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280A - 자동차의 선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280A
KR20040088280A KR1020030022406A KR20030022406A KR20040088280A KR 20040088280 A KR20040088280 A KR 20040088280A KR 1020030022406 A KR1020030022406 A KR 1020030022406A KR 20030022406 A KR20030022406 A KR 20030022406A KR 20040088280 A KR20040088280 A KR 2004008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roof panel
vehicle
sea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280A/ko
Publication of KR2004008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는 차량의 천정부를 형성하고 소정크기의 개방홀이 형성된 루프패널과, 상기 개방홀에 설치되어 실내를 채광 또는 환기시키는 선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운전석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1선루프와, 상기 루프패널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2선루프로 구성되어, 뒷좌석 또는 앞좌석에 설치된 선루프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패턴에 상관없이 승객에게 양호한 채광 및 환기를 제공할 수 있고, 운전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선루프 {A sunroof unit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선루프가 설치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앞좌석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뒷좌석에도 선루프가 설치되어 뒷자석 승객에게 양호한 채광 및 환기기능을 제공하며, 뒷좌석 승객에게 보다 높은 개방감을 줄 수 있는 자동차의 선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안전운전을 위한 운전편의 장치들은 물론 승객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설치된다.
그중 한 가지로 자동차의 루프패널을 하늘과 같은 실외 풍경을 볼 수 있으며, 차실 내부로 자연채광을 가능하게 하며, 보다 원활한 환기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선루프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의 차실의 천정부를 이루는 루프패널에 소정크기의 개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홈에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되는 선루프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선루프는 강화유리로 제작되어 상측으로의 양호한 채광 및 조경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선루프는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슬라이딩 방식과, 디플렉터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방식은 도 1과 같이, 개폐시 상기 선루프(20)가 상기 루프패널(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개방홈(15)을 개폐시키도록구성되고, 상기 디플렉터 방식은 도 2와 같이, 상기 선루프(40)의 일측이 상기 루프패널(3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며 상기 개방홈(35)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방식중 슬라이딩 방식은 고급차에 더욱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일측에 상기 선루프가 수납되는 공간을 필요로 하는바, 상기 루프패널의 가운데 부분 또는 운전자의 조작편의를 위해 운전석 및 조수석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는 최고급차량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최고급차량의 대부분은 운전은 전문운전기사가 하게되고, 자동차의 실소유주인 승객의 뒷좌석에 앉게되는바, 뒷좌석에 앉는 승객은 상기 선루프를 통해 실외관측이 어렵고, 개방감을 확실하게 느끼기도 어렵거니와 자연채광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조작장치가 운전석의 상부에 위치되는바, 상기 선루프의 개폐를 위해 전문운전기사에게 부탁을 하거나 몸을 움직여야 되므로 안전운전에도 지장을 초래하였다.
이에 상기 선루프가 뒷좌석의 상측에 위치된 자동차가 제작되었으나, 휴일 등 가족단위의 나들이시 자가운전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상기와 같은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운전석은 물론 뒷좌석에도 선루프가 설치되어 운전패턴에 상관없이 승객에게 양호한 채광 및 환기를 제공할 수 있고, 운전편의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선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루프패널 55 : 제 1개구홀
56 : 제 2개구홀 60 : 제 1선루프
61 : 제 1루프본체 62 : 제 1가이드
63 : 제 1공간부 65 : 제 2선루프
66 : 제 2루프본체 67 : 제 2가이드
68 : 제 2공간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는 차량의 천정부를 형성하고 소정크기의 개방홀이 형성된 루프패널과, 상기 개방홀에 설치되어 실내를 채광 또는 환기시키는 선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운전석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1선루프와, 상기 루프패널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2선루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선루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는 차량의 천장부를 형성하는 루프패널의 일측에 소정크기의 개방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홀에는 실내를 채광 또는 환기시키는 선루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루프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제 1선루프(60)와 제 2선루프(65)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제 1선루프(60)는 상기 루프패널(50)의 조수석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루프패널(50)의 운전석 상측에는 제 1개구홀(5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개구홀(55)에는 제 1루프본체(61)가 장착되어 상기 제 1개구홀(5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 1개구홀(55)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루프본체(61)의 양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가이드(62)가 설치되고, 상기 루프패널(50)의 조수석 상측에는 슬라이딩 이동된 제 1루프본체(61)가 수납되는 제 1공간부(63)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 2선루프(65)는 상기 루프패널(50)의 뒷열 왼쪽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루프패널(50)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는 제 2개구홀(5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개구홀(56)에는 제 2루프본체(66)가 장착되어 상기 제 2개구홀(5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개구홀(56)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2루프본체(66)의 양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2가이드(67)가 설치되고, 상기 루프패널(50)의 뒷열 왼쪽 상측에는 슬라이딩 이동된 제 2루프본체(66)가 수납되는 제 2공간부(6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선루프는 보다 편리한 작동을 위해 상기 선루프(60,65)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자동화 장치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 제 1선루프(60)에는 상기 제 1루프본체(61)에 연결되어 상기 제 1루프본체(61)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루프패널(50)의 운전석 상측에는 운전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제 1구동장치에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 1누름조작부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2선루프(65)에는 상기 제 2루프본체(66)에 연결되어 상기 제 2루프본체(66)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2루프패널(50)의 운전석 상측에는 운전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제 2구동장치에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 2누름조작부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누름조작부는 사용의 편의 및 뒷좌석 승객의 오조작 또는 안전을 위해 상기 제 2누름조작부의 기능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최고급 승용차의 경우, 운전은 전문운전기사들이 하게 되고 차량의 실소유주는 뒷열 오른쪽, 즉 통상적으로 상석이라 불리는 자리에 앉게 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편의장치는 운전편의성을 위해 운전석에 집중되는 바, 차량의 실소유주는 각종 편의장치의 혜택을 누리기가 어렵다. 이에 고급차종의 경우 뒷좌석용 편의장치가 별로도 추가되어 출고되고 있으나, 구조 및 설계변경이 어려운 경우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일예로 선루프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선루프는 차량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앞좌석 또는 뒷좌석으로 설치장소가 구분되어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운전기사들이 있는 경우라도, 차량의 실소유자가 개인적인 용무, 또는 가족단위의 나들이시에는 운전기사가 대동되지 않고, 차량의 실소유자가운전을 하게 되는 경우 또한 빈번하다.
