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917A -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917A
KR20220070917A KR1020200157976A KR20200157976A KR20220070917A KR 20220070917 A KR20220070917 A KR 20220070917A KR 1020200157976 A KR1020200157976 A KR 1020200157976A KR 20200157976 A KR20200157976 A KR 20200157976A KR 20220070917 A KR20220070917 A KR 2022007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vement
concrete
layer
cast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702B1 (ko
Inventor
전규남
Original Assignee
콘비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비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비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2Coverings, the surface of which consists partly of prefabricated units and partly of sections mad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형차량 전용차로의 포장층에서 대형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반복하중을 받는 휠 패스구간만을 고강성 포장하고 나머지 구간을 현장여건에 맞게 연성 포장하며 현장 타설 방식을 통해 시공과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공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은, 대형차량(1)의 바퀴(2)의 좌우 폭보다 넓은 폭을 두고 좌우 양쪽에 각각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23) 사이에 철근(22)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21)와 철근(22)에 의한 강성 포장부(20)를 시공하되,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에 맞춰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서로 평행한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 사이를 상기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약한 아스팔트와 녹화재와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연성재료로 채워 연성 포장부(30)를 시공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type pavement layer used for large car lane}
본 발명은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9인승이상 승합차 및 화물차 등을 포함하는 대형차량의 전용차로(버스전용차로, 화물차 전용차로 등)에서 대형차량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되는 구간인 휠 패스구간을 고강성인 콘크리트로 포장하고 나머지 구간을 연성으로 포장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차로의 포장층을 형성하는 도로포장은 표면포장 방법에 따라서 아스팔트계열인 연성포장과 콘크리트계열인 강성포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성포장의 대표적 시공공법으로는 아스팔트(아스콘) 포장을 예로 들 수가 있다.
아스팔트 포장은 시공비가 싸고 승차감이 좋은 반면에,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사용 중 도로 파손이 많고, 이에 따라 자주 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강성포장의 시공공법으로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포장(concrete pavement)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을 예로 들 수가 있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 포장은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사용 시 도로 파손이 적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비가 비싸고, 타설 후 상당시간 양생 기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공장에서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한 뒤,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므로, 양생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연성 포장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대형차량(버스, 9인승이상 승합차 및 화물차)의 전용차로에 사용할 때 잦은 보수 공사와 막대한 보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대형차량의 전용차로에 부적합하고, 반면 강성 포장은 연성 포장에 비해 높은 강도 특성으로 대형차량의 전용차로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대형차량이 전용차로를 주행하는 경우 긴 구간동안 차선변경 없이 주행하게 되고 따라서, 전용차로의 폭과 대형차량의 폭 및 바퀴의 폭을 감안할 때 전용차로에서 대형차량의 바퀴가 통과하는 부분은 일부분일 뿐이며, 즉, 전용차로에서 대형차량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구간만을 강성포장으로 하고 나머지 구간을 비강성포장으로 하여도 대형차량의 전용차로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구간을 강성 포장 또는 연성 포장하여 비용 손실(초기 시공 비용, 보수 비용)을 유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형차량 주행차로의 경우, 한 차선 내에서 차량의 좌우 이동이 자유롭고 잦은 차선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층 전체에 반복하중이 가해진다.
하지만, 대형차량 전용차로의 경우, 버스, 9인승이상 승합차 및 화물차 등의 대형차량만이 운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대형차량은 차의 폭이 크기 때문에 한 차선 내에서 좌우이동이 거의 이루어질 수 없어 포장층 상에 일부 구간을 반복하여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대형차량의 바퀴가 주행하는 일부 구간이 반복하중을 받아 해당 부분이 집중적으로 파손되고 이와 같이 반복하중이 집중되는 곳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특허문헌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2112148호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호 간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각각 지지하는 제1, 2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패널로 구성되는 강성포장부; 및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패널 및 제2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패널 사이에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연성포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에 따른 제조와 취급(운반, 설치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106195호는 아스팔트 포장방법으로서 차량의 좌우 차륜 주행 위치에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층재료의 유동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볼록조 및 상기 볼록조의 사이 및 표층을 형성하도록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펴골라 다짐되는 기반을 포함하는 것으로, 블록조를 통해 표층부의 유동을 억제할 뿐 아스팔트 포장인 것이기 때문에 연성 포장의 단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블록조가 표층부 안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부는 대형차량의 반복하중에 대한 취약함이 있어 잦은 보수를 요구하며 또한 블록조가 있다 하더라도 일체형의 아스팔트 포장층이기 때문에 블록조가 있는 부분만을 구분하여 보수할 수도 없고, 단일의 포장층이기 때문에 하중으로 인한 손상이 다른 곳으로 전달되어 결국 포장층 전체의 손상을 유발한다.
