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043A -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043A
KR20220067043A KR1020200153297A KR20200153297A KR20220067043A KR 20220067043 A KR20220067043 A KR 20220067043A KR 1020200153297 A KR1020200153297 A KR 1020200153297A KR 20200153297 A KR20200153297 A KR 20200153297A KR 20220067043 A KR20220067043 A KR 2022006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electrolyte
butyl
substituted
methylimidazo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택
김용민
문홍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043A/ko
Priority to US17/375,167 priority patent/US11949068B2/en
Publication of KR2022006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4Organic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단량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음에도, 고분자 매트릭스, 이온성 액체, 및 이온염을 적정 함량으로 포함시켜 제조하므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으면서도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갖고, 전기화학적 범위가 넓으므로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이온 전도도가 높은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소형 전자기기에서부터 전기 자동차까지 적용 스펙트럼이 넓고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에너지 저장 소자이다. 상기 리튬 이온 전지에 포함된 양극/음극 물질, 멤브레인, 전해질 등 모든 부분이 리튬 이온 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관한 분야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기존 액체 전해질은 누액/부반응에 의한 고갈되는 점, 가연성이라는 점, 및 고온에서 증기압이 높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기존 고체 전해질은 이온 전도도가 너무 낮다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체상을 유지하지만, 비휘발성이고 이온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안정성을 지녀, 리튬 이온 전지에 활용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882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암모늄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모늄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온성 액체, 바람직하게는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온성 액체(ionic liquid);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4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나이트릴기, 니트로기,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5-C14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1 내지 R4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젠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8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x는 1 내지 8의 정수이고, 및
n은 60~3200의 정수이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5~60중량%; 및 상기 이온성 액체 40~8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다분산지수(Polydispoersity index; PDI)는 2.00~3.00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EMI][PF6]),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BF4]),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TFSI]),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PF6]),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BF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0.50~2.60mS/cm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 전체 중량 100중량% 기준, 금속염 1.5~40.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의 금속은 리튬(Li), 나트륨 (Na),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0.20~1.80mS/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4 내지 R6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나이트릴기, 니트로기,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5-C14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1 내지 R6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젠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8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및
x는 1 내지 8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 0℃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단일 용기(one-pot)내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EMI][PF6]),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BF4]),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TFSI]),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PF6]),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BF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은 금속 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염의 금속은 리튬(Li), 나트륨 (Na),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단량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음에도, 고분자 매트릭스, 이온성 액체, 및 이온염을 적정 함량으로 포함시켜 제조하므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으면서도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갖고, 전기화학적 범위가 넓으므로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에 포함되는 고분자 매트릭스인 폴리((2-아크릴로일옥시)-N,N,N-트리메틸에타미니움)(TFSI)[(Poly((2-Acryloyloxy)-N,N,N-trimethylethanaminium)(TFSI); [PATMA][TFSI]]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예 1-1(도 3a), 실시예 1-1(도 3b), 및 실시예 2-1(도 3c)의 고분자 전해질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측정결과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1, 실시예 2-1, 및 비교예 1-1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실시예 1-2, 실시예 2-2, 및 비교예 1-2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예 1-1(0wt%), 비교예 2-1(10wt%), 비교예 2-2(20wt%), 비교예 2-3(30wt%), 및 비교예 2-4(40wt%)의 고분자 전해질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측정결과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1(0wt%), 실시예 3-1(10wt%), 실시예 3-2(20wt%), 실시예 3-3(30wt%), 및 실시예 