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804B1 -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804B1
KR101870804B1 KR1020170008344A KR20170008344A KR101870804B1 KR 101870804 B1 KR101870804 B1 KR 101870804B1 KR 1020170008344 A KR1020170008344 A KR 1020170008344A KR 20170008344 A KR20170008344 A KR 20170008344A KR 101870804 B1 KR101870804 B1 KR 10187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heet
sheets
blanking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
김근식
Original Assignee
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 filed Critical 주진
Priority to KR102017000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804B1/ko
Priority to US15/865,256 priority patent/US2018020077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2Devices for pil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3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with a stepwise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0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65G2814/0307Adding to the top the loading platform being lowered during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7Other problems
    • B65H2601/272Skewing of handled material during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42Die-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므로, 기존의 낱장 카운팅 작업 및 낱장 정렬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추후의 낱장 접착공정 또는 낱장 용접공정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Apparatus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laminar members blanked respectively}
본 발명은 낱장을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랭킹 블록에 의해서 한 장씩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장(라미나 부재)을 적층하여 만들어지는 적층 코아는 발전기나 모터 등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사용되며,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적층 코아는 적층 코아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7804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6274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9903호 등에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rotor와 stator(이하, 낱장이라 함)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여 낱장(1)을 만들기 위한 블랭킹 유닛(10)과, 만들어진 낱장(1)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컨베이어(16)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블랭킹 유닛(10)은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과, 하부 금형에 설치된 다이(14)를 포함한다.
블랭킹 블록(12)이 다이(14)에 대해 상하 왕복이동을 하면 금속 스트립(3)이 블랭킹되어 낱장(1)이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낱장(1)은 블랭킹 공간(s)으로 밀려들어간 후, 아래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16)로 하나씩 떨어진다.
컨베이어 벨트(16)는 모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서 무한궤도상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면에 놓여진 낱장(1)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16)에서는 낱장(1)이, 질서 있게 적층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가 서로 겹쳐진 무질서한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추후의 낱장 접착작업 또는 낱장 용접작업을 위하여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카운팅하는 작업과 카운팅된 낱장을 정렬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낱장 카운팅 작업 및 정렬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낱장(1)을 이용하여 회전자 또는 고정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정렬해서 적층해야 하는데, 일부가 서로 겹쳐진 무질서한 상태로 배출된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카운팅하여 정렬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낱장(1)에 다수 개의 슬롯 등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러한 슬롯이 서로 일치되도록 정렬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된다.
또한, 낱장(1)은 그 두께가 대략 0.1mm ~ 1mm로서 얇기 때문에 이러한 정렬 작업을 하는 동안에 파손되거나 휘어지기도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 장씩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낱장 용접작업 또는 낱장 접착작업을 위해서 기존에 이루어지던 낱장 개수 카운팅 작업과 낱장 정렬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한다.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200)(300)는,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를 구비하고, 상기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는 동시에 승,하강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낱장들이 피스톤 로드(242)의 상단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피스톤 로드(242)에 적재된 낱장들이 피스톤 로드(2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24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26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벨트(262)를 포함하고, 벨트(262)는 구동모터 등에 의해서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된다.
상기 이격된 벨트 사이에 피스톤 로드(242)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42)가 하강하여 벨트(262)의 아래로 이동하면 낱장들이 벨트(262)에 적재된다.
홀더(110)는 블랭킹 공간(s)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각 홀더(110)의 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홀더(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홀더(110)를 후진시킬 수 있는 후진용 실린더(120); 및, 홀더(11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된 홀더(110)가 전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25);를 포함한다.
미리 정해진 매수의 낱장(1)이 지지부(112)에 적층되면 후진용 실린더(120)가 작동(후진)하여 낱장이 적재 블록(142) 또는 피스톤 로드(242)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직후 또는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후 소정 횟수의 블랭킹이 추가로 이루어진 다음에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이 중지되어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서 홀더(110)가 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홀더(110)는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형성된 원형 홈(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원형 홈(20)에는 스토퍼(119)가 홀더(110)의 앞쪽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19)는 홀더(110)의 과도한 전진을 제한하여 낱장(1)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장치(100)(200)(300)는 수평이동용 실린더(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평이동용 실린더(170)는 승하강 실린더(140)의 측방향에 설치된다. 승하강 실린더(140)는 적재 블록(142)에 낱장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고, 승하강 실린더(140)가 아래로 이동된 상태에서 수평이동용 실린더(170)가 수평방향으로 신장하여 적재 블록(142)에 적층된 낱장들을 컨베이어(160)로 이동시킨다.
