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883A -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883A
KR20220062883A KR1020200148593A KR20200148593A KR20220062883A KR 20220062883 A KR20220062883 A KR 20220062883A KR 1020200148593 A KR1020200148593 A KR 1020200148593A KR 20200148593 A KR20200148593 A KR 20200148593A KR 20220062883 A KR20220062883 A KR 2022006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railer
support
holding rod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한
Original Assignee
노윤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한 filed Critical 노윤한
Priority to KR102020014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883A/ko
Publication of KR2022006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9/00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 B62D59/04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driven from propulsion unit on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조향손잡이(120)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퀴(140)가 형성된 지주봉(100); 상기 바퀴(140)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14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00); 상기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고 트레일러(500)가 고정되는 지지대(300); 상기 지지대(3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400);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트레일러(500) 앞쪽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200)로 상기 바퀴(140)를 구동하면서 상기 조향손잡이(120)를 조작하여 상기 트레일러(5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장치(400)로 상기 지지대(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트레일러(500)의 수평을 조절하게 되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견인장치{towing device}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핑용 캐러번(caravan)과 같은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레일러는 중량물로 주로 차량을 이용해 끌고 다니게 된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단순히 화물을 싣고 운송하기 위한 구성, 이동식 주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들이 알려져 있다.
한편, 트레일러를 주차하고자 하면 차량을 이용해 주차지점에 인접하게 끌고 간 다음, 차량에서 분리하여 주차를 시켜야 한다. 이때 트레일러는 중량물이고 별도의 동력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소망하는 위치에 주차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트레일러의 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지만, 트레일러 바퀴는 트레일러 중간 지점 또는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어서 상기와 같이 바퀴를 구동시키는 경우 방향전환이 쉽지 않은 등 조종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8-0075217호(2018.7.4.)
본 발명은 중량물인 트레일러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견인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단에 조향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퀴가 형성된 지주봉; 상기 바퀴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상기 지주봉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고 트레일러가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를 트레일러 앞쪽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로 상기 바퀴를 구동하면서 상기 조향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트레일러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장치로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트레일러의 수평을 조절하게 되는 견인장치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일러에 장착하여 트레일러를 소망하는 위치로 견인할 수 있게 되고, 이동 및 주차시 트레일러의 수평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에서 승하강바디 및 웜휠이 지주봉에 장착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가 트레일러에 설치된 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인 트레일러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상단에 조향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퀴가 형성된 지주봉; 상기 바퀴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상기 지주봉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고 트레일러가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를 트레일러 앞쪽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로 상기 바퀴를 구동하면서 상기 조향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트레일러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장치로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트레일러의 수평을 조절하게 되는 견인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는 상단에 조향손잡이(120)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퀴(140)가 형성된 지주봉(100), 바퀴(14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00), 지주봉(100)에 장착되고 트레일러(500)가 고정되는 지지대(300), 지지대(3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400)를 포함한다.
지주봉(100)은 단면 원형을 이루는 봉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단에 형성되는 조향손잡이(120)는 휠 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봉 형태로 형성되는 핸들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단에 형성되는 바퀴(140)는 지주봉(100) 하단에 형성되는 브라켓(142)에 축으로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는데, 브라켓(142)은 아래로 입구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2)에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는 지지대(30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지지대(300)와 거리가 과도하게 가까워지는 경우 후술하는 승하강장치(400)의 작동을 멈추는 기능을 하게된다.
구동장치(200)는 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퀴(140)의 회전력 조절을 위해 감속기(2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감속기(222)는 복수의 기어로 회전속도를 원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공지의 구성으로, 브라켓(142) 바깥면에 장착되고 감속기(222)에 형성되는 회전축이 바퀴(140)를 고정하는 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감속기(222)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바퀴(140)로 전달되는데, 이때, 감속기(222)는 모터(22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모터(220)의 회전력이 바퀴(140)에 전달되어 바퀴(140)가 모터(22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감속기(222)의 회전축과 바퀴(140)를 고정하는 축 및 모터(220)의 회전축과 감속기(222)의 연결은 기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300)는 판 형상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트레일러(500) 앞쪽에 형성되는 프레임(520)에 고정된다. 볼트 등을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지주봉(100)이 관통함으로써 지주봉(100)에 장착될 수 있고,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하며 높이가 조절된다.
승하강장치(400)는 지지대(300) 상면에 고정된 채로 지주봉(100)에 장착되는 승하강바디(480), 승하강바디(480) 상단에 형성되는 웜휠(420), 웜휠(420)을 구동시키는 웜기어(440) 및 상기 웜기어(440)를 회전시키는 모터(4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웜휠(420)은 원판형상을 이루고 둘레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지주봉(100)이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웜휠(420)은 승하강바디(48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지주봉(10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할 수 있게 된다.
웜기어(440)는 주지된 형상과 다름없는 것으로,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이루고, 몸체 외주에 나사 형태로 기어 이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승하강바디(480)에 브라켓(442)으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바, 웜기어(440)에 형성된 기어 이가 웜휠(420) 둘레에 형성된 기어 이와 치합되어 기어(440)가 회전하게 되면 웜휠(420)이 회전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웜휠(420)이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하게 된다.
웜기어(440)의 회전은 모터(460)의 동력에 의할 수 있다. 모터(460)는 지지대(300)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웜기어(440)에 전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웜기어(440)와 모터(460) 사이에 감속기(462)가 설치되고, 감속기(462)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웜기어(440)와 감속기(462)의 회전축 간에 벨트가 설치되어 전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에서 승하강바디 및 웜휠이 지주봉에 장착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웜휠(420)은 승하강바디(48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 구성은 너트체(42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너트체(422)는 웜휠(420) 저면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승하강바디(480) 내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너트체(422)에는 웜휠(420)에서 지주봉(100)이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주봉(10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다. 따라서 웜휠(420)의 회전하게 되면 너트체(422)가 같이 회전을 하면서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함으로서 웜휠(4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체(422)가 형성되면 웜휠(420) 전체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너트체(422)의 길이만큼 지주봉(100)과 접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웜휠(420)이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너트체(422)는 승하강바디(480)에서 이탈되지 않게 형성된다. 그리고 승하강바디(480)와 접하는 지점, 즉 너트체(422)의 외주나 하단 등에는 베어링(482)이 설치되어 너트체(422)가 승하강바디(480)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구성에서 너트체(422)가 승하강바디(480) 내에서 마찰되는 부분에는 윤활유를 통해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가 트레일러에 설치된 상태 예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장치는 지지대(300)를 트레일러(500) 앞쪽에 형성되는 프레임(520)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트레일러(500)에 설치하게 된다. 볼트로 고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장치(4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웜기어(440)가 회전하여 웜휠(420)을 회전시킴으로써 승하강장치(400)가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하게 됨으로써 트레일러(5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후 트레일러(500)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는 구동장치(200)를 작동시키게 되면 바퀴(140)가 회전하면서 트레일러(5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조향손잡이(120)를 조작하면 트레일러(5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지주봉, 120 : 조향손잡이,
140 : 바퀴, 142 : 브라켓,
200 : 구동장치, 220 : 모터,
222 : 감속기,
300 : 지지대,
400 : 승하강장치, 420 : 웜휠,
422 : 너트체, 440 : 웜기어,
442 : 브라켓, 460 : 모터,
462 : 감속기, 480 : 승하강바디,
482 : 베어링,
500 : 트레일러, 520 : 프레임.

