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635A - 케이블의 전달, 배치 및/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전달, 배치 및/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635A
KR20220088635A KR1020217038789A KR20217038789A KR20220088635A KR 20220088635 A KR20220088635 A KR 20220088635A KR 1020217038789 A KR1020217038789 A KR 1020217038789A KR 20217038789 A KR20217038789 A KR 20217038789A KR 20220088635 A KR20220088635 A KR 20220088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ocomotive
track
along
incline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 순 탄
코 잉 웡
Original Assignee
파워 웍스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 웍스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워 웍스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8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케이블 배치 시스템에는 모듈식, 일반적으로는 바닥 표면에서 올려진 수평 모노레일 트랙; 이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카트로서, 각 카트는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을 지지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카트; 및 기관차의 움직임 카트들을 견인하고 따라서 트랙을 따라 케이블을 당기도록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 가능하거나 결합된 기관차를 포함한다. 기관차에 결합 또는 결합 가능한 램프 구조물은 경사진 경사 경로를 제공한다. 기관차가 아직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은 경사 경로의 하단에 근접한 케이블의 다른 부분을 향해 이동할 때 케이블의 부분들은 경사 경로를 따라 상방으로 또는 상방 및 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및/또는 안내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의 전달, 배치 및/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본 개시는 케이블 홈통(cable trough) 옆과 아래에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그 케이블을 터널 또는 통로와 같은 공간-제약 환경 내 케이블 홈통까지 전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력 케이블 견인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을 당기는 케이블 윈치(winch) 및 롤러들(rollers)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근법은, 기계 설정을 확립하기 위해 및/또는 장거리(예를 들어, 15 내지 25 킬로미터)에 걸쳐 있을 수 있고 터널 샤프트가 특정 간격(예를 들어, 2 내지 5 킬로미터마다)으로 이격되어 있는 터널 또는 통로 내에서 전력 케이블을 견인 및/또는 구성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인력과 시간이 요구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전력 케이블이 전개되고 설치되는 터널 또는 통로에 사용하는데 최적으로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종래의 전력 케이블 설치 접근법은, 전력 케이블이 케이블 홈통 내로 당겨지고, 구성되고 및/또는 안내되는 경로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다수의 롤러 및 케이블 견인 기계의 설치를 요구한다. 상기 견인 프로세스는 케이블의 일 단부에 하나 이상의 와이어 로프의 부착과 케이블의 다른 단부에서 윈치(winch)로부터 점진적으로 전력 케이블의 나머지 부분의 해제를 추가로 요구한다.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전력 케이블을 터널을 통해서 안으로 견인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500m 내지 1000m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게 긴 길이를 갖는 와이어 로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장거리에 걸친 와이어 로프 및 전력 케이블의 관리 및 기동은 전형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며, 공간-제한된 터널 내에서 작업이 수행될 때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는 보통 1 내지 2톤의 인장력의 긴장 상태에 있다. 와이어 로프, 케이블 헤드 및 윈치 주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끊임없는 노출은 상당한 작업 안전 위험을 제기한다.
케이블 터널에서 전력 케이블을 구성하고 전달하기 위한 종래의 접근법의 하나 이상의 단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및/또는 대안적인 시스템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가늘고 긴 케이블을 이동시키거나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고, 상기 케이블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시스템은: (a) 조립된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고 해체된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해체 가능한 복수의 트랙 조립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트랙(modular track)으로서, 각각의 트랙 조립체는: 인접한 트랙 조립체의 다른 가늘고 긴 레일에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가늘고 긴 레일; 및 상기 조립된 트랙이 놓여 있는 바닥면으로부터 멀리 상기 트랙 조립체의 상기 가늘고 긴 레일을 상방으로 올리거나 매달도록 구성된 레일 지지 구조물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모듈식 트랙; (b) 각각 상기 조립된 트랙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을 통해 상기 조립된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거나 장착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트랙에 대해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을 안전하게 유지 및 지지하거나 매달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카트로서, 각각의 카트는: 상기 카트가 지지하거나 매다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면, 시트(seat), 리세스(recess), 슬롯(slot), 또는 채널(channel)을 갖는 바디(body);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된 트랙의 상기 레일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롤러들의 세트; 및 상기 카트가 지지하거나 매다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선택된 부분과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선택된 부분의 안전한 유지를 돕도록 구성된 밴드(band), 벨트, 스트랩(strap), 또는 랩(wrap)을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 및 전형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c)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견인력을 발휘하기 위해 상기 조립된 트랙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한 기관차로서, 여기서 상기 기관차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i) 상기 기관차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배향되고, (ⅱ) 상기 기관차의 대향하는 제2 단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향되고, (ⅲ) 상기 기관차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를 향하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기관차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끌려가는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들이 상기 조립된 트랙 상의 상기 복수의 카트에 지지되거나 매달리는 경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관차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카트의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과 함께 상기 조립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거나 이동 가능한, 기관차;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이 없는 경우, 상기 조립된 트랙 상에 장착된 각각의 카트는 일반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카트의 존재에 의해서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이 간섭받거나 구속된다.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카트들이 상기 케이블의 어떤 부분도 운반하지 않을 때,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그러한 카트들은 일반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상기 조립된 트랙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된다.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카트들이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들을 운반하는 경우,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그러한 카트들은 일반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상기 조립된 트랙 및 상기 케이블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된다.
각각의 트랙 조립체에서, 상기 레일 지지 구조물들의 세트는 한 쌍의 레일 지지 구조물이고, 여기서 제1 레일 지지 구조물은 상기 트랙 조립체의 상기 레일의 제1 단부의 밑면에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고, 제2 레일 지지 구조물은 상기 트랙 조립체의 상기 레일의 대향하는 제2 단부의 밑면에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립된 트랙은 일반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모노레일 트랙이다.
각각의 카트의 상기 롤러들의 세트는 상기 조립된 트랙의 좌측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롤러 및 상기 조립된 트랙의 우측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트랙을 따라 상기 카트의 마찰이 감소된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을 용이하거나 가능하게 한다(예를 들어, 상기 조립된 트랙의 레일들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관차 자체가 일반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상기 조립된 트랙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기관차는 일반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조립된 트랙에 걸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관차에 장착되거나 장착 가능하고 경사 경로를 제공하는 플랫폼, 비계(scaffold), 또는 램프(ramp)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경사 경로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관차의 일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 경로의 높은 단부는 상기 기관차의 대향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 경로의 낮은 단부보다 수직으로 더 높으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부분들은 상기 기관차가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들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및/또는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은 상기 기관차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은 상기 기관차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퀴들의 세트(예를 들면,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높은 단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바;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지지 바는 다른 지지 바보다 수직으로 더 높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바는,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들을 향한 상기 기관차의 이동 동안 상기 케이블의 부분들이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로부터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높은 단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기 부분들을 점진적으로 올리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의 세트가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에 결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의 세트는,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들을 향한 상기 기관차의 이동 동안 상기 케이블의 부분들이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부분들을 측 방향으로 안내, 라우팅 또는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의 세트는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측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케이블 안내 구조물은,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들을 향한 상기 기관차의 이동 동안 상기 케이블의 부분들이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기 부분들의 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케이블 견인을 위한 종래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트랙 조립체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트랙 조립체 유닛을 사용하여 형성된 트랙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트랙에 장착 가능한 카트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이 케이블을 다수의 개별 카트들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된 케이블을 상기 카트들을 따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관차(locomotive)를 도시한다.
