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635B1 -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635B1
KR102424635B1 KR1020220042885A KR20220042885A KR102424635B1 KR 102424635 B1 KR102424635 B1 KR 102424635B1 KR 1020220042885 A KR1020220042885 A KR 1020220042885A KR 20220042885 A KR20220042885 A KR 20220042885A KR 102424635 B1 KR102424635 B1 KR 10242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lock
chamfering
punch holder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원중
Original Assignee
심원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원중 filed Critical 심원중
Priority to KR102022004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05Edge deburring 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선루프 레일 등의 제작에 있어서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선루프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의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펀치홀더; 펀치홀더에 장착되어 레일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펀치홀더의 전방 이동에 따라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해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펀치블록; 및 펀치홀더에 접촉되어 펀치홀더를 전방 이동시키는 Ÿ‡지블록;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존 수작업을 대체해 복잡한 단면 형상을 갖는 레일의 절단면을 쉽고 빠르게 면취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CHAMFERING MACHINE FOR SUNROOF RAI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 레일 등의 제작에 있어서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어 외부의 빛이나 공기를 차내로 유입시키는 장치로 선루프(sunroof)가 알려져 있다. 선루프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 다만 넓은 범위에서 선루프는 채광 기능만을 갖춘 타입, 채광 기능에 개폐 기능이 부가되되 틸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타입, 개폐 구조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되는 타입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04-0088280호의 "자동차의 선루프"는 세단차량 등에서 흔히 채용되는 틸트 방식의 선루프 중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흔히 '파노라마 선루프'로 불리는 대형 선루프는 구조상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3-0068542호의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트의 슬라이딩 구조"는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 구조를 채용한 선루프 중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파노라마 선루프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에 선루프(글라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레일은 차량의 루프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글라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이뤄져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0-0016981호의 "파노라마 선루프의 루프레일"은 이러한 선루프용 레일의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선루프의 레일은 통상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레일의 단면 형상은 각 제품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레일은 거의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갖고 제작된다. 선루프 레일의 제작은 대략 알루미늄을 이용해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일차 성형품을 만들고, 일차 성형품에서 홀, 형상 등을 적절히 잘라내는 순서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일 제작 과정은 현재 상당 부분 자동화되어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4-0110247호의 "자동차용 썬루프 레일 가공장치"는 레일 제작을 위한 자동화 가공장치의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자동화 가공장치 등에도 불구하고, 선루프의 제작과정에서는 여전히 수작업이 이뤄지는 공정들이 상당하다. 그 중 하나는 면취(chamfering) 가공이다. 구체적으로 가공장치 등에서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된 선루프 레일은 끝단이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이후의 취급 과정에서 다른 부품들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차량에 탑재되는 과정에서 도장면 등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장치에서 취출된 레일은 끝단 부위가 별도로 면취 가공되게 되는데, 현재 이러한 면취 가공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되어 있다. 절단된 레일의 단면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고, 기존 가공설비 등으론 빠른 면취 작업이 이뤄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절단된 레일을 보다 편리하게 면취 가공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4-0088280호(2004년 10월 16일 공개) 공개특허 제10-2013-0068542호(2013년 6월 26일 공개) 공개특허 제10-2010-0016981호(2010년 2월 16일 공개) 공개특허 제10-2014-0110247호(2014년 9월 17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절단면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면취 가공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수작업 방식과 대비해 면취 가공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가공시간을 단축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일의 절단면 형상이나 규격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쉽게 전용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선루프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의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펀치홀더; 상기 펀치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펀치홀더의 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해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펀치블록; 및 상기 펀치홀더에 접촉되어 상기 펀치홀더를 전방 이동시키는 Ÿ‡지블록;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취가공장치는 복잡한 단면 형상을 갖는 레일의 절단면을 쉽고 빠르게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취가공장치는 일종의 타격 방식을 통한 면취 가공으로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수작업 방식 대비 균일한 가공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취가공장치는 펀치블록의 교체를 통해 보다 다양한 구조나 형상의 레일에서도 쉽게 응용될 수 있고, 가이드핀의 조절을 통해 가압력이나 면취 가공의 정도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가공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면취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펀치블록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펀치블록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은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선루프 레일(이하, "레일(10)"로 지칭)의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면취가공장치(100)는 대표적으로 도 1과 같은 레일(10)의 면취 가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먼저 레일(10)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면취가공장치(100)가 