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915A - 압축 반죽교반기 - Google Patents

압축 반죽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915A
KR20220089915A KR1020200180571A KR20200180571A KR20220089915A KR 20220089915 A KR20220089915 A KR 20220089915A KR 1020200180571 A KR1020200180571 A KR 1020200180571A KR 20200180571 A KR20200180571 A KR 20200180571A KR 20220089915 A KR20220089915 A KR 20220089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air
stirring barrel
compressed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353B1 (ko
Inventor
조규범
Original Assignee
다원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원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원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3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4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inclined rotating mixing arms or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additional aerat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erated dough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directly from grai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3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using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85Doors; Closures; Operating, e.g. safety, mechanis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반죽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함체와; 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과;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할 수 있도록 교반통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교반날개와; 함체 내측에 설치되어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교반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 덮개와;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실린더와; 교반통 덮개와 연결되어 교반통 내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압력 하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므로 곡물가루의 입자가 치밀하도록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져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찰기가 유지되는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 반죽교반기{STIRRING DEVICE FOR KNEADING IN COMPRESSION}
본 발명은 압축 반죽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떡의 재료인 곡물을 불림, 분쇄 후 반죽교반기에 넣고 반죽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기를 불어 넣어 고압력 상태에서 단시간 내에 반죽이 되면서 반죽의 호화현상이 일어나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할 수 있는 압축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고, 가루를 찐 후, 찌어진 떡쌀을 절구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찧어(반죽), 다양한 종류의 떡을 만드는 떡 음식 문화는 떡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의 발전으로 대량의 떡을 한 번에 제조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여 왔다.
특히, 떡을 만드는 공정 중, 곡물 가루를 찌고, 찌어진 가루를 교반하여 반죽을 만드는 반죽기는 사람이 힘주어 치대던 힘든 일을 대신해주는 것으로,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010423호에는 믹싱볼 내에 2개의 교반축이 설치되게 하여, 신속하게 반죽이 되게 하고,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되게 하여, 반죽이 익혀지게 하며, 투입구 상부에 가이드봉이 설치되게 하여, 스크류 믹서로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곡물 반죽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445호에는 쌀가루를 스팀으로 찌면서 찌어지는 쌀가루를 펀칭하여 떡쌀 반죽을 만들기 위한 반죽용 스팀 펀칭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스팀 반죽기는 곡물 등의 가루를 스팀으로 찌면서 쪄지는 가루를 교반하여 반죽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팀 반죽기는 곡물 등의 가루를 스팀으로 찌면서 쪄지는 가루를 단순히 한 쌍의 교반스크류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전펀칭날개로 교반하여 반죽을 만들었기 때문에,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가 교반스크류 또는 회전펀칭날개를 통해 교반될 때 반죽의 입자가 치밀하지 못하고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반죽이 찰지지 않고 흐물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스팀 반죽기는 우리 고유의 떡 제조방법인 절구통에서 떡 매질을 통해 얻어지는 떡에 비하여 찰기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반죽의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팀 반죽기에 있어서는 반죽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스팀으로 가열된 교반통의 손잡이를 잡고 수작업으로 교반통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9-0010423호(2009.01.30. 공개)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445호(2012.09.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떡의 재료인 곡물을 불림, 분쇄 후 반죽교반기에 넣고 반죽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기를 불어 넣어 고압력의 상태에서 단시간 내에 반죽되어 떡의 제조 시 호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축 반죽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함체와;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과;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할 수 있도록 교반통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교반날개와; 함체 내측에 설치되어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교반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 덮개와;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실린더와; 교반통 덮개와 연결되어 교반통 내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교반통 덮개는, 내측에 둘레를 패킹이 설치되어 교반통과의 기밀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반통 덮개는, 함체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교반통 덮개의 승하강시 가이드바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반날개는, 구동부의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연결편과; 연결편의 측면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ㄱ'자 형상의 교반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는, 복수로 이루어져 함체 상부에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에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를 함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는 공급파이프 및 상기 공급파이프 말단에 연결된 제1플랙시블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교반통에 압축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공급파이프 말단에는 교반통 내부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플랙시블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파이프, 제1플랙시블파이프 및 제2플랙시블파이프는 “ㅗ”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 