등록특허 제10-2112148호 일본공개특허 제2011-106195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대형차량 전용차로의 포장층에서 대형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반복하중을 받는 휠 패스구간만을 고강성 포장하고 나머지 구간을 현장여건에 맞게 연성 포장하며 현장 타설 방식을 통해 시공과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현장 대응도 용이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대형차량의 바퀴의 좌우 폭보다 넓은 폭을 두고 좌우 양쪽에 각각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성 포장부를 시공하되,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에 맞춰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서로 평행한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 사이를 상기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약한 아스팔트와 녹화재와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연성재료로 채워 연성 포장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버스나 대형 승합차나 화물차 등 대형차량이 주로 주행하는 전용차로에서 대형차량의 바퀴와 접하여 대형차량의 반복하중을 받는 휠 패스구간을 고강성인 콘크리트로 포장하여 포장층의 수명을 연장하고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대형차량의 반복하중을 받지 않는 구간 즉 휠 패스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강성 포장부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연성 포장하여 시공비용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성 포장부를 잔디(잔디는 녹화가 가능한 녹화재의 일 예) 등으로 녹화함으로써 도심지 미관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연성 포장부 안에 저류공간으로 활용하여 열섬 현상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제작된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 공간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타설 공간에 제거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암석 등이 있어도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할 때보다 현장 대응이 매우 유연하고 시공도 용이하다.
또한, 강성 포장부와 연성 포장부의 분리 보수가 가능하며, 따라서, 포장층에 일부분이 손상된 경우 포장층 전체를 보수대상으로 하지 아니하고 강성 포장부 또는 연성 포장부를 분리 보수할 수 있으므로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포장층을 사시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강성 포장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연결부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한 강성 포장부의 시공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해 강성 포장부를 스터드로 지반과 합성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해 연성 포장부에 저류박스를 시공한 상태의 예시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적용된 저류박스의 예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10)은,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에 의한 강성 포장부(20) 및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약한 연성 포장부(30)로 구성되며, 강성 포장부(20)는 대형차량의 좌우 차륜에 맞춰 좌우 양쪽에 구성된다.
강성 포장부(20)와 연성 포장부(30)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가 연성 포장부(3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한 기본 형태(도 2),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가 연성 포장부(3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면서 연결부(4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도 3) 등이 있다.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는 포장층(10)의 좌우 끝까지 시공되는 형태 즉 강성 포장부(20)(좌측) - 연성 포장부(30)(중앙) - 강성 포장부(20)(우측)의 형태가 가능하고, 또는 바깥쪽에 연성 포장부(30)가 더 있는 형태 즉 연성 포장부(30)(좌측 끝) - 강성 포장부(20)(좌측) - 연성 포장부(30)(중앙) - 강성 포장부(20)(우측) - 연성 포장부(30)(우측 끝)의 형태가 가능하다.
연성 포장부(30)는 강성 포장부(20)의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약한 연성재료에 의한 포장으로 아스팔트 포장, 녹지 포장(천연 잔디, 인조 잔디 등), 블록 포장 등이 있고, 특히 녹지 포장의 경우 도심지 버스전용차로에 녹지를 보여줌으로써 도심지 미관 개선에 매우 유용하고 빗물을 저수한 후 증발시킴으로써 열섬 현상 저감에도 도움을 준다.