3-4(40wt%)의 고분자 전해질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측정결과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3-1(10wt%), 실시예 3-2(20wt%), 실시예 3-3(30wt%), 및 실시예 3-4(40wt%)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실시예 4-1(10wt%), 실시예 4-2(20wt%), 실시예 4-3(30wt%), 및 실시예 4-4(40wt%)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3-1의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범위(Electrochemical window)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3-1와 실시예 4-1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사이클 안정도 테스트(Cyclic stability test)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C1-C10 알킬기"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1차 내지 3차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ert-부틸, n-헥실 등과 같은 기능기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C1-C10 알콕시"는 -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10 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벤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콕시기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페녹시, 벤질옥시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아릴기는 1개 이상의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30의 일환식 또는 다환식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로부터 수소 원자 1개를 제거하여 얻어진 화학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상기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일환식 또는 다환식 화합물은 벤젠고리, 벤젠고리에 알킬 곁사슬이 붙은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 2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단일결합으로 결합한 바이페닐 등, 벤젠고리가 시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시클로 알킬기와 축합한 플루오렌, 크산텐 또는 안트라퀴논 등, 2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축합한 나프탈렌 또는 안트라센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접두어 헤테로는 -N-, -O-, -S- 및 -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가 탄소 원자를 치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헤테로원자로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피리딘, 피롤 또는 카바졸 등, 헤테로 원자로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퓨란 또는 디벤조퓨란 등, 또는 디벤조티오펜, 디페닐아민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할로겐기란 17족 원소를 의미하며, 예를들면 플루오로기, 클로로기, 브로모기 또는 요오도기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치환기가 없는 화학식 양 끝의 결합선은 이 화합물이 다른 화합물과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고분자 전해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암모늄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매트릭스는 암모늄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모늄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R4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나이트릴기, 니트로기,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5-C14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R1 내지 R4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가 할로겐기,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티오기, 메틸티오기, 알콕시기, 나이트릴기, 알데하이드기, 에폭시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카르보닐기, 아세탈기, 케톤기, 알킬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 벤질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대체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할로젠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또는 C1-C8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x는 상기 -(CH2)- 그룹의 사슬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1 내지 8의 정수일 수 있다. x가 8에 수렴할수록 유리전이온도 하락에 따른 이온전도도 향상 및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n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의 개수로써, n은 60~3200의 정수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은 1266~1582의 정수 일 수 있다. 상기 n이 60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n이 3200를 초과하면 이온전도도가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매트릭스에 포함된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반복단위가 반복되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매트릭스의 다분산지수(Polydispoersity index; PDI)는 2.00~3.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다분산지수"는 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의 비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200,000~25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000g/mol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고, 25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이온전도도가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매트릭스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반복 단위의 비율과 중량 평균 분자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를 포함하여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성 액체에 대한 용해도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100 ℃ 이하의 온도에서 액체 상태인 이온성 화합물을 의미하고,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녹는점이 상온(20℃ 내지 25℃) 이하인 염(salt)를 지칭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EMI][PF6]),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BF4]),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TFSI]),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PF6]),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BF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넓은 전기화학적 범위 (electrochemical window)를 갖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 10~60중량% 및 이온성 액체 40~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매트릭스가 10중량% 미만이면 고분자 전해질 내에 포함할 