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779A -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779A
KR20220089779A KR1020200179754A KR20200179754A KR20220089779A KR 20220089779 A KR20220089779 A KR 20220089779A KR 1020200179754 A KR1020200179754 A KR 1020200179754A KR 20200179754 A KR20200179754 A KR 20200179754A KR 20220089779 A KR20220089779 A KR 20220089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blk
lower mold
length
mol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647B1 (ko
Inventor
문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0017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하 이동되는 제1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되며, 블랭크가 관통가능한 관통홀부가 마련되는 제2 금형부; 및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를 상기 제2 금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취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장치{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랭크를 작업자가 직접 배출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바디 쉘은, 프론트 필러, 센터 필러, 사이드실, 루프 레일, 사이드 멤버 등의 골격 부재와, 후드 릿지, 대시 패널, 프론트 플로어 패널, 리어 플로어 프론트 패널, 리어 플로어 리어 패널 등의 각종 성형 패널을 접합한 유닛 컨스트럭션 구조(모노코크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프론트 필러, 센터 필러, 사이드실 등과 같이 폐단면을 갖는 골격 부재는, 프론트 필러 레인포스먼트, 센터 필러 레인포스먼트, 사이드실 아우터 레인포스먼트 등의 구성 부재(제품)를, 아우터 패널이나 이너 패널 등의 다른 구성 부재와 접합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는, 먼저 금속판재의 성형가공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판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전개된 1차 소재로 전단 가공하는 블랭킹(Blanking)공정과, 1차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게 구부리는 2차 소재로 프레스 성형하는 드로잉(Drawing)공정과, 2차 소재 주변의 불필요한 노오치(Notch)를 제거하는 트리밍(Trimming)공정과, 트리밍 가공된 3차 소재의 가장자리를 구부려 테두리로 형성하는 플랜징(Flanging)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자동차 부재는 여러 공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블랭킹 공정을 위한 전단 프레스 장치에서 가공된 후, 가공된 소재는 전단 프레스 장치에서 배출되는 작업이 요구되고, 전단 프레스 장치에서 배출된 소재가 드로잉 장치로 공급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부재를 가공하는 작업 이외에 장비로부터 소재를 배출시키는 작업은 가공 공정을 이루지 않으나,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업으로서,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블랭크를 직접 배출시키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프레스 장치 외부로 블랭크를 배출시 복수의 블랭크를 한 번에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하 이동되는 제1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되며, 블랭크가 관통가능한 관통홀부가 마련되는 제2 금형부; 및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를 상기 제2 금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취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부를 통과하여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의 낙하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블랭크를 카운팅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값이 기설정된 상기 블랭크의 개수 값에 대응되면 상기 취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는, 상기 제어부가 마련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블랭크의 낙하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증감되는 신장부재; 및 상기 신장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신장부재의 길이 증감에 따라 상기 블랭크를 밀어내는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재의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블랭크와 자력 결합되고, 상기 신장부재의 길이가 제2 길이에 도달한 경우 자기력이 소멸되어 상기 블랭크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관통홀부가 마련되는 제1 하금형부재; 상기 제1 하금형부재와 대향되며, 상기 제1 하금형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가 안착되는 제2 하금형부재; 및 상기 제1 하금형부재와 상기 제2 하금형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블랭크의 낙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블랭크의 최대 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밀리는 상기 블랭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블랭크의 취출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축을 이루는 회전축; 및 상기 제2 하금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블랭크를 직접 배출시키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블랭크 취출이 용이하며, 프레스 장치 외부로 블랭크를 배출시 복수의 블랭크를 한 번에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 가공의 후공정(드로잉 가공 등)에서, 복수 개의 블랭크가 어긋나지 않도록 