシダ株式会社 荷積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359A (en) * 1987-08-10 1989-02-16 Sumitomo Metal Ind Long length material receiving and transfer device
JPH06171762A (ja) * 1992-05-20 1994-06-21 Murata Mach Ltd ピッキング装置
JPH07232804A (ja) * 1993-11-24 1995-09-05 Carl Schenck Ag 被搬送物質のための担持体を多層階の倉庫内におよび多層階の倉庫内から入出庫もしくはこの多層階の倉庫内で積替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9980048929A (ko) 1996-12-18 1998-09-15 이능희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JP2000118615A (ja) * 1998-10-19 2000-04-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移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自動倉庫
JP2003104518A (ja) * 2001-09-28 2003-04-09 Chuo Logistics Engineering:Kk ピッキング自動倉庫
JP2005280965A (ja) * 2004-03-31 2005-10-13 Daifuku Co Ltd 仕分け設備
KR20090110571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메인텍 팔레트 출하 시스템
KR20130046562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20180010999A (ko) * 2016-07-21 2018-01-3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재배열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보관 설비
JP2018069345A (ja) * 2016-10-24 2018-05-10 オムニヨシダ株式会社 荷積み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535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씨젠 물품 박스 공급 장치
CN117262725A (zh) * 2023-11-20 2023-12-22 广东码清激光智能装备有限公司 用于工件上下料的装卸系统、装卸方法以及工作站
CN117262725B (zh) * 2023-11-20 2024-06-04 广东码清激光智能装备有限公司 用于工件上下料的装卸系统、装卸方法以及工作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081B1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0566B (zh) 物品重新排列装置及具备该装置的物品保管设备
US8556567B2 (en) Packing station and order-picking method
US8851827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order-picking or consolidating articles
KR101825853B1 (ko) 적층 가능한 저장 용기용 저장 장치
US8342792B2 (en) Article separation directly 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KR102459081B1 (ko) 물품 적재 시스템
US20110130869A1 (en) Sort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Sorting
JP2018167950A (ja) 自動物流システム
US20140178161A1 (en) Conveyor technology supported commissioning of articles
WO2020066885A1 (ja) ピッキング荷合わせシステム
JP7364748B2 (ja) 搬送装置
CN212862673U (zh) 存储拣选一体化设备、入库存储拣选打包一体化设备
JP2023065496A (ja) 注文履行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A2944671C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JP2019172448A (ja) 物流システム
JP2001526617A (ja) 高速自動装置及びラック制御ユニットを有する委託集配設備
JP2018154479A (ja) 立体自動倉庫
JP7247435B2 (ja) 物流システム
US20110073534A1 (en) Sort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Sorting Articles
KR102232379B1 (ko) 물품 적재장치
JPH0395026A (ja) びん用積降し装置
CN114056817A (zh) 存储拣选一体化设备及方法
CN113998362B (zh) 一种根据大小归类的仓储物流多层分拣系统
JP3906877B2 (ja) 自動倉庫設備におけるパレットおよびケース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JP2019172447A (ja) 物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