수 있는 리튬 염 이온의 양이 낮아지며, 기계적 강도가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이온전도도가 하락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온성 액체가 40중량%를 초과하면 이온전도도가 하락한다는 단점이 있고, 90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온성 액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것으로서, 이온 전도도가 0.50~2.60mS/cm 인 바, 이온 전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후술할 금속염을 더 포함하여 이온 전도성을 더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온성 액체에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염에 포함된 금속은 리튬(Li), 나트륨 (Na),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염은 예를 들어, [Li][TFSI], [Na][N], [K][Cl], 및 [Ca][C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이 EMI TFSI와 동일하고, Li 이온의 크기가 작아 배터리용으로 적합한 [Li][TFS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전해질 전체 중량 100중량% 기준, 금속염 1.5~4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40.0중량%를 초과하면 Li 이온이 석출되며 균일한 젤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온성 액체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고, 이에, 금속염을 더 포함함에 따라, 이온 전도도는 0.20~1.80mS/cm일 뿐만 아니라 전기화학적 범위(Electrochemical window)가 4.88V이므로, 기존 기술에 비해 이온 전도도가 더 향상되면서도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S10),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는 단계(S20)를 포함하고, 금속 염을 혼합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S10)는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R1 내지 R3와 R4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R5 및 R6 는 R4과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상기 x도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 0℃일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50℃미만이면 기계적강도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고, 0℃를 초과하면 체인 모빌리티의 감소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슬 유동성, 및 이온성 액체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갖는 단량체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므로, 기존 기술에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에 비해, 더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매트릭스는 일정 사슬기를 포함하는 암모늄 그룹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넓은 전기화학적 범위(electrochemical window)를 가져 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중합은 프리 라디칼 중합(Free radical polymeriazation), 리빙 음이온 중합(living anionic polymerization), 리빙 양이온 중합(living cationic polymerization), 조절된 라디칼 중합(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RAFT(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ATRP(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NMP(nitroxidemediated polymerization) 등의 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반응이 쉽고 간단한 프리 라디칼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할 수 있다. 상기 프리 라디칼 중합(Free radical polymeria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하는 경우, 상기 단량체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와 혼합하고, Ar 가스로 상온에서 30 분 내지 1.5 시간 동안 퍼징한 다음, 78 ℃ 내지 82 ℃의 온도에서 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중합 후, 선택적으로 용액을 액체 질소로 켄칭(quenching)시키고, 과량의 메탄올에 침전시켜 중합물을 얻고, 이를 여과하고 30 ℃ 내지 70 ℃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켜 정제시킬 수 있다. 이 공정을 추가 정제를 위해 2회 내지 5 회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단일 용기 내 반응(One-pot reaction)으로 진행되고, 부가적으로 작용기를 추가시키는 단계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공정 단계가 간소하여 공정 효율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다.
상기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는 단계(S20), 및 상기 금속 염을 혼합하는 단계(S30)는 상기 단계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는 단계이고, 금속 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방법은 상기 이온성 액체에 고분자 매트릭스 및/또는 금속 염이 고르게 분산시키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마그네틱바를 포함하여 상온에서 교반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혼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하는 이온성 액체 및 금속 염은 상기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S10) 고분자 매트릭스인 폴리((2-아크릴로일옥시)-N,N,N-트리메틸에타미니움)(TFSI)[(Poly((2-Acryloyloxy)-N,N,N-trimethylethanaminium)(TFSI); [PATMA][TFSI]]를 제조하기 위해, 프리 라디칼 중합(Free radical polymeriazation) 중합 방법을 통해 합성한다(하기 반응식 1 참조).
[반응식 1]
Figure pat00005
구체적으로, 단량체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니움)(Cl))([2-(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chloride) (30 g, 0.154 mol)을 물100 ml에 녹인용액과, [Li][TFSI](66.32g, 0.231 mol)를 물100 ml에 녹인 용액을 교반기를 포함한 플라스크에서 반응 시킨뒤, 분별 깔대기를 사용하여 단량체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니움)(TFSI))를 얻는다.
그 다음, 상기 준비한 단량체인([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니움)(TFSI))를 염기성 알루미나로 충전된 컬럼에 통과시켰다. 그 다음, 단량체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니움)(TFSI)) (12.6 g, 28.24 mmol) 및 AIBN(5 mg, 0.03 mmol)을 자석교반 막대가 장착된 플라스크에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가스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퍼징한 다음 80℃에서 반응시켰다. 15시간 후, 용액을 액체질소로 켄칭(quenching)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과량의 메탄올에 침전시켜 [PATMA][TFSI]를 얻었고, 이를 여과하고 60℃에서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이 공정을 추가 정제를 위해 3회 반복하였다. PS 표준으로 보정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로 측정된 수 평균분자량(Mn)은 195,000g/mol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 는 478,000이고, 다분산지수(Polydispoersity index; PDI)는 2.45이다.