홀더(110)의 위에는 낱장(1)의 직경(d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여유 공간부(30)가 형성되고, 여유 공간부(30)의 위에는 아래 식을 만족하는 핀치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식]
Figure 112017005928736-pat00001
상기 식에서,
d1 : 낱장(1)의 직경.
d2 : 핀치부(40)의 내부 직경.
핀치부(40)에서는 낱장(1)의 중심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핀치부(40)로부터 낱장(1)이 하나씩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지지부(112)는 홀더(110)의 선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지지부(112)의 윗면은 수평선에 대해 30° ~ 60°의 각도(P)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낱장(1)의 테두리에 다수 개의 슬롯이 요입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원통형 배럴(50)의 측벽과 여유 공간부(30)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가 슬롯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낱장(1)의 회전이 방지된다.
적재 블록(142)은 블랭킹이 소정 회수로 이루어질 때 마다 소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제품의 두께 편차를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100)는 적재블록(142)에 센서(145)를 설치함으로써 아래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2)에 낱장(1)이 소정 매수 적층되었을 때 승하강 실린더(140)가 상승하여 지지부(112)를 터치하면 센서(142)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천천히 하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홀더(110)가 후진되어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던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지고, 이어서 홀더(110)가 상기 후진된 상태를 유지한 채 블랭킹이 계속되어 낱장이 적재 블록(142)에 추가로 적재되는 동안에 승하강 실린더(140)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며,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1)이 미리 정해진 매수가 되면 승하강 실린더(140)의 하강이 중지되고 홀더(110)가 전진하여 지지부(112)가 낱장(1)을 지지하게 되며 수평 이동용 실린더(170)가 전진하여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을 컨베이어(16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한 장씩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고, 이에 따라 기존에 블랭킹 공정 이후에 이루어지던 낱장 카운팅 작업과 낱장 정렬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낱장 접착작업 또는 낱장 용접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탄성 부재(125)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홀더(110)를 원위치로 전진시키되 홀더(110)의 과도한 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119)를 설치함으로써 낱장(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핀치부(40)가 구비되므로, 블랭킹된 낱장이 한 장씩 홀더(110)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낱장(1)을 정확한 매수로 적층할 수 있다.
넷째, 블랭킹된 낱장(1)이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층된 낱장들의 슬롯이 서로 어긋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지지부(112)와 적재 블록(142) 사이의 간격을 최소로 함으로써, 낱장(1)이 아래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흐트러지는 방지하거나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rotor와 stator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블랭킹된 낱장이 배출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배출 장치에 구비된 홀더와 이동 수단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 ~ 9는 배출 장치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7에서 홀더가 개방된 상태(후진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2는 도 6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3은 센서가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인덱싱 유닛과 센서를 구비하는 승하강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승하강 실린더를 구비하는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배출 장치에 구비된 홀더와 이동 수단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 장치(100)는 홀더(110)와, 홀더(110)를 전,후진시키는 이동수단 및,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한다. 배출장치(100)는 블랭킹 블록(12)과 다이(14)에 의해서 금속 스트립(3)이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정렬된 상태로 적층하여 컨베이어(160)로 배출한다.
블랭킹 블록(12)은 프레스(11)에 설치되어 프레스(11)와 함께 상하 왕복이동을 하면서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낱장(1)을 제조한다. 그리고, 블랭킹이 계속됨에 따라 낱장(1)은 밀려서 아래로 이동한다. 블랭킹 블록(12)과 다이(14)에 의한 금속 스트립(3)의 블랭킹 공정은 당업계에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이(14)의 아래에는 원통형 배럴(50), 핀치부(40), 여유 공간부(30) 및, 홀더(110)에 의해서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 공간을 편의상 '블랭킹 공간(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6 ~ 9에서 원통형 배럴(50) 내부의 점들은 낱장(1)을 나타낸다. 즉,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도 6 ~ 9의 원통형 배럴(50) 내부의 낱장(1) 중 일부는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블랭킹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원통형 배럴(50)의 내부는 낱장(1)으로 채워져 있고, 블랭킹된 낱장(1)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밀려서 내려간다.