공기 공급부와 상기 공급파이프 사이에 압축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에어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 공기 공급부는 에어 컴프레셔 또는 수봉식 공기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봉식 공기 압축기는, 공기를 흡입 및 압축하는 공기 흡입실을 형성하는 원통형 관체와, 상기 원통형 관체 내부에서 회전날개차 축이 상기 원통형 관체의 축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원통형 관체 내부에서 편심되어 배치되는 회전날개차와, 상기 공기 흡입실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 공기 통로와, 상기 흡입 공기 통로와 상기 원통형 관체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높은 압력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므로, 곡물가루의 입자가 치밀하도록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져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찰기가 유지되는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반죽이 이루어짐으로써 떡 등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죽 시 반죽 사이의 공기의 제거가 용이한 것은 물론 'ㄱ'자 형상의 교반날이 대향되게 이루어져 치대는 시간 및 고압력 시간의 조절에 의해 떡의 특성에 맞게 반죽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 반죽교반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교반기 덮개의 위치를 파악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 반죽교반기의 교반 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반통과 교반 날개 및 교반통을 회전시키는 각각의 모터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교반기 덮개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교반기 덮개와 실린더의 결합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교반기 덮개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압축 공기 공급부의 일 실시예인 수봉식 공기 압축기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반죽교반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 반죽교반기는 함체(100)와, 함체(100) 사이에 설치되는 교반통(200)과,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할 수 있도록 교반통(20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교반날개(300)와, 함체(100) 내측에 설치되어 교반날개(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와, 교반통(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 덮개(500)와, 함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50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실린더(600)와, 교반통 덮개(500)와 연결되어 교반통(200) 내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 반죽교반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축 반죽교반기는 함체(100), 교반통(200), 교반날개(300), 구동부(400), 실린더(600), 압축 공기 공급부(7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함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캐스터(미부호)가 설치되어 전체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100)의 전면에는 교반통(200) 내부에 설치된 교반날개(300)를 작동시키고, 교반통 덮개(50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조작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할 때 필요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체(100)의 상부에는 브라켓(120)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2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실린더(600)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실린더(6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실린더(600)에 의해 교반통 덮개(500)의 승하강시 공간을 제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브라켓(120)이 설치된 일측의 함체(100) 상부에는 지지봉(140)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130a, 130b)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봉(140)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130a, 130b) 중 상단에 위치한 리미트 스위치(130a)는 교반통 덮개(500)가 상승된 상태를 파악하고,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130a, 130b) 중 위치한 리미트 스위치(130b)는 교반통 덮개(500)가 하강되어 교반통(200)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파악한다.
상기 교반통 덮개(500)가 이동하여 지지봉(140)의 상단에 위치된 리미트 스위치(130a) 또는 하단에 위치된 리미트 스위치(130b)에 접촉되어 인가되는 신호는 조작부(110)에 설치된 PCB(미도시)에 설계된 제어회로로 인가되며, 상기 제어회로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교반통 덮개(500)의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PCB에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제어하는 전원제어회로,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회로,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린더제어회로 및 고압력 상태를 만드는 압축 공기 공급부 제어회로, 각 회로를 종합적으로 컨트롤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통(200)은 곡물을 반죽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함체(100)의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교반통(200)의 내측에는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교반날개(300)가 대향되게 설치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교반날개(300)는 구동부(400)의 회전축(421)과 결합되는 연결편(310)과, 상기 연결편(310)의 측면으로 대향되게 'ㄱ'자 형상으로 연장된 교반날(32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대향되게 설치되는 교반날(320)는 회전 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최대한 밀착되게 설치되어 반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ㄱ'자 형상이 교반날(3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떡의 제조 시 호화가 잘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편(310)과 결합하지 않은 상기 교반날(320)의 단부는 연결편(3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함과 동시에, 중심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 내측에 설치된 구동부(400)와 교반통(200) 및 교반날개(300)가 결합하여 회전 및 교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400)는 반죽이 완료된 상태에서 반죽을 꺼낼 수 있도록 교반통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410)와, 교반통(200) 내측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날개(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교반통(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구동부(420)와, 상기 제1구동부(410)와 제2구동부(420)를 지지하는 지지대(430)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부(410)는 함체(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내부 양측에 삼각형 형태의 지지대(430)가 각각 설치되고, 복수의 연결관(411)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대(43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관(411)의 일측에는 종동기어(412)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411)의 타측은 교반통(200)과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412)는 회전모터(413)의 