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301A -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301A
KR20220089301A KR1020200179800A KR20200179800A KR20220089301A KR 20220089301 A KR20220089301 A KR 20220089301A KR 1020200179800 A KR1020200179800 A KR 1020200179800A KR 20200179800 A KR20200179800 A KR 20200179800A KR 20220089301 A KR20220089301 A KR 2022008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composition
hot melt
adhesive layer
substrat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욱
우승건
우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무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301A/ko
Priority to US17/405,724 priority patent/US11851591B2/en
Publication of KR2022008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301A/ko
Priority to US18/388,304 priority patent/US202400841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 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5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65중량% 내지 85중량%,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0중량% 내지 30중량%,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Graft)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중량% 내지 5중량% 및 산화방지제 0.1중량% 내지 2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ENVIRONMENT-FRIENDLY HOT MELT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사용하는 접착제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용제의 배출이 매우 적어 환경 친화적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부직포 형태로 가공된 핫멜트 웹 등의 액상 핫멜트를 주로 사용했다. 액상 핫멜트는 상대적으로 용제에 잘 용해되어 분산이 쉽고 가공이 용이하여 자동차 내장재를 접착하기 위한 소재로 널리 이용된다.
또한, 부직포 형태로 가공된 핫멜트 웹의 주성분은 결정성을 가지는 저융점 폴리아마이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등이기 때문에 국내외 자동차 업계들은 이를 친환경 내장재용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핫멜트 웹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스펀지에 미리 가접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핫멜트 웹상에 천연 가죽 또는 인조 가죽을 접착할 때 재단물을 사용하여 열프레스에서 접착해야 하므로 재단 후 버려지는 스펀지와 핫멜트 소재의 폐기물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더해, 핫멜트 웹의 불균일성, 통풍 성능 저하 등의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55924호
본 발명은 스펀지 등의 표면의 셀을 막지 않아 자동차 내장재의 통풍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는 핫멜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펀지 등의 기재상에 박막으로 도포할 수 있는 핫멜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정성 고분자로만 이루어져 도포 및 건조시 딱딱하고 접촉 온도가 너무 높았던 기존의 핫멜트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핫멜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65중량% 내지 85중량%,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0중량% 내지 30중량%,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Graft)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중량% 내지 5중량% 및 산화방지제 0.1중량% 내지 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열분석시 40℃ 내지 60℃에서 발견되는 제1 융점 피크; 및 100℃ 내지 110℃에서 발견되는 제2 융점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밀도가 1.05g/cm3 내지 1.15g/cm3이며 융점이 95℃ 내지 10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는 산가(Acid value)가 5% 미만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는 융점 피크가 40℃ 내지 60℃에 존재하고, 연화점(softening point)이 120℃ 내지 140℃이며, ShoreA 경도 값이 80A 내지 90A인 것일 수 있다.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그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무수말레인산을 1중량%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융점이 70℃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는 기재,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위치하는 표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상기 기재의 두께의 30% 내지 7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핫멜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표피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코팅롤을 사용하여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기 접착층을 형성한 뒤, 상기 기재 및 접착층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기재가 상기 코팅롤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핫멜트 조성물을 기재상에 도포하고 표피층을 부착하면 되기 때문에 핫멜트 웹을 기재상에 가접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핫멜트 조성물을 기재상에 박막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기재 표면의 셀을 막지 않아 자동차 내장재의 통풍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재단된 기재상에 핫멜트 조성물을 도포하면 되기 때문에 폐기되는 기재와 핫멜트 웹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정성 소재와 비결정성 소재를 적절히 배합하여 핫멜트 조성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핫멜트 조성물로 형성한 접착층의 딱딱한 질감 및 높은 접착 온도 등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을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a는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a는 크립 내구성 평가를 위해 각 시편을 설치한 상태이다.
도 4b는 크립 내구성 평가를 위해 각 시편을 특정 조건에서 정치시킨 뒤의 상태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좌측이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시편이고, 우측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시편이다.