홀더(110)는 원형 홈(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원형 홈(20)은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원형 홈(20)의 둘레에는 90° 간격으로 탄성부재(125)를 설치하기 위한 홈(22)이 형성되고, 후진용 실린더(120)를 설치하기 위한 홈(24)이 180°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두 개의 홀더(110)가 180° 간격으로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홀더(1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세 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홀더(110)의 개수가 3개인 경우에는 120° 간격으로 배치되고 홀더(110)의 개수가 4개인 경우에는 90°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홀더(110) 후단에는 후진용 실린더(120)와 탄성부재(125)가 설치된다.
홀더(11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14)와 요입부(115)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4)의 선단에는 지지부(112)가 형성되고, 요입부(115) 중에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에는 스토퍼(119)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19)는 원형 홈(2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홀더(110)의 과도한 전진을 방지함으로써 낱장(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후진용 실린더(120)에 의해서 후진되었던 홀더(110)가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서 전진할 경우에 홀더(110)가 과도하게 전진하거나 후진용 실린더(120)가 오작동 되면 낱장(1)이 과도한 힘을 받아서 변형될 수 있는데, 스토퍼(119)는 홀더(110)의 과도한 전진을 방지함으로써 낱장(1)의 변형을 방지한다.
홀더(110)의 양쪽 단부에는 연결 바(121)와의 체결을 위한 홈(116)이 형성된다. 연결 바(121)의 선단 양측은 홈(116)과 형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선단 양측이 홈(116)에 삽입됨으로써 홀더(110)와 연결 바(121)가 체결된다. 하나의 연결 바(121)가 양측 홀더(110)의 홈(116)에 삽입되므로, 연결 바(121)가 전,후진하면 양측의 두 홀더(110)가 동시에 전,후진 하게 된다.
홀더(110)의 선단에는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부(112)의 윗면은 수평선에 대해 30° ~ 60°의 각도(P)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수단은 후진용 실린더(120)와 탄성부재(125)를 포함한다.
후진용 실린더(120)는 홈(24)에 설치된다. 후진용 실린더(120)는 실린더 본체(123)와 연결 바(121)를 포함한다.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은 프레스(11)의 작동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랭킹이 10회 이루어질 때마다 후진용 실린더(120)가 작동되어 홀더(110)를 후진시킬 수도 있다. 이를 대신하여, 블랭킹이 5회 이루어진 후 후진용 실린더(120)가 작동하여 홀더(110)가 개방(후진)되고 이어서 이러한 개방된 상태가 블랭킹이 추가로 15회 이루어질 때까지 유지된 후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이 중지되어 홀더(110)가 폐쇄(전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적재블록(142)에 총 20개의 낱장(1)이 적재 및 정렬된 후 컨베이어(160)로 이동된다.
도 3, 4, 6은 후진용 실린더(12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 즉, 홀더(110)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전진 상태에서는 블랭킹된 낱장(1)이 지지부(112)에 걸리게 된다. 한편, 도 7, 10은 후진용 실린더(120)가 작동하여 홀더(110)가 후진한 상태를 보여준다. 홀더(110)가 후진하면 지지부(112)에 적층되어 있던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6은 지지부(112)에 낱장들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도 7은 홀더(110)가 후진함에 따라 지지부(112)에 적층되어 있던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진 것을 보여준다.
지지부(112)에 적층되어 있던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진 직후, 또는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진 후 추가적으로 소정 횟수의 블랭킹이 더 이루어진 후에는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이 중지되고 탄성부재(1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홀더(110)가 전진하게 되며, 홀더(110)가 전진하면 블랭킹된 낱장(1)이 지지부(112)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25)는 후진된 홀더(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각 홀더(110)에는 탄성부재(125)가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 각 홀더(110)에 두 개 이상의 탄성부재(12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25)는 몸체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26)과,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봉(127)을 구비한다.