반드시 도 1의 레일(10)에 한정되어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면취가공장치(100)는 일부 구성의 생략, 변형, 교체 등을 통해 다른 종류의 레일에 대한 면취 가공에 적절히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일(10)은 반드시 차량용 선루프에 사용되는 레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레일 또는, 이로부터 일부 구성이 생략, 변형, 교체된 형태의 레일이라면, 본 발명의 면취가공장치(100)는 차량용 선루프 외 다른 용도나 기능의 레일에도 적절히 응용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아래에서는 도 1과 같은 차량용 선루프의 레일(10)을 대표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일(10)은 소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 형상을 중심으로 보면, 레일(10)은 레일바디(11)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바디(11)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레일(10)은 레일바디(11)의 측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수직리브(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수직리브(12)는 레일바디(11)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바디(11)의 상측에는 제1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간(S1)은 레일바디(11)와, 레일바디(11) 일측의 제1수직리브(12), 반대측의 제1벤딩리브(1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레일(10)은 제1수직리브(12)의 상단에서 횡방향 일측으로 연장된 제1수평리브(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수평리브(13)는 제1수직리브(12)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공간(S1)의 반대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10)은 제1수평리브(13)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수직리브(14)와, 제2수직리브(14)의 상단에서 다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수평리브(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수평리브(15)는 하측의 제1수평리브(13)와 대응되도록 제1공간(S1)의 반대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수평리브(13), 제2수직리브(14) 및 제2수평리브(15)는 제2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레일(10)은 제1수평리브(13)와 반대되도록, 제1수직리브(12)의 상단에서 횡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된 제3수평리브(16)를 구비할 수 있다. 제3수평리브(16)는 제1수직리브(12)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공간(S1) 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10)은 제2수평리브(15)와 반대되도록, 제2수직리브(14)의 상단에서 제1공간(S1) 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4수평리브(17)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수평리브(16) 및 제4수평리브(17)는 제2수직리브(14)와 함께 제3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제3공간(S3)은 제2공간(S2)과 횡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공간(S3)은 제1공간(S1) 측을 향한 횡방향의 내측, 제2공간(S2)은 제1공간(S1)의 반대측을 향한 횡방향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레일(10)은 제1수직리브(12)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1벤딩리브(18)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벤딩리브(18)는 제1수직리브(12)의 반대측에 대응되는 레일바디(11)의 횡방향 반대측에서 제1공간(S1) 측을 향해 대략 원형으로 말아 올려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벤딩리브(18)는 레일바디(11)의 반대측 단부에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제4공간(S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일(10)은 제1벤딩리브(18)의 상부 일측에서 제1공간(S1) 측을 향해 소정 정도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리브(19)와, 제1경사리브(19)의 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3수직리브(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경사리브(19)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보강리브(21)가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제1보강리브(21)를 예시하고 있다. 제1경사리브(19) 내지 제1보강리브(21)의 종방향 위치는 대체로 전술한 제3수평리브(16)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공간(S1)의 상측 좌우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3수평리브(16) 및 제1경사리브(19)가 배치되어 제1공간(S1)을 일부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레일(10)의 면취 가공을 위한 것으로, 레일(10)의 각 부분에 따른 기능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가공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면취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가공장치(100)는 도 1과 같은 횡단면을 갖는 레일(10)에서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레일(10)은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가 펀치블록(160)을 향하도록 면취가공장치(100)에 배치되고, 펀치블록(160) 등에 의해 단부가 면취 가공된 후,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좌우로 각각 한 세트씩의 면취가공장치(10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한 세트의 면취가공장치(100)만이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셋 이상의 면취가공장치(100)가 조합되어 하나의 설비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취가공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상부홀더(110) 및 하부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홀더(120)는 레일(10)이 배치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부홀더(120)에는 후술할 다이(150), 펀치홀더(170) 등 면취가공장치(100)의 주요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홀더(120)는 소정의 지지면이나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고, 그 구조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홀더(110)는 하부홀더(12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부홀더(110)는 하부홀더(120)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프레스 금형과 유사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가이드블록(130) 및 고정블록(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블록(130)은 레일(10)이 진입되는 면취가공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30)에는 레일(10)이 배치될 수 있는 레일안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안착홈(131)은 레일(10) 형상에 대응되는 홈의 형태를 갖고, 가이드블록(130)의 상면에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의 배치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레일안착홈(131)은 상측이 개방된 홈의 형태를 가지고 레일(10)의 좌우 폭방향 위치만을 규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안착홈(131)은 레일(1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블록(130)의 상면에서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140)은 가이드블록(1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가이드블록(130)은 대략 하부홀더(120)의 전단 부위에 배치되고 있고, 고정블록(140)은 그 후방에서 하부홀더(120)의 상면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있다.