(S20) 이온성 액체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를 60℃에서 혼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20중량%, 및 이온성 액체 80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실시예 1-2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실시예 1-1과 비교했을 때, 이온성 액체인 [P14][TFSI]를 25℃에서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와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실시예 2-1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실시예 1-1과 비교했을 때, 단량체인 [PATMA][TFSI]와, 이온성 액체인 [P14][TFSI]를 60℃에서 혼합하여, 결과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30중량%, 및 이온성 액체 70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와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실시예 2-2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실시예 2-1과 비교했을 때, 이온성 액체인 [P14][TFSI]를 25℃에서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와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 : 금속염([Li][TFSI])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
실시예 1-1과 비교했을 때,
60℃ 온도에서, 고분자 전해질 전체 중량 100중량% 기준으로, 1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1), 2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2), 3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3), 및 4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4)을 포함시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실시예 4-1 내지 실시예 4-4 : 금속염([Li][TFSI])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
실시예 1-1과 비교했을 때,
25℃ 온도에서, 고분자 전해질 전체 중량 100중량% 기준으로, 1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1), 2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2), 3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3), 및 4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실시예 3-4)을 포함시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비교예 1-1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실시예 1-1과 비교했을 때, 단량체인 [PATMA][TFSI]와 이온성 액체인 [P14][TFSI]를 60℃에서 혼합하여, 결과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10중량%, 및 이온성 액체 90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와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비교예 1-2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비교예 1-1과 비교했을 때, 이온성 액체인 [P14][TFSI]를 25℃에서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1와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 : 금속염([Li][TFSI])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
비교예 1-1과 비교했을 때,
60℃ 온도에서, 고분자 전해질 전체 중량 100중량% 기준으로, 1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비교예 2-1), 2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비교예 2-2), 3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비교예 2-3), 및 40중량%의 함량의 금속염(비교예 2-4)을 포함시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1과 동일하게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한다.
실험예 1 : 제조된 고분자 매트릭스의 구조 확인
도 2에 따른 1H NMR 스펙트럼에 따라, 제조된 랜덤공중합체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a 영역 및 b영역의 피크 및 피크면적을 통해 상대적으로 벗겨지지 않은 카보닐계 옆의 메틸기의 수소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c 영역 및 d 영역의 피크 및 피크 면적을 통해 인접한 카보닐기, 산소 원자, 및 질소 원자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벗겨진 메틸기(CH2)의 수소들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e 영역의 피크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장 큰 피크면적을 통해 질소원자에 치환된 메틸기(CH3)들의 수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2-아크릴로일옥시)-N,N,N-트리메틸에타미니움)(TFSI)[(Poly((2-Acryloyloxy)-N,N,N-trimethylethanaminium)(TFSI); [PATMA][TFSI]]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측정
실시예 1-1과 실시예 2-1, 및 비교예 1-1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고, 아세톤을 고분자 매트릭스 대비 12중량%를 첨가하여 두께 0.04mm, 지름 18mm위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EIS를 측정한다. 이에 따른 결과를 각각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a 내지 도 3c을 참고하면, 이온성 액체비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비교예 1-1의 고분자 전해질로 제조한 멤브레인에서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므로, 최소한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선 고분자 메트릭스가 전체 중량 100% 기준 10중량%은 초과하여 포함해야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2, 및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2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각 온도에 따라 이온성 액체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다음, 이에 따른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4a 내지 도 4b에 나타내었다.
이온성 액체 이온 전도도(mS/cm)
90중량% 80중량% 70중량%
25℃ 1.33(비교예 1-2) 0.93(실시예 1-2) 0.59(실시예 2-2)
60℃ 2.55(비교예 1-1) 1.89(실시예 1-1) 1.58(실시예 2-1)
상기 표 1과 도 4a 내지 도 4b을 참고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이온성 액체의 농도가 높을수록 이온 전도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험예 2를 참고하면 이온성 액체의 함량이 적정 함량을 넘어서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온전도도과 기계적 강도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따라서,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염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 15~60중량%; 및 이온성 액체 40~8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어야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다는 특징이 있다.