도 5a는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에 소정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상태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에 소정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상태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도 6a는 도 5a의 자동차 내장재에서 하중을 제거하고 복원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도 6b는 도 5b의 자동차 내장재에서 하중을 제거하고 복원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도 7a는 도 6a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도 7b는 도 7a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를 72시간 동안 복원한 뒤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도 8a는 도 6b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도 8b는 도 8a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를 72시간 동안 복원한 뒤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65중량% 내지 85중량%,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0중량% 내지 30중량%,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Graft)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중량% 내지 5중량% 및 산화방지제 0.1중량% 내지 2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정성이 높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와 비결정 구조를 갖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를 적절한 함량으로 병용하여 냉각속도가 빠르고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유연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핫멜트 조성물을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의 함량과 지방족 폴리아마이드의 함량이 위 수치 범위에 속할 때,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밀도가 1.05g/cm3 내지 1.15g/cm3이며, 융점이 95℃ 내지 105℃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는 산가(Acid value)가 5% 미만이고, 융점 피크가 40℃ 내지 60℃에 존재하며, 연화점(Softening point)이 120℃ 내지 140℃이고, Shore A 경도 값이 80A 내지 90A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산가”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g 속에 함유된 유리지방산 및 기타 산성 물질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또한, “융점 피크”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를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로 열분석하였을 때, 발견되는 피크를 의미한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의 융점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의 융점이 위 수치 범위에 속할 때, 전술한 냉각속도, 접착력, 유연성 및 가공성을 균형 있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일종의 상용화제로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무수말레인산이 작용기로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융점이 70℃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그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무수말레인산을 1중량%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힌더드페놀계, 하이드로퀴논유도체, 페놀계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기재(10), 상기 기재(10)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20) 및 상기 접착층(20) 상에 위치하는 표피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자동차 내장재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층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스폰지, 폼, 부직포 등의 오픈 셀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1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름, 시트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접착층(20)은 전술한 핫멜트 조성물을 상기 기재(10) 상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20)은 두께가 상기 기재(10)의 두께의 30% 내지 7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20)의 두께가 위 수치 범위에 속할 때, 용융된 핫멜트 조성물이 상기 기재(10)의 안쪽까지 스며들지 않아 상기 접착층(20)이 박막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기재(10)의 표면의 형상이 상기 표피층(30) 상으로 표현되는 오렌지 필(Orange peel)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표피층(30)은 최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자동차 내장재를 자동차에 탑재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표피층(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죽,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표피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코팅롤을 사용하여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가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매개로 상기 코팅롤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 및 접착층을 포함하는 중간체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기재를 상기 코팅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롤로 말려 올라가는 기재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공기의 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일련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에어팬을 사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냉각속도를 한층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한 열분석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열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은 40℃ 내지 60℃에서 발견되는 제1 융점 피크 및 100℃ 내지 110℃에서 발견되는 제2 융점 피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융점 피크를 통해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 융점 피크를 통해서는 상기 핫멜트 조성물이 결정성을 가져 일정한 온도가 돼야 안정적으로 용융되고 이 용융온도를 벗어나면 빠르게 냉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접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2 - 표면 품질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과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각각 스펀지 표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가죽을 부착한 뒤, 그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3a는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의 결과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의 결과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종래의 것은 스펀지의 표면 형상이 가죽의 표면에 요철처럼 드러나는 오렌지 필 현상이 발생한 반면, 본 발명은 가죽의 표면이 매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3 - 크립(Creep) 내구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과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각각 스펀지 표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가죽을 부착하여 폭 25mm 및 길이 150mm의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각 시편에서 50mm을 강제 박리한 뒤 100g의 추를 강제 박리된 말단부에 매달고, 100℃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24시간이 지난 뒤 박리된 길이를 측정하여 크립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도 4a는 크립 내구성 평가 전 각 시편을 설치한 상태이다. 도 4b는 각 시편을 위 조건에서 정치시킨 뒤의 상태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좌측이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시편이고, 우측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시편이다.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시편은 약 80mm가 박리된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시편은 전혀 박리되지 않았다.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그 융점보다 약 20℃ 내지 40℃ 정도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가죽 등의 표피층이 과다 수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은 그 융점에 비해 10℃ 내지 20℃ 정도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 접착하여도 우수한 접착력을 보이기 때문에 표피층의 과다 수축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4 - 꺾임 주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과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각각 스펀지 표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가죽을 부착하여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각 자동차 내장재에 20분 동안 소정의 하중을 가하였다. 도 5a는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말단이 지표면과 약 24mm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말단이 지표면과 약 15mm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가 하중에 의한 꺾임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자동차 내장재에서 소정의 하중을 제거하고 20분 동안 복원시켰다. 도 6a는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말단이 지표면과 약 4mm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를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말단이 지표면과 약 2mm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가 꺾임에 대한 복원력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도 6a에 따른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도 7b는 상기 자동차 내장재를 72시간 동안 복원한 뒤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는 74시간 동안의 복원 후에도 꺾임 주름이 널고 깊게 패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a는 도 6b에 따른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도 8b는 상기 자동차 내장재를 72시간 동안 복원한 뒤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는 꺾임 주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72시간 후에는 완전히 복원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5