고정블록(140)은 레일(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블록(140)은 면취 가공시 레일(1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레일(10)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블록(140)은 상부고정블록(141) 및 하부고정블록(142)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고정블록(142)은 하부홀더(120)에 고정 지지될 수 있고, 상부고정블록(141)은 하부고정블록(142)의 상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은 상부고정블록(141)과 하부고정블록(142) 사이에서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될 수 있다. 즉, 상부고정블록(141)이 하강되는 경우, 레일(10)은 상, 하부고정블록(141, 142) 사이에서 고정되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블록(141)이 상승되는 경우, 레일(10)은 구속이 해제되고 하부고정블록(142)으로부터 적절히 분리될 수 있다.
상부고정블록(141)의 저면, 하부고정블록(142)의 상면에는 각각 레일(1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거나, 이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고정블록(141)의 저면에는 제1레일고정홈(141a)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고정블록(142)의 상면에는 제2레일고정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은 상, 하부고정블록(141, 142)이 닫힌 상태에서 제1, 2레일고정홈(141a, 142a)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다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150)는 고정블록(140)의 후방에 배치되어 하부홀더(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이(150)에는 레일삽입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삽입홀(151)은 레일(10)의 후단 부위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이(150)에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은 가이드블록(130)의 레일안착홈(131), 고정블록(140)의 제1, 2레일고정홈(141a, 142a)을 거쳐 레일삽입홀(151)에 이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일삽입홀(151) 후단에는 레일(10)의 적절한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10)은 다이(150) 후방으로 노출이 제한되고, 적절한 삽입 위치로 배치되어 가공 대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펀치블록(160)을 포함할 수 있다.
펀치블록(160)은 레일삽입홀(151)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펀치블록(160)은 후술할 펀치홀더(170)에 지지되어, 펀치홀더(170)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펀치블록(160)은 전방 이동에 따라 레일삽입홀(151)에 배치된 레일(10) 후단에 접촉될 수 있다.
펀치블록(160)은 다이(150)에 배치된 레일(10) 후단(절단면)을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레일(10) 단면의 복잡한 형상이나 가공 속도 등을 고려해, 모서리 부위를 잘라내거나 연삭(grinding)하는 방식이 아닌, 펀치블록(160)을 통한 가압 성형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펀치블록(16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펀치홀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치홀더(170)는 펀치블록(160)의 후방에 배치되어, 펀치블록(160)과 체결될 수 있다. 펀치블록(160)은 펀치홀더(170)에 의해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펀치홀더(170)는 펀치블록(1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펀치블록(160)은 펀치홀더(170)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펀치홀더(17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펀치블록(160)은 가공 대상물인 레일(10)에 대응해 적절히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10)의 종류, 규격 등에 따라 복수 종류의 펀치블록(160)이 미리 구비되고, 가공되는 레일(10)의 종류, 규격 등에 따라 대응되는 펀치블록(160)이 펀치홀더(17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면취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펀치홀더(170)는 다이(150)에 대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펀치홀더(170) 내지 펀치블록(160)은 가공 대상물인 레일(10)로 접근되거나, 면취 가공 후 레일(10)로부터 적절히 이탈될 수 있다.