도 7은 케이블의 일 단부가 한 쌍의 와이어 로프에 의해 기관차에 결합되는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케이블을 홈통 내부에 은폐하고 및/또는 수용하기 위한 홈통 내로 상기 케이블의 은폐되지 않은 부분을 지향시키고 및/또는 안내하기 위한 경사 경로를 갖는 플랫폼이 통합된 기관차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케이블을 홈통 내로 안내하고 및/또는 지향시키는 경사 경로 상에 배열된 복수의 안내 요소들과 케이블의 맞물림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조들, 방법들, 또는 다른 필수 특성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형태들은 모든 면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대략" 또는 "약"은, 구성요소, 위치/장소, 조건 등과 관련된 표현의 문맥에서, 언급된 값의 +/- 0%, 언급된 표현의 +/- 5%, 또는 언급된 표현의 +/- 4%, 또는 언급된 표현의 +/- 3%, 또는 언급된 표현의 +/- 2%, 또는 언급된 표현의 +/- 1%, 또는 언급된 표현의 +/- 0.5%, 또는 언급된 표현의 +/- 0%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은폐되지 않은 케이블(unsheltered cable)" 또는 "은폐되지 않은 케이블의 일부"는 케이블 홈통과 같은 리셉터클(receptacle)또는 인클로저(enclosure)에 은폐되거나 수용되기 전에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세그먼트를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300)의 신속하고 마찰 감소된 전달 및/또는 배치를 용이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표적인 시스템(100)의 측면들을 도시한다. 케이블(300)은 전력 케이블(예를 들어, 고전압 전력 케이블), 또는 다른 유형의 케이블, 또는 케이블-유사 구조물 예를 들어 파이프일 수 있다. 시스템(100)은 트랙(110)을 포함하고, 이 트랙(110)은 전형적으로(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모노레일 트랙이고, 이 트랙은 전형적으로 바닥면(105)(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을 따르는 바닥면이거나 작업자의 작업면에 대응함)인 지지면 또는 지지 구조물 위에 놓이고 및/또는 그에 부착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트랙(110)에 차례로, 연속해서 또는 일렬로 탑재되는 복수의 개별 카트(1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카트들(130)은 서로 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카트들(130) 각각은 표면, 홀더 또는 좌석/안장 부분(138)을 구비하여 상기 표면(138) 위에 놓이는 케이블(300)의 선택된 또는 특정 부분을 수용한다. 시스템(100)은 또한 최전방 카트(130a)의 전방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차(prime mover)(예를 들어,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원동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기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세트) 또는 기관차(180)(버기(buggy)로도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300)의 일 단부(303)는 주어진 기관차(180)에 의해 운반되거나 그에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되고, 케이블(300)의 뒤따르는 부분들은 기관차(180)를 뒤따르는 복수의 카트(130) 상에 배치되거나 지지되거나 매달린 선택된 또는 특정 부분들을 갖는다(예를 들면, 여기서 케이블(300)의 그러한 선택된 뒤따르는 부분들은 그것들이 배치된 카트 표면(138)에 의해 지지되거나 매달린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는 모터 및 제어기/제어 유닛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 캐리지, 샤시, 및/또는 플랫폼 구조물들의 세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모터는 바퀴들의 세트(전형적으로 4개 또는 6개 바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음)(182)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들(182)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여 기관차(180)를 (예를 들어, 바닥면(105)를 따라) 추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바닥면(105)에 대한 바퀴(182)의 회전은 바닥면(105)을 따라 기관차(180)를 이동, 구동 또는 추진할 수 있다. 바퀴(182)의 제1 서브세트는 기관차(180)의 제1 또는 좌측 측면에 배치되고, 따라서 트랙(110)의 대응하는 제1 또는 좌측 측면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으며; 바퀴(184)의 제2의 대향하는 또는 우측 서브세트는 기관차(180)의 제2의 대향하는 또는 우측 측면에 배치되고, 따라서 트랙(110)의 대응하는 제2의 대향하는 또는 우측 측면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 및 그에 결합된 바퀴(182)는 따라서 (예를 들어, 트랙(110)이 기관차(180)의 제1 또는 좌측 측면과 기관차(180)의 제2 또는 우측 측면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트랙(110)에 걸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의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특정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는 기관차(180)를 추진하기 위한 특정 구동 요소(예: 바퀴(182))에 의해 구동되는 트레드들(treads)의 세트(예를 들어, 제1 또는 좌측 트레드 및 제2 또는 우측 트레드와 같은 한 쌍의 트레드)에 결합될 수 있다.
기관차(180)는, 케이블(300)의 뒤따르는 부분들이 위에 놓인 카트(130)와 함께 케이블(300)을 목표 방향으로 또는 목표 목적지를 향하여 당기는 견인력을 발휘하여, 기관차(180)가 목표 목적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카트(130)가 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고 케이블(300)이 트랙(110)을 따른 카트(130)의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에 의해 목표 방향으로 또는 목표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선택된, 또는 미리 결정된 속도(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최대 속도까지)로 목표 또는 제1 방향을 따라 또는 목표 또는 제1 목적지를 향하여 (예를 들어, 트랙(110)의 부분들을 따라 및/또는 그 위를) 트랙(110)과 정렬하여(예를 들면, 길이방향 정렬) 이동하도록 위치되거나 위치될 수 있거나 구성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 자체는, 예를 들어 기관차가 트랙(110)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될 때, 트랙(110)과 의도적으로 또는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다(예를 들면, 트랙(110)이 중간에, 본질적으로 중간, 또는 대략 바퀴(182)의 제1 또는 좌측 서브세트와 바퀴(182)의 제2 또는 우측 서브세트 사이에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110)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레일 지지대(111) 및 기다란 레일 세그먼트 또는 섹션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형성되며, 이것들은 단순히 레일(114)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일(114)은 바, 기둥(pole), 또는 샤프트(shaft)와 같은 구조물, 부재 또는 구조물일 수 있다. 레일(114)은 일반적으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속이 비어 있다. 레일 지지대(111)는 바닥면(105) 위에 놓이거나 그 위에 고정된다. 레일(114)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방식으로) 레일 지지대(111)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트랙(110)은 다수의 트랙 조립체(120) 유닛들로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트랙(110)은 복수의 트랙 조립체(120)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트랙 조립체(120) 유닛은 한 쌍의 레일 지지대(111)와 같은 복수의 레일 지지대(111),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는 기다란 레일(114)(예를 들어, 모노레일 실시형태에서 단일 레일(114))을 포함한다. 주어진 레일 지지대(111)는, 상단부와 그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 방향 측벽들 또는 다리들을 가진 역 U-형상 프레임과 같은, 바 또는 샤프트의 형태일 수 있다. 레일 지지대(s)의 다리의 원위 단부는 바닥면(105) 위에 놓일 수 있고, 레일 지지체(11)의 바닥 또는 기부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레일 지지대(111)는 레일 지지대의 다리의 원위 단부들을 결합하는 구조적 바닥 또는 기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브(stub)(121)는 레일 지지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랙 조립체(120)에 대해, 레일 지지대(111)의 쌍은 바닥면(105)에 대향하거나 또는 그 위에 놓인다. 