실험예 4 : 금속염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측정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 및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에 따라 금속염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고, 아세톤을 고분자 매트릭스 대비 12중량%를 첨가하여 두께 0.04mm, 지름 18mm위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EIS를 측정한다. 이에 따른 결과를 각각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a 내지 도 5b을 참고하면, 고분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금속염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멤브레인의 흘러내림이 적어 기계적 강도가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금속염이 30중량%를 벗어나면 형태가 찌그러지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분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시예 3-1 내지 3-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금속염의 비율이 10중량% 이상부터 멤브레인의 형태가 견고하게 갖춰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시예 3-1 내지 3-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교예 2-1 내지 비교예 2-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보다, 함유할 수 있는 리튬이온(Li+)의 함량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염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 15~60중량%; 및 이온성 액체 40~8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금속염을 0중량% 초과 40중량% 이하로 포함해야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리튬이온(Li+)의 함량을 높여 이온 전도성이 향상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실험예 5 : 금속염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4-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각 온도에 따라 금속염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다음, 이에 따른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도 6a 내지 도 6b에 나타내었다.
이온염 이온 전도도(mS/cm)
10중량% 20중량% 30중량% 40중량%
25℃ 0.55(실시예 4-1) 0.29(실시예 4-2) 0.27(실시예 4-3) 0.12(실시예 4-4)
60℃ 1.74(실시예 3-1) 1.29(실시예 3-2) 0.97(실시예 3-3) 0.92(실시예 3-4)
상기 표 2와 도 6a 내지 도 6b을 참고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이온염의 농도가 낮을수록,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즉, 이온염의 함량이 증가하면 이온전도도가 감소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염의 함량이 20중량% 이상이라도 이온 전도도가 1mS/cm에 수렴하는 값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온 전도도가 기존에 비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 금속염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범위(Elecgtrochemical window)와 사이클 안정성 테스트 측정
실시예 3-1과 실시예 4-1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고, 이의 전기화학적 범위(Elecgtrochemical window)와 사이클 안정성 테스트 측정한 결과를 각각 도 7a 내지 도 7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a을 참고하면, 실시예 3-1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전기화학적 범위가 -2.37~+2.51V인 바 그 범위가 4.88V으로 넓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고분자 전해질에 포함된 고분자 매트릭스가 암모늄 도메인을 갖추고 있어 종래 고분자 전해질에 비해 더 넓은 화학적 범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도 7b을 참고하면, 실시예 3-1와 실시예 4-1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100사이클에 따른 온도 변화 테스트 후에도 이온전도도 차이가 11% 이내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단량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음에도, 고분자 매트릭스, 이온성 액체, 및 이온염을 적정 함량으로 포함시켜 제조하므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으면서도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갖고, 전기화학적 범위가 넓으므로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온성 액체(ionic liquid);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4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나이트릴기, 니트로기,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5-C14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1 내지 R4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젠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8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x는 1 내지 8의 정수이고, 및
    n은 60~320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5~60중량%; 및
    상기 이온성 액체 40~85중량%인 것인 고분자 전해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다분산지수(Polydispoersity index; PDI)는 2.00~3.00인 것인 고분자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EMI][PF6]),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BF4]),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TFSI]),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PF6]),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BF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
  5. 제1항에 있어서,
    이온 전도도는 0.50~2.60mS/cm인 것인 고분자 전해질.
  6. 제1항에 있어서,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전체 중량 100중량% 기준,
    금속염 1.5~4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의 금속은 리튬(Li), 나트륨 (Na),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0.20~1.80mS/cm인 것인 고분자 전해질.
