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823A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823A
KR20220079823A KR1020227009356A KR20227009356A KR20220079823A KR 20220079823 A KR20220079823 A KR 20220079823A KR 1020227009356 A KR1020227009356 A KR 1020227009356A KR 20227009356 A KR20227009356 A KR 20227009356A KR 20220079823 A KR20220079823 A KR 2022007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let
outlet
equaliz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196B1 (ko
Inventor
야오빈 정
융야오 뉴
자빈 위안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루이 일렉트로닉스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루이 일렉트로닉스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7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34Directing or guiding sound by means of a phase plu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Nood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와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수신부 및 소리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소리 수신부는 스피커와 연결되고, 소리 가이드 본체는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소리 수신부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가 배치되고, 소리 수신부에서 먼 소리 가이드 본체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본체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와 소리 가이드 본체는 설치 기준면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내 또는 설치 기준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며; 소리 가이드 본체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9년 9월 20일에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제2019108940785호, 발명의 명칭이 “전자 디바이스”의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스피커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TV, 태블릿 PC, 터치 제어 일체화 기기 등 많은 멀티 미디어 전자 디바이스에서 소리를 내는 부재이고, 사용자의 사용 효과와 관련된 중요한 부재이다. 스피커의 소리 배출구의 위치는 스피커의 최종적인 소리 배출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관련 기술에서 스피커의 소리 배출구는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소리 배출구를 멀티 미디어 전자 디바이스의 하부의 테두리 프레임 측면에 배치하면 음파는 먼저 지면에 발사된 후 다시 사람의 귀에 반사되어 음질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대부분 소리 배출구를 멀티 미디어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하는 정면에 배치하여 음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의 스피커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1과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면 TV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하우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면이 디스플레이면(1100)이고, 하우징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변을 감싸는 테두리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후방의 후측 케이스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0)의 하부 테두리 프레임과 후측 케이스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1200)가 형성되고, 스피커(1300)는 상기 수용 캐비티(1200) 내에 배치되며, 스피커의 소리 배출 면과 전자 디바이스(1000)의 정면은 기본적으로 정렬되어, 전자 디바이스(1000)의 정면에서 소리가 배출되는 것을 구현한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면 스피커(1300)에 충분한 설치공간을 남겨야 하기에 전자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거나, 매우 넓은 하부 테두리 프레임을 남겨야 하기에 전체 조형 효과에 영향을 주고 과도한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초래하게 된다.
관련 기술의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가 좁은 테두리 프레임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와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수신부 및 소리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수신부는 스피커와 연결되고,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는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리 수신부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소리 수신부로부터 먼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가 배치되며;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수신부와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는 상기 설치 기준면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수신부의 하부는 상기 설치 기준면 내 또는 상기 설치 기준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소리 유입구의 투영 폭은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소리 배출구의 투영 폭보다 작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는 서로 연결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소리 수신부를 연결하고, 상기 소리 배출구는 상기 제1 부분에서 먼 상기 제2 부분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소리 유입구로부터 상기 소리 배출구를 향해 점차 작아지고,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소리 수신부를 연결하는 곳의 투영 폭은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곳의 투영 폭보다 크고,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투영 폭은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투영 폭보다 작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같고,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투영 폭은 같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배출구 내에는 충격 완화 폼과 스피커 메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충격 완화 폼은 상기 소리 배출구의 외측벽 상에 감싸져 있고, 상기 스피커 메쉬는 상기 소리 배출구의 말단에 배치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이퀄라이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는 상기 소리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상기 스피커가 방출한 소리를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에는 복수의 소리 가이드판이 배치되고, 각각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소리 가이드판 사이의 간격은 같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소리 가이드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퀄라이저의 소리 유입 홀을 형성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이퀄라이저에는 복수의 드로 홀(draw hole)이 더 배치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 및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는 L형이며,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유입부와 소리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유입부는 상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상기 소리 유입부와 상기 소리 배출부는 서로 통하고,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와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는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가 있는 곳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가 있는 곳의 높이보다 높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의 방향을 향해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를 따라 작아진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유입부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의 방향을 향해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를 따라 작아진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배출부는 편평한 형상이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배출부의 두께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의 방향을 향해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를 따라 변하지 않는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배출부는 편평한 나팔 형상이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유입부의 상부 표면과 상기 소리 배출부의 상부 표면 사이의 각도는 90도보다 크거나 같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 내에는 이퀄라이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는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와 서로 통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와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는 서로 통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는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되어 배치되는 소리 유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유입 홀과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는 서로 통하고, 상기 소리 유입 홀과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 사이에는 제1 소리 가이드 통로를 구성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유입 홀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소리 유입 슬롯이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이퀄라이저는 적어도 두 개의 소리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고, 인접한 상기소리 가이드 구조 사이에는 상기 소리 유입 홀 및 상기 제1 소리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가이드 구조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진 가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경사진 가림판은 삼각형을 형성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경사진 가림판은 둘러싸여 드로 홀을 구비하는 중공 삼각기둥을 형성한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상기 경사진 가림판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유입 홀과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는 서로 수직이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가 있는 하부 표면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가 있는 하부 표면의 높이보다 높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인접한 제1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이퀄라이저의 소리 유입 홀이 형성되고, 인접한 경사진 가림판의 내각 사이에는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리 유입 홀의 폭은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의 폭보다 작다.