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678B1 -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678B1
KR100502678B1 KR1020040117733A KR20040117733A KR100502678B1 KR 100502678 B1 KR100502678 B1 KR 100502678B1 KR 1020040117733 A KR1020040117733 A KR 1020040117733A KR 20040117733 A KR20040117733 A KR 20040117733A KR 100502678 B1 KR100502678 B1 KR 100502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sub
slider
sub slid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락
최임섭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 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 동희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 동희
Priority to KR102004011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개시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는, 선루프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메카니즘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서브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서브 슬라이더 본체와, 삽입공에 이송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유동형 바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형 바에 의해 메카니즘부가 연동되는 구성이다.
상기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에 의하면, 동일 열림량을 기준으로 선루프 길이를 줄임으로서 선루프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고, 루프 패널 사이즈가 작은 차량에서의 선루프의 실질 열림량을 증대시킴으로서 탑승자에게 더 확대된 개방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Sub-slider of sun roof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선루프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선루프를 개폐하고 상하로 틸팅(tilting)하는 메카니즘부를 구동하는 서브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루프 패널과 헤드라이너 사이에는 글라스와 선세이드를 부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도록 선루프가 선택사양으로 장착된다.
상기 선루프는 차 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차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차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선루프는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덮는 글라스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형과 틸트형으로 분류된다.
슬라이드형은 글라스가 루프 패널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타입이고, 틸트형은 글라스의 후단이 들어 올려지는 타입이다.
이때 글라스는 빛 투과율이 높은 투명유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사광선이 차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고 운전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여 안전운행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루프 패널의 개구부에 형성된 프레임상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선세이드를 채용한다.
상기한 선루프는 프레임, 선세이드, 글라스 및 메카니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프레임은 자동차의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너 사이에 장착되어지고, 선세이드는 프레임 하부측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글라스는 메카니즘부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연결되는 바, 이 메카니즘부는 선루프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메카니즘부를 작동하는 서브 슬라이더에 의해 작동된다.
종래에는 이 서브 슬라이더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선세이드의 전개방(full open) 지점과 메카니즘부의 정지 위치가 동일하여 탑승자가 느낄 수 있는 실질 열림량이 매우 작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첨부된 도 1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서처럼 선루프가 닫힌 상태에서, 도 1b에서처럼 미도시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서브 슬라이더(1)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메카니즘부(5)가 틸트업(tilt up) 되어 글라스 어세이(3)와 미도시된 선세이드가 열리는데, 전개방 지점에서 선세이드가 프런트 스토퍼(7)에 의해 정지되어 메카니즘부(5)와 글라스 어세이(3)의 개방이 완료되었다.
미설명 부호 2는 바이고, 6은 선세이드 슈(shoe)이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 개구량은 287.4mm이고, 열림량은 131.5mm가 된다.
여기서 열림량은 탑승자가 차 실내에서 측정 가능한 글라스 어세이(3) 끝단과 헤드 라이너(8) 끝단과의 최대 거리이다.
또한 개구량은 차체 루프의 뚫린 구멍의 크기로서 글라스 사이즈가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바(2)가 서브 슬라이더(1)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2)가 메카니즘부(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세이드의 전개방 지점과 메카니즘부의 정지 위치가 동일하여 탑승자가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열림량은 작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브 슬라이더의 바를 서브 슬라이더 본체와 일체형으로 하지 않고 유동형 메카니즘 연동구조로 변경하여 불필요한 길이를 줄임으로 선루프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고, 제한된 선루프 개구로부터 선루프의 실질적인 개방량을 증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는 선루프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메카니즘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서브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서브 슬라이더 본체와, 삽입공에 이송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유동형 바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형 바에 의해 메카니즘부가 연동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슬라이드부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메카니즘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서브 슬라이더부(300)는 서브 슬라이더 본체(310)와 그 서브 슬라이더 본체(310)에 이송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어세이(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카니즘부는 선루프의 개폐와 틸트 업/다운을 가능하게 하고 글라스 어세이와 연동된다.
서브 슬라이더 본체(310)는 길이 반대방향으로 축공(312)이 형성되고 축공(312)이 형성된 일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공(314)이 형성된 삽입편(316)이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하부로는 사출시 본체 형상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사출구멍(31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316)은 축공(312)의 아래에 중앙 상부가 반원을 이루게 형성되어 삽입공(314)이 2개로 분할되고, 삽입편(316)에 형성된 2개의 삽입공(314)에는 하나의 바(322)가 연속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바 어세이(320)는 서브 슬라이더 본체(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형상이 정면에서 보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322)의 일단에서는 아래로 직각 절곡되고, 타단에서는 후방으로 상향되게 절곡된 후 아래로 직각되고 다시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그 끝단에 퓨셔(324, pusher)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 본체(310)의 삽입편(316)에 형성된 삽입공(314)에 바(322)가 이송 가능하게 내삽되고 절곡된 부위에 의해 일정길이만 이송 가능하게 된다.
도 4a와 도 4b는 도 2의 서브 슬라이더를 메카니즘부와 조립된 상태에서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a는 닫힌 상태이고, 도 4b는 종래 전개방 지점에서의 열린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카니즘부는 지지구(510), 리프트(520), 슬라이더(530), 타이밍 프런트(540), 캠(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구(510) 상부에는 미도시된 글라스 어세이가 위치되고 그 하부에는 서브 슬라이더(300)와 선세이드가 위치된다.
상기 지지구(510)의 전방으로는 상부에 지지구(510)의 일부가 얹어지는 리프트(520)가 위치된다.
또한 리프트(520)의 전방으로는 슬라이딩홀(552,554)이 2개 형성된 캠(550)이 위치되고 제1슬라이딩홀(552)에는 슬라이더(530)에 형성된 슬라이딩축(532)이 끼워져 후방의 서브 슬라이더(310)에 형성된 축공(31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30)와 서브 슬라이더(310)는 같이 움직이게 된다.
제2슬라이딩홀(554)에는 타이밍 프런트(540)의 축(542)이 끼워지고 이 타이밍 프런트(540)의 일단은 리프트(5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블(56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562)는 슬라이더(530)에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어 같이 움직이게 된다.
미설명 부호 564는 슈이고, 566은 링크 커넥터이다.
도 5a 및 도 5b 도 2의 서브 슬라이더를 사용하는 경우 선루프의 열린 상태를 배면에 본 도면으로서, 도 5a는 종래 전개방 지점에서의 열린 상태(도 4b 상태),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카니즘부와 글라스 어세이가 더 이송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이다.
선루프가 닫힌 상태에서, 도 5a에서처럼 미도시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서브 슬라이더 본체(3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메카니즘부(500)가 틸트업(tilt up) 되어 글라스 어세이(200)와 선세이드가 열리는데, 종래에는 전개방 지점에서 선세이드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어 메카니즘부(500)와 글라스 어세이(200)의 개방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의 전개방 지점에서 선세이드가 정지하여도, 도 5b에서와 같이 서브 슬라이더(310)에 이송 가능하게 삽입된 유동형 바(320)에 의해 메카니즘부(500)와 글라스 어세이(200)가 일정길이(약 30mm) 더 열리게 되어 개방감을 증대시킨다.
즉, 본 발명은 선세이드가 전개방된 후 정지하여도 바(320)가 유동형으로 되어 종래의 전개방 지점에서 서브 슬라이더(310)가 바(320)를 따라서 이송됨에 따라, 메카니즘부(500)가 약 30mm 더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메카니즘부(500)와 그 상부에 장착된 글라스 어세이(200)가 더 열리게 되어 탑승자가 느낄 수 있는 개방감이 증대 되고, 동일 열림량 대비 선루프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어 소형화와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b나 도 5a에서 열림량(l)은 131.5mm이나 같은 개구량에서 도 5b에서의 열림량(l+m) 즉, 글라스 어세이(200) 끝단과 헤드 라이너(100) 끝단과의 최대 거리는 163.5mm가 되어 종래 고정형에 비해 유동형 연동구조의 선루프 열림량이 32mm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동일 열림량 선루프 사이즈를 기준으로 약 30mm의 선루프 길이를 줄임으로서 선루프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루프 패널 사이즈가 작은 차량에서의 선루프의 실질 열림량을 증대시킴으로서 탑승자에게 더 확대된 개방감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일체형 서브 슬라이더를 사용하는 경우 선루프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슬라이더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도 2의 서브 슬라이더를 메카니즘부와 조립된 상태에서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 도 2의 서브 슬라이더를 사용하는 경우 선루프의 열린 상태를 배면에 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드 라이너 200 : 글라스 어세이
300 : 서브 슬라이더부 310 : 서브 슬라이더 본체
312 : 축공 314 : 삽입공
316 : 삽입편 318 : 사출구멍
320 : 바 어세이 322 : 바
324 : 푸셔 500 : 메카니즘부
510 : 지지구 520 : 리프트
530 : 슬라이더 540 : 타이밍 프런트
550 : 캠