정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일렬로 정렬된 블랭크를 전단 가공의 후공정에 바로 공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제품 형상이 일정하게 가공될 수 있도록 정렬된 블랭크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스 장치가 복수 개의 블랭크를 프레스 장치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가이드부재를 평면도 상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스 장치가 복수 개의 블랭크를 프레스 장치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가이드부재를 평면도 상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가이드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는, 제1 금형부(110), 제2 금형부(120), 취출부(130), 센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간략하게는 프레스 성형품의 모재를 전단 가공(블랭킹 가공)하여 블랭크(BLK)를 제조할 수 있고, 전단 가공의 후공정(드로잉 가공 등)을 위해 블랭크를 프레스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취출)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BLK)는 프레스 장치(100)에 공급되는 코일(두루마리) 형태의 모재가 가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자동차의 부재에 적합한 금속판이면 되고, 그 재질은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으나, 철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블랭크(BLK)가 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더불어 제1 금형부(110)와 제2 금형부(120)에 의해 모재로부터 블랭크가 전단 가공되고 남은 부분을 스크랩(도시하지 않음)이라고 명칭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랩은 블랭크(BLK)가 전단 가공된 후 코일 형태의 모재로부터 남겨진 부분이므로, 블랭크(BLK)는 제2 금형부(120)로 낙하되나, 스크랩은 제2 금형부(120)의 상부에서 피딩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통해 프레스 장치(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금형부(110)는, 제2 금형부(120)와 쌍을 이루어 모재를 전단 가공하는 구성으로서, 블랭크(BLK)의 형상 외곽을 따라 전단 가공(블랭킹 가공)하는 전단날/펀치(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전단 가공 중 모재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재를 구속하는 홀더(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금형부(120)와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제2 금형부(120)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금형부(110)의 펀치와 후술되는 관통홀부(1201)는, 완제품을 전개하여 펼쳐 놓은 형상과 이어지는 다음 공정을 위한 여분의 면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금형부(110)는, 제2 금형부(120)의 관통홀부(1201) 상부에 모재가 배치되면, 제1 금형부(110)가 상하 이동하여, 즉 모재의 상부에 배치된 펀치가 제2 금형부(120)의 관통홀부(1201)로 진입하여, 관통홀부(1201)의 형상을 따라 모재가 펀치에 의해 전단 가공되어 블랭크(BLK)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금형부(110)는, 제2 금형부(12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 금형부(120)에 맞물리도록 하부로 이동되어 모재를 전단 가공하고, 전단 가공은 1회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전단 가공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된 블랭크(BLK)는, 후술되는 제1 하금형부재(121)를 관통하여 제2 하금형부재(122)에 안착되고, 블랭크(BLK)가 형성되지 않은 모재가 추가로 공급되어 전단 가공이 재차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금형부(110)는, 제2 금형부(120)를 향해 이동된 이후 다시 제2 금형부(120)와 이격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피스톤 등과 같은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1 금형부(11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져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동원리 및 구조는 공지된 메카니즘에 갈음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금형부(12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금형부(110)와 쌍을 이루어 전단 가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금형부(110)의 하부에서 제1 금형부(110)와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금형부(120)는, 제1 하금형부재(121), 제2 하금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블랭크(BLK)가 관통 가능한 관통홀부(120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관통홀부(1201) 주변으로 금형 여분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이드부재(123)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금형부(120)의 제1 하금형부재(121)는, 제2 금형부(120)와 맞물리는 구성으로서, 제1 금형부(110)의 전단날/펀치와 전단 가공을 이룰 수 있도록, 관통홀부(120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부(1201)의 개구 형상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완제품을 전개하여 펼쳐 놓은 형상과 여분의 면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부(1201)는 제1 하금형부재(121)의 상하를 관통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제2 금형부(120)와 제1 하금형부재(121)에 의해 모재로부터 절개/펀칭된 블랭크(BLK)가 관통홀부(1201)를 통해 제1 하금형부재(121)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하금형부재(122)로 자중에 의해 낙하될 수 있다.