펀치홀더(170)의 후단에는 제1경사면(17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경사면(171)은 후술할 Ÿ‡지블록(180)을 통해 펀치블록(160)의 전후 이동을 위한 작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경사면(171)은 펀치홀더(170)의 상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171)의 경사각은 수평방향에 대해 30~60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171)의 경사각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펀치블록(160)을 통한 면취 가공의 효과가 다소 저감될 수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큰 경우 과도한 외력의 작용으로 절단면에 불필요한 변형이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Ÿ‡지블록(180)을 포함할 수 있다.
Ÿ‡지블록(180)은 상부홀더(1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Ÿ‡지블록(180)은 상부홀더(110)의 승하강에 따라 상부홀더(110)와 함께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
Ÿ‡지블록(180)은 전후방향으로 펀치홀더(170)와 지지블록(1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Ÿ‡지블록(180)은 펀치홀더(170)와 지지블록(190)의 사이에서 펀치홀더(170) 내지 펀치블록(160)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펀치홀더(170) 내지 펀치블록(160)은 Ÿ‡지블록(180)의 상하 이동에 대응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위해 Ÿ‡지블록(180)의 하단에는 제2경사면(18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경사면(181)은 제1경사면(171)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펀치홀더(170)로 작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경사면(181)은 Ÿ‡지블록(18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면(181)은 대체로 제1경사면(171)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2경사면(181)은 넓은 면적에서 제1경사면(171)에 접촉되어, 반복된 가공 시에도 안정적으로 균일한 작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Ÿ‡지블록(180)의 후면에는 제1수직면(18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Ÿ‡지블록(180)의 후면은 상하방향에 평행한 제1수직면(18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직편(182)은 Ÿ‡지블록(1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지지블록(19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190)은 Ÿ‡지블록(180)을 사이에 두고 펀치홀더(17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펀치홀더(170)와 달리, 지지블록(190)은 하부홀더(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Ÿ‡지블록(180)은 지지블록(190)을 지지점으로 펀치홀더(170)에 전후방향의 작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지지블록(190)의 전면에는 제2수직면(19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블록(190)의 전면은 상하방향에 평행한 제2수직면(19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블록(190)의 제2수직면(191)은, Ÿ‡지블록(180)의 제1수직면(182)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제1수직면(182)은 상부홀더(110) 내지 Ÿ‡지블록(180)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제2수직면(191)에 접촉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수직면(182, 191)은 Ÿ‡지블록(1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가이드핀(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200)은 지지블록(190)과 펀치홀더(170) 사이에 체결되어 펀치홀더(170) 내지 펀치블록(160)의 전후 이동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펀치블록(160)이 레일(10)의 절단면에 가하는 가압력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핀(200)은 지지블록(190) 내지 펀치홀더(170)의 후단 일부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핀(200)은 지지블록(190)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전단 일부 영역은 펀치홀더(17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핀(200)은 지지블록(190)에 대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블록(190)과 체결될 수 있고, 전단 일부 영역은 펀치홀더(17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핀(200)의 전단 일부 영역에는 홀더결합부(201)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결합부(201)는 펀치홀더(170)에 나사결합되어 가이드핀(200)의 전단을 펀치홀더(1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핀(200)의 후단에는 스토퍼(20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202)는 지지블록(190)의 외측에서 지지블록(190)의 후면에 접촉되어, 가이드핀(2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핀(200)은 펀치홀더(170) 내지 펀치블록(160)의 전후 이동 간격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가이드핀(200)을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나사결합된 홀더결합부(201)에 의해 펀치홀더(170)가 지지블록(190) 측을 향해 접근되고, 펀치블록(160)과 레일(10) 절단면 간의 간격이 소정 정도 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펀치블록(160)은 좀 더 약한 강도로 레일(10)의 절단면을 타격하며 면취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핀(200)을 반대측 방향으로 돌리면, 나사결합된 홀더결합부(201)에 의해 펀치홀더(170)가 지지블록(190)으로부터 멀어지고, 펀치블록(160)과 레일(10) 절단면 간의 간격이 소정 정도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펀치블록(160)은 좀 더 강한 강도로 레일(10)의 레일(10)의 절단면을 타격하며 면취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펀치블록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펀치블록(160)은 레일(10)의 횡단면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블록유닛(161~166)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블록유닛(161~166)은 대체로 레일(10)에 형성된 제1 내지 4공간(S1~S4)에 대응되는 위치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 블록유닛(161~166)은 중앙의 평면부(160a)와, 평면부(160a)의 외곽 부위에 형성되는 경사부(160b)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160b)는 평면부(160a)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경사부(160b)는 평면부(160a)에 대해 30~60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160b)는 레일(10)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소정 정도 타격해 면취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면취가공장치(100)는 경사부(160b)가 레일(10)의 모서리 부위를 타격해 소정 정도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절단면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인 면취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펀치블록(160)은 제1블록유닛(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록유닛(161)은 중앙의 평면부(160a)와, 평면부(160a)의 외곽 부위에 형성되는 경사부(16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2 내지 6블록유닛(162~166)에서도 유사하다. 