레일 지지대(111) 쌍는 레일(114)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서 바닥면(105) 위에서 서로 이격되며, 각 레일 지지대(111)의 스터브(121)는 레일 지지대(111)에 기다란 레일(114)을 고정시키고 바닥면(105)에 대해 또는 그 위에 레일(114)을 지지하기 위해 레일(114)의 단부에 인접하여 미리 준비된 보어(bore)(115)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터브(121)는 2개의 상이한 부분, 즉 프레임의 상부에 직접 인접하는 확대된 베이스(122)와 상기 확대된 베이스(122)로부터 멀리 더 연장되는 더 좁거나 가느다란 연장부(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확대된 베이스(122)는 미리 준비된 보어(115)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면, 가느다란 연장부(123)는 미리 준비된 보어(115)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지 않은 직경을 갖는다. 가느다란 연장부(123)는 나사산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고, 그리고 그 끝은 너트가 상기 가느다란 연장부의 끝에 결합되어 레일(114)을 레일 지지대(111)에 고정하거나 잠글 수 있도록 레일(114)의 상단 표면 너머로 약간 돌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몇몇 실시형태에서, 각 트랙 조립체(120)의 레일(114)을 각각의 스터브(121)에 부착하는 것은 레일 지지대(111)의 상단 위에서 확장된 베이스(122)에 지지된 레일(114)의 현수 또는 상승으로 이어진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레일 지지대(111)는 바닥면(105)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레일(114)을 위치시키거나 이격하여 고정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레일(114)은 제1 단부(116)및 제2 단부(117)를 갖는다. 주어진 전방 또는 제1 레일(114)의 제2 단부(117)는 바로 인접한 후방 또는 제2 레일(114)[즉 제1 레일(114)의 바로 뒤에 배치되는 제2 레일(114)]의 제1 단부(116)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레일(114)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19)을 포함하여, 2개의 바로 또는 바로 인접한 레일(114)이 레일 커플러(160)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일 커플러(160)는 블록(163)과, 블록(163)의 상부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세워진 복수의 돌출부(164)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164) 내에서, 특정 돌출부(164)는 인접하게 위치된 2개의 레일(114)의 단부 또는 단부 부분에 위치된 대응하는 관통 구멍(119)과 개별적으로 또는 별도로 결합되어 인접한 레일들(114)을 함께 접속 및 연결하여 트랙(11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일 커플러(160) 및 레일 지지대(111)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다란 레일(114)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모듈형 트랙 시스템(예를 들어, 모듈형 모노레일 트랙 시스템)이 트랙(110)의 연장 또는 단축을 위해(예를 들어, 터널 내 케이블 홈통의 경로 및/또는 길이와 연관 또는 대응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또는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100)에서, 트랙(110)은 케이블(300)이 수용될 홈통을 따라 또는 그에 인접하여 설정 또는 조립될 수 있다(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과 같은 공간적으로 제약된 환경에서도 직접적이고 간단하고 전형적으로 신속한 방식으로).
도 4는 트랙(110)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 또는 장착될 수 있고, 케이블(300)이 트랙(110)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블(3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카트(130)의 일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카트(130)는 트랙(110)의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된 레일(114)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컷아웃(cutout) 부분(132)을 갖는 바디(13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트(130)의 바디(131)는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중공인 블록일 수 있으며, 컷아웃 섹션(132)이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까지 신장하고 컷아웃 섹션(132)에 접근하고 레일(114) 위에 카트(130)를 장착하기 위해 바닥 개구(134)를 갖는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카트(130)는 롤러 요소들 또는 롤러들(133)의 세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롤러(133)는 카트(130)의 컷아웃 섹션(132)에 있을 수 있고, 트랙(110)을 따라(예를 들어, 트랙(110)의 레일(114)을 따라) 카트(130)의 감소된 마찰/낮은 마찰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또는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랙(110)에 결합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롤러(133)는 컷아웃 섹션(132)의 특정 측면에 그리고 블록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특정 위치 또는 장소에 있을 수 있고, 레일(114)의 길이에 대해 횡단하는 각진 평면 또는 레일(114)의 길이에 대해 수직인 수직 평면과 같은 평면에서 축을 중심으로 레일(114)의 측 방향 면(들)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각각의 롤러(133)는 감소된 또는 최소의 마찰로 트랙(110w)을 따라 카트(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일(114)의 측 방향 면들에 접지 또는 단단히 조여질 수 있는 볼 베어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롤러들의 세트(133)는 카트(130)의 제1 또는 좌측 측면/트랙(110)의 제1 또는 좌측 측면 또는 에지에 대응하는 제1 롤러 세트(133); 및 카트(130)의 반대쪽 제2 또는 우측 측면/트랙(110)의 제2 또는 우측 측면 또는 에지에 대응하는 제2 롤러 세트(133)를 포함한다.
스테이지 부분 또는 스테이지(136)는 그 위에 케이블(300)의 선택된 부분을 안착시키거나 배치하기 위한 표면(138)을 갖는 바디(131)의 상부로부터 상승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표면(138)은 표면(138) 상에 놓인 케이블(300)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블(300)의 외부 반경과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그보다 크거나 같은 반경을 갖는 오목한 구조로서 형성된다. 오목한 표면(138) 주위의 스테이지(136)의 약간 상승된 측 방향 에지는 그 위에 놓인 케이블(300)의 부분을 향한 표면(138)의 파지를 향상시켜서, 트랙(110)을 따라 카트(130)의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및 따라서 케이블(300)의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 중에 안착된 케이블(300)의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 이동을 제약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130)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밴드, 스트랩 또는 랩(wrap) 구조(139)와 같은 케이블 고정 장치 또는 메커니즘과 연관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139)은 표면(138)의 제1 측면에 결합 또는 부착 가능하거나 결합 또는 부착된 제1 말단, 및 표면(138) 위에 놓이는 전원 케이블(300)의 일부를 단단히 유지하기 위해 표면(138)의 제2 측면에 위치한 고정 메커니즘 및/또는 버클(174)과 조절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해 표면(138) 위로 연장 가능하거나 표면(138)을 가로질러 신축 가능한 제2 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C-형상의 한 쌍의 암(arm) 또는 핸들(170)이 스테이지(136)의 대향하는 측면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트랩(139)의 일 단부는 핸들(170) 중 하나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스트랩(139)의 다른 단부는 스테이지(136)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다른 핸들(170)에 의해 구비되거나 결합되거나 고정되는 고정 메커니즘 또는 버클(174)에 고정/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정 메커니즘 또는 버클(174)은 스트랩(139)이 둘러싸이는 케이블(300)의 일부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슬롯 또는 루프(176) 내부 또는 주변에서 스트랩(139)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롯 또는 루프(176)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6은 트랙(110)을 따라 카트(130) 및 케이블(300)을 당기기에 충분한 힘 및/또는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시스템(1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기관차(18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어 패널(185)은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기관차(180)의 속도 및 방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기관차(180)에 위치할 수 있다. 