제2 금형부(120)의 제2 하금형부재(122)는, 제1 하금형부재(121)의 하부에서 제1 하금형부재(121)와 대향된 위치에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하금형부재(121)로부터 낙하되는 블랭크(BLK)가 안착될 수 있다.
취출부(130)는, 관통홀부(1201)의 하부로 낙하되는 블랭크(BLK)를 제2 금형부(12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본체부재(131), 신장부재(132) 및 배출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131)는, 신장부재(132)의 길이를 조절하는 공압/유압 실린더가 마련될 수 있고, 후술되는 제어부(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하금형부재(122)의 외측에 위치되거나 제2 하금형부재(12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블랭크(BLK), 배출부재(133), 신장부재(132) 및 본체부재(131)가 좌우 일렬로 마련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어, 블랭크(BLK)가 배출부재(133)를 통해 이동하여 취출될 수 있다.
신장부재(132)는, 본체부재(131)의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추가로 돌출되도록 본체부재(131)에 마련될 수 있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제2 하금형부재(122)에 안착된 블랭크(BLK)를 프레스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블랭크(BLK)의 낙하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일례로 블랭크(BLK)의 낙하 경로와 직각인 방향)으로 길이가 증감될 수 있다.
배출부재(133)는, 블랭크(BLK)와 직접 맞닿아 블랭크(BLK)를 밀어내는 구성으로서, 신장부재(132)의 길이 조절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신장부재(132)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재(133)는,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상하 일렬로 적층된 상태에서 동시에 맞닿을 수 있게 상하 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재(133)는, 신장부재(132)의 길이 증감에 따라 블랭크(BLK)를 밀어내므로, 초기 위치(제1 위치)에서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낙하 또는 안착되는 블랭크(BLK)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위치되고, 블랭크(BLK)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배출방향(도 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되어 블랭크(BLK)의 취출이 완료되는 위치인 제2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배출부재(133)는,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상하로 적층 시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상하로 이웃한 블랭크(BLK)와 배치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블랭크(BLK)를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재(133)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재(133)의 전자력은, 블랭크(BLK)가 제2 하금형부재(122) 상에 낙하된 위치에서 블랭크(BLK)의 측면에서 블랭크(BLK)가 전자력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랭크(BLK)는 배출부재(133)의 전자석에 의해 블랭크(BLK)의 측면이 배출부재(133)와 자기력으로 밀착되어 정렬이 이루어졌으므로, 블랭크(BLK)가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된 상태에서는 전자력이 차단된 상태를 이루어 배출 마무리 과정에서는 배출부재(133)로부터 블랭크(BLK)가 용이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133)의 전자력이 신장부재(132)의 길이에 연동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장부재(132)의 길이가 제1 위치까지 신장된 제1 길이(도 1 참조, 제2 하금형부재(122) 상에 안착된 블랭크(BLK)의 측면에 위치된 상태의 길이)에서 복수 개의 블랭크(BLK)의 측면이 전자력으로 밀착될 수 있게, 제1 위치에서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 신장부재(132)의 길이가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블랭크(BLK)의 취출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연장된 길이)에서 자기력이 소멸되어 블랭크(BLK)와 자력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프레스 장치(100)는, 드로잉 가공과 같은 후공정 단계에서,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어긋나지 않도록 정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일렬로 정렬된 블랭크(BLK)를 전단 가공의 후공정에서 바로 공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제품 형상이 일정하게 가공될 수 있도록 정렬된 블랭크(BLK)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품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센서부(140)는, 관통홀부(1201)를 통과하여 낙하되는 블랭크(BLK)의 낙하 경로 상에 마련되어, 블랭크(BLK)를 카운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접촉 센서로 이루어져 하나씩 전단 가공되어 낙하되는 블랭크(BLK)에 맞닿아 관통홀부(1201)를 통과하는 블랭크(BLK)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부(140)는, 블랭크(BLK)와 직접 맞닿지 않도록,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기계식 카운팅이 가능하여 블랭크(BLK)가 하나씩 통과시 마다 톱니의 치가 하나씩 회전되는 톱니 구조가 전자 방식으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센서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값이 기설정된 블랭크(BLK)의 개수 값에 대응되면 취출부(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블랭크(BLK)의 개수 값이 일례로 30개일 경우, 센서부(140)에서 카운팅된 개수가 30일 경우 제어부(150)가 취출부(130)의 신장부재(132)의 길이를 증감시켜 배출부재(133)에 맞닿은 30개의 블랭크(BLK)를 밀어냄으로써 프레스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프레스 장치(100)는, 블랭크(BLK)를 하나씩 배출시킬 필요 없이 일정 개수 이상(앞서 언급된 30개 단위) 적층된 이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블랭크(BLK)를 배출하는 작업과 블랭크(BLK)를 모집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취출부(130)의 배출부재(133)에 전자석이 마련되어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상하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구조에 의해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상하 일렬로 정렬될 수 있고, 이는 아래와 같다.