구동축(414)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미도시)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41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교반통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420)는 지지대(430)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관(411)의 일측에서 내측을 관통하여 교반통의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축(42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421)의 최외측에는 제2스프로켓(422)이 결합되며, 상기 제2스프로켓(422)은 상기 종동기어(412) 보다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411)과 회전축(421) 사이에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회전축(42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421)의 일단부는 교반날개(300)의 연결편(310)이 결합되고, 교반통(200)의 내측면과 연결편(310)의 사이에는 가스켓(42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21)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422)에는 체인이 결합되고, 상기 체인(426)은 교반모터(424)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스프로켓(425)과도 결합되어 교반모터(424)의 구동력을 교반날개(300)로 전달하여 교반모터의 회전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교반통 덮개(500)는 교반통(200)의 상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하부 내측에 둘레에는 패킹(510)이 설치되어 교반통(200)과의 기밀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킹(510)은 기밀성을 갖도록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교반통(200) 내부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교반통(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반통(200) 내부의 압력을 높여준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교반통 덮개(500)는 승하강 시 브라켓(120)에 형성된 가이드바(520)와 결합되는 가이드롤러(530)가 설치되어 가이드바(520)를 따라 용이하게 승강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반죽 교반 시 압축 공기 공급부(700)로부터 교반통(200)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체 상부의 일측에는 압축 공기 공급부(700)와 연결되는 공급파이프(5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540)에는 제1플랙시블파이프(541) 및 제2플랙시블파이프(542)가 결합되고, 상기 제1플랙시블파이프(541)는 교반통 덮개(500)와 연결되어 공급파이프(540)의 압축 공기를 상기 교반통(20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압축 공기 공급부(700)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는 상기 공급파이프(540)와 제1플랙시블파이프(541)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상기 교반통(200)으로 공급되고, 교반통 덮개(500)의 패킹(510)에 의하여 교반통(200)으로 공급된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교반통(2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플랙시블파이프(541)가 상기 공급파이프(540)에 연결된 부분을 지나서 제2플랙시블파이프(542)가 상기 공급파이프(54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파이프(540), 제1플랙시블파이프(541) 및 제2플랙시블파이프(542)는 “ㅗ”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플랙시블파이프(542)는 상기 교반통(200) 내부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반죽 교반시 교반통(200)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고, 반죽 교반이 끝난 이후에 내부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교반통 덮개(50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요구되는데, 제2플랙시블파이프(542)는 교반통(200) 내부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교반통(20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540)에는 다수의 밸브(543)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압축 공기 공급부(700)에서 공급되는 압출 공기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7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에어 컴프레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컴프레셔는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압축 저장하는 에어 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로부터 공기를 압축하는 장치로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공기는 에어탱크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540)는 에어 컴프레셔에 직접 연결되거나, 에어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부(7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수봉식 공기 압축기 및 에어 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수봉식 공기 압축기는 회전날개차를 가지며 공간 용적 변화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압축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봉식 공기 압축기는 공기를 흡입 및 압축하는 공기 흡입실을 형성하는 원통형 관체와, 상기 원통형 관체 내부에서 회전날개차 축(820)이 상기 원통형 관체의 축(810)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원통형 관체 내부에서 편심되어 배치되는 회전날개차(830)와, 상기 공기 흡입실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와 상기 원통형 관체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날개차의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원통형 관체 내에 물 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수봉식 공기 압축기(800)는 ‘수봉식 펌프’로 잘 알려져 있으며, 회전날개차(830)의 회전 원심력으로 상기 관체 내에 물 환류(840)를 형성하며, 한편 이 물 환류(840)와 회전날개차(830)로 구성하는 공간으로 공기를 흡입구(85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회전날개차(830)의 회전으로 생기는 공간 용적의 변화를 이용하여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며, 압축하여 압축된 공기를 토출구(860)를 통해 토출 통로(860A)로 배출한다.
즉 공기 흡입실(880)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 공기 통로(870)가 형성되며, 흡입 공기 통로(870)와 원통형 관체 사이에 격벽(도 8의 좌벽(830B)이 해당함.)이 형성되며, 격벽(830B)에는 공기 흡입구(850)가 형성된다.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860), 바람직하게는 토출 통로(860A)는 상기 공급파이프(540)에 연결되어 교반통(200)으로 공급되거나, 에어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에어탱크에 압축공기를 저장한 후 상기 교반통(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봉식 공기 압축기에 물 환류를 형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는 물탱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봉식 공기 압축기와 물탱크는 공지의 배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급파이프(540)에는 스팀공급장치(미도시)와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스팀공급장치와 연결 시 반죽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반죽을 호화시켜 떡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교반통 덮개(500)에는 교반통(200) 내부의 압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압력측정기(550)가 설치되며(도 6 참고), 상기 압력측정기(550)를 통해 떡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600)는 함체(100)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120)과 교반통 덮개(500)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50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킨다.