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에 평행하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와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수신부 및 소리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소리 수신부는 스피커와 연결되고, 소리 가이드 본체는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는 소리 가이드 본체로 구성되고; 소리 수신부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가 배치되고, 소리 수신부로부터 먼 소리 가이드 본체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본체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와 소리 가이드 본체는 설치 기준면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내 또는 설치 기준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며; 소리 가이드 본체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다. 상술한 배치를 통하여 본 출원의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소리 가이드부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기에 전자 디바이스 소리 배출구 일측의 테두리 프레임을 얇게 할 수 있어 좁은 테두리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의 기술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의 설명에서 사용이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자명하게도, 아래에 설명하는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이고, 본 기술분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이러한 도면을 근거로 기타 실시예의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의 스피커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의 스피커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1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2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를 제거한 후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장치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의 스피커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1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2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 간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장치의 구조 간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일 뿐 실시예의 전부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발명적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서로 충돌되지 않는 상황에서 아래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스피커는 TV, 태블릿 PC, 터치 제어 일체화 기기 등 많은 멀티 미디어 전자 디바이스에서 소리를 내는 부재이고, 사용자의 사용 효과와 관련된 중요한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향하는 정면이 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스피커의 소리 배출구를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에 배치하면 테두리 프레임의 폭을 적당하게 증가하여야 하고,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유지하려면 전체 기기의 체적이 커지는 것을 초래하고; 전체 기기의 체적이 커지지 않게 하려면 일부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관련 기술에는 테두리 프레임의 폭을 추가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 전제 하에 정면에서 소리를 배출하는 것을 구현하는 방안이 없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소리 가이드 장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의 스피커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1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2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소리 가이드 장치의 앞 케이스를 제거한 후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장치의 구조 간략도이다.
우선,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명칭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설치 기준면”은 하나의 참조 평면을 가리키고, 상기 참조 평면은 전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때, 기준면으로 될 수 있고, 상기 참조 평면과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면은 수직이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를 수직으로 설치할 때, 상기 설치 기준면은 하나의 수평면이 되어야 하고, 전체 전자 디바이스를 설치 완료한 후의 가장 낮은 부분은 상기 수평면과 서로 알맞게 접해야 하고, 디스플레이면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설치 기준면에 수직이고; “수직 방향”은 설치 기준면에 수직인 방향을 가리킨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면과 기준면 사이의 관계의 정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20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된 메인보드 및 각종 부속품(예를 들면, 스피커, 디스플레이 지시등, 각종 포트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백라이트 모듈(2500)과 디스플레이 스크린(2600)을 포함하고, 백라이트 모듈(2500)은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되고, 백라이트 모듈(2500)과 하우징의 배면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2100)가 형성되고, 수용 캐비티(2100) 내에는 라우드스피커 지지대(2400)와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2200)와 소리 가이드 장치(2300)를 포함하고, 스피커(2200)는 하우징의 하부 테두리 프레임(2700)에 근접하는 수용 캐비티(2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스피커(2200)는 라우드스피커 지지대(2400) 상에 고정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호이스팅(hoisiting) 방식으로 나사 연결 또는 클램핑 등의 수단을 결합하여 스피커(2200)의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우드스피커 지지대(2400)에 스피커(2200)를 고정하는 카드 홈을 배치할 수 있고, 스피커(2200)의 상단 통과 홀 클램핑부는 카드 홈에 고정된다.
소리 가이드 장치(2300)는 소리 수신부(2310)와 소리 가이드 본체(2320)를 포함하고, 소리 수신부(2310)는 스피커(2200)와 연결되고, 소리 가이드 본체(2320)는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기 위한 소리 가이드 본체(2320)로 구성되며; 소리 수신부(2310)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2311)가 배치되고, 소리 수신부(2310)로부터 먼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2321)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3000) 상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2310)와 소리 가이드 본체 (2320)는 설치 기준면(3000)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2310)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3000) 내 또는 설치 기준면(3000)에 미리 결정된 거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며;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소리 수신부(2310)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다.
여기서, 수직 방향의 높이는 설치 기준면(3000)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높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스피커(2200)는 구체적으로 스피커 하우징(2210)과 스피커 하우징(2210) 하부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2220)를 포함할 수 있고, 소리는 라우드스피커(2220)에서 방출된다. 소리 수신부(2310)의 구조는 스피커 하우징(2210)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2220)의 일측과 매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리 수신부(2310)는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시작단에 형성될 수 있고, 스피커 하우징(2210)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2220)의 일측 표면과 매칭되는 단면(2312)을 구비하며, 상기 단면(2312)에는 소리 유입구(2311)가 배치된다. 소리 수신부(2310)는 상기 단면(2312)을 통하여 스피커 하우징(2210)의 표면에 접촉하여 소리 유입구(2311)가 라우드스피커(2220)와 정렬되도록 하며, 소리 수신부(2310)와 스피커 하우징(2210) 사이는 나사(2313) 또는 버클(buckle)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내에는 소리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소리 캐비티와 소리 유입구(2311)는 연통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라우드스피커(2220)가 출력한 소리는 모두 소리 유입구(2311)를 통하여 소리 배출구로 전달된다.