가압봉(127)은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서 홀더(110)를 전진시키는 힘을 인가한다.
한편, 홀더(110)의 위에는 핀치부(40)와 여유 공간부(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치부(40)는 원통형 배럴(50)의 아래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핀치부(40)의 내부 직경(d2)은 낱장(1)의 직경(d1)과 아래와 같은 수학식을 만족시킨다.
Figure 112017005928736-pat00002
상기 식에서,
d1 : 낱장(1)의 직경.
d2 : 핀치부(40)의 내부 직경.
핀치부(40)의 내부 직경(d2)이 낱장의 직경(d1) 보다 약간 작으므로, 핀치부(40)에 진입한 낱장들은 그 중심부가 서로 이격된다. 즉, 도 11 ~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핀치부(40)에 진입한 낱장(1)은 아래로 볼록하게 미세하게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서 낱장(1)의 중심부는 서로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으로 인해서 낱장(1)은 서로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112)에 한 장씩 떨어지게 된다. 만약, 핀치부(40)가 없다면, 낱장(1)에는 펀칭 오일 등이 묻어 있으므로 낱장(1)이 약하게 서로 접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꺼번에 두 장 이상의 낱장(1)이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1 ~ 12에서는 낱장(1)과 낱장(1) 사이의 틈을 구분하기 위해서 낱장(1)에 단면 표시를 하였다.
상기 수학식 1에서, (d1-d2)/d1 이 3×10-4 보다 작은 경우에는 낱장(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충분하지 않게 되고 (d1-d2)/d1 이 1×10-3 보다 큰 경우에는 낱장(1)의 변형 가능성이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여유 공간부(30)는 핀치부(40)와 홀더(110) 사이에 마련된다. 여유 공간부(30)는 낱장(1)의 직경 보다 약간 큰 내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유 공간부(30)는 홀더(110)가 오작동할 경우 아래로 배출되지 못한 낱장(1)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여유 공간부(30)의 높이(h)는 대략 10mm ~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높이(h)가 10mm 미만이면 홀더(110)가 오작동할 경우 이에 대처할 시간이 부족하고, 상기 높이(h)가 15mm를 초과하면 낱장(1)이 낙하하는 동안에 회전되는 문제 등이 발생하여 정렬에 어려움이 생긴다.
한편, 낱장의 종류에 따라서는 낱장의 테두리에 다수 개의 슬롯이 요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슬롯이 형성된 낱장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9903호, 제10-097657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원통형 배럴(50)의 내측벽과 여유 공간부(30)의 내측벽에는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는 슬롯에 삽입되어 낱장이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낱장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통형 배럴(50)의 내측벽과 여유 공간부(30)의 내측벽에 모두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두 개의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만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승하강 실린더(140)는 홀더(110)의 아래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승하강 실린더(140)의 상단에는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지지부(112)에 적층되어 있던 낱장들이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서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다. 그리고, 적재 블록(142)에 낱장들이 적층되면 승하강 실린더(14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강 후 적재 블록(142)에서 낱장들이 제거되면 승하강 실린더(140)가 위로 상승한다.
도 7은 홀더(110)가 개방되어 지지부(112)에 적층되어 있던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진 것을 보여주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홀더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승하강 실린더(140)가 천천히 하강하는 동안에 블랭킹된 낱장(1)이 적재블록(142)에 적재된다. 이어서, 승하강 실린더(140)가 소정 높이까지 하강하면 하강이 정지되고, 수평이동용 실린더(170)가 작동하여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컨베이어(160)에 적재한다. 컨베이어(160)에 적재된 낱장들은 낱장 접착공정 또는 낱장 용접공정 또는 포장 공정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장치(100)는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므로, 기존 장치에서 이루어지던 낱장 카운팅 작업과 정렬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승하강 실린더(140)가 하강되는 동안에도 홀더(1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낱장(1)이 적재블록(142)에 계속 적재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홀더(110)가 개방되어 지지부(112)에 적층된 낱장들이 적재블록(142)에 적재된 직후에 곧바로 홀더(110)가 폐쇄(전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핀치부(40)으로부터 새롭게 떨어진 낱장은 지지부(112)에 적층된다.