상기 실린더(60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압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600)는 유압제공장치 또는 공압제공장치와 연결되며, 이러한 유압제공장치 또는 공압제공장치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린더(60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랙 및 피니언 기어의 결합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실린더(600)의 에 의한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압축 반죽교반기를 이용하여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교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떡의 재료인 곡물을 불림, 분쇄 한 후 교반통(200)의 내측에 넣고 함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부(110)의 버튼을 조작하여 복수의 실린더에 의해 교반통 덮개(500)가 교반통(200) 상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교반통 덮개(500)가 교반통에 결합되어 밀폐되면서 기밀성이 유지되면서 전원이 제2구동부(420)의 회전모터(413)로 인가되어 회전모터(413)가 구동되면서 구동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425)이 체인(426)을 회전시켜 회전축(421)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422)을 회전킨다.
상기 제2스프로켓(422)이 설치된 회전축(421)이 회전하면서 교반통(200) 내측에 설치된 교반날개(300)를 회전시켜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교반날개(300)에 의한 반죽 중에 연결관(411) 상에 설치된 밸브(543)를 개방한 상태에서 압축 공기 공급부(700)에 의해 교반통(200)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교반통(200) 내부의 압력을 높여준다.
이때 교반통 덮개(500)에 설치된 패킹(510)에 의해 교반통 덮개(500)과 교반통(200) 사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높은 압력 하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호화현상에 의해 떡의 제조 시 부드럽고 쫀득쫀득하게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은 떡의 반죽을 시작하여 끝날 때 까지 또는 떡을 반죽하는 시간 중 일부 시간 동안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은 압력 상태는 떡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시간 동안 높은 압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떡에 따른 반죽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높은 압력 상태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면 호화현상에 의해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떡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높은 압력 상태에서 반죽이 완료되면, 조작부(110)의 버튼을 조작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7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밸브(544)를 열어 교반통(200) 내부의 압력을 낮추고, 실린더(600)에 의해 교반통 덮개(5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교반통 덮개(500)를 교반통(200)에서 분리한다.
상기 교반통 덮개(500)가 교반통(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반죽을 꺼내기 위해 조작부(110)의 버튼을 조작하며 제1구동부(410)의 회전모터(413)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기어(414)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412)를 회전시킨다.
상기 종동기어(412)가 회전하면서 연결관(411)이 회전하고, 연결관(411)이 결합된 교반통(200)이 회전해 입구 쪽이 함체(100)의 전면으로 향하여 반죽을 꺼내기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가루의 입자가 치밀하도록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찰기가 유지되는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죽 시 반죽 사이의 공기의 제거가 용이한 것은 물론 'ㄱ'자 형상의 교반날이 대향되게 이루어져 치대는 시간 및 고압력 시간의 조절에 의해 떡의 특성에 맞게 반죽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고,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반죽이 이루어짐으로써 떡 등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함체 110: 조작부
120: 브라켓 130a, 130b: 리미트 스위치
140: 지지봉 200: 교반통
300: 교반날개 310: 연결편
320: 교반날 400: 구동부
410: 제1구동부 411: 연결관
412: 종동기어 413: 회전모터
414: 구동축 420: 제2구동부
421: 회전축 422: 제2스프로켓
423: 가스켓 424: 교반모터
425: 제1스프로켓 426: 체인
430: 지지대 500: 교반통 덮개
510: 패킹 520: 가이드바
530: 롤러 540: 공급파이프
541: 제1플랙시블파이프 542: 제2플랙시블파이프
543, 544: 밸브 550: 압력측정기
600: 실린더 700: 압축 공기 공급부
800: 수봉식 공기 압축기 810: 관체의 축
820: 회전날개차 축 830: 회전날개차
840: 물 환류 850: 공기 흡입구
860: 토출구 870: 공기 흡입 통로
880: 공기 흡입실

Claims (9)

  1.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함체(100)와;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200)과;
    교반통(20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교반날개(300)와;
    함체(100) 내측에 설치되어 교반날개(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와;
    교반통(2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통 덮개(500)와;
    함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5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실린더(600)와;
    교반통 덮개(500)와 연결되어 교반통(200) 내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 덮개(500)는,
    내측에 둘레를 패킹(510)이 설치되어 교반통(200)과의 기밀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 덮개(500)는,
    함체(100)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120)에 가이드바(520)가 설치되고,
    교반통 덮개(500)의 승하강시 가이드바(520)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300)는,
    구동부(400)의 지지대(430)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421)과 결합되는 연결편(310)과;
    연결편(310)의 측면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ㄱ'자 형상의 교반날(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600)는,
    복수로 이루어져 함체(100) 상부에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 브라켓(120)에 설치되어 교반통 덮개(500)를 함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부(700)는 공급파이프(540) 및 상기 공급파이프(540) 말단에 연결된 제1플랙시블파이프(541)를 통하여 상기 교반통(200)에 압축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공급파이프(540) 말단에는 교반통(200) 내부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플랙시블파이프(5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파이프(540), 제1플랙시블파이프(541) 및 제2플랙시블파이프(542)는 “ㅗ”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700)와 상기 공급파이프(540) 사이에 압축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에어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700)는 에어 컴프레셔 또는 수봉식 공기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봉식 공기 압축기는, 공기를 흡입 및 압축하는 공기 흡입실(880)을 형성하는 원통형 관체와, 상기 원통형 관체 내부에서 회전날개차 축(820)이 상기 원통형 관체의 축(810)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원통형 관체 내부에서 편심되어 배치되는 회전날개차(830)와, 상기 공기 흡입실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 공기 통로(870)와, 상기 흡입 공기 통로와 상기 원통형 관체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격벽(83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반죽교반기.