소리 수신부(2310)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2311)가 배치되고, 소리 수신부(2310)로부터 먼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2321)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내의 소리 캐비티의 일단은 소리 유입구(2311)와 연통하고, 타단은 소리 배출구와 연통한다. 이로써 라우드스피커(2220)에서 방출된 소리는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내의 소리 캐비티를 통하여 소리 배출구로 가이드된 후 출력된다.
소리 수신부(2310)와 소리 가이드 본체(2320)는 모두 설치 기준면(3000)의 동일 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 기준면(3000)은 도 2에서 도시하는 하나의 수평면이고, 여기서 소리 수신부(2310)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3000) 상에 위치(즉, 소리 수신부의 최하부의 점 또는 선 또는 면은 설치 기준면 내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설치 기준면(3000)과의 사이에 미리 결정된 거리를 둘 수 있으며;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3000) 상에 위치(즉, 소리 가이드 본체의 최하부의 점 또는 선 또는 면은 설치 기준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소리 수신부(2310)는 스피커(2200)의 단면을 연결하여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말단 단면(즉, 소리 수신부로부터 먼 소리 가이드 본체의 일단)과 평행할 수 있고,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어 소리 유입구(2311)와 소리 배출구가 평행하거나 상기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하고, 본 실시 방식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방식에서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소리 수신부(2310)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수직 방향"에 대한 정의에 따라 설치 기준면(3000)에 수직인 방향에서 소리 가이드 본체에 배치된 소리 배출구의 말단의 높이는 배치된 소리 유입구(2311)의 소리 수신부의 높이보다 작다. 여기서 높이는 각각, 소리 가이드 본체 말단의 외부 프레임의 수직 방향에서의 최대 크기 및 소리 수신부의 외부 프레임의 수직 방향에서의 최대 크기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구체적인 형상은 소리 수신부(2310) 및 소리 배출구(2321)의 위치와 연관되고;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 내부의 각 요소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최적화로 배열한다. 그러나, 어떻게 최적화 배열을 하여도, 소리 유입구가 배치된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말단이 차지하는 수직 방향의 공간을 소리 수신부가 차지하는 수직 방향의 공간보다 작게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소리 배출구를, 테두리 프레임에서 디스플레이면과 동일한 측면의 정면에 배치하는 것을 허용하여, 비교적 좋은 음질을 보장할 수 있고, 동시에 수직 방향의 공간을 매우 작게 차지하기에 좁은 테두리 프레임의 디자인 요건을 완전히 만족할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공간 사용을 더 작게 하여 사용자가 설치 및 사용에 더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장치(2300)를 사용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할 때, 스피커(2200)를 디스플레이 스크린(2600) 후측과 하우징이 감싼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600) 하부의 하측 하우징에 근접하는 공간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런 위치는 다른 요소에 의하여 이용되지 않은 공간이 비교적 많아 전자장치 전체체적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소리 가이드 장치(2300)를 이용하면 스피커(2200)의 소리를 디스플레이면이 위치한 정면으로 전달할 수 있어 음질효과를 보장하고 구성, 음질 효과 및 좁은 테두리 프레임 디자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였다. 전자 디바이스(2000)의 앞면 테두리 프레임의 구체적인 높이는 소리 배출구(2321) 높이의 제한을 받고,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소리 가이드 장치(2300)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앞에서 소리가 나와 음량 음질을 보장하는 동시에 테두리 프레임의 높이를 1.5 내지 5mm로 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초슬림 테두리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 소리 가이드 장치(2300)를 추가하였고, 소리 가이드 장치(2300)가 소리의 가이드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스피커(2200)가 방출하는 음파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어 음파의 전파 거리를 향상시킨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수단에서,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소리 유입구(2311)의 투영 폭은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소리 배출구(2321)의 투영 폭보다 작고, 여기서, 투영 폭은 도 2에서 지면 방향에 수직인 길이를 의미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하여 음파가 소리 가이드 장치(2300)에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전파하도록 할 수 있어 음파의 전파범위 및 소리 전파의 지향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 방식의 소리 가이드 본체(2320)는 서로 연결된 제1 부분(2322)과 제2 부분(2323)을 포함하고, 제1 부분(2322)은 소리 수신부(2310)를 연결하고, 소리 배출구(2321)는 제1 부분(2322)으로부터 먼 제2 부분(2323)의 일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부분(2322)이 설치 기준면(3000) 상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소리 유입구(2311)에서 소리 배출구(2321)를 향해 점차 작아지고, 설치 기준면(3000) 상의 제1 부분(2322)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제2 부분(2323)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다.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제1 부분(2322)의 투영 폭은 소리 유입구(2311)에서 소리 배출구(2321)로 점차 증가하고,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제1 부분(2322)의 투영 폭은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제2 부분(2323)의 투영 폭보다 작다.
제1 부분(2322)의 수직방향의 높이를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수직 방향에서 음파를 압축할 수 있고, 제1 부분(2322)의 폭을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제1 부분(2322)의 내부 표면이 부드럽게 넘어가는 것을 구현하고 사각 지대가 나타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내에서 음파를 전달하기에 유리하고 전파하는 동안 음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 방식에서, 설치 기준면(3000) 상에서의 제2 부분(2323)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위치한 곳에서 곳곳마다 서로 같고, 바람직하게, 설치 기준면(3000) 상에서의 제2 부분(2323)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어떠한 방향을 따라 점차 변하고, 구체적인 상황은 공정 구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설치 기준면(3000) 내에서의 제2 부분(2323)의 투영 폭은 위치한 곳에서 곳곳마다 서로 같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같고, 또는 어떠한 방향을 따라 점차 변하는 것을 나타내고, 구체적인 상황은 공정 구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2323)을 상술한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구조로 배치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수용 캐비티(2100)의 가공에 용이하고, 가공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데에도 편리하다.