제2 금형부(120)는, 앞서 언급된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제1 하금형부재(121) 및 제2 하금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23), 회전축(124) 및 탄성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배출부재(133)에 전자석이 마련되는 실시예와 본 실시예가 조합되어, 전자석에 의한 블랭크(BLK)의 정렬과 더불어 가이드부재(123)에 의한 블랭크(BLK)의 정렬이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123)는, 제1 하금형부재(121)와 제2 하금형부재(122) 사이에서 제2 하금형부재(12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블랭크(BLK)의 낙하 경로를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 블랭크(BLK)의 하부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 복수 개가 낙하시 상하 일렬로 정렬될 수 있게 블랭크(BLK)의 둘레면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의 최대폭(도 3 참조, L)에 해당되면서도, 블랭크(BLK)가 배출되는 방향의 전방(도 3 기준으로 좌측) 둘레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일례로 블랭크(BLK)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중심부의 폭(L)이 가장 긴 6각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블랭크(BLK)의 양측 모서리에 가이드부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가 적층되는 과정에서는 탄성체(12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비회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블랭크(BLK)의 배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블랭크(BLK)가 배출될 경우, 즉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적층되어 제어부(150)가 취출부(130)를 동작시킬 경우, 배출부재(133)에 의해 밀리는 블랭크(BLK)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의 취출입구(도 3 참조, B)를 개방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도 4 참조).
더불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를 향해 회전되는 가이드부재(123)의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블랭크(BLK)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23)가 탄성체(125)에 의해 블랭크(BLK)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오버되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블랭크(BLK)가 안착되는 영역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23)의 회전 반경 제한은, 제2 하금형부재(122)에 형성되는 오목홈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오목홈부는, 제2 하금형부재(122)에 홈 구조로 이루어져 블랭크(BLK)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음은 물론, 블랭크(BLK)의 최대폭에 위치되는 모서리에서 가이드부재(123)가 블랭크(BLK)와 맞닿는 상태로부터 블랭크(BLK)가 배출되도록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단면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23)는, 탄성체(125)에 의해 블랭크(BLK)를 향해 탄성 지지되더라도, 가이드부재(123)의 진입이 오목홈부의 스토퍼 기능에 의해 제한되면서도, 블랭크(BLK)의 배출시에는 블랭크(BLK)의 외측 방향으로 가이드부재(123)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124)은, 제2 하금형부재(122)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123)가 블랭크(BLK)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블랭크(BLK)의 취출입구를 개방시키도록 가이드부재(123)의 축을 이룰 수 있고, 회전축(124)과 가이드부재(123)는 상부로 연장되어 제1 하금형부재(121)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24)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23)의 취출입구 측이 벌어질 수 있게, 가이드부재(123)에서 배출방향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체(125)는, 가이드부재(123)를 탄성지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단은 가이드부재(123)에 마련되고, 타단은 제2 하금형부재(122)에 고정될 수 있게 제2 하금형부재(122)에 별도로 마련되는 브라켓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탄성체(125)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재(123)를 탄성 지지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프레스 장치(10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어,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모재가 제1 금형부(110)와 제1 하금형부재(121)를 통해 전단 가공되어 블랭크(BLK)가 제조된 후, 제1 하금형부재(121)의 관통홀부(1201)를 통해 블랭크(BLK)가 낙하되어 제2 하금형부재(122)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취출부(130)의 작동에 의해, 즉 신장부재(132)의 길이가 증감되어 배출부재(133)에 맞닿은 블랭크(BLK)가 프레스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블랭크(BLK)가 낙하되는 과정과 블랭크(BLK)가 배출되는 과정 사이에, 블랭크(BLK)가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재(133)의 전자석에 의해 배출부재(133)의 전방에 복수 개의 블랭크(BLK)의 측면이 자기력의 결합으로 밀착되어 블랭크(BLK)가 정렬될 수 있다. 