기관차(18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카트(130) 및 이에 고정된 케이블(300)을 제1 방향을 따라, 일반적으로 케이블 홈통과 정렬되거나 평행하게 당긴다. 기관차(180)의 이동과, 케이블(300)의 일부를 운반하여 트랙(110)에 대해 케이블(300)을 매달리게 하는 카트(130)에 의한 제1 방향으로의 케이블(300)의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은 시스템(100)의 제1 또는 주요 작동 모드로서 간주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주요 작동 모드는 케이블(300)을 케이블 터널에 도입 및 배치하고, 케이블(300)이 수용될 홈통에 케이블(300)을 배치하기 전에 케이블(300)이 있어야 하는 홈통에 대해 또는 이를 따라(예를 들어, 그리고 일반적으로 홈통 아래에, 케이블(300)이 카트(130)에 의해 운반될 때 홈통이 일반적으로 케이블(30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기 때문임) 케이블(300)을 구성, 위치 지정, 및/또는 배열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는 시스템 사용자가 기관차(180)를 조종하거나 트랙(110)의 길이에 대해 기관차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도록(예를 들어, 기관차(18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향 메커니즘(예를 들어, 이것은 단순히 조이스틱 메커니즘일 수 있음)에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여러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는 트랙(110)과 직접 맞물리지 않거나 맞물릴 필요가 없으나; 특정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 자체는 트랙(110)을 따라 기관차(180)의 자동 안내 또는 자동 조향을 용이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랙(110)과 직접 맞물릴 수 있거나 맞물리도록 의도된 하나 이상의 구조 또는 요소(예: 트랙(110)와 접촉하거나 맞물리도록 의도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
도 7은 시스템(100)이 기관차(180)에 케이블(300)을 결합 또는 고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는 최전방 카트(130a) 앞에 위치하며 한 쌍의 와이어 로프(187)와 같은 한 세트의 와이어 로프(187)를 사용하여 케이블(300)의 일 단부를 기관차(180)의 후방 부분에 연결한다. 제1 방향을 향한 기관차(180)의 전진은 와이어 로프(187)에 힘을 가하여, 와이어 로프(187)에 연결된 케이블(300)의 끝단을 잡아당긴다. 동시에, 케이블(300)은 다수의 카트(1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차(180)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케이블(300)의 움직임은 트랙(110)을 따라 카트(130)를 끌거나 미끄러지게 한다. 카트(130)의 슬라이딩 운동은 마찰을 줄이거나 최소화하면서 케이블(300)을 케이블 터널 내로 및/또는 케이블 터널을 따라 더 쉽게 또는 훨씬 더 쉽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트랙(110) 상의 카트(130)는 케이블(300)이 없을 때 카트(130)를 연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 바, 와이어 로프, 또는 유사한 구조물(예를 들어, 트랙이 아닌 구조물)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물리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a) 트랙(110) 상의 카트(130)가 케이블(300)의 일부를 운반하거나 매달지 않을 때, 카트(130)는 트랙(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따라서 트랙(110) 자체에 의해서만 트랙(110)을 따라 결합되며; (b) 케이블(300)의 일부가 트랙(110) 상의 카트(130)에 의해 운반되거나 매달릴 때, 케이블(300)을 운반하거나 매달리게 하는 카트들(130)은 케이블(300) 자체에 의해 서로 추가로 연결 또는 결합된다. 따라서 케이블(300) 자체의 일부는 카트 대 카트 결합 또는 연결 구조 또는 부재의 역할을 하고, 케이블(300) 자체의 이러한 부분은, 카트(130)를 가로질러 기관차의 견인력을 전달/분배하기 위해 또는 전달/분배의 지원을 위해 케이블(300) 이외의 카트 대 카트 결합 또는 연결을 사용하거나 요구하는 대신, 카트(130)를 가로질러 기관차의 당기는 힘을 전달/분배한다. 따라서, 케이블(300)이 없는 경우에, 트랙(110) 상의 주어진 카트(130)는 그것에 인접한 다른 카트(들)(130)의 존재에 의해서만 트랙(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움직임에서 방해를 받거나 제한되고; 따라서 케이블(300)이 없는 경우, 트랙(110) 상의 카트들(130)은 트랙(110)을 통해서만(예를 들어, 카트 바디들(131) 사이의 하나 이상의 체인, 바, 와이어 로프, 또는 유사한 구조물과 같은 직접 연결에 의해서가 아니라) 결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실시형태에서, 인접한 카트(130)의 특정 쌍과 같은 카트들(130)의 적어도 일부 서브세트는 트랙(110)의 길이 방향 섹션을 따라 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되는 것 외에 하나 이상의 체인, 바, 와이어 로프, 및/또는 유사한 구조물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카트들(130)의 적어도 특정 서브세트가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음).
전술한 관점에서, 시스템(100)은 케이블 터널로의 케이블 운반 및 케이블 터널 내 배치에 대응하는 제1/주요 작동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케이블(300)이 케이블 홈통에 대해 또는 케이블 홈통 옆에 성공적으로 초기에 위치/배열된 후(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 바닥 위 또는 근처에), 시스템(100)은 케이블(300)의 일부를 점진적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케이블(300)의 이러한 들어올린 부분을 케이블 홈통을 향해 안내하고 가능하게는 그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추가의 제2 또는 역 작동 모드에서 동작하거나 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는 또한 케이블을 들어올리는 작동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관차(180)는 케이블(300)의 부분들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램프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어서, 케이블(300)의 연속적인 부분들이 기관차(180)의 이동과 관련하여 케이블 홈통을 향해 점진적으로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로의 케이블 운반 및 배치에 사용된 동일한 기관차(180)는 또한 제2 작동 모드에서 램프 구조물을 통해 상기 홈통 내로 케이블의 부분들을 들어올리고, 전달하고, 및/또는 배치하기 위해, 제1 방향과 반대이거나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2 또는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추가의 또는 상이한 기관차(180)가 다른 기관차(180)에 결합될 수 있는 램프 구조물을 통해 케이블의 부분들을 들어올리고, 전달하고, 및/또는 상기 홈통 내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진적인 케이블 들어올리기 및 홈통을 향한 안내, 그리고 홈통 내 케이블 배치를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주어진 기관차(180)에 결합되거나구비될 수 있는 플랫폼, 비계(scaffold) 또는 램프 구조물(1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이것은 기관차(180)에 선택적으로 부착 및 제거될 수 있음), 여기서 플랫폼(150)은 기관차(180)가 제2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케이블(300)의 일부가 이동 및/또는 안내될 수 있는 경사 경로(152)(예를 들어, 트랙(110)에 평행한 수평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는)를 제공한다. 경사 경로(152)는 그 상단부(151) 및 하단부(154)을 형성하는 선택/조정 가능 또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상향 연장되어(예를 들어, 케이블 홈통을 향해), 경사 경로(152)의 상단부(151)가 예를 들어 케이블 홈통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거나 적어도 약간 위에 선택/조정 가능 또는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플랫폼(150)은 일반적으로 케이블(300)의 일부가 경사 경로(15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300)의 그러한 일부를 측 방향으로(예를 들어, 왼쪽 및/또는 오른쪽으로) 안내, 라우팅 또는 지향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위치설정 또는 안내 구조물 세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플랫폼(150)은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경로(152)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안내 요소(156)를 포함한다.