본 실시 방식에서, 소리 배출구(2321)의 외부 에지에는 충격 완화 폼(2330) 및 소리 배출구(2321)의 개구부에는 스피커 메쉬(23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충격 완화 폼(2330)은 소리 배출구(2321)의 외벽을 감싸고, 구체적으로 접착 수단 등을 사용하여 소리 배출구(2321)의 외벽에 접착할 수 있고, 라우드스피커(2220)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기계진동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고; 스피커 메쉬(2340)는 소리 배출구(2321)의 말단에 배치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하여 충격 완화 및 소리가 균일하게 도출되는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 방식의 소리 가이드장치(2300)는 이퀄라이저(2350)를 더 포함하고, 이퀄라이저(2350)는 소리 유입구(2311)에 연결하는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2351)를 포함하고, 이퀄라이저(2350)는 스피커(2200)가 방출한 소리를 균일하게 전달한다.
즉,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2351)는 소리 수신부(2310)의 소리 유입구(2311)와 서로 통하고,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2352)는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소리 배출구(2321)와 서로 통한다. 여기서,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2351)와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2352) 사이는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90도, 즉 본 실시예는 이퀄라이저(2350)를 통하여 스피커(2200)가 방출한 소리를 수직 방향에서 압축하고 수평 방향에서 확산할 수 있다. 이퀄라이저(2350)는 소리 가이드 본체(2320)가 소리 수신부(2310)에 근접하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소리 가이드 본체(2320)의 제1 부분(23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2351) 내에는 복수의 소리 가이드판(2353)이 배치되고, 각각의 인접한 두 개의 소리 가이드판(2353) 사이의 간격은 같고, 인접한 두 개의 소리 가이드판(2353) 사이의 간극은 이퀄라이저의 소리 유입 홀을 형성한다. 균일하게 분포된 소리 가이드판(2353)을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각종 주파수 음파가 이퀄라이저(2350) 내에서 균일한 분포를 구현하도록 하여 음파가 균일하게 소리 가이드 본체(2320)에 진입하도록 하여 소리 가이드 본체(2320) 내의 각 곳에서의 볼륨의 일치성을 구현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이퀄라이저(2350)와 제1 부분(2322)은 일체형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고, 이퀄라이저(2350) 상에 복수의 드로 홀(draw hole)(2354)을 더 배치하여 성형공정의 실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ㅇ며, 인접한 두 개의 드로 홀(2354) 사이에는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2352)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분해조립도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서 본 실시예의 소리 가이드 장치(2300)는 두 개 부분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소리 가이드 장치(2300)는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2360)와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를 포함하고, 소리 가이드판(2353)은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2360)와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의 임의의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리 가이드판(2353)은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에 배치될 수 있다.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2360)와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는 클램핑 연결의 방식을 통하여 연결 고정되어, 설치와 탈착에 용이하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2360)와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에는 서로 맞춤형 클램핑부가 배치되고, 클램핑부는 구체적으로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 에지에 배치되고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를 따라 연장되는 카드 홈(2371)을 포함하고; 클램핑부는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에 배치된 클램핑 홀(2372)을 더 포함하며;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2360)에는 상술한 카드 홈(2371) 및 클램핑 홀(2372)과 매칭되는 클램핑 구조가 배치되어 클램핑을 통하여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2360)와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2370)의 고정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스피커가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1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제2 뷰에서의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의 내부구조 간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이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장치의 구조 간략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실시 방식은 전자 디바이스(4000)를 제공하고,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하단에는 수용 캐비티(4100)가 배치되고, 수용 캐비티(4100)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4200)와 소리 가이드 장치(4300)를 포함하고, 소리 가이드 장치(4300)는 도 8과 같이 대체적으로 L형이며, 소리 가이드 장치(4300)는 소리 유입부(4310)와 소리 배출부(4320)를 포함하고, 소리 유입부(4310)와 소리 배출부(4320)는 서로 통하고,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와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는 병렬로 배치되고,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가 있는 곳의 높이는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가 있는 곳의 높이보다 높다.
바람직하게, 도 8 내지 도 12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4000)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백라이트 모듈(4500)과 하우징 표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4600)를 포할할 수 있고, 백라이트 모듈(4500)은 하우징 내에서 디스플레이(4600)에 가까운 일단에 배치되고, 백라이트 모듈(4500)과 하우징의 타단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4100)가 형성되며, 수용 캐비티(4100) 내에는 라우드스피커 지지대(4400)와 스피커(4200)가 배채되고, 스피커(4200)는 하우징에 근접하는 수용 캐비티(4100)의 하부 테두리 프레임(4700) 일측에 배치되며, 스피커(4200)는 라우드스피커 지지대(4400) 상에 고정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호이스팅 방식으로 나사연결 또는 클램핑 등의 수단을 통해 스피커(4200)의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4200)는 구체적으로 스피커 하우징(4210) 및 스피커 하우징(4210) 하부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4222)를 포함할 수 있고, 소리 가이드 장치(4300)의 소리 유입구는 라우드스피커(4222)를 연결하여 라우드스피커(4222)가 방출한 소리를 도출한다.