Claims (4)

  1. 선루프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메카니즘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서브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서브 슬라이더 본체와, 삽입공에 이송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유동형 바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형 바에 의해 메카니즘부가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서브 슬라이더 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편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 하부의 서브 슬라이더 본체에는 사출시 서브 슬라이더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사출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바는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일정길이만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KR1020040117733A 2004-12-31 2004-12-3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KR10050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733A KR100502678B1 (ko) 2004-12-31 2004-12-3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733A KR100502678B1 (ko) 2004-12-31 2004-12-3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678B1 true KR100502678B1 (ko) 2005-07-20

Family

ID=3730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733A KR100502678B1 (ko) 2004-12-31 2004-12-3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6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9042B2 (en) Automotive sun visor device
US6682149B1 (en) Roof that can be retracted into the trunk of a vehicle
US9186971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un roof deflector
US20080155902A1 (en) Integrated polycarbonate window assembly
US7850231B2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US10618386B2 (en)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structure
US8740295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paring line of panoramic sunroof
US20180326821A1 (en) Drive system for a movable roof part of a spoiler roof module of a motor vehicle
US20050280293A1 (en)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4415195A (en) Automobile windows
US6767044B2 (en) Roof construct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8042302B2 (en) Window pane for a motor vehicle
JPS61200025A (ja) 自動車のチルト・スライド式サンル−フ
US20110120020A1 (en) Device for closing off a window made in a motor vehicle, corresponding roof and corresponding vehicle
US6979055B2 (en) Sunroof for vehicle
US6880884B2 (en) Vehicle sunroof structure
KR100502678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서브 슬라이더
CN108312817B (zh) 电动遮光罩和天窗的结构
KR100527139B1 (ko) 자동차용 디플렉터의 지지구조
KR100969021B1 (ko) 자동차용 선루프 선세이드의 마운팅구조
CN216401136U (zh) 用于车辆的天窗组件
KR102484933B1 (ko) 틸팅 선루프 구조
JPH08192693A (ja)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トリム
JP2539910Y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20040088280A (ko) 자동차의 선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