케이블을 들어올리는/제2 작동 모드와 관련하여, 기관차(180)에 근접하거나 인접한 케이블(300)의 섹션 또는 세그먼트(이는 초기에 케이블(300)의 단부일 수 있음)와 케이블(300)의 인접하는 섹션 또는 세그먼트는 경사 경로(152) 상에 위치되고 경사 경로(152)의 하단부(154)로부터 경사 경로(152)의 상단부(151)를 향해 그리고 경사 경로(152)의 상단(151)으로 전달되고, 추가로 경사 경로의 상단부(151)에 위치되어, 전력 케이블(300)의 부분들은 기관차(180)를 이동함으로써(예를 들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기관차의 운동) 복수의 안내 요소(156)의 도움으로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 홈통 내로 지향된다. 케이블을 들어올리는/제2 작동 모드에서, 케이블(300)의 적어도 일부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카트들(13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기관차(180)에 바로 인접하거나 뒤에 있는 하나 이상의 카트(130)에 고정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예를 들어, 제1/주요 작동 모드에서 케이블(300) 주위에 감긴 특정 스트랩(139)은 다음에 경사 경로(152) 상으로 점진적으로 들어 올려지고 홈통에 전달되거나 홈통 내에 배치될 케이블(3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해제되거나 풀릴 수 있다(예를 들어, 점진적으로 해제되거나 풀릴 수 있다). 더 이상 카트(130)에 묶이지 않은 케이블(300)의 부분은 바닥면(105)으로 밀거나 이동되거나 그 위에 놓일 수 있으며, 그 후에 케이블(300)의 그러한 부분은 기관차 이동(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에 의해 "위쪽으로 추켜들어" 경사 경로(152)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경사 경로(152)에 추가하여, 플랫폼(150)은 기관차(180)에 장착 및/또는 부착된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프레임(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53)은 기관차(180)에 대한 경사 경로(152)의 설정을 돕거나 보조한다. 플랫폼(150)이 제2 방향을 향한 기관차(180)의 이동에 대응하여 바닥면(105)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53) 아래에 하나 이상의 바퀴 쌍이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시스템(100)은 케이블을 들어올리는/제2 작동 모드의 개시 전에만 기관차(180)에 설치 및/또는 배치되는 플랫폼(150)을 가지며, 기관차(180)는 제1/주요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플랫폼(15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관차(180)는 제1/주요 작동 모드에서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케이블(300)이 놓이고 케이블 배치를 위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예를 들어, 상방으로 슬라이딩) 경사 경로(152)는 사다리와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경로(152)는 예를 들어 기관차(180)의 후방 단부와 기관차(180)의 전방 단부 사이에서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서 각도를 이루는(예를 들어, 경사 경로(152)에 대해 상방으로 지향된 각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한 쌍의 지지 바/봉 또는 종통(199)(예를 들어, 외부 또는 외측 지지 바/봉 또는 종통(199))을 포함하며, 여기서, 기관차의 후방 및 전방 단부는 트랙(110)에 대해 횡단 또는 수직이고, 기관차(180)는 기관차의 후단부와 전단부 사이의 케이블(300)의 부분을 운반하거나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종통(199)은 일련의 점진적으로 더 긴 지지 바(197)에 의해 그 길이를 따라 특정 위치에서 수직으로 상승 및/또는 지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것은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선택 가능하거나 조정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어, 경사 경로(152)의 각도를 선택하거나 조정할 수 있음). 종통(199)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하나의 종통(199)으로부터 다른 종통(199)에 결합하는 다수의 가로대(198)가 돌출되어 있다. 가로대(198)는 케이블(300)이 2개의 가로대(198)(예를 들어, 바로 인접한 가로대(198)) 사이의 공간으로 크게 휘거나 떨어지지 않게 경사 경로(152)에 놓인 케이블(300)을 지지하기 위해 조정/선택 가능하거나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된다.
적어도 일부의 가로대(rungs)(198) 또는 각 가로대(198)는 안내 요소(156)를 지지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일부 안내 요소(156) 또는 각 안내 요소(156)의 위치(예: 측 방향 위치)는 기관차(180), 경사 경로(152), 및/또는 종통(199)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선택 또는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 안내 요소(156) 또는 각각의 안내 요소(156)의 위치는 경사 경로(15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측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음).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어진 안내 요소(156)는 안내 요소(156)가 결합 또는 연결되는 가로대(198)를 따라 또는 그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안내 요소(156)는 전력 케이블(300)의 섹션, 세그먼트 또는 일부가 경사 경로(152) 위로 들어 올려지거나 배치된 후 전력 케이블(300)의 그러한 부분의 측 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이에 갭 또는 공간을 둘러싸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막대들(prongs)(15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어진 안내 요소(156)는 케이블(300)이 통과하는 중간 영역에서 갭 또는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양측에 2개의 막대들(157)을 포함하는 중공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부분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측면 막대들(157)은 제2 방향으로의 기관차(180)의 이동에 대응하여 케이블(300)이 홈통 내로 배치되거나 밀려질 때, 경사 경로(152) 상의 케이블(300)의 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제어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안내 요소들(156)은 하나의 안내 요소(156)가 케이블 홈통에 더 가까운 선행 안내 요소(156)의 위치를 상쇄하는 위치를 채용하도록 구성된다. 안내 요소(156)를 점진적인 상쇄 위치로 구성함으로써, 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통을 향해 케이블(300)을 점진적으로 구부린다. 이와 같이, 안내 요소(156)는 전력 케이블(300)을 케이블 홈통 쪽으로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지향시키기 위해 집합적으로 경로 경사(152)를 따라 전력 케이블(300)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이동 경로(예를 들어, 굽은 또는 곡선 경로)를 집합적으로 한정한다. 케이블(300)을 홈통에 더 가깝게 하기 위해, 경사 경로(152) 상의 마지막 몇몇 가로대(198)는 종통(199)을 넘어 더 연장하여, 안내 요소(156)가 홈통에 더 가까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일부 가로대(198)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안내 요소(156)(예를 들어, 각각의 안내 요소(156))는 경사 경로(152) 상에 배치된 전력 케이블(300)과 접촉 가능한 하나 이상의 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롤러는 전력 케이블(300)을 케이블 홈통을 향해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지향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예를 들어, 감소된 마찰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롤러들은 막대(157) 및/또는 가로대(198)의 부분들에 결합되어 경사 경로(152) 상의 케이블(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개시의 관련된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플랫폼(150)과 같은 램프(ramp)구조물에 결합되거나 이를 운반하는 주어진 기관차(180)에 의해 은폐되지 않은 케이블(300)(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300))의 일부를 홈통에 배치하여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방법은: 케이블 홈통의 부분들에 따라 또는 그에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케이블(300)의 노출된 부분을 제공 또는 위치시키는 단계(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작동 모드와 관련하여 제1 방향으로 동일 또는 상이한 기관차(180)의 변위, 및 트랙(110)을 따라 케이블(300)의 대응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변위에 의해), 여기서 케이블(300)의 은폐되지 않은 부분 및 케이블 홈통은 각각 제1 레벨과 수직 평면(예를 들어, 바닥면(105)에 수직인)에서 제1 레벨보다 더 높은 제2 레벨에 위치하며; 플랫폼(150)의 경사 경로(152) 상에 은폐되지 않은 전력 케이블(300)의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단계(예를 들어, 케이블(300)의 세그먼트를 유지하는 스트랩을 해제하고 전형적으로 바닥면(105) 상에 케이블의 세그먼트를 배치한 후에, 제2 방향으로 주어진 기관차(18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 경로(152)는 상단부(151)를 향해 연장되는 하단부(154)를 가지며, 여기서 상단부(151)가 제2 레벨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케이블 홈통의 상부 개구에 근접하거나 인접한 높이에 위치되며; 및 이 기관차(180)를 제1 레벨에 배치된 전력 케이블(300)의 부분을 향해(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플랫폼(150)을 변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경사 경로(152)의 상단부(151)에서 하단부(154)까지는 은폐되지 않은 전력 케이블(300)을 제1 레벨에서 경사 경로(152) 위로 추켜들어 들어올리고, 경사 경로(152)를 따라 이동할 때 은폐되지 않은 전력 케이블을 추가로 들어서 안내하고, 플랫폼(150) 및 기관차(180)의 이동(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과 관련하여 또는 이동하는 동안 케이블 홈통에 또는 그 내부로 전력 케이블(300)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통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터널의 벽에 장착되는 반면, 은폐되지 않은 케이블(300)은 지면 또는 바닥면(105)에, 예를 들어, 케이블을 들어올리는/제2 작동 모드에서 플랫폼(150) 및 기관차(180)를 이동시키기 전에, 여러 실시형태에서 홈통와 나란히 또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플랫폼(150)은 기관차(180)에 의해 운반되거나 기관차(180)에 결합, 장착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기관차(180)는 플랫폼(150)을 미리 결정된 방향(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블(300)을 추켜들어서, 케이블(300)을 홈통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케이블(300)을 홈통으로 및/또는 홈통 안으로 안내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랫폼(150)은 기관차(180)에 장착 및/또는 부착된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프레임(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53)은 케이블(300)을 홈통 내로 안내하고 지향시키기 위해 경사 경로(152)의 설정 및 원하는(예를 들어, 선택 가능하거나 조정 가능한) 높이 및/또는 각도의 달성을 돕는다. 