이때 블랭크(BLK)는 배출부재(133)에 전자석에 의한 자기력 결합만으로 정렬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배출부재(133)와 어긋나는 방향에서 블랭크(BLK)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 블랭크(BLK)의 측면에 봉/바가 마련되어 블랭크(BLK)의 양측을 동시에 정렬할 수도 있고, 가이드부재(123)와 함께 블랭크(BLK)를 정렬할 수도 있다.
물론, 배출부재(133)에 의해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상하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면서도, 프레스 장치(100)의 외부로 블랭크(BLK)를 배출하는 마무리 단계에서는 블랭크(BLK)와 배출부재(133)의 전자력 결합을 해제시켜 블랭크(BLK)가 다시 프레스 장치(100)로 장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23)는, 전자석에 의한 자기력 결합과 함께 작동될 수 있으나, 전자석에 의한 자기력 결합과 개별로 작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의 낙하 경로를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블랭크(BLK)의 하부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23)는, 블랭크(BLK)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2면에 대응하여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라 육각형의 블랭크(BLK)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23)에 의해 4면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랭크(BLK)는, 모서리를 이루는 2 면이 꺾여진 구조를 가지는 가이드부재(123)에 밀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웃한 블랭크(BLK)와 동일한 배치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블랭크(BLK)가 낙하되어 적층되는 과정에서는 가이드부재(123)가 탄성체(12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블랭크(BLK)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블랭크(BLK)가 기설정된 개수로 적층된 이후에는,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블랭크(BLK)가 배출될 수 있다. 이는, 배출부재(133)에 의해 블랭크(BLK)가 배출시, 블랭크(BLK)의 이동에 연동하여 탄성지지된 가이드부재(123)가 회전축(124)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에 의하면, 작업자가 블랭크(BLK)를 직접 배출시키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블랭크(BLK) 취출이 용이하며, 프레스 장치(100) 외부로 블랭크(BLK)를 배출시 복수의 블랭크(BLK)를 한 번에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스 장치 110 : 제1 금형부
120 : 제2 금형부 1201 : 관통홀부
121 : 제1 하금형부재 122 : 제2 하금형부재
123 : 가이드부재 124 : 회전축
125 : 탄성체 130 : 취출부
131 : 본체부재 132 : 신장부재
133 : 배출부재 140 : 센서부
150 : 제어부

Claims (7)

  1. 상하 이동되는 제1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되며, 블랭크가 관통가능한 관통홀부가 마련되는 제2 금형부; 및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를 상기 제2 금형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취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부를 통과하여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의 낙하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블랭크를 카운팅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값이 기설정된 상기 블랭크의 개수 값에 대응되면 상기 취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제어부가 마련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블랭크의 낙하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증감되는 신장부재; 및
    상기 신장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신장부재의 길이 증감에 따라 상기 블랭크를 밀어내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재의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블랭크와 자력 결합되고, 상기 신장부재의 길이가 제2 길이에 도달한 경우 자기력이 소멸되어 상기 블랭크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관통홀부가 마련되는 제1 하금형부재;
    상기 제1 하금형부재와 대향되며, 상기 제1 하금형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블랭크가 안착되는 제2 하금형부재; 및