수평이동용 실린더(170)는 승하강 실린더(140)의 측방향에 설치된다. 도 8 ~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이동용 실린더(170)는 적재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을 컨베이어(160)로 이동시킨다.
승하강 실린더(140)와 수평이동용 실린더(170)의 작동은 프레스(11)의 승강(블랭킹)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랭킹이 5회 이루어진 후 6번째 블랭킹이 이루어질 때 승하강 실린더(140)가 하강을 시작하고 20번째 블랭킹이 이루어진 직후에 하강이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21번째 블랭킹이 이루어질 때 수평이동용 실린더(170)가 작동을 개시하여 적재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을 컨베이어(160)로 이동시키고, 25번째 블랭킹이 이루어지기 전에 승하강 실린더(140)가 원위치까지 상승을 완료한다. 이 경우에는 적재블록(142)에 총 20개의 낱장들이 적재된다.
도 13은 적재블록(142)에 센서(145)가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140)를 보여준다. 적재블록(142)은 상부 블록(143)과 하부 블록(144)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블록(143)(144)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스프링(146)과 센서(145)가 설치되어 있다.
승하강 실린더(140)가 상승하여 적재블록(142)의 상단이 지지부(112)에 닿게 되면 상부 블록(143)과 하부 블록(144)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는데, 센서(145)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는 홀더(110)를 후진시켜 지지부(112)에 적층되어 있던 낱장들이 적재블록(142)으로 떨어지도록 하고 승하강 실린더(14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승하강 실린더(140)가 하강하면 스프링(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간격이 원래의 간격으로 회복된다. 이 경우에는 적재블록(142)과 지지부(112) 사이의 거리를 최소로 함으로써 낱장(1)의 낙하거리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므로, 낱장(1)이 흐트러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4는 인덱싱 유닛과 센서(145)를 구비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를 구비하는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금속 스트립(3)은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금속 스트립(3)이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다수 개 적층할 경우 좌,우측의 두께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승하강 실린더(140)는 적재 블록(142)을 피스톤 로드(147)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인덱싱 유닛을 이용하여 적재 블록(142)을 소정 매수마다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블랭킹이 20회 이루어질 때 마다 적재 블록(142)을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 120°, 18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인덱싱 유닛은 적재 블록(142)의 외주면에 설치된 벨트(149)를 포함한다. 인덱싱 유닛은 프레스의 상하 운동과 연동되어 작동하는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6575호, 제10-0578043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라면 인덱싱 유닛의 구성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덱싱 유닛은 전동모터(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프레스의 상하 운동이 소정 횟수로 이루어질 때마다 센서(도면에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가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벨트(149)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재 블록(142)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15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장치(200)는 홀더(110)와, 홀더(110)를 전,후진시키는 이동수단과, 승하강 실린더(240) 및, 컨베이어(26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배출장치(100)와 비교하여, 배출장치(200)는 컨베이어(260)가 y 방향(紙面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평방향 이동용 실린더(170)가 필요하지 않으며, 승하강 실린더(240)가 적재 블록(142)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승하강 실린더(240)는 컨베이어(260)의 아래에 설치되되,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가 컨베이어(260)를 관통하여 동시에 승하강 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242)의 상단에 적재된 낱장들은 피스톤 로드(242)가 하강하면 컨베이어 벨트(260)에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가 완료되면 피스톤 로드(242)는 원위치로 상승한다.
컨베이어 벨트(26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벨트(262)를 포함한다. 벨트(262)는 구동모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서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된다. 벨트(26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피스톤 로드(242)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16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장치(300)는 홀더(110)와, 홀더(110)를 전,후진시키는 이동수단과, 승하강 실린더(240) 및, 컨베이어(26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배출장치(200)와 비교하여, 배출장치(300)는 승하강 실린더(240)가 컨베이어(260)의 양측에 설치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양측 승하강 실린더(240)의 선단에 연결 평판(244)이 설치되고, 연결 평판(244)에는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가 설치된다. 양측 승하강 실린더(240)가 승하강되면 그에 따라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는 동시에 승하강된다.