소리 가이드 장치(4300)는 굴절되어 L형이고, 소리 유입부(4310)의 상표면과 소리 배출부(4320)의 상표면 사이의 협각은 90도보다 크거나 같다. 즉 도 8이 도시한 각도로부터 소리 유입부(4310)와 소리 배출부(4320)의 연결은 대체적으로 L형을 이루고, 다시 말해서, 전자 디바이스 두께의 방향을 따라 소리 가이드 장치(4300)의 높이는 점차작으로 작아져 L형을 구성하고; 또는 소리 가이드 장치(4300)의 높이는 그 중간의 어느 한 곳에서 계단 형상으로 L형을 구성하고; 예를 들면 소리 유입부(4310) 및 소리 배출부(4320)의 연결된 곳은 계단 형상이다. 소리 가이드 장치(4300)는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공되는 소리 유입부(4310)와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공하는 소리 배출부(4320)를 포함하고, 여기서 소리 유입부(4310)는 소리 가이드 장치(4300)가 도시된 평면 내의 우측에 위치하고, 소리 배출부(4320)는 소리 가이드 장치(4300)가 도시된 평면 내의 좌측에 위치하며, 소리 유입부(4310)와 소리 배출부(4320)는 서로 통하여 소리의 전파를 구현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는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와 평행하여 소리의 수평 전파를 보장하고; 동시에 소리 유입구(4311)에서의 소리 유입부(4310)의 높이는 소리 배출구(4321)에서의 소리 배출부(4320)의 높이보다 크기에 소리 배출구(4321)에서 차지하는 소리 배출부의 높이가 비교적 낮도록 하여 소리 배출구(4321)를 테두리 프레임에서 디스플레이면과 동일한 측면의 정면에 배치되는 것을 허용하여 비교적 좋은 음질을 보장하였다. 동시에 수직 방향의 공간을 매우 적게 차지하기에 좁은 테두리 프레임의 디자인 요건을 완전히 만족할 수 있어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전자 디바이스가 전체 공간에서의 차지하는 것을 더 작게 하여 사용자의 설치 사용에 더욱 편리하다.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는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에 평행하고, 소리 유입구(4311)에서의 소리 유입부(4310)의 높이는 소리 배출구(4321)에서의 소리 배출부(4320)의 높이보다 크고, 이는 주요하게 소리가 수평 방향에서의 전파가 변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높이 방향에서 비교적 큰 낙차를 가져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에서 라우드스피커(4222)의 출구를 하나의 긴 바(bar) 형상의 작은 슬롯으로 하는 데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와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는 서로 평행하고, 구체적으로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와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공정을 구현할 때,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와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와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는 약간의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소리가 수평방향에서의 전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소리 가이드 장치(4300)를 사용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할 때, 스피커(4200)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후측과 하우징이 감싼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부가 하측 하우징에 근접하는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런 위치는 다른 요소에 의하여 이용되지 않은 공간이 비교적 많아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체적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소리 가이드 장치(4300)를 이용하면 스피커(4200)의 소리를 디스플레이면이 위치한 정면으로 전달할 수 있어 음질 효과를 보장하고 구성, 음질효과 및 좁은 테두리 프레임 디자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였다.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 테두리 프레임의 구체적인 높이는 소리 배출구(4321) 높이의 제한을 받고,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소리 가이드 장치(4300)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앞에서 소리가 나와 볼륨 음질을 보장하는 동시에 테두리 프레임의 높이를 1.5 내지 5mm로 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초슬림 테두리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안을 사용하면 소리 가이드 장치(4300)는 스피커(2200)가 방출하는 음파를 증강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어 음파의 전파 거리를 향상시킨다.
아래에 본 실시 방식의 소리 가이드 장치(430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리 가이드 장치(4300)의 높이는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를 따라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의 방향을 향하여 작아진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실시 방식에서 소리 유입부(4310)의 높이는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를 따라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의 방향을 향하여 작아진다.
상술한 배치를 통하여 소리가 소리전파 장치(4300)에서 점차 모이도록 하여 음향 효과를 증강시키는 작용을 구현한다. 동시에 소리 가이드 장치(4300)의 높이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우선 소리를 압축하고 소리의 능력을 집중시켜 모으며, 동시에 소리 가이드 장치(4300)의 내부 표면이 부드럽게 넘어가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사각 지대가 나타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전파하는 동안 음량 손실을 줄이는 데에 유리하다.
본 실시 방식에서 소리 배출부(4320)는 편평한 형상을 나타내어 음향 효과를 증강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도 8과 같이, 상술한 편평한 형상은 소리 배출부(4320)의 전체적 두께가 소리 유입부(431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가리키고, 예컨대, 소리 배출부(4320)의 두께는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를 따라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의 방향을 향하여 변하지 않음을 유지한다. 이러한 배치는 소리의 전파에 유리하고, 전자 디바이스에 세팅된 구조를 가공하는 데에 편리하다.