    상기 제1 하금형부재와 상기 제2 하금형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블랭크의 낙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블랭크의 최대 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밀리는 상기 블랭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블랭크의 취출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축을 이루는 회전축; 및
    상기 제2 하금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KR1020200179754A 2020-12-21 2020-12-21 프레스 장치 KR102436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4A KR102436647B1 (ko) 2020-12-21 2020-12-21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4A KR102436647B1 (ko) 2020-12-21 2020-12-21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79A true KR20220089779A (ko) 2022-06-29
KR102436647B1 KR102436647B1 (ko) 2022-08-30

Family

ID=8227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754A KR102436647B1 (ko) 2020-12-21 2020-12-21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6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748Y1 (ko) * 1994-10-12 1999-04-01 전성원 프레스기용 이송장치
KR200435906Y1 (ko) * 2006-12-29 2007-03-14 한재형 소재 운반용 3차원 프레스 로봇
KR101325774B1 (ko) * 2012-08-16 2013-11-04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라미나 부재를 소정 매수씩 적층된 상태로 배출하는 블랭킹 유니트
KR101870804B1 (ko) * 2017-01-17 2018-06-25 주진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JP2018129981A (ja) *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装置及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102105292B1 (ko) * 2018-09-28 2020-04-28 (주)화신 스크랩 역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748Y1 (ko) * 1994-10-12 1999-04-01 전성원 프레스기용 이송장치
KR200435906Y1 (ko) * 2006-12-29 2007-03-14 한재형 소재 운반용 3차원 프레스 로봇
KR101325774B1 (ko) * 2012-08-16 2013-11-04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라미나 부재를 소정 매수씩 적층된 상태로 배출하는 블랭킹 유니트
KR101870804B1 (ko) * 2017-01-17 2018-06-25 주진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JP2018129981A (ja) *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装置及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102105292B1 (ko) * 2018-09-28 2020-04-28 (주)화신 스크랩 역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647B1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591B2 (en) Apparatus for hot-forming, press-quenching, and cutting semifinished hardenable-steel workpiece
US8844581B2 (en) Closed structure parts, method and press for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132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ne blanking and forming a workpiece
KR102041861B1 (ko) 프레스 성형 방법 및 프레스 성형 장치
RU2686709C1 (ru) Штамп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штамповки
WO2010035884A1 (ja) 閉構造部材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装置及び閉構造部材
US4510789A (en) Press brake
KR102436647B1 (ko) 프레스 장치
WO2015151829A1 (ja) 切削加工用ダイ
WO2005097373A1 (ja) せん断加工装置
KR102424635B1 (ko)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CN104646484B (zh) 一种冲压模具及其废料顶出机构
CN104190790B (zh) 一种三动作子母斜楔模具及其控制方法
CN102266891B (zh) 一种轿车加油口盖铰链装配模具及装配方法
CN109570353B (zh) 侧围外板的成型模具组件及汽车生产线
KR100957407B1 (ko) 차량용 시작 캠금형 장치
WO2019111387A1 (ja) プレス金型ホールド装置
CN220840302U (zh) 一种亮饰条自动切断模
CN205668028U (zh) 双行程子母斜楔
CN218535761U (zh) 一种摩擦压力机用自动上料结构
KR101331412B1 (ko) 자동차 도어스트라이커용 샤프트의 성형방법 및 장치
CN212822209U (zh) 一种方便进给的防撞梁左吸能盒模具
CN215902537U (zh) 一种实现电机铁芯冲片生产线上焊接钢卷料自动排除的系统
CN217191903U (zh) 一种带有废料回收的金属制品加工用冲压成型设备
KR102379137B1 (ko) 가이드 핀 조립 및 분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