즉, 연성 포장부(30)는 다양한 목적에 맞춰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고,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저부에서부터 골재층(31) - 식생토층(32) - 잔디(천연 잔디)(33)로 이루어진다. 골재층(31)은 침하방지에 유용하고 식생토층(32)은 물을 흡수하여 잔디(33)에 물을 공급하면서 증발을 통해 열섬 현상 저감에 도움을 준다. 물론 인조 잔디의 경우 연성 포장부(30)는 골재층(31)과 인조 잔디 매트만으로 구성된다.
연성 포장부(30)는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저류박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저류박스(34)는 빗물을 받도록 상부에 다수 개의 구멍이 있으면서 내부에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구비된 박스로서 연성 포장부(30)의 바닥에 설치되고 그 위에 천연 잔디의 경우 식생토층(32)과 천연 잔디가 있으며 인조 잔디의 경우 인조 잔디 매트가 깔려 설치된다.
저류박스(34)는 갈수기 등에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별도의 물 보충수단과 함께 운용될 수 있다.
상기 물 보충수단은 상수나 재활용수의 공급원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밸브의 개폐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저류박스(34)는 평상시에 식생토층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하고 있어 열섬 현상 저감에 매우 효과적이다.
저류박스(34)는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증발시키기 위하여 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심지가 포함될 수 있다.
저류박스(34)는 연성 포장부(30)의 크기와 형태(직선, 곡선)에 맞춰 사용이 용이하도록 2개 이상이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도 10은 저류박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9는 저류박스(35)의 바닥부에 내부의 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하나 이상의 침투홀(34a)이 구비된 것으로 4각형의 바닥판과 4개의 측벽이 4곳의 모서리부에서 각재를 통해 조립되는 상부 개방형이고, 바닥에서부터 빗물 저수통(35-1) - 식생층(35-2) - 매트층(35-3)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물 저수통(35-1)은 상부에 물이 유입되지만 식생층(35-2)이 침투하지 못하는 유입홀이 구비된 통이며 1개 또는 2개 이상이 적용된다.
식생층(35-2)은 1mm 내외 입도의 모래가 예를 들어 30mm두께로 조성된다.
도 10은 외부와 통하는 침투홀이 없는 배수형(비침투형)의 저류박스(36)로서,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연통관(36-1)이 포함되고 연통관(26-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저류박스(36)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36-2)이 함께 구성된다.
배수관(36-2)은 강성 포장부(20) 또는 연성 포장부(30)에 구성된다.
저류박스(36) 내부는 식생층과 매트층이 구성된다.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는 다음의 2가지 조건을 만족하며, 강성 포장부(20) 각각의 폭은 대형차량(1)의 좌우 바퀴(2)의 폭보다 큰 폭이고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 사이의 간격은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 사이의 간격보다 좁아야 한다.
강성 포장부(20)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이므로 콘크리트부(21)를 기본으로 하며 보강을 위한 철근(22)을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체이다.
철근(22)은 종철근과 띠철근의 조합 등 다양한 방식의 사용이 가능하다.
강성 포장부(20)는 대형차량의 차륜에 맞춰 그 폭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깊이 또한 규격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장에서 미리 조립한 조립형의 철근(22)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결국 시공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40)는 콘크리트(철근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식, 연결부재(강봉, 철근 등)의 길이방향 양측이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20)에 매설(또는 고정)되는 기계식이 가능하다. 도 4는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식을 도시한 예이며, 콘크리트부(41)와 철근(42)으로 구성된다. 콘크리트부(41)는 거푸집의 공간에 타설되는 것이고 철근(42)은 연결부(40)의 강도를 보강한다.
철근(42)은 강성 포장부(20)의 철근(22)과 결속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강성 포장부(20)의 철근(22)을 연결부(40)쪽으로 벤딩하여 연결부(40)의 위치에서 철근(22,42)들을 결속한다.
현장 타설식의 연결부(40)는 그 폭과 깊이가 강성 포장부(20)와 동일할 수 있고 또는 강성 포장부(20)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현장 타설 방식에 맞춰 거푸집을 필요로 한다.