피스톤 로드(242)의 선단에 적재된 낱장들은 피스톤 로드(242)가 하강하면 컨베이어(260)에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가 완료되면 피스톤 로드(242)가 원위치까지 상승된다.
1 : 낱장 3 : 금속 스트립
100, 200, 300 : 배출장치 30 : 여유 공간부
40 : 핀치부 50 : 원통형 배럴
110 : 홀더 112 : 지지부
120 : 후진용 실린더 125 : 탄성부재
140, 240 : 승하강 실린더 160, 260 : 컨베이어
170 : 수평이동용 실린더

Claims (10)

  1.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 및,
    수평이동용 실린더(170);를 포함하고,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수평이동용 실린더(170)는 승하강 실린더(140)의 측방향에 설치되며,
    승하강 실린더(140)는 적재 블록(142)에 낱장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고, 승하강 실린더(140)가 아래로 이동된 상태에서 수평이동용 실린더(170)가 수평방향으로 신장하여 적재 블록(142)에 적층된 낱장들을 컨베이어(16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2.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를 구비하고, 상기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는 동시에 승,하강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낱장들이 피스톤 로드(242)의 상단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피스톤 로드(242)에 적재된 낱장들이 피스톤 로드(2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240);를 포함하고,
    컨베이어(26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벨트(262)를 포함하고, 벨트(262)는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며, 상기 이격된 벨트 사이에 피스톤 로드(242)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242)가 하강하여 벨트(262)의 아래로 이동하면 낱장들이 벨트(262)에 적재되고,
    홀더(110)의 위에는 낱장(1)의 직경(d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여유 공간부(30)가 형성되고, 여유 공간부(30)의 위에는 아래 식을 만족하는 핀치부(40)가 형성되며,
    핀치부(40)에서는 낱장(1)의 중심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핀치부(40)로부터 낱장(1)이 하나씩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식]
    Figure 112018005235570-pat00022

    상기 식에서,
    d1 : 낱장(1)의 직경.
    d2 : 핀치부(40)의 내부 직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더(110)는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두 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각 홀더(1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홀더(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홀더(110)를 후진시킬 수 있는 후진용 실린더(120); 및
    홀더(11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된 홀더(110)가 전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25);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매수의 낱장(1)이 지지부(112)에 적층되면 후진용 실린더(120)가 후진하여 낱장이 적재 블록(142) 또는 피스톤 로드(242)에 떨어지며,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직후 또는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후 소정 횟수의 블랭킹이 이루어진 다음에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이 중지되어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서 홀더(110)가 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더(110)는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형성된 원형 홈(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원형 홈(20)에는 스토퍼(119)가 홀더(110)의 앞쪽에 설치되며,
    스토퍼(119)는 홀더(110)의 과도한 전진을 제한하여 낱장(1)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5.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하고,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홀더(110)의 위에는 낱장(1)의 직경(d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여유 공간부(30)가 형성되고, 여유 공간부(30)의 위에는 아래 식을 만족하는 핀치부(40)가 형성되며,
    핀치부(40)에서는 낱장(1)의 중심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핀치부(40)로부터 낱장(1)이 하나씩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식]
    Figure 112018005235570-pat00023

    상기 식에서,
    d1 : 낱장(1)의 직경.
    d2 : 핀치부(40)의 내부 직경.