본 발명은 상석의 상측과 운전석의 상측에 각각 선루프가 설치되어, 운전기사가 대동된 경우 상석에 앉은 승객이 뒷열에 설치된 선루프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되어, 자연채광을 할 수 있고, 보다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며, 주위 시계가 탁 트여 보이게되어 개방감이 증가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의 상측에도 선루프가 설치되어, 운전중 자연채광 및 환기가 가능하다.
특히, 자가운전 또는 운전기사가 운전을 하게되는 다양한 운전패턴을 갖는 소비자의 경우, 편의시설을 잘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에 앉은 전문운전자가 운전석 상측에 설치된 제 1누름조작부를 눌러 상기 제 1선루프(60)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석에 앉은 승객이 상석 상측에 별도로 설치된 제 2누름조작부를 눌러 상기 제 2선루프(65)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누름조작부는 상기 제 2선루프의 작동을 같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누름조작부는 상기 제 2누름조작부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차량의 실소유주가 운전을 하게될 경우 운전석에 앉은채로 상기 제 2선루프(65)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처 닫지 못한 상기 제 2선루프(65)를 용이하게 닫거나 열 수 있어, 운전자의 필요시 상기 제 2선루프(65)만을 열고 상기 제 1선루프는 닫을 수 있게되어, 운전자가 바람을 직접 맞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운전석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1선루프와, 상기 루프패널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2선루프로 구성되어, 뒷좌석 또는 앞좌석에 설치된 선루프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패턴에 상관없이 승객에게 양호한 채광 및 환기를 제공할 수 있고, 운전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천정부를 형성하고 소정크기의 개방홀이 형성된 루프패널과,
    상기 개방홀에 설치되어 실내를 채광 또는 환기시키는 선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운전석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1선루프와,
    상기 루프패널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제 2선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조수석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운전석 상측에 형성된 제 1개구홀을 개폐하는 제 1루프본체와,
    상기 제 1루프본체의 양측면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제 1개구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루프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가이드와,
    상기 제 1루프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루프본체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구동장치와,
    상기 제 1루프패널의 운전석 상측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제 1구동장치에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 1누름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뒷열 왼쪽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선루프는 상기 루프패널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 형성된 제 2개구홀을 개폐하는 제 2루프본체와,
    상기 제 2루프본체의 양측면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제 2개구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루프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가이드와,
    상기 제 2루프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루프본체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구동장치와,
    상기 제 2루프패널의 뒷열 오른쪽 상측에 위치되어 승객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제 2구동장치에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 2누름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누름조작부는 상기 제 2누름조작부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KR1020030022406A 2003-04-09 2003-04-09 자동차의 선루프 KR20040088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06A KR20040088280A (ko) 2003-04-09 2003-04-09 자동차의 선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06A KR20040088280A (ko) 2003-04-09 2003-04-09 자동차의 선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280A true KR20040088280A (ko) 2004-10-16

Family

ID=3737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406A KR20040088280A (ko) 2003-04-09 2003-04-09 자동차의 선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2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4748A (zh) * 2021-12-15 2022-04-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布置结构及其控制方法
KR102424635B1 (ko) 2022-04-06 2022-07-22 심원중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4748A (zh) * 2021-12-15 2022-04-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布置结构及其控制方法
KR102424635B1 (ko) 2022-04-06 2022-07-22 심원중 차량용 선루프 레일의 면취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7357A1 (en) Vehicle door system
CN106080145B (zh) 双开式的全景式天窗及其操作方法
JPH085322B2 (ja) 車両用摺動屋根装置
JP2000219043A (ja) 変位自在のサンシェ―ド部材を有する開閉自在な車両ル―フ
US6880884B2 (en) Vehicle sunroof structure
KR20040088280A (ko) 자동차의 선루프
US20180201102A1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US6508507B2 (en) Roll-up sunroof shade
KR930006158B1 (ko) 차량용 슬라이딩가능한 지붕장치
US7222908B1 (en) Automotive open air system
US20190299763A1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KR102621543B1 (ko) 양방향 오픈 선루프 구조
GB2386868A (en) Seat assembly incorporating vehicle partition
JPH08192693A (ja)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トリム
JP2007524538A (ja) 自動車用のルーフ開放システム
KR100440286B1 (ko) 자동차용 선루프
KR200140981Y1 (ko) 버스용 채광장치
KR100534300B1 (ko) 자동차용 선루프레일의 장착구조
JPH0339845B2 (ko)
KR200179716Y1 (ko) 자동차의 외기 흡입구조
KR100502678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JP2539910Y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0157765B1 (ko) 차량용 환기장치
JPH03159818A (ja) 車両の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KR19990024308U (ko) 자동차 연료 주입구의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