본 실시 방식에서 소리 배출부(4320)는 구체적으로 편평한 나팔 형상을 구비할 수 있어 소리의 확산에 유리하여 음향 효과를 증강시킨다. 소리 배출부(4320)는 편평한 나팔 형상을 나타내고, 편평한 나팔 형상은 나팔을 형성하며 모아진 소리를 압축하고 다시 편평한 나팔 형상을 나타내는 소리 배출부(4320)를 통하여 소리를 확장하여 음향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리의 지향성도 향상시킨다.
소리 가이드 장치(4300) 내에는 이퀄라이저(4330)가 더 배치되고, 이퀄라이저(4330)의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4331)는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와 서로 통하고,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4332)는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와 서로 통한다. 이퀄라이저(4330)를 통하여 소리 가이드 장치(4300) 내에 진입하는 소리가 균일하게 소리 가이드 장치(4300)에 분포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4331)는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되어 배치된 소리 유입 홀(43310)을 포함하고, 소리 유입 홀(43310)과 소리 유입부(4310)의 소리 유입구(4311)는 서로 통하고, 소리 유입 홀(43310)과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4332) 사이에는 제1 소리 가이드 통로가 구성된다. 이퀄라이저(4330) 내에 진입한 소리는 서로 다른 제1 소리 가이드 통로를 통과한 후, 소리 가이드 장치(4300) 내부의 각 곳에 균일하게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소리 유입 홀(433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소리 유입 슬롯이다. 소리 유입 홀(433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소리 유입 슬롯을 나타내고, 각종 주파수의 소리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소리에 대하여 초기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방식에서, 이퀄라이저(4330)는 적어도 두 개의 소리 가이드 구조(4333)를 포함하고, 인접한 소리 가이드 구조(4333) 사이에는 소리 유입 홀(43310) 및 제1 소리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소리 가이드 구조(4333)는 제1 플레이트(43331) 및 제1 플레이트(43331)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진 가림판(43332)을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43331) 및 제1 플레이트(43331)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진 가림판(43332)은 삼각형을 구성한다.
제1 플레이트(43331) 및 제1 플레이트(43331)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진 가림판(43332)은 둘러싸여 드로 홀(4334)을 구비한 중공 삼각기둥을 형성하고, 드로 홀(4334)을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가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가공 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인접한 제1 플레이트(43331) 사이에 이퀄라이저의 소리 유입 홀(43310)을 구성하고, 인접한 경사진 가림판(43332)의 협각 사이에는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4332)를 구성한다. 두 개의 경사진 가림판(43332) 사이의 협각은 예각이고, 따라서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4331)의 폭은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4332)의 폭보다 작다. 소리 유입 홀(43310)이 초기 압축한 소리를 통해 제1 소리 가이드 통로에 진입하는 전반부에서 한층 더 나아간 압축을 하고, 동시에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4331)의 폭이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4332)의 폭보다 작기에 제1 소리 가이드 통로의 출구가 입구보다 커서 전체적인 제1 소리 가이드 통로 역시 나팔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압축 후의 소리가 제1 통로에서 전파된 후 초보적인 소리 확장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편평한 나팔 형상의 소리 배출부(4320)에 진입한 후 다시 소리 확장을 진행하여 음향 효과 및 소리의 지향성이 더 발전된 증강을 얻도록 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소리 유입 홀(43310)과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4332)는 서로 수직이므로 소리의 압축효과에 대하여 증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4331)의 하부 표면의 높이는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의 하표면의 높이보다 높아서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4331) 및 소리 배출부(4320)의 소리 배출구(4321)의 높이 차를 증강시켜 소리 배출부(4320)의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 편리하다.
상술한 배치를 통하여, 음파가 이퀄라이저 내의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점차적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전파되어 음파의 전파 범위를 향상시켰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상부", "하부",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방향", "축방향", "지름방향", "원주방향" 등으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으로,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을 간편하게 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달리 명시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설치",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고, 예를 들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직접접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요소의 연통 또는 두 개의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용어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용어 "제1" 및 "제2"는 단지 상이한 부재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순서 관계,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가리키는 기술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가리키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록 상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는 여전히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방안을 수정하거나 그 중의 부분 또는 전체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상응한 기술적 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와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수신부 및 소리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소리 수신부는 스피커와 연결되고, 소리 가이드 본체는 소리를 도출하는 소리 가이드 본체로 구성되고; 소리 수신부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가 배치되고, 소리 수신부로부터 먼 소리 가이드 본체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가 배치되며; 소리 가이드 본체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와 소리 가이드 본체는 설치 기준면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소리 수신부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내 또는 설치 기준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며; 소리 가이드 본체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다. 상술한 배치를 통하여 본 출원의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 과정에서 소리 가이드부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낮기에 전자 디바이스 소리 배출구 일측의 테두리 프레임을 얇게 할 수 있어 좁은 테두리 프레임을 구현한다.