  6.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하고,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홀더(110)는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두 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각 홀더(1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홀더(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홀더(110)를 후진시킬 수 있는 후진용 실린더(120); 및
    홀더(11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된 홀더(110)가 전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25);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매수의 낱장(1)이 지지부(112)에 적층되면 후진용 실린더(120)가 후진하여 낱장이 적재 블록(142)에 떨어지며,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직후 또는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후 소정 횟수의 블랭킹이 이루어진 다음에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이 중지되어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서 홀더(110)가 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지지부(112)는 홀더(110)의 선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지지부(112)의 윗면은 수평선에 대해 30° ~ 60°의 각도(P)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7.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를 구비하고, 상기 세 개 이상의 피스톤 로드(242)는 동시에 승,하강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낱장들이 피스톤 로드(242)의 상단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피스톤 로드(242)에 적재된 낱장들이 피스톤 로드(2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240);를 포함하고,
    컨베이어(26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벨트(262)를 포함하고, 벨트(262)는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며, 상기 이격된 벨트 사이에 피스톤 로드(242)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242)가 하강하여 벨트(262)의 아래로 이동하면 낱장들이 벨트(262)에 적재되고,
    홀더(110)는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두 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각 홀더(1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홀더(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홀더(110)를 후진시킬 수 있는 후진용 실린더(120); 및
    홀더(11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진된 홀더(110)가 전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25);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매수의 낱장(1)이 지지부(112)에 적층되면 후진용 실린더(120)가 후진하여 낱장이 피스톤 로드(242)에 떨어지며,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직후 또는 낱장(1)이 지지부(112)에서 제거된 후 소정 횟수의 블랭킹이 이루어진 다음에 후진용 실린더(120)의 작동이 중지되어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서 홀더(110)가 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지지부(112)는 홀더(110)의 선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지지부(112)의 윗면은 수평선에 대해 30° ~ 60°의 각도(P)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8.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하고,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다이(14)의 아래에는 블랭킹된 낱장(1)이 아래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원통형 배럴(50)이 설치되고, 원통형 배럴(50)의 아래에는 여유 공간부(30)가 설치되며, 낱장(1)의 테두리에는 다수 개의 슬롯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원통형 배럴(50)의 측벽과 여유 공간부(30)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슬롯에 삽입되는 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기가 슬롯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낱장(1)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9.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하고,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프레스(11)의 상하 운동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인덱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적재 블록(142)은 승하강 실린더(140)의 피스톤 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인덱싱 유닛은 낱장(1)이 일정 매수씩 적재블록(142)에 적층될 때마다 적재 블록(142)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10. 프레스(11)에 설치된 블랭킹 블록(12)이 금속 스트립(3)을 블랭킹하여 만들어진 낱장(1)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낱장(1)을 지지하기 위해서 블랭킹 공간(s)의 둘레에 설치된 홀더(110);
    홀더(110)를 블랭킹 공간(s)의 중심에 대해 전,후진 시키는 이동수단; 및,
    홀더(110)의 아래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낱장(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블록(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홀더(110)의 후진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 적재되면 아래로 이동하고,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에서 제거되면 위로 상승하는 승하강 실린더(140);를 포함하고,