플랫폼(150)이 기관차(18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바닥면(105)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나 이상의 쌍의 바퀴가 베이스 프레임(153)에 결합되거나 또는 그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경사 경로(152)는 종통(199)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른 종통(199)에 결합하는 하나의 종통(199)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중 가로대(198)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기다란 샤프트(shaft), 바(bar), 로드(rod) 또는 종통(stringer)(199)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198)는 케이블(300)을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 조정/선택 가능하거나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플랫폼(150)은 경사 경로(152) 상에서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안내 요소(156)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내 요소(156)는 각각의 안내 요소(156)의 위치가 경사 경로(152)의 길이방향 축과 관련하여 각각의 가로대(198) 상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개별 가로대(198)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내 요소(156)는 한 쌍의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막대(157)를 포함하거나 그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전력 케이블(300)이 경사 경로(152)를 따라 안내될 때 그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력 케이블(3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갭 또는 공간을 둘러싼다. 측면 막대(157)는 경사 경로(152) 상에서 케이블(300)의 측면 또는 측 방향 이동을 제한 및/또는 제어한다. 여러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은: 수직으로 더 높은 안내 요소(156)가 이전 또는 수직으로 더 낮은 안내 요소(156)의 위치를 측 방향으로 오프셋하는 위치를 채택하여, 수직으로 더 높은 안내 요소(156)를 선행하는 또는 수직으로 더 낮은 안내 요소(156)와 관련하여 케이블 홈통에 더 가깝게 만들도록 경사 경로(152) 상의 안내 요소들(156)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련의 점진적이고 순차적인 오프셋 위치(예를 들어, 서로에 대한 측 방향 오프셋 위치)에 안내 요소들(156)을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프로세스 또는 방법은 경사 경로(152)를 따라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300)의 일부분을 점진적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요소들(156)은 케이블 홈통을 향해 경사 경로(152)를 따라 케이블(300)의 슬라이딩 측 방향 이동을 설정하거나 한정하여 케이블(300)을 케이블 홈통으로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지향시킨다.
추가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일부 안내 요소(156)는 경사 경로(152)를 따라 케이블(300)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롤러는 케이블(300)을 케이블 홈통을 향하여 및/또는 그 안으로 감소된 마찰 방식으로 지향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내용에 비추어, (a) 케이블 배치/제1 작동 모드에서, 특정 기관차(180)는, 트랙(110) 및 카트(130)와 연관되거나 결합하여, 케이블(300)이 케이블 터널 내의 의도된 위치 및/또는 목표 목적지에 있을 때까지 케이블 터널 내로 케이블(300)을 점진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b) 케이블을 들어올리는/제2 작동 모드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기관차(180)가, 경사 경로(152)와 연관되거나 결합하여, 케이블(300)의 일부를 점진적으로 "추켜들고(scoop up)", 케이블(300)의 상기 일부를 케이블 홈통을 향해 그리고 케이블 홈통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 기관차(180), 트랙(110) 및 카트(130)의 조합은 바닥면(105)에 대해 예를 들어 바닥면(105)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직 거리아 같은 수직 높이 또는 거리에서 케이블(300)을 수평으로 견인하거나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1 유형의 케이블 견인 기계로서 작동하므로, 제1 작동 모드에서 케이블(300)은 바닥면(105)에 평행하게 및/또는 케이블 홈통보다 바닥면(105)에 더 가까이 유지되는 수직 거리 또는 수직 거리 세트에 유지되며;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경사 경로(152)와 동일하거나 다른 기관차(180)의 조합은 케이블(300)을 위쪽으로 - 경사 경로(152)를 따라 측 방향으로 - 견인하고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2 유형의 케이블 견인 기계로서 작동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는 다음의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관차(180)가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하거나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구동 또는 동력 구성요소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i) 수평 케이블 운반 또는 이동 기계(예를 들어, 케이블(300)이 케이블 홈통에 대해, 예를 들면 케이블 홈통 아래에 그리고 일반적으로 케이블 홈통에 평행하게, 케이블 터널에 초기에 위치될 수 있도록 케이블(300)을 케이블 터널 내로 점진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및 (ⅱ) 수직 또는 수직-측면 케이블 견인 또는 이동 기계(예를 들어, 케이블 트로프에 대해 케이블 터널에 초기에 위치된 후 케이블(300)의 일부를 케이블 홈통을 향해 그리고 케이블 홈통으로 그리고 아마도 케이블 홈통 안으로 점진적으로 추켜들고 들어올리기 위해). 수평 케이블 견인 또는 이동 및 수직 또는 수직-측면 케이블 견인 또는 이동은 실시형태 및/또는 세부적인 상황에 따라 동일한 기관차(180)(예: 단일 기관차(180)) 또는 상이한 기관차들(18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주어진 기관차(180)는 케이블(300)을 시작 위치로부터 목표 목적지까지 케이블 터널 내로 수송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관차(180)는 후속적으로 케이블(300)을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 홈통까지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들어올리기 위해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목표 목적지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시작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대안적으로, 선택된 기관차(180)는 케이블(300)을 시작 위치로부터 목표 목적지까지 케이블 터널 내로 운반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시작 위치에 대응하거나 또는 시작 위치에 위치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관차(180)는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 홈통까지,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케이블(300)을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목적지까지 (예를 들어, 후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목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지구의 표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샤프트(예를 들어, 이것은 지구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50-60 미터를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음)를 통해 케이블 터널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케이블 터널에 결합되거나 연결되는 확장 섹션에 대응하거나 연결된다. 상기 확장 섹션은 그에 결합된 케이블 터널의 상이한 섹션들, 예를 들어, 상기 확장 섹션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상기 케이블 터널의 제1 섹션, 및 상기 확장 섹션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상기 케이블 터널의 제2 섹션을 결합 또는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터널의 상기 제1 및 제2 섹션은 상기 확장 섹션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확장 섹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300) 및 다양한 유형의 물체 및/또는 장비가 상기 케이블 터널에 대해 및/또는 케이블 터널 내에 이송 및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케이블(300)은 초기에, 전술한 방식으로 주어진 기관차(180)에 의해, 상기 케이블 터널을 따라 그 내부에, 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의 제1 섹션, 상기 확장 섹션, 및 상기 케이블 터널의 제2 섹션의 각각을 따라 그 내부에 또는 가로질러 위치될 수 있다. 