제1블록유닛(161)은 대체로 직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1공간(S1)에 대응되는 좌우 폭 및 상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블록유닛(161)은 제1공간(S1)으로 진입되면서 외곽의 경사부(160b)가 레일바디(11), 제1수직리브(12), 제3수평리브(16)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레일바디(11) 등의 모서리 부위가 경사부(160b)에 의해 가압 변형되면서 면취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펀치블록(160)은 제2블록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블록유닛(162)은 제2공간(S2)에 대응되는 폭 및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제2공간(S2)으로 진입되면서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를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펀치블록(160)은 제3블록유닛(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블록유닛(163)은 제3공간(S3)에 대응되는 폭 및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제3공간(S3)으로 진입되면서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를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펀치블록(160)은 제4블록유닛(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블록유닛(164)은 제4공간(S4)에 대응되도록 소정 반경을 가진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4공간(S4)으로 진입되면서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를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펀치블록(160)은 제5블록유닛(1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블록유닛(165)은 제1경사리브(19)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블록유닛(161)의 일측에서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5블록유닛(165)은 제1경사리브(19)의 하측으로 진입되면서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를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펀치블록(160)은 제6블록유닛(1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6블록유닛(166)은 제1블록유닛(161)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대체로 제1블록유닛(161)과 대응되는 폭 및 높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블록유닛(161)과 제6블록유닛(166)의 사이로는 레일바디(11)가 삽입될 수 있고, 제6블록유닛(166)은 레일바디(11)의 하단 모서리에 접촉되어 면취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면취가공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펀치블록의 작동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가공을 위한 레일(10)이 면취가공장치(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10)은 가이드블록(130)에 의해 안내되어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하부고정블록(142)을 거쳐 후단이 레일삽입홀(151)로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고정블록(141)은 상측으로 이동되어 개방된 상태이고, 상부홀더(110) 내지 Ÿ‡지블록(180)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대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일(10)이 삽입되면, 상부고정블록(141)이 하강되고, 상부고정블록(141)과 하부고정블록(142) 사이에서 레일(10)이 고정될 수 있다. 즉, 레일(10)이 전후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부홀더(110)가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부홀더(110)가 하강되면, Ÿ‡지블록(180)이 함께 하강되면서 제2경사면(181)이 펀치홀더(170)의 제1경사면(171)에 접촉되어 펀치홀더(170)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펀치홀더(170) 및 펀치블록(160)은 다이(15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펀치블록(160)이 레일(10)의 절단면을 소정 정도 타격하며 가압하게 된다. 즉, 펀치블록(160)의 각 블록유닛(161~166)이 대응되는 부위에서 레일(10) 절단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 접촉되며 해당 부위를 면취 가공하게 된다. 이후 상부홀더(110), 상부고정블록(141)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가공된 레일(10)이 취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취가공장치(100)는 복잡한 단면 형상을 갖는 레일(10)의 절단면을 쉽고 빠르게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취가공장치(100)는 일종의 타격 방식을 통한 면취 가공으로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수작업 방식 대비 균일한 가공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취가공장치(100)는 펀치블록(160)의 교체를 통해 보다 다양한 구조나 형상의 레일(10)에서도 쉽게 응용될 수 있고, 가이드핀(200)의 조절을 통해 가압력이나 면취 가공의 정도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레일 11: 레일바디
12: 제1수직리브 13: 제1수평리브
14: 제2수직리브 15: 제2수평리브
16: 제3수평리브 17: 제4수평리브
18: 제1벤딩리브 19: 제1경사리브
20: 제3수직리브 21: 제1보강리브
22: 제5수평리브 S1: 제1공간
S2: 제2공간 S3: 제3공간
S4: 제4공간
100: 면취가공장치 110: 상부홀더
120: 하부홀더 130: 가이드블록
131: 레일안착홈 140: 고정블록
141: 상부고정블록 142: 하부고정블록
150: 다이 151: 레일삽입홀
160: 펀치블록 161~166: 제1 내지 6블록유닛
170: 펀치홀더 171: 제1경사면
180: Ÿ‡지블록 181: 제2경사면
182: 제1수직면 190: 지지블록
191: 제2수직면 200: 가이드핀
201: 홀더결합부 202: 스토퍼

Claims (10)

  1. 차량용 선루프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10)의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펀치홀더(170);