    홀더(110)의 선단에는 낱장(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지지부(112)에 낱장(1)이 소정 매수 적층되었을 때 승하강 실린더(140)가 상승하여 지지부(112)를 터치하면 홀더(110)가 후진하여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던 낱장들이 적재 블록(142)으로 떨어지고, 이어서 홀더(110)가 상기 후진된 상태를 유지한 채 블랭킹이 계속되어 낱장이 적재 블록(142)에 추가로 적재되는 동안에 승하강 실린더(140)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며,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1)이 미리 정해진 매수가 되면 승하강 실린더(140)의 하강이 중지되고 홀더(110)가 전진하여 지지부(112)가 낱장(1)을 지지하게 되며 수평 이동용 실린더(170)가 전진하여 적재 블록(142)에 적재된 낱장들을 컨베이어(16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KR1020170008344A 2017-01-17 2017-01-17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KR10187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44A KR101870804B1 (ko) 2017-01-17 2017-01-17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US15/865,256 US20180200778A1 (en) 2017-01-17 2018-01-09 Apparatus for stacking and aligning laminar members blanked respectively and transporting the stacked and aligned laminar members to 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44A KR101870804B1 (ko) 2017-01-17 2017-01-17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804B1 true KR101870804B1 (ko) 2018-06-25

Family

ID=6280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44A KR101870804B1 (ko) 2017-01-17 2017-01-17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200778A1 (ko)
KR (1) KR101870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131B1 (ko) 2021-02-10 2022-05-18 주식회사 케디엠 분리 이동구조를 갖는 블랭킹 제품 고속 적재이송장치
KR20220089779A (ko) *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 호원 프레스 장치
CN114726166A (zh) * 2022-04-29 2022-07-08 上海凯测工程技术有限公司 潮流能发电用的永磁同步发电机装配生产线及生产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6687B2 (ja) * 2019-04-18 2022-10-0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金型装置
WO2023237982A1 (en) * 2022-06-07 2023-12-14 Corrada S.P.A. Apparatus for collecting bulk layered packs for electrical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74B1 (ko) * 2012-08-16 2013-11-04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라미나 부재를 소정 매수씩 적층된 상태로 배출하는 블랭킹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2218A (en) * 1947-12-05 1950-06-20 Francis C Worth Discharging magazine and holder
US5346206A (en) * 1992-01-02 1994-09-13 Rima Enterprises, Inc. Processing a stream of imbricated printed products into successive stacks
US6053695A (en) * 1997-12-02 2000-04-25 Ite, Inc. Tortilla counter-stacker
DE19847551A1 (de) * 1998-10-15 2000-04-20 Schuler Pressen Gmbh & Co Vorrichtung zum Stanzen und stanzbildgerechten Stapeln von Stanzblechen
DE10060180A1 (de) * 2000-12-04 2002-06-06 Gaemmerler Ag Kreuzleger
US6845860B1 (en) * 2004-02-20 2005-01-25 Arr Tech, Inc. Conveyor transfer apparatus
US10214367B2 (en) * 2016-06-03 2019-02-26 Gruma S.A.B. De C.V. Rotating stac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74B1 (ko) * 2012-08-16 2013-11-04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라미나 부재를 소정 매수씩 적층된 상태로 배출하는 블랭킹 유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779A (ko) *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 호원 프레스 장치
KR102436647B1 (ko) * 2020-12-21 2022-08-30 주식회사 호원 프레스 장치
KR102399131B1 (ko) 2021-02-10 2022-05-18 주식회사 케디엠 분리 이동구조를 갖는 블랭킹 제품 고속 적재이송장치
CN114726166A (zh) * 2022-04-29 2022-07-08 上海凯测工程技术有限公司 潮流能发电用的永磁同步发电机装配生产线及生产工艺
CN114726166B (zh) * 2022-04-29 2023-03-24 上海凯测工程技术有限公司 潮流能发电用的永磁同步发电机装配生产线及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00778A1 (en)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804B1 (ko) 한 장씩 블랭킹된 낱장을 소정 매수씩 적층 및 정렬하여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장치
US9101973B2 (en) Laminated work production method
EP3202695A1 (en) Device for loading bound product
JPS6133916A (ja) 集積包装機用製品供給装置
JP2016132034A (ja)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KR870005451A (ko) Ic 시이트 절단 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ic 시이트 가공장치
CN109013962B (zh) 定转子冲片分料、理料方法
CN111014445B (zh) 钣金件加工设备
CN105082145A (zh) 一种送料取料同步机械手、送料取料同步的方法及装置
CN116081316A (zh) 用于书本收料的输送、移送、堆叠一体式码垛系统
KR101325774B1 (ko) 라미나 부재를 소정 매수씩 적층된 상태로 배출하는 블랭킹 유니트
JP5930721B2 (ja) ブランキング加工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28792A (ko) 스택커 번들러 및 그 제어방법
CN217806966U (zh) 一种电芯步进搬运装置
JP5237158B2 (ja) 薄板状物品の供給装置
CN214226873U (zh) 二极管封装机自动上料装置
CN112456158A (zh) 片料双工位上料装置
CN105108024B (zh) 一种冲孔模卸料装置
CN212449573U (zh) 一种储料供料机构
CN112439846A (zh) 金属制品的排出装置以及金属制品的制造方法
CN115768573A (zh) 用于收集长形产品的设备和方法
JP4836259B2 (ja) 基板の自動分割方法、自動分割装置
KR101694339B1 (ko) 블랭크 공급장치
CN217427928U (zh) 定子铁芯制造装置
CN217393560U (zh) 一种可拆卸定位上料机构及冲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