거푸집은 강성 포장부(20)의 형태와 크기에 맞춰 제작된 제품이며, 하나의 강성 포장부(20)를 시공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좌우 양쪽에 각각 세워지는 2개의 거푸집(23)이 사용되고 이 때 지면을 바닥의 거푸집으로 한다.
한편, 거푸집이 설치되는 좌우 양쪽의 위치에 지반이나 도로 구조물(예를 들어 경계석, 연성 포장부 등)이 있는 경우 이 부분에는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강성 포장부(20)를 시공하며, 도 6은 경계석(3)과 연성 포장부(30)를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경계석(3)과 연성 포장부(30)의 사이에 철근(22)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성 포장부(20)를 시공한다.
현장의 지반이나 포장층이나 구조물을 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경우 이들이 콘크리트가 침투되는 형태라면 콘크리트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숏크리트를 먼저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강성 포장부(20)는 종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별로 현장 타설되어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형태이며, 이 때, 선 시공된 강성 포장부(20)와 후 시공된 강성 포장부(20)가 연속성을 유지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다웰바(24)가 사용된다.
다웰바(24)는 선 시공된 강성 포장부(20)에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 나머지 부분(돌출 부분)이 후시공될 강성 포장부(20)의 콘크리트 타설 시 자연스럽게 매설된다.
다웰바(24)의 설치는 후설치 또는 선매립이 가능하며, 후설치는 강성 포장부(20)의 콘크리트 양생 후 구멍(콘크리트 양생 전 또는 후 형성)에 삽입한 후 몰탈 등을 주입하여 정착하는 것이다.
강성 포장부(20)는 지반과 일체로 합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스터드(25)의 저부를 지반에 삽입 정착하고 나머지 두부를 콘크리트부(21)에 매설하거나 철근(22)과 고정한 후 매설함으로써 강성 포장부(20)를 지반과 일체로 합성한다.
강성 포장부(20)는 연성 포장부(30)와 일체로 합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술한 연결부(40)가 그 기능을 한다.
연결부(40) 외에 강성 포장부(20)의 측면에는 연성 포장부(30)에 삽입되는 다웰바(26)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강성 포장부(20)는 선타설 구간과 후타설 구간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신축이음부는 탄성재질 등 다양한 제품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강성 포장부(20) 시공 - 연성 포장부(30) 시공의 순서, 반대로 연성 포장부(30) 시공 - 강성 포장부(20) 시공의 순서 모두가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별도의 거푸집(23)을 사용하는 것으로, 강성 포장부 시공은 거푸집 설치 - 철근 배근 - 콘크리트 타설 - 거푸집 탈형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연성 포장부 시공은 강성 포장부(20)에 의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공간에 연성 포장재를 충진하여 시공한다.
후자의 경우 도로 구조물과 연성 포장부(30)를 거푸집으로 사용하며, 연성 포장재료를 적층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연성 포장부(30)를 먼저 시공하고, 경계석과 먼저 시공된 연성 포장부(30)를 거푸집으로 하여 이들 사이의 공간에 철근(22)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성 포장부(20)를 시공한다.