후속하여, 한 쌍의 기관차(180)(이들 중 하나는 상기 케이블 터널을 따라 그 내에 케이블(300)을 초기에 위치시키는 데 사용된 주어진 기관차(180)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는 케이블 터널(10)의 서로 다른 또는 대향하는 길이 또는 단부를 향해 반대 방향(예를 들어, 서로 멀리)으로 구동, 이동, 또는 움직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기관차(180)는 각각 케이블(300)의 부분들을 대응하는 플랫폼 또는 램프 구조물(150)에 의해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 홈통까지,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추켜들고 들어올린다. 따라서, (a) 제1 기관차(180)는, 상기 케이블 터널의 제1 섹션에 배치된(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의 제1 섹션의 바닥면(105) 상에) 케이블(300)의 부분들을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경사 경로(152)를 제공하는 제1 플랫폼 또는 램프 구조물(150)에 의해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 홈통까지,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점진적으로 들어올리는 동안, 상기 확장 섹션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케이블 터널의 제1 섹션 을 향해 그 내부로 이동되거나 구동될 수 있고; (b) 제2 기관차(180)는 또한 케이블 터널의 제2 섹션 내에 배치된(예를 들어, 케이블 터널의 제2 섹션의 바닥면(105) 상에) 케이블(300)의 다른 부분을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경사 경로(152)를 제공하는 제2 플랫폼 또는 램프 구조물(150)에 의해 케이블 홈통을 향해, 케이블 홈통까지, 및/또는 케이블 홈통 내로 점진적으로 들어올리는 동안, 상기 확장 섹션으로부터 역시 멀리 연장되는 케이블 터널의 제2 섹션 을 향해 그 내부로 이동되거나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기관차(180)는 케이블 홈통 내로 케이블(300)의 시간-효율적인 로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순차적으로(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들은 케이블(300)을 케이블 터널(10)에 전달하고, 및/또는 리셉터클 또는 케이블 홈통(20)과 같은 장기/최종 목적지를 향해 및/또는 그 내부로 케이블(300)을 들어올리기 위한 효율적인, 마찰이 감소된, 신속한, 저비용의, 및 최소 인력 방식(예를 들어, 2명 미만의 작업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바닥면(105)으로부터 트랙(110)의 상승은 각각의 카트의 롤러(133)의 세트와 함께 케이블 이송 및 배치를 위한 저소음 시스템(10)(예를 들어, 동작상 조용한 시스템(10))을 제공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측면들은 다른 특정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형태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대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형태들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카트들(130) 자체가 원동력 또는 모터(예를 들어, 이러한 동력 카트(130) 각각의 롤러(133) 세트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여 트랙(110)을 따라 이러한 동력 카트(130)를 추진하도록 구성된)를 구비할 수 있어서, (a) 적어도 일부 상황에서 기관차(180)가 필요 없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및/또는 (b) 케이블(300)이 케이블 터널(10)에 위치되거나 케이블 홈통(20)에 적재된 후, 하나 이상의 동력 카트(130)(예를 들어, 거기에 결합된 무동력 카트(130) 세트와 관련될 수 있음)는 다른 물체 및/또는 장비(예를 들어, 케이블(300) 이외의 물체 및/또는 장비)를 케이블 터널(10) 내의 트랙(110)을 따라 이송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관련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쉽게 떠오를 수 있는 것과 같은 개시된 개념, 장치, 구조물의 추가 또는 다른 변형 또는 등가물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하된다.

Claims (14)

  1.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케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조립된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고 해체된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해체 가능한 복수의 트랙 조립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트랙(modular track)으로서, 각각의 트랙 조립체는: 인접한 트랙 조립체의 다른 가늘고 긴 레일에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가늘고 긴 레일; 및 상기 조립된 트랙이 있는 바닥면으로부터 멀리 상기 트랙 조립체의 상기 가늘고 긴 레일을 상방으로 올리거나 매달도록 구성된 레일 지지 구조물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모듈식 트랙;
    각각 상기 조립된 트랙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을 통해 상기 조립된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거나 장착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트랙에 대해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을 안전하게 유지 및 지지하거나 매달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카트로서, 각각의 카트는: 상기 카트가 지지하거나 매다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면, 시트(seat), 리세스(recess), 슬롯(slot), 또는 채널(channel)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된 트랙의 상기 레일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롤러들의 세트; 및 상기 카트가 지지하거나 매다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선택된 부분과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선택된 부분의 안전한 유지를 돕도록 구성된 밴드(band), 벨트, 스트랩(strap), 또는 랩(wrap)을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 및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견인력을 발휘하기 위해 상기 조립된 트랙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한 기관차로서, 여기서 상기 기관차가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a) 상기 기관차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고, (b) 상기 기관차의 대향하는 제2 단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배향되고, (c) 상기 기관차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를 향해 배향되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기관차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제1 단부에 끌려가는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들이 상기 조립된 트랙 상의 상기 복수의 카트에 지지되거나 매달리는 경우, 상기 케이블은 (i)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기관차의 이동에 대응하여 (ⅱ)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카트의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과 함께 상기 조립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거나 이동 가능한, 기관차;
    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없는 경우, 상기 조립된 트랙 상에 장착된 각각의 카트는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카트의 존재에 의해서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이 간섭받거나 구속되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카트들이 상기 케이블의 어떤 부분도 운반하지 않을 때,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상기 카트들은 상기 조립된 트랙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카트들이 상기 케이블의 선택된 부분을 운반하는 경우, 상기 조립된 트랙에 장착된 상기 카트들은 상기 조립된 트랙 및 상기 케이블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는,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랙 조립체에서, 상기 레일 지지 구조물들의 세트는 한 쌍의 레일 지지 구조물이고, 여기서 제1 레일 지지 구조물은 상기 트랙 조립체의 상기 레일의 제1 단부의 밑면에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고, 제2 레일 지지 구조물은 상기 트랙 조립체의 상기 레일의 대향하는 제2 단부의 밑면에 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트랙은 모노레일 트랙인,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의 상기 롤러들의 세트는 상기 조립된 트랙의 좌측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롤러 및 상기 조립된 트랙의 우측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트랙을 따라 상기 카트의 마찰이 감소된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을 용이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차 자체가 상기 조립된 트랙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차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조립된 트랙에 걸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차에 장착되거나 장착 가능하고 경사 경로를 제공하는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ramp)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경사 경로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관차의 일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 경로의 높은 단부는 상기 기관차의 대향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 경로의 낮은 단부보다 수직으로 더 높으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의 부분들은 상기 기관차가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들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및/또는 안내될 수 있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은 상기 기관차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은 상기 기관차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높은 단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바로서, 여기서 각각의 지지 바는 다른 지지 바보다 수직으로 더 높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바는,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들을 향한 상기 기관차의 이동 동안 상기 케이블의 부분들이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로부터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높은 단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기 부분들을 점진적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 바;