1000 - 전자 디바이스;
1100 - 디스플레이면;
1200 - 수용 캐비티;
1300 - 스피커;
2000 - 전자 디바이스;
2100 - 수용 캐비티;
2200 - 스피커;
2210 - 스피커 하우징;
2220 -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
2300 - 소리 가이드 장치;
2310 - 소리 수신부;
2311 - 소리 유입구;
2312 - 단면;
2313 - 나사;
2320 - 소리 가이드 본체;
2321 - 소리 배출구;
2322 - 제1 부분;
2323 - 제2 부분;
2330 - 충격 완화 폼;
2340 - 스피커 메쉬(speaker mesh);
2350 - 이퀄라이저;
2351 -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
2352 -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
2353 - 소리 가이드판;
2354 - 드로 홀;
2360 - 소리 가이드 장치 앞 케이스;
2370 - 소리 가이드 장치 뒤 케이스;
2371 - 카드홈;
2372 - 카드유지홀;
2400 - 라우드스피커 지지대;
2500 - 백라이트 모듈;
2600 - 디스프레이 스크린;
2700 - 하부 프레임;
3000 - 설치 기준면;
4000 - 전자 디바이스;
4100 - 수용 캐비티;
4200 - 스피커;
4221 - 스피커 하우징;
4222 - 라우드스피커;
4300 - 소리 가이드 장치;
4310 - 소리 유입부;
4311 - 소리 유입구;
4320 - 소리 배출부;
4321 - 소리 배출구;
4330 - 이퀄라이저;
4331 -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
43310 - 소리 유입 홀;
4332 -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
4333 - 소리 가이드 구조;
43331 - 제1 플레이트;
43332 - 경사진 가림판;
4334 - 드로 홀(draw hole);
4400 - 라우드스피커 지지대;
4500 - 백라이트 모듈;
4600 - 디스플레이;
4700 - 하부 테두리 프레임

Claims (28)

  1.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와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수신부 및 소리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수신부는 스피커와 연결되고,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는 소리를 가이드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리 수신부의 단면에는 소리 유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소리 수신부로부터 먼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의 말단에는 소리 배출구가 배치되며;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의 하부는 설치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수신부와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는 상기 설치 기준면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수신부의 하부는 상기 설치 기준면 내 또는 상기 설치 기준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 말단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소리 수신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은,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소리 유입구의 투영 폭은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소리 배출구의 투영 폭보다 작은,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가이드 본체는 서로 연결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소리 수신부를 연결하고, 상기 소리 배출구는 상기 제1 부분에서 먼 상기 제2 부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소리 유입구로부터 상기 소리 배출구를 향해 점차 작아지고,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전자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소리 수신부를 연결하는 곳의 투영 폭은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곳의 투영 폭보다 크고,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1 부분의 투영 폭은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투영 폭보다 작은, 전자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서로 같고, 상기 설치 기준면 내에서의 상기 제2 부분의 투영 폭은 서로 같은,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배출구 내에는 충격 완화 폼과 스피커 메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충격 완화 폼은 상기 소리 배출구의 외측벽 상에 감싸져 있고, 상기 스피커 메쉬는 상기 소리 배출구의 말단에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이퀄라이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는 상기 소리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상기 스피커가 방출한 소리를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에는 복수의 소리 가이드 판이 배치되고, 각각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소리 가이드 판 사이의 간격은 같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소리 가이드 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퀄라이저의 소리 유입 홀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에는 복수의 드로 홀(draw hole)이 더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는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소리 가이드 어셈블리는 스피커 및 소리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는 L형이며,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는 소리 유입부와 소리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유입부는 상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상기 소리 유입부와 상기 소리 배출부는 서로 통하고,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와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는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가 있는 곳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가 있는 곳의 높이보다 높은, 전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의 방향을 향해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를 따라 작아지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유입부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의 방향을 향해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를 따라 작아지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배출부는 편평한 형상인, 전자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배출부의 두께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의 방향을 향해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를 따라 변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배출부는 편평한 나팔 형상인, 전자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유입부의 상부 표면과 상기 소리 배출부의 상부 표면 사이의 각도는 90도보다 크거나 같은, 전자 디바이스.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가이드 장치 내에는 이퀄라이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는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와 서로 통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와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는 서로 통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는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되어 배치되는 소리 유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유입 홀과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는 서로 통하고, 상기 소리 유입 홀과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 사이에는 제1 소리 가이드 통로를 구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유입 홀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소리 유입 슬롯인, 전자 디바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는 적어도 두 개의 소리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고, 인접한 상기 소리 가이드 구조 사이에는 상기 소리 유입 홀 및 상기 제1 소리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 전자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가이드 구조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경사진 가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경사진 가림판은 삼각형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경사진 가림판은 둘러싸여 드로 홀을 구비하는 중공 삼각기둥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24. 제2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경사진 가림판 사이의 각도는 예각인, 전자 디바이스.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유입 홀과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는 서로 수직인, 전자 디바이스.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유입구가 있는 하부 표면의 높이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가 있는 하부 표면의 높이보다 높은, 전자 디바이스.
  27. 제24항에 있어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이퀄라이저의 소리 유입 홀이 형성되고, 인접한 경사진 가림판의 내각 사이에는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리 유입 홀의 폭은 상기 이퀄라이저 소리 배출구의 폭보다 작은, 전자 디바이스.
  2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유입부의 소리 유입구는 상기 소리 배출부의 소리 배출구에 평행한, 전자 디바이스.