융점 피크가 하기 표 1과 같은 핫멜트 조성물들에 대하여 접착강도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구분 제1 융점
피크
제2 융점
피크
접착강도 내열 사이클
(단품)
크립
내구성
표피재 수축 꺾임주름
실시예5 40~60℃ 100~110℃ 합격(8N)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비교예1 30~39℃ 90~99℃ 합격(5.6N) 불합격
(90℃/24h)
불합격 합격 합격
비교예2 61℃ 이상 110℃ 이상 합격(7N)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인 실시예5는 모든 물성이 목적하는 수준에 달하였으나, 융점 피크가 낮은 비교예1은 내열 싸이클 및 크립 내구성이 좋지 않고, 융점 피크가 높은 비교예2는 표피재 수축 및 꺾임주름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6
조성이 하기 표 2와 같은 핫멜트 조성물들에 대하여 접착강도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구분 조성 함량
[중량%]
접착
강도
내열
싸이클
크립
내구성
표피재 수축 꺾임
주름
실시예6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65~85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0~30
그라프트중합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5
첨가제 0.1~2
비교예3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64 합격 불합격 불합격 합격 불합격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30
그라프트중합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6
첨가제 -
비교예4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86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0
그라프트중합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
첨가제 -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조성물인 실시예6은 모든 물성이 목적하는 수준에 달하였다. 한편,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함량이 낮고 그라프트중합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함량이 높은 비교예3은 내열 싸이클, 크립 내구성 및 꺾임 주름이 좋지 않다. 또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함량이 많은 비교예4는 표피재 수축 및 꺾임 주름이 좋지 않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기재 20: 접착층 30: 표피층

Claims (14)

  1.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65중량% 내지 85중량%;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10중량% 내지 30중량%; 및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Graft)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중량%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핫멜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열분석시
    40℃ 내지 60℃에서 발견되는 제1 융점 피크; 및
    100℃ 내지 110℃에서 발견되는 제2 융점 피크를 포함하는 것인 핫멜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밀도가 1.05g/cm3 내지 1.15g/cm3이며, 융점이 95℃ 내지 105℃인 것인 핫멜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는 산가(Acid value)가 5% 미만인 것인 핫멜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는 융점 피크가 40℃ 내지 60℃에 존재하고, 연화점(softening point)이 120℃ 내지 140℃이며, ShoreA 경도 값이 80A 내지 90A인 핫멜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그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무수말레인산을 1중량%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인 핫멜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융점이 70℃ 내지 100℃인 것인 핫멜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핫멜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0.1중량% 내지 2중량%를 더 포함하는 핫멜트 조성물.
  10. 기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핫멜트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위치하는 표피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상기 기재의 두께의 30% 내지 70%인 것인 자동차 내장재.
  12. 기재 상에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핫멜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표피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코팅롤을 사용하여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하는 것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한 뒤, 상기 기재 및 접착층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기재가 상기 코팅롤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200179800A 2020-12-21 2020-12-21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KR20220089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800A KR20220089301A (ko) 2020-12-21 2020-12-21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US17/405,724 US11851591B2 (en) 2020-12-21 2021-08-18 Environment-friendly hot-melt composition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
US18/388,304 US20240084174A1 (en) 2020-12-21 2023-11-09 Environment-friendly hot-melt composition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800A KR20220089301A (ko) 2020-12-21 2020-12-21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301A true KR20220089301A (ko) 2022-06-28

Family

ID=8202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800A KR20220089301A (ko) 2020-12-21 2020-12-21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851591B2 (ko)
KR (1) KR202200893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24B1 (ko) 2017-11-24 2018-05-09 주식회사 에스앤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930A (en) * 1980-04-07 1981-11-10 Eastman Kodak Company Multi-component hot melt adhesives having excellent high temperature properties
JP2867406B2 (ja) * 1989-02-09 1999-03-0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多相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653178A1 (de) * 1996-12-19 1998-06-25 Inventa Ag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 Formmass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ormmasse und Verwendung derselben
CA2386717A1 (en) * 2001-05-21 2002-11-21 Kuraray Co., Ltd. Polyamide composition
US8691911B2 (en) * 2011-01-31 2014-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lt-blended thermoplast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24B1 (ko) 2017-11-24 2018-05-09 주식회사 에스앤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5254A1 (en) 2022-06-23
US11851591B2 (en) 2023-12-26
US20240084174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57943B (en) Adhesive blends compris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3541194B2 (ja) 温度感応性接着剤組成物
JP608123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4710494B2 (ja) 湿気硬化性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組成物
US10696880B2 (en) Polyester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EP3029121A2 (en) Surface 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13137109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08266520A (ja) 接着性樹脂水性エマルジョン
KR20180013761A (ko) 의복 접착용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20220089301A (ko)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핫멜트 조성물
JP622873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00248249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およびその用途
JP5202068B2 (ja) 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一液型接着剤及び積層体、並びに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7384824B2 (ja) 皮膚貼着用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6427265B2 (ja) 水活性化両面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JP5303171B2 (ja) 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一液型接着剤及び積層体、並びに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53748A (ja) マスキングテープまたはシート
US804369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r restoring adhesive properties of a selectively-resealable adhesive
Temi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tapes and labels
US5151493A (en) Radiation-cured film web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6930861B2 (ja) 粘着積層体
JPH08269416A (ja) 水溶性粘着剤組成物
JPH08120251A (ja) 水溶性粘着剤組成物及びマスキング用粘着テープ
JPH06184501A (ja) 水溶性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もしくはラベル
WO1998055559A1 (de) Verfahren zum elastischen verkleben von substratflä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