Claims (5)

  1. 상단에 조향손잡이(120)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퀴(140)가 형성된 지주봉(100);
    상기 바퀴(140)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14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00);
    상기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고 트레일러(500)가 고정되는 지지대(300);
    상기 지지대(3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400);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트레일러(500) 앞쪽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200)로 상기 바퀴(140)를 구동하면서 상기 조향손잡이(120)를 조작하여 상기 트레일러(5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장치(400)로 상기 지지대(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트레일러(500)의 수평을 조절하게 되는 견인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40)는 상기 지주봉(100) 하단에 형성되는 아래로 입구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142)에 장착되되,
    상기 구동장치(200)는 상기 브라켓(142)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140)의 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222)와 상기 감속기(2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2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견인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42)에는 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승하강장치(400)의 작동을 단속하게 되는 견인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400)는 지주봉(100)에 장착되는 웜휠(420)과 상기 웜휠(420)을 구동시키는 웜기어(440) 및 상기 웜기어(44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460)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봉(1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웜휠(420)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웜기어(4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웜휠(420)이 회전되면 상기 웜휠(420)이 지주봉(100)을 따라 상승과 하강을 하며 상기 지지대(300)의 높이가 조절 되는 견인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40)는 모터(240)와 감속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220)가 상기 바퀴(140)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14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견인장치.
KR1020200148593A 2020-11-09 2020-11-09 견인장치 KR20220062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93A KR20220062883A (ko) 2020-11-09 2020-11-09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93A KR20220062883A (ko) 2020-11-09 2020-11-09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83A true KR20220062883A (ko) 2022-05-17

Family

ID=8179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593A KR20220062883A (ko) 2020-11-09 2020-11-09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28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17A (ko) 2016-12-26 2018-07-04 (주)오토일렉스 트레일러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17A (ko) 2016-12-26 2018-07-04 (주)오토일렉스 트레일러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2594A1 (en) Personal Mobility Vehicle
JPH0316828A (ja) 床上運搬車用の駆動ユニット
KR20150067507A (ko) 무인차용 구동장치
MX2011010868A (es) Carretilla de mano elevadora.
KR102250313B1 (ko) 전동조향 기능을 가지는 전동손수레
KR20220062883A (ko) 견인장치
US4351428A (en) Powered wheel assembly for grain augers and the like
JPH0557122B2 (ko)
US20040226762A1 (en) Fork-lift reach truck
CN218058318U (zh) 随车叉车
CN110155138B (zh) 一种可在复杂地形应用的多功能货物运载装置及其控制方法
CN210834198U (zh) 一种车辆动力转向控制辅助实验装置
JP3591205B2 (ja) 台車駆動装置
US9840235B2 (en) Telescopic support comprising a spindle, and driving said spindle by means of a crown wheel comprising an integrated thrust bearing for supporting loads
CN211565812U (zh) 电子产品生产用便于调节角度的工作台
CN109747546B (zh) 车辆用脚踏装置及电动踏板控制方法
KR101478338B1 (ko)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US48387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rear trailer in a tandem tractor-trailer assembly
CN208039351U (zh) 可实现复合运动的驱动型前桥
KR102295603B1 (ko)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CN2183357Y (zh) 人力叉车
JP4506415B2 (ja) 車両用の車椅子リフト装置
CN1079921C (zh) 操作控制装置
JPH07259367A (ja) 立体駐車装置
CN209667049U (zh) 一种高度可调的用于支撑半挂车车身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