10 :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
20 : 강성 포장부, 21,41 : 콘크리트부
22 : 철근, 23 : 거푸집
24,26 : 다웰바, 25 : 스터드
30 : 연성 포장부, 31 : 골재층
32 : 식생토층, 33 : 잔디
34 : 저류박스,
40 : 연결부,

Claims (5)

  1. 대형차량의 바퀴의 좌우 폭보다 넓은 폭을 두고 좌우 양쪽에 각각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성 포장부를 시공하되,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에 맞춰 상기 대형차량의 좌우 바퀴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서로 평행한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된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 사이를 상기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약한 아스팔트와 녹화재와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연성재료로 채워 연성 포장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좌우측의 강성 포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함께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지반의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스터드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강성 포장부를 지반과 일체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증발시키는 저류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류박스는 내부의 물을 지중에 침투시키는 침투형 또는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KR1020200157976A 2020-11-23 2020-11-23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KR10246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976A KR102467702B1 (ko) 2020-11-23 2020-11-23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976A KR102467702B1 (ko) 2020-11-23 2020-11-23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17A true KR20220070917A (ko) 2022-05-31
KR102467702B1 KR102467702B1 (ko) 2022-11-16

Family

ID=8177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976A KR102467702B1 (ko) 2020-11-23 2020-11-23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5784A (zh) * 2022-08-16 2022-09-30 国机中兴工程咨询有限公司 室外硬化场地削减雨水径流的铺装方法
CN116005510A (zh) * 2022-12-20 2023-04-25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试验场棋盘式混合型路面的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128A (ja) * 1998-03-03 1999-09-14 Obayashi Road Corp 鉄筋補強増厚工法
JP2010057425A (ja) * 2008-09-04 2010-03-18 Takenaka Komuten Co Ltd 緑化構造体、軌道の緑化構造、及び緑化工法
JP2011106195A (ja) 2009-11-19 2011-06-0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アスファルト舗装構造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方法
KR101172668B1 (ko) * 2012-02-21 2012-08-08 최금준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27463A (ko) * 2015-04-27 2016-11-04 (주)에이치에스드림텍 속경성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연속화 공법
KR20200015013A (ko) * 2018-08-02 2020-02-12 콘비젼스 주식회사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128A (ja) * 1998-03-03 1999-09-14 Obayashi Road Corp 鉄筋補強増厚工法
JP2010057425A (ja) * 2008-09-04 2010-03-18 Takenaka Komuten Co Ltd 緑化構造体、軌道の緑化構造、及び緑化工法
JP2011106195A (ja) 2009-11-19 2011-06-0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アスファルト舗装構造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方法
KR101172668B1 (ko) * 2012-02-21 2012-08-08 최금준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27463A (ko) * 2015-04-27 2016-11-04 (주)에이치에스드림텍 속경성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연속화 공법
KR20200015013A (ko) * 2018-08-02 2020-02-12 콘비젼스 주식회사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2148B1 (ko) 2018-08-02 2020-05-18 콘비젼스 주식회사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5784A (zh) * 2022-08-16 2022-09-30 国机中兴工程咨询有限公司 室外硬化场地削减雨水径流的铺装方法
CN116005510A (zh) * 2022-12-20 2023-04-25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试验场棋盘式混合型路面的施工方法
CN116005510B (zh) * 2022-12-20 2024-04-26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试验场棋盘式混合型路面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702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702B1 (ko) 현장 타설형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의 시공방법
CN109610263B (zh) 一种装配式施工便道的施工方法
CN105239483B (zh) 一种码头混凝土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60093943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CN107460890A (zh) 一种城市沥青砼道路窨井施工方法
KR102112148B1 (ko) 대형차량 전용차로용 포장층 및 이의 시공방법
JP6144726B2 (ja) 高速道路の山岳トンネルの盤ぶくれした走行路線の修復工法および修復工法用の吊り桟橋
CN216712852U (zh) 一种山区公路用中央分隔带钢筒混凝土护栏
JP3180316B2 (ja) 組立式コンクリート構造体
JP7396978B2 (ja) 複層プレキャスト舗装道路
JP3856791B2 (ja) 張出歩道の敷設方法
CN210163739U (zh) 基于预应力混凝土板桩构筑的市政道路
JP3065931B2 (ja) 鋼道路橋の伸縮継手支持体及び鋼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施工方法
KR20040017262A (ko) 도로포장용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CN220079617U (zh) 一种公路用重载排水平交道口结构
JP3854545B2 (ja) 函体式交通路
JP329576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道路側溝
CN219808190U (zh) 一种下穿铁路桥公路的桩板路基结构
JPH0449268Y2 (ko)
CN209368873U (zh) 一种多舱预制整体管廊
JP3890529B2 (ja) 橋梁施工用構造物および橋梁の施工方法
KR20035413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0252440B1 (ko) 조립식 입체 교차로와 그 시공방법
JP3595281B2 (ja) 道路の補修方法及びPCa版
KR200330844Y1 (ko) 도로의 연약지반 보강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