KR1020200180571A 2020-12-22 2020-12-22 압축 반죽교반기 KR102548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71A KR102548353B1 (ko) 2020-12-22 2020-12-22 압축 반죽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71A KR102548353B1 (ko) 2020-12-22 2020-12-22 압축 반죽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915A true KR20220089915A (ko) 2022-06-29
KR102548353B1 KR102548353B1 (ko) 2023-06-27

Family

ID=8226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71A KR102548353B1 (ko) 2020-12-22 2020-12-22 압축 반죽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3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35Y1 (ko) * 1999-09-27 2000-03-15 남향식품산업주식회사 전병제조용 구형 반죽 반제품 성형장치
KR200211765Y1 (ko) * 2000-07-05 2001-01-15 국광호 진공 반죽기
KR20030060333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우성기공 환경친화용 원료 혼합 및 반죽장치
KR20090010423A (ko) 2007-07-23 2009-01-30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10103504A (ko) * 2010-03-15 2011-09-21 이선재 호퍼 개폐부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반죽장치
KR20120006445U (ko) 2011-03-10 2012-09-20 허용범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20170047123A (ko) * 2015-10-22 2017-05-04 이재명 진공 조리 장치
KR20200116792A (ko) * 2019-04-02 2020-10-13 남중수 메주콩 증자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35Y1 (ko) * 1999-09-27 2000-03-15 남향식품산업주식회사 전병제조용 구형 반죽 반제품 성형장치
KR200211765Y1 (ko) * 2000-07-05 2001-01-15 국광호 진공 반죽기
KR20030060333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우성기공 환경친화용 원료 혼합 및 반죽장치
KR20090010423A (ko) 2007-07-23 2009-01-30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10103504A (ko) * 2010-03-15 2011-09-21 이선재 호퍼 개폐부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반죽장치
KR20120006445U (ko) 2011-03-10 2012-09-20 허용범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20170047123A (ko) * 2015-10-22 2017-05-04 이재명 진공 조리 장치
KR20200116792A (ko) * 2019-04-02 2020-10-13 남중수 메주콩 증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353B1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248B1 (ko) 떡 제조장치
WO2014142136A1 (ja) 食品用粉の攪拌混練方法および食品用粉の攪拌混練装置
KR20220089915A (ko) 압축 반죽교반기
CN207322521U (zh) 一种和面机
CN211832621U (zh) 一种智能组合面团混合装置
CN210303454U (zh) 一种方便面调味料生产用搅拌装置
CN215963212U (zh) 一种化学反应用物料混合装置
CN216856579U (zh) 一种面包馅料加工用混合装置
CN209882914U (zh) 一种面粉搅拌装置
CN210646111U (zh) 一种用于基因工程实验的混合装置
CN212065519U (zh) 一种和面机
CN212701939U (zh) 一种聚氨酯单组份湿固化胶黏剂制备用反应釜
CN217340983U (zh) 一种医用耦合剂生产用搅拌装置
CN209476288U (zh) 一种生产化肥用反应釜
CN217665033U (zh) 面粉加工用原料清洗装置
CN218451337U (zh) 一种用于日晒面制备的面条熟化装置
CN214665584U (zh) 一种粉末调味品混合烘干装置
CN217910111U (zh) 一种真空搅拌机
CN109395646A (zh) 涂料生产用搅拌分散设备
CN212222914U (zh) 一种啤酒酿造用糖化设备
CN220422988U (zh) 一种小麦谷朊粉干燥提取装置
CN217662844U (zh) 装饰纸涂料加工用原料混合装置
JPH058649B2 (ko)
CN220878474U (zh) 一种沥青混合料的拌和装置
CN217221075U (zh) 一种面包生产用的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