  10.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pat00007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4 내지 R6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나이트릴기, 니트로기,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1-C1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5-C14 헤테로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R1 내지 R6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젠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8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및
    x는 1 내지 8의 정수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 0℃인 것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단일 용기(one-pot)내에서 진행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다이즈 N-메틸-N-부틸-피롤리디늄(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s N-methyl-N-butyl-pyrrolidinium, [P14][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EMI][PF6]),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BF4]),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TFSI]),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PF6]), 1-뷰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BF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금속 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염의 금속은 리튬(Li), 나트륨 (Na),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20200153297A 2020-11-17 2020-11-17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7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297A KR20220067043A (ko) 2020-11-17 2020-11-17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US17/375,167 US11949068B2 (en) 2020-11-17 2021-07-14 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297A KR20220067043A (ko) 2020-11-17 2020-11-17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43A true KR20220067043A (ko) 2022-05-24

Family

ID=8158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297A KR20220067043A (ko) 2020-11-17 2020-11-17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49068B2 (ko)
KR (1) KR202200670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12A (ko) 2018-01-18 2019-07-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 전도성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2055B2 (ja) * 1999-04-14 2011-11-09 日本化薬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光電変換素子
JP4157056B2 (ja) 2004-02-23 2008-09-2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ゲルポリマー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DE102005013790B4 (de) * 2005-03-24 2007-03-29 Polymaterials Ag Polymerelektrolyt, Verwendung des Polymerelektrolyten und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die den Polymerelektrolyten umfasst
JP5067728B2 (ja) * 2006-03-15 2012-11-07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ポリマー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57178B1 (ko) * 2010-01-15 2017-07-12 주식회사 쿠라레 고분자 전해질 겔 조성물
CN103633367B (zh) 2012-08-28 2016-12-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凝胶聚合物电解质和聚合物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TWI476976B (zh) 2012-12-28 2015-03-11 Ind Tech Res Inst 聚合膠態電解質與高分子鋰二次電池
US20160104918A1 (en) 2013-05-24 2016-04-14 Joyce Wang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ion batteries employing the gel polymer electrolyte
WO2016053065A1 (ko) 2014-10-02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86384B1 (ko) * 2015-10-23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보호 음극 및 리튬전지, 및 랜덤공중합체 제조방법
KR20200078211A (ko) * 2018-12-21 202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전지
US11456483B2 (en) * 2019-03-04 2022-09-27 The Mitre Corporation Carbon fiber battery electrodes with ionic liquid and gel electroly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12A (ko) 2018-01-18 2019-07-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 전도성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9068B2 (en) 2024-04-02
US20220158234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650B1 (ko) 도전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3301378B2 (ja) ポリエーテル共重合体および架橋高分子固体電解質
Nakabayashi et al. Synthesis of 1, 2, 4-triazolium salt-based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by RAFT polymerization: Ion conductivity and assembled structures
D'Aprano et al. Steric and electronic effects in methyl and methoxy substituted polyanilines
JP6686500B2 (ja) 導電性高分子水溶液、及び導電性高分子膜
US20030044688A1 (en) Polyalkylene oxide polymer composition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s
JP2018184586A (ja) 導電性高分子水溶液
KR101957629B1 (ko)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이온 젤 및 상기 이온 젤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KR20160130384A (ko) 신규한 테트라시아노-안트라퀴노-디메탄 중합체 및 그의 용도
Obadia et al. Cationic and dicationic 1, 2, 3-triazolium-based poly (ethylene glycol ionic liquid) s
US11643496B2 (en) Polymer electrolyte having superior ion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20067043A (ko)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829580B2 (en) Noncovalent soft elasto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158233A1 (en) 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2546617B2 (ja) 温度特性の向上された導電性高分子化合物
Cui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n electroactive alternating multi‐block copolymer of poly (ethylene oxide) and oligo‐aniline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Chan Poly [3, 3′-dialkyl-2, 2′-(ethyne-1, 2-diyl) bis (thiophene)]: electrically conducting and fluorescent polymers incorporating a rigid acetylenic spacer
Yasuda et al. Preparation of N-grafted polyanilines with oligoether side chains by using ring-opening graft copolymerization of epoxide, and their optical, electro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and ionic conductivity
KR100514643B1 (ko) 폴리아닐린의 제조방법
US5310829A (en) Quaternary poly(iso) quinolinediyl and preparation thereof
JPWO2020129854A1 (ja) 導電性高分子組成物
KR101964200B1 (ko) 고체 콘덴서용 수분산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KR102431992B1 (ko) 젤 고분자 전해질용 젤레이터 공중합체 및 고분자 젤레이터의 기계적 강도 특성 향상 방법
JP2005048091A (ja) アニリン系導電性高分子の製造方法とその導電性高分子
US11339246B2 (en) Preparation method of poly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