    상기 펀치홀더(170)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1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펀치홀더(17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해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펀치블록(160);
    상기 펀치홀더(170)에 접촉되어 상기 펀치홀더(170)를 전방 이동시키는 Ÿ‡지블록(180);
    상기 Ÿ‡지블록(180)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상기 Ÿ‡지블록(1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Ÿ‡지블록(18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190); 및
    상기 지지블록(190)을 전후로 관통하여 상기 펀치홀더(170)와 체결되되, 상기 지지블록(19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펀치홀더(170)의 전방 이동 범위를 제한해 상기 펀치블록(160)이 상기 레일(10)의 절단면에 가하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가이드핀(200);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펀치홀더(170)는,
    상기 Ÿ‡지블록(180)과 인접한 일면에 제1경사면(171)을 구비하고,
    상기 Ÿ‡지블록(180)은,
    상기 제1경사면(171)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상기 펀치홀더(170)의 전방 이동을 위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제2경사면(181)을 구비하는 면취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Ÿ‡지블록(180)은,
    상기 제1경사면(171)과 대향하는 상기 Ÿ‡지블록(180)의 반대측 측면에 구비되고, 하부홀더(120)에 고정 설치된 지지블록(190)의 제2수직면(191)과 접촉 슬라이딩되어 상기 Ÿ‡지블록(1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수직면(182)을 구비하는 면취가공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200)은,
    상기 가이드핀(200)의 전단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펀치홀더(17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핀(2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홀더결합부(201); 및
    상기 가이드핀(200)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190)의 외측 후면에 접촉 간섭되어 상기 가이드핀(2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02);를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
  6. 차량용 선루프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10)의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펀치홀더(170);
    상기 펀치홀더(170)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1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펀치홀더(17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해 면취 가공을 수행하되, 상기 레일(10)의 절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블록유닛(161~166)을 포함하는 펀치블록(160); 및
    상기 펀치홀더(170)에 접촉되어 상기 펀치홀더(170)를 전방 이동시키는 Ÿ‡지블록(18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유닛(161~166)은,
    상기 블록유닛(161~166)의 외곽 영역을 따라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해 변형시키는 경사부(160b)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유닛(161~166)은,
    상기 레일(10)의 제1공간(S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레일(10)의 레일바디(11), 제1수직리브(12) 및 제3수평리브(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제1블록유닛(161); 및
    상기 제1블록유닛(16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레일바디(11)를 대상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제6블록유닛(166);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유닛(161~166)은,
    상기 레일(10)의 제2공간(S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레일(10)의 제1수평리브(13), 제2수직리브(14) 및 제2수평리브(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제2블록유닛(162); 및
    상기 레일(10)의 제3공간(S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레일(10)의 제3수평리브(16), 제2수직리브(14) 및 제4수평리브(17)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제3블록유닛(163);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유닛(161~166)은,
    상기 레일(10)의 제4공간(S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레일(10)의 제1벤딩리브(18)를 대상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제4블록유닛(164); 및
    상기 레일(10)의 제1공간(S1)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10)의 제1경사리브(19)에 형성된 제1보강리브(21)를 대상으로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제5블록유닛(165);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
  10. 차량용 선루프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10)의 절단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펀치홀더(170);
    상기 펀치홀더(170)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1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펀치홀더(17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면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해 면취 가공을 수행하는 펀치블록(160);
    상기 펀치홀더(170)에 접촉되어 상기 펀치홀더(170)를 전방 이동시키는 Ÿ‡지블록(180);
    상기 펀치블록(160)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레일(10)의 가공 위치를 안내하는 다이(150);
    상기 다이(150)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되,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고정블록(141) 및 하부고정블록(142)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10)을 길이방향으로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고정블록(140); 및
    상부가 개방된 레일안착홈(13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록(140)의 전방에서 상기 레일(10)의 삽입 체결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130);을 포함하는 면취가공장치.