    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에 결합된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의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의 세트는,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을 향한 상기 기관차의 이동 동안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랫폼, 비계, 또는 램프 구조물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부를 측 방향으로 안내, 라우팅 또는 지향시키도록 구성되거나 구성될 수 있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의 세트는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측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케이블 안내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케이블 안내 구조물은,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아직 이동되지 않은 상기 경사 경로의 상기 낮은 단부에 근접한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분을 향한 상기 기관차의 이동 동안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상기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부의 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217038789A 2019-11-06 2020-11-06 케이블의 전달, 배치 및/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KR20220088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910354S 2019-11-06
SG10201910354S 2019-11-06
PCT/SG2020/050640 WO2021091494A1 (en) 2019-11-06 2020-11-06 System for facilitating delivery, placement, and/or installation of a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635A true KR20220088635A (ko) 2022-06-28

Family

ID=7584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789A KR20220088635A (ko) 2019-11-06 2020-11-06 케이블의 전달, 배치 및/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018518A4 (ko)
JP (1) JP2023500756A (ko)
KR (1) KR20220088635A (ko)
CN (1) CN114503384B (ko)
AU (1) AU2020379558B2 (ko)
SG (1) SG11202111884RA (ko)
TW (1) TWI779389B (ko)
WO (1) WO2021091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105239PA (en) * 2019-03-22 2021-10-28 Yu Yee Eng Pte Ltd System for placing a cable into a trough
TWI788056B (zh) * 2021-10-20 2022-12-21 欣軍企業股份有限公司 電纜線護管的拆裝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9405A (en) * 1979-03-30 1981-03-2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Method of laying cable with rack
JPH0734615B2 (ja) * 1989-12-30 1995-04-12 未来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布設方法
JP2699240B2 (ja) * 1992-05-11 1998-01-19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ケーブル布設車
JP2652602B2 (ja) * 1992-05-12 1997-09-10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材の懸吊部材及び配線・配管装置
JP3497674B2 (ja) * 1996-09-13 2004-02-16 東京電力株式会社 洞道内ケーブル搬送、布設装置
JP3208442B2 (ja) * 1996-11-18 2001-09-10 未来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受具へのケーブル布設方法、ケーブル受具装置及びケーブル受具
KR100658695B1 (ko) * 2006-10-24 2006-12-20 (주)미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안내장치
KR20080105596A (ko) * 2007-05-31 2008-12-04 (주)동양인더스트리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이송구
IT1397082B1 (it) * 2009-11-23 2012-12-28 Rolic Invest Sarl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n almeno una fune portante e una fune traente
CN202210668U (zh) * 2011-07-29 2012-05-02 赵云飞 一种采煤巷道电缆车
GB2495503A (en) * 2011-10-11 2013-04-17 Balfour Beatty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cables or pipes in tunnels
BR102013002355A2 (pt) * 2012-01-31 2014-05-13 Joy Mm Delaware Inc Rede de energia para topo de máquinas de mineração móveis
KR20150012683A (ko) * 2013-07-26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JP2015053845A (ja) * 2013-08-07 2015-03-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線路の布設方法
KR101505802B1 (ko) * 2013-09-06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비
KR101516548B1 (ko) * 2013-09-11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JP2015220898A (ja) * 2014-05-20 2015-12-07 株式会社泰生工業 ケーブル敷設装置とケーブル敷設方法
JP2016129456A (ja) * 2015-01-09 2016-07-14 中国電力株式会社 移動用ケーブル敷設装置
JP6421109B2 (ja) * 2015-11-16 2018-11-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US10343871B2 (en) * 2016-04-28 2019-07-0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able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ITUA20164237A1 (it) * 2016-06-09 2017-12-09 Leitner Spa Scarpa per un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n almeno una fune portante
US11146047B2 (en) * 2017-06-27 2021-10-12 Janet Stephens Cable pulling apparatus for cable tray
CN209016572U (zh) * 2018-10-26 2019-06-2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线缆穿管装置
CN109713613A (zh) * 2018-12-20 2019-05-03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有轨巷道电缆敷设方法及装置
JP7285766B2 (ja) * 2019-12-13 2023-06-02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洞道内ケーブル布設システム及び洞道内ケーブル布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31588A (zh) 2021-08-16
WO2021091494A9 (en) 2021-06-24
EP4018518A1 (en) 2022-06-29
AU2020379558B2 (en) 2023-02-23
JP2023500756A (ja) 2023-01-11
TWI779389B (zh) 2022-10-01
EP4018518A4 (en) 2023-09-06
AU2020379558A1 (en) 2022-03-31
CN114503384B (zh) 2024-01-26
SG11202111884RA (en) 2021-11-29
WO2021091494A1 (en) 2021-05-14
CN114503384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8635A (ko) 케이블의 전달, 배치 및/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US2773606A (en) Tree moving apparatus
EP29366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cables or pipes in tunnels
US4082193A (en) Pipe handling apparatus
GB24688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cables or pipes in tunnels
CN113632333B (zh) 用于将电缆放入槽中的系统
CN212318031U (zh) 隧道防水板铺设台车
JP2014098246A (ja) セグメント台車の移送装置と移送方法
US20040050286A1 (en) Work cart for temporary cableway and a method for use of such work cart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EP0544476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aying pipes
US11462891B2 (en) Wire puller lift dolly
JPH11308914A (ja) 軌道式茶葉摘採機の畝間移動装置
JP3458265B2 (ja) トンネル掘進システム
KR101518702B1 (ko) 강선삽입용 대차
CA2655705C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PL187898B1 (pl) Maszyna do zakładania przewodu jezdnego
CN117613763A (zh) 输电架空电路检修运输及救援设备
CN111056406A (zh) 一种柔性轨道电梯及其应用方法
JPH04216800A (ja) トランスポータ
JP2001146900A (ja) シールドマシンへの電力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PL202806B1 (pl) Wózek linowo-zaczepowy
JPS582283B2 (ja) 吊橋ケ−ブル類架設用足場の架吊装置
GB1595266A (en) Pipe hand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