KR1020227009356A 2019-09-20 2020-07-01 전자 디바이스 KR10260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94078.5 2019-09-20
CN201910894078.5A CN112543387B (zh) 2019-09-20 2019-09-20 电子设备
PCT/CN2020/099771 WO2021051956A1 (zh) 2019-09-20 2020-07-01 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823A true KR20220079823A (ko) 2022-06-14
KR102606196B1 KR102606196B1 (ko) 2023-11-23

Family

ID=7488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356A KR102606196B1 (ko) 2019-09-20 2020-07-01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10157B2 (ko)
EP (1) EP4009657A4 (ko)
JP (1) JP7455196B2 (ko)
KR (1) KR102606196B1 (ko)
CN (2) CN112543387B (ko)
AU (1) AU2020350902B2 (ko)
WO (1) WO2021051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79617A1 (en) * 2022-05-19 2023-11-23 Roku, Inc Compression Loaded Slit Shaped Waveguide
CN218387772U (zh) * 2022-07-28 2023-01-2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箱结构以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22U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스피커 체결장치
KR20010083946A (ko) * 1998-11-06 2001-09-03 에이지마, 헨리 비상관성 상(Phase) 발산 음향원을 구비한 확성기
KR20130112215A (ko) * 2012-04-03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04131695U (zh) * 2014-09-12 2015-01-28 朱双贵 一种具有导音装置的音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6224U (ko) * 1976-11-02 1978-06-03
JPH0284493U (ko) * 1988-12-19 1990-06-29
JPH0386676U (ko) * 1989-12-20 1991-09-02
JPH078074B2 (ja) * 1991-04-26 1995-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60011026B1 (ko) * 1993-07-26 1996-08-16 대우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스피커시스템
JPH0847098A (ja) * 1994-08-02 199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機器用スピーカ装置
JP3171542B2 (ja) * 1995-05-26 2001-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822443A (en) * 1996-04-22 1998-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system for a television
FI120126B (fi) * 2004-04-30 2009-06-30 Aura Audio Oy Menetelmä tasaisen ääniaaltorintaman aikaansaamiseksi sekä tasoaaltosuuntain, kaiutinrakenne ja akustinen linjasäteilijä
JP5010810B2 (ja) * 2005-05-13 2012-08-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1063836Y (zh) * 2007-07-11 2008-05-21 陈权江 超薄型扬声器
CN201349323Y (zh) * 2009-01-12 2009-11-18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液晶电视隐藏式扬声器系统
CN201398234Y (zh) * 2009-01-14 2010-02-03 深圳市康冠电脑技术有限公司 一种音箱
JP5811579B2 (ja) * 2011-05-06 2015-11-11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5658853B1 (ja) * 2013-07-12 2015-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CN104113797A (zh) * 2014-06-26 2014-10-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音频组件及电子设备
CN207083228U (zh) * 2017-08-14 2018-03-09 陈磊 车辆顶灯用超薄型扬声器
CN207354595U (zh) * 2017-09-07 2018-05-11 宁波音沛乐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机构的扬声器
CN208783087U (zh) * 2018-05-14 2019-04-23 宁波音沛乐电子有限公司 一种扬声器等化器
CN208969539U (zh) * 2018-08-10 2019-06-11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喇叭组件
CN211128078U (zh) * 2019-09-20 2020-07-2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导声组件
CN211128150U (zh) * 2019-09-20 2020-07-2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导声装置
CN210839942U (zh) * 2019-10-11 2020-06-2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22U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스피커 체결장치
KR20010083946A (ko) * 1998-11-06 2001-09-03 에이지마, 헨리 비상관성 상(Phase) 발산 음향원을 구비한 확성기
KR20130112215A (ko) * 2012-04-03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04131695U (zh) * 2014-09-12 2015-01-28 朱双贵 一种具有导音装置的音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9657A4 (en) 2022-10-12
AU2020350902A1 (en) 2022-04-21
CN112543387B (zh) 2022-07-22
EP4009657A1 (en) 2022-06-08
CN112543387A (zh) 2021-03-23
WO2021051956A1 (zh) 2021-03-25
US20220210548A1 (en) 2022-06-30
AU2020350902B2 (en) 2023-05-11
JP7455196B2 (ja) 2024-03-25
KR102606196B1 (ko) 2023-11-23
US11910157B2 (en) 2024-02-20
CN115022758A (zh) 2022-09-06
JP2022547321A (ja)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1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428291B2 (en) Speaker system with subwoofer
KR20220079823A (ko) 전자 디바이스
CN110944079B (zh) 电子设备
CN111225086B (zh) 电子设备
EP4246999A1 (en) Audio device
CN114866887A (zh) 一种扬声器模组和智能穿戴设备
CN211128078U (zh) 导声组件
CN211128150U (zh) 导声装置
CN210016491U (zh) 移动终端
CN112369045B (zh) 壳体组件以及电子设备
WO2021092972A1 (zh) 一种电子设备
US2012032111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ound emission holes aligned with speaker at recess of rear cover
CN217216874U (zh) 扬声器装置及电子设备
CN113796095A (zh) 扬声器设备、扬声器和结构
CN217770283U (zh) 显示装置后壳及显示装置
CN114697426A (zh) 一种终端
CN220440869U (zh) 音响组件及显示设备
CN220493108U (zh) 音箱及电子设备
CN215815114U (zh) 显示装置
CN215529218U (zh) 一种音响孔、音响组件和白板一体机
CN217693597U (zh) 显示设备及其条形音箱
CN218917793U (zh) 手机屏幕放大镜盒
CN210469729U (zh) 带有显示屏的电子产品的后壳和带有显示屏的电子产品
CN220693328U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