KR1020220042885A 2022-04-06 2022-04-06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KR10242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85A KR102424635B1 (ko) 2022-04-06 2022-04-06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85A KR102424635B1 (ko) 2022-04-06 2022-04-06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635B1 true KR102424635B1 (ko) 2022-07-22

Family

ID=8260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885A KR102424635B1 (ko) 2022-04-06 2022-04-06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181B1 (ko) 2022-10-11 2022-12-29 강길수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KR102485564B1 (ko) 2022-11-22 2023-01-09 심원중 선루프 레일의 절단면 가공을 위한 면취가공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065U (ko) * 1996-12-18 1998-09-15 오상수 프레스 가공물의 리스트라이킹 가공장치
KR20040088280A (ko) 2003-04-09 2004-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루프
KR20100016981A (ko) 2008-08-05 2010-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의 루프레일
KR20130068542A (ko) 2011-12-15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슬라이딩 구조
KR20140110247A (ko) 2013-03-07 2014-09-17 (주)성광산업 자동차용 썬루프 레일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065U (ko) * 1996-12-18 1998-09-15 오상수 프레스 가공물의 리스트라이킹 가공장치
KR20040088280A (ko) 2003-04-09 2004-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루프
KR20100016981A (ko) 2008-08-05 2010-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의 루프레일
KR20130068542A (ko) 2011-12-15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슬라이딩 구조
KR20140110247A (ko) 2013-03-07 2014-09-17 (주)성광산업 자동차용 썬루프 레일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181B1 (ko) 2022-10-11 2022-12-29 강길수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KR102485564B1 (ko) 2022-11-22 2023-01-09 심원중 선루프 레일의 절단면 가공을 위한 면취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635B1 (ko)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CN101557889B (zh) 冲切模组件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CN101700548B (zh) 基于非均匀拉深筋阻力的冲压模具
US10239391B1 (en) Sliding apparatus for sunroof of an automobile
JP5514769B2 (ja) リンク機構を用いた横型プレス金型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JP2009190075A (ja) プレス成形方法
JP2006224105A (ja) 熱間プレス加工における材料板材の位置決め方法
US20100024510A1 (en) Press die set for forming flange and flange forming method
KR101580476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핑 장치
KR101733168B1 (ko) 프레스용 금형장치
KR100801113B1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결합바의 펀칭 및 벤딩 동시성형기
KR101818593B1 (ko) 밴딩펀치와 이를 갖춘 프레스 밴딩 금형
KR20080048278A (ko) 플랜지 성형용 프레스 장치
JPH07299527A (ja) プレス成形装置
US3745808A (en) Die set having automatic feed between successive stages
KR101714071B1 (ko) 도어 프레임의 패킹채널 절곡장치
FR3100726A1 (fr) Dispositif de poinçonnage d'une tôle suivant des directions concourantes, par prise d'appui l'un contre l'autre de coulisseaux porteurs de poinçons respectifs.
CN111215523A (zh)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CN220840302U (zh) 一种亮饰条自动切断模
JPH08174086A (ja) 板金のプレス方法
US11833564B2 (en) Form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using forming apparatus
KR102565734B1 (ko) 조글단의 동시 성형이 가능한 프레스 성형장치
KR102287908B1 (ko) 헤밍작업전환이 용이한 프레스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